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657A - 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657A
KR20210146657A KR1020200063740A KR20200063740A KR20210146657A KR 20210146657 A KR20210146657 A KR 20210146657A KR 1020200063740 A KR1020200063740 A KR 1020200063740A KR 20200063740 A KR20200063740 A KR 20200063740A KR 20210146657 A KR20210146657 A KR 2021014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user
elevator car
modul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2853B1 (en
Inventor
김태호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853B1/en
Publication of KR2021014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8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dering system in an elevator car, which includes: a content display unit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and providing at least one content to a user riding in the elevator car through a touch screen having a built-in touch sensor; a main server unit selecting and playing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processing an order proces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of the user; and a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processing data or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a sell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order proces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Elevator Car Ordering System {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내에서 물건을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내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광고의 제품 및 서비스를 탑승자가 구매하기 원할 경우 주문 출력 표시를 터치하여 주문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실제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ordering goods in an elevator car,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in an elevator car, when a passenger wants to purchase advertisement products and services output on the display. It relates to a system that creates an order by touching the order output display and enters the user's information to lead to the actual purchase.

기존 엘리베이터 카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탑승객에 제공되는 정보는 기존에 제작된 광고/홍보의 단순 송출이나 엘리베이터 운행의 온전한 목적(가고자 하는 층의 입력 또는 호출)에 한정되고 있다.The information provided to passengers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 the existing elevator car is limited to the simple transmission of previously produced advertisements/promotions or the complete purpose of elevator operation (inputting or calling the floor to be visited).

이에 따라 탑승객은 엘리베이터 내에서 송출되는 광고를 인식하고 해당 서비스/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기존의 다른 쇼핑 방법(예를 들어, 온라인 접속, 오프라인 매장 전화, 방문 등)을 스스로 찾아내어 활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Accordingly, when passengers recognize advertisements sent in the elevator and want to purchase the service/product, it is a hassle to find and utilize other existing shopping methods (eg, online access, offline store phone call, visit, etc.) rom exists

또한, 상기 제품/서비스를 광고하는 광고주는 본인들의 광고가 실제 제품 및 서비스 매출과 직결되는지 알 수 없어 광고에 대한 비용에 대한 효과를 직접 평가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advertisers who advertise the product/service cannot know whether their advertisement is directly related to actual product and service sal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evaluate the effect on the cost of the advertisement.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4088(2015.04.2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44088 (2015.04.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 내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광고의 제품 및 서비스를 탑승자가 구매하기 원할 경우 주문 출력 표시를 터치하여 주문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실제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order by touching an order output display when a passenger wants to purchase an advertisement product or service output on the display through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in an elevator car, and user information We want to provide an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that can lead to actual purchase by ente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 내 공간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실제 구매 및 결재까지 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모바일 기기와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쇼핑 방법을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car that can create a new shopping method and create a new market by connecting it with the passenger's mobile device so that the passenger can actually purchase and pay for the products and services they want in the space in the elevator car. We would like to provide an order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서비스와 결재까지 일원화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구매를 유도할 수 있고, 광고의 효과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광고 서비스 비용을 현실적으로 책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der system in an elevator car that can induce users to purchase by providing a unified system from advertising service and payment, and the advertising service cost can be realistically determined because the effect of advertising becomes clear. would like to provide

실시예들 중에서,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Car) 내에 설치되고 터치 센서가 내장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하여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컨텐츠와 연관된 주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메인 서버부 및 상기 주문 프로세스의 처리 과정에서 판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또는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and provides at least one content to a user riding in the elevator car through a touch screen having a built-in touch sensor, the content display unit, the at least one The main server unit that selects and plays the content of the user and processes the order proces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response to the user's touch input, and data that processes data or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the sell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the order process It includes 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마다 해당 재생 과정에서 상기 주문 프로세스의 실행을 개시하는 주문 표시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 모듈, 상기 주문 표시와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 상기 터치 입력이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 및 상기 개인정보 입력이 완료된 경우 상기 주문 표시에 관한 주문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메인 서버부로 전송하는 주문 송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unit includes an order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n order display for starting the execution of the order process in a corresponding reproduction process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 touch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user's touch input associated with the order display, the touch When the input is recognized, an interface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for inputt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an order sending module for generating an order request related to the order display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it to the main server unit can do.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은 QR 코드 출력 방식, 사용자 정보 선입력 방식 및 NFC/RFID 방식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may provide an input interface related to any one of a QR code output method, a user information pre-input method, and an NFC/RFID method.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주문 수신 모듈, 상기 주문 요청의 수신에 따라 해당 주문 요청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주문 접수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문 접수 처리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 접수 메시지에 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해당 주문 요청을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주문 결제 처리 모듈 및 상기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상기 해당 주문 요청에 관한 결제 완료를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주문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문 완료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server unit includes an order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order request, an order receiving processing module for registering a corresponding order request with the seller terminal in response to receipt of the order request and transmitting an order acceptanc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Upon receipt of the approval for the order reception message, an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 payment process for the corresponding order request and a payment completion for the corresponding order request are registered in the sell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ayment process, and the user It may include an order completion process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 order completion message to the terminal.

