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477A -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477A
KR20210146477A KR1020200063061A KR20200063061A KR20210146477A KR 20210146477 A KR20210146477 A KR 20210146477A KR 1020200063061 A KR1020200063061 A KR 1020200063061A KR 20200063061 A KR20200063061 A KR 20200063061A KR 20210146477 A KR20210146477 A KR 2021014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polyurethane foam
polyisocyanate
content
isocyanu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범
배정민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3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477A/ko
Publication of KR2021014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 C08G18/02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the polymeric product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3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삼량화 반응 촉매를 혼합하여 제1 온도 분위기에서 교반하고 반응시키는 단계와, 제2 온도분위기에서 상기 반응을 종결시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의 중량은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 중량에 대해 30%이상이다.

Description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Poly Isocyanate comprising Isocyanurat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으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한 후, 이를 바탕으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뛰어난 코팅 물성, 예컨대, 내후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코팅의 건조성 및 가교성이 우수하고, 낮은 점도, 폴리올과의 상용성 및 저극성 용매 내에서의 용해성을 가지므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보다 더 안정하기 때문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삼량화하여 사용한다.
한편, 폴리우레탄 폼은 비교적 저렴하고 성형이 용이하고 높은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동차 부품을 비롯한 생활 용품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폼은 가연성이며, 일단 발화하면 제어 불능의 연소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의 일면에 난연성을 갖는 시트 또는 패널을 적층하여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폴리우레탄 폼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난연 효과가 제한적이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리우레탄 폼 자체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브롬 화합물이나 염소 화합물등의 할로겐 화합물로 구성되는 난연제의 첨가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연소시 유독가스로 인하여 인체 및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탄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우수한 난연 특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9710호
한편,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과 난연성은 반응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의 생성량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생성량이 낮을 경우, 목표한 열 안정성을 나타낼 수 없다. 폼의 합성 과정에서 삼량체 반응이 최대한 많이 진행되도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재한된 반응시간으로 인해 이소시아누레이트의 생성량 증대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열적 안정성에도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의 합성은 반응속도가 낮은 이소시아누레이트 형성 반응이 최대한 진행될 수 있도록 경화되기 전에 충분한 반응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스프레이 방식의 제조공정과 같이, 반응시간이 짧고 충분한 에너지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형태의 제조공정은 사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스프레이 형태의 제조공정이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적용분야에는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리우레탄 합성시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에 이소시아누레이트가 포함되도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 및 난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난연성 풀리우레탄 폼의 제조시 적용이 어려웠던 스프레이 방식의 공정에 의해서도 고난연성의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삼량화 반응 촉매를 혼합하여 제1 온도 분위기에서 교반하고 반응시키는 단계와, 제2 온도분위기에서 상기 반응을 종결시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의 중량은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 중량에 대해 3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 톨릴렌디아소시아네이트(TDI),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LDI), 수첨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수첨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바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드,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TIDI), 디페닐에테르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TO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HDI), 1,12-디이소시아네이토도데칸(DDI),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NBDI), 2,4-비스-(8-이소시아네이토옥틸)-1,3-디옥틸시클로부탄(OCDI) 및 2,2,4(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D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의 평균분자량은 250 내지 1,000g/mol이다.
상기 삼량화 반응 촉매는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 테트라메틸프로판디아민, 테트라메틸에탄디아민, 초산나트륨, 스타노오스옥토에이트, 포타슘옥토에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아미노부탄,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아세테이트, 니켈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비스머스 화합물, 유기 납 화합물, 유기 니켈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포스핀, 알콕사이드,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및 카르복실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에 비해 높다.
상기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해, 촉매활성 억제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촉매활성 억제제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붕산, 플루오린화 수소산 및 브로민화 수소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99.0 내지 99.9 wt%이고, 상기 삼량화 반응 촉매의 함량은 0.1 내지 1.0 wt%이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소시아네아트는,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과, 상기 제1 내지 제8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전체에 대해, 상기 폴리올 혼합물의 함량은 20 내지 30wt%이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아트의 함량은 55.0 내지 75.0wt%이고,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3.0 내지 7.0wt%이다.
상기 폴리올 혼합물에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함량비는 5:5 내지 2:8이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 wt%의 함량을 갖는 발포제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발포제는 물 또는 발포용 기체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발포용 기체는 건조공기,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이다.
