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642A - 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642A
KR20210147642A KR1020200065177A KR20200065177A KR20210147642A KR 20210147642 A KR20210147642 A KR 20210147642A KR 1020200065177 A KR1020200065177 A KR 1020200065177A KR 20200065177 A KR20200065177 A KR 20200065177A KR 20210147642 A KR20210147642 A KR 20210147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ackrest
gravity
muscle strength
posture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티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티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티핏
Priority to KR102020006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642A/en
Publication of KR2021014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6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61H1/003Rocking or oscill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ransversal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93Hanging by hanging the patient upside down or inclined downward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6Heartbeat rate
    • A61H2230/065Heartbeat rat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omprises: an exercise equipment body made of a frame structure;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a user so as to be in a state such as a handstand; a rotation angle driving unit; an ankle support; a heart rate measuring sensor; a vibration sensor; and a drive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method for using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comprises: (1) a step of preparing use of equipment through a process that a user fixes the angle on an ankle support and leans the back on a backrest; (2) a step of rotating the backrest at a preset angle; (3) a step of making vibration sensors, provided on the backrest, transmit vibrations to a waist part and both leg parts of the user; and (4) a step of monitoring the heart rate.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 pain and scoliosis are alleviated, and monitoring of heart rate data is possible.

Description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운동 부족과 생활 자세 등으로 허리 관절 등에 무리가 가서 예전에는 없던 허리 디스크와 같은 질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허리 디스크 등을 교정하기 위해 거꾸리라 불리는 기구(inversion table)가 사용되어 왔다.In general, modern people have a tendency to suffer from a disease such as a herniated disc, which was not previously present, due to a lack of exercise and lifestyle, etc., which puts a strain on the back joints. In order to correct such a herniated disc, an inversion table has been used.

이와 같은 종래의 인버션 테이블은 신체를 거꾸로 매달리게 해주는 기구로서, 원래는 미국에서 디스크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기구이다. 이러한 인버션 테이블은 물구나무선 채로 발목을 거는 기구로 체중이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디스크 환자의 치료와 청소년의 발육 촉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즉, 종래의 인버션 테이블은 베드에 누운 후 베드 끝의 발걸이에 발목이 고정되게 하고, 베드 옆에 부착된 손잡이에 힘을 가해 브래킷 고정 장치로부터 베드가 90도 회전함에 따라 신체의 상체는 아래로 향하게 하고 하체는 위쪽에 놓이게 되어 결국 공중에 거꾸로 매달린 채로, 무게, 즉 자신의 체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척추를 이완하고 돌출된 연골을 원위치로 들어가게 하여 척추를 교정하는 기구이다.Such a conventional inversion table is a device that allows the body to hang upside down, and was originally developed to treat disc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Such an inversion table is a device for hanging ankles while standing on the hands, and since the weight is directed downward, it has been known to help the treatment of disc patient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That is, in the conventional inversion table, after lying on the bed, the ankle is fixed to the footrest at the end of the bed, and as the bed rotates 90 degrees from the bracket fixing device by applying force to the handl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ed, the upper body of the body is lowered. It is a device that straightens the spine by naturally relaxing the spine by the weight, that is, one's own weight, and returning the protruding cartilage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 the lower body placed on top and eventually hanging upside down in the air.

