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442A -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442A
KR20210145442A KR1020200062335A KR20200062335A KR20210145442A KR 20210145442 A KR20210145442 A KR 20210145442A KR 1020200062335 A KR1020200062335 A KR 1020200062335A KR 20200062335 A KR20200062335 A KR 20200062335A KR 20210145442 A KR20210145442 A KR 20210145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breast milk
milk
volu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225B1 (ko
Inventor
강남미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5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measuring tissue layers, e.g. skin,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3Measuring volume, e.g. of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5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by non-invasive methods, e.g. for determining thickness of tissu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61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 A61B5/4288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mammary secre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25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for diagnosis of the breast, e.g.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3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acquisition of a 3D volume of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8/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 A61B8/565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involving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방 내 모유량을 측정하는 모유량 측정장치; 및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모유량을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유방을 커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방을 향해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유방으로부터 반사된 제 2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부; 반사된 상기 제 2초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유방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 상기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상기 유방 내의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하는 부피 추정부; 및 추정된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로부터 유관 및 유관동에 각각 포함된 모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하는 모유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MOTHER'S MILK QUANTITY USING ULTRASONIC WAV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유를 아기에게 먹이는 경우 젖병을 이용함으로써 아기가 먹은 분유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지만, 모유를 아기에게 먹이는 경우 아기가 얼마나 먹었는지 알 수 없고, 또한 아기가 먹은 모유량이 아기에게 충분한지 여부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없어 아기가 보내는 신호를 통해 모유량을 추정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아기가 먹은 모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유 전후의 아기의 체중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었고, 또한,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유방의 임피던스를 측정한 후 해당 임피던스를 유방 내의 수분량으로 환산함으로써 해당 수분량에 의해 모유량을 산출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부정확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정확한 모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유방 내 모유 생성 기관의 부피를 추정한 후 해당 모유 생성 기관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함으로써 유방 내의 모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3002호(2011.06.29.공개)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방 내 모유 생성 기관인 유선,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함으로써 해당 유선, 유관 및 유관동에 포함된 전체 모유량을 산출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모유량 변화 정보와, 임산부의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를 각각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가 특정 시기에 있어서의 자신의 모유량과 적정 모유량을 비교하도록 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모유량 변화 정보와, 해당 사용자와 유방 조건이 유사한 타 사용자의 모유량 변화 정보를 각각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가 특정 시기에 있어서의 자신의 모유량과 타 사용자의 모유량을 비교하도록 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과 해당 시기별 적정 모유량의 차이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현재 모유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모유량을 적정 모유량으로 증감하도록 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방 내 모유량을 측정하는 모유량 측정장치; 및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모유량을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유방을 커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방을 향해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유방으로부터 반사된 제 2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부; 반사된 상기 제 2초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유방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 상기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상기 유방 내의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하는 부피 추정부; 및 추정된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로부터 유관 및 유관동에 각각 포함된 모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하는 모유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상기 유방을 향해 상기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면서 상기 유방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 2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스듀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몸체부 내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방을 향한 상기 제 1초음파 신호의 발신 지점이 가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트랜스듀서에 수신된 상기 제 2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유방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하는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 및 상기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유방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유방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은, 상기 제 1초음파 신호의 발신 지점과 매칭하는 상기 유방의 특정 영역에 대한 2차원 이미지 형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피 추정부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을 각각 추출하는 기관 추출모듈; 및 상기 기관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하는 부피 추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유량 산출부는, 상기 부피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로부터 각각의 유관 및 유관동에 포함된 모유량을 측정하는 모유량 측정모듈; 및 상기 모유량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모유량을 합산하여 상기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하는 모유량 산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관 추출모듈은, 상기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유선을 더 추출하고, 상기 부피 추정모듈은, 상기 기관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상기 유선의 부피를 더 추정하며, 상기 모유량 측정모듈은, 상기 부피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상기 유선의 부피로부터 각각의 유선에 포함된 모유량을 더 측정하고, 상기 모유량 산출모듈은, 상기 모유량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유선의 모유량을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모유량에 더 합산하여 상기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모유량을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모유량과 관련된 모유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유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유정보 