상기 난연제는 포스페이트(phosph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포스핀옥사이드(phosphine oxide) 및 포스파젠(phosphaz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 0.5 내지 1.0 wt%의 함량을 갖는 정포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계 정포제, 유기 규소계 정포제, 불소계 정포제, 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 wt%의 함량을 갖는 삼량화 반응 촉매가 더 포함된다.
상기 삼량화 반응 촉매는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 테트라메틸프로판디아민, 테트라메틸에탄디아민, 초산나트륨, 스타노오스옥토에이트, 포타슘옥토에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아미노부탄,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아세테이트, 니켈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비스머스 화합물, 유기 납 화합물, 유기 니켈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포스핀, 알콕사이드,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및 카르복실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은,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폴리우레탄 합성시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에 이소시아누레이트가 포함되도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내열성 및 난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난연성 풀리우레탄 폼의 제조시 적용이 어려웠던 스프레이 방식의 공정에 의해서도 고난연성의 폴리우레탄 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폴리머릭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FT-IR 스펙트라이다.
도 2는 폴리머릭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TGA프로파일이다.
도 3은 실시예 2와 실시예 3(비교예 1)의 FT-IR 스펙트라이다.
도 4는 실시예 2와 실시예 3(비교예 1)의 TGA프로파일이다.
도 5는 실시예 2와 실시예 3(비교예 1)의 UL94 V test후 광학이미지이다.
도 6은 실시예 4와 실시예 5(비교예 2)의 FT-IR 스펙트라이다.
도 7은 실시예 4와 실시예 5(비교예 2)의 TGA프로파일이다.
도 8은 실시예 4와 실시예 5(비교예 2)의 UL94 V test후 광학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준비하고, 준비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 톨릴렌디아소시아네이트(TDI),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LDI), 수첨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수첨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바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드,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TIDI), 디페닐에테르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TO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HDI), 1,12-디이소시아네이토도데칸(DDI),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NBDI), 2,4-비스-(8-이소시아네이토옥틸)-1,3-디옥틸시클로부탄(OCDI) 및 2,2,4(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D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릭 MDI)일 수 있다. 이때,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릭 MDI)의 평균분자량은 250 내지 1,000g/mol일 수 있다.
한편, 전체 반응물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99.0 내지 99.9 wt%일 수 있다.
계속해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삼량화 반응 촉매를 혼합하여, 제1 온도 분위기에서 이들을 교반하고 반응시킨다. 이때, 반응기내 분위기는 질소분위기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분위기는 60 내지 100℃일 수 있다.
삼량화 반응 촉매는 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전체 반응물에 대해 삼량화 반응 촉매의 함량은 0.1 내지 1.0 wt%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이 0.1wt% 이하이면 촉매활성의 효과가 없으며 1.0wt% 이상이면 부반응이 촉진되어 최종 생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삼량화 반응 촉매는 단일 촉매보다는 특정 혼합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삼량화 반응 촉매는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 테트라메틸프로판디아민, 테트라메틸에탄디아민, 초산나트륨, 스타노오스옥토에이트, 포타슘옥토에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아미노부탄,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아세테이트, 니켈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비스머스 화합물, 유기 납 화합물, 유기 니켈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포스핀, 알콕사이드,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및 카르복실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온도분위기에서 상기 반응을 종결시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한다. 여기서, 제2 온도 분위기는 제1 온도 분위기 보다 높은 100 내지 150℃의 온도일 수 있다.
반응 종결시, 삼량화 반응 촉매의 활성을 억제하여 반응을 종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누레이트 형성 반응의 진행도를 예를 들어, 굴절율(n25D)로 확인하면서 반응을 진행시켜 반응 혼합물이 일정 굴절율 설정값에 도달하면 이소시아누레이트 형성 반응을 중단시킬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소시아네이트기의 고리 삼량체화 형성으로, 초기의 반응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초기에 반응 진행을 중단시키기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이소시아누레이트 형성 반응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열분해 또는 화학분해에 의해 삼량화 반응 촉매의 활성을 비활성화 시키는 촉매활성 억제제를 투입할 수 있다.
