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285A - 통발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통발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4285A KR20210144285A KR1020200061419A KR20200061419A KR20210144285A KR 20210144285 A KR20210144285 A KR 20210144285A KR 1020200061419 A KR1020200061419 A KR 1020200061419A KR 20200061419 A KR20200061419 A KR 20200061419A KR 20210144285 A KR20210144285 A KR 202101442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trap
- ring
- opening
- p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502129 Mu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발연결장치이다. 메인로프에 소정 간격으로 있는 다수개의 고리줄(70)에 통발을 연결하는 것이다. 몸체(10)에는 상기 고리줄(70)이 걸어지는 고리줄공간(16')을 형성하는 고리부(16)가 스톱부(1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부(12)에서 연장되어 슬라이드안내부(16)가 있다. 상기 슬라이드안내부(16)를 따라서 슬라이드(20)가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드(20)에는 상기 고리부(16)가 형성하는 고리줄공간(16')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핀(30)이 설치되어 개폐핀(30)이 슬라이드(20)와 일체로 이동한다. 상기 개폐핀(30)은 상기 고리줄공간(16')의 내부로 고리줄(70)이 들어가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일정한 위치까지만 이루어지도록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발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통발을 고리줄과 연결하도록 된 통발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발은 수산물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것인데, 대량으로 수산물을 잡기 위해 다수개의 통발을 사용한다. 즉, 메인로프에 고리줄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 고리줄들에 통발을 연결하여 해저에 가라앉혀 두어 어류 등이 포획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로프는 수 킬로미터 이상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따라서 하나의 메인로프에 연결된 통발의 갯수는 수백개 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갯수의 통발을 사용하는 경우에, 고리줄에 통발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수동으로 하게 되면 엄청난 인력과 시간이 들 수밖에 없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오래 전부터 통발과 모리줄을 자동으로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통발연결장치를 개발하였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49009호가 본 출원인이 개발한 것인데, 고리줄이 걸어지는 집게레버가 슬라이드의 이동에 따라 벌어지게 되어 고리줄을 걸고 또한 고리줄을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고리줄이 걸어지는 집게레버는 스프링력에 의해 서로 접촉되어 있다가 슬라이드의 이동에 따라 분리되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집게레버가 스프링력에 의해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대형통발의 경우에는 그 하중에 의해 집게레버가 쉽게 벌어져서 고리줄에서 통발연결장치가 분리되어 통발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12265호가 제시되었으나, 여기서도 고리줄이 걸어지는 로프잠금고리가 힌지에 의해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력전달로드에 의해 슬라이드에 연결되어 동작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로프잠금고리에 큰 힘이 작용하면 힌지 부분이나 이동력전달로드와의 연결부분에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통발연결장치의 크기가 크지 않아 로프잠금고리의 동작을 위한 공간의 제약이 있고 다수개의 부품의 조립체 따른 누적공차에 의해 로프잠금고리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다른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9542호가 있는데, 여기서도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머리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고리줄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되는데, 머리부가 몸체부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머리부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어렵고 누적공차에 의해 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량이 많이 나가는 대형 통발을 고리줄에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발을 고리줄에 연결하는 통발연결장치의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로프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고리줄에 통발을 연결시키는 통발연결장치인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부가 고리줄을 걸어주는 고리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고리줄공간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핀이 상기 몸체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에 소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개폐핀은 고리줄이 고리줄공간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일어나고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고리줄공간의 입구를 차폐하는 위치까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상기 개폐핀의 타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의 일측에 지지되어 개폐핀의 일방향 회전 정도를 규제하는 지지면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의 골격을 슬라이드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몸체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가로질러 연결브릿지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브릿지에는 상기 개폐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설치부가 형성된다.
