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044A -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044A
KR20210143044A KR1020200059959A KR20200059959A KR20210143044A KR 20210143044 A KR20210143044 A KR 20210143044A KR 1020200059959 A KR1020200059959 A KR 1020200059959A KR 20200059959 A KR20200059959 A KR 20200059959A KR 20210143044 A KR20210143044 A KR 2021014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et
screen
address
anonymous
compu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017B1 (ko
Inventor
임선묵
김형달
김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터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터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터젠
Priority to KR102020005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3Anonymous us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identity of one or more communicating identities is hidden
    • H04L63/0421Anonymous communication, i.e. the party's identifiers are hidden from the other party or parties, e.g. using an anonymiz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모바일 기반 디지털자산 지갑에 대해 무기명(무계정)으로 지갑 생성 기능과 지갑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BLOCKCHAIN-BASED MOBILE ANONYMOUS NON-CURRENCY PAYMENT}
아래의 설명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간편 결제 서비스(simple payment service)는 공인인증서 등을 이용한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상거래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전자 결제 서비스로, 스마트페이(smart pay)라고도 불린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4902호(등록일 2016년 06월 23일)에는 결제를 위한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간편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의 온라인 결제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교환권 구매를 통한 디지털자산 충전 및 교환권 환불이 가능한 서비스로 무기명 비화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자산 지갑에 대해 무기명(무계정)으로 지갑 생성 기능과 지갑 복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무기명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비로그인의 무기명 상태에서 무계정의 지갑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교환권 구매를 통한 디지털자산을 상기 지갑에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지갑을 통해 상기 디지털자산을 이용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명 결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을 무기명으로 이용 가능한 고유 지갑주소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의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지갑의 복구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갑의 전용 앱이 설치되는 경우 비로그인의 무기명 상태에서 상기 비밀번호와 상기 복구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앱 상에 상기 지갑이 복구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을 무기명으로 이용 가능한 고유 지갑주소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갑의 복구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지갑주소와 상기 복구코드를 서버 상에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갑의 전용 앱이 설치되는 경우 비로그인의 무기명 상태에서 상기 복구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복구코드와 매칭되는 상기 지갑주소를 통해 상기 앱 상에 상기 지갑이 복구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주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와 디지털자산을 주고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주소를 통해 상기 디지털자산을 연동 가능한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화폐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다른 사용자의 지갑주소와 닉네임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자산의 수량이 입력되고 상기 등록된 닉네임 중 적어도 하나의 닉네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수량의 디지털자산을 상기 선택된 닉네임의 지갑주소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교환권 구매를 통한 디지털자산 충전 및 교환권 환불이 가능한 서비스로 무기명 비화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자산 지갑에 대해 무기명으로 지갑 생성 기능과 지갑 복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의 트랜잭션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 생성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 생성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 복구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 생성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앱의 메인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자산 충전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환불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송금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역확인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관리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결제 서비스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하는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 1(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결제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310)과 병렬 처리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300)에는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들이 연계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들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330)를 나타내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3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340)은 일례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자(330)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330)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트랜잭션들을 블록체인(310)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330)가 사용자들(340)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주체가 다수의 주체들 각각과 개별 트랜잭션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들이 존재한다. 