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581A -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581A
KR20210145581A KR1020200062635A KR20200062635A KR20210145581A KR 20210145581 A KR20210145581 A KR 20210145581A KR 1020200062635 A KR1020200062635 A KR 1020200062635A KR 20200062635 A KR20200062635 A KR 20200062635A KR 20210145581 A KR20210145581 A KR 2021014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late
wing plate
plate
wing
cover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건설
Priority to KR102020006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5581A/ko
Publication of KR2021014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의 양쪽에 형성되는 한쌍의 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H beam의 외부를 모두 피복하여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일측 날개판에 상단과 하단에 결속끈을 구비하는 날개판피복천을 날개판의 바깥쪽으로 부터 감싸 날개판피복천의 양측단부가 날개판의 안쪽을 감싸고 동시에 내측판의 일부까지 감싸지도록 한 다음 상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상단 위로 결속되도록 하고 하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하단 아래로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H beam을 뒤집는 단계와, 타측 날개판에 상단과 하단에 결속끈을 구비하는 날개판피복천을 날개판의 바깥쪽으로 부터 감싸 날개판피복천의 양측단부가 날개판의 안쪽을 감싸고 동시에 내측판의 일부까지 감싸지도록 한 다음 상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상단 위로 결속되도록 하고 하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하단 아래로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판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내측판피복천으로 내측판을 빙둘러 감싸되 내측판의 일부를 감싸고 있는 날개판피복천의 일부분도 함께 감싸서 피복하는 단계와, 내측판피복천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착면이 내측판피복천의 타측면에 접착되도록 하거나 날개판피복천의 일측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H beam의 외측을 완벽하게 커버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시멘트물이 H beam과 접하는 것을 차단하여 H beam의 인발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H beam recovery method of temporary retaining timber soil retaining}
본 발명은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및 토목공사시 기초공사를 위해 설치되는 가설 흙막이 벽 시공을 위해 형성하는 콘크리트 기둥에 매설된 말뚝, 즉 에이치빔(H beam)을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 흙막이 벽 시공용 H beam은 건물 신축을 위한 기초공사시 지하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굴착을 해야할 경우 굴착한 곳으로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주변 건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굴착할 장소의 외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시공되어 진다.
특히 도심에서는 높은 건축물 신축을 위해 지반을 굴착할 때 주로 연속벽체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연속벽체 공법은 지반에 미리 드릴굴착기로 파일공들을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뚫고, 상기 파일공에 H beam을 넣은 다음 콘크리트를 통공과 H beam 사이에 타설하여 흙막이 벽을 구축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연속벽체의 강성이 증대되면 비용절감을 위해 H beam은 인발시켜 재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H beam은 콘크리트기둥 속에 매설된 상태여서 이를 인발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인발하지 못한 H beam은 회수를 못함으로 인해 고가의 H빔이 땅속에 매설된 상태로 사장되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공사 시공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파일공이 삽입될 H beam의 길이보다 길 경우에는 2개 이상의 H beam을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때 연결부위에 철판을 덧대거나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게 되므로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발생하거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어 H beam의 인발이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가설 흙막이 벽 시공용 파일로 사용되는 Hbeam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외면 전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일정 두께의 우레탄발포층을 일체로 형성한 가설흙막이 벽 시공용 파일이 실용신안출원 제20-2005-0013238호로 선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H beam을 공장으로 가져가서 H beam의 외면전체에 폴리우레판을 피복하는 구조여서 수m에 이르는 고하중의 H beam의 이동 및 운반, 피복이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고비용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안전상에도 심각한 위해가 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가벼우면서도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인 플라스틱으로 H beam의 외형에 맞춰 미리 제작하였다가 공사현장에서 H beam의 외주면에 씌워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 H beam을 커버와 접착테이프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콘크리트와 H beam의 접촉을 원천차단하여 H beam이 커버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원활하게 하여 결국 H beam을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결국 문제는 이처럼 H beam의 커버가 길이가 길고 또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출성형으로도 제작하기 어렵고, 또 압출성형에 의해 기성품으로 제작하였다 하더라도 H beam으로 사용되는 H beam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가 제작하는 회사마다 다 달라 정확하게 맞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즉 H beam은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의 양측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내측판과 날개판의 폭과 두께, 길이가 H beam을 제작하는 회사마다 다 달라 커버를 일정하게 제작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크기와 구조가 다 다른 H beam에 억지로 커버를 씌울 경우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 두께의 차이로 인해 커버 일측이 벌어지거나, 커버 내측의 여유공간이 남음으로 인해 커버 일측면에 주름이 잡히거나, 일측면의 길이는 맞는데 타측면의 길이는 맞지 않는 등으로 인한 커버의 일부가 터지는 등의 엄청난 문제들을 수반하는 것이어서 결국 H beam 재사용을 위한 피복에 대한 관련특허들이 많이 출원되어 있지만 실제 공사현장에서는 하나도 제대로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7-0050750호
