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118A - 면도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면도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118A
KR20210146118A KR1020200063185A KR20200063185A KR20210146118A KR 20210146118 A KR20210146118 A KR 20210146118A KR 1020200063185 A KR1020200063185 A KR 1020200063185A KR 20200063185 A KR20200063185 A KR 20200063185A KR 20210146118 A KR20210146118 A KR 20210146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ixing member
blade housing
shaving
razo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133B1 (ko
Inventor
김동일
장세준
조은혜
유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20006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1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0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blades with more than two cutting edges; involving disc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 B26B21/56Razor-bl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6B21/565Bent razor blades; Razor blades with bent c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면도기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으로서, 커팅 에지가 향하는 상면 및 상면과 대면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의 일측은 연결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본 개시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면도시, 면도기의 스트로크(stroke)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복수의 면도 블레이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면도기 카트리지(이하,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에서, 블레이드 하우징은 복수의 면도 블레이드를 수용할 수 있다. 면도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하우징의 날 안착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날 안착부(blade mounting portion)는 안착 베이스(mounting base) 및 안착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안착 돌기(mounting 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면도 블레이드는 복수의 안착 돌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한번의 스트로크를 통해서도 복수의 면도 블레이드가 체모를 절삭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적은 수의 스트로크를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깔끔한 면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하우징의 제한 공간 내에 복수의 면도 블레이드를 배치해야 하므로, 공간효율적인 면도 블레이드의 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면도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안착 돌기들 사이의 간격을 좁힐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안착 돌기의 횡방향 간격을 일정 크기 이상으로 좁히는 것은 제조 공정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개시는 면도 블레이드 및 면도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면도 블레이드의 안착 구조를 단순화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으로서, 커팅 에지가 향하는 상면 및 상면과 대면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의 일측은 연결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는 면도 블레이드의 안착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를 도 12의 ⅩⅤ-ⅩⅤ'의 방향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1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110),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120), 및 고정부재(fixing memb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커팅 에지(cutting edge, 112)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를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놓이도록 수용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상면(top side, 122), 하면(bottom side, 124), 횡측면(lateral side, 126), 및 종측면(longitudinal side, 128)을 가질 수 있다.
상면(122)은 커팅 에지(112)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면일 수 있으며, 하면(124)은 상면(122)과 대면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면일 수 있다.
또한, 횡측면(126)은 상면(122)과 하면(124) 사이에서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lateral direction)을 따라 연장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면일 수 있으며, 종측면(128)은 상면(122)과 하면(124) 사이에서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면일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가드 부(guard portion, 121) 및 캡 부(cap portion, 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부(121)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 및 후방은 면도기 카트리지(10)의 면도 방향(shaving direction)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 및 후방은, 면도 블레이드(110)를 기준으로, 각각 양의 Y축 방향 및 음의 Y축 방향이다.
가드 부(121)는, 면도시, 면도 블레이드(110)에 의한 체모의 절삭 이전에, 피부를 면도 방향으로 당겨줄(stretch)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모는 피부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110)는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캡 부(123)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를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30)는 용접(welding) 또는 접착제(adhesive)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110)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130)와 면도 블레이드(110)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선택적으로, 하측 프레임(140)이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12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미도시)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터(connector, 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면도기 카트리지(10)가 하측 프레임(14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10)는 하측 프레임(14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142)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는 기저부(base portion, 114), 절곡부(bended portion, 116), 및 에지부(edge portion, 11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수용될 수 있다. 절곡부(116)는 커팅 에지(112)와 인접하는 기저부(114)의 높이방향(height direction) 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에지부(118)는 절곡부(116)의 일단과 연결되며, 커팅 에지(112)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는 절곡날(bended blade) 또는 강대날(welded blade)일 수 있다. 여기서, 절곡날은 에지부(118)와 절곡부(116)가 일체로서 형성된 면도 블레이드를 지칭하며, 강대날은 에지부(118)가 절곡부(116)의 일단에 용접된 면도 블레이드를 지칭한다.
고정부재(130)는 연결부(connecting portion, 132) 및 제1연장부(first elongated portion, 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2)는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32)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의 일측은 연결부(1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는 커팅 에지(112)에서 연결부(1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 일측과 연결부(132)의 일측이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 및 고정부재(130)는 하나의 단일 유닛(single unit)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 및 고정부재(130)는, 단일 유닛의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조립 및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의 일측은 연결부(132)의 일측에 용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의 일측은 접착제를 통해 연결부(132)의 일측과 연결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130)가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1연장부(134)는 연결부(132)의 횡방향 일단으로부터 하면(12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연장부(134)의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종측면(128)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고정부재(13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연장부(134)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 홀(11)에 각각 수용되거나, 또는, 두 개의 종측면(128)을 각각 감쌀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제1연장부(134) 중 하나는 관통 홀(11)에 수용되고, 다른 하나는 종측면(128)을 감쌀 수도 있다.