이때, 병렬 처리 모듈(320)은 하나의 주체가 다수의 주체들 각각과의 트랜잭션들을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transaction ID, TXID)로 묶어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함으로써,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병렬 처리 모듈(320)은 사용자들(340)과 블록체인(310) 사이에서 트랜잭션속도(Transaction Per Second, TPS)를 혁신적으로 빠르게 하기 위한 다중 프로세싱 미들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의 트랜잭션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병렬 처리 모듈(320)이 900번의 트랜잭션을 하나의 TXID로 묶어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지갑 A(410)가 900개의 서로 다른 지갑들(420)에게 자산을 1개씩 보내는 과정에서, 병렬 처리 모듈(320)은 'TXID 1' 내에서 자산을 지갑 A(410)의 자산 1,000개라는 하나의 자산원장을 자산 1개를 가진 900개의 자산원장과 나머지 100개를 가진 자산원장으로 분리시켜 줄 수 있으며, 분리시킨 원장을 한 번에 900개의 주소(900개의 서로 다른 지갑들(420))로 각각 보냄으로써,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병렬 처리 모듈(320)은 하나의 트랜잭션에 다수의 하위 트랜잭션(도 4의 실시예에서는 900개의 하위 트랜잭션)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병렬 처리는 블록생성시간 10초 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9,000초의 트랜잭션 처리 시간이 요구되었던 것에 비해 트랜잭션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지갑 A(410)의 총 자산이 1,000개이고, 이러한 자산 1,000개를 가진 원장이 하나라는 가정하에 설명이 이루어졌다. 만약, 지갑 A(410)의 총 자산이 10,000개이고, 여러 개의 원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병렬 처리 모듈(320)은 지갑 A(410)가 보유한 원장의 개수만큼 다중처리를 할 수 있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즉 사용자들(340)의 결제는 물론이고 자산 이동 시에도 하나의 주체가 다수의 주체들 각각과의 트랜잭션들을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TXID)로 묶어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사용자가 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송금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원장의 개수만큼 다중처리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은 일례로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병렬 처리 모듈(32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5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510 내지 S54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S5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해, 제1 주체와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간의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주체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지갑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주체들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의 지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하나의 지갑이 다수의 지갑들에게 자산을 전달하는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의 사용자에 대한 구분 없이 자산을 전달하는 하나의 지갑이 제1 주체가 될 수 있고, 자산을 전달받는 다수의 지갑들이 복수의 제2 주체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은 제1 주체가 하나의 블록생성기간 동안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으로 자산을 전달하는 트랜잭션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트랜잭션을 식별하는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그룹의 형태로 식별될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한 제1 주체를 위한 제1 원장 및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대한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에 하나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면서 해당 트랜잭션에 의해 각각 분기되는 원장만을 생성하는 것과 달리, 컴퓨터 장치(200)는 하나의 트랜잭션이 포함하는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의해 분기되는 원장들을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통합적으로 생성함으로써, 다중 트랜잭션에 대한 병렬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단계(S5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원장을 제1 주체로, 복수의 제2 원장들을 복수의 제2 주체들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컴퓨터 장치(200)는 다중 트랜잭션에 대해 통합적으로 생성한 원장들을 각각 해당하는 주소(지갑주소)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주체가 서비스 제공자인 경우, 복수의 제2 원장들은 제1 주체를 통해 제1 주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들인 제2 주체들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S5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은 하나의 트랜잭션을 식별하는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그룹의 형태로 식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서 설명한 병렬 처리 모듈(320)에 의해 블록체인(310)으로 해당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이 전달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310)에서 블록에 대한 합의를 통해 전달된 블록이 블록체인(310)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와 블록체인 사이에서 다수의 트랜잭션들에 트랜잭션 식별자(TXID)를 부여하여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함으로써 트랜잭션의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 시스템으로, 교환권 구매를 통한 디지털자산 충전 및 교환권 환불이 가능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B2B, B2C, 무계정(무기명)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매 충전한 디지털자산은 게임 서비스(예컨대, 온/오프라인 배팅게임-포인트, 아이템 등), 금융 서비스(예컨대, 자산전송 및 P2P 대출 등), 경매 서비스(예컨대, 가전, 가구, 생활용품 및 중고품 등), 결제 서비스(예컨대, 온/오프라인 가맹점 등)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무계정을 기반으로 하는 지갑 생성 기능과 지갑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지갑 생성 기능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 전용 앱(이하, '페이앱'이라 칭함)을 설치한 후 처음 이용하는 경우 해당 기기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갑(이하, '페이 지갑'이라 칭함)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페이 지갑은 비로그인의 무기명 상태에서 만들어지고 페이 지갑이 만들어지면 무계정, 즉 로그인 없이 모바일 기기에서 무기명 비화폐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분실, 파손 등으로 인하여 모바일 기기를 교체하여 페이앱을 새로 설치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에서 페이앱을 삭제 후 새로 설치하는 경우 등 기존에 사용하는 지갑 정보가 상실된다. 지갑 정보의 상실은 지갑에 연결되어 있는 개인자산의 상실을 의미한다. 개인자산의 상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이앱을 새로 설치할 때 지갑 복구 기능을 제공하여 이를 통해 상실된 지갑 정보를 복구하여 기존과 동일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 생성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 생성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무기명 비화폐 결제 시스템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페이앱을 다운로드한 후 최초 실행 시 해당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갑을 생성해 주어야 한다.
