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154A -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 Google Patents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154A
KR20210144154A KR1020200061081A KR20200061081A KR20210144154A KR 20210144154 A KR20210144154 A KR 20210144154A KR 1020200061081 A KR1020200061081 A KR 1020200061081A KR 20200061081 A KR20200061081 A KR 20200061081A KR 20210144154 A KR20210144154 A KR 20210144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pile
auxiliary device
connection auxiliar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9813B1 (en
Inventor
진 영 이
Original Assignee
진 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영 이 filed Critical 진 영 이
Priority to KR1020200061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813B1/en
Publication of KR2021014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8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which assists in realizing a connection between an upper pile and a lower pile more easily when the upper pile and the lower pi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oundation construction site in a non-welding manner. The provided apparatus, as an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connection between a cylindrical upper pile, to which a first joint plate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groove is coupled, and a cylindrical lower pile, to which a second joint plate including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groove is coupled, comprises: a first body part and a second body part coupl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ile; a hinge part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rotate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coupling parts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couple or release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or from each other, wherein one or more fixed handles are installed at each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Description

파일 연결 보조 장치{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F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파일 연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 공사 현장에서 상부 파일과 하부 파일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보조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connection ass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assisting in easy connection between an upper pile and a lower pile at a foundation construction site.

도시의 발달로 인하여 도로와 교량 등의 기간시설과 각종 건축 구조물을 포함한 많은 구조물들이 연약지반에 건설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cities, many structures including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and bridges and various building structures are increasingly being built on soft ground.

이와 같은 연약 지반에서는 지표면으로부터 지층의 강도가 높은 지지층까지의 깊이가 매우 깊은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지반에 구조물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층에 전달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파일(pile ; 말뚝)(예컨대, 콘크리트 파일(PHC 파일))을 사용해야만 한다.In such a soft ground, it is common that the depth from the ground surface to the support layer with high strength is very deep. (eg concrete piles (PHC piles)) must be used.

또한, 이러한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에는 항타 공법과 매입 공법 등이 있으며, 파일의 설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2개 이상의 파일을 연결(예컨대, 용접 방식 또는 무용접 방식에 의한 연결)하여 시공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re are a driving method and an embedding method for installing these piles, and if the installation depth of the pile is deep, two or more piles should be connected (eg, connected by a welding method or a non-welding method) to be constructed.

특히, 종래의 무용접 방식에 의한 파일 연결의 경우,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상부 파일(10)의 저면에 결합된 상부 이음판의 돌기(10a)와 원통형의 하부 파일(12)의 상면에 결합된 하부 이음판의 홈(12b)을 서로 맞추기 위해, 두 명의 작업자가 직접 상부 파일(10)을 잡고 위치 조정을 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ile connection by a conventional non-welding method, as illustrated in FIG. 1 , the protrusion 10a of the upper joint plat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rical upper pile 10 and the cylindrical lower pile 12 of the In order to align the grooves 12b of the lower joint plat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with each other, two workers directly hold the upper pile 10 and adjust the position.

이와 같이 하면, 상부 이음판의 돌기(10a)는 하부 이음판의 홈(12b)에 끼워지고, 하부 이음판의 돌기(12a)는 상부 이음판의 홈(10b)에 끼워질 것이다. 상부 이음판은 소정 두께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 이음판의 돌기(10a)와 홈(10b)는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하부 이음판은 소정 두께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부 이음판의 돌기(12a)와 홈(12b)는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이음판 및 하부 이음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3358호 및 기타 주지의 기술 문헌 등으로 갈음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otrusion 10a of the upper joint plate will fit into the groove 12b of the lower joint plate, and the protrusion 12a of the lower joint plate will fit into the groove 10b of the upper joint plate. The upper joint plat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protrusions (10a) and grooves (10b) of the upper joint plate are alternately formed. The lower joint plat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protrusions 12a and the grooves 12b of the lower joint plate are alternately formed. He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upper joint plate and the lower joint plate may be substituted for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03358 and other well-known technical documents.

이와 같은 무용접 방식에 의한 파일 연결의 경우, 하부 파일(12)의 하부 이음판의 돌기(12a)와 홈(12b)에 상부 파일(10)의 하부 이음판의 홈(10b)과 돌기(10a)를 맞추기 위해서는 두 명 정도의 작업자가 직접 상부 파일(10)을 잡고 위치맞춤을 해야 한다. In the case of the pile connection by such a non-welding method, the grooves 10b and protrusions 10a of the lower joint of the upper pile 10 in the protrusions 12a and the grooves 12b of the lower joint of the lower pile 12. ), about two workers must directly hold the upper pile 10 and align the position.

