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764A - 트롬빈 담지 지혈용 시트 - Google Patents

트롬빈 담지 지혈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764A
KR20210143764A KR1020217029956A KR20217029956A KR20210143764A KR 20210143764 A KR20210143764 A KR 20210143764A KR 1020217029956 A KR1020217029956 A KR 1020217029956A KR 20217029956 A KR20217029956 A KR 20217029956A KR 20210143764 A KR20210143764 A KR 2021014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hemostatic
gelatin sponge
thrombin
hemost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오기노
게이이치 요시하라
야스하루 기무라
메구미 아오키
도시타카 요시이
사토루 에가와
Original Assignee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filed Critical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3Mixtures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3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2Serine endopeptidases (3.4.21)
    • A61K38/4833Thrombin (3.4.21.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collagen, fibr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to be resorbabl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5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3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3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L31/045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1Serine endopeptidases (3.4.21)
    • C12Y304/21005Thrombin (3.4.21.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72Plasters use haemostatic with chem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2Polypeptides, proteins, e.g. glycoproteins, lipoproteins, cytokines
    • A61L2300/254Enzymes, pro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8Agents promoting blood coagulation, blood-clotting agents, embolis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외과 수술 시의 지혈, 특히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적합한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로서, 사용 전의 조제 등이 불필요하며 편리성이 높고, 또한 그대로 체내에 포매하더라도 지장 없는 생체 흡수성을 갖는 지혈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지혈용 시트는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고, (A) 밀도가 30 내지 55mg/㎤이며, (B)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이다.

Description

트롬빈 담지 지혈용 시트
본 발명은 수술 시의 지혈, 특히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적합한, 생체 흡수성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수술 손 기술의 향상이나 수술 도구의 진보 등에 따라 수술의 안전성은 높아지고 있는데, 출혈 시의 지혈 조작은 수술 후의 경과를 좌우하는 점에서 적확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에 있어서의 지혈 조작으로서는, 출혈부의 압박, 결찰, 혈관 봉합, 열 응고, 소작, 약물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척추(머리 내지 허리의 등뼈)와 그들 안의 척수 신경에 관계되는 질환이나 장애에 대한 척추 외과 수술의 분야에서는, 척추 경막에 있어서의 그물눈상으로 뒤얽힌 정맥총으로부터의 출혈이 주이며, 출혈부가 중요한 신경의 근방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전기 메스 등의 수술 도구를 사용한 열 응고 또는 소작에 의한 지혈은 신경을 손상시킬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채용할 수 없고, 출혈부 결찰이나 혈관 봉합에 의한 지혈도 곤란하다. 그 때문에, 거즈를 사용하여 10분 정도 압박 지혈하는 방법이 다용되고 있지만, 거즈 등에 의해 수술 중 시야가 점거되기 때문에, 이후의 수술 조작은 방해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거즈가 제거될 때까지 수술의 중단이 부득이하다. 거즈 대신에 젤라틴이나 콜라겐을 포함하는 지혈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젤라틴이나 콜라겐으로 구성된 스펀지나 시트는 혈액 흡수에 수반하여 출혈부를 압박하고, 물리적 작용에 의해 지혈하는 것에 더하여, 흡수한 혈액의 응고 작용에 의한 지혈 효과도 기대된다.
젤라틴 스펀지는 높은 흡수성과 생체 흡수성을 갖는다. 현재,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재로서, 예를 들어 젤폼(등록 상표)(화이자제)이나 스펀젤(등록 상표)(LTL 파마제)이 시판되고 있다. 스펀젤(등록 상표)의 첨부 문서(비특허문헌 1)의 용법·용량란에는, 「적당량을 건조 상태 그대로, 또는 생리 식염액이나 트롬빈 용액에 침지하고, 피부 혹은 장기의 창상면에 첩부하여, 삼출되는 혈액을 흡수시켜 고착한다. 본품은 조직에 용이하게 흡수되므로 체내에 포매하더라도 지장 없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상기 척추 외과 수술 시와 같이 지혈재를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한정된 출혈부에 지혈재를 첩부하기 위해서는, 지혈재가 출혈부에 밀착할 수 있도록 구부리거나 하면서 밀착시키는데, 젤폼(등록 상표)(두께: 약 7 내지 10㎜)이나 스펀젤(등록 상표)(두께: 약 1㎝)은 두껍기 때문에, 가능한 한 얇은 시트상으로 슬라이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재는 혈액 등을 흡수하면, 서서히 팽창하여 연화되어, 형상의 유지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연화된 시트상의 지혈재는, 예를 들어 척추 외과 수술의 분야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샘이 솟는 듯한 용출성의 출혈을 지혈하는 경우, 혈액이 밖으로 나오는 압력에 의해 지혈재가 절곡되어버려, 출혈부에 정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출혈 시에는 넘쳐 흘러나온 혈액을 아스피레이터로 흡인하면서 핀셋을 사용하여 지혈재를 출혈부 부근에 누르도록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스피레이터의 흡인이나 핀셋의 접촉에 의해 지혈재가 파단이나 박리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그 때문에, 혈액을 흡수하여 습윤된 상태의 시트상의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재의 조작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지혈 시간의 단축을 기대하여, 젤라틴 스펀지에 혈액 응고제인 트롬빈액을 도포 또는 침지하거나 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2에는, 「용액으로서 출혈 부위의 표면에 직접, 또는 생체 흡수성 젤라틴 스펀지와 함께 도포된다」라고 기재된다. 그러나, 트롬빈을 포함하는 젤라틴 스펀지는 용시 조제할 필요가 있어, 번잡한 수순과 무균 조제를 요한다. 또한, 트롬빈액이 습윤된 상태의 젤라틴 스펀지는 혈액 등의 흡수성이 저하된다. 또한, 트롬빈액 등으로 습윤된 상태의 젤라틴 스펀지는 형상의 유지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생리 식염수로 희석한 트롬빈액을 시판하고 있는 젤라틴 스펀지인 스펀젤(등록 상표)(LTL 파마제) 및 젤폼(등록 상표)(화이자제)에 침지시키고, 습윤된 상기 각 젤라틴 스펀지의 끝을 핀셋으로 집어 든 사진(도 1의 (i), (ii))으로부터도 알 수 있지만, 침윤된 시트상의 젤라틴 스펀지는 바로 절곡되기 때문에, 용출성의 출혈의 지혈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건조 상태로 제공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왔다(특허문헌 1, 2 및 3). 그러나, 「젖은 스펀지를 건조시키면, 스펀지의 붕괴 및/또는 스펀지 재료의 원래의 형상, 혹은 구조적 일체성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 구조의 변화가, 혈액을 흡수하는 스펀지 재료의 능력 및/또는 신체 표면의 형상에 용이하게 적합하는 스펀지의 능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3). 그 때문에 젤라틴 스펀지의 일부에만, 예를 들어 스펀지의 하나의 면에만 트롬빈액을 침윤시켜 동결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표면에만 트롬빈의 층을 갖는 젤라틴 스펀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이 제안에 의한 것은 두께가 있고, 또한 출혈부에 대한 적용면의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혈재를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한정된 출혈부에 본 제안의 지혈재를 첩부하는 것은 어려워, 척추 경막의 그물눈상으로 뒤얽힌 정맥총으로부터의 출혈이 주인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재로서는 현재까지 실용화의 보고는 없다.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재의 표면을 딱딱하게 하기 위해서, 젤라틴 스펀지를 고도로 가교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왔다(특허문헌 4). 예를 들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의 가교제를 알코올류에 용해시킨 액에, 0.1㎜ 내지 10㎜의 두께로 슬라이스한 젤라틴 스펀지를 침지하고 가교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해당 고안에 의한 것은, 출혈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게 한 지혈재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어, 건조 상태에 있어서 구부리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이나 생체 흡수성 등의 보고는 없다.
