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525A -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525A
KR20210147525A KR1020200064905A KR20200064905A KR20210147525A KR 20210147525 A KR20210147525 A KR 20210147525A KR 1020200064905 A KR1020200064905 A KR 1020200064905A KR 20200064905 A KR20200064905 A KR 20200064905A KR 20210147525 A KR20210147525 A KR 2021014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m composition
sebum
sebum absorption
beeswax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284B1 (ko
Inventor
박찬호
박현정
김기선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28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피지 흡착 효과를 가지면서도 끈적임 없는 크림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Cream composition for sebum adsorption containing no polysaccharide thickener}
본 발명은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인체를 외부의 물리 화학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피부에는 피지선이라는 기름샘이 있으며, 여기에서 피지가 분비되어 모공을 통하여 피부 표면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피지는 피부 및 모발 표면에 지방막을 형성하여 외부의 균으로부터 우리 피부와 몸을 보호하는 항균작용을 비롯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거나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등 여러 기능을 하게 되는데, 피지선에서부터 피지 분비가 많아지거나 모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있게 되면 모공은 확대되게 된다.
피지량을 결정하는 인자들로는 식사, 호르몬, 연령, 성별, 피부의 부위별 차이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호르몬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 호르몬의 피지선에 대한 지배는 복잡하지만 피지선은 하수체, 부신피질 등에서 생성되는 성호르몬을 포함한 다양한 호르몬에 의해 지배된다.
피부는 제일 바깥층부터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나뉘며 표피의 가장 밑부분에는 기저층 (Keratinocyte)이 있다. 이곳에서 계속해서 세포분화가 일어나며 분화된 세포는 유극층, 과립층 그리고 죽은 세포인 각질층을 거쳐 탈락된다. 이러한 과정은 28일을 주기로 반복되는데, 이 주기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면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원인이 된다. 또한, 모공 주위에서는 이러한 각질이 모공의 입구를 막아 분비된 피지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모공 안에서 굳어 화이트 헤드와 블랙헤드를 거쳐 여드름으로 발전하기도 하며 화농성 균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모공 트러블은 모공주위의 진피층에 영향을 주어 모공이 넓어지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는 피부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교원섬유와 엘라스틴 탄력섬유가 노화되면서 변성, 점차 감소함에 따라 피부 탄력이 없어지고 쳐져서 모공이 늘어나 넓어 보이며, 또한 과다한 피지 분비로 인해 모공이 넓어진다.
또한, 피부 속 피지는 피부에 여드름을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성인 피부의 경우에는 피지의 과잉 분비로 인하여 피부 모공 확대 및 여드름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시중에 나와있는 기존의 피지 흡착 크림의 경우에는 피지 흡착 효과는 우수하지만, 다당류 점증제를 사용하여 피지 흡착 효과를 구현함에 있어서 끈적임을 유발하는 등 좋지 않은 사용감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우수한 피지 흡착 효과를 가지면서도 끈적임 없는 크림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끈적임을 유발하는 다당류 점증제의 사용 없이 여드름을 유발하는 피지의 흡착 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크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크림을 제조하여, 기존의 피지 흡착 크림과 우수한 피지 흡착 효과를 갖는 크림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혼합하여 점증제로 사용함으로써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을 구현하여, 다당류 점증제 사용 없이 우수한 피지 흡착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크림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지 흡착에 효과가 있는 크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의 중량비는 0.5 내지 4.5: 1 : 2.5 내지 3.5 , 0.5 내지 4.0 : 1: 2.5 내지 3.5, 0.5 내지 3.0 : 1 : 2.5 내지 3.5, 0.5 내지 2.5, 0.5 내지 2.5 : 1 : 2.5 내지 3.5, 1.0 내지 4.5: 1 : 2.5 내지 3.5 , 1.0 내지 4.0 : 1: 2.5 내지 3.5, 1.0 내지 3.0 : 1 : 2.5 내지 3.5, 1.0 내지 2.5 : 1 : 2.5 내지 3.5, 1.5 내지 4.5: 1 : 2.5 내지 3.5 , 1.5 내지 4.0 : 1: 2.5 내지 3.5, 1.5 내지 3.0 : 1 : 2.5 내지 3.5 인 것일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 내지 2.5 : 1 : 2.5 내지 3.5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즈왁스는 전체 크림 조성물을 기준으로 0.5 내지 4.5 중량%, 0.5 내지 4.0 중량%, 0.5 내지 3.5 중량%, 0.5 내지 3.0 중량%, 0.5 내지 2.5 중량%, 1.0 내지 4.5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5 중량%, 1.5 내지 4.5 중량%, 1.5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1.5 내지 3.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 내지 2.