컴퓨터 장치(200)는 페이앱이 설치된 후 실행 시 인트로 화면을 표시하고(S61) 페이앱 인트로 이후 이용약관 화면을 표시한다(S62).
컴퓨터 장치(200)는 페이앱의 이용약관 화면에서 사용자가 동의 의사를 입력하면 초기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이때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지갑 생성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초기 메뉴 화면(710)은 페이앱 시작화면으로 '지갑 생성' 메뉴(711)와 '지갑 복구' 메뉴(712)를 포함한다.
컴퓨터 장치(200)는 초기 메뉴 화면(710)에서 '지갑 생성' 메뉴(711)를 선택하는 경우(S63) 정보보호를 위하여 자동입력 방지문자 화면(720)를 통해 자동입력 방지문자를 등록하도록 한다(S64).
컴퓨터 장치(200)는 자동입력 방지문자 등록이 완료되면 지갑 생성 화면을 제공한다(S65). 도 8을 참조하면, 지갑 생성 화면(830)은 지갑의 비밀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화면으로, 사용자가 지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이루어진다.
컴퓨터 장치(200)는 지갑의 비밀번호 등록이 완료되면 복구코드를 부여하여 부여된 복구코드가 포함된 복구코드 화면(840)을 제공한다(S66). 이때, 복구코드는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코드로, 종이 기록 등을 통해 반듯이 개인이 보관하도록 안내한다.
복구코드 화면(840)에는 복구코드에 대한 보관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체크 박스(841)가 포함된다.
컴퓨터 장치(200)는 페이앱의 최초 실행 후 복구코드 부여까지 완료되면 페이앱 상에 사용자의 지갑이 생성됨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메인 화면(950)을 제공한다(S67).
복구코드 화면(840)의 체크 박스(841)를 통해 복구코드 보관 체크를 하지 않은 경우 메인 화면(950)의 상단에 복구코드 보관에 대한 경고 알림(951)을 상시 표시한다(S68).
상기한 지갑 생성 기능을 통해 생성된 지갑은 무기명으로 이용 가능한 가상 지갑으로서 고유한 지갑주소로 생성된다.
지갑주소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비밀번호와 시스템 상에서 부여된 복구코드를 포함하는 지갑 정보는 지갑 복구에 대비하여 서버(150) 상에 보관 유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 복구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 생성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페이앱을 재설치하는 경우 지갑 복구 기능을 통해 기존 사용 중이던 지갑을 복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페이앱이 설치된 후 실행 시 인트로 화면을 표시하고(S101) 페이앱 인트로 이후 이용약관 화면을 표시한다(S102).
컴퓨터 장치(200)는 페이앱의 이용약관 화면에서 사용자가 동의 의사를 입력하면 초기 메뉴 화면(710)을 표시하고, 이때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지갑 복구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초기 메뉴 화면(710)에서 '지갑 복구' 메뉴(712)를 선택하는 경우(S103) 정보보호를 위하여 자동입력 방지문자 화면(720)를 통해 자동입력 방지문자를 등록하도록 한다(S104).
컴퓨터 장치(200)는 자동입력 방지문자 등록이 완료되면 지갑 복구 화면을 제공한다(S105). 도 11을 참조하면, 지갑 복구 화면(1160)은 지갑 생성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비밀번호, 그리고 시스템으로부터 부여받은 복구코드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이루어진다.
컴퓨터 장치(200)는 지갑 복구 화면(1160)을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복구코드를 기초로 지갑 복구 작업을 진행한다(S106). 지갑 복구 작업은 서버(150) 상에 보관된 지갑 정보 중 지갑 복구 화면(1160)을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복구코드와 매칭되는 지갑주소를 페이앱 상에 복구하는 것이다.
컴퓨터 장치(200)는 지갑 복구가 완료되면 결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메인 화면(950)을 제공한다(S107).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앱의 메인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메인 화면(950)에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자산 수량과 지갑주소가 표시된다. 메인 화면(950) 상에서 지갑주소를 롱터치하는 경우 지갑주소가 클립보드에 자동 복사되는 기능이 포함된다.
메인 화면(950)은 페이앱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서비스 이용 안내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인 화면(950)에는 사용자의 지갑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QR 코드(120)가 표시된다.