과립상의 가교된 젤라틴과 트롬빈액을 혼합하여 조제한 겔상의 인간 트롬빈 함유 젤라틴 사용 흡수성 국소 지혈재인 플로실(등록 상표)(백스터제)이 척추 외과 수술에도 사용되는 지혈재(키트)로서 시판되고 있다. 플로실의 첨부 문서(비특허문헌 3)에는, 당해 키트 중의 트롬빈 바이알, 용해액 바이알, 바늘 구비 시린지, 및 젤라틴 세트를 사용하여 지혈재를 조제하는 방법이 기재되며, 기포상의 지혈재를 예를 들어 「생리 식염수로 습윤된 거즈 등을 사용하여 본품을 출혈 부위에 2분간 유지하는」 것, 또한 「출혈이 멈추면 응혈 덩어리(응혈 덩어리에 흡수되지 않고 남은 양)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잉여분을 살짝 세척 흡인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품은 적용 후 최대 약 20% 팽창하기 때문에, 수술의 종류에 관계 없이, 사용자는 주위의 조직에 영향이 미칠 가능성을 고려할 것」 및 「본품의 팽창에 의해, 특히 신경 근방의 거의 폐쇄된 공간에 적용하는 경우, 신경을 압박할 우려가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외에, 스펀지상의 콜라겐 시트를 담체로 하고, 피브리노겐 및 트롬빈을 고착시킨 두께가 약 5㎜인 조직 접착용 시트인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CSL 베링제)가 시판되고 있다.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의 적응증에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 용도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비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소58-44057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9/128474호 국제 공개 제2009/109963호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3-9747호 공보
스펀젤(등록 상표) 첨부 문서(일본) RECOTHROM(등록 상표)의 HIGHLIGHTS OF PRESCRIBING INFORMATION(미국) 플로실(등록 상표) 첨부 문서(일본)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일 첨부 문서(일본)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일 첨부 문서 의약품 인터뷰 폼(일본)
지혈 시간을 단축하고, 용시 조제가 불필요한 트롬빈을 함유하는 지혈재는 이미 복수 검토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척추 외과 수술 시와 같이, 지혈재를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한정된 출혈부에 사용 가능한 지혈용 시트이며, 용출성의 출혈도 지혈할 수 있는 지혈용 시트에 관한 보고는 아직 없다. 또한, 상기 지혈용 시트에 적합한 습윤 시의 형상 유지능이나 강도, 팽창성, 생체 흡수성 등에 대하여 검토한 보고도 없어, 이들 점을 고려한 조작성이 우수한 시트상의 지혈재의 개발, 실용화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과 수술 시의 지혈, 특히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적합한,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로서, 건조 상태의 지혈용 시트를 변형시키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고, 또한 혈액을 흡수하여 습윤된 상태에서도 파단이나 절곡이 일어나기 어려운 지혈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팽창성이 낮고, 재출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혈용 시트를 출혈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술을 종료하더라도, 비교적 빠르게 생체 흡수되는 지혈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황 하, 본 발명자들은 건조 상태의 지혈용 시트를 출혈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변형시키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가질 것, 혈액을 흡수하여 습윤된 상태의 지혈용 시트가 용출성의 출혈에 견딜 수 있는 형상 유지능을 가질 것, 혈액 침윤 후의 팽윤성이 높지 않을 것, 생체 흡수성을 가질 것 등의 성질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의 개발을 목표로 하여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건조 상태의 지혈용 시트를 굽히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고, 또한 용출성의 출혈이더라도 지혈에 견딜 수 있는 형상 유지능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혈용 시트가 일정한 밀도와 침윤 시 형상 유지능의 범위 내에 있을 필요가 있는 것 등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성질에 더하여 팽창성이 낮고, 비교적 빠르게 생체 흡수되는 성질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혈용 시트가 일정한 밀도와 침윤 시 형상 유지능의 범위 내에 있을 필요가 있는 것 등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성질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를 얻기 위해서는, 젤라틴 스펀지가 특정한 제조 방법으로 열 가교된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인 것이 바람직한 것 등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로서,
A) 30 내지 55mg/㎤의 밀도를 갖고, 또한
B)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를 30분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막대에 시트를 얹어서 5 내지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금속 막대를 중심으로 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로 나타내지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인,
지혈용 시트,
[2]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1]의 지혈용 시트,
[3] 종횡 1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에 적하된 인산 완충액 0.1mL를 10초 이내에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는, [1] 또는 [2]의 지혈용 시트,
[4] 펩신염산 시액(80000±8000U/100mL)이 들어간 삼각 플라스크에, 중량 50.0±2.5mg이 되도록 재단된 [1] 내지 [3]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를 투입하고, 37±1℃로 설정된 항온 수조 내에서, 상기 펩신염산 시액의 수면이 흔들리는 속도로 상기 삼각 플라스크를 진탕했을 때에, 상기 지혈용 시트의 잔존을 눈으로 보기 관찰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소실 시간이 330분 미만인, [1] 내지 [3]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5] 10 내지 200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인, [1] 내지 [4]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6] 50±15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인, [1] 내지 [5]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7] [1]에 기재되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64 내지 100도인, [1] 내지 [6]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8] 밀도가 35 내지 55mg/㎤인, [1] 내지 [7]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9] 밀도가 37 내지 52mg/㎤인, [1] 내지 [8]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10] [4]에 기재되는 소실 시간이 300분 미만인, [4] 내지 [9]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11]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용인, [1] 내지 [10]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12]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사용하기 위한, 10 내지 200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로서,
A)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B) 30 내지 55mg/㎤의 밀도를 갖고,
C) 종횡 1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에 적하된 인산 완충액 0.1mL를 10초 이내에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고, 또한
D)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를 30분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막대에 시트를 얹어서 5 내지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금속 막대를 중심으로 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로 나타내지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인,
지혈용 시트,
[13]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사용하기 위한, 50±15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로서,
A)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B) 30 내지 55mg/㎤의 밀도를 갖고,
C) 종횡 1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에 적하된 인산 완충액 0.1mL를 10초 이내에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고, 또한
D)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를 30분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막대에 시트를 얹어서 5 내지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금속 막대를 중심으로 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로 나타내지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인,
지혈용 시트,
[14] 실질적으로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는, [1] 내지 [13]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15]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사용하기 위한, 50±15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혈용 시트로서,
A)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B) 30 내지 55mg/㎤의 밀도를 갖고,
C) 종횡 1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에 적하된 인산 완충액 0.1mL를 10초 이내에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고, 또한
D)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를 30분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막대에 시트를 얹어서 5 내지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금속 막대를 중심으로 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로 나타내지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인,
지혈용 시트,
[16] 젤라틴 스펀지가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인, [1] 내지 [15]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17]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가, 3 내지 6중량%의 젤라틴 용액을 기포 밀도 0.20 내지 0.34g/mL가 되도록 거품을 내서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를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10 내지 30시간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16]의 지혈용 시트,
[18]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로서,
(1) 3 내지 6중량%의 젤라틴 용액을 기포 밀도 0.20 내지 0.34g/mL가 되도록 거품을 내서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를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10 내지 30시간 열처리하여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2) 공정 (1)에서 얻어진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트롬빈액에 침윤시킨 후에 건조시켜서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 혹은 공정 (1)에서 얻어진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또는 공정 (2)에서 얻어진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두께 1.0 내지 3.5㎜로 슬라이스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1] 내지 [17]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
[19]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1) 3 내지 6중량%의 젤라틴 용액을 기포 밀도 0.20 내지 0.34g/mL가 되도록 거품을 내서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를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10 내지 30시간 열처리하여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2) 공정 (1)에서 얻어진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트롬빈액에 침윤시킨 후에 건조시켜서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 혹은 공정 (1)에서 얻어진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또는 공정 (2)에서 얻어진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두께 1.0 내지 3.5㎜로 슬라이스하는, 제조 방법,
[20] 상기 [1] 내지 [18]의 어느 것의 지혈용 시트를 사용하여, 환자의 척추 외과 수술 시에 있어서의 출혈을 지혈하는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건조 상태의 지혈용 시트를 굽히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고, 또한 용출성의 출혈이더라도 지혈에 견딜 수 있는 형상 유지능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팽창성이 낮고, 비교적 빠르게 생체 흡수되는 성질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상태의 지혈용 시트를 굽히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고, 용출성의 출혈이더라도 지혈에 견딜 수 있는 형상 유지능을 갖고, 팽창성이 낮고, 또한 비교적 빠르게 생체 흡수되는 성질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상태의 지혈용 시트를 굽히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고, 또한 용출성의 출혈이더라도 지혈에 견딜 수 있는 형상 유지능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상태의 지혈용 시트를 굽히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고, 또한 용출성의 출혈이더라도 지혈에 견딜 수 있는 형상 유지능을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를 사용하여, 환자의 척추 외과 수술 시에 있어서의 출혈을 지혈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중, (i) 및 (ii)는 각각, 배경기술에서 나타낸 트롬빈액이 스펀젤(등록 상표)(LTL 파마제) 및 젤폼(등록 상표)(화이자제)에 습윤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iii), (iv), (v), 및 (vi)은 각각 실시예 3의 (3-1)에 있어서, 습윤 시의 형상 유지 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촬상한, 시트 Spo, 시트 Gel, 시트 B, 및 시트 F의 사진이다. (vii)은 실시예 3의 (3-1)의 습윤 시 형상 유지능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험계 외관의 사진이다. 또한, (viii)은 실시예 3의 (3-3)의 인장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험계 외관의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5의 (5-5)에서 제작한 척추 수술 시의 출혈 모델 2 및 (5-7)의 지혈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i)은 용출성 출혈(화살표의 개소)을 재현했을 때의 사진, (ii)는 출혈 개소에 시트 SH를 적용했을 때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이하,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에 관한 것이다. 어떤 양태로서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는,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젤라틴 스펀지」란, 젤라틴을 다공질의 구조인 스펀지 상으로 가공한 것을 의미한다.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젤라틴으로서는,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젤라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동물 유래의 젤라틴, 예를 들어 소뼈, 돼지 피부 등으로부터 제조된 의료용 젤라틴을 사용할 수 있다. 가공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젤라틴의 용액을 거품을 내고, 그 기포를 동결 건조하거나 함으로써 제작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롬빈」은 혈액 응고 기구에 관여하는 효소의 하나이며, 피브리노겐을 가수 분해하는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트롬빈으로서는, 젤라틴 스펀지에 담지시켜서 적용될 수 있는 트롬빈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제17 개정 일본 약전에 수록된 트롬빈(소 또는 인간 유래 트롬빈)이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인 RECOTHROM(등록 상표)(백스터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효량의 트롬빈」이란 양호한 지혈능을 갖는 트롬빈의 양을 의미하고, 각 트롬빈에 따른 적량이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사용한 본 발명의 지혈 시트의 검토에 있어서, 약 50IU/㎠를 담지한 동결 건조 젤라틴 스펀지에 있어서 지혈 효과가 확인된 것으로부터, 유효량의 트롬빈의 담지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10 내지 200IU/㎠, 어떤 양태로서는 30 내지 80IU/㎠, 어떤 양태로서는 50±15IU/㎠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과 하한은 원한다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트롬빈을 정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약전에 기재된 정량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혈용」이란, 출혈부에 적용하여, 예를 들어 삼출 또는 용출하는 혈액을 지혈하는 것을 용도로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트」, 「시트상」, 또는 「시트 담체」란, 대략 0.2 내지 5.0㎜의 두께를 갖고, 절곡하거나 또는 둥글게 할 수 있는 면적(面的)인 확장을 갖는 물체, 형상, 또는 다른 물질을 고정하는 토대가 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혈용 시트」란, 대략 0.2 내지 5.0㎜의 두께를 가진 지혈재를 의미한다. 출혈부에 적용하여, 삼출 또는 용출하는 혈액을 흡수시키거나 및/또는 고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지혈한다. 종횡의 길이는 임의이며, 임상 현장에서 사용하기 쉬운 크기(예를 들어, 세로 8.0㎜, 가로 12.0㎜의 직사각형 시트, 종횡 20.0㎜의 정사각형 시트, 세로 10.0㎜, 가로 20.0㎜의 직사각형 시트 등)가 적절히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시에 적합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혈용 시트의 면에는 세로와 가로가 있고, 긴 쪽을 가로로 규정한다. 또한, 가로는 폭이라고 기재하기도 한다.
