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866A -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866A
KR20210142866A KR1020200059580A KR20200059580A KR20210142866A KR 20210142866 A KR20210142866 A KR 20210142866A KR 1020200059580 A KR1020200059580 A KR 1020200059580A KR 20200059580 A KR20200059580 A KR 20200059580A KR 20210142866 A KR20210142866 A KR 20210142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aw material
mixed
mixed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728B1 (ko
Inventor
지연구
Original Assignee
지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연구 filed Critical 지연구
Priority to KR102020005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7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02Synthetic cellulose fibres
    • D21H13/08Synthetic cellulose fibres from regenerated cellulo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초배지는, 면사 80 중량부와, 비스코스 레이온 사 5 중량부와, 정제된 모 또는 견사 5 중량부와, 식물 잎이나 줄기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만들고, 혼합원료에 들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혼합원료를 카딩기에서 혼합섬유를 카딩한 후, 카딩 단계에서 정돈된 혼합원료를 성형기에서 하나 이상의 층을 종횡으로 적층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1쌍의 성형 롤러를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의 단일의 웹 형태로 성형하고, 그리고나서, 성형된 웹을 니들 펀칭기에서 펀칭하여 혼합섬유들을 접착제 없이 결속시키는 니들 펀칭하여 만들어진다.

Description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Lining wall paper using natural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초배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에 정배작업을 하기 전에 벽면의 요철이나 틈새, 벽면의 작은 홈들을 메꾸어 벽면을 평탄하게 하고, 벽면에 도배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벽면에 바르는 초배지에 관한 것이다.
초배지는 정배작업을 하기 전에 벽면의 요철이나 작은 홈들을 메꾸어 벽면을 평탄하게 하고, 벽면에 도배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벽면에 바르는 것으로서, 초배지의 기본적인 기능에 추가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예컨대 아래 특허문헌 1에는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발포 초배지는 코팅이 된 종이 또는 부직포 층 및 합성수지 폼 층에 의하여 단열 및 방습 기능이 동시에 나타나도록 하면서 동시에 낮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발포 초배지는 단열과 방습 기능을 위하여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성분으로 한 화학물질을 사용하므로, 친환경적이지 않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방출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발포 초배지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성분을 가진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합성섬유를 이용한 초배지의 상기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닥섬유, 마섬유를 이용한 초배지가 개발되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천연 펄프를 이용한 종이 초배지는 인열강도 및 내수성이 약하여 초배지의 시공성이 나쁘고, 정배 작업 후에 인열강도가 약하여 부분적으로 터짐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천연펄프를 이용한 초배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펄프에 폴리에스터, 아크릴, 레이온, 나일론과 같은 (폐)합성섬유에 천연 바인더(예를 들면, 카제인, 양이온성 전분 등)와 합성 바인더를 첨가하여 제조한 바닥층(기저층) 초지와, 펄프와 합성목재펄프(SWP)를 혼합하여 제조한 상부층 초지를 습윤상태에서 상부층 초지와 바닥층 초지에 함유된 천연 바인더로써 단순히 겹지하여 제조한 초배지가 아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알려져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2의 초배지는 2중의 초지를 천연 바인더로써 겹지하여 만들기 때문에 경계층에서 결합력이 약해 분리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초배작업을 한 후 2층의 경계면에서 들뜸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정배작업의 불량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KR 10-2016-0125930A KR 10-1160987B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천연 섬유를 주 성분으로 사용하고, 원재료를 니들 펀칭으로 결합시켜 펠트화함으로써 섬유 사이의 공극으로 인하여 통기성이 양호하고, 인장강도가 높으면서 화재시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아 안전성이 높고 보온성과 흡음 효과가 우수한,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와 그 초배지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배지는,
2 내지 4mm의 길이를 가진 면 스테이플 80 중량부,
