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429A -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력 케이블 - Google Patents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력 케이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3429A KR20210143429A KR1020200060167A KR20200060167A KR20210143429A KR 20210143429 A KR20210143429 A KR 20210143429A KR 1020200060167 A KR1020200060167 A KR 1020200060167A KR 20200060167 A KR20200060167 A KR 20200060167A KR 20210143429 A KR20210143429 A KR 202101434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ent
- melting point
- weight
- parts
- polyolef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01B7/0216—Two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한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및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을 베이스 수지로 포함하는 것인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옥내배선용 케이블로서 요구되는 내열 특성, IEC 60332-3-24에서 요구되는 난연성 및 IEC 62930에서 요구되는 내전압 특성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옥내배선용 케이블로서 요구되는 내열 특성, IEC 60332-3-24에서 요구되는 난연성 및 IEC 62930에서 요구되는 내전압 특성을 만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은 100℃ 내지 125℃의 녹는점을 갖고 있어서, IEC, ICEA 등의 대부분의 국제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케이블의 연속 사용 온도 90℃를 만족할 수 없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을 가교시킨 가교 폴리에틸렌을 절연층의 성분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게 될 경우, 가교 공정의 추가 및 이와 관련된 설비 투자에 따른 비용 증가 문제, 가교시에 발생하는 부산물 등의 이물에 의한 케이블의 절연 성능이 저하되는 등 새로운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옥외 배전반으로부터 분기되어 옥내의 벽, 천장 등에 설치된 트레이를 통해 각 층으로 연결된 배선인, 옥내배선용 케이블은 건물 내 화재 발생시 인명 보호를 위해 화염 전파의 지연이 필수적이므로 케이블의 난연 성능이 요구된다. 기존 XLPE 절연을 적용한 옥내배선용 케이블은 가교되어 있어 화염으로 인한 고온 조건 하에서 절연체의 용융 현상이 억제되나, 비가교 절연조성물을 적용한 절연층이 포함된 케이블의 경우 화염으로 인한 고온 조건하에서 절연체의 용융 현상이 발생되어, 케이블의 난연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온에서 용융되지 않는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케이블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으로부터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온에서 용융되지 않는 난연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옥내배선용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형성용 절연 조성물로서,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및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을 베이스 수지로 포함하는 것인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도체; 및 상기 도체의 외주를 감싸며 구비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은, 고온에서 용융되지 않는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옥내배선용 케이블로서 요구되는 내열 특성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IEC 60332-3-24에서 요구되는 난연성을 만족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IEC 62930에서 요구되는 내전압 특성을 만족한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의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심사기준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임의로 선정되는 용어의 의미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사전적 의미만이 아닌, 명세서의 전반적인 맥락을 반영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되는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및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더 포함되는 경우 또한 해당 용어로부터 의도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및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을 베이스 수지로 포함하는 것인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절연 조성물은 고온에서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과,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로서 녹는점이 낮아 수지의 결정성이 작은 폴리올레핀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연속 사용 온도가 110℃급의 케이블 재료에서 요구되는 150℃에서의 내열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녹는점이 145℃ 미만인 경우에 내열성이 저하되고, 절연파괴전압 저하되며, 내전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의 녹는점이 70℃ 미만인 경우, 압출 또는 컴파운딩의 작업성이 저하되고, 105℃를 초과하는 경우, 필러의 로딩성 저하로 인한 강도 및 신장율 등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수지에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 필러의 로딩성이 향상되고,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중량부 이상 내지 6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중량부 이상 내지 70 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상기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중량부 이상 내지 5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내열성, 절연 파괴 전압 및 내전압 특성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절연 파괴 전압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내전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컴파운드 작업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의 함량이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필러의 로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절연 파괴 전압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내전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의 비중은, 0.880 이상 내지 0.90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비중이 0.880 미만인 경우, 압출 도는 컴파운딩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비중이 0.902 초과인 경우, 필러의 로딩성 저하로 인한 강도 및 신장율 등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절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난연제, 충전제 및 가공 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난연제, 충전제 및 가공 조제는 당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는 