「두께」란, 면적인 확장을 갖는 물체에 있어서, 그 확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길이이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수직인 방향의 면을 촬상하고, 촬상 화면 상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나, 노기스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두께는 척추 외과 수술에 있어서, 좁은 수술부에서 발생하는 척추 경막에 있어서의 출혈에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상, 그의 두께에는 제조 변동에 따라 약간의 폭이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 양태로서는 1.0 내지 3.5㎜의 범위에서, 어떤 양태로서는 1.5 내지 3.3㎜의 범위에서, 어떤 양태로서는 2.0 내지 3.2㎜의 범위에서 대략 균일한 두께일 수 있다.
「밀도」란, 단위 체적당의 질량(중량)이다. 지혈용 시트의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노기스 등으로 지혈용 시트의 세로의 길이, 가로의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하고, 그들을 곱함으로써 산출하는 체적으로 지혈용 시트의 질량(중량)을 나누는 것을 들 수 있다. 출혈부에 적용하는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변형 허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도가 너무 높으면 변형에 의해 균열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습윤 시 형상 유지능을 갖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밀도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변형 허용성을 갖는 밀도는 어떤 양태로서는 25 내지 55mg/㎤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30 내지 55mg/㎤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35 내지 55mg/㎤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37 내지 52mg/㎤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38 내지 45m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과 하한은 원한다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과 하한은 원한다면, 상한은 45 내지 55mg/㎤의 임의의 값으로, 하한은 25 내지 38mg/㎤의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성」이란, 예를 들어 인산 완충액, 생리 식염수, 물, 및 혈액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출혈부에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적용했을 때, 혈액을 흡수하여 출혈부에 밀착하고, 트롬빈에 의한 지혈 작용을 발현시키는 점에서, 지혈용 시트는 빠르게 액체를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의 평가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종횡 10.0±1.0㎜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편면에 인산 완충액을 0.1mL 적하하고,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 상의 액체를 눈으로 봐서 확인할 수 없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신속한 흡수성이란,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인 양태로서는 10초 이내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5초 이내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2초 이내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1초 이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란, 습윤 시 형상 유지능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습윤 시 형상 유지능 시험이란,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생리 식염수 중에 30분간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즉, 직사각 형상의 해당 시트가 세로 10.0±1.0㎜, 가로 10.0±1.0㎜의 정사각 형상이 되도록 2 분할하는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해당 시트를 얹고, 어떤 양태로서는 5 내지 30초간, 어떤 양태로서는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규정한다.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작은(즉, 해당 시트의 양단이 아래로 현수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습윤 시 형상 유지능이 낮고,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큰(즉, 해당 시트의 양단이 개방된 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습윤 시 형상 유지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후기 실시예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혈 시의 조작성의 관점에서, 혈액 등으로 습윤된 후의 해당 시트의 형상은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등에 의해 습윤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가 지혈 조작이나 용출성의 출혈 등에 견딜 수 있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는, 어떤 양태로서는 55 내지 120도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60 내지 120도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62 내지 110도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64 내지 110도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64 내지 100도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68 내지 110도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68 내지 88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과 하한은 원한다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장 강도」란,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에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을 가하여, 파단되지 않는 최대 인장 하중(g)을 의미한다.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종횡 15.0±1.0㎜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생리 식염수 중에 60분간 침윤시키고, 해당 시트의 일단부를 핀셋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집으면서 고정하고, 대측에 일정한 하중을 연직 방향으로 걸어, 파단될 때까지의 하중을 해당 측정하고(n=3), 전체에 있어서 파단이 보여지지 않는 하중을 복수회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에 있어서 파단의 유무의 판정은, 해당 시트에 하중을 부여하여 5초간 파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파단 없음, 5초 이내에 파단된 경우에는 파단으로 규정한다. 본 방법에 있어서 혈액 흡수 후에도 지혈 조작이나 용출성의 출혈에 견딜 수 있는 적합한 인장 강도는, 어떤 양태로서는 20g 이상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22g 이상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29g 이상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20g 내지 40g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22g 내지 35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과 하한은 원한다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체 흡수성」이란,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가 생체 내에서 소실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젤라틴 스펀지 등의 지혈재를 장기간 체내에 잔류시키면 육아종 등을 유발할 리스크가 높아지기 때문에, 지혈용 시트는 체내에 포매하더라도 지장 없는 생체 흡수성을 갖는 것, 또는 생체 흡수성이 높은 것, 즉 지혈재로서의 역할을 종료한 지혈용 시트는 빠르게 소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흡수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래트의 간장을 사용한 시험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웅성 래트의 간장 표면에 직경 8㎜의 구멍이 뚫린 손상 제작용 플레이트를 누르고, 비어져 나온 부분을 메스로 자름으로써 출혈시키고, 출혈부에 종횡 약 5㎜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적용하고, 재출혈이 보이지 않음을 확인한 후 개복부를 봉합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다시 개복하여,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소실을 눈으로 보기 관찰에 의해 확인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소실 시기는 시판하고 있는 생체 흡수성을 갖는 지혈재와 동등하거나 또는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타코실(등록 상표)의 의약품 인터뷰 폼(비특허문헌 5)에는, 「웅성 래트의 간장의 상처 표면에 타코콤의 0.5㎝×0.5㎝/마리, (중략)을 첩부하고, 경일적으로 육안적인 관찰을 행했다」 및 「첩부 20주에서는 (중략) 전체예에서 타코콤이 소실되었다」고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예를 들어 해당 시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소실예가 보이는 시기로서는, 어떤 양태로서는 20주 이하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18주 이하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14주 이하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12주 이하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10주 이하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8주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실예가 보이는 시기의 하한은 1일이다.
생체 흡수성을 평가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을 들 수 있다. 펩신은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의 하나이며, 젤라틴은 프로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소실된다. 그 때문에, 해당 시험은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소실 용이함을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50±2.5mg 중량이며, 또한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펩신염산 시액(100mL 중에 80000±8000U의 펩신을 포함하도록 조제한 시액)이 들어간 200mL 삼각 플라스크에 상기 시트를 첨가하고, 당해 삼각 플라스크를 온도 37±1℃로 설정된 항온 수조 내에서 진탕하여, 해당 시트의 잔존을 볼 수 없게 되는 시간(분)(이후, 소실 시간이라고 칭하기도 한다)을 눈으로 보기 관찰에 의해 판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진탕 속도는 시액의 수면이 흔들리는 속도로 적절히 선택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TAITEC제의 항온 수조인 탁상형 진탕 항온조 워터 배스·셰이커 PERSONAL-11을 사용했을 때, 진탕 속도는 78회/분이 바람직하다. 소실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높은 생체 흡수성은 기대할 수 없다. 어떤 양태로서는 330분 미만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300분 미만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200분 미만이다. 또한, 소실 시간의 하한은 1분이다.
