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016A - 패널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016A
KR20210145016A KR1020200061610A KR20200061610A KR20210145016A KR 20210145016 A KR20210145016 A KR 20210145016A KR 1020200061610 A KR1020200061610 A KR 1020200061610A KR 20200061610 A KR20200061610 A KR 20200061610A KR 20210145016 A KR20210145016 A KR 20210145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light
panel
ultraviolet light
emit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철
김선후
Original Assignee
(주)판타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판타룩스 filed Critical (주)판타룩스
Priority to KR102020006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5016A/ko
Publication of KR2021014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살균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의 표면으로 사용 유무에 따라 방사량이 조절되는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장비 사용을 위해 신체 일부를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에 접촉시키더라도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로부터 사용자들을 보호하면서 안전한 장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가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될 수 있는 여지를 없애고, 장비에 대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패널 살균 장치{Terminal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바닥, 손가락)가 접촉되는 의료용 장비나 상업용의 키오스크(kiosk) 단말 또는 게임 단말의 모니터에 적용되는 터치패널 및/또는 물리적 버튼을 가지는 조작패널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 단말이나 의료용 모니터 장비 또는 카지노 영업장의 게임 단말의 모니터에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거나, 및/또는 물리적 버튼을 가지는 조작패널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바닥, 손가락 등)가 접촉되는 관계로, 세균 및/또는 현재 발현되는 바이러스(예; 코로나 바이러스-19)에 쉽게 노출되면서 사용자들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관리자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 접촉이 이루어지는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을 주기적으로 소독하고는 있지만, 수시로 사용자가 바뀌는 현실을 감안할 때, 상기와 같은 소독 작업만으로는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로부터 사용자들을 제대로 보호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소독 작업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 표면에 항균 조성물과 같은 항균제를 도포 또는 항균 필름을 부착하기도 하지만, 이는 사용자가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을 조작시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에 대한 식별을 어렵게 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인해 사용자들이 항균제 도포 또는 항균 필름 부착을 꺼리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항균제 또는 항균 필름은 벗겨짐 등의 문제로 인해 장기간에 걸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0463호(공개일 2007.07.04.)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2950호(공개일 2008.12.26.)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693호(공개일 2012.11.07.) 등록특허공보 제10-1725175호(공고일 2017.04.10.) 등록특허공보 제10-1948556호(공고일 2019.02.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의 표면으로 사용 유무에 따라 방사량이 조절되는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장비 사용을 위해 신체 일부를 터치 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에 접촉시키더라도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 살균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패널 살균 장치는, 의료용 장비나 상업용의 키오스크 단말 또는 게임 단말의 모니터에 적용되는 터치패널 또는 물리적 버튼을 가지는 조작패널의 표면으로 살균 광원을 방사하는 자외선 발광체; 상기 자외선 발광체의 점등을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 및, 상기 장비 또는 상기 단말내 컨트롤러로부터 사용모드 또는 대기모드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사용모드 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의 살균 광원 방사량을 줄이는 제 1 살균모드가 진행되도록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의 구동전류 공급량을 기준값 이하로 낮추고, 대기모드 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의 살균 광원 방사량을 높이는 제 2 살균모드가 진행되도록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의 구동전류 공급량을 기준값 이상으로 높이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살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의 양측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로의 외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 기능의 투명판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판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패널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가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의 양측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로의 외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 기능의 투명판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판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패널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가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또는 상기 조작패널의 물리적 버튼에 대한 조작 여부에 따라 사용 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판단하고 그 판단정보를 상기 살균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광체는 백색광,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또는 자색광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자색광의 UV-LED칩, 그리고 백색광의 LED칩, 적색광의 LED칩, 녹색광의 LED칩, 청색광의 LED칩을 포함하는 UV-LED 모듈이며, 상기 살균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게임 진행모드 신호가 입력시 제 1 살균모드로의 살균 진행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UV-LED 모듈을 백색광, 자색광, 황색광, 녹색광, 청색광 중 어느 하나로 발광 제어하고, 상기 게임 컨트롤러로부터 게임 대기모드 신호 입력시에는 제 2 살균모드에 따른 자외선 노출 위험성을 표시하도록 상기 UV-LED 모듈을 자색광으로 발광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의 표면으로 사용 유무에 따라 방사량이 조절되는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장비 사용을 위해 신체 일부를 터치패널 및/또는 조작패널에 접촉시키더라도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로부터 