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테아릭애씨드는 전체 크림 조성물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 0.8 내지 1.5 중량%, 0.5 내지 1.3 중량%, 0.8 내지 1.3 중량%, 0.5 내지 1.1 중량%, 0.8 내지 1.1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테아릴 알코올은 전체 크림 조성물을 기준으로 2.5 내지 3.5 중량%, 2.5 내지 3.3 중량%, 2.5 내지 3.1 중량%, 2.7 내지 3.5 중량%, 2.7 내지 3.3 중량%, 2.7 내지 3.1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점증제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보머, 소듐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구아검, 스테아린산, 폴리비닐알코올, 콜라겐, 만난, 카라기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에스이, 폴리옥시에칠렌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수첨 피마자유, 폴리옥시에칠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칠렌 수첨 피마자유, 폴리옥시에칠렌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수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글루코시드, C14-C22 알킬알코올, C12-20 알킬 글루코시드, 데카글리세릴 데카올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옥타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테트라올레이트, 트리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트리글리세릴 디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릴 디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릴 모노/디 올레이트, 소야 레시틴, 아미졸 소프트, 헬리오겔, 데실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쟁탄검, 솔빌라이저, 이멀시화잉왁스, 비즈왁스, 몬타노브 왁스, 올리브유화 왁스, 올리브리퀴드, 술포석시네이트, 소프넛 추출물, 나노소이콜로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컨디셔닝제로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글리세릴로지네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에틸헥실에틸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동백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및 호호바씨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실리콘제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다이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사이클로메티콘, 세틸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디메치콘, 트라이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PEG-12 다이메티콘 및 셰틸피이지/피피지-10/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로 다이소듐 EDTA, 소듐파이테이트 및 테트라소듐 EDT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pH 조절제로 트로메타민, 석시닉애씨드, 아미노메칠프로판디올, 아세틱애씨드 및 디소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유연화제로 하이드로제네이트드폴리아이소부텐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방부제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카프릴릴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림 조성물은 옥수수전분, 알루미늄전분옥테닐석시네이트, 잔탄검, 젤라틴, 천연셀룰로오즈, 하이셀, 메칠셀룰로오즈, 카보머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당류 점증제가 포함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혼합물 제조단계;
제2혼합물 제조단계;
제1혼합물 및 제2혼합물을 혼합하여 혼합된 크림 조성물을 만드는 혼합 단계; 및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
상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혼합물 제조단계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다이소듐 EDTA, 트로메타민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혼합물 제조단계는 60 내지 80 ℃, 60 내지 75 ℃, 65 내지 80 ℃, 65 내지 75 ℃ 온도에서 교반 분산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 ℃로 교반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혼합물 제조단계는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 폴리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하이드로제네이트드폴링아이소부텐 또는 방부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혼합물 제조단계는 60 내지 80 ℃, 60 내지 75 ℃, 65 내지 80 ℃, 65 내지 75 ℃ 온도에서 가온 용해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 ℃로 가온 용해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합물의 냉각 단계는 40 내지 50℃, 40 내지 48 ℃, 40 내지 45 ℃, 43 내지 50 ℃, 43 내지 48 ℃ 온도 조건에서 냉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5 ℃로 냉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과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혼합하여 점증제로 사용함으로써 다당류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의 피지 흡착 크림과 동일한 피지 흡착 효과를 갖는 것과 동시에, 피부에 사용시 끈적임 없이 산뜻한 마무리 감을 동시에 갖는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지 감소량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지량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포함하는 실시예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용도 성분 함량(중량 %)
실시예1
1 유화안정화제 비즈왁스 2
2 계면활성제 스테아릭애씨드 1
3 유화제 세테아릴알코올 3
4 다당류계 점증제 옥수수전분 0
5 다당류계 점증제 알루미늄전분옥테닐석시네이트 0
6 점증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1
7 점증제 폴리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1.5
8 점증제 아크릴레이트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3
9 계면활성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2.5
10 컨디셔닝제 글리세린 8
11 컨디셔닝제 부틸렌글라이콜 1
12 컨디셔닝제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2
13 실리콘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2
14 금속이온봉쇄제 다이소듐 EDTA 0.02
15 pH 조절제 트로메타민 0.24
16 유연화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4
17 보존제 방부제 0.3
18 용제 정제수 71.14
총합 100
정제수에 다이소듐 EDTA, 트로메타민, 부틸렌글라이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글리세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를 천천히 넣으며 70 ℃에서 교반 분산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 폴리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아크릴레이트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70 ℃에서 가온 용해시킨 후 상기 제조한 혼합액에 투입하고 혼합하였다. 그 다음,
혼합하여 만들어진 용액을 45 ℃까지 냉각한 후, 방부제를 첨가한 후 기포를 제거하였다.
