KR20210147674A -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674A
KR20210147674A KR1020200065252A KR20200065252A KR20210147674A KR 20210147674 A KR20210147674 A KR 20210147674A KR 1020200065252 A KR1020200065252 A KR 1020200065252A KR 20200065252 A KR20200065252 A KR 20200065252A KR 20210147674 A KR20210147674 A KR 2021014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metal
algae
fluid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정
정춘수
김종설
유미선
심학섭
Original Assignee
(주)진행워터웨이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행워터웨이,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to KR102020006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674A/ko
Publication of KR2021014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 C02F1/705Reduction by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는, 유체를 통과시켜 유체 내에 포함된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로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케이싱유닛, 상기 케이싱유닛 내측 벽면에 도금되는 메탈유닛, 상기 메탈유닛의 내측에서 유체와 상기 메탈유닛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절연유닛 및 상기 절연유닛 내측에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탈유닛과의 전위차에 의해 산화환원반응을 발생시키는 발생유닛을 포함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FLUID TREATMENT DEVICE TO SUPPRESS GREEN ALGAE PRODUCTION}
본 발명은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특히 담수 중에 생성된 녹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육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갑작스런 산업화로 인하여 각종 오염물질의 증가와 오염 부하량의 끊임없는 증가로 오염수 유출이 심화되고 있으며, 기존의 생활하수와 더불어 심각한 수질오염의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수온의 증가에 따라 호수나 저수지 등의 담수에서 부영양화로 매년 녹조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자연환경은 자정능력의 한계에 시달리고 있다.
이 때, 녹조 현상이란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량 발생으로 생기는 현상으로, 물빛에 진한 녹색을 띠게 하는 남조류가 녹조 현상의 주 원인이며, 이러한 녹조 현상은 통상 6~7월의 여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물고기 폐사 등과 같은 생태계 파괴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토종 동물의 사멸이나 개체군의 변화와 같은 생태학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남조류 등의 독소로 인해 피부에 닿을 때 피부염이나 물을 마셨을 경우에는 복통이나 두통 등을 유발하는 등 인체나 가축 등의 건강을 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녹조 현상은 생태학적, 공중 위생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함은 물론 사회 경제적, 시각적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는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녹조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저비용으로 녹조 예방 및 수질 정화를 수행할 수 있는 유체처리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동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흡입하고, 전위차를 발생시켜 금속이온을 용출하고, 용출된 금속이온을 통해 산화제를 형성하여 발생된 산화제를 통해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산화환원반응을 통해서 녹조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남조류의 먹이에 해당하는 영양분을 석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는, 유체를 통과시켜 유체 내에 포함된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로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케이싱유닛, 상기 케이싱유닛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메탈유닛, 상기 메탈유닛의 내측에서 유체와 상기 메탈유닛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절연유닛 및 상기 절연유닛 내측에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탈유닛과의 전위차에 의해 산화환원반응을 발생시키는 발생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탈유닛은, 순수 구리, 황동, 또는 Zn, Mn, Zr, Mg, Ti 및 Al 중 어느 하나의 금속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탈유닛은, 상기 절연유닛 사이에 니켈 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절연유닛은, 상기 메탈유닛 및 상기 발생유닛 사이에 공기 또는 진공으로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절연유닛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생유닛은,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케이싱유닛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발생유닛에서 전하되는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산화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유닛은, 상기 메탈유닛과 상기 발생유닛의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탈유닛과 상기 발생유닛에 각각 양극과 음극이 연결되는 전위차 발생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고, 악취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녹조 제거에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학약품 사용으로 인한 2차 오염 발생이 없는 친환경적인 유체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유체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킴을 통해서 녹조 발생을 지속적으로 억제하고, 복잡한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도 1상에서 좌우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절연유닛이 형성하는 공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정수 현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시간에 