상기 핀설치부에는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핀펜스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스톱부에는 상기 고리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핀펜스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보호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는 일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90보다 큰 중심각을 가지는 호형상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고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슬라이드안내부에는 통발과 연결되는 통발연결구가 결합되는데, 상기 통발연결구에는 통발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구가 있고 상기 연결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결합되는 몸체수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통발연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적어도 하나 이상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리줄이 걸어지는 고리부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고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줄공간의 입구를 통해 고리줄이 고리줄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이 자유롭도록 함과 동시에 개폐핀이 슬라이드와 함께 이동하여 고리줄공간의 입구를 기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고리줄에서 고리부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고리줄에 통발연결장치의 고리부를 거는 것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리줄이 걸어지는 고리부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고리부가 형성되는 고리줄공간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핀의 일단부는 상기 고리부의 걸림턱에 걸어지고 타단부는 슬라이드에 지지면이 밀착된 상태로 고리줄이 고리줄공간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리줄에 통발연결장치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몸체에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몸체에 대해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에 설치된 개폐핀이 근접하고 멀어지도록 동작되면서 고리줄과의 연결과 분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핀이 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 외에는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는 구성이 전혀 없어서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듬과 동시에 고리줄공간의 개폐를 위한 구성에서 누적공차가 최소화될 수 있어서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발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개폐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의 동작에 의해 고리줄공간이 개폐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가 몸체의 스톱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리줄이 고리줄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개폐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의 동작에 의해 고리줄공간이 개폐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가 몸체의 스톱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리줄이 고리줄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통발연결장치는, 몸체(10), 슬라이드(20), 개폐핀(30), 통발연결구(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통발연결장치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10)에는 스톱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부(12)는 몸체(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스톱부(12)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슬라이드(20)의 일측 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상기 스톱부(12)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슬라이드안내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안내부(14)는 본 실시례에서는 반원통형으로 만들어진 것이 2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안내부(14)는 상기 슬라이드(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내부에 형성된 관통부(1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20)의 연결브릿지(24)와 슬라이드탄성부재(60)가 위치된다. 상기 관통부(15)는 상기 몸체(10)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톱부(12)와 슬라이드안내부(14)의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15)가 있다. 도면부호 14'는 몸체(10)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통발연결구(5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50')이 관통하는 결합핀공(14')이다.
상기 몸체(10)에는 고리부(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16)는 고리줄(70)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고리부(16)는 상기 슬라이드안내부(14)의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리부(16)는 몸체(10)를 일측면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중심각이 90도 정도인 호형상을 가진다. 상기 고리부(16)는 상기 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어느 정도의 두께와 폭 등을 가져서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리부(16)는 상기 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10)에 대해 상대적인 운동을 하는 부분이 아니므로, 그 강성을 위해 그 폭과 두께를 충분히 크게 설계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16)에 의해서는 그 내측에 고리줄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고리줄공간(16')은 도 2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좌측 부분의 입구가 개폐핀(3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리줄공간(16')에 고리줄(70)이 걸어져 있게 된다.(도 6 참고)
상기 고리부(16)의 내면, 즉 상기 고리줄공간(16')의 내면에는 걸림턱(17)이 있다. 상기 걸림턱(17)은 상기 고리부(16)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7)은 상기 개폐핀(30)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36)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10)의 스톱부(12)의 타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리부(16)가 형성된 쪽에는 보호리브(18)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18)는 상기 스톱부(12) 상에서 상기 고리부(16)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18) 사이의 간격은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20)의 핀설치부(25)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18)는 상기 개폐핀(30)의 설치상태를 보호하는 것으로, 외력으로부터 개폐핀(30)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개폐핀(30)에 작용한 힘에 의해 개폐핀(30)의 설치상태가 영향받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드(20)는 외부의 힘에 의해 밀려져서 상기 슬라이드안내부(14)를 따라 슬라이드안내부(14)의 후단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20)는 상기 몸체(10)의 스톱부(12)에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다가, 고리줄(70)로부터 통발연결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장비에 의해 밀려지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20)의 골격을 링형상으로 된 슬라이드몸체(22)가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몸체(22)의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2')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10)의 슬라이드안내부(14)가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몸체(22)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경사면(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23)은 통발연결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장비로부터 힘을 받는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드몸체(22)의 관통부(22')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결브릿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24)는 상기 몸체(10)의 슬라이드안내부(14) 사이와 관통부(15) 내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브릿지(24)에는 핀설치부(25)가 있다. 상기 핀설치부(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개폐핀(30)이 설치된다. 상기 핀설치부(25)에는 핀펜스(26) 한쌍이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있고, 상기 핀펜스(26)에는 각각 축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공(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핀축(40)의 양단이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몸체(22)의 관통부(22')의 내면에는 보강리브(28)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28)는 상기 슬라이드(2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28)는 횡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주형태이다.
