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976A -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976A
KR20210143976A KR1020200060434A KR20200060434A KR20210143976A KR 20210143976 A KR20210143976 A KR 20210143976A KR 1020200060434 A KR1020200060434 A KR 1020200060434A KR 20200060434 A KR20200060434 A KR 20200060434A KR 20210143976 A KR20210143976 A KR 20210143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forming
paper
manufactur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상윤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20006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3976A/ko
Publication of KR2021014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23K26/359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by providing a line or line pattern, e.g. a dotted break initiatio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4Mechanically for setting up boxes having their opening facing upward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2External coverings o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30Organic material
    • B23K2103/40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having all side walls attached to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5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vered or externally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은, 하드심지에 의하여 골격이 형성된 종이상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드심지로 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심지를 박스의 바닥면이 형성될 영역과 상기 바닥면의 주위로 4개의 측면이 형성될 영역들이 생성되도록 레이저를 적용한 부분 커팅에 의해 한 쌍의 제1접힘선 및 상기 제1접힘선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접힘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심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PACKING BOX BY USING PARTIAL CUTTING AND PAPER PACKING BOX THEREBY}
본 발명은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글씨를 적기 위하여 발명된 이후 종이는 물건을 포장하는 용도로도 확장되었다. 종이를 이용한 포장은 물건에 종이를 직접 둘러싸는 방식과, 물건을 넣어서 바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가방 또는 봉투 형태로 제작하는 방식, 용기의 형상을 갖는 상자로 제작하는 방식 등으로 나뉜다.
이중 종이 상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그에 따른 제작 방식도 다양하다. 종이 상자의 일종으로 가볍고 튼튼한 골판지를 이용한 상자가 발명되었고, 골판지 상자는 운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종이 상자의 다른 형태인 뚜껑을 갖는 셋업박스(Set up box)는 부서지기 쉬운 내용물을 보호하면서도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발명되었다. 반면, 셋업박스는 완성된 채로 취급되고 유통되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취급중 파손될 위험성도 높다.
하드심지(Hardboard paper)에 겉지를 접착제로 싸서 이음새 부분의 노출을 막고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박스(한국에서는 '싸바리박스'라고도 한다)도 있다. 이러한 상자 중에서 하드심지와 겉지로 각각 제작된 내함과 외함이 부착된 형태도 있는데, 인쇄를 통하여 다양한 포장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형태적인 심미성을 높이므로 고가의 제품박스로 많이 사용된다.
하드심지를 이용한 박스의 제작시 활용되는 기술로서, 낱장의 하드심지에 반칼을 이용하여 칼집을 형성하고 칼집이 외측 모서리가 되도록 하여 상자를 만드는 방법과, 복수의 커터를 이용하여 하드심지에 브이(V)자 모양의 단면이 되도록 도려내어 접힘선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외측 모서리가 겹줄이 되므로 각을 살리기 어렵고, 후자의 방법은 얇은 종이나 코팅된 종이에는 적용하기 여러운 단점이 있다. 후자의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커터는 원하는 단면형이 되도록 금속제 커터날을 형상화하거나 조합하여 구성한다. 브이(V)자 모양의 커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평날 2개를 붙여서 만드는데, 날과 날 사이의 틈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커터는 또한 계속되는 작업으로 인하여 마모가 진행되고, 그에 따른 품질의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금속 커터가 사용되는 작업장에서는 도려낸 종이조작 및 분진도 상당하며, 작업자가 커터에 의해 안전사고를 입을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 선행기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03606호(2011. 01. 13.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25469호(2011. 11. 22. 공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544호(2006. 06. 27. 등록)