그리고, 메인 화면(950)은 교환권 구매를 통해 디지털자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하기' 메뉴(121), 디지털자산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내기 위한 '보내기' 메뉴(122), 지갑주소 내역으로서 디지털자산을 보낸 이력과 받은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역 확인' 메뉴(123), 및 '마이페이지' 메뉴(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자산 충전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컴퓨터 장치(200)는 메인 화면(950)에서 '충전하기' 메뉴(121)를 선택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환권 구매 화면(1310)을 제공한다.
'충전하기' 메뉴(121)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교환권 구매를 통해 디지털자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하기' 페이지와 구매한 교환권을 환불하기 위한 '환불하기'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교환권 구매 화면(1310)은 '충전하기' 페이지에 해당된다.
사용자가 디지털자산을 충전하기 위해 교환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200)는 교환권 구매 수량을 선택한 후 '구매하기' 메뉴(1311)를 선택하면 교환권 구매 상세 화면(1320)으로 이동한다.
컴퓨터 장치(200)는 교환권 구매 상세 화면(1320)을 통해 교환권 구매를 위한 입금 정보(입금할 금액과 계좌)(1321)를 표시한다. 교환권 구매 상세 화면(1320)에는 입금자명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322)가 포함되며, 해당 인터페이스(1322)를 통해 입력된 입금자명과 동일한 입금자명으로 입금이 되는 경우에 디지털자산 충전이 이루어진다.
교환권 구매에 대한 입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환권 구매 화면(1310) 상에 '입금확인중'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 메뉴(1412)가 표시될 수 있다. 상태 메뉴(1412)를 선택하는 경우 입금 정보(1430)와 함께 교환권 구매를 취소하기 위한 '구매취소' 메뉴(143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태 메뉴(1412)를 통해 입금 정보(1430)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취소' 메뉴(1431)를 선택하여 구매 취소를 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교환권 구매 금액에 대한 입금이 이루어진 경우 디지털자산이 자동 충전된 후 충전된 디지털자산 수량을 메인 화면(950) 상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환불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컴퓨터 장치(200)는 메인 화면(950)에서의 '충전하기' 메뉴(121)의 선택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환불하기' 페이지가 선택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환권 환불 화면(1510)을 제공한다.
교환권 환불 화면(1510)을 통해 환불 단위, 환불 수수료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환불할 교환권 수량이 선택되면 디지털자산 회수 수량, 환불 금액, 환불 수수료를 제외한 실 지급 금액이 자동 계산되어 표시된다.
사용자가 환불할 교환권 수량을 선택한 후 '환불신청' 메뉴(1511)를 선택하면 교환권 환불 상세 화면(1520)으로 이동한다. 교환권 환불 상세 화면(1520)에는 환불할 교환권 수량에 따른 환불 신청정보(환불 금액, 환불 수수료, 실 지급 금액 등)가 표시될 수 있고, 환불 받을 계좌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교환권 환불 상세 화면(1520)에서 환불 받을 계좌정보를 입력한 후 '지급신청' 메뉴(1521)를 선택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환권 환불 상세 화면(1520) 상에 교환권 환불 신청정보(1612)를 표시한다.
환불 금액에 대한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교환권 환불 상세 화면(1520) 상에 '지급 대기중' 상태 정보(1613)가 표시되고, 환불 금액에 대한 지급이 이루어지면 디지털자산이 회수됨과 동시에 교환권 환불 신청정보(1612)는 삭제된다.
환불 금액에 대한 지급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교환권 환불 상세 화면(1520) 상에 지급 오류 내역과 함께 '지급신청 취소' 메뉴(1614)가 표시될 수 있고, '지급신청 취소' 메뉴(1614)를 통해 환불신청 내역을 취소한 후 다시 환불신청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송금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자산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내거나 다른 사용자가 보낸 디지털자산을 받을 수 있으며, 이때 디지털자산을 주고 받는 것은 페이앱에 생성된 지갑주소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컴퓨터 장치(200)는 메인 화면(950)에서 '보내기' 메뉴(122)를 선택하는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금 화면(1710)을 제공한다.
송금 화면(1710)에는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자산의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다른 사용자에게 보낼 디지털자산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송금 수량 입력란(1711)과 보내는 디지털자산을 받을 사용자의 지갑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주소 입력란(171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소 입력란(1712)에 수신인의 지갑주소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직접 타이핑을 통해 입력하는 방법은 물론이고, 자주쓰는 주소에 등록된 지갑주소를 자동 입력하는 방법, QR 촬영을 통해 촬영된 QR 코드에 포함된 지갑주소를 자동 입력하는 방법 등이 있다.