상기 주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기 배송 상품 및 일반 배송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The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may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short-term delivery product and a general delivery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ayment process.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은 상기 탑승을 위한 전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근권한을 검사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의 물리적 출입을 제한하는 출입 게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출입 게이트부와의 연동이 가능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과거 구매 이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하거나 또는 상기 출입 게이트부와의 연동의 불가능한 경우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구매 이력에 관한 통계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The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further includes an entrance gate unit for restricting physical access to the elevator car by examining the user's access right in the previous step for the boarding, and the main server unit is interlocked with the entrance gate unit. If possible, the at least one content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past purchase history, or when interlocking with the access gate unit is impossible, the at least one content is selected based on statistics on the past purchase history based on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can be selected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내 공간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실제 구매 및 결재까지 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모바일 기기와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쇼핑 방법을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The order system in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new shopping method and opens a new market by connecting with the passenger's mobile device so that the passenger can actually purchase and pay for the products and services they want in the space in the elevator car. can cre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은 광고 서비스와 결재까지 일원화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구매를 유도할 수 있고, 광고의 효과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광고 서비스 비용을 현실적으로 책정할 수 있다.The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users to purchase by providing a unified system from advertisement service to payment, and since the effect of advertisement becomes clear, advertisement service cost can be realistically set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텐츠 디스플레이부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서버부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의 상세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의 상세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rder system in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display unit of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server unit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basic operation of the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ordering system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rder system in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 메인 서버부(120), 데이터 전송 처리부(130), 판매자 단말(140), 사용자 단말(150) 및 출입 게이트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includes a content display unit 110 , a main server unit 120 , a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130 , a seller terminal 140 , a user terminal 150 , and an entrance gate. A unit 160 may be included.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는 엘리베이터 카(Car) 내에 설치되고 터치 센서가 내장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구매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는 NFC 또는 RFID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는 메인 서버부(120)로부터 전달받은 광고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구매 데이터를 입력 받아 메인 서버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의 기능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content display unit 110 may provide at least one content to a user riding in the elevator car through a touch screen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and having a built-in touch sensor. That is, the user may directly input user purchase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terminal capable of reading user data through NFC or RFID. Also, the content display unit 110 may output an advertisement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unit 120 , and may receive user purchase data and transmit it to the main server unit 120 .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display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메인 서버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하여 재생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컨텐츠와 연관된 주문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메인 서버부(120)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부(120)는 광고 데이터 출력을 위한 빅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SMS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서버부(120)는 구매를 위한 연동 APP 또는 웹페이지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고, 구매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메인 서버부(120)는 판매자에게 사용자의 구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서버부(120)의 기능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main server unit 120 may select and reproduce at least one content and process an order process related to the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s touch input.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store and output advertisement data in conjunction with a database, and may store user data. In addition,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perform big data processing for outputting advertisement data, and may transmit an SMS to the user.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manage interworking APP or web page data for purchase, and may process input/output of purchase data.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provide the purchase data of the user to the seller.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server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데이터 전송 처리부(130)는 주문 프로세스의 처리 과정에서 판매자 단말(140) 및 사용자 단말(150)과의 데이터 또는 메시지 전송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송 처리부(130)는 메시징 서버(131) 및 모바일 서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 처리부(130)는 메시징 서버(131) 및 모바일 서버(132)와의 연동을 통해 메시지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130 may process data or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the seller terminal 140 and the user terminal 150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order process. In an embodiment, th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130 may include a messaging server 131 and a mobile server 132 . That is, th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130 may process message transmission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messaging server 131 and the mobile server 132 .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징 서버(131)는 SMS 웹 전송을 처리할 수 있으며, 메인 서버부(120)에서 요청받은 사용자에게 SMS를 전송하도록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모바일 서버(132)에 SMS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서버(132)는 메인 서버부(120)와 사용자 간의 데이터 및 SMS 전송을 처리할 수 있으며, 메인 서버부(120)와 판매자 간의 데이터 및 SMS 전송을 처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essaging server 131 may process the SMS web transmission, and may request the mobile server 132 operated by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to transmit the SMS to the user requested by the main server unit 120 . . The mobile server 132 may process data and SMS transmission between the main server unit 120 and the user, and may process data and SMS transmission between the main server unit 120 and the seller.