사용자들을 보호하면서 안전한 장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가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될 수 있는 여지를 없애고, 장비에 대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게임 단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터치패널의 양측단에 자외선 발광체가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패널의 양측단에 자외선 발광체가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게임단말에 구성되는 살균 기능에 대한 내부적인 블럭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게임 단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터치패널의 양측단에 자외선 발광체가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패널의 양측단에 자외선 발광체가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게임 단말에 구성되는 살균 기능에 대한 내부적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살균 장치는, 의료용 장비나 상업용의 키오스크(kiosk) 단말 또는 게임 단말(100)의 모니터(100a)에 적용되는 터치패널(200) 및/또는 물리적 버튼을 가지는 조작패널(300)의 표면을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자외선 발광체(10), 구동전원 공급부(20), 살균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게임 단말(100)을 도시하고 이에 도면부호를 표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자외선 발광체(10)는 상기 살균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면서 게임 단말(100) 전면측의 표시패널(100a) 전방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표면으로 살균 광원(예; 자외선)을 방사하여, 사용자의 일부 신체(예; 손바닥 또는 손가락)에 대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터치패널(200)의 양측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10)로의 외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 기능의 투명판(3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투명판(40)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패널(200)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10)가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물리적 버튼(301)을 포함하는 상기 조작패널(300)의 양측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10)로의 외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 기능의 투명판(4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투명판(40')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패널(300)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10)가 안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발광체(10)는 백색광,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또는 자색광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적색광의 UV-LED칩, 그리고 백색광의 LED칩, 적색광의 LED칩, 녹색광의 LED칩, 청색광의 LED칩을 포함하는 UV-LED 모듈인 것이다.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는 상기 살균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광체(10)의 점등과 그 점등에 따른 살균 광원의 방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살균 제어부(30)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1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게임 단말(100)내 컨트롤러(101)로부터 사용모드 신호가 입력시 상기 자외선 발광체(10)의 살균 광원 방사량을 줄이는 제 1 살균모드가 진행되도록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의 구동전류 공급량을 기준값 이하로 낮추고, 대기모드 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10)의 살균 광원 방사량을 높이는 제 2 살균모드가 진행되도록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의 구동전류 공급량을 기준값 이상으로 높이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에 출력하는 것이다.
즉, 장비 또는 단말내에 구성되는 상기 컨트롤러(101)는 상기 게임 단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조작여부에 따라 사용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판단한 후 그 판단정보를 상기 살균 제어부(30)에 출력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살균 제어부(30)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10)가 점등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101)로부터 사용모드 신호가 입력시에는 인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시킨 제 1 살균모드로의 살균 진행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UV-LED 모듈을 백색광, 주황색광, 황색광, 녹색광, 청색광 중 어느 하나로 발광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101)로부터 대기모드 신호 입력시에는 제 2 살균모드에 따른 자외선 노출 위험성을 표시하도록 상기 UV-LED 모듈을 자색광으로 발광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로 출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장비 또는 단말의 사용모드에서 상기 자외선 발광체(10)인 상기 UV-LED 모듈을 제 1 살균모드로서 백색광, 주황색광, 황색광, 녹색광, 청색광 중 어느 하나로 발광 제어하는 것은,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자외선이 약하게 방사되는 것을 사용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들에게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에 대한 살균이 약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또한, 장비 또는 단말의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자외선 발광체(10)인 상기 UV-LED 모듈을 제 2 살균모드로서 자색광으로 발광 제어하는 것은, 강하게 방사되는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들의 접근을 조심시키는 한편, 사용자들에게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에 대한 살균이 강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의 대기모드에서 강한 살균 광원 방사가 이루어질 때, 사용자가 게임 단말(100)의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물리적 버튼을 터치 또는 조작시, 상기 살균 제어부(30)는 제 2 살균모드를 제 1 살균모드로 변환시키고, 이에따라 사용자는 게임 단말(100)의 전방측에서 안전하게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살균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메인 전원이 공급되는 게임 단말(100)의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에서 터치 또는 물리적 버튼 조작이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게임 단말(100)내의 컨트롤러(101)는 게임 단말(100)을 대기모드로 전환시키는 한편, 대기모드 신호를 살균 제어부(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살균 제어부(30)는 구동전원 공급부(20)를 제어하여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양측단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체(10)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20)를 통해 상기 자외선 발광체(10)에 기준값 이상의 구동전류를 공급시키는 제 2 살균모드를 실행한다.