송금 화면(1710)에는 수신인의 지갑주소를 자동 입력하기 위한 메뉴로서 자주쓰는 주소에 등록된 지갑주소 목록을 불러오기 위한 '자주쓰는 주소' 메뉴(1714), 지갑주소가 포함된 QR 코드의 촬영을 위한 'QR 촬영' 메뉴(1715)가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자주쓰는 주소' 메뉴(1714)를 선택하는 경우 자주쓰는 주소 화면(1720)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자주쓰는 주소 화면(1720)에는 자주쓰는 주소로 등록된 지갑주소 목록(1721)과 새 지갑주소를 자주쓰는 주소에 등록하기 위한 '새주소 등록하기' 메뉴(1722)가 포함될 수 있다.
지갑주소 목록(1721)에서 특정 지갑주소가 선택되는 경우 '주소' 입력란(1712)에 자동 반영될 수 있다.
자주쓰는 주소에는 닉네임과 지갑주소가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주소' 입력란(1712)에 지갑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닉네임만을 입력하더라도 해당 닉네임과 매칭된 지갑주소로의 보내기가 가능하다.
컴퓨터 장치(200)는 'QR 촬영' 메뉴(1715)를 선택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QR 촬영 화면(1830)을 활성화할 수 있고, 이때 상대방의 페이앱 상에 노출된 QR 코드, 즉 상대방의 지갑주소가 포함된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QR 촬영을 통해 인식된 지갑주소를 '주소' 입력란(1712)에 반영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내기' 메뉴(1713)를 선택하는 경우 '송금 수량' 입력란(1711)에 입력된 디지털자산 수량을 '주소' 입력란(1712)에 입력된 지갑주소(또는 닉네임의 지갑주소)로 보낼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보내기가 완료되면 메인 화면(950)으로 이동하고, 이때 메인 화면(950)을 통해 보낸 수량만큼 디지털자산이 차감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사용자의 지갑에 있는 디지털자산을 하나의 지갑주소로 보내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에 따라 둘 이상의 지갑주소로 한 번에 보내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무기명(무계정)의 지갑주소를 통해 비화폐 형태인 디지털자산을 다른 사용자의 지갑주소로 보내는 것은 물론이고, 페이앱과 연동 가능한 게임, 경매,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화폐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역확인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지갑주소를 통한 디지털자산 사용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메인 화면(950)에서 '내역 확인' 메뉴(123)를 선택하는 경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래내역 화면(2010)을 제공한다.
거래내역 화면(2010)은 거래내역을 최근 순으로 정렬하여 보여줄 수 있고, 단위 기간(예컨대, 월 단위, 주 단위 등) 별로 거래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페이앱의 지갑주소를 이용한 거래내역으로서 디지털자산을 받은 내역과 디지털자산을 보낸 내역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갑관리 과정에서의 페이앱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디지털자산 지갑에 대한 관리 환경으로서 마이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메인 화면(950)에서 '마이페이지' 메뉴(124)를 선택하는 경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페이지 화면(2110)을 제공한다.
마이페이지 화면(2110)은 현금영수증 설정을 위한 '현금영수증 설정' 메뉴(2111), 페이앱이나 서비스 관련 공지사항을 확인하기 위한 '공지사항' 메뉴(2112), 문의 게시판을 확인하기 위한 '1:1 문의' 메뉴(2113), 지갑 비밀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지갑 비밀번호 관리' 메뉴(2114), 서비스 이용약관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이용약관' 메뉴(2115), 페이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앱 정보' 메뉴(2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현금영수증 설정' 메뉴(2111)를 선택하는 경우 현금영수증 설정 화면(2120)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현금영수증 설정 화면(2120)을 통해 현금영수증 발급을 위한 휴대폰 번호를 등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페이앱을 통해 사용한 디지털자산 수량에 해당되는 현금영수증이 등록된 휴대폰 번호로 발행된다.
컴퓨터 장치(200)는 '지갑 비밀번호 관리' 메뉴(2114)를 선택하는 경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비밀번호 변경 화면(2230) 또는 비밀번호를 찾기 위한 비밀번호 찾기 화면(2240)을 제공한다.