제공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유정보 제공서버는,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모유량을 수신하여 상기 모유정보를 생성하는 모유정보 생성부; 상기 모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모유정보를 저장하는 모유정보 저장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유정보를 상기 모유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유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유정보는,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사용자별 모유량 변화 정보; 임산부의 출산 전후에 따른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모유량에 따른 시기별 적정 모유량을 위한 모유량 증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유정보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별 모유량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 상기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를 저장하는 시기별 모유량 저장모듈; 및 상기 시기별 적정 모유량을 위한 모유량 증감 정보를 저장하는 증감정보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유정보 제공부는, 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일 사용자와 유방 조건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유사 범위 내의 타 사용자의 모유량 변화 정보를 상기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에서 추출하여 상기 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에 의하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방 내 모유 생성 기관인 유선,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함으로써 해당 유선, 유관 및 유관동에 포함된 전체 모유량을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모유량 변화 정보와, 임산부의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를 각각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가 특정 시기에 있어서의 자신의 모유량과 적정 모유량을 비교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모유량 변화 정보와, 해당 사용자와 유방 조건이 유사한 타 사용자의 모유량 변화 정보를 각각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가 특정 시기에 있어서의 자신의 모유량과 타 사용자의 모유량을 비교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과 해당 시기별 적정 모유량의 차이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현재 모유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모유량을 적정 모유량으로 증감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유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센서부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피 추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유량 산출부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유정보 제공서버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유량 측정장치(100), 모유량 측정장치와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200), 및 모유량 측정장치, 휴대용 단말기와 각각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모유정보 제공서버(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유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먼저, 모유량 측정장치(10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방 내 모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유량 측정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으로, 몸체부(110), 초음파 센서부(120), 이미지 생성부(130), 부피 추정부(140), 및 모유량 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유방 형상과 유사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유방에 밀착됨으로써 해당 유방을 커버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부(120)는 몸체부 내주면에 구비되어 유방을 향해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유방으로부터 반사된 제 2초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센서부의 작동도이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센서부(120)는 유방을 향해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면서 유방으로부터 반사된 제 2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스듀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듀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 내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방을 향한 제 1초음파 신호의 발신 지점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0)는 내주면에 격자 형태의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트랜스듀서가 레일 롤러(미도시)를 통해 해당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부 내주면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트랜스듀서는 몸체부 내주면의 특정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하며 유방을 향해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함으로써 해당 제 1초음파 신호의 발신 지점과 발신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이미지 생성부(130)는 반사된 제 2초음파 신호로부터 유방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미지 생성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으로,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1), 및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1)은 트랜스듀서에 수신된 복수의 제 2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유방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초음파 신호의 발신 지점과 매칭하는 유방의 특정 영역에 대한 2차원 이미지 형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랜스듀서는 몸체부 내주면에 구비된 레일(미도시)의 각 격자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며 유방을 향해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함으로써 해당 유방으로부터 제 1초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제 2초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1)은 각 격자점에 위치한 트랜스듀서가 수신한 제 2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트랜스듀서가 위치하는 각 격자점과 대응하는 유방의 특정 영역에 대한 2차원 이미지 형상을 각각 생성함으로써 유방의 전체 영역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2)은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유방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 형상을 이용하여 해당 유방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2)은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전체 유방을 구성하는 각 영역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 형상을 서로 합성하여 유방 전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이미지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방의 전체 영역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2)은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 내에 포함된 모유 기관, 즉 유선, 유관 및 유관동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생성된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유방 크기 및 타입, 유두 직경 및 길이, 유륜 직경 등을 추가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피 추정부의 구성도이다.
부피 추정부(140)는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유방 내의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피 추정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으로, 기관 추출모듈(141), 및 부피 추정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기관 추출모듈(141)은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유관 및 유관동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은 모유가 생성되는 기관이고, 유관은 유선에서 생성된 모유를 유관동으로 운반하는 기관이며, 유관동은 유관을 통해 운반된 모유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기관으로, 기관 추출모듈(141)은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132)에서 생성된 전체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해당 3차원 이미지 형상 내부에 포함된 모든 유관 및 유관동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부피 추정모듈(142)은 기관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피 추정모듈(142)은 예를 들어, 유방, 유관 및 유관동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하거나, 유방의 크기에 대한 유관 및 유관동의 상대 크기를 이용하여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하는 등 다양한 부피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유량 산출부의 구성도이다.