2.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925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H beam의 노출면을 모두 피복천으로 커버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H beam이 콘크리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H beam을 회수할 때는 피복천을 모두 벗겨냄으로써 H beam이 쉬 인발될 수 있도록 하여 고가의 H beam의 회수율을 높임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공사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쉬운 회수를 위한 피복방법은,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의 양쪽에 형성되는 한쌍의 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H beam의 외부를 모두 피복하여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일측 날개판에 상단과 하단에 결속끈을 구비하는 날개판피복천을 날개판의 바깥쪽으로 부터 감싸 날개판피복천의 양측단부가 날개판의 안쪽을 감싸고 동시에 내측판의 일부까지 감싸지도록 한 다음 상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상단 위로 결속되도록 하고 하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하단 아래로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H beam을 뒤집는 단계와, 타측 날개판에 상단과 하단에 결속끈을 구비하는 날개판피복천을 날개판의 바깥쪽으로 부터 감싸 날개판피복천의 양측단부가 날개판의 안쪽을 감싸고 동시에 내측판의 일부까지 감싸지도록 한 다음 상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상단 위로 결속되도록 하고 하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하단 아래로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판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내측판피복천으로 내측판을 빙둘러 감싸되 내측판의 일부를 감싸고 있는 날개판피복천의 일부분도 함께 감싸서 피복하는 단계와, 내측판피복천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착면이 내측판피복천의 타측면에 접착되도록 하거나 날개판피복천의 일측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H beam의 외측을 완벽하게 커버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시멘트물이 H beam과 접하는 것을 차단하여 H beam의 인발을 용이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은 H beam의 상단에 날개판피복천의 상단결속끈이 형성되고 내측판피복천의 접착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결속끈을 풀고 접착부만 떼어내면 H beam이 노출되므로 쉽게 H beam을 인발할 수 있어 고가의 "H beam"의 회수를 통한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공사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1 은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에 피복천을 피복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의 날개판에 날개판피복천을 피복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의 내측판에 내측판피복천을 피복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의 내측판피복천의 끝단을 접착하여 내측판의 피복을 마무리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의 피복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V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H beam의 인발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에 피복천을 피복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의 날개판에 날개판피복천을 피복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의 내측판에 내측판피복천을 피복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의 내측판피복천의 끝단을 접착하여 내측판의 피복을 마무리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H beam의 피복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V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H beam의 인발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쉬운 회수를 위한 피복방법은 내측판(111)과 상기 내측판(111)의 양쪽에 형성되는 한쌍의 날개판(112)으로 이루어지는 H beam(110)의 외부를 모두 피복하여 콘크리트(A)와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 먼저 일측 날개판(112)에 상단과 하단에 결속끈(121,121a)을 구비하는 날개판피복천(120)을 날개판(112)의 바깥쪽으로 부터 감싸 날개판피복천(120)의 양측단부가 날개판(112)의 안쪽을 감싸고 동시에 내측판(111)의 일부까지 감싸도록 하되 날개판피복천(120)의 상단결속끈(121)들은 내측판(111)의 상단 위로 결속되도록 하고 하단결속끈(121a)들은 내측판(111)의 하단 아래로 결속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H beam(110)을 뒤집는 단계와, 상기 타측 날개판(112)에 상단과 하단에 결속끈(121,121a)을 구비하는 날개판피복천(120)을 날개판(112)의 바깥쪽으로 부터 감싸 날개판피복천(120)의 양측단부가 날개판(112)의 안쪽을 감싸고 동시에 내측판(111)의 일부까지 감싸도록 하되 날개판피복천(120)의 상단결속끈(121)들은 내측판(111)의 상단 위로 결속되도록 하고 하단결속끈(121a)들은 내측판(111)의 하단 아래로 결속되도록 하는 단계와, 내측판피복천(1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착면(131)이 내측판피복천(130)의 타측면에 접착되도록 하거나 날개판피복천(120)의 일측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는 H beam(110)이 상당한 크기와 하중을 갖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피복순서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날개판피복천(120)은 날개판(112)의 상단과 하단을 모두 감싸도록 커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크리트물과 H beam(110)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 날개판피복천(120)과 내측판피복천(130)은 천막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수성의 합성수지천이나 비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날개판피복천(120)과 내측판피복천(130)이 H beam(110)을 감싼 상태에서는 방수가 되어 콘크리트물이 H beam(110)의 표면에 접하지 않도록 하고, 또 H beam(110)의 인발시에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쉽게 빠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내측판피복천(130)의 일측면에는 접착면(131)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접착면(131)은 내측판피복천(130)의 끝단부만 일부 형성할 수도 있고, 내측판피복천(130)의 어느 한면에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접착면(131)을 내측판피복천(130)의 끝단부만 일부 형성하는 경우는 내측판피복천(130)으로 내측판(111)을 감싼 후 붙여서 내측판피복천(130)이 들러붙어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또 내측판피복천(130)의 어느 한면에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접착면(131)을 형성하는 경우는 내측판(111)의 일부를 감싸고 있는 날개판피복천(120)의 일부분에만 접착면(131)이 접착되고, 내측판(111)의 중간부, 즉 노출된 상태의 내측판(111)에는 접착면(131)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내측판피복천(130)의 접착면(131)이 내측판(111)이 접착될 경우 H beam(110)을 인발하는데 있어 내측판피복천(130)이 H beam(1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인발에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내측판피복천(130)의 접착면(131)은 사용전에는 보호비닐지(미도시)에 의해 접착면(131)을 보호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내측판피복천(130)에 접착면(131)을 형성하여 H beam(110)의 내측판(111)을 감싸게 되면 콘크리트 물이 쉽게 피복천(120,130)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되고, 결국 H beam(110)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 날개판피복천(12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결속끈(121,121a)은 날개판피복천(120)이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피복된 H beam
110: H beam
111: 내측판
112: 날개판
120: 날개판피복천
121: 상단결속끈
121a: 하단결속끈
130: 내측판피복천
A: 콘크리트
B: 인발구멍

