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686B1 -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 Google Patents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9686B1 KR101739686B1 KR1020160024306A KR20160024306A KR101739686B1 KR 101739686 B1 KR101739686 B1 KR 101739686B1 KR 1020160024306 A KR1020160024306 A KR 1020160024306A KR 20160024306 A KR20160024306 A KR 20160024306A KR 101739686 B1 KR101739686 B1 KR 101739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user
- base
- pads
- pressure measur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head; to the nec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61H2001/0248—Hip by separating the legs laterall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Visualisation of specific exercise parameters
- A63B2071/0652—Visualisation or indication relating to symmetrical exercise, e.g. right-left performance related to spinal colum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적인 교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 아래에 힌지 결합되는 좌, 우측 등받침 아암, 상기 좌, 우측 등받침 아암의 끝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좌, 우측 등에 접촉하는 좌, 우측 등받침패드, 상기 좌, 우측 등받침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등받침패드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 상기 상판에 힌지 결합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끝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패드, 상기 머리받침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침패드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 상기 베이스 상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시트, 상기 시트 상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좌, 우측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 상기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로 전해지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 및 상기 기대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와, 압력측정센서 그리고 상기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의 압력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 correction that can achieve an active correction effec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base, comprising: a base; a bas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se; an upper plate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 left and right back arm hinged below the upper plate; Left and right back pressure pad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back pad and measuring pressur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back pads, A headrest pad attached to an end of the arm for supporting a head of a user;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transmitted to the headrest pad; A left and right hip support pa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buttocks of the user, A left and right pressure measurement sensor installed on the hip support pad and measuring pressure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hip support pads, respectively, and left and right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a pressure measurement sensor and left and righ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ssure value of the pressure measurement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를 기준으로 좌, 우 등부위의 압력 차이와 좌, 우 엉덩이 압력차이 그리고 머리 압력 차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환자 스스로 측만 변형의 형태를 인지한 상태에서 필요한 핵심근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여 능동적인 교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only cor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calibrating a spinal column by correcting the pressure difference on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the difference in pressur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uttoc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 vertebrae that can stimulate the necessary core muscles in a state of recognizing the form of side-to-side deformation, thereby realizing an active correction effect.
척추는 두개골부터 골반까지를 연결하는 골성구조물로서 신체의 중심축을 이루고 옆에서 보면 부위별로 전만과 후만이 교차하는 부드러운 곡선형태로 전체적인 균형을 이루고 있다.([1],Fig.1) 이러한 구조의 척추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며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체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하지만 사람은 두 발로 서서 생활하기 때문에 척추에 여러가지 구조적 기능적 문제점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들어 자세이상과 척추변형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고 있으며 특히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 환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The vertebra is an osseous structure that connects the skull to the pelvis. It forms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has a gentle curved shape that crosses the vertebrae and posterior regions as a whole. ([1], Fig.1) The spine relieves the impact from the outside and maintains the balance of the body. Therefore, the structural stability should be maintained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human body. However, since the person lives on two fee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various structural functional problems Is high.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atients seeking hospitals due to postural abnormality and vertebral deformity has been increasing. Especially, the number of patients in growing age is increasing rapidly [2].
Fig.1 정상척추와 척추측만증의 척추
Fig.1 Normal spine and vertebrae spine
이러한 척추 질환의 요인에는 선천적인 척추장애나 스포츠 및 교통사고의 부상에 의한 경우도 있으나 척추측만증의 85%가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척추측만증(idiopathic scoliosis)이며, 10세에서 골 성장이 멈추는 시기에 발병하는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이 전체 척추측만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The causes of spinal diseases include congenital spinal disorders and injuries of sports and traffic accidents. However, 85% of scoliosis is idiopathic scoliosis with unknown cause and at the age of 10 years, Of children with idiopathic scoliosi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otal scoliosis.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은 측만증이 발생하면 급격하게 만곡이 진행되기 때문에 조기발견 후 증상에 따라 치료를 해야 한다. 측만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보조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수술에 의한 교정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측만증의 진행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조기를 이용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척추변형 정도가 심각하여 흉곽 및 운동 시 호흡곤란까지 일으킬 경우에는 금속 교정물로 척추의 축을 맞춰주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Students in the growing stage should be treated according to symptoms after early detection because the curvature progresses rapidly when scoliosis occurs. For the treatment of scoliosis, orthodontic methods and surgical correction methods are widely used. If the degree of progression of scoliosis is not severe, orthodontic method is applied. If the degree of vertebral deformation is serious and causes chest and dyspnea during exercise, surgical treatment is needed to adjust the spinal axis with metal correction.