이와 같은 종래의 인버션 테이블은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 신체를 매다는 기구로써, 단순히 사용자로 하여금 거꾸로 매다는 기능만 존재하였다. 이는 사용자의 척추 건강 상태 또는 자세에 대한 피드백이 없으며 이는 오히려 사용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3316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Such a conventional inversion table is a mechanism for hanging a user's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body is inverted, and there is only a function of simply hanging the user's body upside down.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feedback on the user's spinal health state or posture, and this leads to a risk of worsening the user's con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03316 is disclosed as a prior art document.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운동기구 본체의 상단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등받이와, 등받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구동부와,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발목 지지대와,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 측정 센서와,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등받이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와, 회전각도 구동부의 회전 구동과, 진동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력을 사용한 안전하고 편리하게 근력, 이완 및 마무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등받이에서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의 근육에 진동을 전달하여 혈액 순환이 보조될 수 있도록 하며, 발목 지지대에서의 중량 측정 및 회전을 통한 정확한 자세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 that is pivo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xercise device body provided with a pair of handles A rotation angle driving unit, an ankle support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user's ankle and measuring the weight, a heart rat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heart rate, and a user installed on the backrest to give vibration to the muscles when using the instrument By comprising a vibration sensor, rotational driving of the rotational angle driving unit, and a driving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sensor, and monitors the heartbeat when using the appliance through the user's heartbeat data measured from the heartbeat sensor, It not only enables safe and convenient muscle strength, relaxation and finishing exercises, but also transmits vibrations from the backrest to the muscles of the user's both legs and lower back so that blood circulation is assisted, and weight measurement at the ankle suppo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enabling accurate posture correction through rotation.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에 구비되는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등받이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중량 센서를 통한 피드백으로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 견인 효과를 통한 요통의 개선은 물론, 사용자의 현재 자세를 인식하여 균형 있게 하중 배분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척추 디스크 개선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면서 생긴 척추측만증 또한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to be freely adjusted with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using the user's heartbeat data measured from the heartbeat sensor provided in the handle, thereby reducing back pain through the spinal traction effect. In addition to improvement, it is possible to balance the load distribution by recognizing the user's current posture, thereby improving the posture correction and muscle strength using gravity, which not only improves the spinal disc, but also improves the scoliosis caused by modern people sitting for a long time. And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blood circula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손잡이의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한 심박과, 발목 지지대에서 측정되는 중량, 및 신체 좌우 밸런스를 어플을 통하여 의료진이나 사용자의 외부 기기에 운동 정보를 전달하여 피드백이 가능하고, 심박 데이터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feedback by transmitting exercise information to the medical staff or the user's external devi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heart rate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of the handle, the weight measured at the ankle support, and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bod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that enables monitoring of heart rate data,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는,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로서,As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for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한 쌍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기 위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 운동기구 본체;A pair of handles is formed, the exercise equipment body consisting of a frame structure for being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상기 운동기구 본체의 상단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기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a backrest that is pivo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xercise equipment body and rotates around the user's waist to support the user's back so as to be in a state such as standing upside down;

상기 운동기구 본체와 축 결합되는 등받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구동부;a rotation angle driv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exercise device body and a backrest that is shaft-coupled, and configured to adjust a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연결 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발목 지지대;An ankle sup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through a connection frame, fixedly supporting the user's ankle, and measuring the weight;

사용자가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의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 측정 센서;a heart rate sensor for measuring a user's heart rate when the user uses the device lying down;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 및a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the backrest so that the user can vibrate the muscles when using the instrument; and

상기 회전각도 구동부의 회전 구동과, 진동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riving of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and driving of the vibration sensor, and monitoring the heart rate when using the appliance through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measuring sensor. .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각도 구동부는,Preferably,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상기 구동 제어부의 회전 구동 제어 하에, 상기 등받이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It may be driven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under the rotation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프레임은,Preferably, the connection frame,

상기 등받이와 발목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t connects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ankle support, but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목 지지대는,More preferably, the ankle support is,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 회전 구동부; 및Left and right rotation driving unit to enable left and right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and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박 측정 센서는,Preferably, the heart rate sensor,

상기 운동기구 본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설치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any one of a pair of handles formed on the exercise equipment bod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센서는,More preferably, the vibration sensor,

상기 등받이에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arranged so as to give vibration to both legs and waist of the user when using the appliance while lying on the backrest.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센서는,Even more preferably, the vibration sensor,

상기 등받이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허리 진동 센서; 및a waist vibration sensor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a user's waist using the instrument lying on the backrest; and

상기 등받이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leg vibration sensors for transmitting vibrations to both leg portions of a user who uses the device while lying on the backrest.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제어부는,Even more preferably, the drive control unit,

상기 심박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상기 발목 지지대의 중량 센서를 통한 피드백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할 수 있다.By using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through the heart rate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rol driving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by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of the ankle suppor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은,A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for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1) 사용자가 발목 지지대에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등받이에 등을 기대어 지지하는 과정으로 기구 사용이 준비되는 단계;(1) a step in which the user is prepared to use the device in a process of fixing and supporting the ankle on the ankle support and leaning the back on the backrest;

(2) 상기 단계 (1)의 기구 사용이 준비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의 구동 제어 하에, 회전각도 구동부의 작동으로 사용자가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상기 등받이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단계;(2) in a state in which the instrument of step (1) is ready to be used,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unit, the backrest is rotated at a preset angle so that the user is in a state such as standing upside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

(3) 상기 단계 (2)를 통해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의 구동 제어 하에, 등받이에 구비되는 진동 센서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과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 및(3)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user's waist and both legs by a vibration sensor provided in the backrest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in the state rotated at a rotation angle preset through step (2); and

(4) 구동 제어부가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4) the driving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monitoring the heartbeat when using the appliance through the user's heartbeat data measured from the heartbeat sensor.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각도 구동부는,Preferably,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상기 구동 제어부의 회전 구동 제어 하에, 상기 등받이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It may be driven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under the rotation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프레임은,Preferably, the connection frame,