n-옥타데실-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n-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피로피오네이트]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트리스(3,4-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Tris(3,4-di-tert-butyl-4-hydroxybenzyl)isocyanurate) 등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트리스(2,4-디-터트-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등의 인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2,2-비스[[3-(도데실티오)-1-옥소프로폭시]메틸]프로판-1,3-디일 비스[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 (2,2-Bis[[3-(dodecylthio)-1-oxopropoxy]methyl]propane-1,3-diyl bis[3-(dodecylthio)propionate]) 등의 황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인계난연제, 멜라민 난연제(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실란 표면 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브루사이트(Bruci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충전제는 클레이, 탈크 또는 활제로 표면 처리된 탄산 칼슘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절연 조성물은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절연층에서 요구되는 점도 즉, 상기 절연 조성물로 구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절연 반제품 케이블로 IEC 60332-1의 난연 평가를 실시하였을 때 드립이 없을 정도의 점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및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을 베이스 수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올레핀은 가교되거나, 비가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올레핀은 혼합된 비가교 절연 조성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이 가능하여 친환경, 공정 단순화에 따라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가교 부산물에 의한 절연 성능 저하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도체; 및 상기 도체의 외주를 감싸며 구비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체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 소재,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선 또는 복수의 소선이 연합된 연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하나의 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케이블의 전기 절연을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종래에는 연속 사용 온도가 90℃급인 케이블은 수가교 또는 조사 가교 등의 방법으로 절연체를 가교시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절연 조성물은, 연속 사용 온도가 110℃급의 케이블 재료에서 요구되는 150℃에서의 내열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상기 절연층의 외주를 감싸며 구비되는 시스층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케이블은 도체(100), 상기 도체의 외주를 감싸며 구비되는 절연층(200) 및 상기 절연층의 외주를 감싸며 구비되는 시스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시스층은, 상기 절연층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 상기 시스층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시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상기 시스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중량부 이상 내지 130 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시스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성이 불량할 수 있고, 13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신장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인계 난연제, 멜라민 난연제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IEC 60332-3-24에서 요구되는 난연성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IEC 62930에서 요구되는 내전압 특성을 만족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절연층을 형성하였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여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수산화알루미늄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시스층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스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절연층 및 시스층을 순차적으로 도체 외주에 형성하여 최종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비교예 1 | 비교예 2 |
PP 1 | 50 | - | 50 | - | 30 | - | 70 | ||
PP 2 | - | 30 | - | 30 | 30 | 10 | - | 30 | |
PP 3 | - | 30 | - | 30 | - | 30 | - | 50 | 30 |
POE 1 | 50 | - | 50 | - | 40 | 60 | - | 50 | |
POE 2 | - | 40 | - | 40 | - | - | 30 | ||
POE 3 | 40 | ||||||||
난연제 1 | 20 | 30 | - | - | - | - | - | 20 | 30 |
난연제 2 | - | - | - | 50 | - | 50 | - | ||
충전제 | 60 | 50 | 30 | 50 | 100 | 50 | 80 | 60 | 50 |
산화방지제 + 가공조제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PP 1: 융점이 165℃인 블록 폴리프로필렌 1 (대한 유화) PP 2: 융점이 165℃인 블록 폴리프로필렌 2 (효성케미칼) PP 3: 융점이 142℃인 rTPO(Reactor made ThermoPlastic Olefin) POE 1: 융점이 74℃이고 비중이 0.885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POE 2: 융점이 100℃이고 비중이 0.902인 POE POE 3: 융점이 61℃이고 비중이 0.868인 POE 난연제 1: 수산화 마그네슘 난연제 2: 브루사이트(Brucite) 충전제: 활제 표면처리된 탄산칼슘 |
[물성 평가]
1. 내전압 특성 평가
앞서 제조한 절연층만 형성된 반제품(시스층을 벗긴 케이블)을 IEC 62930의 실험 방법에 따라, 85℃의 1% 염화나트륨 (NaCl) 수용액에 담근 상태에서 1.8kV의 DC 전압을 240시간 동안 걸어 전압 파괴 여부를 확인하였다.
2. 난연성 평가
IEC 60332-3-24(Cat.C)의 실험 방법에 따라, 상기 조성비로 제조한 샘플을 절연층을 압출한 후,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절연층 상에 시스 압출하여 완제품(절연층 및 시스층이 모두 형성된 케이블)으로 난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스층에 적용하는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산소 지수 30.5에 상응하는 비가교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3. 상온 기계적 물성 평가
절연층을 제조한 방식으로 절연 시편을 별도로 제작하여, IEC 60811-501의 실험 방법에 따라 상온 기계적 물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 기준은 인장강도 1.27kgf/mm2 이상이고, 신장율 350% 이상이다.
4. 가열 후 기계적 물성 평가
절연층을 제조한 방식으로 절연 시편을 별도로 제작하여, IEC 60811-401의 실험 방법에 따라 가열 후 기계적 물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135℃ 온도로 240시간의 내열 노화 조건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은 인장강도 1.27kgf/mm2 이상이고, 신장율 350% 이상으로, 상온의 기계적 물성 평가와 동일하다.