본 발명은 정확한 각 및 절단 품질을 구현하면서도 날의 마모나 교체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은, 하드심지에 의하여 골격이 형성된 종이상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드심지로 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심지를 박스의 바닥면이 형성될 영역과 상기 바닥면의 주위로 4개의 측면이 형성될 영역들이 생성되도록 레이저를 적용한 부분 커팅에 의해 한 쌍의 제1접힘선 및 상기 제1접힘선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접힘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심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은 상기 박스의 내측 모서리를 이루도록 커팅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의 단면형은 삼각홈, 사각홈 및 라운드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레이저에 의하여 상기 하드심지의 표면에 패턴 또는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는 조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 또는 문양의 형성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의 가공에 비해 상기 레이저의 강도가 상이하도록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드심지를 재단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저에 의하여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서 완전 커팅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하드심지를 재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하드심지를 겉지로 감싸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따르는 라인상의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하드심지를 겉지로 감싸서 종이상자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겉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겉지를 상기 하드심지의 바닥면이 형성될 영역과 상기 바닥면의 주위로 4개의 측면이 형성될 영역들이 생성되도록 레이저를 적용한 부분 커팅에 의해 한 쌍의 제1접힘선 및 상기 제1접힘선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접힘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겉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레이저에 의하여 비접촉 형태로 하드심지에 접힘선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금속 칼날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마모 및 그에 따른 커팅 품질의 불균일이 없고, 칼날의 교체 및 점검을 위한 비용과 번거로움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손이 기계에 노출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레이저에 의하여 좁은 폭을 갖는 홈의 형성에도 정확한 커팅 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 모서리에서의 각도를 정확하게 구현하면서도 모서리 부분에서 힘이나 변형이 편중되어 발생하는 박스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의 조절함으로써 얇거나 코팅면이 없는 하드심지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기존 v홈이나 반칼작업은 비닐코팅된 얇은 종이에는 가공이 용이하나, 비닐코팅이 없을 때에는 가공이 어려워 가공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위해 어쩔수 없이 비닐코팅작업을 하게 된다. 그 결과로 종이의 재활용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레이저 가공은 종이의 코팅 여부에 관계없이 가공이 용이하므로 코팅을 줄일 수 있고 자원의 재활용에도 크게 기여한다.
종이의 모양을 따내기 위해 기존에는 목형이라는 목재와 강철로 만들어진 틀을 가공하려는 모양이나 크기에따라 각각 만들어야 했으나 레이저방식은 모양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기존 프로그램화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사용하므로 목형이 필요가 없어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된다.
기존 목형의 사용은 나무판에 철재칼을 심는 방식으로 칼로 형상화하기 어려운 작은 구멍이나 좁은 막대모양 등을 표현하기 어려웠으나, 레이저방식은 아무리 작은 구멍이나 좁은 공간의 표현도 자연스럽게 형상화가 가능하다.
기존 목형방식은 나무판에 철재칼을 형상화하여 심는 방식으로 형상화된 칼이 하나의 선을 이루지 못하고 조각화된 철재칼을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이어진 칼과칼사이에 틈이 발생해서 종이의 절단면이 중간중간 끊기는 현상이 발생을하나, 레이저방식은 이러한 기존의 단점의 보완이 가능하며, 기존방식에서 조각된 철재칼을 망치로 두드려 넣으면서 발생하는 칼의 변형으로 인한 생산품의 불규칙한 형태를 발행하지 않도록 제품의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기존의 톰슨기계를 이용한 방식은 종이에 물리적 압력으로 가공하는 방식으로 가공시 작업자의 손이 기계 안으로 들어가 수없이 많은 산재사고가 발생하였으나, 새로운 방식은 저출력(30-50W) 레이져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기계에 노출되어도 상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레이저에 의하여 접힘선을 다양한 깊이 또는 단면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재단작업이나 표면의 패턴이나 문양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이 포장상자(100)로 완성되기 이전의 상태로서, 하드심지와 겉지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하드심지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겉지에 레이저 커팅을 실시하여 박스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레이저에 의하여 접힘선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400, 500)를 이용하여 인출식으로 구성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경우에 기존의 포장상자(10)와 대비하여 접힘선(20, 520)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접힘선에 라인상의 인쇄층을 형성하는 여러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도 9와 관련하여 접힘선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적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과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100)의 일 예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바로 용기나 포장상자로 사용되거나 다른 외함과 조합될 수 있는 형태를 보인다. 전자의 경우 종이 포장상자(100)는 그대로 사용될 수 있고, 후자의 사용되는 경우 비절첩식 또는 절첩식(collapsible type)으로도 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종이 포장상자(100)는 하드심지(110)를 겉지(130)로 감싼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하드심지(110)는 바닥면(111)과 바닥면에 대하여 제1접힘선(121)을 기준으로 세워진 한 쌍의 제1측면부(112)와, 바닥면(111)으로부터 제1측면부(1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접힘선(122)을 중심으로서 세워진 제2측면부(113)를 가진다. 한 쌍의 제1측면부(112)와 한 쌍의 제2측면부(113)는 그들의 측변들이 서로 만나 교합선(125)을 형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종이 포장상자(100)의 내측의 코너는 제1접힘선(121), 제2접힘선(122) 및 교합선(125)이 된다.