또한, 척추측만증의 예방과 교정을 위한 방법으로 교정운동 프로그램이 사용되기도 한다. 척추측만증 환자에게 척추주위 근육의 근력과 균형은 매우 중요하다. 척추주의 근육의 수축력과 장력은 정적자세와 움직임 시에 척추의 운동성(mobility)과 안정성(stability)을 조화롭게 유지시켜준다 .또한 체간 근육의 활동은 골반, 하지 허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필수요소이다. 척추의 변형은 이러한 척추주위 근육의 특성을 변화시킨다. 이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치료적 중재로 척추주위 근육의 근력향상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척추의 안정성과 자세유지를 위해 복부와 골반주위의 운동조절 능력을 정상화하는 운동 프로그램이 요통환자나 운동선수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Correctional exercise programs are also used as a method for prevention and correction of scoliosis. Muscle strength and balance of spinal muscles are very important for scoliosis patients. The contraction force and tension of the spinal muscles keeps the mobility and stability of the spine in harmony with the static posture and movement, and the activity of the trunk muscle is an essential element to maintain stability of the pelvis and lower back. Deformation of the spine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uscles around the vertebrae.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muscle strength of the spinal muscles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scoliosis. Therefore, to maintain the stability and posture of the vertebrae and pelvis around the exercise control program to normalize the exercise program is used in a variety of areas such as back pain patients and athletes.
이와 유사하게 척추 주위 근육을 자극해 척추측만증을 치료하는 요법으로 문태호는 CMST라는 교정운동요법을 제안하였다. CMST를 정의하면 Core Muscle Stimulation Treatment 의 약자로서 척추측만의 형태를 정하고 그에 따른 횡경막 호흡과 맞춤운동을 통하여 핵심근을 촉진시켜 학습이론에 입각하여 반복을 통한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요법이라 할 수 있다. 핵심근(Core Muscle) 자극치료 (Stimulation Treatment)란 뜻으로 요즘의 요통을 치료하거나 체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필라테스, 요가, 코어 운동 등이 있다. 하지만 대상자가 능동적으로 코어에 힘을 주기를 바라는데 대상자 스스로가 알기에 많은 시간과 필요하지 않은 동작들이 오히려 방해가 된다. CMST에서 핵심근은 행위시에 근육 동원이 되어지지 않는 근육을 말하며 척추의 측만 변형을 형태별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하고, 그 후 각각의 측만변형별로 핵심근을 먼저 근육동원하여 수축을 통한 자극을 유도 하는 운동방법으로 반복을 통하여 측만운동대상자가 핵심근육의 동원능력을 학습하여 능동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지금까지 CMST교정운동은 전문 물리치료사의 도움 아래 환자의 교정운동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환자 스스로가 치료사의 도움 없이 CMST 교정운동을 하기에 핵심근 동원 자극의 정도를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로 교정운동이 힘들다.
Likewise, Moon Tae Ho suggested CMST as a treatment for scoliosis by stimulating the muscles around the vertebrae. The definition of CMST is an abbreviation for Core Muscle Stimulation Treatment. It is a form of exercise therapy that enables the correction of repetition through the use of learning theory by promoting the core muscles through the shape of the vertebrae, . Core Muscle Stimulation treatment means pilates, yoga, and core exercises to cure low back pain or correct body shape. However, the subject hopes to actively apply force to the core, and since the subject himself knows, much time and unnecessary movements are rather disturbing. In CMST, the core muscle refers to the muscle that is not mobilized at the time of actuation, and the lateral deformation of the spine is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of movements. After that, the core muscles are mobilized first by each side deformation to induce stimulation through contraction This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subject to exercise actively by learning the ability to mobilize the core muscles through repetition. Until now, the CMST correction exercise has been performed with the help of a professional physical therapist, and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correct the CMST correction because he can not recognize the degree of the core muscle mobilization stimulus without the help of the therapist himself.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CMST 교정방법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환자의 신체 불균형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환자스스로가 측만변형의 형태를 인지하고 필요한 핵심근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만들고자 한다. 이는 운동대상자의 주도아래 행해지는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자가운동으로 보조기나 수술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는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CMST calibration method to accurately measure the unbalanced state of a patient, thereby recognizing the form of side- I want to make a device that can give. This is an active and efficient self-motion under the initiative of the exercise subject, and provides an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 correction that can more effectively correct scoliosis without the aid of a prosthesis or surger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흉부 측만각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흉곽의 좌, 우 척추를 기준으로 호흡교정운동을 통한 좌, 우 등 부위의 압력 측정값과 골반교정운동을 통한 좌, 우 엉덩이 압력값 그리고 고관절 외회전 운동의 보조를 위한 좌, 우 다리 벌림각의 측정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환자 스스로 측만 변형의 형태를 인지한 상태에서 필요한 핵심근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여 능동적인 교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thoracic angle by measuring the pressure values of the left and right parts through the breathing correction motion based on the left and right vertebrae of the thorax and the left and right buttocks pressure Value and the measurement of the left and right leg opening angle for the assistance of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 in real time and recognize the shape of the side deformity by the patient himsel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 correction.