따른 아연과 산화제의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전압의 변화에 따른 시간과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에 전위차 발생기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구성 및 형상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도 1상에서 좌우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절연유닛이 형성하는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는 유체를 통과시켜 유체 내에 포함된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로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케이싱유닛(100), 상기 케이싱유닛(100)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메탈유닛(200), 상기 메탈유닛(200)의 내측에서 유체와 상기 메탈유닛(200)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절연유닛(300) 및 상기 절연유닛(300) 내측에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탈유닛(200)과의 전위차에 의해 산화환원반응을 발생시키는 발생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유닛(100)은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상기 메탈유닛(200), 상기 절연유닛(300), 상기 발생유닛(4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탈유닛(200)은 상기 유체의 이동 경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와 상기 케이싱유닛(1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유닛(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며, 이는 도금되거나 내측면을 상기 메탈유닛으로 코팅처리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으로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탈유닛(200)은 상기 케이싱유닛(100) 내측에서 상기 유체가 이동되고, 상기 발생유닛(400) 사이에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연층을 형성하는 절연유닛(30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생유닛(400)은 상기 절연유닛(300)의 내측, 즉, 상기 절연유닛(40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상기 발생유닛(400)의 외측으로 상기 절연유닛(300) 층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유닛(300)의 외측으로 상기 메탈유닛(200)이 구성될 수 있고, 이를 감싸며 하우징을 제공하는 상기 케이싱유닛(1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케이싱유닛(100)은 상기 유체를 받아들이고 상기 발생유닛(400)에 형성된 기공을 통과한 상기 유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의 인입구(I)와 배출구(O)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유체가 상기 발생유닛(400)을 통과하는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인입구(I)에서 상기 배출구(O)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별도의 펌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는 상기 인입구(I) 측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연유닛(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탈유닛(200) 및 상기 발생유닛(400)과는 다르게 공기로 채워지거나 진공상태로 형성되는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층으로 형성되지 않고, 띠 형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절연유닛(300)을 층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공기로 가득찬 빈 공간이거나 진공상태인 빈 공간에서는 별도의 전해질이 존재하지 않아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거나 전기적 자극이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안전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활용을 예시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정수 현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시간에 따른 아연과 산화제의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의 전압의 변화에 따른 시간과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는 이종 금속 간의 자연 전위차를 이용하여 금속 이온을 유체 내에 생성시키고, 또한 과산화수소를 유체 내에 생성시킴으로써 유체 내에 존재하는 녹조 등의 유기물을 분해 또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메탈유닛(200)은 상기 절연유닛(300) 및 상기 발생유닛(400)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구리를 함유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탈유닛(200)은 구리를 함유하는 금속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순수 구리일 수 있음은 물론,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리 함유 합금으로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황동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동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아연을 20 내지 40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라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표적인 황동으로서, 아연 함량을 기준으로, 40중량%(사륙황동), 35중량%, 33중량%, 30중량%(삼칠황동), 20중량% 이하의 황동을 들 수 있으며, 아연을 20% 이하의 아연을 함유하는 황동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연의 함량이 적을수록 자연 전위차에 따른 아연이온 용출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탈유닛(200)은 구리와 다른 금속과의 합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Zn, Mn, Zr, Mg, Ti 및 Al 중 어느 하나의 금속과 구리가 2:8 내지 3:7의 중량비를 갖는 합금일 수 있으며, 이들 금속은 전위차의 크기가 증대되어, 물속의 산소와 만나 산화제인 과산화수소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탈유닛(200)은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니켈로 도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생유닛(400)은 상기 메탈유닛(200)과의 전위차에 의해 유체 내에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 것으로서, 구리 또는 황동과 자연 전위차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발생유닛(200)은 