상기 등받이와 발목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t connects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ankle support, but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목 지지대는,More preferably, the ankle support is,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 회전 구동부; 및Left and right rotation driving unit to enable left and right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and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a weight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박 측정 센서는,Preferably, the heart rate sensor,

상기 운동기구 본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설치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any one of a pair of handles formed on the exercise equipment bod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센서는,More preferably, the vibration sensor,

상기 등받이에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arranged so as to give vibration to both legs and waist of the user when using the appliance while lying on the backrest.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센서는,Even more preferably, the vibration sensor,

상기 등받이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허리 진동 센서; 및a waist vibration sensor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a user's waist using the instrument lying on the backrest; and

상기 등받이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leg vibration sensors for transmitting vibrations to both leg portions of a user who uses the device while lying on the backrest.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제어부는,Even more preferably, the driving control unit,

상기 심박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상기 발목 지지대의 중량 센서를 통한 피드백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할 수 있다.By using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through the heart rate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rol driving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by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of the ankle supporter.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운동기구 본체의 상단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등받이와, 등받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구동부와,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발목 지지대와,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 측정 센서와,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등받이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와, 회전각도 구동부의 회전 구동과, 진동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력을 사용한 안전하고 편리하게 근력, 이완 및 마무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등받이에서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의 근육에 진동을 전달하여 혈액 순환이 보조될 수 있도록 하며, 발목 지지대에서의 중량 측정 및 회전을 통한 정확한 자세 교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e backrest is pivo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xercise device body provided with a pair of handles and rotates, A rotation angle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an ankle support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user's ankle and measuring the weight, a heart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heart rate, and vibration to the muscles when the user uses the device A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the backrest to provide By configuring including the , it is possible to enable accurate posture correction through weight measurement and rotation at the ankle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손잡이에 구비되는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등받이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중량 센서를 통한 피드백으로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 견인 효과를 통한 요통의 개선은 물론, 사용자의 현재 자세를 인식하여 균형 있게 하중 배분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척추 디스크 개선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면서 생긴 척추측만증 또한 개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is adjusted using the user's heartbeat data measured from the heartbeat sensor provided in the handle. By allowing it to be freely controlled with feedback through this weight sensor, it is possible to not only improve low back pain through the spinal traction effect, but also to recognize the user's current posture and distribute the load in a balanced way, thereby improving the spinal disc as well as modern people for a long time. Scoliosis caused by sitting for hours can also improv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손잡이의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한 심박과, 발목 지지대에서 측정되는 중량, 및 신체 좌우 밸런스를 어플을 통하여 의료진이나 사용자의 외부 기기에 운동 정보를 전달하여 피드백이 가능하고, 심박 데이터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e heart rate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of the handle, the weight measured from the ankle support, and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body By transmitting exercise information to the medical staff or the user's external device through the application, feedback is possible, and heart rate data can be moni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발목 지지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진동 센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심박 측정 센서가 설치된 손잡이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등받이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구동 제어부가 외부 기기로 운동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a function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nkle support of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bration sensor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perspectiv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handle in which a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a backrest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driving control unit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transmits exercise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발목 지지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진동 센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100)는, 운동기구 본체(110), 등받이(120), 회전각도 구동부(130), 발목 지지대(140), 심박 측정 센서(150), 진동 센서(160), 및 구동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and FIG. 2 is a view show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nkle support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functional blocks, and FIG. 3 is a view showing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sensor of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as a functional block, and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e drawing 1 to 4,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100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ercise device body 110, a backrest 120 ),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 the ankle support 140 , the heart rate measuring sensor 150 , the vibration sensor 160 ,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may be included.

운동기구 본체(110)는, 한 쌍의 손잡이(111)가 형성되고,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기 위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의 구성이다. 이러한 운동기구 본체(110)는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 신체를 매다는 기구인 인버션 테이블(inversion table)의 베이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운동기구 본체(110)의 한 쌍의 손잡이(111) 중 하나에는 후술하게 될 심박 측정 센서(150)가 설치될 수 있다.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has a pair of handles 111 formed therein, and has a frame structure for being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may be configured as a base structure of an inversion table, which is a mechanism for hanging the user's upper and lower body in an inverted state. Here, a heart rate sensor 1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on one of the pair of handles 111 of 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

등받이(120)는, 운동기구 본체(110)의 상단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기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등받이(120)는 사용자가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주어 혈액 순환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센서(160)가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센서(16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backrest 120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and rotates, and supports the user's back so as to be able to rotate with the user's waist as a starting point so as to be in a state such as standing upside down. . The backrest 120 may be configured with a vibration sensor 160 to assist blood circulation by giving vibration to the muscles when the user lays down and uses the instrument. Her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sensor 160 will be described later.