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 아래에 힌지 결합되는 좌, 우측 등받침 아암, 상기 좌, 우측 등받침 아암의 끝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좌, 우측 등에 접촉하는 좌, 우측 등받침패드, 상기 좌, 우측 등받침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등받침패드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 상기 상판에 힌지 결합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끝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패드, 상기 머리받침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침패드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 상기 베이스 상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시트, 상기 시트 상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좌, 우측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 상기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로 전해지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 및 상기 기대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와, 압력측정센서 그리고 상기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의 압력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 correction, comprising: a base; a bas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se; a top plate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Right and left backrest pads provided at the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arms and conta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and the left and right backrest pads, A headrest pad attached to an end of the arm and supporting a head of the user, a headrest pad provided on the headrest pad,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to be delivered, a seat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Right and left hip support pad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hip support pads and measuring pressur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hip support pads; A left and right pressure measurement sensor, a pressure measurement senso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pressure values of the left and right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상기 시트 아래에는 모터의 동력으로 틸팅 회전하는 한 쌍의 틸팅아암, 상기 틸팅아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아암의 틸팅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를 외측으로 벌려주는 좌, 우측 다리받침패드가 더 포함되어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A pair of tilting arms that are tilted and rotated by the motor's power under the seat, a pair of tilting arms that are coupled to the tip of the tilting arm and open to the outside of the user's tilting arm in a tilting motion of the tilting arm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user's thigh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left and right leg supporting pads.
본 발명은 척추를 기준으로 좌, 우 등 부위의 압력 차이, 머리 압력차이 그리고 좌, 우 엉덩이 압력값 차이를 디스플레이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전문 치료사의 도움 없이 환자 스스로 측만 변형의 형태를 인지한 상태에서 흉부호흡을 행하거나 혹은 몸을 움직여 차이나는 압력 값이 균일해지도록 노력하고 그 압력 값이 같아 등척성운동을 통한 유지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이것이 필요한 핵심근에 자극을 줌으로 대상자의 능동적인 반복학습 교정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confirm the pressure difference, the head pressure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uttocks pressure values on the display in real time on the basis of the vertebrae, In the state of breathing the chest or moving the body to try to equaliz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is equal to the pressure value is to maintain the ability to maintain isometric exercise. By stimulating the core muscles, which are necessary for this, the active repetitive learning correction effect of the subject can be realized.
즉 본 발명은 눈을 통하여 운동의 정도를 확인 후 머리에 학습하는 외적피드백 훈련을 통한 척추 교정운동 기구로서, 이러한 정렬 상태는 신체의 비정상적 균형의 쓰여 지지 않는 근육의 작용이 강조 되어지며, 특히 척추의 정렬 중 흉부의 호흡을 통한 균형을 강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inal correction exercise device through external feedback training that learns the degree of motion through the eyes and then learns the head. Such an alignment state emphasizes the action of the unexplained muscle of the abnormal balance of the body, The chest can be emphasized through the respi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n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only calib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plane of Fig. 1;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unit of Fig. 1; Fig.
본 발명에서는 CMST 교정방법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환자의 신체 불균형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환자스스로가 측만변형의 형태를 인지하고 필요한 핵심근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만들고자 한다. 이는 운동대상자의 주도아래 행해지는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자가운동으로 보조기나 수술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CMST calibration method is applied to accurately measure the body unbalance state of the patient,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the patient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lateral deviation and stimulate the necessary core muscles. This is an active and effective self-motive exercise under the initiative of the athlete, and suggests a more effective way to correct scoliosis without surgery or surgery.
본 발명의 목표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는 운동장치를 개발하는 것이고, 이 운동장치의 핵심은 환자의 신체 불균형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환자 스스로가 측만변형의 형태를 인지하고 필요한 핵심근에 자극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측만변형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측정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The go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n exercise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scoliosis wherein the core of the exercise device is to accurately measure the physical imbalance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himself can recognize the shape of the side deformity, will be. For this purpose, a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side deformation is indispensable.