생체 흡수성을 평가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탐식 세포인 마크로파지 등이 배양 또는 단리된 세포액 중에,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적절한 크기로 재단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넣고, 온도 약 37℃로 설정된 항온조 내에서 보관하고, 해당 시트의 소실 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변형 허용성」이란, 건조 후의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눌러 구부렸을 때에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변형 허용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어떤 양태로서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세로 약 10㎜, 가로 약 20㎜로 재단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직경 약 7㎜의 튜브 측면에 있는 원주상의 곡면에 해당 시트의 가로가 곡면에 감기도록 눌러 구부렸을 때, 해당 시트의 균열이나 파단의 유무를 눈으로 보기 관찰에 의해 확인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혈용 시트의 팽창」이란, 침윤에 의해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세로의 길이, 가로의 길이, 및/또는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사용하여 출혈 부위에 적용한 채 체내에 포매했을 때, 팽창률이 작으면 주위의 조직이나 신경 등을 압박할 리스크는 낮기 때문에, 지혈 후에 제거하지 않아도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팽창률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어떤 양태로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10.0±0.5mg의 범위에서 정사각형이 되도록 재단하고, 정제수가 들어간 샤알레에 침윤시키고, 침윤 후 0시간, 1시간, 3시간, 및/또는 6시간 경과한 시점의 해당 지혈용 시트의 화상을, 마이크로스코프 등을 사용하여 해당 지혈용 시트의 측면을 촬상(배율 10배)함으로써 얻고, 화상 상에서 해당 지혈용 시트의 1변의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하고, 침윤 전의 지혈용 시트의 1변의 길이 및 두께로부터 습윤 전에 대한 변화율을 산출하고, 팽윤율로 한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팽창률의 상한은 어떤 양태로서는 15% 미만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10% 미만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5% 미만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3% 미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는 습윤에 의한 자중의 증가에 의해 두께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팽창률의 하한은 어떤 양태로서는 -15% 이상이며, 어떤 양태로서는 -1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로서는, 양호한 지혈능을 부여하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와, 적당한 생체 흡수성을 겸비하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양태로서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이며, 또한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에 있어서 소실 시간이 330분 미만인 지혈용 시트이다. 어떤 양태로서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60 내지 120도이며, 또한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에 있어서 소실 시간이 300분 미만인 지혈용 시트이다. 어떤 양태로서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62 내지 110도이며, 또한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에 있어서 소실 시간이 300분 미만인 지혈용 시트이다. 어떤 양태로서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64 내지 110도이며, 또한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에 있어서 소실 시간이 300분 미만인 지혈용 시트이다. 또한, 상기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의 상한과 하한은 원한다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와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에 있어서, 소실 시간은 원한다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척추 외과 수술」이란, 척추(머리 내지 허리의 등뼈)와 그들 중의 척수 신경에 관계되는 질환이나 장애에 대한 척추 외과 수술을 의미하고, 당해 수술에 있어서의 출혈로서는, 척추 경막의 그물눈상으로 뒤얽힌 정맥총으로부터의 출혈이 주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략 수㎜ 내지 십수㎜ 정도의 좁은 수술부에서의 지혈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척추 외과 수술로서는, 예를 들어 관절염, 추간판의 변질, 배통, 요통, 좌골 신경통, 경부 척추증, 경부통, 척추 후만증, 척추 측만증, 변성 관절 질환, 변형성 관절증, 척추 분리증, 척추 미끄럼증, 추간판 탈출, 척주 불안정증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젤라틴 스펀지에는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원한다면 추가로 각종 의약품 첨가물을 담지해도 된다. 이러한 의약품 첨가물로서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고, 또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 유연화제, 침투화제 등을 담지할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글루코오스, 사카로오스, 소르비톨 등의 당/당알코올류,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미노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유연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침투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의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의약품 첨가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고, 적절히 적량을 담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젤라틴 스펀지에는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원한다면 추가로 다른 활성 성분을 담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피브리노겐,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인자, 제XIII 인자, 피브로넥틴, 항균제, 항염증제, 및/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 젤라틴 스펀지」 또는 「가교된 젤라틴 스펀지」란, 가교 처리를 실시한 젤라틴 스펀지를 의미한다. 가교 처리는,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젤라틴 스펀지로서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열처리를 실시하는 열 가교나 가교제(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카르보디이미드,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류 등)의 사용에 의한 화학 가교에 의해, 원하는 가교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젤라틴의 열 가교는, 열처리에 의해 젤라틴의 Lys 잔기의 ε-아미노기가 분자 내 또는 분자 간에서 산화·탈아미드화를 거쳐서 알데히드기가 되고, 그 반응기와 다른 Lys 잔기의 ε-아미노기의 축합 등에 의해 일어난다. 가교에 의해 분자 운동성이 저하되는 것으로부터, 예를 들어 고체 NMR로 완화 시간의 연장을 측정함으로써 가교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열 가교에 의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가교제에 의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화학 가교 젤라틴 스펀지」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 「가교된 젤라틴 스펀지」,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및 「화학 가교 젤라틴 스펀지」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설명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가교 처리의 어떤 양태로서는 열 가교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열 가교는 열처리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글루타르알데히드에 한정되지 않고, 가교제의 대부분은 생체 적합성이 부족하고, 그들의 잔류성 및 독성이 염려되고 있는 것이 문헌 등(van Luyn MJ., Biomaterials, 13(14), pp. 1017-1024(1992): van Luyn MJ., J. Biomed., Mater. Res., 26(8), pp. 1091-1110(1992): Huang Lee LL., J. Biomed. Mater. Res., 24(9), pp. 1185-1201(1990) 등)에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젤라틴 스펀지의 어떤 양태로서는 실질적으로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는다」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 특히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교제를 첨가하는 실시 양태도 본 발명에 포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포 밀도」란, 젤라틴 용액을 냉각 교반 등에 의해 거품을 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젤라틴 기포로부터, 소정 용량의 젤라틴 기포를 계량해서 취하고, 그 질량을 측정하고, 당해 질량을 상기 용량으로 나눈 값(단위: g/mL)이다.
본 발명은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젤라틴 스펀지」, 「트롬빈」, 「유효량의 트롬빈」, 「지혈용」, 「시트」, 「시트상」, 「시트 담체」, 「지혈용 시트」, 「두께」, 「밀도」, 「흡수성」, 및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 「척추 외과 수술」,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기포 밀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에 있어서의 당해 설명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설명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이하에 기재한다.
(1) 가교 젤라틴 스펀지의 지혈용 시트 담체의 제조
젤라틴을 용해하여, 젤라틴 용액을 조제한다. 젤라틴 용액은 어떤 양태로서는 4 내지 6중량%, 어떤 양태로서는 4 내지 5중량%, 어떤 양태로서는 3.8 내지 4.5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동물 유래의 젤라틴을 약 37 내지 53℃로 가온한 정제수에 첨가하고, 젤라틴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과 하한은 원한다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젤라틴 용액을 냉각 교반에 의해 거품을 내는 것에 의해, 원하는 기포 밀도를 갖는 젤라틴 기포를 조제한다. 어떤 양태로서는, 연속식 교반 장치의 호퍼에 젤라틴 용액을 투입 후, 젤라틴 용액을 교반부에 일정량 공급함과 동시에 공기도 용액 내로 보내고, 약 20 내지 23℃로 냉각시키면서 교반함으로써 거품을 내어, 0.25 내지 0.34g/mL의 범위의 기포 밀도의 젤라틴 기포를 얻는다. 젤라틴 용액의 농도와 기포 밀도의 선택은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행할 수 있고, 어떤 양태로서는 3 내지 6중량%의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0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4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5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4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7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4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9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4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32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5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5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5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9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5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7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5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32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6%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0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 어떤 양태로서는 6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7 내지 0.31g/mL의 젤라틴 기포이지만,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하는 기포 밀도의 젤라틴 기포를 용기에 분주하고, -40 내지 -20℃에서 동결시킴으로써 동결 블록으로 할 수 있다. 동결 블록을 용기로부터 취출하고, 바람직하게는 미리 -20℃에서 예비 동결한 후에,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를 행함으로써 젤라틴 스펀지를 얻을 수 있다. 어떤 양태로서는 동결 건조기의 선반 온도 0℃, 13.3Pa의 감압 하에서 48 내지 240시간 건조시키고, 선반 온도를 60℃로 승온하여 0Pa의 감압 하에서 24 내지 120시간 건조시킴으로써 젤라틴 스펀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은 건조된 젤라틴 스펀지가 얻어지면 되고, 건조 시간의 상한은 자유로 변경할 수 있다.
가교되는 열처리를 실시할 때의 온도 및 시간은 젤라틴 용액의 기포 밀도나 트롬빈의 종류 및 담지량에 따른 적량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4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9 내지 0.34g/mL의 젤라틴 기포로부터 제조한 젤라틴 스펀지를 사용하여, 약 50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어떤 양태로서는 153℃에서 200분 이상의 열처리 후, 120℃에서 450분 이상의 열처리를 행하고, 또한 150 내지 160℃에서 2 내지 10시간 또는 145 내지 165℃에서 2 내지 20시간의 열처리를 행할 수 있다. 어떤 양태로서는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5 내지 30시간의 열처리, 어떤 양태로서는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8 내지 25시간의 열처리, 어떤 양태로서는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10 내지 22시간의 열처리, 어떤 양태로서는 145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5 내지 30시간의 열처리, 어떤 양태로서는 145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8 내지 25시간의 열처리, 어떤 양태로서는 145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10 내지 22시간의 열처리를 행할 수 있다.
가교 젤라틴 스펀지는, 트롬빈액을 침윤시키기 전에 원하는 두께의 시트로 슬라이스할 수 있다. 슬라이스는 가교 처리의 전후를 불문한다. 혹은, 가교 젤라틴 스펀지에 트롬빈을 담지시켜서 동결 건조한 후에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해도 된다. 가교 전 젤라틴 스펀지, 가교 젤라틴 스펀지,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시트상으로 할 때의 두께는, 어떤 양태로서는 1.0 내지 3.5㎜의 범위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1.5 내지 3.3㎜의 범위이고, 어떤 양태로서는 2.0 내지 3.2㎜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과 하한은 원한다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젤라틴 용액 농도, 기포 밀도와 가교 방법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상기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에 적합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의 지혈용 시트 담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적합한 제조예를 나타내지만, 반드시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제조
상기 지혈용 시트 담체를 트롬빈액으로 침윤시킨 후에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스펀지 전체에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슬라이스 전의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트롬빈액으로 채우고, 동결 건조 후에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하여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얻어도 된다.
가교 젤라틴 스펀지(바람직하게는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의 시트 담체에 트롬빈액을 침윤시키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침지, 분무, 부분 침윤, 트롬빈층의 첩부 등을 들 수 있다. 간편하게 젤라틴 스펀지 전체에 트롬빈을 침윤시킬 수 있는 점에서, 침지를 들 수 있다.
어떤 양태로서는 원하는 양의 트롬빈을 포함하는 트롬빈액(약 250 내지 1500IU/mL)을 가교 젤라틴 스펀지(바람직하게는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에 담지시키고 싶은 단백량에 상당하는 액량분을 트레이에 분주할 수 있다. 트레이에 가교 젤라틴 스펀지의 시트를 가하여 완전히 침지 후, 동결 건조를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 특히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적합한 지혈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척추 외과 수술 시에 있어서의 출혈을 지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젤라틴 스펀지」, 「트롬빈」, 「유효량의 트롬빈」, 「지혈용」, 「시트」, 「시트상」, 「시트 담체」, 「지혈용 시트」, 「두께」, 「밀도」, 「흡수성」,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 「척추 외과 수술」,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및 「기포 밀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 및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당해 설명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혈용 시트의 제조 1
(1-1)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의 시트 담체의 제조
젤라틴(소뼈 유래, G3287P: 니타 젤라틴제)을 50℃로 가온한 정제수에 첨가하고, 범용 교반 장치(SCR-210, iuchi제)로 교반 용해하여, 4%(w/w) 또는 6%(w/w)의 젤라틴 용액을 조제하였다. 젤라틴 용액을 연속식 교반 장치(TM110-GA, 아이코샤 세이사쿠쇼제)의 호퍼에 투입하고, 4% 젤라틴 용액 또는 6% 젤라틴 용액을 각각 교반부에서, 제품 온도가 각각 22℃ 또는 21℃가 되도록 냉각하면서, 또한 젤라틴 용액을 일정 속도로 공급하고 공기의 이송량을 조절하면서, 교반부 회전 속도 약 1196회전/분으로 거품을 냈다. 얻어진 이하의 (a) 내지 (d)의 기포 밀도의 젤라틴 기포를 스테인리스제의 용기 또는 폴리에틸렌제의 용기에 분주하고, -40 내지 -30℃에서 동결하였다.