회전각도 구동부(130)는, 운동기구 본체(110)와 축 결합되는 등받이(120) 사이에 구비되며, 등받이(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각도 구동부(130)는 구동 제어부(170)의 회전 구동 제어 하에, 등받이(1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각도 구동부(130)는 내부에 구동모터와 감속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exercise device body 110 and the backrest 120 coupled to the shaft,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may be driven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under the rotation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 Here,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and a speed reducer therein.

발목 지지대(140)는, 등받이(120)의 하부에 연결 프레임(141)을 매개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목 지지대(140)에 구비되는 연결 프레임(141)은 등받이(120)와 발목 지지대(140)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ankle support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120 via a connection frame 141 , and is configured to fix and support the user's ankle and measure the weight. The connection frame 141 provided in the ankle support 14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backrest 120 and the ankle support 140, but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또한, 발목 지지대(140)는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 회전 구동부(142)와,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목 지지대(140)는 구동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좌우 균형을 기반으로 정확한 자세 교정이 가능한 방향으로 발목 지지대(14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척추 디스크 개선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면서 생기는 척추측만증 또한 개선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kle support 140 includes a left and right rotation driving unit 142 that enables left and right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and a w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eight sensor 143 . The ankle support 14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capable of correct posture correction based on the measured left-right balance of the user's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170 . This can function not only to improve the spinal disc, but also to improve the scoliosis caused by modern people sitting for a long time.

심박 측정 센서(150)는, 사용자가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의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구성이다. 이러한 심박 측정 센서(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 본체(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111) 중 어느 하나에 설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심박 측정 센서(150)는 운동기구 본체(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111) 중 하나에 설치됨으로써,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손잡이(111)를 잡는 것만으로도 심박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The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150 is a configuration of a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heart rate when the user uses the lying instrument. As shown in FIG. 5 , the heart rate sensor 150 may be installed on any one of a pair of handles 111 formed on 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 Here, the heart rate sensor 150 is installed on one of the pair of handles 111 formed on the body 110 of the exercise equipment, so that the user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can measure the heart rate simply by holding the handle 111 . it becomes possible

진동 센서(160)는,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등받이(120)에 설치되는 센서의 구성이다. 이러한 진동 센서(160)는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될 수 있다.The vibration sensor 160 is a configuration of a sensor installed on the backrest 120 so that a user can give a vibration to a muscle when using an instrument. Such a vibration sensor 160 may be arranged so as to give vibration to both legs and waist of the user when lying on the back 120 and using the instrument.

또한, 진동 센서(160)는 도 3 및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허리 진동 센서(161)와,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16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센서(160)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줌으로써, 사용자의 혈액 순환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vibration sensor 160 includes a waist vibration sensor 161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user's waist using the instrument lying on the back 120, and the back (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leg vibration sensors 162 for transmitting vibrations to both leg portions of the user who uses the device while lying down. Such a vibration sensor 160 can assist the user's blood circulation by giving vibrations to both legs and waist of the user who uses the exercise equipment.

구동 제어부(170)는, 회전각도 구동부(130)의 회전 구동과, 진동 센서(160)의 구동을 제어하며,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제어부의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 제어부(170)는 심박 측정 센서(15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등받이(120)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발목 지지대(140)의 중량 센서(143)를 통한 피드백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rotational angle driving unit 130 and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sensor 160 , and measures the heart rate when using the appliance through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measuring sensor 150 . This i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to be monitored.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adjusts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by using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through the heart rate sensor 150 as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143 of the ankle support 140 .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driven.

또한, 구동 제어부(170)는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전 각도의 조절이 중량 센서(143)를 통한 피드백으로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목 지지대(140)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무게를 다양한 방향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riving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can be freely adjusted by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143 using the measured heartbeat data of the user.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ankle support 140 to also be rotatabl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user's weight in various directions.