고정부재(130)를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1연장부(134)의 일단은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장부(134)의 일단은 하면(124)과 대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장부(134)의 일단은 하면(124)과 접촉하거나, 하면(124)과 마주보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1연장부(134)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를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연장부(134)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절곡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130)는, 연결부(132) 및 제1연장부(134)를 통해,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고정부재(130)는 스트립(strip) 형상의 통상적인 클립(clip)과 같은 방식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130)는, 면도 블레이드(110)와 같이, 금속 재질(metal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된 면도기 카트리지(10)를 버릴 때, 고정부재(130) 및 면도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으로부터 함께 분리되어 수거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130) 및 면도 블레이드(110)는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고정부재(130) 및 면도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으로부터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날 안착부(blade mounting portion, 125)를 포함할 수 있다. 날 안착부(125)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날 안착부(125)는 복수의 안착 돌기(mounting protrusion, 12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착 돌기(1252)는 실질적으로 높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착 돌기(1252)는 서로 이웃하는 안착 돌기(1252) 사이에 면도 블레이드(110)의 기저부(114)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는, 고정부재(130)와 면도 블레이드(110)가 서로 견고히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날 안착부(125)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착 돌기(1252) 사이의 간격을 다소 넓히더라도, 면도 블레이드(110)는 고정부재(130)와의 연결을 통해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만약, 고정부재(130)와 면도 블레이드(110) 사이의 연결이 충분히 강력하다면, 면도 블레이드(110)는 날 안착부(125) 없이도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30)와 면도 블레이드(110)가 서로 연결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면도 블레이드(110)가 블레이드 하우징(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면도 블레이드(110)는 산개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는 안전상의 이점을 가진다.
도 3에서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이 날 안착부(12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날 안착부(125)는 하측 프레임(14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30)는 연결부(132)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2)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고정부재(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124)을 향해,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연장부(134)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형성된 관통 홀(11) 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종측면(128)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제1연장부(134)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 홀(11) 내에 수용되거나 종측면(128)과 대면한 상태에서, 제1연장부(134)의 일단은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130) 및 고정부재(130)와 연결된 면도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124) 상에 하측 프레임(14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0)는 완전히 조립될 수 있다.
후술될 도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는, 연결부가 기저부의 종방향 일단과 연결되고 연장부가 연결부의 횡방향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 블레이드 하우징(220), 및 고정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220)은 커팅 에지(212)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220)은 상면(222), 하면(224), 횡측면(226), 및 종측면(228)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220)은 가드 부(221) 및 캡 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부(221)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상면(2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캡 부(223)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상면(2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23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를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측 프레임(240)이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하면(22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면도기 핸들(미도시)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터(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면도기 카트리지(20)가 하측 프레임(24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20)는 하측 프레임(24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242)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일측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는 기저부(214), 절곡부(216), 및 에지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214)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수용될 수 있다. 절곡부(216)는 커팅 에지(212)와 인접하는 기저부(214)의 높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에지부(218)는 절곡부(216)의 일단과 연결되며, 커팅 에지(212)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는 절곡날 또는 강대날일 수 있다.
한편, 기저부(214)는 기저부(214)의 종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1노치(first notch, 2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치(2142)는 기저부(214)의 종방향 양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1노치(2142)는,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연결부(2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220)은 사이드 슬릿(side slit, 229) 및 그루브(groove, 227)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슬릿(229)은 횡측면(226)을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230)의 제2연장부(235)의 적어도 일부는 사이드 슬릿(229)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루브(227)는 횡측면(226)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연장부(235)의 일단과 인접한 제2연장부(235)의 다른 적어도 일부는 그루브(227)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고정된 고정부재(230)가 블레이드 하우징(2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230)는 연결부(232) 및 제2연장부(second elongated portion, 23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32)는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32)는 블레이드 하우징(220) 상에서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 홀(receiving hole, 26)에 수용될 수 있다.