아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 후술할 내용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아연은 용출되어 물속에 존재하더라도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체 아연을 진공 챔버 내에서 소성시키고, 상온 냉각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 아연을 400 내지 800℃ 온도 조건에서 소성하여 아연을 용융한 후, 상기 동일한 진공 챔버 내에서 상온으로 냉각시켜 아연 블록을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과정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가 결합되어 산화아연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자연 전위차에 의한 아연이온 용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발생유닛(400)은 상기 메탈유닛(200)의 내부 벽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생유닛(400)은 관 형상인 상기 메탈유닛(20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싱유닛(100)을 통과하는 상기 유체와의 마찰을 증대시키는 것이 유체 내에 상기 발생유닛 (400)으로부터의 아연 용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유체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생유닛(400)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것은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유체 내에 아연이온 용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메탈유닛(200)과 상기 발생유닛(400)은 상기 절연유닛(3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절연유닛(300)은 상기 메탈유닛(200)과 상기 발생유닛(400) 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절연유닛(300)에 의해 상기 메탈유닛(200)과 상기 발생유닛(400)을 절연함으로써 자연전위차에 의해 상기 발생유닛(400)으로부터 용출된 전자 및 금속 이온을 상기 케이싱유닛(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 내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유닛(300)은 상기 메탈유닛(200)이 상기 케이싱유닛(10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유닛(300)은 상기 메탈유닛(200) 및 상기 발생유닛(400) 간에 절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그 재질 및 구성에 제한되지 않도록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도체로서의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 세라믹, 불소고무 또는 기타 부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연유닛(300)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공성이 양호하고, 절연성이 뛰어나며, 마찰에 의한 정전기적 성질도 우수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상기 케이싱유닛(100) 내측의 내부공간을 지나가는 녹조가 발생한 물은 상기 메탈유닛(200)의 구리와 상기 발생유닛(400)의 아연의 이종 금속 간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발생유닛(400)으로부터 다음 식 (1)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Zn + 2H2O + O2 → Zn(OH)2 + H2O2 (1)
즉, 아연으로 된 상기 발생유닛(400)으로부터 아연이 용출되어 전자를 제공하고, 아연이온이 상기 물에 공급된다. 이러한 반응은 외부 전원 없이도 자연 전위차에 의해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으로서, 전자의 이동에 의해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이 이루어진다.
상기 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아연 이온은 다음 식 (2)와 같이 물과 산소와 반응 과정을 거쳐 상기 식 (1)과 같이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며, 이에 의해 발생된 과산화수소는 물속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침전시킨다.
H2O + 2e- → H+ + 2OH- (2)
이에 의해 물에 발생한 녹조를 제거할 수 있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체는 방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처리된 물은 유기물 처리 장치를 통과하여 처리된 후에 방류되어 재공급되며, 이러한 과정에 따른 유체 처리를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물속의 녹조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녹조의 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체 처리방법은 호수와 같이 특정 위치에 정체되어 있는 물을 처리하는데 보다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호수나 골프장 등에 설치된 연못, 양식장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는 펌프를 통해 물을 상기 유기물 분해 장치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기물 분해장치를 통과하는 유체는 0.3 내지 6m/s의 유속으로 흐르도록 유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상술한 바를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를 2개씩 설치한 수조를 4가지 분류로 구분하고, 각각의 장치는 아래와 같이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다.
먼저 두 개의 유체처리장치를 모두 OFF한 상태(A), 도면상에서 우측의 유체처리장치만 ON한 상태(B), 도면상에서 좌측의 유체처리장치만 ON한 상태(C), 두 개의 유체처리장치를 모두 ON한 상태(D)로 구분하였으며, 상기 발생유닛(400)의 아연 용출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생유닛(400)의 용출량을 향상시키는 용액을 도면상에 우측에 해당하는 유체처리장치에만 주입하여 10일이 경과한 이후 이를 관찰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실험 군의 경우는 녹조가 심하게 진행되어 일반적인 녹조현상을 그대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유체처리장치가 가동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남조류의 발생이 억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B)군 및 (C)군의 실험결과 (C)군에서 보다 많은 남조류가 발생되어 (B)군 보다 탁한 녹색을 띄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상기 발생유닛(400)의 이온 용출량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주입한 용액에 의해 차이가 발생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B)군과 유?