상기 연결브릿지(24)에는 탄성부재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홈(29)은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일단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드(20)에 탄성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홈(29)은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핀(30)은 상기 슬라이드(20)의 핀설치부(25)에 일단부가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다. 상기 개폐핀(30)은 상기 고리줄공간(16')에서 고리줄(70)이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개폐핀(30)은 상기 고리줄공간(16')으로 고리줄(70)이 들어가는 것은 방해하지 않도록 그 방향으로의 회전은 자유롭게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핀(30)의 골격을 핀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핀몸체(32)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납작한 판형태로서 길이방향 중심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서 회전중심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공(33)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핀몸체(32)의 일면에는 탄성부재홈(3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홈(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핀탄성부재(42)가 위치된다.
상기 개폐핀(30)의 일측 단부에는 걸이턱(3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6)은 상기 고리부(16)의 걸림턱(17)에 걸어져서 개폐핀(30)의 특정 방향 회전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걸이턱(36)이 형성된 일측 단부의 반대쪽에는 지지면(37)이 있다. 상기 지지면(37)은 상기 걸이턱(36)이 걸림턱(17)에 걸렸을 때, 동시에 상기 연결브릿지(24) 상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면(37)은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평면으로 연결브릿지(24) 상에 안착되어 개폐핀(30)의 특정 방향 회전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개폐핀(30)은 핀축(4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핀축(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핀(30)의 회전중심공(33)을 관통하고 양단부가 상기 핀설치부(25)의 핀펜스(26)에 형성된 축공(26')에 위치된다. 상기 핀축(40)은 상기 개폐핀(3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개폐핀(30)은 상기 핀축(40)에 대해 항상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이를 위해 상기 핀축(40)에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핀탄성부재(42)가 위치된다. 상기 핀탄성부재(42)는 본 실시례에서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핀탄성부재(42)의 중심은 상기 핀축(40)에 위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개폐핀(30)의 탄성부재홈(34)에 위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연결브릿지(24) 측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핀탄성부재(42)에 의해 상기 개폐핀(30)은 상기 고리줄공간(16')의 입구를 막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즉, 상기 개폐핀(30)의 걸이턱(36)이 상기 고리부(16)의 걸림턱(17)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회전하려는 경향을 상기 개폐핀(30)이 가진다.
상기 몸체(10)의 슬라이드안내부(14)의 끝부분에는 통발연결구(50)가 결합된다. 상기 통발연결구(50)는 일단부에는 연결부(52)가 있어서 통발 측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공(5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공(53)을 통해 통발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공(53)을 통해서 통발이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로프가 연결공(53)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의 타단부가 통발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공(53)에 통발의 선단을 관통하는 결합핀이 관통하도록 하여 통발과 연결부(52)가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통발연결구(50)에는 몸체수납부(54)가 있다. 상기 몸체수납부(54)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탄성부재시트(56)가 있다. 상기 탄성부재시트(56)는 상기 슬라이드(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타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시트(56)는 상기 통발연결구(50)와 별도로 만들어져 있으나, 상기 통발연결구(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시트(56)에도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타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탄성부재홈(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있어서, 슬라이드탄성부재(60)가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20)가 상기 몸체(10)의 스톱부(12)에 밀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10) 측과 슬라이드(20) 사이에 위치되게 슬라이드탄성부재(60)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슬라이드탄성부재(60)는 원통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일단부는 슬라이드(20)의 탄성부재홈(29)에 안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는 통발연결구(50)에 있는 탄성부재시이트(56)에 안착된다.
하지만, 대안적인 실시례로서 상기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1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몸체(10)의 슬라이드안내부(14)에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타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연결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발연결장치를 고리줄(70)에 연결하여 메인로프와 함께 해저에 가라 앉혀 두었다가,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는 메인로프를 인양한다. 이때, 메인로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고리줄(70)에는 각각 본 발명의 통발연결장치에 의해 통발이 연결되어 있어서, 메인로프의 인양에 따라 함께 인양된다.