모유량 산출부(150)는 추정된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로부터 해당 유관 및 유관동에 각각 포함된 모유량을 측정하여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유량 산출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으로, 모유량 측정모듈(151), 및 모유량 산출모듈(152)을 포함할 수 있다.
모유량 측정모듈(151)은 부피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로부터 각각의 유관 및 유관동에 포함된 모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관 및 유관동은 내부에 포함된 모유량에 따라 그 부피가 상이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유량 측정모듈(151)은 부피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각 유관의 부피로부터 모든 유관의 총 부피에 대응하는 모유량을 다양한 부피 연계 모유량 측정 관계식이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유관동의 부피로부터 해당 유관동의 부피에 대응하는 모유량을 상기한 부피 연계 모유량 측정 관계식이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모유량 산출모듈(152)은 모유량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모유량을 모두 합산하여 상기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기관 추출모듈(141)은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모유 생성 기관인 유선을 더 추출할 수 있다.
해당 경우, 부피 추정모듈(142)은 유관 및 유관동 외에, 기관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모든 유선의 부피를 다양한 부피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더 추정할 수 있고, 모유량 측정모듈(151)은 유관 및 유관동 외에, 부피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모든 유선의 부피로부터 각각의 유선에 포함된 모유량을 다양한 부피 연계 모유량 측정 관계식이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더 측정할 수 있으며, 모유량 산출모듈(152)은 모유량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유선의 모유량을 유관 및 유관동의 모유량에 더 합산함으로써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모유량 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된 모유량을 해당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200)는 모유량 측정장치(100)의 모유량 측정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유정보 제공서버(300)로부터 해당 모유량과 관련된 모유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200)는 모유량 측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유방 내 모유량을 측정한 사용자의 단말로,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유량 측정장치(100) 및 모유정보 제공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아울러, 모유정보 제공서버(300)는 모유량 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된 모유량을 해당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모유량과 관련된 모유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모유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유정보 제공서버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모유정보 제공서버(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으로, 모유정보 생성부(310), 모유정보 저장부(320), 및 모유정보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유정보 생성부(310)는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모유량을 수신하여 모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모유정보는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측정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사용자별 모유량 변화 정보, 임산부의 출산 전후의 특정 시기에 따른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모유량에 따른 시기별 적정 모유량에 도달하기 위한 모유량 증감 방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유정보 저장부(320)는 모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모유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유정보 저장부(320)는 그 구성으로,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321), 시기별 모유량 저장모듈(322), 및 증감정보 저장모듈(3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321)은 사용자별 모유량 변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321)은 특정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을 각각 저장하고, 해당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모유량 변화 정보를 그래프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표현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자신의 모유량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기별 모유량 저장모듈(322)은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기별 모유량 저장모듈(322)은 일반적인 임산부가 출산전에 필요한 적정 모유량 정보, 및 해당 임산부가 출산후 특정 시점별로 필요한 적정 모유량 정보를 각각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출산 전후의 특정 시점에 따라 해당 시점에 필요한 적정 모유량이 어느 정도인지 직접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증감정보 저장모듈(323)은 시기별 적정 모유량을 위한 모유량 증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증감정보 저장모듈(323)은 사용자의 현재 모유량에 따라 시기별 적정 모유량을 달성하기 위한 모유량 증감 방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감정보 저장모듈(323)은 사용자의 특정 시기의 현재 모유량이 해당 시기의 적정 모유량보다 적은 경우에 모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모유량 증가 정보와, 사용자의 특정 시기의 현재 모유량이 해당 시기의 적정 모유량보다 많은 경우에 모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모유량 감소 정보를 각각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모유량에 따라 필요한 모유량 증가 정보 또는 감소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정보를 기초로 자신의 모유량을 증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