(a) 4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4g/mL의 젤라틴 기포,
(b) 4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33g/mL의 젤라틴 기포,
(c) 6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29g/mL의 젤라틴 기포,
(d) 6중량% 젤라틴 용액을 포함하는 기포 밀도 0.35g/mL의 젤라틴 기포.
또한 0℃ 환경 하에서 반해동하고, 용기로부터 젤라틴을 포함하는 동결 블록을 취출한 후, 큰 동결 블록에 대해서는 햄 슬라이서(LH30, 히타치 고키제)를 사용하여 슬라이서의 메모리 설정을 2.5 내지 3.0㎝로 하여 슬라이스하였다.
고 내가 -20℃인 동결 건조기(Lyoph-3, 알박제)에 얻어진 동결 블록을 입고하여 예비 동결하고, 선반 온도 0℃, 13.3Pa의 감압 하에서 96 내지 141시간 건조시키고, 선반 온도를 60℃로 승온하고, 0Pa로 감압한 후, 추가로 24 내지 72시간 건조시킴으로써 젤라틴 스펀지를 얻었다. 얻어진 젤라틴 스펀지를 햄 슬라이서(LH30, 히타치 고키제)로 약 3㎜로 슬라이스하여, 젤라틴 스펀지의 슬라이스품을 얻었다. 또한, (d)의 젤라틴 기포로 제조한 젤라틴 스펀지는 슬라이스 시에 균열이 발생했기 때문에, 이후의 검토를 중지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젤라틴 스펀지의 슬라이스품을 건열 멸균기(DCH-120HL, 알푸제)로 153℃에서 198 내지 210분 열처리 후, 추가로 열처리를 120℃에서 426 내지 442분 실시하여, 가교 젤라틴 스펀지의 슬라이스품을 얻었다.
가교 젤라틴 스펀지의 슬라이스품을 추가로 건열 멸균기(DCH-120HL, 알푸제)를 사용하여 이하 (i)의 추가의 열처리를 하지 않거나, 또는 이하 (ii) 내지 (iv)의 어느 것의 조건으로 추가의 열처리(이후, 추가 열처리라고 칭하기도 한다)를 실시하고, 세로 50㎜, 가로 100㎜의 길이로 재단하여, 지혈용 시트 담체 A 내지 L을 얻었다.
(i) 추가 열처리 없음,
(ii) 155℃, 약 4시간의 추가 열처리,
(iii) 155℃, 약 8시간의 추가 열처리,
(iv) 155℃, 약 12시간의 추가 열처리.
또한, 후기 표 1에 있어서 시트 A 내지 L이란 후기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 A 내지 L과 지혈용 시트 담체 A 내지 L의 양자를 나타내는 기재이며, A 내지 L은 「기포 밀도-추가 열처리」란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포 밀도 (a) 내지 (c) 및 추가 열처리 (i) 내지 (iv)의 차이이다.
(1-2)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제조
인간 재조합 트롬빈 제제(RECOTHROM(등록 상표) 20000IU Topical Kit 및 RECOTHROM(등록 상표) 5000IU Topical Kit, 백스터제)의 바이알을 개봉하고, 주사용수로 재용해를 실시하여 트롬빈액을 얻었다(284IU/mL). (1-1)에서 제조한 지혈용 시트 담체 A 내지 L을, 트롬빈액 8.8mL를 분주한 트레이에 침지시켰다. 상기 시트 담체를 동결 건조기(Lyoph-3 또는 Lyoph-2, 알박제)에 있어서 -18℃에서 305분, -8℃에서 600분, 및 -10℃에서 125분 예비 동결을 실시한 후, 10℃, 133.0Pa의 감압 하에서 약 9 내지 약 12시간, 및 10℃, 73.0Pa의 감압 하에서 10시간 건조시키고, 25℃로 승온한 후, 73.0Pa의 감압 하에서 1.5시간, 및 25℃, 0Pa의 감압 하에서 약 2 내지 6시간 건조시킴으로써 약 50IU/㎠의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1-3) 각 지혈용 시트 담체의 밀도 및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두께와 밀도의 측정
(1-1)에서 얻어진 각 지혈용 시트 담체 및 (1-2)에서 얻어진 각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를 종횡 10㎜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하고, 치수를 노기스로 측정하고, 또한 샘플 중량을 계량하고, 각 지혈용 시트 담체 및 각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밀도를 산출했다(n=20).
(1-4) 결과
지혈용 시트 담체 밀도 및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 밀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트 B, F, 및 H에 대하여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모두 2.6±0.2㎜(n=16)이며, 거의 균일하였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지혈용 시트의 제조 2
(2-1) 젤라틴 스펀지의 시트 담체의 제조
젤라틴(소뼈 유래, GGG: 니타 젤라틴제)을 40℃로 가온한 정제수에 첨가하고, 범용 교반 장치(SCR-210, iuchi제)로 교반 용해하여, 4%(w/w)의 젤라틴 용액을 조제하였다. 젤라틴 용액을 교반 장치(야마나 세코제)에 투입하고, 냉각 순환 장치(PCU-3610R, aspite제)의 냉각수를 25.0℃로 설정하여 교반 장치를 냉각하면서, 교반부 회전 속도 500회전/분으로 2분간 교반한 후, 회전 속도를 300회전/분으로 바꾸어서 22분간 교반함으로써 거품을 냈다. 얻어진 젤라틴 기포는 스테인리스제의 용기에 분주하고, 저온 항온기(PU-1J, espec제)에 있어서 -40℃에서 동결하고, -2℃로 승온하여 반해동한 후, 스테인리스제의 용기를 저온 항온기로부터 취출하고, 용기로부터 반해동 상태의 젤라틴을 포함하는 블록을 취출한 후, 햄 슬라이서(LH30, 히타치 고키제)를 사용하여 2 내지 3㎜로 슬라이스하여, 젤라틴 스펀지의 슬라이스품을 얻었다. 미리 -20℃에서 예비 동결한 동결 건조기(Lyoph-2 또는 Lyoph-3, 알박제)에, 얻어진 슬라이스품을 입고하고, 선반 온도 60℃, 0Pa의 감압 하에서 약 10 내지 17시간 건조시켜서, 젤라틴 스펀지의 슬라이스품을 얻었다. 얻어진 젤라틴 스펀지의 슬라이스품을 건열 멸균기(DCH-120HL, 알푸제)로 145℃에서 약 4시간 열처리하고, 지혈용 시트 담체(종횡 40㎜)로서 재단하였다.
(2-2)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제조
인간 재조합 트롬빈 제제(RECOTHROM(등록 상표) 5000IU TopicalKit, 백스터제)의 바이알을 개봉하고, 주사용수로 재용해한 용액(11076IU/mL)을 720μL와 리보플라빈 6.0mg을 차갑게 한 에탄올 중에 현탁하여 전량 14.5g으로 하여 트롬빈액을 얻었다. (2-1)에서 얻은 지혈용 시트 담체에 트롬빈액 1.7mL를 적하하고, 동결 건조기(Lyoph-2 및 Lyoph-3, 알박제)에 입고하고, 10℃, 133.3Pa의 감압 하에서 약 21 내지 22시간 건조시킴으로써, 약 50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인, 후기 표 2의 시트 M(비교예)을 제조하였다.
(2-3) 스펀젤(등록 상표)을 사용한 지혈용 시트 담체의 제조
스펀젤(등록 상표)(LTL 파마제)을 (1-1)에 기재된 (ii)와 마찬가지로 155 내지 156℃에서 약 4시간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햄 슬라이서(LH30, 히타치 고키제)로 두께 약 2.6㎜로 슬라이스하고, 이것을 후기 표 2의 시트 SH의 담체로 하였다. 비교예로서, 스펀젤(등록 상표)을 약 3㎜로 슬라이스한 것을 시트 Spo의 담체로 하였다.
(2-4) 스펀젤(등록 상표)을 사용한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제조
(2-3)에서 얻은 시트 SH의 담체 및 시트 Spo의 담체에, (1-2)와 마찬가지로 약 50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침지시키고, 동결 건조기(Lyoph-3 또는 Lyoph-2, 알박제)에 있어서 -18℃에서 305분, -8℃에서 600분, 및 -10℃에서 125분 예비 동결을 실시한 후, 10℃, 133.0Pa의 감압 하에서 약 5 내지 14시간, 및 10℃, 73.0Pa의 감압 하에서 약 9 내지 10시간 건조시키고, 25℃로 승온한 후, 73.0Pa의 감압 하에서 1.5시간, 및 25℃, 0Pa의 감압 하에서 약 5 내지 16시간 반 건조시킴으로써 약 50IU/㎠의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인, 후기 표 2의 시트 SH 및 시트 Spo(비교예)를 제조하였다.
(2-5) 젤폼(등록 상표)을 사용한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제조
추가로, (2-3)과 마찬가지로 약 3㎜로 슬라이스한 젤폼(등록 상표)(화이자제)을 담체로 하여,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약 50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침지시킨 시트 담체를 동결 건조기(Lyoph-3, 알박제)에 있어서 -18℃에서 305분, -8℃에서 600분, 및 -10℃에서 125분 예비 동결을 실시한 후, 10℃, 133.0Pa의 감압 하에서 약 14시간, 및 10℃, 73.0Pa의 감압 하에서 약 9시간 건조시키고, 25℃로 승온한 후, 73.0Pa의 감압 하에서 1.5시간, 및 25℃, 0Pa의 감압 하에서 16시간 반 건조시킴으로써 약 50IU/㎠의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인, 후기 표 2의 시트 Gel(비교예)을 얻었다. 단, 젤폼(등록 상표)은 약 50IU/㎠의 트롬빈을 담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약액량을 흡수할 수 없고, 압박하여 흡수를 시도하더라도 흡수량은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트롬빈의 담지량은 50IU/㎠보다 적다고 생각된다.