이때, 상기 고리줄(70)에서 통발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메인로프가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20)가 상기 통발연결구(50)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탄성부재(6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20)의 이동에 의해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상기 개폐핀(30)이 슬라이드(20)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고리부(16)에 의해 형성된 고리줄공간(16')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고리줄(70)이 고리줄공간(16')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 통발이 메인로프의 고리줄(7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핀(30)은 핀탄성부재(42)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핀탄성부재(42)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상기 걸이턱(36)이 고리부(16)의 걸림턱(17)에 밀착되고 타측 단부의 지지면(37)은 슬라이드(20)의 연결브릿지(24)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좌측 그림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핀(30)이 핀축(4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은 불가능하다. 이는 도 6의 좌측 그림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리줄공간(16')에 있는 고리줄(70)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상기 슬라이드(20)가 상기 몸체(10)의 스톱부(12)에서 분리되어 몸체(10)의 후단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20)와 함께 상기 개폐핀(30)이 이동하면서 상기 고리부(16)와 개폐핀(30) 사이가 분리되어 고리줄(70)이 고리줄공간(16')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16)에 의해 형성된 고리줄공간(16')에 고리줄(70)이 걸어지는 과정이 도 7에 순차적으로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개폐핀(30)이 고리줄(70)에 의해 밀려서 핀축(4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상기 핀탄성부재(4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개폐핀(30)의 회전은 상기 걸림턱(17)에서 개폐핀(30)의 걸이턱(36)이 분리되게 하고 계속되는 고리줄(70)의 진입에 의해 상기 개폐핀(30)은 시계방향 회전을 계속한다. 이와 같은 개폐핀(30)의 회전은 고리줄(70)이 개폐핀(30)의 걸이턱(36)을 넘어 고리줄공간(16')으로 들어갈 때까지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턱(36)을 고리줄(70)이 넘어서게 되면 상기 개폐핀(30)은 핀탄성부재(42)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7의 (e)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도 6의 좌측에 있는 상태와 같다.
이때, 상기 고리줄(70)과 본 발명의 통발연결장치 사이에는 통발의 하중 또는 해류 등에 의해 힘이 작용한다. 특히 상기 고리줄(70)이 상기 고리부(16)에 접촉된 상태에서 힘이 이들 사이에서 전해지는데, 상기 고리부(16)는 상기 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충분한 강성을 가지므로 통발의 자중 등에 의해 상기 고리줄(70)에 의해 고리부(16)로 전해지는 힘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줄(70)은 고리부(16)에만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6의 좌측 그림의 상태에서 개폐핀(30)에 힘을 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개폐핀(30)의 일단부는 그 걸이턱(36)이 고리부(16)의 걸림턱(17)에 걸어져 있고, 타단부는 지지면(37)이 슬라이드(20)의 연결브릿지(24)에 지지되어 있어서 개폐핀(30)의 반시계방향 회전, 즉 상기 고리줄공간(16')을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체
12: 스톱부
14: 슬라이드안내부 15: 관통부
16: 고리부 16': 고리줄 공간
17: 걸림턱 18: 보호리브
20: 슬라이드 22: 슬라이드몸체
22': 관통부 23: 경사면
24: 연결브릿지 25: 핀설치부
26: 핀펜스 26': 축공
28: 보강리브 29: 탄성부재홈
30: 개폐핀 32: 핀몸체
33: 회전중심공 34: 탄성부재홈
36: 걸이턱 37: 지지면
40: 핀축 42: 핀탄성부재
50: 통발연결구 52: 연결부
53: 연결공 54: 몸체수납부
56: 탄성부재시트 60: 슬라이드탄성부재
70: 고리줄
14: 슬라이드안내부 15: 관통부
16: 고리부 16': 고리줄 공간
17: 걸림턱 18: 보호리브
20: 슬라이드 22: 슬라이드몸체
22': 관통부 23: 경사면
24: 연결브릿지 25: 핀설치부
26: 핀펜스 26': 축공
28: 보강리브 29: 탄성부재홈
30: 개폐핀 32: 핀몸체
33: 회전중심공 34: 탄성부재홈
36: 걸이턱 37: 지지면
40: 핀축 42: 핀탄성부재
50: 통발연결구 52: 연결부
53: 연결공 54: 몸체수납부
56: 탄성부재시트 60: 슬라이드탄성부재
70: 고리줄
Claims (7)
- 메인로프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고리줄에 통발을 연결시키는 통발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리줄이 걸어지는 고리줄공간을 형성하는 고리부가 스톱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안내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스톱부에 슬라이드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안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고리줄공간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고리줄이 고리줄공간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일어나고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고리줄공간의 입구를 차폐하는 위치까지 이루어지는 개폐핀을 포함하는 통발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선단에는 상기 개폐핀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개폐핀의 일방향 회전 정도를 규제하는 통발연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핀의 타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의 일측에 지지되어 개폐핀의 일방향 회전 정도를 규제하는 지지면이 더 구비되는 통발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골격을 