한편, 메시징 서버(131)는 메인 서버부(120) 및 모바일 서버(132)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모바일 서버(132)는 메시징 서버(131)의 중계없이 메인 서버부(12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서버부(120)는 전용 APP 또는 웹페이지 데이터 접속 경로를 통해 모바일 서버(132)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ssaging server 13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unit 120 and the mobile server 132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the mobile server 13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unit 120 without relaying the messaging server 131 . ) and can be directly connected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server 132 through a dedicated APP or web page data access path.

판매자 단말(140)은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배송 진행 사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40)은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주문 관련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seller terminal 14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capable of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delivery progress. The seller terminal 140 may be connected to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may exchange order-related information.

사용자 단말(150)은 전용 APP 또는 웹페이지 접근 및 실행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 주문 및 배송 확인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50)은 NFC 및 RFID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결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50)은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과 무선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들은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ordering goods or services and confirming delivery through a dedicated APP or webpage access and execu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 laptop computer, or a compu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The user terminal 150 may output NFC and RFID signals,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and may access a payment system. The user terminal 150 may be connected to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through a wireless mobile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5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출입 게이트부(160)는 특정 건물 내부 또는 특정 경로 상에 설치되어 특정 영역으로의 출입을 감시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출입 게이트부(160)는 탑승을 위한 전 단계에서 사용자의 접근권한을 검사하여 엘리베이터 카로의 물리적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출입 게이트부(160)는 출입 관리를 위한 게이트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접근권한에 따라 게이트 장치의 열림과 닫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출입 게이트부(160)는 메인 서버부(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출입증 점각 기능을 통해 출입자의 접근권한을 검사할 수 있다.The access gate unit 160 may correspond to a device installed inside a specific building or on a specific path to monitor access to a specific area. The access gate unit 160 may restrict the physical access to the elevator car by examining the user's access right in the previous step for boarding. The access gat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gate device for access management, and may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gate device according to access rights. The access gate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unit 120 through a network, and may check the access right of an occupant through the pass pass stamping function.

한편, 메인 서버부(120)는 출입 게이트부(160)와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서버부(120)는 출입 게이트부(160)에 의해 사용자 출입증이 점각된 시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버부(120)는 출입 게이트부(160)에 의해 사용자 출입증이 점각된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사용자의 목적층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해당 예상 도착 시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select at least one content in conjunction with the access gate unit 160 . In an embodiment,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select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point in time when the user pass is punctured by the access gate unit 160 . For example,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calculate an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corresponding user based on the time when the user pass is punctured by the access gate unit 160 , and according to the expected arrival time At least one content may be selected.

도 2는 도 1의 컨텐츠 디스플레이부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display unit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는 주문 생성 모듈(210), 터치 인식 모듈(220),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 주문 송신 모듈(240) 및 제1 제어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ntent display unit 110 includes an order creation module 210 , a touch recognition module 220 , an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 an order transmission module 240 , and a first control module 250 . can do.

주문 생성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마다 해당 재생 과정에서 주문 프로세스의 실행을 개시하는 주문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불특정 제품/서비스에 대한 광고, 홍보 내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주문 생성 모듈(210)은 컨텐츠 재생 과정에서 해당 서비스 또는 상품에 관한 주문을 요청할 수 있는 주문 표시를 재생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주문 표시는 주문 메뉴 또는 버튼 형태로 구현되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주문 메뉴 또는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주문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The order creation module 210 may generate an order display for starting execution of an order process in a corresponding reproduction process for each at least one piece of content. For example, the content display unit 110 may reproduce various contents including advertisements and promotional contents for unspecified products/services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the order creation module 210 may provide a corresponding service or product in the content reproduction process. An order display for requesting an order for may be overlaid on the playback screen and output together. In this case, the order display may be implemented and displayed in the form of an order menu or button, and the user may execute the order process by touching the corresponding order menu or button.