(2-6) 각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두께와 밀도의 측정 및 결과
각 지혈용 시트로부터 종횡 10㎜의 정사각형이 되도록 샘플을 재단하고, 두께를 노기스로 측정하였다. 또한, 샘플 중량을 계량하고, 지혈용 시트의 밀도를 산출하였다. 각 시트의 두께와 밀도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 및 인장 강도의 측정
(3-1) 습윤 시 형상 유지능 시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트롬빈을 담지한 각 지혈용 시트를, 세로 약 10㎜, 가로 약 20㎜로 재단하고,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재단한 각 지혈용 시트를 생리 식염수 중에서 30분간 침윤시켰다. 금속 막대로서 직경 2.0±0.2㎜, 길이 15㎝의 마이크로스패튤라(애즈원제)를 종횡 13㎝이고 깊이가 있는 플라스틱 트레이 용기의 테두리에 양단을 얹고, 금속 막대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생리 식염수에 침지한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상기 금속 막대 상에 오도록 해당 시트를 상기 금속 막대 상에 얹고, 5초간 정치하였다. 그 후, 25초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금속 막대의 선단측으로부터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 측면이 정면이 되도록 촬상하였다. 또한, 본 시험 방법으로 시험된 모든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는, 눈으로 보기 관찰에 있어서 금속 막대에 얹고 나서 5초 후에는 해당 시트의 형상 변화는 완료되고, 그 후의 촬상 중(25초간)에 있어서도 계속하여 형상 변화는 없는 것을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다.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은 복수회 실시했다(n=3 내지 10).
상기 시험의 외관은, 예를 들어 우측으로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촬상하면 도 1의 (vii)과 같이 된다. 이 도면에서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다른 시트 B(좌측) 및 시트 Gel(우측)을 각각 금속 막대에 얹어서 배열하여 관찰한 것이며, 습윤 시 형상 유지능은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의 차이에 의해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2) 습윤 시 형상 유지능 시험의 결과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3
시판하고 있는 젤라틴 스펀지를 시트 담체로 한 시트 Spo 및 시트 Gel은 습윤에 의해 유연해져, 도 1의 (iii) 및 (iv)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는 작았다. 한편, 시트 SH는 스펀젤(등록 상표)에 열 가교한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시트인데, 침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시트 Spo보다 높아졌다. 또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 예를 들어 시트 B 및 시트 F는 도 1의 (v) 및 (v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상의 형상을 유지한 채 금속 막대 상에서 넓은 각도가 유지되어, 즉 큰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습윤 시에 있어서도 높은 형상 유지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3-3) 인장 강도의 측정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트롬빈을 담지한 각 지혈용 시트(종횡 약 15㎜)의 인장 강도 시험을 복수회 실시했다(n=2 내지 3, n=3일 때, 평균값±표준 오차를 산출). 습윤된 지혈용 시트를 유지하는 지그는 더블 클립(블랙, 극두(極豆), 13㎜폭, ASKUL제)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대측에 50mL 또는 15mL 일회용 튜브를 설치하고, 충전하는 수량에 의해 하중량을 조절했다(예를 들어, 도 1의 (viii) 참조).
(3-4) 인장 강도의 결과
결과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또한, 괄호 내는 각 지혈용 시트의 밀도와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이다.
시트 SH(37.6±2.1mg/㎤, 64±5도): 22±0.3g,
시트 B(42.2±2.9mg/㎤, 78±6도): 29±0.3g,
시트 Spo(38.9±3.0mg/㎤, 20±3도): 18±0.0g,
시트 M(미측정, 8±2도): 2회 실시하고, 모두 18g.
시트 M(비교예) 및 시트 Spo(비교예)에 비하여, 시트 SH의 인장 강도는 높은 값을 갖고 있었다. 또한, 밀도가 높은 시트 B는 보다 큰 인장 강도를 나타냈다. 이 결과로부터, 추가로 열처리를 실시한 젤라틴 스펀지의 지혈용 시트는 큰 인장 강도를 갖고, 지혈 시의 찢어짐이나 파단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높은 지혈용 시트는 인장 강도도 큰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지혈용 시트 B는 지혈 중에 아스피레이터 등으로 흡인되더라도 찢어짐이나 파단이 일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시예 4>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흡수성
(4-1) 흡수성의 평가 방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 B를 종횡 10.0㎜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하고, 샘플로 하였다. 샘플의 편면에 인산 완충액(pH7.4, gibco제)을 0.1mL 적하하고, 해당 샘플 상의 액체를 눈으로 봐서 확인할 수 없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n=4). 또한, 비교예로서,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CSL 베링제) 및 젤폼(등록 상표)(화이자제)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에 대해서는, 활성면 및 비활성면(이면)의 양면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 시간은 최대 300초간으로 하고, 300초 경과 후에도 액체가 보일 경우에는 흡수 시간을 300초 이상(컷오프값)으로 하였다.
(4-2) 흡수성의 결과
시트 B에서는 용액을 적하한 직후부터 빠르게 흡수되어, 흡수에 요한 시간은 1초 이내였다.
한편,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표면 및 이면) 및 젤폼(등록 상표)은 모두 시트와 액적의 접촉면에 계면 장력이 발생하고, 액적의 저류가 보였다. 액적은 서서히 흡수되었지만, 300초 경과 시에도 액적은 남아있었다.
따라서, 가교 젤라틴 스펀지의 시트가 담체인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는 높은 흡수성을 갖고, 지혈 시에도 순시에 혈액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포르말린 변성(즉 포름알데히드로 가교한) 젤라틴 스펀지인 젤폼(등록 상표)(화이자제)이나 콜라겐 시트 제제인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CSL 베링제)에서는 흡수에 시간을 요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출혈 모델을 사용한 지혈용 시트의 지혈 효과
(5-1)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출혈 모델 1의 제작
미니 돼지(NIBS, 19-20개월령)를 사용하여 척추 외과 수술의 출혈 모델 1을 제작하였다. 도입 마취로서 15mg/kg의 케타민염산염을 근육 내에 투여한 후, 기관 삽관하여 흡입 마취기(Vigor 21 II DX, 아코마 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N2O:O2=2:1의 혼합 가스+1 내지 2% 이소플루란의 조건 하에서 마취를 유지하고, 동물용 인공 호흡기(PRO-V mk II, 아코마 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10 내지 15mL/kg, 10 내지 12회/분의 조건에서 호흡을 관리하였다. 동물은 복와위로 고정하고, 정중 절개하여 근층을 박리하고, 리트랙터로 수술 중 시야를 확보하면서 전개하여 요추를 노출시켰다. 이 요추를 노출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출혈로써, 척추 외과 수술 시에 있어서의 출혈을 모방한 출혈 모델 1로 하였다.
(5-2)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출혈 모델 1을 사용한 지혈 시험 방법
상기 척추 외과 수술의 출혈 모델 1의 출혈에 대하여 핀셋을 사용하여 출혈점 부근에 지혈용 시트를 누르도록 하여 적용하고, 그대로 지혈용 시트를 핀셋으로 고정하였다. 당해 출혈부로부터의 추가의 출혈이 없는 것을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으면, 그 시간으로부터 지혈 상태가 30초간, 추가의 지혈 처치를 하지 않고 관찰을 계속하고, 그 지혈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것을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다. 지혈 완료의 판정은, 관찰 중에 적용부로부터 추가의 출혈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추가의 출혈이 없는 것을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었던 시점에서 지혈 완료였다고 판정하였다. 또한, 처음에 그 출혈점 부근에 지혈용 시트를 적용한 시점부터, 지혈 완료로 판정한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으로써 지혈 시간으로 하였다.
(5-3)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M을 사용한 지혈 시험
상기 척추 외과 수술의 출혈 모델 1의 출혈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시트 M을 종횡 20㎜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해당 시트를, 출혈된 혈액을 아스피레이터로 흡인하면서 핀셋을 사용하여 출혈점 부근에 누르도록 적용하고, 그대로 해당 시트를 핀셋으로 고정하면서 지혈 상태를 관찰하였다. 출혈점 3군데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1군데에 있어서 지혈 완료(사용한 해당 시트는 1매, 지혈 시간은 30초)로 판정되었지만, 다른 2개소에서는 혈액을 흡수하면 시트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응집 괴상화나 아스피레이터 흡인에 의한 파단이 관찰되어 지혈할 수 없었다.
실제 임상에 있어서의 척추 외과 수술에 있어서는, 상기 척추 외과 수술의 출혈 모델 1에서 관찰된 출혈보다 출혈의 기세가 심한 용출성의 출혈에 대해서도 지혈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시트 M이나 시트 M과 동일 정도의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나 인장 강도를 갖는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에서는 용출성 출혈의 지혈은 곤란하다고 추정되었다.
(5-4)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출혈 모델 2의 제작
미니 돼지(NIBS, 11개월령)를 사용하여, (5-1)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작한 요추를 노출시킨 모델에 대하여 추가로 에어톰을 사용하여 추골을 자르고, 추궁을 제거하여 척수를 노출시키고, 척수의 측에 있는 추골 정맥의 분지 말초 정맥을 절개하여 용출하도록 출혈시켜서(도 2의 (i) 참조), 척추 외과 수술 시에 있어서의 심한 용출성의 출혈을 모방한 출혈 모델 2로 하였다.
절개 가능한 분지 말초 정맥을 복수 군데 알아낸 후, 이것을 놓치지 않도록 즉시 절개하여 용출성 출혈을 확인하고, 지혈 시험을 개시할 때까지 거즈를 출혈점 부근에 막아서 임시 지혈하였다. 지혈 시험을 행할 때는, 이 거즈를 제거하여 용출성 출혈이 재개되는 것을 확인한 후, 개시하였다.