그러나,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상부 파일(10)의 중량이 수톤 이상이기 때문에 두 명의 작업자가 상부 파일(10)을 잡고 움직이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이 미끄러지기도 한다.However, since the weight of the upper pile 10 carried by the crane is several tons or more, it is not easy for two workers to hold the upper pile 10 and move, and the hand may slip.

그에 따라, 상부 파일(10)의 상부 이음판과 하부 파일(12)의 하부 이음판 간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끼움 결합이 정상적으로 완료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tting between the upper joint plate of the upper pile 10 and the lower joint plate of the lower pile 12 is not easy,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fitting to be completed normally increases.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3287호(PHC 파일 연결구)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83287 (PHC file connector)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08187호(파일 정렬 안내 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연결 방법)Prior ar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08187 (file alignment guide band and fil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3358호(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Prior Art 3: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03358 (Concrete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초 공사 현장에서 무용접 방식으로 상부 파일과 하부 파일을 연결시킬 때 상호간의 연결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해 주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ovides a p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that assists in making mutual connection more easily when connecting the upper pile and the lower pile in a non-welding manner at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ite. has its purpose i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는, 제 1 돌기와 제 1 홈을 포함하는 제 1 이음판이 결합된 원통형의 상부 파일 및 제 2 돌기와 제 2 홈을 포함하는 제 2 이음판이 결합된 원통형의 하부 파일 간의 연결을 보조해 주는 장치로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파일의 둘레를 감싸는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 손잡이가 설치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upper pile and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groove in which a first joint plate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groove is coupled. A device for assis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ylindrical lower piles to which the second joint plate is coupled, comprising: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coupl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upper file; a hinge part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rotate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a fastening part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couple or release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Each par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locking handles.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몸체부에 고정되게 형성된 걸림부; 상기 제 2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회동 손잡이; 및 상기 회동 손잡이에 설치되되, 회동가능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여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formed to be fixed to the first body portion; a rotation handle rotatably form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hook part installed on the rotation handle, which is rotatable and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it is caught or released from the locking part.

상기 걸림부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상기 회동 손잡이에는 회동축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회동 손잡이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회동축의 부위에는 상기 걸이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A rotation shaft is installed through the rotation handle, and the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exposed through the rotation handle may be movably fitted through the hook portion.

상기 걸이부는 디긋자 형상의 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portion may be formed as a dice-shaped ring.

상기 회동축은 상기 회동 손잡이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동 손잡이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회동축의 양 측부에는 상기 걸이부의 양 측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may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handle, and both sides of the rotation shaft expos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handle may be movably fitted through both side portions of the hook portion.

상기 걸이부에는 길이 조정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정 패턴을 통해 길이조정된 상기 걸이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 length adjustment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hook part, and the hook part length adjusted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pattern may be fixed by a fixing member.

상기 길이 조정 패턴은, 나사산의 형태일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pattern may be in the form of a screw thread.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a bolt.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는 각각 반원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may each be configur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공사 현장에서 무용접 방식으로 상부 파일과 하부 파일을 연결시킬 때 하부 파일에 대한 상부 파일의 위치 조정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상부 파일의 상부 이음판과 하부 파일의 하부 이음판간의 연결을 보다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is configuration, when connecting the upper pile and the lower pile in a non-welding manner at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ite,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upper pile with respect to the lower pile is made more easily, so that the upper joint of the upper pile and the lower pi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joint plates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이에 의해, 상부 파일의 상부 이음판과 하부 파일의 하부 이음판 간의 끼움 결합이 정상적으로 완료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until the fitting between the upper joint plate of the upper pile and the lower joint plate of the lower pile is normally completed.

도 1은 종래의 무용접 방식에 의한 파일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에서의 체결부의 체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를 파일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le connection by a conventional non-welding method.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fastening part shown in FIG. 2 .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fas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unit in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fi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fastening part shown in FIG. 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는, 제 1 몸체부(22), 제 2 몸체부(24), 힌지부(26), 및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는 체결부(28, 30, 32, 34, 36, 38, 40a, 40b)를 포함한다.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portion 22, the second body portion 24, the hinge portion 26, and the first body portion 22 and the second body and fastening portions 28, 30, 32, 34, 36, 38, 40a, 40b that engage or disengage portions 24 from one another.