촉매활성 억제제로는 무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삼량화 반응 촉매와 촉매활성 억제제는 1:1 당량으로 반응에 투입될 수 있다. 촉매활성 억제제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붕산, 플루오린화 수소산 및 브로민화 수소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최종 생성물인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삼량화 반응 촉매의 존재하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릭 MDI)를 삼량체화시킴으로써 제조한다. 한편, 생성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 중량에 대해 30%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 중량에 대해 70%이하일 수 있다.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이 30%미만이면, 본 생성물에 의해 제조될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성이 충분이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이 70%를 초과하면, 우레탄 결합을 이루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의 수가 줄어,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인 폴리우레탄 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과,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 혼합물을 이루는 폴리올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적어도 2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작용기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우레탄 결합을 하는 작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작용기는 히드록시기, 아민기, 티올기 또는 카복시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올 화합물은 주쇄의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가 결합되어 있으며, 히드록시기, 아민기, 티올기 및 카복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측쇄에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 혼합물은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펴, 폴리올 혼합물에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함량비는 5:5 내지 2:8일 수 있다. 조성물 전체에 대해, 폴리올 혼합물의 함량은 20 내지 30wt%일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이 20wt% 미만이면, 우레탄 결합의 양이 적어져, 양질의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이 30wt%를 초과하면, 반응에 필요한 함량 이상이 포함되어, 반응의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조성물에 포함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된 화합물이다.
즉,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삼량화 반응 촉매의 존재하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릭 MDI)를 삼량체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 중량에 대해 30%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 중량에 대해 70%이하일 수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전체에 대해, 폴리이소시아네아트의 함량은 55.0 내지 75.0wt%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55.0wt% 미만이면, 양질의 폴리우레탄의 형성이 어렵고, 상대적으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생성되는 폴리우레탄의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75.0wt%를 초과하면, 반응에 필요한 함량 이상이 포함되어, 반응의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난연제는 비할로겐형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연제는 고상 또는 액상의 비할로겐형 인계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는 포스페이트(phosph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포스핀옥사이드(phosphine oxide) 및 포스파젠(phosphaz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연제는 알루미늄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할로겐형 인계 난연제는 가연성 물질과 반응하여 고분자 표면에 탄화막을 형성하고, 이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차단하여 상기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할로겐형 인계 난연제는
고분자내 산소 원소와 반응하여 탈수 탄화 작용을 하고, 인산의 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라디칼은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활성 라디칼인 -OH 및 -H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는 상기 인계 난연제와 난연 멜라민 파우더를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연 멜라민 파우더는 MCA(melamine cyanurat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3.0wt% 내지 7.0wt%일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내의 폴리올계 화합물의 열방출 용량을 낮추고 한계산소지수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연소시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고분자를 탄화물(char)로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연소시 발생하는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압축 복원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하며 난연성을 확보하게 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포제는 상기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오픈 셀을 갖는 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폼의 오픈 셀은 폼 조성물이 발포되는 과정에서 발포제로부터 발생한 기체가 기포를 형성하고, 상기 기포가 계속적으로 성장하다가 파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가 성장함에 따라 이웃한 기포들과 격리시키는 이들 사이의 기포 벽면이 점점 얇아지면서 기포들의 파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발포제의 함량은 조성물에 대해 0.1wt% 내지 1.0wt%이다. 발포제의 함량이 0.1wt% 미만일 경우, 발포제 역할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1.0wt%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에 필요한 함량 이상이 포함되어, 반응의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발포제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고, 발포용 기체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발포용 기체로는 건조공기,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정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포제는 일반적으로 우레탄 폼의 제조시 사용되는 것이면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계 정포제, 유기 규소계 정포제, 불소계 정포제, 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포제를 사용함으로써, 발포제가 폴리우레탄 폼에 적합한 거품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으로의 경화시 기체의 안정한 분산성을 유지하여 균일한 크기와 분포의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정포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에 대해, 0.5 내지 1.0 wt%이다. 정포제의 함량이 0.5wt% 미만일 경우, 정포제 역할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1.0wt%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에 필요한 함량 이상이 포함되어, 반응의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삼량화 반응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삼량화 반응 촉매는 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전체 조성물에 대해 삼량화 반응 촉매의 함량은 0.1 내지 1.0 wt%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이 0.1wt% 이하이면 촉매활성의 효과가 없으며 1.0wt% 이상이면 부반응이 촉진되어 최종 생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삼량화 반응 촉매는 단일 촉매보다는 특정 혼합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삼량화 반응 촉매는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 테트라메틸프로판디아민, 테트라메틸에탄디아민, 초산나트륨, 스타노오스옥토에이트, 포타슘옥토에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아미노부탄,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아세테이트, 니켈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비스머스 화합물, 유기 납 화합물, 유기 니켈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포스핀, 알콕사이드,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및 카르복실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가교제 또는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 가능한 활성 수소 함유기를 2 내지 4 개 가지며, 수평균 분자량이 50 g/mol 이상 800 g/mol 이하의 저분자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탄올아민, 및 펜타에리트리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wt% 내지 20.0wt%, 또는 5wt% 내지 15wt%이하일 수 있다.