[물성 평가 결과]
상기 물성 평가 기준에 따른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비교예 1 | 비교예 2 |
내전압 특성 | Pass | Pass | Pass | Fail | Fail | Fail | Pass | Pass | Pass |
난연성 | Pass | Pass | Fail | Pass | Fail | Pass | Pass | Pass | Pass |
상온인장강도 (kgf/mm2) |
2.008 | 1.822 | 2.137 | 1.713 | 2.127 | 1.521 | 1.806 | 1.534 | 1.679 |
상온신장율 (%) | 534.2 | 561.8 | 520.7 | 531.4 | 661.3 | 557.2 | 388.4 | 627.1 | 275.2~ 613.2 |
가열인장강도 (kgf/mm2) |
1.93 | 1.775 | 2.099 | 1.629 | 1.582 | 1.108 | 1.644 | 녹아내림 | 1.721 |
가열신장율(%) | 506.5 | 497.1 | 504.6 | 478.6 | 380.2 | 457.1 | 269.0 | 녹아내림 | 210.7~ 535.5 |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옥내배선용 케이블로서 요구되는 내열 특성, IEC 60332-3-24에서 요구되는 난연성 및 IEC 62930에서 요구되는 내전압 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사항으로서,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난연성 확보에 문제가 될 수 있고, 난연제 1 대신 난연제 2로 변경하여 포함할 경우 난연성은 확보되나, 내전압 특성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난연제 포함없이 충전제로서 탄산 칼슘을 전량 포함할 경우 난연성 및 내전압 특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할 수 있었고, 내열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을 줄였을 때에는 내열성에 문제가 될 수 있었으며, 융점이 높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를 포함하고 폴리프로필렌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할 경우, 충전제(filler)의 로딩(loading) 특성이 저하되어 내열 후 신장율이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하여, 녹는점이 145℃ 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 내열성이 저하되어 가열 인장강도 및 가열 신장율 면에서 녹아내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녹는점이 70℃ 미만인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 컴파운딩 믹싱 등의 작업성 불량으로 특성치에 대한 편차가 강하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도체
200: 절연층
300: 시스층
200: 절연층
300: 시스층
Claims (8)
-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형성용 절연 조성물로서,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및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을 베이스 수지로 포함하는 것인 절연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는점이 145℃ 이상 내지 16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중량부 이상 내지 6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중량부 이상 내지 70 중량부 이하인 것인 절연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는점이 70℃ 이상 내지 105℃ 이하인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인 것인 절연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난연제, 충전제 및 가공 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절연 조성물.
- 도체; 및
상기 도체의 외주를 감싸며 구비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전력 케이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상기 절연층의 외주를 감싸며 구비되는 시스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전력 케이블.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시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전력 케이블.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상기 시스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중량부 이상 내지 130 중량부 이하인 것인 전력 케이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0167A KR20210143429A (ko) | 2020-05-20 | 2020-05-20 |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력 케이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0167A KR20210143429A (ko) | 2020-05-20 | 2020-05-20 |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력 케이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3429A true KR20210143429A (ko) | 2021-11-29 |
Family
ID=7869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0167A KR20210143429A (ko) | 2020-05-20 | 2020-05-20 |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력 케이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342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02371A (ko) | 2011-03-08 | 2012-09-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고난연성 절연재료 조성물 |
-
2020
- 2020-05-20 KR KR1020200060167A patent/KR2021014342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02371A (ko) | 2011-03-08 | 2012-09-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고난연성 절연재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87944B2 (ja) | 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 | |
EP2811489A1 (en) | Halogen-free flame-retardant insulated electrical wire | |
KR20100095201A (ko) | 유연성과 가교 특성이 뛰어난 전선용 절연 재료 및 이를 갖춘 전선 | |
EP3955265B1 (en) | Fire resistant cable with dual insulation layer arrangement | |
JP5182580B2 (ja) | 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 | |
KR20140109558A (ko) | 고내화 전력 케이블 | |
KR101936806B1 (ko) | 고난연 저발연성의 절연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케이블 | |
KR20130041899A (ko) | 스티렌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절연체 | |
KR20150135730A (ko) |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체를 포함하는 cmp 난연등급 utp 케이블 | |
EP3057108A1 (en) | Halogen-free flame-retardant insulated wire and halogen-free flame-retardant insulated tube | |
US12073965B2 (en) | Water tree resistant electric cable | |
EP2275477A1 (en) |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n ethylene copolymer with maleic anhydride units as coupling agent | |
US20140017494A1 (en) | Insulations containing non-migrating antistatic agent | |
KR20210143429A (ko) |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력 케이블 | |
JP2017160328A (ja) | ハロゲンフリー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 | |
KR20190072194A (ko) | 고유연성 비가교 케이블용 절연층 조성물 및 고유연성 비가교 케이블 | |
CN111138746B (zh) | 阻燃性绝缘电线和阻燃性电缆 | |
KR20180096174A (ko) | 고전압 케이블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 및 시스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 |
KR102023837B1 (ko) | 난연성 절연수지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00078402A (ko) | 용이하게 박리가능한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 |
CA2911589A1 (en) | Flame retardant pvc material | |
KR20140053288A (ko) | 비스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납-프리 케이블 | |
US12062470B2 (en) | Electric cable with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 |
KR101778803B1 (ko) |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 |
CN104558860B (zh) | 用于制备具有增强的热稳定性的绝缘材料的聚合物树脂组合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