제 1 몸체부(22)는 반원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portion 22 may be configur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제 1 몸체부(22)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부 파일(10)의 바깥쪽 둘레에 접촉하게 된다.The first body portion 22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ile 10 .

제 1 몸체부(22)를 반원호 형상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부 파일(10)의 형상이 원통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 파일(10)의 형태에 따라 제 1 몸체부(22)의 형상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first body portion 22 in a semi-circular arc shape is that the shape of the upper pile 10 is cylindrical.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shape of the first body portion 22 va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pile 10 .

제 1 몸체부(22)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손잡이(22a, 22b)가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고정 손잡이(22a, 22b)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One or more fixing handles 22a and 22b ar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2, and the fixing handles 22a and 22b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제 1 몸체부(22)의 일측 외측면에는 체결부의 걸림부(28)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걸림부(28)에는 체결부의 걸이부(36)가 걸리는 걸림홈(28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part 28 of the fastening par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body part 22 . The locking part 28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28a in which the locking part 36 of the fastening part is hooked.

제 2 몸체부(24)는 반원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ortion 24 may be configur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제 2 몸체부(24)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부 파일(10)의 바깥쪽 둘레에 접촉하게 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24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ile 10 .

제 2 몸체부(24)를 반원호 형상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부 파일(10)의 형상이 원통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 파일(10)의 형태에 따라 제 2 몸체부(24)의 형상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second body portion 24 in a semi-circular arc shape is that the shape of the upper pile 10 is cylindrical.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shape of the second body part 24 va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pile 10 .

제 2 몸체부(24)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손잡이(24a, 24b)가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고정 손잡이(24a, 24b)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One or more fixing handles 24a and 24b ar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4, and the fixing handles 24a and 24b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제 2 몸체부(24)의 일측 외측면에는 체결부의 회동 손잡이(3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회동 손잡이(32)는 제 2 몸체부(24)의 일측 외측면에 형성된 베이스(30)에 제 1 회동축(3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handle 32 of the fasten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econd body part 24 . For example, the rotation handle 32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3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4 via the first rotation shaft 34 .

회동 손잡이(32)는 마치 에스(S)자 형태로 휘어져 있을 수 있다.The rotation handle 32 may be bent like an S (S) shape.

그리고, 회동 손잡이(32)의 중앙부에는 일자 형태의 제 2 회동축(38)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동 손잡이(3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제 2 회동축(38)의 양 측부에는 걸이부(36)의 양 측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되, 걸이부(36)의 양 측부의 외주면에는 길이 조정 패턴(36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정 패턴(36a)은 소정 길이의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nd, a second rotation shaft 38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handle 32 penetratingly. Both side portions of the hook portion 36 penetrate and movably fit both sides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38 expos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handle 32 ,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36 . A length adjustment pattern 36a is formed there. For example, the length adjustment pattern 36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ea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제 2 회동축(38)에 끼워진 걸이부(36)는 제 2 회동축(38)이 회동함에 따라 동일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The hook portion 36 fit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38 ma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rotation shaft 38 rotates.

걸이부(36)는 디긋자 형태의 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portion 36 may be formed as a ring in a diagonal shape.

특히, 걸이부(36)의 양 측부는 그에 대응된 제 2 회동축(38)의 양 측부의 관통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걸림홈(28a)에 걸리는 걸이부(36)의 길이(L)는 가변될 수 있다. 상술한 제 2 회동축(38)의 양 측부의 관통 구멍에 대해서는 별도로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당업자라면 상술한 설명만으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In particular,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36 penetrate through through holes (not shown) on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second rotation shaft 38 and ar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y this movement, the locking groove 28a )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taken on can be varied. Although the through-holes on both sides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rotation shaft 38 are not separately presented in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alone.