기저부(214)의 종방향 일단은 연결부(2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부(214)의 종방향 일단에 형성된 제1노치(2142)와 연결부(232)의 일측은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저부(214)의 종방향 일단과 연결부(232)의 일측이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 및 고정부재(230)는 하나의 단일 유닛(single unit)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 및 고정부재(230)는, 단일 유닛의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조립 및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230)가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2연장부(235)는 연결부(232)의 횡방향 일단으로부터 횡측면(226)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연장부(235)의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사이드 슬릿(229)에 수용되거나,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종측면(228)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2연장부(235)는 두 개의 사이드 슬릿(229)에 각각 수용되거나, 또는, 두 개의 종측면(228)을 각각 감쌀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제2연장부(235) 중 하나는 사이드 슬릿(229)에 수용되고, 다른 하나는 종측면(228)을 감쌀 수도 있다.
고정부재(230)를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2연장부(235)의 일단은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장부(235)의 일단은 횡측면(226)과 대면할 수 있다.
제2연장부(235)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를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연장부(235)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절곡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230)는, 연결부(232) 및 제2연장부(235)를 통해,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30)는, 면도 블레이드(210)와 같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220)은 날 안착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날 안착부(225)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날 안착부(225)는 복수의 안착 돌기(22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착 돌기(2252)는 실질적으로 높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착 돌기(2252)는 서로 이웃하는 안착 돌기(2252) 사이에 면도 블레이드(210)의 기저부(214)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이 날 안착부(22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날 안착부(225)는 하측 프레임(24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b) 및 도 7(c)에서는, 도 5의 Ⅶ-Ⅶ' 방향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단면도를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230)의 연결부(232)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상면(222) 상에 형성된 수용 홀(2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232)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횡측면(226)과 대면할 수 있다.
제2연장부(235)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형성된 사이드 슬릿(229) 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종측면(228)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연결부(232)는 블레이드 하우징(220) 상에서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 홀(26)에 수용될 수 있다.
제2연장부(235)의 적어도 일부가 사이드 슬릿(229) 내에 수용되거나 종측면(228)과 대면한 상태에서, 제2연장부(235)의 일단은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장부(235)의 일단과 인접한 제2연장부(235)의 다른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그루브(227)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230)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부재(230) 및 고정부재(230)와 연결된 면도 블레이드(210)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후술될 도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3실시예는, 연결부가 기저부의 종방향 일단과 연결되고 연장부가 연결부의 높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3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 블레이드 하우징(320), 및 고정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커팅 에지(312)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상면(322), 하면(324), 횡측면(326), 및 종측면(328)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가드 부(321) 및 캡 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부(321)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상면(3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캡 부(323)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상면(3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3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를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측 프레임(340)이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하면(32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면도기 핸들(미도시)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터(3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면도기 카트리지(30)가 하측 프레임(34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30)는 하측 프레임(34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342)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일측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는 기저부(314), 절곡부(316), 및 에지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314)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수용될 수 있다. 절곡부(316)는 커팅 에지(312)와 인접하는 기저부(314)의 높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에지부(318)는 절곡부(316)의 일단과 연결되며, 커팅 에지(312)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는 절곡날 또는 강대날일 수 있다.
한편, 기저부(314)는 기저부(314)의 종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2노치(second notch, 3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노치(3144)의 기저부(314)는 기저부(314)의 종방향 양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노치(3144)는,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연결부(3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330)는 연결부(332) 및 제3연장부(third elongated portion, 33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32)는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332)는 횡측면(326) 상에 배치되거나, 블레이드 하우징(320)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착 홀(receiving hole, 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기저부(314)의 종방향 일단은 연결부(3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부(314)의 종방향 일단에 형성된 제2노치(3144)와 연결부(332)의 일측은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저부(314)의 종방향 일단과 연결부(332)의 일측이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 및 고정부재(330)는 하나의 단일 유닛(single unit)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 및 고정부재(330)는, 단일 유닛의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조립 및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330)가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3연장부(336)는 하면(324)과 인접한 연결부(332)의 높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종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연장부(336)의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하면(324)과 대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연장부(336)의 일단은 하면(324)과 접촉하거나, 하면(324)과 마주보도록 이격될 수 있다.
고정부재(330)를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3연장부(336)의 일단은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연장부(336)의 일단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형성된 함몰부(recess, 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함몰부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하면(324)으로부터 상면(322)을 향해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330)는, 연결부(332) 및 제3연장부(336)를 통해,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330)는, 면도 블레이드(310)와 같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날 안착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날 안착부(325)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날 안착부(325)는 복수의 안착 돌기(32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착 돌기(3252)는 실질적으로 높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착 돌기(3252)는 서로 이웃하는 안착 돌기(3252) 사이에 면도 블레이드(310)의 기저부(314)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이 날 안착부(32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날 안착부(325)는 하측 프레임(34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서는, 도 8의 ⅩⅠ-ⅩⅠ' 방향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의 단면도를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30)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30)는 고정부재(330)의 적어도 일부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횡측면(326)과 대면하도록 배치되거나,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안착 홀(미도시)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30)의 적어도 일부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안착 홀(미도시)에 수용되거나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횡측면(326)과 대면한 상태에서, 고정부재(330)는 고정부재(330)의 일단이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하면(324)과 대면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 홀(미도시)에 수용되거나 횡측면(326)과 대면하는 고정부재(330)의 영역은 연결부(332)가 될 수 있으며, 하면(324)과 대면하는 고정부재(330)의 영역은 제3연장부(336)가 될 수 있다.