모유정보 제공부(3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모유정보를 모유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유정보 제공부(3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모유량 변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과 해당 시기별 적정 모유량의 차이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현재 모유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모유량 증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모유정보 제공부(330)는 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일 사용자와 유방 조건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유사 범위 내의 타 사용자의 모유량 변화 정보를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에서 추출하여 해당 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유정보 제공부(330)는 일 사용자의 유방 조건, 예를 들면, 일 사용자의 유방 크기 및 타입, 유두 직경 및 길이, 유륜 직경, 출산후 시기 등이 기설정된 유사 범위 내에 있는 타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 변화 정보를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에서 추출하여 해당 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일 사용자가 자신과 유사한 유방 조건을 가진 타 사용자의 모유량 변화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방 내 모유 생성 기관인 유선,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함으로써 해당 유선, 유관 및 유관동에 포함된 전체 모유량을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모유량 변화 정보와, 임산부의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를 각각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가 특정 시기에 있어서의 자신의 모유량과 적정 모유량을 비교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모유량 변화 정보와, 해당 사용자와 유방 조건이 유사한 타 사용자의 모유량 변화 정보를 각각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가 특정 시기에 있어서의 자신의 모유량과 타 사용자의 모유량을 비교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과 해당 시기별 적정 모유량의 차이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현재 모유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모유량을 적정 모유량으로 증감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모유량 측정장치 110:몸체부
120:초음파 센서부 130:이미지 생성부
131: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 132: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
140:부피 추정부 141:기관 추출모듈
142:부피 추정모듈 150:모유량 산출부
151:모유량 측정모듈 152:모유량 산출모듈
200:휴대용 단말기 300:모유정보 제공서버
310:모유정보 생성부 320:모유정보 저장부
321:모유량 변화 저장모듈 322:시기별 모유량 저장모듈
323:증감정보 저장모듈 330:모유정보 제공부
400:유무선 통신망 500:유방

Claims (12)

  1.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방 내 모유량을 측정하는 모유량 측정장치; 및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모유량을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유방을 커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방을 향해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유방으로부터 반사된 제 2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부;
    반사된 상기 제 2초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유방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
    상기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상기 유방 내의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하는 부피 추정부; 및
    추정된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로부터 유관 및 유관동에 각각 포함된 모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하는 모유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상기 유방을 향해 상기 제 1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면서 상기 유방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 2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스듀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몸체부 내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방을 향한 상기 제 1초음파 신호의 발신 지점이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트랜스듀서에 수신된 상기 제 2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유방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하는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 및
    상기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유방에 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유방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형상을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은,
    상기 제 1초음파 신호의 발신 지점과 매칭하는 상기 유방의 특정 영역에 대한 2차원 이미지 형상을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 추정부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을 각각 추출하는 기관 추출모듈; 및
    상기 기관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를 각각 추정하는 부피 추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유량 산출부는,
    상기 부피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부피로부터 각각의 유관 및 유관동에 포함된 모유량을 측정하는 모유량 측정모듈; 및
    상기 모유량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모유량을 합산하여 상기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하는 모유량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 추출모듈은,
    상기 3차원 이미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유방의 3차원 이미지 형상으로부터 유선을 더 추출하고,
    상기 부피 추정모듈은,
    상기 기관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상기 유선의 부피를 더 추정하며,
    상기 모유량 측정모듈은,
    상기 부피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상기 유선의 부피로부터 각각의 유선에 포함된 모유량을 더 측정하고,
    상기 모유량 산출모듈은,
    상기 모유량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유선의 모유량을 상기 유관 및 유관동의 모유량에 더 합산하여 상기 유방 내의 전체 모유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모유량을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모유량과 관련된 모유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유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유정보 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유정보 제공서버는,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모유량을 수신하여 상기 모유정보를 생성하는 모유정보 생성부;
    상기 모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모유정보를 저장하는 모유정보 저장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유정보를 상기 모유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유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유정보는,
    상기 모유량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시기별 모유량에 따른 사용자별 모유량 변화 정보;
    임산부의 출산 전후에 따른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모유량에 따른 시기별 적정 모유량을 위한 모유량 증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유정보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별 모유량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
    상기 시기별 적정 모유량 정보를 저장하는 시기별 모유량 저장모듈; 및