제1접힘선(121)과 제2접힘선(122) 및 제1접힘선(121)의 연장선과 제2접힘선(122)의 연장선이 만나는 교합선(125)은 제조 과정에서 부분 커팅이 적용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종이상자(100)의 하단의 외측 모서리는 거의 90도를 이루는 하나의 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내측에 부분 커팅을 적용한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을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모서리 각은 명확해진다.
도 2는 도 1의 종이 포장상자(100)로 완성되기 이전의 상태로서, 하드심지(110)와 겉지(130)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부분 확대도(A)와 같이,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은 대략 브이(V) 형태의 단면을 갖는 홈(groove)의 형태이다. 이러한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의 단면은 후술하는 레이저 커팅에 의하여 필요한 길이 또는 구간만큼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바닥면(111)과 제1측면부(112)가 만나는 제1접힘선(121)과 바닥면(111)과 제2측면부(113)가 만나는 제2접힘선(122)은 상자의 골격을 유지하면서도 정확한 각도의 구현을 위하여 v자 형태의 부분 커팅(확대도 A)이나, 제1접힘선(121)의 연장선과 제2접힘선(122)의 연장선이 만나는 교합선(125)은 완전 커팅된 경사면(확대도 B)을 가지며, 박스의 상단을 형성하는 나머지 엣지는 수직면(확대도 C)을 가질 수 있도록 커팅될 수 있다.
제1접힘선(121)과 제2접힘선(122)은 박스의 내측 모서리를 이루도록 커팅된다. 이때 각도의 정확한 구현을 위하여 제1접힘선(121)과 제2접힘선(122)은 종이의 일부를 일정 깊이까지 제거하면서도 90도로 접었을 때 접히는 부분에서 응력이 발생하여 종이가 뜯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의 도려내기(cut out) 커팅이 실시된다. 그에 따라, 제1측면부(112)와 제2측면부(113)가 세워져서 만나는 교합선(125)에서 정확히 90도의 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하드심지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 3(a)는 커팅이 적용되기 전의 하드심지(110')의 모습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분 커팅은 앞서 설명된 바닥면(111)과 제1측면부(112) 및 제2측면부(113)를 나누고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부분 커팅은 도 4(b)와 같이 레이저 커터(L)에 의하여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을 형성하는 것이다. 레이저 커터(L)는 강도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이저 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커터(L)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거나, 반대로 하드심지(110')가 지지된 베드가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드심지(110')를 설정된 측면의 높이가 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재단한다(도 3(d)). 이때, 하드심지(110')의 재단은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서 완전 커팅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의 형성 과정에서 레이저 커터(L)에 의하여 하드심지(110')의 표면에 일정한 패턴이나 문양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커터(L)는 조절 가능한 형태로서, 패턴이나 문양의 형성시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의 가공에 비해 레이저의 강도가 상이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레이저 커터(L)의 전기적인 제어를 위하여 전원공급 및 컨트롤러가 사용되며, 미리 설정된 경로 또는 강도나 방향으로의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의 커팅이 끝나면, 제1측면부(112) 및 제2측면부(113)을 세우고 박스의 형태를 만든다. 이 상태에서, 도 3(d)와 같이, 겉지(130)로 하드심지(110')를 감싸 접착시킨다. 겉지(130)의 부착은 전용 장비 또는 기계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겉지에 레이저 커팅을 실시하여 박스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본 예에서는 겉지(130)에 레이저 커터(L)를 이용하여 재단되어야 할 모양과 함께 접힘선(131, 132)을 형성한 것을 보인다. 겉지(130)는 하드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얇은 두께로 인해 전통적인 금속 칼날을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나, 레이저 커터(L)를 사용하여 작은 깊이라도 정밀하게 커팅을 실시할 수 있다(도 4(a)).