터치 인식 모듈(220)은 주문 표시와 연관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터치 인식 모듈(220)은 터치 스크린과 연동하여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고 해당 터치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220)은 터치 좌표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가 주문 표시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개시를 요청할 수 있다.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20 may recognize a user's touch input associated with the order display. That is,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20 may recognize a user's touch on the screen by interworking with the touch screen and generate coordin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touch.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20 may check whether the user's touch is related to the order display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s and request to initiate an operation accordingly.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터치 입력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QR 코드 출력 방식, 사용자 정보 선입력 방식 및 NFC/RFID 방식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provide an input interface for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 when the touch input is recognized. In an embodiment,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provide an input interface related to any one of a QR code output method, a user information pre-input method, and an NFC/RFID method.

QR 코드 출력 방식의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주문 표시와 연관된 사용자의 터치가 인식된 경우 QR 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QR 코드는 제품 및 서비스명,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는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사전에 해당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QR 코드를 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QR 코드에 포함된 URL 링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QR code output method,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output the QR code when the user's touch associated with the order display is recognized. In this case, the QR cod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roduct and service names and addresses. That is, the elevator may have a fixed installation position and specify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advance, and a QR code may be generated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hereto. The URL link included in the QR code may be linked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or a web browser.

사용자 정보 선입력 방식의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주문 표시와 연관된 사용자의 터치가 인식된 경우 상세 주소(호수)와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사용자에 의해 상세 주소와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URL 링크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URL 링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ser information pre-input method,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output an interface for inputting a detailed address (number) and phone number when a user's touch associated with the order display is recognized. Also, when the detailed address and phone number are input by the user,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output a URL link to the user's phone number. In this case, the URL link may be linked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or a web browser.

NFC/RFID 방식의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주문 표시와 연관된 사용자의 터치가 인식된 경우 구매 수량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량을 입력할 수 있고, NFC 또는 RFID 모듈을 리더기에 인식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NFC 또는 RFID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URL 링크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URL 링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될 수 있다.In the case of NFC/RFID,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output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purchase quantity when a user's touch associated with the order display is recognized. The user may input the quantity through the interface, and the NFC or RFID module may be recognized by the reader.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transmit the URL link using the user's phone number stored in the NFC or RFID module. In this case, the URL link may be linked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or a web browser.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를 요청할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의 순차적 제공을 통해 관련 정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sequentially provide at least one input interface. That is, when a plurality of users riding in the elevator jointly request a purchase for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receive relate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quential provision of the input interface.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은 구매 정보 입력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추가 정보 입력을 위한 추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특정 시간(예를 들어, 3초) 이내에 추가 입력이 없는 경우 해당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만약 추가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공동 구매를 요청한 것으로 가정하여 각 입력된 사용자에 대한 공동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후 구매를 위한 결제 프로세스가 각각 연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may provide an additional input interface for in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when receiving an input for a specific user by providing an interface for inputting purchase information, and may provide an additional input interface for in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at a specific time (eg, If there is no additional input within 3 seconds), the procedure can be terminated. If there is an additional input, it is assumed that a group purchase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or service is requested, and the group purchase procedure for each input user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payment processes for subsequent purchases may be sequentially processed, respectively.

주문 송신 모듈(240)은 개인정보 입력이 완료된 경우 주문 표시에 관한 주문 요청을 생성하여 메인 서버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주문 송신 모듈(240)은 주문 표시에 따른 터치 입력과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입력된 주문 정보를 기초로 주문 요청을 생성할 수 있고, 메인 서버부(120)에 전송하여 해당 주문 요청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is completed, the order sending module 240 may generate an order request for order display and transmit it to the main server unit 120 . That is, the order transmission module 240 may generate an order request based on a touch input according to the order display and ord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150 , and transmit the order request to the main server unit 120 . may request processing.