또한, 제 2 회동축(38)의 관통 구멍을 통해 어느 정도 길이조정된 걸이부(36)의 양 측부에는 제 2 회동축(38)을 사이에 두고 고정부재(40a, 40b)(예컨대,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가 각각 위치하게 되므로 걸이부(36)의 길이조정된 현재의 길이(L)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을 예로 들어 걸이부(36)의 길이(L)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걸이부(36)의 길이(L)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작업자는 걸이부(36)의 양 측부의 고정부재(40b)를 풀어서 길이 조정 패턴(36a)이 없는 부분 또는 적정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걸이부(36)의 양 측부의 고정부재(40a)를 풀어서 걸이부(36)의 양 측부로부터 결합해제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걸이부(36)를 제 2 회동축(38)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L)가 되었을 때 고정부재(40a, 40b)를 통해 현재의 길이(L)를 고정시킨다. 결국, 걸림홈(28a)에 걸리는 걸이부(36)의 길이(L)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 조정된 길이(L)는 고정부재(40a, 40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36,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38,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38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xing members 40a and 40b (eg, inner Since the bolts (bolts threaded on the side) are respectively loca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length-adjusted current length (L) of the hook part (36). A case in which the length L of the hook part 36 is to be adjus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an example. If you want to adjust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first, the operator loosens the fixing members 40b on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36 and moves to a portion without the length adjustment pattern 36a or an appropriate position. and release the fixing members 40a on both sides of the hook part 36 to release the coupling from both sides of the hook part 36 . Thereafter, the operator moves the hook portion 36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3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operator reaches the desired length L, the current length through the fixing members 40a and 40b. (L) is fixed. As a result,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8a may be adjusted by an operator's operation, and the adjusted length L may be fixed by the fixing members 40a and 40b.

다시 말해서, 기초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상부 파일(10) 및 하부 파일(12)의 직경은 다양하다. 만약, 길이 조정 패턴(36a) 및 고정부재(40a, 40b)가 없다면 걸림홈(28a)에 걸리는 걸이부(36)의 길이(L)는 어느 한 치수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걸이부(36)의 길이(L)가 어느 한 치수로 고정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는 제 1 직경의 상부 파일(10) 및 하부 파일(12)간의 연결에만 사용될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diameters of the upper pile 10 and the lower pile 12 used at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ite are various. If there is no length adjustment pattern 36a and the fixing members 40a and 40b,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8a is fixed to any one dimension. When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is fixed to any one dimension in this way, the p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upper pile 10 and the lower pile 12 of the first diameter. It will only be used for connections.

그런데, 길이 조정 패턴(36a) 및 고정부재(40a, 40b)를 통해 걸림홈(28a)에 걸리는 걸이부(36)의 길이(L)를 가변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직경의 상부 파일(10) 및 하부 파일(12)간의 연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를 적용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를 제 1 직경의 상부 파일(10) 및 하부 파일(12)간의 연결에 사용하였다가, 이후에 제 2 직경의 상부 파일(10) 및 하부 파일(12)간의 연결에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길이 조정 패턴(36a) 및 고정부재(40a, 40b)가 필요한 것이다.By the way, if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8a can be varied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pattern 36a and the fixing members 40a and 40b, the upper pile 10 and the lower part of various diameters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les 12 . That is, for example, the p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pile 10 and the lower pile 12 of the first diameter, and then the upper pile of the second diameter. It can be directly us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10) and the lower pile (12). As such,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use, the length adjustment pattern 36a and the fixing members 40a and 40b are required.

상술한 설명에서는 체결부의 걸림부(28)를 제 1 몸체부(22)의 일측 외측면에 설치하고, 걸림부(28)를 제외한 체결부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 2 몸체부(22)의 일측 외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설치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locking part 28 of the fastening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body part 22 , and other components of the fastening part except for the locking part 28 are installed outside the one side of the second body part 22 .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on the side, the installation positions may be interchanged.

힌지부(26)는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에 결합되어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The hinge part 26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22 and the second body part 24 to rotate the first body part 22 and the second body part 24 by a predetermined angle.

힌지부(26)는 제 1 몸체부(22)의 타측 외측면에 형성된 제 1 돌출부(26a), 제 2 몸체부(24)의 타측 외측면에 형성된 제 2 돌출부(26b), 및 제 1 몸체부(22) 및 제 2 몸체부(24)가 회전가능하도록 제 1 돌출부(26a)와 제 2 돌출부(26b)에 연결된 회전부(26c)를 포함한다.The hinge part 26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6a form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2, a second protrusion 26b form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4, and the first body. The portion 22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4 include a rotating portion 26c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26a and the second protrusion 26b so as to be rotatable.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 1 돌출부(26a)가 제 1 몸체부(22)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제 2 돌출부(26b)가 제 2 몸체부(24)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 1 및 제 2 돌출부(26a, 26b)의 형성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protrusion 26a is fixed to the first body 22 and the second protrusion 26b is fixed to the second body 24 , but the first and first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two protrusions 26a and 26b may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체결부를 통해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부 파일(10)의 바깥쪽 둘레와 같은 원호 형상이 되어 상부 파일(10)의 바깥쪽 둘레를 감쌀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body part 22 and the second body part 24 are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part, it becomes an arc shape like the outer perimeter of the upper pile 10 so that it can wrap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ile 10 . do.