(5-5)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출혈 모델 2를 사용한 지혈 시험 방법
지혈 시험은 아스피레이터로 혈액을 흡인하면서, 핀셋을 사용하여 출혈점 부근에 시트를 누르도록 적용하고, 그대로 핀셋이나 아스피레이터로 지혈용 시트를 고정하여 출혈 상황을 관찰하였다. 출혈의 기세가 강하거나, 혹은 지혈부의 스페이스가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시트를 위로부터 누르도록 추가하고, 해당 시트에 대한 혈액의 흡수 상황 등으로부터 출혈이 가라앉았다고 판단할 수 있을 때까지 이 조작을 반복하였다. 적용 시, 지혈부의 스페이스에 따라서 해당 시트를 절곡하거나, 둥글게 하거나 하여 사용하였다. 당해 출혈부로부터의 추가의 출혈이 없는 것을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으면, 적어도 30초간, 추가의 지혈 처치를 하지 않고 관찰을 계속하고, 그 지혈 상태가 유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혈 완료의 판정은, 관찰 중에 적용부로부터 추가의 출혈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추가의 출혈이 없는 것을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었던 시점에서 지혈 완료였다고 판정하였다. 또한, 처음에 그 출혈 개소에 지혈용 시트를 적용한 시점부터, 지혈 완료라고 판정한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으로써 지혈 시간으로 하였다.
(5-6)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를 사용한 시험 결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SH를 세로 8㎜, 가로 12㎜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고, 지혈 모델 2에 적용하였다. 독립된 5군데의 출혈점에 시트 SH를 적용하고, 지혈 시험을 개시한 바(도 2의 (ii) 참조), 적용 후 바로 혈액을 흡수하고, 습윤 후에도 시트의 형상은 유지되고, 응집 괴상화나 아스피레이터 흡인에 의한 파단은 거의 보이지 않고, 추가의 지혈용 시트를 적용하여 지혈 조작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모든 출혈부에서 지혈 완료라고 판정되고, 지혈 시간의 평균값은 2분 25초이며, 지혈용 시트의 평균 사용 매수는 4.6매였다. 또한,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 적용할 수 있어, 수술 중 시야를 점거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에 있어서, 지혈 완료라고 판정된 시트 SH의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는 64도이며, 또한 인장 강도는 22g이었다. 따라서, 당해 시트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나 인장 강도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는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출혈, 특히 용출성 출혈의 지혈에 효과가 기대된다.
<실시예 6> 간장 손상 출혈 모델을 사용한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지혈 효과
(6-1) 간장 손상 출혈 모델의 제작
미니 돼지(Goettingen minipigs, 21개월령)를 개복하고, 간장을 노출시키고, 직경 12㎜의 구멍이 뚫린 손상 제작용 플레이트를 간장 표면에 누르고, 비어져 나온 부분을 메스로 잘라서 손상을 제작하고, 출혈시킴으로써, 간장 손상 출혈 모델을 제작하였다. 동물은 헤파린나트륨(500 내지 3000U, 투여액량: 0.5 내지 3.0mL)을 정맥내 투여하여 활성화 응고 시간이 300초 정도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활성화 응고 시간은 액트라이크 MINI II(가부시키가이샤 트라이테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6-2) 간장 손상 출혈 모델을 사용한 지혈 시험
종횡 20.0㎜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 또는 시판하고 있는 지혈재를 손상 부위에 접촉시키도록 얹고, 지혈을 개시하였다. 해당 시트 또는 지혈재를 위에서부터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서 고정함으로써 적용하였다. 적용 1분 후에 누르고 있었던 손가락을 떼고, 그 시점부터 5분간 출혈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지혈 완료의 판정은, 관찰 중에 간장 표면에 새로운 출혈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손가락을 뗀 시점에서 지혈 완료였다고 판정하고, 지혈 시간을 1분으로 하였다. 한편, 손가락을 뗀 시점에서 출혈이 확인된 경우에는 간장 표면에 새로운 출혈이 보이지 않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여 지혈 시간으로 하였다. 적용 6분 후에도 출혈이 보이는 경우, 지혈 시간은 6분 이상으로 하였다.
(6-3)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B, C, E 혹은 F 또는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를 사용한 지혈 시험의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B, C, E, 혹은 F 또는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를 사용하여, 간장 손상 출혈 모델을 사용한 지혈 시험을 행하였다.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에서는, 적용 6분 후에도 5예 중 3예에서 출혈이 보였다.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의 첨부 문서에는, 「그 활성 성분 고착면을 접착·폐쇄 부위에 첩부하고, 통상 3 내지 5분간 압박한다」라고 기재되는 바와 같이,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에서는, 지혈용 시트를 위에서부터 손가락로 가볍게 누르는 지혈 처리가 적어도 3분은 필요하며, 본 시험의 1분간의 지혈 처리로는 불충분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B는 전체예(5/5)에서 출혈은 보이지 않고, 지혈 시간은 1분이었다. 또한,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C(3/3), 시트 E(2/2), 및 시트 F(2/2)에 대해서도 출혈은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가 일반적인 외과 수술에 있어서의 조직 표면에 대해서도, 기존의 지혈 시트보다 우수한 지혈능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는 변형 허용성, 습윤 시 형상 유지능,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조직의 요철면에 지혈용 시트를 추종시키는 순환기의 외과 수술에 있어서의 심장 또는 혈관의 출혈에 대해서도 우수한 지혈능을 갖는 것이 추정된다.
<실시예 7> 지혈용 시트의 생체 흡수성
(7-1)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 A 내지 H 및 SH를, 두께는 바꾸지 않고 50mg 중량이며 또한 종횡 20 내지 25㎜의 정사각형이 되도록 재단하였다. 정제수 중에 3100U/mg의 펩신(와코준야쿠제)을 첨가하고, 80000±8000U/100mL가 되도록 펩신염산 시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펩신염산 시액이 들어간 200mL 삼각 플라스크를 온도 37℃로 설정한 항온 수조(PERSONAL-11, TAITEC제)에 넣고, 재단한 해당 시트를 투입한 후, 진탕(진탕 속도 78회/분)하고, 해당 시트의 잔존이 보이지 않는 시간(소실 시간)을 측정했다(n=3).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4
(7-2) 래트의 간장을 사용한 시험
웅성 래트(Wistar계통, 7 내지 15주령)를 이소플루란(2 내지 3%)에 의해 마취하고, 복부 정중을 절개함으로써 개복하여 간장을 노출시켰다. 직경 8㎜의 구멍이 뚫린 손상 제작용 플레이트를 간장 표면에 누르고, 비어져 나온 부분을 메스로 잘라서 손상을 제작하고, 출혈시켰다.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A 내지 H, SH, 또는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를 종횡 약 5㎜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손상 부위에 적용하고, 5분간 방치하였다. 재출혈이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고 개복부를 봉합하고, 진통제(Meloxicam, 1mg/kg)를 피하 투여하였다. 체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마취부터 각성까지 보온대에서 보온하고, 각성 후에 사육 케이지로 돌려보냈다. 체내 매설 후, 어느 정도 시기를 두고, 이소플루란(2 내지 3%)에 의해 마취 하에서 다시 개복하고, 해당 시트의 소실을 확인했다(n=2 내지 6). 각 시트의 소실을 확인한 시기 및 시험예 중의 소실예수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5
(7-3) 고찰
생체 흡수성을 갖는 지혈재인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는 체내 매설 후 14주 시점에서, 전체예(3/3)에 있어서 시트의 잔존이 확인되었다. 그 때문에,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SH, A 내지 D, 및 F는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트보다 생체 내에서 소실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에서 소실 시간이 느린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는, 래트의 간장을 사용한 시험에 있어서의 소실 시기도 장기화되는 경향이 보였다. 이것으로부터, 펩신염산 시액을 사용한 시험에서 적어도 소실 시간이 330분을 초과하는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는, 생체 내에 포매한 경우에도 소실 시기가 장기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8>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변형 허용성의 확인
(8-1) 측정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를 변형시켰을 경우의 균열이나 파단의 유무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1의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B, H, 및 J를 세로 10㎜, 가로 20㎜로 재단하였다. 재단한 각 시트를 직경 약 7㎜의 튜브(BioClean Tip 1000μL, RAININ제)의 측면에 있는 원주상의 곡면에 해당 시트의 가로가 곡면에 감기도록 눌러 구부리고, 해당 시트의 균열이나 파단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8-2) 결과
시트 B 및 J는 전체예(5/5)에 있어서 균열이나 파단은 보이지 않았지만, 시트 H에서는 전체예(5/5)에 있어서 균열이 보였다.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변형 허용성이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당해 시트 B 및 J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변형 허용성을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는, 건조 상태의 지혈용 시트를 출혈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변형시키더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부터, 척추 외과 수술 시와 같이 지혈재를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한정된 출혈부에 지혈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시예 9>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팽창 확인
(9-1) 측정
실시예 1의 트롬빈을 담지한 시트 B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지혈용 시트를 10±0.5mg의 범위에서 정사각형으로 재단하고, 샘플을 4매(종횡 15.01±0.39㎜, 두께: 3.11±0.08㎜) 얻었다. 해당 샘플을 정제수가 들어간 샤알레에 침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한 샘플을 마이크로스코프(VW-9000, 키엔스제)를 사용하여 해당 샘플의 측면을 촬상(배율 10배)하고, 화상을 얻었다. 화상 상에서 지혈용 시트의 폭 및 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 포인트는 습윤 전, 습윤 직후, 1시간 후, 3시간 후, 및 6시간 후로 하고, 습윤 전에 대한 변화율을 팽윤율로서 산출했다(n=4).
(9-2) 결과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가로 방향의 팽창률은 습윤 시에 약 6%가 되었지만, 그 이상의 팽창은 보이지 않았다. 한편, 두께 방향의 팽창률은 경시적인 축소가 보였다.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의 체적으로 환산하면, 습윤 후 1시간은 10 내지 11% 정도의 체적 팽창이 되었지만, 습윤 후 3시간은 습윤 전과 동등한 체적이었다. 따라서, 당해 시트와 동등한 본 발명의 지혈용 시트는 척추 외과 수술 시에 적합하다.
Figure pct00006
본 발명의 트롬빈을 담지한 지혈용 시트는 수술 시의 지혈, 특히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유용하다.