제1 제어 모듈(25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주문 생성 모듈(210), 터치 인식 모듈(220),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230) 및 주문 송신 모듈(2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ent display unit 110 , and controls between the order creation module 210 ,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20 ,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230 , and the order transmission module 240 . You can manage the flow or data flow.

도 3은 도 1의 메인 서버부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server unit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서버부(120)는 주문 수신 모듈(310), 주문 접수 처리 모듈(320), 주문 결제 처리 모듈(330), 주문 완료 처리 모듈(340) 및 제2 제어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ain server unit 120 includes an order receiving module 310 , an order receiving processing module 320 , an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330 , an order completion processing module 340 , and a second control module 350 . ) may be included.

주문 수신 모듈(31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생성된 주문 요청은 메인 서버부(120)로 전송될 수 있고, 메인 서버부(120)는 주문 수신 모듈(310)을 통해 해당 주문 요청을 수신한 후 처리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The order receiving module 310 may receive an order request from the content display unit 110 . The order request generated by the content display unit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unit 120 , and the main server unit 120 receives the corresponding order request through the order receiving module 310 and then performs a processing operation. can start.

주문 접수 처리 모듈(320)은 주문 요청의 수신에 따라 해당 주문 요청을 판매자 단말(140)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50)에게 주문 접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주문 프로세스는 판매자에게 주문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와 해당 주문 요청에 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구분될 수 있다. 즉, 주문 접수 처리 모듈(320)은 주문 접수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주문 요청을 판매자 단말(140)에게 등록하여 판매자가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rder reception processing module 320 may register the corresponding order request in the seller terminal 140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order request and transmit an order recep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50 . The order process may be divided into a step of receiving an order request from the seller and a step of processing payment for the order request. That is, the order reception processing module 320 may register the order request requested by the user in the order reception step to the seller terminal 140 so that the seller prepares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product or service.

또한, 주문 접수 처리 모듈(320)은 판매자 단말(140)로의 등록에 따라 사용자 단말(150)에게 주문 접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주문 접수 메시지는 해당 주문과 연관된 전용 APP 또는 웹페이지 접속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주문에 따른 결제 페이지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reception processing module 320 may transmit an order recep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50 according to registration with the seller terminal 140, and the order reception message includes a dedicated APP or web page access path associated with the order. and may include the URL of the payment page according to the order.

주문 결제 처리 모듈(330)은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주문 접수 메시지에 관한 승인이 수신되면 해당 주문 요청을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50)에 전송된 주문 접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거나 또는 승인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메시지와 연관된 주문 내역에 대해 승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승인이 수신되는 경우 주문 결제 처리 모듈(330)은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해당 주문에 대한 비용 결제를 처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외부 결제 서버와의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The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330 may process a payment process for a corresponding order request when an approval regarding the order recep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50 . The user may check the order reception messag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50, and may approve the order details related to the message by clicking a link included in the message or selecting an approval menu. When the user's approval is received, the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330 may process payment for the corresponding order through a payment process,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payment server if necessary.

일 실시예에서, 주문 결제 처리 모듈(330)은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라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단기 배송 상품 및 일반 배송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 배송 상품은 음식이나 냉동 제품 등 통상적인 배송 절차보다 더 신속한 배송이 필요한 제품에 해당할 수 있고, 일반 배송 상품은 통상적인 배송 절차에 의해 배송 가능한 제품에 해당할 수 있다. 주문 결제 처리 모듈(330)은 사용자에 의해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배송 유형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한 사용자 구매 정보를 암호화 하여 판매자 단말(140)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330 may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short-term delivery product and a general delivery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150 upon completion of the payment process. For example, a short-term delivery product may correspond to a product that requires faster delivery than a normal delivery procedure, such as food or frozen products, and a general delivery product may correspond to a product that can be delivered by a conventional delivery procedure. When payment is completed by the user, the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330 may receive a response by requesting an input for a delivery type from the user terminal 150, and encrypt the user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this to the seller terminal 140 ) can be sent to

주문 완료 처리 모듈(340)은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라 판매자 단말(140)에 해당 주문 요청에 관한 결제 완료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50)에게 주문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40)에 결제 완료가 등록되면 비로소 해당 주문 요청에 대한 처리 과정으로서 실제 배송을 위한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50)에게 전송되는 주문 완료 메시지는 배송 정보 확인을 위한 URL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der completion processing module 340 may register payment completion regarding the corresponding order request in the seller terminal 140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ayment process and transmit an order comple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50 . Only when payment completion is registered in the seller terminal 140 , an operation for actual delivery may be started as a processing process for the corresponding order request. In this case, the order completion messag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50 may include a URL link for checking delivery information.