Claims (1)

  1.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의 양쪽에 형성되는 한쌍의 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H beam의 외부를 모두 피복하여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일측 날개판에 상단과 하단에 결속끈을 구비하는 날개판피복천을 날개판의 바깥쪽으로 부터 감싸 날개판피복천의 양측단부가 날개판의 안쪽을 감싸고 동시에 내측판의 일부까지 감싸지도록 한 다음 상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상단 위로 결속되도록 하고 하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하단 아래로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H beam을 뒤집는 단계와,
    타측 날개판에 상단과 하단에 결속끈을 구비하는 날개판피복천을 날개판의 바깥쪽으로 부터 감싸 날개판피복천의 양측단부가 날개판의 안쪽을 감싸고 동시에 내측판의 일부까지 감싸지도록 한 다음 상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상단 위로 결속되도록 하고 하단결속끈들은 내측판의 하단 아래로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판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내측판피복천으로 내측판을 빙둘러 감싸되 내측판의 일부를 감싸고 있는 날개판피복천의 일부분도 함께 감싸서 피복하는 단계와,
    내측판피복천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착면이 내측판피복천의 타측면에 접착되도록 하거나 날개판피복천의 일측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

KR1020200062635A 2020-05-25 2020-05-25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 KR20210145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635A KR20210145581A (ko) 2020-05-25 2020-05-25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635A KR20210145581A (ko) 2020-05-25 2020-05-25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581A true KR20210145581A (ko) 2021-12-02

Family

ID=7886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635A KR20210145581A (ko) 2020-05-25 2020-05-25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55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4422A (en) Pile splicing apparatus and method
JPH02506B2 (ko)
ITMI950063A1 (it) Sistema per formare sott'acqua rivestimenti impermeabili protettivi di opere idrauliche
JP6869198B2 (ja) 合成地下外壁とその施工方法
CN100416006C (zh) 新旧混凝土建筑接头伸缩缝的防水构造方法及结构
JP2015194059A (ja)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及びフーチング部コンクリートとの一体化工法
US3427662A (en) Swimming pool construction
KR102453839B1 (ko) 프리캐스트 방호벽 부재를 이용한 교량 방호벽 구조
KR101048628B1 (ko) 유닛 쏘일 네일링용 상부밀봉마개 및 하부밀봉마개, 상기 상/하부밀봉마개가 구비된 유닛 쏘일 네일링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US4459063A (en) Building construction
US3228712A (en) Pipe joint and band therefor
JP2007126906A (ja) 透水層混在軟弱地盤の真空圧密改良工法
KR20210145581A (ko) 가설 흙막이용 에이치빔의 회수방법
KR101531766B1 (ko) 연약 지반에 터널을 설치하기 위한 선지보 터널 공법
JPS6256296B2 (ko)
KR1003104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200422924Y1 (ko) 가설 흙막이 벽 시공용 파일
KR200392543Y1 (ko) 가설 흙막이 벽 시공용 파일
KR200392177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200370627Y1 (ko)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WO2012070836A2 (ko) 소일네일링용 가압식 패커와 이를 이용한 소일네이링 공법
JP2672472B2 (ja) 連続地中壁への防水層形成方法
KR101547674B1 (ko) 사면보강용 네일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63031B1 (ko) 보강재와 주름관이 적용된 복합보강유닛을 이용한 옹벽 구축 방법
KR100469536B1 (ko) 연장이음부를 갖는 가설흙막이 벽체용 파일의 이형피복형성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인출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