연결부(332) 및 제3연장부(336)를 통해, 고정부재(330)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부재(330) 및 고정부재(330)와 연결된 면도 블레이드(310)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3연장부(336)의 일단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하면(324)과 대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330)를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더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제3연장부(336)의 일단은 절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연장부(336)의 일단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하면(324)에 형성된 함몰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1(c) 및 도 11(d)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하면(324) 상에 하측 프레임(34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후술될 도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4실시예는, 연결부가 기저부의 높이방향 일단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4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4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4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 블레이드 하우징(420), 및 고정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420)은 커팅 에지(412)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420)은 상면(422), 하면(424), 횡측면(426), 및 종측면(428)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420)은 가드 부(421) 및 캡 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부(421)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상면(4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캡 부(423)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상면(4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3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를 블레이드 하우징(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측 프레임(440)이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하면(42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면도기 핸들(미도시)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터(4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40)를 도 12의 ⅩⅤ-ⅩⅤ'의 방향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는 기저부(414), 절곡부(416), 및 에지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414)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에 수용될 수 있다. 절곡부(416)는 커팅 에지(412)와 인접하는 기저부(414)의 높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에지부(418)는 절곡부(416)의 일단과 연결되며, 커팅 에지(412)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는 절곡날 또는 강대날일 수 있다.
한편, 기저부(414)는 커팅 에지(412)와 이격된 기저부(414)의 높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제3노치(third notch, 4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노치(4146)는 기저부(414)의 높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3노치(4146)는,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연결부(4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430)는 연결부(432) 및 제4연장부(fourth elongated portion, 43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32)는 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432)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하면(42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저부(414)의 높이방향 일단은 연결부(4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부(414)의 높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제3노치(4146)와 연결부(432)의 일측은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저부(414)의 높이방향 일단과 연결부(432)의 일측이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 및 고정부재(430)는 하나의 단일 유닛(single unit)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 및 고정부재(430)는, 단일 유닛의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420)에 조립 및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430)가 블레이드 하우징(420)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제4연장부(437)는 연결부(432)의 횡방향 일단으로부터 상면(42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4연장부(437)의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 홀(41)에 수용되거나,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종측면(428)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4연장부(437)는 두 개의 관통 홀(41)에 각각 수용되거나, 또는, 두 개의 종측면(428)을 각각 감쌀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제4연장부(437) 중 하나는 관통 홀(41)에 수용되고, 다른 하나는 종측면(428)을 감쌀 수도 있다.
고정부재(430)를 블레이드 하우징(42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4연장부(437)의 일단은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연장부(437)의 일단은 상면(422)과 대면할 수 있다.
제4연장부(437)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를 향하도록 절곡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절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4연장부(437)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를 향하도록 절곡되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제4연장부(437) 모두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를 향하도록 절곡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절곡될 수도 있다.
한편, 전방에 배치된 제4연장부(437)의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절곡되는 경우, 그 제4연장부(437)의 일단은 가드 부(421)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할 수 있다.