상술한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를 합하여 몸체라고 할 수 있다.The first body portion 22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4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as a body.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파일(10, 12)은 원통형으로서, 콘크리트 파일, 강관 파일, 복합 파일, 스마트 파일(예컨대, 콘크리트 파일의 하단부에 강관을 부착시킨 파일), 이엑스티(EXT) 파일(예컨대, 선단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된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iles 10 and 12 employ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ylindrical, concrete piles, steel pipe piles, composite piles, smart piles (eg, a pile with a steel pip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EX It may be a tee (EXT) file (eg, a file configured to secure tip bearing capacity).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에서의 체결부의 체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as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unit in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의 일측을 서로 근접되게 하고, 회동 손잡이(32)를 일방향(즉, 걸림부(28)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걸이부(36)를 걸림부(28)의 걸림홈(28a)에 건 후에, 도 5에서와 같이 회동 손잡이(32)를 타방향(즉, 걸림부(2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는 원호 형상으로 상호 체결된다. First, in the same state as in FIG. 2, as in FIG. 4, one side of the first body part 22 and the second body part 24 is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nd the rotation handle 32 is moved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locking part ( 28), and after hooking the hooking part 36 to the locking groove 28a of the locking part 28, turn the rotation handle 32 in the other direction (that is, the locking part ( 28), the first body portion 22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4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arc shap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상부 파일(10)과 하부 파일(12)을 무용접 방식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를 파일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connecting the upper pile 10 and the lower pile 12 to each other in a non-welding manner using the p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nd using a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ile.

기초 공사 현장의 지층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하부 파일(12)에 대해 상부 파일(10)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를 상부 파일(10)의 하부 외측면에 설치한다.When the upper pile 10 is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lower pile 12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rata of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ite, the operator installs the p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pper part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ile (10).

즉,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의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를 상부 파일(10)의 하부 외측면(즉, 바깥쪽 둘레)에 대고 상술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회동 손잡이(32)를 일방향(즉, 걸림부(28)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걸이부(36)를 걸림부(28)의 걸림홈(28a)에 건 후에, 회동 손잡이(32)를 타방향(즉, 걸림부(2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제 1 몸체부(22)와 제 2 몸체부(24)는 상호 체결시킨다. 이로 인해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는 상부 파일(12)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된다.That is, the first body portion 22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4 of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are plac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i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ile 10 in FIGS. 4 and 4 described above. As in 5, by rotating the rotation handle 32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closer to the locking part 28), and hooking the hook part 36 to the locking groove 28a of the locking part 28, the rotation handle (32)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ocking part 28) so that the first body part 22 and the second body part 24 are mutually fastened. Due to this, the p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is fix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pile 12 .

물론,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가 헐거워서 즉, 걸림홈(28a)에 걸리는 걸이부(36)의 길이(L)가 너무 길게 조정되어서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가 상부 파일(12)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되지 않는다거나, 걸림홈(28a)에 걸리는 걸이부(36)의 길이(L)가 너무 짧아서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가 상부 파일(12)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걸림홈(28a)에 걸리는 걸이부(36)의 길이(L)를 재조정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작업자는 상부 파일(12)의 직경에 따라 걸이부(36)의 양 측부를 그에 대응된 제 2 회동축(38)의 양 측부의 관통 구멍을 통해 이동시키면서 걸림홈(28a)에 걸리는 걸이부(36)의 길이(L)를 최적화시킨 후에 고정부재(40a, 40b)를 통해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Of course,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is loose, that is,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8a is adjusted to be too long, so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is the upper pile 12 of the It is not fix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r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8a is too short so that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is not fix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pile 12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o readjust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8a). In other words, the operator moves both sides of the hook part 36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pile 12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second rotation shaft 38 while being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8a. After optimizing the length (L) of the hook portion 36, the position can be fixed through the fixing members (40a, 40b).