척추 측만증의 경우 측만의 각도에 따라 몸통이 회전되어 있고 어깨의 한쪽이 기울어져 있으며 골반을 기준으로 어깨가 일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요부의 만곡이 있는 경우보다 흉부나 경부만곡이 있는 경우 자세의 불균형이 더 심하다고 하였다. 특히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선 자세의 균형에 관한 연구에서 측만증 환자의 체중중심의 동요가 정상인보다 44% 더 많았으며, 측만증 환자의 평균적인 전후 체중중심의 위치가 정상인보다 1.2cm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었으며, 특발성 척추측만증인 청소년과 청상 청소년을 동작분석기로 측정한 경과 일반 청소년은 골반을 중심으로 어깨의 관상면의 돌출정도는 2±2°이고, 어깨의 횡단면은 5°이내의 차이를 보였으며, 기울어진 정도는 모두 3°이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즉, 척추측만 환자의 경우 체중중심의 위치나 골격의 돌출정도에 따라 측만변형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In the case of scoliosis, the body is rota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side, and one side of the shoulder is inclined. It is known that the shoulder is not placed on the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pelvis. If there is a chest or cervical curvature The posture imbalance was more severe. In particular, in a study on the balance of posture between the pati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and normal subjects, the weight shift of the scoliosis patients was 44%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subjects, and the average posterior and posterior weight centers of the scoliosis patients were 1.2 cm, and Idiopathic scoliosis was measured using a motion analyzer. In normal adolescents,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coronal plane of the shoulder around the pelvis was 2 ± 2 °, and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shoulder was within 5 ° And the degree of tilting was less than 3 °.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spinal column patient, the shape of the lateral deviation can be grasp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r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keleton.
최근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의 운동을 돕는 재활 및 운동 보조기구에 사용자의 신체 상태나 거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황에 따라 그 동작을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을 가진 것이 많다. 지능형 운동 보조기구에서 제어의 기준이 되는 것이 사용자의 생체 신호이며 생체 신호들 중 발바닥이 지면을 누르는 힘인 족저압은 측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측정시스템을 구현하기 쉽고 신호의 감지와 판별이 확실하여 자주 이용된다. In recent years, rehabilitation and athletic aids that help movements of the elderly who are uncomfortable have often had intelligent systems that control their movements in response to situations caused by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behavior. In the intelligent exercise aids, it is the user's bio-signal that is the reference of the control, and the foot pressure, which is the force of pressing the floor of the foot of the living body signals, is relatively simple to measure, do.
본 발명에서 개발하는 운동장치는 대상자의 등의 융기가 들어나도록 앞으로 기울인 자세에서 행하여지며 또한 이 자세는 등쪽 호흡교정을 유도하는데 크게 도움을 준다, 이를 위해 대상자의 체간이 정상위치에서 앞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도움 되는 팔 보조 걸이가 필요하며, 흉부호흡을 통한 흉곽의 확장을 유도하여(흡기시 근육의 등척성운동 되어짐) 폐활량을 키우며 흉곽의 균형을 볼 수 있는 좌, 우 등 쪽 압력과 측만환자의 앉은 자세로의 좌, 우 엉덩이에 부과되는 하중 측정시스템 및 위치검출 센서를 장착하여 환자가 운동장치에 앉은 자세에서 체중심의 변화를 측정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이를 사용자가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나타낼 것이다. 이 장치를 통하여 환자의 운동 시 균형 정도를 파악 하며 필요한 핵심근육을 자극하게 된다. 이는 외측피드백 훈련으로 운동되어진다. 또한 다리를 최대한 벌린 상태에서 고관절 외회전 근육의 활성화에 기여 하도록 고무 튜브를 오금위치에 두어 고관절 외회전 시 마찰을 최대한 줄여 고관절 내회전 변형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정운동 진행 중에 체중중심의 변화 및 신체 위치 변화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제작할 것이다. 즉, 흡기시 흉곽의 확장으로 인한 흉부 공간의 확장과 더불어 등의 융기의 균형의 측정치(등의 압력 센서) 그리고 앉은자세에서 운동시 체간균형을 볼 수 있는 엉덩이 양쪽균형 측정치 그리고 머리부위의 압력 측정치, 고관절 외전 정도 (다리 벌림 각)을 볼 수 있는 측정치를 기록 하게 된다. 이 수치는 전자식으로 수치의 변화를 대상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exercise field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n inclined posture so that the back of the subject can be elevated. This posture greatly helps to induce dorsal breathing correction. To this end, (The isometric movement of the muscles during inspiration),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ressure to see the ribcage balance and the sitting position of the side patients A load measuring system and a position detecting sensor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buttocks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can measure the change of the body weight in a sitting position on the exercise apparatus, . Through this device, the balance of the patient's exercise is grasped and the necessary muscles are stimulated. This is exercised by external feedback training. In addi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 with maximum leg openness, the rubber tube was placed in the cramped position so as to reduce the friction during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 so as to calibrate the in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 During the orthodontic exercise, we will make changes to the body center