또한, 구동 제어부(170)는 손잡이(111)에 설치되는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심박과, 발목 지지대(140)에서 측정된 중량, 및 신체 좌우 밸런스를 내부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App)을 통해서 외부 기기를 사용하는 의료진이나 사용자에게 운동 정보를 전달하여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is an application ( App), exercis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medical staff or users using external devices to enable feedback.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운동 기구(100)는 기구의 사용 시, 등받이(120)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160)를 통해 근육에 진동을 전달하여 혈액 순환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111)에 설치되는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되는 심박 데이터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발목 지지대(140)의 좌우 회전 구동부(142)의 구동으로 사용자의 현재 자세에서 균형 있는 하중 배분을 통한 자세교정과, 척추 견인 효과를 통한 요통, 척추디스크, 척추측만증의 개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vibration to the muscles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160 installed on the backrest 120 when the device is used to assist blood circulation, and includes a handle 111 . ),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heart rate data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150 installed in the , it can make it possible to improve back pain, spinal disc, and scoliosis through spinal traction effec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심박 측정 센서가 설치된 손잡이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박 측정 센서(150)는 사용자가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의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운동기구 본체(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111) 중 어느 하나에 설치 구성되고, 사용자는 심박 측정 센서(150)가 설치된 손잡이(111)를 잡는 것만으로도 심박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handle in which a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heart rate sensor 15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when the user uses the device lying down, and among the pair of handles 111 formed in 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I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ny one, and the user can measure the heart rate simply by holding the handle 111 on which the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150 is install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등받이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센서(160)는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허리 진동 센서(161)와,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162)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센서(160)의 허리 진동 센서(161)와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162)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과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각각이 복수로 정렬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a backrest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vibration sensor 160 includes a waist vibration sensor 161 and a pair of vibrations to give vibration to both legs and a waist portion of a user who uses the instrument while lying on the backrest 120 . It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cluding the sensor 162 . Here, the waist vibration sensor 161 and the pair of leg vibration sensors 162 of the vibration sensor 160 are arranged in plurality so that vibration can be given to the waist and both legs of the user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It can be configured with a structure that is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구동 제어부가 외부 기기로 운동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운동 기구(100)의 구동 제어부(170)는 손잡이(111)에 설치되는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심박과, 발목 지지대(140)에서 측정된 중량, 및 신체 좌우 밸런스를 내부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App)을 통해서 외부 기기를 사용하는 의료진이나 사용자에게 운동 정보를 전달하여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driving control unit of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transmits exercise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of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100 includes a heart rate measured from a heart rate sensor 150 installed on the handle 111 , a weight measured from the ankle support 140 , And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body is mounted inside and the exerci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or the user using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n application that is executed to enable feedback.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은, 사용자가 발목 지지대에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등받이에 등을 기대어 지지하는 과정으로 기구 사용이 준비되는 단계(S110), 기구 사용이 준비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의 구동 제어 하에, 회전각도 구동부의 작동으로 사용자가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등받이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단계(S120),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의 구동 제어 하에, 등받이에 구비되는 진동 센서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과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S130), 및 구동 제어부가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in the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fixedly supports the ankle on the ankle support, and the user supports the ankle on the backrest. In the process of leaning on and supporting the device, the step of preparing to use the device (S110), in the state in which the device is ready to use,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e control unit, the backrest is pre-set so that the user is in a state such as standing upside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Step of rotating at a set angle (S120), in the state of being rotated at a preset rotation angle,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the vibration sensor provided in the backrest transmits vibration to the user's waist and both legs (S130) ), and a step ( S140 ) of monitoring, by the driving control unit, the heartbeat when using the appliance through the heartbeat data of the user measured from the heartbeat sensor.

단계 S110에서는, 사용자가 발목 지지대(140)에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등받이(120)에 등을 기대어 지지하는 과정으로 기구 사용이 준비된다. 여기서, 등받이(120)는 운동기구 본체(110)의 상단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기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주어 혈액 순환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센서(160)가 배치 구성될 수 있다.In step S110, the user fixedly supports the ankle on the ankle support 140, and leans back on the backrest 120 to support the device, and thus the use of the instrument is prepared. Here, the backrest 120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xercise device body 110 and rotates, and the user's back is supported so as to be in a state such as standing upside down by rotating the user's waist as a starting point. As a result, the vibration sensor 16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vibration to the muscles to assist blood circulation when the user uses the device lying down.

또한, 발목 지지대(140)는 등받이(120)의 하부에 연결 프레임(141)을 매개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 회전 구동부(142)와,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목 지지대(140)에 구비되는 연결 프레임(141)은 등받이(120)와 발목 지지대(140)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kle support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120 via the connection frame 141, and is configured to fix and support the user's ankle and measure the weigh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It may further include a left and right rotation driving unit 142 for enabling left and right rotation, and a weight sensor 143 for measuring a weight according to a user's postur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The connection frame 141 provided in the ankle support 14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backrest 120 and the ankle support 140, but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또한, 발목 지지대(140)는 구동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좌우 균형을 기반으로 정확한 자세 교정이 가능한 방향으로 발목 지지대(14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척추 디스크 개선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면서 생기는 척추측만증 또한 개선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게 된다.Also, in the ankle support 140 , the ankle support 14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accurate posture correc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measured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user's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170 . This can function not only to improve the spinal disc, but also to improve the scoliosis caused by modern people sitting for a long time.