제2 제어 모듈(350)은 메인 서버부(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주문 수신 모듈(310), 주문 접수 처리 모듈(320), 주문 결제 처리 모듈(330) 및 주문 완료 처리 모듈(3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module 3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server unit 120 , and the order receiving module 310 , the order receiving processing module 320 , the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330 , and the order completion processing module 340 . ) can manage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basic operation of the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탑승을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예를 들어, 상품 또는 서비스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컨텐츠 화면 위에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를 위한 구매버튼을 표시할 수 있고, 구매를 원하는 사용자는 해당 구매버튼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output various contents (eg, product or service advertisement) through a touch screen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by detecting the user's boarding of the elevator. At this time,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display a purchase button for purchasing a product or service on the content screen, and a user who wants to purchase may request a corresponding purchase by touching the corresponding purchase button.

또한,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다양한 입력 방법을 통해 구매 관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QR 코드 출력 방식, 사용자 정보 선입력 방식 및 NFC/RFID 방식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주문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receive purchase-relate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input methods. For example,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process the order process by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regarding any one of a QR code output method, a user information pre-input method, and an NFC/RFID method.

QR 코드 출력 방식의 경우, QR 코드(URL 링크를 포함)가 화면에 출력되면 사용자는 QR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QR 코드는 스마트폰 APP 또는 웹페이지와 연동하여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량, 상세주소, 전화 및 결제에 관한 구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주문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QR code output method, when the QR code (including the URL link) is output on the screen, the user can take a picture of the QR code with a smartphone, and the QR code can be linked with the smartphone APP or web page to input additional information. It can be linked to a page in The user may input purchase information regarding quantity, detailed address, phone and payment through a smartphone, and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receive the information and process the order process.

사용자 정보 선입력 방식의 경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세주소, 전화번호 입력 후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입력된 사용자 번호로 SMS를 통해 URL 링크가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URL 링크는 스마트폰 APP 또는 웹페이지와 연동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량 및 결제방법에 관한 구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ser information pre-input method, the user information input screen may be output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if the user selects the Done button after entering the detailed address and phone number, a URL link may be sent to the entered user number via SMS. have. In this case, the URL link may be linked with a smartphone APP or a web page, and the user may input purchase information regarding the quantity and payment method through the smartphone.

NFC 또는 RFID 태그 방식의 경우, NFC 또는 RFID 리더기에 태그를 요청하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개인 NFC 또는 RFID 카드(스마트폰 포함)를 태그하면 데이터베이스(또는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번호로 SMS를 통해 URL 링크가 전송될 수 있다. URL 링크는 스마트폰 APP 또는 웹페이지와 연동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량 및 결제방법에 관한 구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NFC or RFID tag method, a screen requesting a tag may be output to the NFC or RFID reader, and when a user tags a personal NFC or RFID card (including a smartphone), an SMS is sent to the user number stored in the database (or server) A URL link may be transmitted through . The URL link may be linked with a smartphone APP or web page, and the user may input purchase information regarding quantity and payment method through the smartphon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의 상세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의 상세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order system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6a에서, 출입 게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출입 게이트에 사용자 출입카드를 점각할 수 있고, 데이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는 메인 서버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메인 서버부(12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과거 구매 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출입 게이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메인 서버부(12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거 구매 이력을 확인하여 시간대 별로 적합한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경우,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해당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광고를 출력할 수 있고, 구매버튼을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구매버튼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FIGS. 5A and 6A , when an access gate exists, a user may punctuate a user access card on the access gate, and data-encrypted us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unit 120 .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check the user's past purchase history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may determine an advertisement suitable for the user while calling the elevator. If there is no entrance gate, the main server unit 120 may determine a suitable advertisement for each time period by checking a past purchase history through big data analysis. When the user boards the elevator,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output an advertisement through the touch screen installed in the elevator, and activate the purchase button to induce the user to select the purchase button.