Claims (20)

  1.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로서,
    A) 30 내지 55mg/㎤의 밀도를 갖고, 또한
    B)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를 30분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막대에 시트를 얹어서 5 내지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금속 막대를 중심으로 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로 나타내지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인,
    지혈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지혈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종횡 1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에 적하된 인산 완충액 0.1mL를 10초 이내에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는, 지혈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펩신염산 시액(80000±8000U/100mL)이 들어간 삼각 플라스크에, 중량 50.0±2.5mg이 되도록 재단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지혈용 시트를 투입하고, 37±1℃로 설정된 항온 수조 내에서, 상기 펩신염산 시액의 수면이 흔들리는 속도로 상기 삼각 플라스크를 진탕했을 때에, 상기 지혈용 시트의 잔존을 눈으로 보기 관찰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소실 시간이 330분 미만인, 지혈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 내지 200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인, 지혈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15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인, 지혈용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되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64 내지 100도인, 지혈용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도가 35 내지 55mg/㎤인, 지혈용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도가 37 내지 52mg/㎤인, 지혈용 시트.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항에 기재되는 소실 시간이 300분 미만인, 지혈용 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용인, 지혈용 시트.
  12.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사용하기 위한, 10 내지 200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로서,
    A)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B) 30 내지 55mg/㎤의 밀도를 갖고,
    C) 종횡 1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에 적하된 인산 완충액 0.1mL를 10초 이내에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고, 또한
    D)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를 30분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막대에 시트를 얹어서 5 내지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금속 막대를 중심으로 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로 나타내지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인,
    지혈용 시트.
  13.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사용하기 위한, 50±15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로서,
    A)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B) 30 내지 55mg/㎤의 밀도를 갖고,
    C) 종횡 1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에 적하된 인산 완충액 0.1mL를 10초 이내에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고, 또한
    D)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를 30분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막대에 시트를 얹어서 5 내지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금속 막대를 중심으로 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로 나타내지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인,
    지혈용 시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혈용 시트.
  15. 척추 외과 수술 시의 지혈에 사용하기 위한, 50±15IU/㎠의 인간 재조합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는 지혈용 시트로서,
    A) 1.0 내지 3.5㎜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B) 30 내지 55mg/㎤의 밀도를 갖고,
    C) 종횡 1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에 적하된 인산 완충액 0.1mL를 10초 이내에 흡수하는 흡수성을 갖고, 또한
    D) 세로 10.0±1.0㎜, 가로 20.0±1.0㎜로 재단한 당해 시트를 30분간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한 후, 수평으로 유지된 직경 2.0±0.2㎜, 길이가 11.0㎜ 이상인 원주상의 금속 막대에, 해당 시트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이 막대와 일치하도록 막대에 시트를 얹어서 5 내지 30초간 정치했을 때의, 금속 막대를 중심으로 하는 시트 양단(최내측부 말단)의 확장 각도로 나타내지는 습윤 시 형상 유지 각도가 55 내지 120도인,
    지혈용 시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젤라틴 스펀지가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인, 지혈용 시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가, 3 내지 6중량%의 젤라틴 용액을 기포 밀도 0.20 내지 0.34g/mL가 되도록 거품을 내서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를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10 내지 30시간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지혈용 시트.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로서,
    (1) 3 내지 6중량%의 젤라틴 용액을 기포 밀도 0.20 내지 0.34g/mL가 되도록 거품을 내서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를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10 내지 30시간 열처리하여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2) 공정 (1)에서 얻어진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트롬빈액에 침윤시킨 후에 건조시켜서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 혹은 공정 (1)에서 얻어진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또는 공정 (2)에서 얻어진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두께 1.0 내지 3.5㎜로 슬라이스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지혈용 시트.
  19.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젤라틴 스펀지를 포함하는 지혈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1) 3 내지 6중량%의 젤라틴 용액을 기포 밀도 0.20 내지 0.34g/mL가 되도록 거품을 내서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를 120 내지 165℃의 온도에서 합계 10 내지 30시간 열처리하여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2) 공정 (1)에서 얻어진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트롬빈액에 침윤시킨 후에 건조시켜서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시킨 젤라틴 스펀지 혹은 공정 (1)에서 얻어진 열 가교 젤라틴 스펀지, 또는 공정 (2)에서 얻어진 유효량의 트롬빈을 담지한 가교 젤라틴 스펀지를 두께 1.0 내지 3.5㎜로 슬라이스하는, 제조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지혈용 시트를 사용하여, 환자의 척추 외과 수술 시에 있어서의 출혈을 지혈하는 방법.
KR1020217029956A 2019-03-20 2020-03-19 트롬빈 담지 지혈용 시트 KR202101437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2339 2019-03-20
JPJP-P-2019-052339 2019-03-20
PCT/JP2020/012251 WO2020189755A1 (ja) 2019-03-20 2020-03-19 トロンビン担持止血用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764A true KR20210143764A (ko) 2021-11-29

Family

ID=7252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956A KR20210143764A (ko) 2019-03-20 2020-03-19 트롬빈 담지 지혈용 시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143263A1 (ko)
EP (1) EP3943126A4 (ko)
JP (1) JPWO2020189755A1 (ko)
KR (1) KR20210143764A (ko)
CN (1) CN113597321B (ko)
BR (1) BR112021018544A2 (ko)
CA (1) CA3132954A1 (ko)
MX (1) MX2021011420A (ko)
TW (1) TW202102254A (ko)
WO (1) WO20201897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935B1 (ko) * 2022-03-11 2022-12-08 구태훈 콜라겐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흡수성 지혈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75934B1 (ko) * 2022-03-17 2022-12-08 구태훈 카복시메틸 키토산과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흡수성 지혈 스펀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7189B (zh) * 2021-12-10 2023-04-07 广东省科学院健康医学研究所 一种止血复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057A (ja) 1981-08-28 1983-03-14 ユニチカ株式会社 創傷部治療用材料
WO2009109963A1 (en) 2008-03-03 2009-09-11 Omrix Biopharmaceuticals Ltd. A gelatin sponge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its preparation and use
WO2009128474A1 (ja) 2008-04-16 2009-10-22 財団法人化学及血清療法研究所 トロンビン固定化生体吸収性シート製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47U (ko) 1989-06-20 1991-01-30
JP6390873B2 (ja) * 2013-06-21 2018-09-19 フェッローサン メディカル ディバイス エー/エス 減圧膨張させた乾燥組成物およびそれを保持するためのシリンジ
BR112017007466B1 (pt) * 2014-10-13 2021-03-02 Ferrosan Medical Devices A/S métod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seca, método para reconstituir a composição seca, pasta, composição seca, recipiente, kit homeostático, e, uso de uma composição sec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057A (ja) 1981-08-28 1983-03-14 ユニチカ株式会社 創傷部治療用材料
WO2009109963A1 (en) 2008-03-03 2009-09-11 Omrix Biopharmaceuticals Ltd. A gelatin sponge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its preparation and use
WO2009128474A1 (ja) 2008-04-16 2009-10-22 財団法人化学及血清療法研究所 トロンビン固定化生体吸収性シート製剤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COTHROM(등록 상표)의 HIGHLIGHTS OF PRESCRIBING INFORMATION(미국)
스펀젤(등록 상표) 첨부 문서(일본)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3-9747호 공보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일 첨부 문서 의약품 인터뷰 폼(일본)
타코실(등록 상표) 조직 접착용 시일 첨부 문서(일본)
플로실(등록 상표) 첨부 문서(일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935B1 (ko) * 2022-03-11 2022-12-08 구태훈 콜라겐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흡수성 지혈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75934B1 (ko) * 2022-03-17 2022-12-08 구태훈 카복시메틸 키토산과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흡수성 지혈 스펀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2254A (zh) 2021-01-16
CA3132954A1 (en) 2020-09-24
US20220143263A1 (en) 2022-05-12
CN113597321B (zh) 2023-06-20
JPWO2020189755A1 (ko) 2020-09-24
EP3943126A1 (en) 2022-01-26
MX2021011420A (es) 2021-10-13
EP3943126A4 (en) 2022-12-07
BR112021018544A2 (pt) 2021-11-30
CN113597321A (zh) 2021-11-02
WO2020189755A1 (ja)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3764A (ko) 트롬빈 담지 지혈용 시트
US20210378877A1 (en) Compositions having cylindrical volume, methods, and applicators for sealing injuries
ES2359830T3 (es) Espuma hemostática a base de colágeno.
US8871267B2 (en) Protein matrix materials,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CA2401385C (en) Protein matrix materials,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JP4769578B2 (ja) 止血用材料
JP4959557B2 (ja) ヒアルロン酸含有止血合成剤
US20150289861A1 (en) Devices for use with hemostatic materials
AU2001249079A1 (en) Protein matrix materials,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JP2005502733A (ja) コラーゲンスポンジを調製する方法、コラーゲンフォームの一部を抽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伸長したコラーゲンスポンジ
CN101970021A (zh) 包含活性成分的明胶海绵、其制备及用途
CA2711001A1 (en) Biocompatible protein-based particles and methods thereof
KR102031178B1 (ko) 주입형 온도감응성 목재 기반 산화 나노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유착 방지제
JENKINS et al. Gelatin sponge, a new hemostatic substance: Studies on absorbability
TW201313261A (zh) 防沾黏劑及使用該防沾黏劑之預防沾黏之方法
US11484623B2 (en) Dry pad comprising thrombin and pectin
WO2022048126A1 (zh) 一种骨科用无创植入高黏度胶材料及其制备方法及应用
EP3542830B1 (en) Sol for occluding holes in living tissue, protecting ulcers, and treating vascular embolization
KR20210130756A (ko) 지혈 생검관 물품
EP3912651A1 (en) Absorbent bone hemostatic material composition, and bone hemostatic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JP2007501688A (ja) 吸収性スポンジを用いた、止血作用を促進するための改善された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90117825A1 (en) Fibrin and/or dialdehyde starch hydrolysate materials, and preparation and use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