단계 S120에서는, 단계 S110의 기구 사용이 준비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170)의 구동 제어 하에, 회전각도 구동부(130)의 작동으로 사용자가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등받이(120)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한다. 여기서, 회전각도 구동부(130)는 운동기구 본체(110)와 축 결합되는 등받이(120) 사이에 구비되며, 등받이(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 제어부(170)의 회전 구동 제어 하에, 등받이(1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step S120, in a state in which the use of the instrument of step S110 is ready,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e control unit 170, the backrest 120 is pre-set such that the user is in a state such as standing upside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Rotate at a set angle. Here,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exercise device body 110 and the shaft-coupled backrest 120 ,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is rotationally driven. Under the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may be driven to be adjusted.

단계 S130에서는, 단계 S120을 통해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170)의 구동 제어 하에, 등받이(120)에 구비되는 진동 센서(160)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과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한다. 여기서, 진동 센서(160)는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등받이(120)에 설치되는 센서의 구성으로,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센서(160)는 도 3 및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허리 진동 센서(161)와,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16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센서(160)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줌으로써, 사용자의 혈액 순환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In step S130, in the state of being rotated at a rotation angle preset through step S120,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e control unit 170, the vibration sensor 160 provided in the backrest 120 is located on the user's waist and both legs. transmit vibration. Here, the vibration sensor 160 is a configuration of a sensor installed on the back 120 so as to give a vibration to the muscles when the user uses the instrument, and when using the instrument lying on the back 120, both legs and waist of the user. It can be arranged so as to give vibration to the. Here, the vibration sensor 160 is, as shown in FIGS. 3 and 6, respectively, a waist vibration sensor 161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waist of the user who uses the instrument while lying on the back 120, and the back (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leg vibration sensors 162 for transmitting vibrations to both leg portions of the user who uses the device while lying down. The vibration sensor 160 can assist the user's blood circulation by giving vibrations to both legs and waist of the user who uses the exercise equipment.

단계 S140에서는, 구동 제어부(170)가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한다. 이러한 구동 제어부(170)는 회전각도 구동부(130)의 회전 구동과, 진동 센서(160)의 구동을 제어하며,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제어부의 구성으로, 심박 측정 센서(15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등받이(120)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발목 지지대(140)의 중량 센서(143)를 통한 피드백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140 ,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heartbeat when using the device through the user's heartbeat data measured by the heartbeat sensor 150 .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rotational angle driving unit 130 and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sensor 160 , and uses the heart rate data of the user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measuring sensor 150 to measure the heart rate when using the instrument.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control unit,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using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through the heart rate sensor 150 is controlled by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143 of the ankle support 140 .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driven.

또한, 구동 제어부(170)는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전 각도의 조절이 중량 센서(143)를 통한 피드백으로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목 지지대(140)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무게를 다양한 방향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riving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can be freely adjusted by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143 using the measured heartbeat data of the user.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ankle support 140 to also be rotatabl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user's weight in various directions.