레이저 커팅을 완료한 겉지(130")에 다음으로 하드심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스(110")를 배치하고 겉지(130")를 부착하여 하드심지 박스(110")를 싼다(도 4(b)). 이때, 레이저 커팅을 실시하는 면은 하드심지 박스(110")가 배치될 면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박스는 겉지(130")의 내측 모서리의 접힘이 잘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박스의 외측 모서리가 정확한 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레이저에 의하여 접힘선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레이저 커터(L)를 이용하는 경우, 부분 커팅된 접힘선은 원하는 깊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도 5(a) ~ 도 5(c)). 이러한 깊이의 조절은 레이저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레이저 커터(L)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홈과 홈의 간격이 0.1 ~ 0.2 ㎜와 같이 매우 좁은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반면, 금속 칼날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칼날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1 ~ 2 ㎜ 이하의 간격을 갖는 홈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보다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며, 크기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도 6과 같이, 제1접힘선 및 제2접힘선의 단면형은 단일 삼각홈(a), 이중 삼각홈(b), 라운드홈(c) 및 사각홈(d)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접힘선 및 제2접힘선의 단면형은 레이저의 강도나 방향의 조절을 통하여 가능하며, 홈의 폭이나 깊이 등의 조절도 가능하다. 전통적인 금속 칼날을 사용하는 경우에 수반되는 마모의 문제 및 주기적인 교체의 필요성이 없으며, 칼의 상태가 언제나 일치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특정 모양대로의 커팅을 위하여 사용되는 맞춤형 칼날의 준비 및 그에 따른 비용이나 교체의 필요성도 해결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400, 500)를 이용하여 인출식으로 구성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예와 같이, 앞서의 레이저를 이용한 부분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400, 500)는 서랍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종이 포장상자(400)의 외측 모서리가 정확하게 각이 구현되었더라도 외측 종이 포장상자(500)의 내측 모서리가 각이 무디거나 남은 종이의 살이 존재하는 경우 내측 종이 포장상자(400)는 외측 종이 포장상자(500)에 잘 끼워지기 어려울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경우에 기존의 포장상자(10)와 대비하여 접힘선(20, 520)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기존의 포장상자(10)의 경우 커팅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거나, 접힘을 위하여 일정 압력으로 눌러 형성할 시 안쪽에서 종이가 뭉쳐 튀어나오는 현상(도 8(a))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상자(500)와 대비하여 보인 것이다.
도 9는 접힘선에 라인상의 인쇄층을 형성하는 여러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들이고, 도 10은 도 9와 관련하여 접힘선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적 도면들이다.
본 예에서는 앞서 설명된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이 추후 조립되었더라도 색상의 차이에 의하여 눈에 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인상의 인쇄층(140, 145, 146)을 형성한 것을 보인다. 즉,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의 절단면에 하드심지(110)에 적용된 인쇄층(115)에 대응하는 색상을 갖는 라인상 인쇄층(140, 145, 146)을 형성한다. 이후 겉지(130)를 싸는 공정을 통하여 도 1과 같이 상자를 완성하여도 제1접힘선(121) 및 제2접힘선(122)은 그 절단면이 노출되어도 코너 부분이 이질적인 색상이나 재질의 느낌을 받지 않게 된다.
도 9(a)와 같이, 표면에 인쇄층(115)을 갖는 하드심지(110)는 부분 커팅을 적용한 접힘선(120)에 의하여 절단면(125)을 노출하고 있으며, 절단면(125)과 인접면이 만나는 모서리(126)도 생성한다. 접힘선(120)에 인쇄층(140)을 형성하는 방안으로서, 도 9(b)는 접힘선(120)에 전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보인다. 도 9(c)는 인쇄층(140)을 모서리(126)로부터 일정 깊이만큼만 형성한 것을 보인다. 이 경우에도 하드심지(110)가 접힘선(120)을 기준으로 90도로 절곡되었을 때, 보다 안쪽에 있는 절단면(125)은 비록 인쇄층(140)이 없더라도 바깥쪽(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보는 방향)으로는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도 9(d)는 절단면에 적용된 인쇄층(145)과 함께 모서리(126) 부근의 인접면에도 인쇄층(146)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도 9(b) 내지 도 9(d)의 인쇄층(140, 145, 146)은 모두 접힘선(120)을 따라 형성된 것이므로 '라인형 인쇄층'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쇄층(140, 145, 146)은 점선의 형태, 복수의 색상이 조합된 형태 또는 강조를 위하여 반짝이는 안료가 사용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접힘선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적 도면들이다.
도 10(a)는 하드심지(110)에 잉크젯(220)과 같이 잉크를 뿌리거나 분사하는 방식으로 인쇄층(140)을 형성한 것을 보인다. 이 경우 접힘선(120)의 절단면에서 발생되는 지분(紙粉)이 잉크젯(220)에 들러붙지 않으므로 유지 관리의 면에서 우수하다.