    상기 시기별 적정 모유량을 위한 모유량 증감 정보를 저장하는 증감정보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유정보 제공부는,
    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일 사용자와 유방 조건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유사 범위 내의 타 사용자의 모유량 변화 정보를 상기 모유량 변화 저장모듈에서 추출하여 상기 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KR1020200062335A 2020-05-25 2020-05-25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KR10237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35A KR102375225B1 (ko) 2020-05-25 2020-05-25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35A KR102375225B1 (ko) 2020-05-25 2020-05-25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442A true KR20210145442A (ko) 2021-12-02
KR102375225B1 KR102375225B1 (ko) 2022-03-16

Family

ID=7886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335A KR102375225B1 (ko) 2020-05-25 2020-05-25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2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097A (ko) * 2006-04-25 2007-10-30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방광 진단용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방법
US20080077042A1 (en) * 2006-08-29 2008-03-27 Feldkamp Joseph R Breastfeeding Quantification
JP2008520329A (ja) * 2004-11-18 2008-06-19 マムセンス リミテッド 母乳流量計装置および方法
WO2009013363A1 (es) * 2007-07-20 2009-01-29 Sabirmedical, S.L. Sistema para la estimación de la volumetría de la lactancia materna
KR20100055439A (ko) * 2007-08-29 2010-05-2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모유 수유의 정량화
KR20110073002A (ko)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나노엔텍 모유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40104267A (ko) * 2013-02-20 2014-08-28 메디퓨처(주)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KR20170095012A (ko) * 2016-02-12 2017-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분석 장치
US20190250020A1 (en) * 2016-07-13 2019-08-15 Coroflo Limited Sensor-based breastfeeding volume measurement device
KR20200110869A (ko) *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팀엘리시움 유방 확대 수술용 보형물 정보 제공 장치, 유방 확대 수술용 보형물 정보 제공 방법, 및 유방 확대 수술용 보형물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0329A (ja) * 2004-11-18 2008-06-19 マムセンス リミテッド 母乳流量計装置および方法
KR20070105097A (ko) * 2006-04-25 2007-10-30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방광 진단용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방법
US20080077042A1 (en) * 2006-08-29 2008-03-27 Feldkamp Joseph R Breastfeeding Quantification
WO2009013363A1 (es) * 2007-07-20 2009-01-29 Sabirmedical, S.L. Sistema para la estimación de la volumetría de la lactancia materna
KR20100055439A (ko) * 2007-08-29 2010-05-2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모유 수유의 정량화
KR20110073002A (ko)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나노엔텍 모유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40104267A (ko) * 2013-02-20 2014-08-28 메디퓨처(주) 유방두께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맘모그래피 장치
KR20170095012A (ko) * 2016-02-12 2017-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분석 장치
US20190250020A1 (en) * 2016-07-13 2019-08-15 Coroflo Limited Sensor-based breastfeeding volume measurement device
KR20200110869A (ko) *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팀엘리시움 유방 확대 수술용 보형물 정보 제공 장치, 유방 확대 수술용 보형물 정보 제공 방법, 및 유방 확대 수술용 보형물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225B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9885A1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obtaining vital sign data of target object
EP2302414A3 (en) Ultrasound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measurement on three-dimensional ultrasound image
WO201300150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ultrasonic doppler angle and flow velocity estimation
US10129448B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system
US20140343428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10051387A (zh) 一种基于射线理论的超声ct图像重建方法及系统
KR20090095150A (ko) 초음파 영상을 처리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102375225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모유량 측정시스템
US20180348366A1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program
CN108024798B (zh) 超声波诊断装置以及延迟数据生成方法
KR102336172B1 (ko)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364074A (zh) 一种次声监测系统
EP3875988A1 (en) Target measurement apparatus and target measurement method
CN114025670A (zh) 用于超声数据的收集和可视化的方法和装置
US2014037818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distance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83353B (zh) 人體量測裝置及其人體量測方法
KR101060436B1 (ko) 초음파 영상을 형성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JP2022069269A5 (ko)
RU201612020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хмерного бессенсор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и расхода насоса
US9618336B2 (en) Measuring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WO2023018626A3 (en) Tissue state graphic display system
CN114145770A (zh) 一种无线超声探头及其定位方法和系统
KR100884712B1 (ko) 근접점 방법을 이용한 캡슐형 내시경의 위치측정 방법 및시스템
WO2022123464A1 (en) Wearable garment adapted for ultrasound sensing and methods thereto for full wave inversion with imprecise sensor positions
CN109168125B (zh) 一种3d音效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