and change the body position. In other words, the balance of the chest cavity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hest cavity during inspiration, as well as the measurement of the balance of the backbone (pressure sensor, etc.), the balance measurement of the hip between the body during exercise in sitting position, , And the degree of hip abduction (leg opening angle). This value can be monitored electronically by the subject in real ti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which may be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descriptions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 1}{Example 1}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only calib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plane of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unit of FIG.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기대(12) 및 상기 기대(12) 상면에 지지되는 상판(14)으로 외곽 뼈대를 구성한다.1 to 5, the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only calib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베이스(10)와 기대(12) 그리고 상판(14)에는 등받침수단, 머리받침수단 그리고 엉덩이받침수단 및 다리벌림지지수단으로 구성한 능동형 교정수단이 설치된다.The
상기 등받침수단은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선단은 상판(14)에 힌지(21, 23) 결합되는 한 쌍의 좌, 우측 등받침아암(20, 22), 상기 좌, 우측 등받침아암(20, 22)의 끝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좌, 우측 등에 접촉하는 좌, 우측등받침패드(24, 26)로 구성한다.The backrest means includes a pair of left and
상기 좌, 우측등받침패드(24, 26)에는 좌, 우측압력측정센서(28, 30)가 내장된다. 상기 좌, 우측압력측정센서(28, 30)는 좌, 우측등받침패드(24, 26)로 전해지는 등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게 되는 데, 이때 좌, 우측압력측정센서(28, 30)에서 측정된 압력값은 제어부로 송출된 후,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상으로 표현되어 진다.Left and right side pressure sensors (28, 30) are incorporated in the left and right back pad (24, 26). The left and right
상기 좌, 우측압력측정센서(28, 30)는 좌, 우측 등받침패드(24, 26)로 전해지는 등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게 된다. 즉, 척추 측만증 환자는 측만의 각도에 따라 몸통이 회전되어 있고 어깨의 한쪽이 기울어져 있으며 골반을 기준으로 어깨가 일직선 상에 놓여 있지 않았다고 알려져있으며, 요부의 만곡이 있는 경우보다 흉부나 경부만곡이 있는 경우 자세의 불균형이 더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척추 측만증을 가진 사용자의 등에 좌, 우측 등받침패드(24, 26)가 접촉하면 사용자의 좌, 우측 등은 상기 좌, 우측 등받침패드(24, 26)에 접촉하는 압력이 달라지게 됨으로서 압력측정센서를 통한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되는 좌, 우측 압력값이 다르게 표시됨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의도적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등부위를 돌려가며 좌, 우측 등받침패드에 좌, 우측 등이 모두 접촉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몸을 바로잡으며 균일한 압력값이 표시되도록 노력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게 되면 필요한 핵심근을 자극할 수 있어 전문치료사의 도움없이 스스로 능동적인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등부위를 접촉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체적으로 앞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흉부호흡을 통한 흉곽의 확장을 유도하여(흡기시 근육의 등척성 운동되어짐) 자연스럽게 등부위가 좌, 우측등받침패드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The left and right
상기 상판(14)의 내부에는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좌, 우측 등받침아암의 선단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좌, 우측 등받침아암을 힌지를 기점으로 전, 후 틸팅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A cylinder is provided in the
상기 머리받침수단은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선단은 상판(14)에 힌지(41) 결합되는 아암(40), 상기 아암(40)의 끝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머리받침패드(42)로 구성한다.The head supporting means is a means for supporting a head of a user, and has an
상기 머리받침패드(42)에는 압력측정센서(44)가 내장된다. 상기 압력측정센서(44)는 머리받침패드(42)로 전해지는 사용자의 머리 압력을 측정하게 되는 데, 이때 압력측정센서(44)에서 측정된 압력값은 제어부로 송출된 후,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상으로 표현되어 지며, 만일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머리를 좀더 밀어 압력값을 설정된 수치까지 의도적으로 올려주도록 노력함으로서 능동적인 교정효과를 구현토록 한다.A
상기 엉덩이받침수단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베이스(10) 상면에 설치된 기둥(50), 상기 기둥(50) 상면에 지지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시트(52), 상기 시트(52)의 상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좌, 우측 엉덩이에 접촉하는 좌, 우측 엉덩이받침패드(54, 56)로 구성한다.The hips support means comprises a
상기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에는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58, 60)가 내장된다. 상기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58, 60)는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로 전해지는 사용자의 엉덩이 압력을 각각 측정하게 되는 데, 이때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58, 60)에서 측정된 압력값은 제어부로 송출된 후,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상으로 표현되어 진다.The left and right