그러면, 상기 자외선 발광체(10)는 기준값 이상으로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따라 자색광으로 발광 제어되면서 상기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표면으로 강한 살균 광원을 방사하고, 이에따라 상기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표면을 살균 처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자외선 발광체(10)가 상기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표면에 자색광으로 이루어진 살균 광원을 방사하게 되므로, 사용자들이 게임 단말(100)에 접근시, 사용자들은 자색광의 살균 광원을 방사하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10)로 인해, 상기 게임 단말(100)로의 접근을 조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살균모드로 상기 자외선 발광체(10)가 살균 광원을 방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게임 단말(100)의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물리적 버튼을 1회 터치 또는 조작하면, 상기 게임 단말(100)내의 컨트롤러(101)는 대기모드를 사용모드로 전환시킨 후 그 전환신호를 살균 제어부(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살균 제어부(30)는 구동전원 공급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자외선 발광체(10)에 기준값 이하의 구동전류를 공급시키는 제 1 살균모드를 실행시키게 되면서, 상기 자외선 발광체(10)는 기준값 이하로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따라 백색광, 주황색광, 황색광, 녹색광, 청색광 중 어느 하나로 발광 제어하게 되면서, 상기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표면으로는 인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시킨 살균 광원이 방사되고, 이에따라 게임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게임자의 신체 일부(예; 손바닥이나 손가락)가 접촉되는 상기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표면에서 세균 또는 바이러스 흡착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비 또는 단말의 대기모드에서 강한 살균 광원 방사를 통해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의 표면을 강하게 살균 처리한 이후에, 장비 또는 단말의 사용모드에서는 약한 살균 광원을 방사하게 되면서, 터치패널(200) 및/또는 조작패널(300)에 신체 일부가 접촉하는 사용자들을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사용자들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패널 살균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자외선 발광체 20; 구동전원 공급부
30; 살균 제어부 40, 40'; 투명판
100; 게임 단말 101; 컨트롤러
200; 터치패널 300; 조작패널
301; 물리적 버튼

Claims (5)

  1. 의료용 장비나 상업용의 키오스크 단말 또는 게임 단말의 모니터에 적용되는 터치패널 또는 물리적 버튼을 가지는 조작패널의 표면으로 살균 광원을 방사하는 자외선 발광체;
    상기 자외선 발광체의 점등을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 및,
    상기 장비 또는 상기 단말내 컨트롤러로부터 사용모드 또는 대기모드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사용모드 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의 살균 광원 방사량을 줄이는 제 1 살균모드가 진행되도록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의 구동전류 공급량을 기준값 이하로 낮추고, 대기모드 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의 살균 광원 방사량을 높이는 제 2 살균모드가 진행되도록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의 구동전류 공급량을 기준값 이상으로 높이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살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살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양측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로의 외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 기능의 투명판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판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패널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살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 양측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로의 외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격벽 기능의 투명판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판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패널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체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살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또는 상기 조작패널의 물리적 버튼에 대한 조작 여부에 따라 사용 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판단하고 그 판단정보를 상기 살균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살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체는 백색광,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또는 자색광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자색광의 UV-LED칩, 그리고 백색광의 LED칩, 적색광의 LED칩, 녹색광의 LED칩, 청색광의 LED칩을 포함하는 UV-LED 모듈이며,
    상기 살균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사용모드 신호가 입력시 제 1 살균모드로의 살균 진행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UV-LED 모듈을 백색광, 자색광, 황색광, 녹색광, 청색광 중 어느 하나로 발광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대기모드 신호 입력시에는 제 2 살균모드에 따른 자외선 노출 위험성을 표시하도록 상기 UV-LED 모듈을 자색광으로 발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살균 장치.