염료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색상을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염료로서, 당업계에서 염료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wt% 내지 3.0wt%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염료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에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 99.5g과 삼량화 반응 촉매로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 0.5g을 준비하였다.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 99.5g과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 0.5g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100℃의 온도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2시간 동안 150℃의 온도로 혼합물을 가열하여 삼량화 반응 촉매를 제거함으로써,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조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2:8로 혼합된 폴리올 혼합물 22.8g과, 0.01g의 발포 촉매와, 0.3g의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삼량화 반응 촉매)와, 0.4g의 물 발포제, 6.4g의 포스페이트(난연제), 1g의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였다. 계속해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70.4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도된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경화시켜,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비교예 1): 폴리우레탄 폼 제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실시예 1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를 사용한 섯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는 70.4g 사용되었다.
실시예 4: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조
폴리올 혼합물이 38.2g 사용되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53,9g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비교예 2): 폴리우레탄 폼 제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실시예 1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를 사용한 섯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 비교
도1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PMDI의 FT-1R 스펙트라를 비교하면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의 특징 피크인 1715, 1410cm-1 피크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통해 실시예 1을 통해서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내열성이 높은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PMDI 보다 높은 내열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은 PMDI를 이용하여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보다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의 특징 피크인 1410cm-1 피크가 더 강하게 나타내는 것을 통해 실시예 2의 폼이 더 많은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2에서 합성된 폼은 실시예 3에서 합성된 폼보다 더 많은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더 높은 내열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에서 합성된 폼과 실시예 3에서 합성된 폼은 UL94 V test에서 모두 V0의 난연등급을 나타내었지만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불꽃에 의한 폼의 부피 감소와 불꽃의 확산 높이 및 면적 측면에서 실시예 2의 폼이 내화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est 전 대비 test 후의 샘플 무게 잔량 비를 확인한 결과 실시예 2의 폼은 96wt%로 84wt%인 실시예 3의 폼보다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측정된 폼의 한계산소지수는 실시예 2의 폼과 실시예 3의 폼이 각각 27.4와 25.5로 실시에 2의 폼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계산소지수의 증가는 고분자 재료가 연소를 지속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농도가 높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곧 실시예 2의 폼이 난연성이 더 높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는 폼의 가교도를 향상시킴으로서 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실시예 3의 폼의 압축강도가 0.107kg/mm2인 것에 반해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이 더 높은 실시예 2의 폼의 기계적 물성은 0.120kg/mm2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은 PMI를 이용하여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보다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의 특징 피크인 1410cm-1 피크가 더 강하게 나타내는 것을 통해 실시예 4의 폼이 실시예 5의 폼보다 더 많은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4에서 합성된 폼은 실시예 5에서 합성된 폼보다 ejj 많은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더 높은 내열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UL94 V test를 진행한 결과 실시예 5에서 합성된 폼이 난연성을 나타내지 못한 것에 비해 실시예 4에서 합성된 폼은 V0의 난연등급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불꽃에 의한 폼의 부피 감소와 불꽃의 확산 높이 및 면적 측면에서 실시예 4의 폼이 실시예 5의 폼보다 내화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est 전 대비 test 후의 샘플 무게 잔량 비를 확인한 결과 실시예 4의 폼은 89wt%로 68wt%인 실시예 5의 폼보다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측정된 폼의 한계산소지수는 실시예 4의 폼과 실시예 5의 폼이 각각 25.0와 21.7로 실시예 2의 폼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계산소지수의 증가는 고분자 재료가 연소를 지속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농도가 높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곧 실시예 4의 폼의 난연성이 실시예 5의 폼보다 더 높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는 폼의 가교도를 향상시킴으로서 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실시예 5의 폼의 압축강도가 0.092kg/mm2인 것에 반해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함량이 더 높은 실시예 4의 폼의 기계적 물성은 0.105kg/mm2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삼량화 반응 촉매를 혼합하여 제1 온도 분위기에서 교반하고 반응시키는 단계; 및