상기 좌, 우측압력측정센서(58, 60)는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로 전해지는 엉덩이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게 된다. 척추 측만증을 가진 사용자는 몸이 틀어져 있는 관계로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에 접촉하면 사용자의 좌, 우측 엉덩이는 상기 좌, 우측 엉덩이받침패드(54, 56)에 접촉하는 압력이 달라지게 됨으로서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58, 60)를 통한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되는 좌, 우측 엉덩이 압력값이 다르게 표시됨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의도적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엉덩이에 힘을 가해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로 좌, 우측 엉덩이의 압력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의도적으로 몸을 바로 잡는 교정작업을 행하게 됨으로서 능동적인 교정작업을 행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상기 다리벌림 지지수단은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를 외측으로 벌려주는 수단이다. 상기 다리벌림 지지수단은 전술한 엉덩이 받침수단인 기둥(5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원인 모터(70), 상기 모터(70)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72), 상기 구동풀리(72)와 치합되는 피동풀리(74, 76), 상기 피동풀리(74, 76)에 축 결합되는 틸팅아암(78, 80) 및 상기 틸팅아암(78, 80)의 선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허벅지에 각각 접촉하는 좌, 우측다리받침패드(82, 84)로 구성한다.The leg opening support means is means for opening the legs of the user to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mean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user's thighs. The leg opening support means includes a housing fixed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상기한 다리벌림지지수단은 척추 측만성 환자의 틀어진 골반을 바로잡아 주는 데, 바람직하게는 모터(70)의 동력으로 틸팅아암(78, 80)이 회전하며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어 있는 좌, 우측다리받침패드(82, 84)를 외측으로 벌려 사용자의 외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매번 벌림각 (고관절 외전각)이 늘어 날 수 록 외회전근육의 개선 및 골반의 틀림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틸팅아암(78,80)의 끝에는 " L" 형상의 고정대(81,83)를 부착하고 상부에 전술한 좌, 우측다리받침패드(82, 84)를 장착하며, 하부에는 쿠션재(85,87)을 장착한다. The left and right
상기 쿠션재(85,87)는 다리가 쉽게 벌어지지 않는 척추 측만성 환자는 고관절 외전이 잘 되지 않으며 엉덩이 균형 운동시 고관절 외회전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대퇴부와의 마찰을 줄여 주는 역할을 한다.The
한편, 상기 상판(14)에는 카메라(98)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98)는 사용자의 후방 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교정중에 있는 사용자의 등 모양이나 전체적인 자세 등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90)로 전송토록 함으로서 사용자는 운동을 행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자세를 눈으로 확인하며 스스로 자세를 정확히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 only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먼저, 사용자는 몸이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교정치료를 하게 되는 데, 먼저 사용자는 양쪽 어깨를 등받침수단의 좌, 우측 등받침아암(20, 22)에 걸러준 다음, 상기 좌, 우측 등받침아암(20, 22)의 좌, 우측 등받침패드(24, 26)에 사용자의 좌, 우측 등이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좌, 우측 등받침패드(24, 26)에 설치되어 있는 좌, 우측 압력센서(28, 30)는 사용자의 좌, 우측 등과의 접촉에 따른 압력값을 측정하게 되는 데, 사용자가 척추 측만증으로 인해 몸이 한쪽으로 틀려져 있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되는 좌, 우측 압력값이 다르게 표시됨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의도적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등부위를 돌려가거나 특히, 흉부호흡을 통한 흉곽의 확장을 유도하여(흡기시 근육의 등척성 운동되어짐) 자연스럽게 등부위가 좌, 우측등받침패드(24, 26)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몸을 바로 잡은 상태을 유지토록 함으로서 교정에 필요한 핵심근을 자극할 수 있어 전문치료사의 도움없이 스스로 능동적인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irst, the user performs orthodontic treatment with his / her body leaning forward. First, after the user has squeezed both shoulders to the left and
다음, 몸이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사용자 머리는 머리받침수단의 머리받침패드(42)에 접촉하게 되는 데, 머리는 턱을 당겨 호흡시 척추 전체의 코어근육 특히 목의 경장근 및 다열근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정렬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패드(42)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머리 압력을 압력측정센서(44)가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상으로 표현토록 한다. 만일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스스로 머리를 좀더 밀어 압력값을 설정된 수치까지 의도적으로 올려 주어 체간 신전을 유도한다.Next, the user's head, which is tilted forwar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그리고 사용자는 시트의 엉덩이 받침수단인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에 앉게 되면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58, 60)는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로 전해지는 사용자의 엉덩이 압력을 각각 측정한 후,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상으로 표현토록 한다. 이때 척추 측만증을 가진 사용자의 좌, 우측 엉덩이는 골반 틀어짐 및 기울어짐으로 인해 상기 좌, 우측 엉덩이받침패드(54, 56)에 접촉하는 압력이 달라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되는 좌, 우측 엉덩이 압력값이 다르게 표시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의도적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등부위를 돌려가며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에 좌, 우측 엉덩이의 압력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몸을 바로 잡아가며 교정 치료하게 된다.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left and right