슬라이드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몸체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가로질러 연결브릿지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브릿지에는 상기 개폐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설치부가 형성되는 통발연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설치부에는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핀펜스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스톱부에는 상기 고리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핀펜스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보호리브가 형성되는 통발연결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일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90보다 큰 중심각을 가지는 호형상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고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발연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슬라이드안내부에는 통발과 연결되는 통발연결구가 결합되는데, 상기 통발연결구에는 통발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구가 있고 상기 연결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결합되는 몸체수납부가 구비되는 통발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1419A KR102445694B1 (ko) | 2020-05-22 | 2020-05-22 | 통발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1419A KR102445694B1 (ko) | 2020-05-22 | 2020-05-22 | 통발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4285A true KR20210144285A (ko) | 2021-11-30 |
KR102445694B1 KR102445694B1 (ko) | 2022-09-21 |
Family
ID=7872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1419A KR102445694B1 (ko) | 2020-05-22 | 2020-05-22 | 통발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569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9009B1 (ko) | 1999-04-23 | 2002-08-17 | 유금범 | 통발 연결장치 |
KR200286258Y1 (ko) * | 2002-02-25 | 2002-08-21 | 유금범 | 통발 연결장치 |
KR101269542B1 (ko) | 2012-12-28 | 2013-06-04 | 박명오 |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
KR101427242B1 (ko) * | 2013-12-09 | 2014-08-14 | 박명오 |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
KR20150000120U (ko) * | 2013-07-01 | 2015-01-09 | 유금범 | 통발연결구 |
KR20190100702A (ko) * | 2018-02-21 | 2019-08-29 | 조영주 | 통발 연결구 |
-
2020
- 2020-05-22 KR KR1020200061419A patent/KR1024456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9009B1 (ko) | 1999-04-23 | 2002-08-17 | 유금범 | 통발 연결장치 |
KR200286258Y1 (ko) * | 2002-02-25 | 2002-08-21 | 유금범 | 통발 연결장치 |
KR101269542B1 (ko) | 2012-12-28 | 2013-06-04 | 박명오 |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
KR20150000120U (ko) * | 2013-07-01 | 2015-01-09 | 유금범 | 통발연결구 |
KR101427242B1 (ko) * | 2013-12-09 | 2014-08-14 | 박명오 |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
KR20190100702A (ko) * | 2018-02-21 | 2019-08-29 | 조영주 | 통발 연결구 |
KR102112265B1 (ko) | 2018-02-21 | 2020-05-19 | 조영주 | 통발 연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5694B1 (ko) | 2022-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60408B1 (en) | Hooked latch with ball lock sliding sleeve retainer | |
US3952382A (en) | Rapid release hook | |
US9039055B1 (en) | Clevis type hook with safety latch | |
US7967353B2 (en) | Clevis type grab hook with safety latch | |
KR102421403B1 (ko) | 커넥터 조립체 | |
US20020030144A1 (en) | Cable protector and support | |
US10865593B2 (en) | Door guard assembly | |
US5588188A (en) | Swaged cable swivel hook assembly and swivel hook therefor | |
US10458460B1 (en) | Spring-loaded safety latch release for power line hook | |
KR102389099B1 (ko) |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 |
KR102445694B1 (ko) | 통발연결장치 | |
US8544149B1 (en) | Gate stabilizer | |
US20160198690A1 (en) | Fishing Line Container | |
US20220247160A1 (en) | Apparatus for attaching restraining means to a line | |
US20170335599A1 (en) | Guard for a latch to prevent opening | |
US10669741B2 (en) | Connector with rotating lock mechanism | |
US2464451A (en) | Logging block | |
US12078768B2 (en) | System for attaching subsea equipment to a line | |
US11371273B2 (en) | Guard for a latch to prevent opening | |
US20230136917A1 (en) | Gate latching system | |
US20170074013A1 (en) | Door chain device | |
KR101749950B1 (ko) | 2중 회전에 의한 다단 잠금장치가 구비된 퍼스링 | |
KR102551631B1 (ko) | 안심 도어락용 안전 캐치 | |
US11993966B2 (en) | Door hinge for an electrical cabinet | |
RU2803920C2 (ru) | Полиспаст с защищенным открывание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