또한, 구동 제어부(170)는 손잡이(111)에 설치되는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심박과, 발목 지지대(140)에서 측정된 중량, 및 신체 좌우 밸런스를 내부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App)을 통해서 외부 기기를 사용하는 의료진이나 사용자에게 운동 정보를 전달하여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is an application ( App), exercis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medical staff or users using external devices to enable feedbac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및 그 이용 방법은,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운동기구 본체의 상단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등받이와, 등받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구동부와,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발목 지지대와,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 측정 센서와,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등받이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와, 회전각도 구동부의 회전 구동과, 진동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며,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력을 사용한 안전하고 편리하게 근력, 이완 및 마무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등받이에서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의 근육에 진동을 전달하여 혈액 순환이 보조될 수 있도록 하며, 발목 지지대에서의 중량 측정 및 회전을 통한 정확한 자세 교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손잡이에 구비되는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등받이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중량 센서를 통한 피드백으로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 견인 효과를 통한 요통의 개선은 물론, 사용자의 현재 자세를 인식하여 균형 있게 하중 배분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척추 디스크 개선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면서 생긴 척추측만증 또한 개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의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한 심박과, 발목 지지대에서 측정되는 중량, 및 신체 좌우 밸런스를 어플을 통하여 의료진이나 사용자의 외부 기기에 운동 정보를 전달하여 피드백이 가능하고, 심박 데이터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aft-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xercise device body provided with a pair of handles A backrest that is rotated and a rotation angle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an ankle support for fixedly supporting the user's ankle and measuring the weight, a heart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heart rate, and a user equipment It controls the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the backrest to give vibration to the muscles when using the device,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rotational angl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sensor. By including the drive control unit that monitors the heart rate, it enables safe and convenient strength, relaxation, and finishing exercises using gravity, as well as blood circulation by transmitting vibrations from the backrest to the muscles of both legs and lower back. This can be assisted, and accurate posture correction is possible through weight measurement and rotation at the ankle support, and in particular,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using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provided in the handle. By allowing the control of the body to be freely controlled with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it is possible to not only improve low back pain through spinal traction effect, but also to recognize the user's current posture and distribute the load in a balanced way, thereby improving the spinal disc as well as modern people. Scoliosis caused by people sitting for long periods of time can also be improved. In addition, the heart rate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on the handle, the weight measured at the ankle supporter, and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body can be fed back by transmitting exercise information to the medical staff or the user's external device through the app, and monitoring of the heart rate data is possible. make it possible to make it possibl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운동 기구
110: 운동기구 본체
111: 한 쌍의 손잡이
120: 등받이
130: 회전각도 구동부
140: 발목 지지대
141: 연결 프레임
142: 좌우 회전 구동부
143: 중량 센서
150: 심박 측정 센서
160: 진동 센서
161: 허리 진동 센서
162: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
170: 구동 제어부
S110: 사용자가 발목 지지대에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등받이에 등을 기대어 지지하는 과정으로 기구 사용이 준비되는 단계
S120: 기구 사용이 준비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의 구동 제어 하에, 회전각도 구동부의 작동으로 사용자가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등받이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단계
S130: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의 구동 제어 하에, 등받이에 구비되는 진동 센서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과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
S140: 구동 제어부가 심박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100: auxiliary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exercise equipment body
111: a pair of handles
120: backrest
130: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40: ankle support
141: connecting frame
142: left and right rotation driving unit
143: weight sensor
150: heart rate sensor
160: vibration sensor
161: waist vibration sensor
162: a pair of leg vibration sensors
170: drive control unit
S110: A step in which the user is prepared to use the device in the process of fixing and supporting the ankle on the ankle support, and leaning the back on the backrest to support it
S120: A step of rotating the backrest at a preset angle so that the user stands upside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instrument is ready to be used
S130: In the state rotated at a preset rotation angle,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the vibration sensor provided in the backrest transmits vibration to the user's waist and both legs
S140: step of the driving control unit monitoring the heart rate when using the device through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Claims (16)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100)로서,
한 쌍의 손잡이(111)가 형성되고,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기 위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 운동기구 본체(110);
상기 운동기구 본체(110)의 상단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기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120);
상기 운동기구 본체(110)와 축 결합되는 등받이(1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구동부(130);
상기 등받이(120)의 하부에 연결 프레임(141)을 매개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중량을 측정하는 발목 지지대(140);
사용자가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의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심박 측정 센서(150);
사용자가 기구를 사용할 때 근육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120)에 설치되는 진동 센서(160); 및
상기 회전각도 구동부(130)의 회전 구동과, 진동 센서(160)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구동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As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100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A pair of handles 111 is formed, 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made of a frame structure for being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A backrest 120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so as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and rotated from the user's waist so as to be in a state such as standing upside down;
It is provided between the exercise device body 110 and the shaft-coupled backrest 120,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An ankle support 140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120 via a connection frame 141 and fixedly supports the user's ankle and measures the weight;
a heart rate sensor 150 for measuring the user's heart rate when the user uses the device lying down;
a vibration sensor 160 installed on the backrest 120 so that the user can vibrate the muscles when using the instrument; and
A driving controller ( 17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구동부(130)는,
상기 구동 제어부(170)의 회전 구동 제어 하에, 상기 등받이(1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iven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under the rotation driving control of the drive control unit 1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141)은,
상기 등받이(120)와 발목 지지대(140)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141,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between the backrest (120) and the ankle supporter (14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지지대(140)는,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 회전 구동부(142); 및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3, The ankle support 140,
Left and right rotation driving unit 142 to enable left and right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and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eight sensor 143 for measur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in a state where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측정 센서(150)는,
상기 운동기구 본체(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111) 중 어느 하나에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heart rate sensor 150,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any one of a pair of handles (111) formed on the exercise equipment body (1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160)는,
상기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5, The vibration sensor 160,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give vibration to both legs and waist of the user when using the device while lying on the back (1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160)는,
상기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허리 진동 센서(161); 및
상기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16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6, The vibration sensor 160,
a waist vibration sensor 161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waist of a user who uses the instrument while lying on the back 120; and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ir of leg vibration sensors 162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both leg parts of a user who is lying on the back 120 and uses the appliance Assistive exercise equipment for circul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170)는,
상기 심박 측정 센서(15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120)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상기 발목 지지대(140)의 중량 센서(143)를 통한 피드백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Drive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can be adjusted by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143 of the ankle support 140 using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through the heart rate sensor 150 .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100)의 이용 방법으로서,
(1) 사용자가 발목 지지대(140)에 발목을 고정 지지하고, 등받이(120)에 등을 기대어 지지하는 과정으로 기구 사용이 준비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기구 사용이 준비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170)의 구동 제어 하에, 회전각도 구동부(130)의 작동으로 사용자가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상기 등받이(120)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를 통해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170)의 구동 제어 하에, 등받이(120)에 구비되는 진동 센서(160)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과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 및
(4) 구동 제어부(170)가 심박 측정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통한 기구 사용 시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
As a method of using the auxiliary exercise device 100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1) a step in which the user is prepared to use the device in the process of fixing and supporting the ankle on the ankle support 140 and leaning the back on the backrest 120 for support;
(2) In a state in which the instrument of step (1) is ready for use,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makes the backrest 120 so that the user is in a state like standing upside down. ) is rotated at a preset angle;
(3) In the state of being rotated at a rotation angle preset through step (2), under the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the vibration sensor 160 provided in the backrest 120 is installed on the user's waist and both legs.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part; and
(4)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monitoring the heart rate when using the device through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150 How to use an assistive exercise device for circul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구동부(130)는,
상기 구동 제어부(170)의 회전 구동 제어 하에, 상기 등받이(1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otation angle driving unit 130,
A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iven to adjus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backrest 120 under the rotational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170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141)은,
상기 등받이(120)와 발목 지지대(140) 사이를 연결하되,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141,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between the backrest 120 and the ankle support 14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How to u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지지대(140)는,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 회전 구동부(142); 및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ankle support 140,
Left and right rotation driving unit 142 to enable left and right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and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eight sensor 143 for measur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in a state where the user's ankle is fixedly supported How to use.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측정 센서(150)는,
상기 운동기구 본체(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111) 중 어느 하나에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wherein the heart rate sensor 150,
A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any one of a pair of handles (111) formed on the exercise device body (11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160)는,
상기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양쪽 다리와 허리 부분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vibration sensor 160,
A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give vibration to both legs and waist of the user when using the device while lying on the back 120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160)는,
상기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허리 진동 센서(161); 및
상기 등받이(120)에 누워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 진동 센서(16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vibration sensor 160,
a waist vibration sensor 161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waist of a user who uses the instrument while lying on the back 120; and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ir of leg vibration sensors 162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both leg parts of a user who is lying on the back 120 and uses the appliance How to use an assistive exercise device for circul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170)는,
상기 심박 측정 센서(15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120)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상기 발목 지지대(140)의 중량 센서(143)를 통한 피드백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자세교정과 근력 및 혈액순환을 위한 보조 운동 기구의 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riving control unit 170,
Drive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120 can be adjusted by feedback through the weight sensor 143 of the ankle support 140 using the user's heart rate data measured through the heart rate sensor 150 . A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gravity and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KR1020200065177A 2020-05-29 2020-05-29 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101476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177A KR20210147642A (en) 2020-05-29 2020-05-29 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177A KR20210147642A (en) 2020-05-29 2020-05-29 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642A true KR20210147642A (en) 2021-12-07