제조예 2. 비교예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6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용도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1 유화안정화제 비즈왁스 1 3 4 0 4 4
2 계면활성제 스테아릭애씨드 1 1 1 1 1 1
3 유화제 세테아릴알코올 3 3 3 3 3 3
4 다당류계 점증제 옥수수전분 0 0 0 0 1 0
5 다당류계 점증제 알루미늄전분옥테닐석시네이트 0 0 0 0 0 1
6 점증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1 1 1 1 1 1
7 점증제 폴리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1.5 1.5 1.5 1.5 1.5 1.5
8 점증제 아크릴레이트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3 0.3 0.3 0.3 0.3 0.3
9 계면활성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2.5 2.5 2.5 2.5 2.5 2.5
10 컨디셔닝제 글리세린 8 8 8 8 8 8
11 컨디셔닝제 부틸렌글라이콜 1 1 1 1 1 1
12 컨디셔닝제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2 2 2 2 2 2
13 실리콘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2 2 2 2 2 2
14 금속이온봉쇄제 다이소듐 EDTA 0.02 0.02 0.02 0.02 0.02 0.02
15 pH 조절제 트로메타민 0.24 0.24 0.24 0.24 0.24 0.24
16 유연화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4 4 4 4 4 4
17 보존제 방부제 0.3 0.3 0.3 0.3 0.3 0.3
18 용제 정제수 72.14 70.14 69.14 73.14 68.14 68.14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정제수에 다이소듐 EDTA, 트로메타민, 부틸렌글라이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글리세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를 천천히 넣으며 70 ℃에서 교반 분산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 폴리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아크릴레이트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70 ℃에서 가온 용해시킨 후 상기 제조한 혼합액에 투입하고 혼합하였다.
혼합하여 만들어진 용액을 45 ℃까지 냉각한 후, 방부제를 첨가한 후 기포를 제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즈왁스의 함량비를 다르게 하여 비교예 1 내지 4를 제조하였다. 그 이외의 성분은 모두 같은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은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의 함량은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다만, 비교예 5에는 다당류계 점증제인 옥수수 전분을, 비교예 6에는 다당류계 점증제인 알루미늄전분옥테닐석시네이트를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피지 감소량 평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 화장료 조성물의 피지 감소량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끈적임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성 피부로 예측되는 성인 남, 녀 25명 (나이 30±5)을 선발하여, 시험부위 (이마)를 미온수로 세안한 후 4시간 동안 일상 생활을 하여 피지 분비를 유도하였다.
실험 전, 항온 항습실에 10분간 대기한 뒤, 도포 전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제조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뒤, 다시 항온 항습실에 10분간 대기한 뒤, 도포 후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기기로는 피지측정기 (Sebumeter, CK electronic)을 사용하였으며, 도포 전, 후의 측정값을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도포 전 피지량(μg/cm3) 도포 후 피지량(μg/cm3) 피지량 감소율(%)
실시예 1 172 65 62.2
비교예 1 168 87 48.2
비교예 2 175 89 49.1
비교예 3 167 85 49.1
비교예 4 169 108 40.8
비교예 5 157 82 47.8
비교예 6 172 90 47.7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도포 전, 후의 피지량 감소율은 비교예 1 보다 약 1.29 배, 비교예 2 보다 약 1.26 배 및 비교예 3 보다 약 1.26배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 1의 도포 전, 후의 피지량 감소율은 비교예 4 보다 약 1.52배, 비교예 5 보다 약 1.30배 및 비교예 6 보다 약 1.30배 더 우수하였다.