도 5b 및 도 6b에서,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다양한 입력 방법을 통해 구매 관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510, S610).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QR 코드 출력 방식, 사용자 정보 선입력 방식 및 NFC/RFID 방식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주문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의 구매정보 입력과 메인 서버부(120)로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판매 제품 구분에 대한 추가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구매 정보는 판매자 단말(140)로 전송될 수 있으며, 판매자에 의해 제품 판매에 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제품에 관한 배송 프로세스가 개시될 수 있다(S520).5B and 6B,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receive purchase-relate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input methods (S510 and S610). For example,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process the order process by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regarding any one of a QR code output method, a user information pre-input method, and an NFC/RFID method. When the user's purchase information input and transmission to the main server unit 120 are completed, the elevator car order system 100 may receive an additional input for product classif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50, including the information The user purchas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ller terminal 140 , and when the seller approves the sale of the product, the delivery process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may be started ( S520 ).

도 5c에서,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제품 구분에 따라 배송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배달 음식 상품의 경우 제작 시간과 연동하여 배달 서비스를 호출하고 배달 서비스로 제품 전달 후 배송 진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일반 배송 상품의 경우 송장 번호를 발급하고 택배사로 제품 전달 후 배송 진행을 처리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메인 서버부(120)를 통해 제품의 배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50))에게 제품 배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배송 정보는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제품 전달이 완료된 경우 구매 확정에 따른 제품 이력을 메인 서버부(120)에 기록할 수 있고,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In FIG. 5C ,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process a delivery process according to product classification.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call a delivery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production time for delivery food products and process the delivery after delivery of the product to the delivery service. Delivery can be processed after product delivery.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delivery status of the product through the main server unit 120 , and transmit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50 . In this case, the delivery information may be protected through data encryption. When the product delivery to the user is completed,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may record a product history according to the purchase confirmation in the main server unit 120 and may be utilized for big data analysi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 카 내 공간에서 탑승자가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실제 구매 및 결재까지 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모바일 기기와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쇼핑 방법을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100)은 광고 서비스와 결재까지 일원화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구매를 유도할 수 있고, 광고의 효과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광고 서비스 비용을 현실적으로 책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new shopping method and creates a new market by connecting with the passenger's mobile device so that the passenger can actually purchase and pay for the product and service desired by the passenger in the space in the elevator car. can create In addition, the order system 100 in the elevator car can induce users to purchase by providing a unified system from advertisement service to payment, and the advertisement service cost can be realistically determined because the effect of advertisement becomes clea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
110: 컨텐츠 디스플레이부 120: 메인 서버부
130: 데이터 전송 처리부
131: 메시징 서버 132: 모바일 서버
140: 판매자 단말 150: 사용자 단말
160: 출입 게이트부
210: 주문 생성 모듈 220: 터치 인식 모듈
230: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 240: 주문 송신 모듈
250: 제1 제어 모듈
310: 주문 수신 모듈 320: 주문 접수 처리 모듈
330: 주문 결제 처리 모듈 340: 주문 완료 처리 모듈
350: 제2 제어 모듈
100: ordering system in the elevator car
110: content display unit 120: main server unit
130: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131: messaging server 132: mobile server
140: seller terminal 150: user terminal
160: entrance gate unit
210: order creation module 220: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interface providing module 240: order sending module
250: first control module
310: order receiving module 320: order receiving processing module
330: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340: order completion processing module
350: second control module

Claims (6)