Family

ID=7886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177A KR20210147642A (en) 2020-05-29 2020-05-29 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6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7501B (en) Ankle joint training adapter and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JP5042845B2 (en) Training equipment
US9827159B2 (en) Musculoskeletal vibration system for jointed limbs
EP3503861B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upright body stretching apparatus
US20130274640A1 (en) Exercise and gait-training apparatus
US9730854B2 (en)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treatment angle under tension to accommodate variations in spinal morphology
KR101287134B1 (en) Chiropractic and parasp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KR101875038B1 (en) Three-dimensional spine correction exercise device
KR20140068516A (en) Walk Supporting Device for Motion Balancing training Having Motion Adjusting Unit
KR101739686B1 (en)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KR20140068514A (en) Walk Supporting Device For Motion Balancing training
KR100955202B1 (en) Shoulder Correction Device And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337297A1 (en) Gymnastic-curative apparatus
US200902758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joint rehabilitation
KR20210147642A (en) 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7870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body condition of a user
KR20210115618A (en) A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irculation using gravity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1782836B1 (en) Exercise apparatus for reinforcing pysical strength of arm
TWM311442U (en) Ankle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1397393B1 (en) Spinal adjustment System Using Chain Lift
KR102006783B1 (en) Self-traction medical device
KR101366533B1 (en) Lower body of acupressure and spinal braces lock
KR20180094334A (en) Health improvement apparatus for spine
CN112752596A (en) Manual reverse hanging movemen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urnover movement
KR101165679B1 (e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