KR1020200061610A 2020-05-22 2020-05-22 패널 살균 장치 KR20210145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10A KR20210145016A (ko) 2020-05-22 2020-05-22 패널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10A KR20210145016A (ko) 2020-05-22 2020-05-22 패널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016A true KR20210145016A (ko) 2021-12-01

Family

ID=7893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610A KR20210145016A (ko) 2020-05-22 2020-05-22 패널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501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463A (ko) 2005-12-29 2007-07-04 (주)코텍 디스플레이 및 이를 갖는 슬롯머시인 장치
KR20080112950A (ko) 2007-06-21 2008-12-26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슬롯 머신
KR20120007693U (ko) 2011-04-29 2012-11-07 고경렬 터치 제품의 터치패널에 부착되는 항균필름
KR101725175B1 (ko) 2012-08-01 2017-04-10 엔엠에스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항균 조성물
KR101948556B1 (ko) 2017-09-06 2019-02-18 (주)코텍 슬롯머신 장치의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463A (ko) 2005-12-29 2007-07-04 (주)코텍 디스플레이 및 이를 갖는 슬롯머시인 장치
KR20080112950A (ko) 2007-06-21 2008-12-26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슬롯 머신
KR20120007693U (ko) 2011-04-29 2012-11-07 고경렬 터치 제품의 터치패널에 부착되는 항균필름
KR101725175B1 (ko) 2012-08-01 2017-04-10 엔엠에스 테크놀러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항균 조성물
KR101948556B1 (ko) 2017-09-06 2019-02-18 (주)코텍 슬롯머신 장치의 영상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292B2 (en) Device for use in a medical treatment room
US11723994B2 (en) Ultrasound system with disinfecting feature
US20160033714A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8597569B2 (en) Self-sterilizing user input device
US200400343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or disinfecting a region through a bandage
US20200217102A1 (en) Antibacterial door knob
US11730840B2 (en) Mobile devices having disinfection light sources
US10589115B2 (en) Inner ear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nner ear therapy device
WO2022107629A1 (ja) 内視鏡用カート及び内視鏡用機器
KR101833319B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WO2010060079A1 (en) Through-material uv sterilization of surfaces and methods
TWM478860U (zh) 光觸媒顯示裝置
KR20160148140A (ko) 휴대용 자외선 살균 장치
US202304149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f-sterilizing touch screen
KR20150025690A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장치
KR20160055046A (ko) 여드름 치료 방법 및 장치
KR20210145016A (ko) 패널 살균 장치
TWI755814B (zh) 具有自動切換消毒殺菌功能的照明燈系統
GB2499687A (en) Disinfecting medical device with atmospheric plasma generator
TWM603086U (zh) 具有自動切換消毒殺菌功能的照明燈系統
KR102228016B1 (ko) 자외선 광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살균 장치
KR101833222B1 (ko) 백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CN212214238U (zh) 一种消毒装置、消毒按钮和电梯
KR20070098525A (ko) 자체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
KR20210137615A (ko) Uv-c 광을 이용한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