ㄴ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D)군의 경우는 용액이 접촉되거나 접종되지 않았거나의 여부에 상관없이 두 개의 유체처리장치를 가동한 상태이므로 남조류의 발생이 확인히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녹조 발생을 억제하거나 녹조가 발생한 것을 제거하는 과정의 시간적 여유만 있다면 친환경적인 유체 필터링이 가능하다는 사실 역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보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초기 0Mg/L였던 아연과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2일차에서 아연은 0.34Mg/L, 과산화수소는 0.05Mg/L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4일차까지도 아연과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유체에 함유된 아연이온의 농도와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남조류의 번식을 억제하고, 산화제인 과산화수소에 의해 정수가 이루어져 녹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아연의 용출을 위해 자연전위차를 이용하고 있지만, 조건상으로 전위차를 인위적으로 가해줄 수 있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아연 이온을 용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응성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통해 녹조를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DC)를 8V로 가했을 경우, 직류(DC)를 4V로 가했을 경우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체처리장치(SB)만 존재했을 경우에 용출량보다 확연히 상승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는, 상기 메탈유닛(200)과 상기 발생유닛(400)에 각각 양극과 음극이 연결되어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전위차 발생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I: 주입부
O: 배출부
100: 케이싱유닛
120: 전위차 발생부
200: 메탈유닛
300: 절연유닛
400: 발생유닛

Claims (7)

  1. 유체를 통과시켜 유체 내에 포함된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로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케이싱유닛;
    상기 케이싱유닛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메탈유닛;
    상기 메탈유닛의 내측에서 유체와 상기 메탈유닛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절연유닛; 및
    상기 절연유닛 내측에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탈유닛과의 전위차에 의해 산화환원반응을 발생시키는 발생유닛을 포함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유닛은,
    순수 구리, 황동, 또는 Zn, Mn, Zr, Mg, Ti 및 Al 중 어느 하나의 금속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유닛은,
    상기 절연유닛 사이에 니켈 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닛은,
    상기 메탈유닛 및 상기 발생유닛 사이에 공기 또는 진공으로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닛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유닛은,
    외부 동력에 의해 상기 케이싱유닛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발생유닛에서 전하되는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산화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유닛은,
    상기 메탈유닛과 상기 발생유닛의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탈유닛과 상기 발생유닛에 각각 양극과 음극이 연결되는 전위차 발생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 처리 장치.
KR1020200065252A 2020-05-29 2020-05-29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KR20210147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252A KR20210147674A (ko) 2020-05-29 2020-05-29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252A KR20210147674A (ko) 2020-05-29 2020-05-29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674A true KR20210147674A (ko) 2021-12-07

Family

ID=7886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252A KR20210147674A (ko) 2020-05-29 2020-05-29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6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6949B2 (ja) 電気化学的殺菌及び制菌方法
JP2949322B2 (ja) イオン水、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RU260211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US20070017801A1 (en) High electric field electrolysis cell
CN103304038B (zh) 电化学-生物膜协同作用反应器及在含氮有机废水中的应用
DE4318628A1 (de) Verfahren zur Wasseraufbereitung
CA2611176A1 (en) Oxygenation of aqueous systems
KR100918555B1 (ko) 질소 처리 방법 및 질소 처리 장치
CN205472808U (zh) 一种协同降解含氮废水的电化学反应器
EP0862538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mit mikroorganismen und/oder schadstoffen belastetem wasser
CN106219832A (zh) 一种双催化氧化工艺处理废水的装置及方法
KR20210147674A (ko)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유체처리장치
CN103482731B (zh) 扰流净水装置
JP2005177724A (ja) 水素水を製造する装置
US5783090A (en) Ionic water treatment system
JP2005146344A (ja) 酸素還元用電極と、該電極を用いた過酸化水素の製造装置及び方法、及び、該過酸化水素の製造装置又は方法を用いた水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洗濯機
KR20180085209A (ko) 수중의 조류를 제거하는 유체 처리 방법
KR100233775B1 (ko) 정수기 살균장치
CN103896372A (zh) 利用辉光放电协同处理含有As(III)、Cr(VI)废水的方法及其装置
KR102022782B1 (ko) 산소 자유라디칼 연쇄반응을 이용한 녹조 또는 적조 제거용 조성물
KR20190029564A (ko) 수중의 조류를 제거하는 유체 처리 방법
US20130277230A1 (en) Water cleaning and sanitising apparatus
US4248684A (en) Electrolytic-cell and a method for electrolysis, using same
TW401379B (en) The treatment for the phosphoric ion acid-containing waste water
KR102493732B1 (ko)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