비밀번호 변경은 기존 비밀번호 확인 과정이 요구되고, 비밀번호 찾기의 경우 지갑 생성 과정에서 부여받은 복구코드 확인 과정이 요구된다. 경우에 따라, 비밀번호 변경 또한 복구코드 확인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비화폐인 디지털자산을 교환권 구매를 통해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디지털자산은 무기명(무계정)의 지갑주소를 통하여 주고 받을 수 있다. 디지털자산 지갑이 무기명으로 생성되므로 페이앱을 재설치하는 경우에는 지갑 생성 과정에서 부여받은 복구코드를 이용하여 지갑을 복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교환권 구매를 통한 디지털자산 충전 및 교환권 환불이 가능한 서비스로 무기명 비화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자산 지갑에 대해 무기명의 지갑 생성 기능과 지갑 복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무기명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명 결제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비로그인의 무기명 상태에서 무계정의 지갑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교환권 구매를 통한 디지털자산을 상기 지갑에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지갑을 통해 상기 디지털자산을 이용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기명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을 무기명으로 이용 가능한 고유 지갑주소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기명 결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의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지갑의 복구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갑의 전용 앱이 설치되는 경우 비로그인의 무기명 상태에서 상기 비밀번호와 상기 복구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앱 상에 상기 지갑이 복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명 결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을 무기명으로 이용 가능한 고유 지갑주소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갑의 복구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지갑주소와 상기 복구코드를 서버 상에 보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갑의 전용 앱이 설치되는 경우 비로그인의 무기명 상태에서 상기 복구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복구코드와 매칭되는 상기 지갑주소를 통해 상기 앱 상에 상기 지갑이 복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명 결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주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와 디지털자산을 주고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기명 결제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지갑주소를 통해 상기 디지털자산을 연동 가능한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화폐로 이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기명 결제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명 결제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다른 사용자의 지갑주소와 닉네임을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자산의 수량이 입력되고 상기 등록된 닉네임 중 적어도 하나의 닉네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수량의 디지털자산을 상기 선택된 닉네임의 지갑주소로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기명 결제 방법.
KR1020200059959A 2020-05-19 2020-05-19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8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59A KR102383017B1 (ko) 2020-05-19 2020-05-19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59A KR102383017B1 (ko) 2020-05-19 2020-05-19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44A true KR20210143044A (ko) 2021-11-26
KR102383017B1 KR102383017B1 (ko) 2022-04-05

Family

ID=7870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959A KR102383017B1 (ko) 2020-05-19 2020-05-19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0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98B1 (ko) * 2016-03-21 2017-03-23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이나 디바이스 내 개인정보 및 지불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98B1 (ko) * 2016-03-21 2017-03-23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이나 디바이스 내 개인정보 및 지불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y Protocol] Easy purchase with Paycoin Dalcoin!! (Event end)’, Kovac (published on August 14, 2019)* *
‘About the analysis and usage of D’CENT WALLET in virtual currency [2020]’, Naver Blog (published on Dec. 11, 2019)* *
‘The Problem of Cryptocurrency as a Real Currency’, Tistory (published on March 15, 20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17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3429B (zh) 使用数字令牌和安全账本数据库的安全离线交易系统
EP3582168A1 (en) Semi-private blockchain virtual currency exchange systems
US20170372417A1 (en) Digital asset account management
JP6224283B1 (ja)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よるエスクロー決済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1520011A (ja) デジタル資産の交換
US202002581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age of cryptocurrencies and transactions thereof
US20070179883A1 (en)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code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digital cash
KR102120539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CN101256653A (zh) 使用与账单预先关联的账单支付卡的值插入方法与系统
JP6915934B1 (ja) 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方法、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65988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自动交易处理系统和方法
US10185951B2 (en) Merchant card exchange facilitator system
KR101729162B1 (ko) 금융 오픈 플랫폼 기반의 선불결제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2075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transactions
WO2020157711A2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15809909A (zh) 区块链网络拥塞自适应数字资产事件处置系统和方法
JP7209984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238301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무기명 비화폐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21068446A (ja) メッセンジャーを利用して決済手段の連動口座を変更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664346B1 (ko)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5812645B2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20220028307A (ko)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8319A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64344B1 (ko)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7432895B2 (ja) 暗号資産の買取・引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