이와 같이 하여 파일 연결 보조 장치(20)가 상부 파일(12)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되면, 상부 파일(10)의 상부 이음판의 돌기(10a)와 하부 파일(12)의 하부 이음판의 홈(12b)이 서로 대향되고 상부 이음판의 홈(10b)과 하부 이음판의 돌기(12a)가 서로 대향되도록 하기 위해, 두 명의 작업자는 고정 손잡이(22a, 22b, 24a, 24b)를 잡고 상부 파일(10)을 움직인다. 그에 따라, 종래와 비교하여 볼 때, 하부 파일(12)에 대해 보다 신속하면서 손쉽게 끼움 맞춤을 위한 상부 파일(10)의 위치정렬이 이루어진다.In this way, when the p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0 is fix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pile 12, the protrusion 10a of the upper joint plate of the upper pile 10 and the groove of the lower joint plate of the lower pile 12 In order for (12b) to face each other and the groove (10b) of the upper joint plate and the protrusion (12a) of the lower joint plate to face each other, two workers hold the fixing handles 22a, 22b, 24a, 24b and hold the upper file (10) is moved. Accordingly,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 positioning of the upper pile 10 for quicker and easier fitting with respect to the lower pile 12 is made.

이후, 상부 파일(12)을 좀 더 하강시키게 되면 상부 파일(10)의 상부 이음판의 돌기(10a)는 하부 파일(12)의 하부 이음판의 홈(12b)에 끼워지고, 상부 이음판의 홈(10b)은 하부 이음판의 돌기(12a)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부 이음판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이음판의 일 예가 될 수 있고, 하부 이음판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이음판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돌기(10a)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돌기의 일 예가 될 수 있고, 홈(10b)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홈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2a)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돌기의 일 예가 될 수 있고, 홈(12b)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홈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After that, when the upper pile 12 is further lowered, the protrusion 10a of the upper joint plate of the upper pile 10 is fitted into the groove 12b of the lower joint plate of the lower pile 12, and the The groove 10b is fitted into the protrusion 12a of the lower joint plate. Here, the upper joint plate may be an example of the first joint plat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joint plate may be an example of the second joint plat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ojection 10a may be an example of the first projec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oove 10b may be an example of the first groov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trusion 12a may be an example of the second protrusion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oove 12b may be an example of the second protrusion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기존의 무용접 방식에 의한 파일 연결에 비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적은 힘을 들이고서도 상부 파일(10)과 하부 파일(12)간의 연결을 보다 손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pile 10 and the lower pile 12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with little effort as well as shortening the working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on-welding pile connection.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상부 파일 12 : 하부 파일
20 : 파일 연결 보조 장치 22 : 제 1 몸체부
24 : 제 2 몸체부 26 : 힌지부
28 : 걸림부 30 : 베이스
32 : 회동 손잡이 34 : 제 1 회동축
36 : 걸이부 38 : 제 2 회동축
22a, 22b, 24a, 24b : 고정 손잡이
36a : 길이 조정 패턴
40a, 40b : 고정부재
10: upper file 12: lower file
20: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22: first body portion
24: second body portion 26: hinge portion
28: locking part 30: base
32: rotation handle 34: first rotation axis
36: hanger 38: second axis of rotation
22a, 22b, 24a, 24b : fixed handle
36a: length adjustment pattern
40a, 40b: fixing member

Claims (10)