엘리베이터 카(Car) 내에 설치되고 터치 센서가 내장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하여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컨텐츠와 연관된 주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메인 서버부; 및
상기 주문 프로세스의 처리 과정에서 판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또는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
a content display unit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and providing at least one content to a user riding in the elevator car through a touch screen having a built-in touch sensor;
a main server unit for selecting and playing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processing an order process related to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user's touch input; and
Elevator car order system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ata or message transmission with the sell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i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마다 해당 재생 과정에서 상기 주문 프로세스의 실행을 개시하는 주문 표시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 모듈;
상기 주문 표시와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
상기 터치 입력이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 및
상기 개인정보 입력이 완료된 경우 상기 주문 표시에 관한 주문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메인 서버부로 전송하는 주문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unit
an order cre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 order display for starting the execution of the order process in a corresponding reproduction process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 touch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user's touch input associated with the order display;
an interface providing module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for inputt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touch input is recognized; and
and an order sending module for generating an order request related to the order display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it to the main serve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은
QR 코드 출력 방식, 사용자 정보 선입력 방식 및 NFC/RFID 방식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rface providing module
An order system in an elevator car,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related to any one of a QR code output method, a user information pre-input method, and an NFC/RFID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주문 수신 모듈;
상기 주문 요청의 수신에 따라 해당 주문 요청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주문 접수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문 접수 처리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 접수 메시지에 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해당 주문 요청을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주문 결제 처리 모듈; 및
상기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상기 해당 주문 요청에 관한 결제 완료를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주문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문 완료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server unit
an order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order request;
an order reception processing module for registering a corresponding order request in the seller terminal in response to receipt of the order request and transmitting an order recep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an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 payment process for the corresponding order request when an approval regarding the order recep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d an order completion processing module for registering payment completion regarding the corresponding order request in the sell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ayment process and transmitting an order comple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기 배송 상품 및 일반 배송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order payment processing module
and receiving a selec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short-term delivery product and a general delivery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ayment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을 위한 전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근권한을 검사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의 물리적 출입을 제한하는 출입 게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출입 게이트부와의 연동이 가능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과거 구매 이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하거나 또는 상기 출입 게이트부와의 연동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구매 이력에 관한 통계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 주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ntrance gate unit for restricting physical access to the elevator car by examining the user's access right in the previous step for the boarding,
The main server unit selects the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user's past purchase history when interworking with the access gate unit is possible Elevator car ord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statistics about.

KR1020200063740A 2020-05-27 2020-05-27 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 KR102522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40A KR102522853B1 (en) 2020-05-27 2020-05-27 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40A KR102522853B1 (en) 2020-05-27 2020-05-27 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57A true KR20210146657A (en) 2021-12-06
KR102522853B1 KR102522853B1 (en) 2023-04-19

Family

ID=7893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40A KR102522853B1 (en) 2020-05-27 2020-05-27 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85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774A (en) * 2010-01-21 2011-07-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nformation terminal for management of seats, method for management of seats using inform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4102587A (en) * 2012-11-16 2014-06-05 Toshiba Tec Corp Information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program
KR20150044088A (en) 2013-10-15 2015-04-2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product using home server and apparatus therefor
KR20170079536A (en)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에그락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 by public display
KR102106578B1 (en) * 2019-12-04 2020-05-04 (주)케이티씨에스 System for sharing food delivery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774A (en) * 2010-01-21 2011-07-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nformation terminal for management of seats, method for management of seats using inform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4102587A (en) * 2012-11-16 2014-06-05 Toshiba Tec Corp Information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program
KR20150044088A (en) 2013-10-15 2015-04-2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product using home server and apparatus therefor
KR20170079536A (en)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에그락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 by public display
KR102106578B1 (en) * 2019-12-04 2020-05-04 (주)케이티씨에스 System for sharing food delivery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853B1 (en)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9821B2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US119367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presenting content using an interface for setting conditional network destinations
US103059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presenting content using an interface for setting conditional network destinations
US11030599B2 (en) Smart beacon point of sale (POS) interface
US20190215402A1 (en) Integrated mobile appl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gateway
CN107609937B (en) Transaction method, display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device
JP2008538463A (en) Integrated mobile appl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gateway
JP62860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eferential delivery service for favorite products using unmanned delivery box,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US10891669B2 (en) Virtual sales assistant kiosk
KR102087298B1 (en) Pos based customer make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31609B1 (en)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Wallet Service Using User Confirmation
KR102522853B1 (en) Elevator car online shopping system
KR101453343B1 (en) User rewarding advertisement management server
KR20170024720A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OS terminal,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WO2014007567A1 (en) Server providing on/offline trading service, terminal for product trading, and method for providing trading service thereby
KR1007640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lternative settlement service
US20230306405A1 (en) Payment accessibility notifications
KR20120100640A (en) Method and system of payment using identifiers and terminal thereof
TWM625358U (en) Product trial marketing system
EP30610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vity contextual services local online experience
KR20210094447A (en) The content provision system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at controls the accommodation
KR20210094448A (en) The content provision system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at controls the accommodation
TW202301228A (en) Product experience marketing system broadcasting a piece of product marketing advertisement on the membership platform based on the marketing analysis data
KR20120013014A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ternet shopping mall
KR20120005632U (en) Small business member shop ticket sale terminal of area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