마지막으로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좌, 우측 다리받침패드(82, 84)를 접촉시킨 다음, 모터(70)로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좌, 우측 다리받침패드(82, 84)는 틸팅아암(78, 80)의 틸팅 회전 동작에 따라 허벅지를 외측으로 벌려 고관절 외전의 정도 및 외회전운동을 유도하기위한 고정의 틀로 이용되어 사용자의 고관절 외회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the left and righ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자신의 신체정렬을 전, 후 정렬 및 좌, 우 정렬되어지는 신체의 균형 값(신체의 정렬 상태)을 확인하며 정지되어진 정상적 몸의 셋팅을 통하여 운동(등척성운동)이 이루어 본인의 신체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즉 눈을 통하여 운동의 정도를 확인 후 머리에 학습하는 외적피드백 훈련을 통한 척추 교정운동 기구 이다. 이런 정렬 상태는 신체의 비정상적 균형의 쓰여지지 않는 근육의 작용이 강조 되어지며 특히 척추의 정렬 중 흉부의 호흡을 통한 균형을 강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척추측만증 환자에 있어 용이하다. 약해진 고관절 외회전 근육의 균형에 의해 골반의 좌 우 틀어짐이 교정 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As described above, the active playground for calibrating the spinal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heck his / her body alignment before and after the display and the balance value of the body (left and right alignment) Through the setting of the body, movement (isometric movement) is performed to check the alignment of the body of the person. In other words, after confirming the degree of movement through the eyes and learning to the head is an external feedback training exercise device is a chiropractor. This sort of alignment emphasizes the action of unstructured muscles in the abnormal balance of the body, and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patients with scoliosis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emphasizing balance through thoracic breathing during alignment of the spine. The left hip flexion of the pelvis was corrected by the balance of the weakened hip flexor muscles.
10: 베이스 12: 기대
14: 상판 20, 22: 좌, 우측 등받침 아암
24, 26: 좌, 우측 등받침패드 28, 30: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
40: 아암 42: 머리받침패드
44: 압력측정센서 50: 기둥
52: 시트 54, 56: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
58, 60: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 70: 모터
78, 80: 틸팅아암 82, 84: 좌, 우측 다리받침패드 10: base 12: expectation
14:
24, 26: Left and
40: arm 42: headrest pad
44: Pressure sensor 50: Column
52:
58, 60: Left and right pressure sensors 70: Motor
78, 80: tilting
Claims (2)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대(12);
상기 기대(12)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판(14);
상기 상판(14) 아래에 선단이 힌지 결합되는 좌, 우측 등받침 아암(20, 22);
상기 좌, 우측 등받침 아암(20, 22)의 끝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좌, 우측 등에 접촉하는 좌, 우측 등받침패드(24, 26);
상기 좌, 우측 등받침패드(24, 26)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등받침패드(24, 26)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28, 30);
상기 상판(14)에 힌지 결합되는 아암(40);
상기 아암(40)의 끝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패드(42);
상기 머리받침패드(42)에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침패드(42)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44);
상기 베이스(10) 상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시트(52);
상기 시트(52) 상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좌, 우측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
상기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엉덩이 받침패드(54, 56)로 전해지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58, 60) 및 ;
상기 기대(12)에 설치되며 상기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28, 30)와, 압력측정센서(44) 그리고 상기 좌, 우측 압력측정센서(58, 60)의 압력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시트(52) 아래에는 모터(70)의 동력으로 틸팅 회전하는 한 쌍의 틸팅아암(78, 80);
상기 틸팅아암(78, 80)의 선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아암(78, 80)의 틸팅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를 외측으로 벌려주는 좌, 우측 다리받침패드(82, 84)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An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 correction,
A base 10;
A base 12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se 10;
An upper plate 14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
Left and right back arm arms (20, 22) hing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4);
Left and right backrest pads 24 and 26 provided at the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arms 20 and 22 and conta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Left and right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28, 30) installed at the left and right back pad (24, 26) for measuring pressur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back pad (24, 26);
An arm (40) hinged to the upper plate (14);
A head supporting pad 42 coupled to an end of the arm 40 to support a user's head;
A pressure measuring sensor (44) installed on the head supporting pad (42) and measuring a pressure transmitted to the head supporting pad (42);
A sheet 52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Left and right hip support pads (54, 56)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52)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hips of the user;
Right and left side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58 and 60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hip support pads 54 and 56 for measuring pressures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hip support pads 54 and 56;
A display unit (not shown) installed on the base 12 for displaying the pressure values of the left and right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28 and 30, the pressure measurement sensor 44 and the left and right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58 and 60 90);
Below the seat 52, there are provided a pair of tilting arms 78 and 80 which are tilted and rotated by the power of the motor 70;