제 1 돌기와 제 1 홈을 포함하는 제 1 이음판이 결합된 원통형의 상부 파일 및 제 2 돌기와 제 2 홈을 포함하는 제 2 이음판이 결합된 원통형의 하부 파일 간의 연결을 보조해 주는 장치로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파일의 둘레를 감싸는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A device for assisting in the connection between a cylindrical upper pile to which a first joint plate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groove is coupled and a cylindrical lower pile to which a second joint plate comprising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groove is coupled,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coupled to each other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ile;
a hinge part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rotate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and a fastening part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couple or release the coupling part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xing handl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몸체부에 고정되게 형성된 걸림부;
상기 제 2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회동 손잡이; 및
상기 회동 손잡이에 설치되되, 회동가능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여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art,
a locking part formed to be fixed to the first body part;
a rotation handle rotatably form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doedoe installed on the rotating handle, rotatable and adjustable in length to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engaging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ocking part,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 손잡이에는 회동축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회동 손잡이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회동축의 부위에는 상기 걸이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rotation shaft is installed through the rotation handle, and the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exposed through the rotation handle is movably inserted through the hook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디긋자 형상의 고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hook portion is a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회동 손잡이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동 손잡이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회동축의 양 측부에는 상기 걸이부의 양 측부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on shaft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handl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of the shaft expos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handle is movably fitted through both sides of the hook.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는 길이 조정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정 패턴을 통해 길이조정된 상기 걸이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length adjustment pattern is formed on the hook portion,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y the fixing member the length of the hanging portion is adjusted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patter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 패턴은,
나사산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ength adjustment pattern is,
A pile connection aid,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orm of a threa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xing member is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ol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는 각각 반원호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e connection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nfigur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KR1020200061081A 2020-05-21 2020-05-21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KR102429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081A KR102429813B1 (en) 2020-05-21 2020-05-21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081A KR102429813B1 (en) 2020-05-21 2020-05-21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154A true KR20210144154A (en) 2021-11-30
KR102429813B1 KR102429813B1 (en) 2022-08-04

Family

ID=7872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081A KR102429813B1 (en) 2020-05-21 2020-05-21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81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761A (en) * 2003-11-19 2005-06-09 Chiyoda Koei Kk Protection tool for mechanical joint female member for connecting steel pipe piles
KR20150076960A (en) * 2013-12-27 2015-07-07 가온전선 주식회사 The pipe separator
KR101693478B1 (en) * 2016-02-11 2017-01-06 이진영 Detachable pile alignment guide band and pile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03358B1 (en) 2014-03-21 2017-12-28 주식회사 파일웍스 Concrete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983287B1 (en) 2018-06-12 2019-05-28 주식회사 택한 PHC pile connector
KR20200008187A (en) 2018-07-16 2020-01-28 이형준 guide band for pile range &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761A (en) * 2003-11-19 2005-06-09 Chiyoda Koei Kk Protection tool for mechanical joint female member for connecting steel pipe piles
KR20150076960A (en) * 2013-12-27 2015-07-07 가온전선 주식회사 The pipe separator
KR101803358B1 (en) 2014-03-21 2017-12-28 주식회사 파일웍스 Concrete pil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693478B1 (en) * 2016-02-11 2017-01-06 이진영 Detachable pile alignment guide band and pile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983287B1 (en) 2018-06-12 2019-05-28 주식회사 택한 PHC pile connector
KR20200008187A (en) 2018-07-16 2020-01-28 이형준 guide band for pile range &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813B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5568B2 (en) Steel pipe press-fitting and drawing device
KR101693478B1 (en) Detachable pile alignment guide band and pile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5948838B2 (en) Column and beam joining method
JP2007092496A (en) Polygonal frame body earth retaining for excavation groove
KR102429813B1 (en) Pile connection assistance apparatus
KR20150112636A (en) Pile cutting device
KR102274384B1 (en) Connection apparatus of steel pipe
KR20100092290A (en) Guider for concrete file
KR20110070839A (en) Column supporter installed at the top of casing
CN211007154U (en) Basement outer wall waterproof structure under narrow fertile groove of deep basal pit
AU2019444153B2 (en) Strut connector
KR20200001115A (en) Device for reinforcing head of steel pipe pile
KR102146577B1 (en) Fixed structure of high strength support material with easy to install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101672B2 (en) Telescopic beam for pier construction and p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telescopic beam
KR101546415B1 (en) The steel pipe pile cutting device for a constructing foundation work
KR101935836B1 (en) Valve install device
JP7117231B2 (en) Rehabilitation pipe straightening method and rehabilitation pipe support device
CN215714466U (en) Road curbstone construction equipment
JP2002021097A (en) Installation method for leg member of tower type structure and device used therefor
KR102620398B1 (en) Coupling Jack for adjusting lenghth and support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of the same
JP20043162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ying steel pipe pile, and working machine for work for burying steel pipe pile
KR101834325B1 (en) The universal ring vibro
JPH0721678Y2 (en) Variable diameter stabilizer
KR102566602B1 (en) Pile driver installed vibration device for steel pipe excavation capable of steel pipe pile rotation
KR200258887Y1 (en) Vertical controling apparatus for a basic pile of underwate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