고정부재(430)는, 연결부(432) 및 제4연장부(437)를 통해,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하면(424) 상에 하측 프레임(440)이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재(430)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적어도 일부와 하측 프레임(440)의 일측을 감쌀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432)는 하측 프레임(440)의 일측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4연장부(437)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430)는, 면도 블레이드(410)와 같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측 프레임(440)은 날 안착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날 안착부(445)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4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날 안착부(445)는 복수의 안착 돌기(44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착 돌기(4452)는 실질적으로 높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착 돌기(4452)는 서로 이웃하는 안착 돌기(4452) 사이에 면도 블레이드(410)의 기저부(414)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하측 프레임(440)이 날 안착부(44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날 안착부(445)는 블레이드 하우징(4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40)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430)는 연결부(432)가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하면(424)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고정부재(430)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하면(424)을 향해,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4연장부(437)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에 형성된 관통 홀(41) 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종측면(428)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연장부(437)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 홀(41) 내에 수용되거나 종측면(428)과 대면한 상태에서, 제4연장부(437)의 일단은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430)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부재(430) 및 고정부재(430)와 연결된 면도 블레이드(410)는 블레이드 하우징(4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6(b) 및 도 16(c)를 참조하면, 하측 프레임(440)은 블레이드 하우징(420)의 하면(424)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각 면도 블레이드(410)는 각 면도 블레이드(410)와 대응되는 안착 돌기(445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40)는 완전히 조립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면도기 카트리지 110: 면도 블레이드
112: 커팅 에지 114: 기저부
116: 절곡부 118: 에지부
120: 블레이드 하우징 125: 날 안착부
130: 고정부재 132: 연결부
134: 제1연장부 140: 하측 프레임
235: 제2연장부 336: 제3연장부
437: 제4연장부

Claims (9)

  1.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으로서, 상기 커팅 에지가 향하는 상면(top side) 및 상기 상면과 대면하는 하면(bottom side)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fixing member)로서, 상기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connecting portion)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의 일측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상기 고정부재는 하나의 단일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first elongated portion)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수용되는 기저부(base portion) 및 상기 커팅 에지를 가지는 에지부(edge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되는 하측 프레임(bottom side frame)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날 안착부(blade mounting portion)를 포함하는 하측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수용되는 기저부, 상기 커팅 에지와 인접하는 기저부의 높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bended portion), 및 상기 절곡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커팅 에지를 가지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금속 재질(metal materia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의 일측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용접(wel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의 일측은 접착제(adhesive)를 통해 상기 연결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KR1020200063185A 2020-05-26 2020-05-26 면도기 카트리지 KR10247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85A KR102473133B1 (ko) 2020-05-26 2020-05-26 면도기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85A KR102473133B1 (ko) 2020-05-26 2020-05-26 면도기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118A true KR20210146118A (ko) 2021-12-03
KR102473133B1 KR102473133B1 (ko) 2022-12-01

Family

ID=7886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185A KR102473133B1 (ko) 2020-05-26 2020-05-26 면도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1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904A (ko) * 2004-02-09 2006-12-22 더 지렛트 캄파니 면도기 및 그 제조 방법 및 면도기용 부조립체
WO2017161341A1 (en) * 2016-03-18 2017-09-21 Personal Care Marketing And Research, Inc. Razor cartridge
KR101876232B1 (ko) * 2018-01-02 2018-07-10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KR20190026654A (ko) * 2016-07-06 2019-03-13 빅-비올렉스 에스아 면도기 부품, 면도 카트리지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904A (ko) * 2004-02-09 2006-12-22 더 지렛트 캄파니 면도기 및 그 제조 방법 및 면도기용 부조립체
WO2017161341A1 (en) * 2016-03-18 2017-09-21 Personal Care Marketing And Research, Inc. Razor cartridge
KR20190026654A (ko) * 2016-07-06 2019-03-13 빅-비올렉스 에스아 면도기 부품, 면도 카트리지 및 제조 방법
KR101876232B1 (ko) * 2018-01-02 2018-07-10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133B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878B1 (ko) 면도기 카트리지
US10940597B2 (en) Razor cartridge having a blade housing with slits receiving clips for securing razor blades
US20190168401A1 (en) Shaving blade cartridge
US20110232101A1 (en) Unitary cartridge
US832754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azor cartridge
KR102180992B1 (ko) 면도칼 카트리지, 이러한 면도칼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면도기 및 이러한 면도칼 카트리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44206B1 (ko) 면도기 시스템
JP2018511375A (ja) 剃毛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US20230158694A1 (en) Razor cartridge
KR102663916B1 (ko) 면도기 카트리지
KR102449754B1 (ko) 면도기 시스템
KR20170072887A (ko) 면도 블레이드 카트리지 및 이러한 면도 블레이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면도기
US20210170615A1 (en) Razor cartridge
US11511448B2 (en) Razor cartridges
US20230120418A1 (en) Razor cartridge
KR20210146118A (ko) 면도기 카트리지
JP2018507737A (ja) 剃毛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KR20130125538A (ko) 면도기 카트리지
CN113910306A (zh) 静刀及具有该静刀的剃毛器
JP3739476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KR102655425B1 (ko) 면도기 카트리지
CN216399717U (zh) 一种毛发修剪器
KR102316117B1 (ko) 면도기 카트리지
CN216399723U (zh) 静刀及具有该静刀的剃毛器
KR102292824B1 (ko) 카트리지용 판재, 이를 이용한 면도기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