The left and right leg supporting pads 78 and 80 which are coupled to the front ends of the tilting arms 78 and 80 and open the legs of the user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tilting arms 78 and 80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user's thigh 82, 84. The active exercise device for vertebrae on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4306A KR101739686B1 (en) | 2016-02-29 | 2016-02-29 |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4306A KR101739686B1 (en) | 2016-02-29 | 2016-02-29 |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9686B1 true KR101739686B1 (en) | 2017-05-25 |
Family
ID=5905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4306A Active KR101739686B1 (en) | 2016-02-29 | 2016-02-29 |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9686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14353A (en) * | 2020-07-01 | 2020-09-29 |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 Spinal surgery is with auxiliary treatment device |
KR20210098172A (en) | 2020-01-31 | 2021-08-10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Rehabilitation pilates mechanism of scoliosis |
KR20220017769A (en) | 2020-08-05 | 2022-02-14 | 주식회사 민테크 | Exercis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of scoliosis |
CN114191232A (en) * | 2021-12-31 | 2022-03-18 | 南京鼓楼医院 | Fully automatic hydraulic scoliosis special operating table |
KR102428846B1 (en) | 2021-12-16 | 2022-08-02 | 이상길 | 3D Scoliosis Correction Orthosi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327Y1 (en) * | 2012-06-28 | 2012-10-30 | 김성복 |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
-
2016
- 2016-02-29 KR KR1020160024306A patent/KR1017396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327Y1 (en) * | 2012-06-28 | 2012-10-30 | 김성복 |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8172A (en) | 2020-01-31 | 2021-08-10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Rehabilitation pilates mechanism of scoliosis |
CN111714353A (en) * | 2020-07-01 | 2020-09-29 |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 Spinal surgery is with auxiliary treatment device |
CN111714353B (en) * | 2020-07-01 | 2022-03-29 |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 Spinal surgery is with auxiliary treatment device |
KR20220017769A (en) | 2020-08-05 | 2022-02-14 | 주식회사 민테크 | Exercis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of scoliosis |
KR102428846B1 (en) | 2021-12-16 | 2022-08-02 | 이상길 | 3D Scoliosis Correction Orthosis |
CN114191232A (en) * | 2021-12-31 | 2022-03-18 | 南京鼓楼医院 | Fully automatic hydraulic scoliosis special operating tab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90045B2 (en) |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 |
KR101065892B1 (en) | Rehabilitation equipment | |
KR101739686B1 (en) | exercising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 |
KR101875038B1 (en) | Three-dimensional spine correction exercise device | |
KR102022567B1 (en) |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 |
Matjačić et al. | BalanceReTrainer: a new standing-bal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applied to a chronic hemiparetic subject with a neglect syndrome | |
US9949884B2 (en) | Device for spine corr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 |
KR101529298B1 (en) | Lumbar calibration exercise assistive devices | |
Norris | Functional load abdominal training: part 2 | |
RU2355372C2 (en) | Vertebral degeneration and deformity prevention and treatment effectiveness increase method and related aparatus | |
KR102022569B1 (en) |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 |
RU183784U1 (en) | SUPPORT SIMULATOR | |
RU2539164C1 (en) | Method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of patients suffering vertebral-spinal injury | |
Matheron et al. | 20.23 Vertical heterophoria and postural deficiencysyndrome | |
RU2512959C1 (en) | Mechanotherapeutic massage and gravitation spine traction apparatus | |
Kim et al. |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 |
RU2725088C1 (en) | Multi-vector therapeutic gymnastics | |
RU2659132C1 (en) | Modular orthopedic apparatus | |
RU2305534C1 (en) | Method of recovery of vertical position for handicapped persons suffering from affection in central nervous system | |
RU219998U1 (en) | Knee trainer | |
RU2812397C1 (en) | Method of eliminating asymmetry of pelvis, joints and muscles in relation to spine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 |
RU2802385C1 (en) | Method of correcting combined idiopathic scoliosis in girls aged 11-15 years | |
TWI843680B (en) | Ankle frame automatic buckle device | |
RU2464962C1 (en) | Method of physical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compression injuries of spine | |
KR102226338B1 (en) | Customized 3D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for Scoliosis Pati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