따라서,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의 중량비가 1.5 내지 2.5 이하: 1: 2.5 내지 3.5 이하인 실시예 1은 다당류계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뛰어난 피지 흡착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왁스, 스테아릭애씨드 및 세테아릴알코올의 중량비는 0.5 내지 4.5 : 1 : 2.5 내지 3.5 인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왁스는 전체 크림 조성물을 기준으로 0.5 내지 4.5 중량%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릭애씨드는 전체 크림 조성물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테아릴 알코올은 전체 크림 조성물을 기준으로 2.5 내지 3.5 중량%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은 점증제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에스이가 추가로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은 컨디셔닝제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은 실리콘제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이 추가로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로 다이소듐 EDTA가 추가로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은 pH 조절제로 트로메타민이 추가로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은 유연화제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이 추가로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 조성물은 방부제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카프릴릴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인,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14.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제1혼합물 제조단계;
    제2혼합물 제조단계;
    제1혼합물 및 제2혼합물을 혼합하여 혼합된 크림 조성물을 만드는 혼합 단계; 및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
KR1020200064905A 2020-05-29 2020-05-29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KR102428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905A KR102428284B1 (ko) 2020-05-29 2020-05-29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905A KR102428284B1 (ko) 2020-05-29 2020-05-29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525A true KR20210147525A (ko) 2021-12-07
KR102428284B1 KR102428284B1 (ko) 2022-08-03

Family

ID=7886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905A KR102428284B1 (ko) 2020-05-29 2020-05-29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531B1 (ko) * 2022-06-17 2023-01-04 한국콜마주식회사 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918A (ko) * 2011-10-19 2013-04-29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50140049A1 (en) * 2012-06-21 2015-05-21 L'oreal Matt-effect composition comprising hydrophobic aerogel particles and silica particles
CN106821906A (zh) * 2017-02-10 2017-06-13 王晓燕 祛痘修容润肤霜
EP3517176A1 (en) * 2018-01-26 2019-07-31 Omya International A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for the use as skin appearance modifier
KR20190134110A (ko) * 2018-05-24 2019-12-04 엘앤피코스메틱 (주) 고련피, 작약 및 초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918A (ko) * 2011-10-19 2013-04-29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50140049A1 (en) * 2012-06-21 2015-05-21 L'oreal Matt-effect composition comprising hydrophobic aerogel particles and silica particles
JP2015520209A (ja) * 2012-06-21 2015-07-16 ロレアル 疎水性エアロゲル粒子及びシリカ粒子を含むマット効果のある組成物
CN106821906A (zh) * 2017-02-10 2017-06-13 王晓燕 祛痘修容润肤霜
EP3517176A1 (en) * 2018-01-26 2019-07-31 Omya International A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for the use as skin appearance modifier
KR20190134110A (ko) * 2018-05-24 2019-12-04 엘앤피코스메틱 (주) 고련피, 작약 및 초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531B1 (ko) * 2022-06-17 2023-01-04 한국콜마주식회사 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284B1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3245A (en) Topical barrier composition containing silicone and bentonite
JP3763567B2 (ja) 化粧料
WO2011065771A2 (en) Cosmetic composition stabilized higher oily part
HU230156B1 (hu) Hagymakivonatot és zsírolajat tartalmazó szer előállítása károsodott bőrszövet, különösen sebhelyek ellátására, megelőzésére vagy kezelésére
JP2000119131A (ja) 親水性の増粘化合物と増粘コポリマ―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及び該エマルシ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使用
EP0336902A2 (en) Antiinflammatory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20070172431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skin care
US20110236503A1 (en) Topical Skincare Composition
US6673863B2 (en) Ge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KR20190013101A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EP0692241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et/ou dermatologique gélifiée, riche en solvant et contenant des particules creuses
JP2000119167A (ja) 親水性の増粘化合物と多糖類アルキルエ―テル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及び該エマルシ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2428284B1 (ko)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피지 흡착 크림 조성물
CN1397270A (zh) 皮肤护理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CN1357321A (zh) 减少炎症和红斑的方法
US20100112103A1 (en) Burn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EP2306999B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ic acid amide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1828B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HU218946B (hu) Stroncium (II) valamely szervetlen sója topikális alkalmazása szemviszketés, szem- és/vagy szemhéjfájdalmak és szem- és/vagy szemhéjérzékenység kezelésére alkalmas gyógyszerkészítmények előállítására
US6949262B1 (en) Skin and mucosal treatment formulation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EP4011351A1 (en) Topical cosmetic composition,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mask for facial application
JPH08133948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