도 10(b)은 잉크젯과 같은 비접촉형 착색수단 대신 접촉형 착색수단(320)을 사용한 것을 보인다. 접힘선(120)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잉크가 묻은 접촉형 착색수단(320)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거나 길이방향의 이송을 유도함으로써 필요한 면적을 갖는 인쇄층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접촉형 착색수단(320)은 브러시, 롤 또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실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부분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
110: 하드심지 111: 바닥면
112: 제1측면부 113: 제2측면부
115: 인쇄층 121: 제1접힘선
122: 제2접힘선 125: 교합선
130: 겉지 L: 레이저 커터
140, 141, 142, 145, 146: 인쇄층

Claims (14)

  1. 하드심지에 의하여 골격이 형성된 종이상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드심지로 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심지를 박스의 바닥면이 형성될 영역과 상기 바닥면의 주위로 4개의 측면이 형성될 영역들이 생성되도록 레이저를 적용한 부분 커팅에 의해 한 쌍의 제1접힘선 및 상기 제1접힘선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접힘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심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은 상기 박스의 내측 모서리를 이루도록 커팅하는 것인,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의 단면형은 삼각홈, 사각홈 및 라운드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에 의하여 상기 하드심지의 표면에 패턴 또는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는 조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 또는 문양의 형성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의 가공에 비해 상기 레이저의 강도가 상이하도록 조절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심지를 재단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저에 의하여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서 완전 커팅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심지를 재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하드심지를 겉지로 감싸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따르는 라인상의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9.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하드심지를 겉지로 감싸서 종이상자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겉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겉지를 상기 하드심지의 바닥면이 형성될 영역과 상기 바닥면의 주위로 4개의 측면이 형성될 영역들이 생성되도록 레이저를 적용한 부분 커팅에 의해 한 쌍의 제1접힘선 및 상기 제1접힘선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접힘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겉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의 단면형은 삼각홈, 사각홈 및 라운드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에 의하여 상기 겉지의 표면에 패턴 또는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는 조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 또는 문양의 형성시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의 가공에 비해 상기 레이저의 강도가 상이하도록 조절되는,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심지를 재단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저에 의하여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서 완전 커팅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
KR1020200060434A 2020-05-20 2020-05-20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 KR20210143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34A KR20210143976A (ko) 2020-05-20 2020-05-20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34A KR20210143976A (ko) 2020-05-20 2020-05-20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976A true KR20210143976A (ko) 2021-11-30

Family

ID=7872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34A KR20210143976A (ko) 2020-05-20 2020-05-20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39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7209C (zh) 包装产品的方法
DE602005003204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umgekehrten anschneide- und ritzlinie in einem flächengebilde aus verformbarem material
EP2445794B1 (de) Vorrichtung zum prägen von insbesondere kragen einer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DE202013012131U1 (de) Prägewalzensatz für eine Vorrichtung zum Prägen von Verpackungsfolien
US6190297B1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creasing sheet material
DE202012012621U1 (de) Verpackung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für Rauchartikel
DE102012017636A1 (de) Verfahren zum Bestimmen des Zurichtbedarfs und Verfahren zum Erstellen eines Zurichtbogens
EP1089922B1 (de) Verkaufsverpackung
US20200138085A1 (en) Laser cut edible decorating sheet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210143976A (ko) 부분 커팅을 이용한 종이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종이 포장상자
US20140352509A1 (en) Counter-die apparatus
KR101600789B1 (ko) 포장용 상자 및 그 제조방법
EP2755892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zigaretten-packungen
JP3897697B2 (ja) 包装用印刷ラミネートを製造する方法
KR20210063077A (ko) 브이 커팅이 적용된 종이 포장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842884A (en) Debossed printed book cover
EP1121243B1 (de) Vorrichung zur ausprägung von rilllinien in wellpappe
KR20210076572A (ko) 종이 포장상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5051305A1 (en) Laser cut edible decorating sheet
WO1996015902B1 (de) Verfahren und faltzuschnitt zur herstellung von faltschachteln
EP3533582A1 (de) Transportbehälter mit inmould-folie
KR200428372Y1 (ko) 비닐 포장대 절단 장치
EP3533581A1 (de) Arbeitsverfahren einer spritzgussanl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ansportbehälters
DE202017003174U1 (de) Öffnungsbereich eines Verpackungsmaterials
DE102017005666A1 (de) Öffnungsbereich eines Verpackungs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