    제2 온도분위기에서 상기 반응을 종결시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의 중량은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 중량에 대해 30%이상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 톨릴렌디아소시아네이트(TDI),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LDI), 수첨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수첨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바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드,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TIDI), 디페닐에테르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TO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HDI), 1,12-디이소시아네이토도데칸(DDI),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NBDI), 2,4-비스-(8-이소시아네이토옥틸)-1,3-디옥틸시클로부탄(OCDI) 및 2,2,4(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D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폴리머릭 메틸린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MDI)의 평균분자량은 250 내지 1,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량화 반응 촉매는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 테트라메틸프로판디아민, 테트라메틸에탄디아민, 초산나트륨, 스타노오스옥토에이트, 포타슘옥토에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아미노부탄,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아세테이트, 니켈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비스머스 화합물, 유기 납 화합물, 유기 니켈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포스핀, 알콕사이드,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및 카르복실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에 비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해, 촉매활성 억제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활성 억제제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붕산, 플루오린화 수소산 및 브로민화 수소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99.0 내지 99.9 wt%이고, 상기 삼량화 반응 촉매의 함량은 0.1 내지 1.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9. 제1 항 내지 제8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
    상기 제1 내지 제8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전체에 대해,
    상기 폴리올 혼합물의 함량은 20 내지 30wt%이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아트의 함량은 55.0 내지 75.0wt%이고,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3.0 내지 7.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혼합물에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함량비는 5:5 내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 wt%의 함량을 갖는 발포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물 또는 발포용 기체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발포용 기체는 건조공기,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포스페이트(phosph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포스핀옥사이드(phosphine oxide) 및 포스파젠(phosphaz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대해,
    0.5 내지 1.0 wt%의 함량을 갖는 정포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계 정포제, 유기 규소계 정포제, 불소계 정포제, 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 wt%의 함량을 갖는 삼량화 반응 촉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삼량화 반응 촉매는 디메틸사이크로헥실아민, 테트라메틸프로판디아민, 테트라메틸에탄디아민, 초산나트륨, 스타노오스옥토에이트, 포타슘옥토에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아미노부탄,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아세테이트, 니켈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비스머스 화합물, 유기 납 화합물, 유기 니켈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포스핀, 알콕사이드,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및 카르복실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20. 제10 항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KR1020200063061A 2020-05-26 2020-05-26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6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61A KR20210146477A (ko) 2020-05-26 2020-05-26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61A KR20210146477A (ko) 2020-05-26 2020-05-26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477A true KR20210146477A (ko) 2021-12-06

Family

ID=7890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61A KR20210146477A (ko) 2020-05-26 2020-05-26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4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710A (ko)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710A (ko)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478B2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それを含むポリオールブレンド、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製品
CN106103520B (zh) 包括基于烯烃的发泡剂的调配异氰酸酯反应性掺合物
JP3887601B2 (ja) 高い硬化速度を有するイソシアネート不含の発泡性混合物
KR101850997B1 (ko) 준불연 우레탄 단열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3843A (ko) 감소된 가연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성형된 가요성폴리우레탄 발포체
US20120004351A1 (en) Crosslink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KR20150105454A (ko) 경질 발포체
CN110982476A (zh) 一种uv固化阻燃水性聚氨酯胶黏剂及其制备方法
EP3555159B1 (en) Polyurethane product with sulfur-containing polyester polyol
US20210122872A1 (en) Flame-resistant polyurethane foam material
EP0906353B1 (en) Rigid isocyanurate-modified polyurethane foams
KR20210146477A (ko)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2053615A1 (en) Rigid urethane-modified polyisocyanurate foam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US20030092786A1 (en) Prepolymers useful for production of flame-retardant polyurethanes
KR102158327B1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US11186746B2 (en) Polyurethane prepolymer with high functionalit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curing agent comprising the same
KR20220120617A (ko)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함 발포체에 사용하기 위한 화염, 연기 및 독성 지연제 조성물
WO2022155295A1 (en) Polyisocyanurate thermoset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WO2021130201A1 (en) A method for improving the flame, smoke and/or toxicity retardancy in polyisocyanurate / polyurethane (pir/pur) comprising materials
JP3221036B2 (ja) 色相の改良された脂肪族または脂環式ポリ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方法
JP2023057997A (ja) リン原子含有ポリオール
CN117820374A (zh) 一种dopo基席夫碱衍生物无卤阻燃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539308A (zh) 一种聚氨酯泡沫粘接助剂的制备方法及应用
EP1606340A1 (en) Hydrofluorocarbon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