50 내지 70mm의 길이를 가진 비스코스 레이온 사 5 중량부,
70mm 내지 130mm의 길이를 가진, 정제된 모 또는 견사 5 중량부, 및
식물 잎이나 줄기 5 중량부를 포함한 혼합원료를 펀칭기로 펀칭하고 성형기를 통과시켜 웹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초배지 제조방법은,
조합기에서, 2 내지 4mm의 길이를 가진 면사 80 중량부와, 50 내지 70mm의 길이를 가진 비스코스 레이온 사 5 중량부와, 70mm 내지 130mm의 길이를 가진, 정제된 모 또는 견사 5 중량부와, 식물 잎이나 줄기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만드는 단계;
정면기에서 혼합원료에 들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불순물이 제거된 혼합원료를 카딩기에서 혼합섬유를 정리정돈하는 카딩단계;
카딩 단계에서 정돈된 혼합원료를 성형기에서 하나 이상의 층을 종횡으로 적층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1쌍의 성형 롤러를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의 단일의 웹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성형기를 거치면서 성형된 웹을 니들 펀칭기에서 600 내지 1000 개/cm2의 니들침 밀도로써 펀칭하여 혼합섬유들을 접착제 없이 결속시키는 니들 펀칭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초배지에 의하면, 천연 섬유를 80% 이상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화학 접착제를 사용함이 없이 니들 펀칭으로 펀칭하여 섬유간 결속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화재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아서 안전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펀칭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두께와 인장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면을 주 원료로 만들어진 본 발명의 초배지는 통기성이 양호하고 보온성 및 흡음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초배지는,
2 내지 4mm의 길이를 가진 면 스테이플 80 중량부;
50 내지 70mm의 길이를 가진 비스코스 레이온 사 5 중량부;
70mm 내지 130mm의 길이를 가진, 정제된 모 또는 견사 5 중량부; 및
식물 잎이나 줄기 5 중량부;를 포함한 혼합원료를 성형기에서 성형하고 펀칭기로 펀칭하여 웹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초배지는,
이러한 본 발명의 초배지는 천연 섬유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화학 접착제를 사용함이 없이 니들 펀칭으로 펀칭하여 섬유간 결속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화재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아서 안전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초배지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가. 혼합원료 준비 단계
조합기에서, 2 내지 4mm의 길이를 가진 면사 80 중량부와, 50 내지 70mm의 길이를 가진 비스코스 레이온 사 5 중량부와, 70mm 내지 130mm의 길이를 가진, 정제된 모 또는 견사 5 중량부와, 식물 잎이나 줄기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만든다.
나. 혼합원료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정면기에서 혼합원료에 들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한다.
다. 카딩 단계
불순물이 제거된 혼합원료를 카딩기에서 혼합섬유를 정리정돈한다.
라. 웹 성형단계
카딩 단계에서 정돈된 혼합원료를 성형기에서 하나 이상의 층을 종횡으로 적층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1쌍의 성형 롤러를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의 단일의 웹 형태로 성형한다.
마. 니들 펀칭 단계
성형기를 거치면서 성형된 웹을 니들 펀칭기에서 600 내지 1000 개/cm2의 니들침 밀도로써 펀칭하여 혼합섬유들을 접착제 없이 결속시켜 초배지를 완성한다.
천연 섬유를 주 성분으로 사용하고, 원재료를 니들 펀칭으로 결합시켜 펠트화함으로써 섬유 사이의 공극으로 인하여 통기성이 양호하고, 인장강도가 높으면서 화재시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아 안전성이 높고 보온성과 흡음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높고, 필요에 따라 펀칭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두께와 인장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로서,
    2 내지 4mm의 길이를 가진 면 스테이플 80 중량부,
    50 내지 70mm의 길이를 가진 비스코스 레이온 사 5 중량부,
    70mm 내지 130mm의 길이를 가진, 정제된 모 또는 견사 5 중량부, 및
    식물 잎이나 줄기 5 중량부를 포함한 혼합원료를 펀칭기로 펀칭하고 성형기를 통과시켜 웹 형태로 이루어진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2. 조합기에서, 2 내지 4mm의 길이를 가진 면사 80 중량부와, 50 내지 70mm의 길이를 가진 비스코스 레이온 사 5 중량부와, 70mm 내지 130mm의 길이를 가진, 정제된 모 또는 견사 5 중량부와, 식물 잎이나 줄기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만드는 단계;
    정면기에서 혼합원료에 들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불순물이 제거된 혼합원료를 카딩기에서 혼합섬유를 정리정돈하는 카딩단계;
    카딩 단계에서 정돈된 혼합원료를 성형기에서 하나 이상의 층을 종횡으로 적층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1쌍의 성형 롤러를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의 단일의 웹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성형기를 거치면서 성형된 웹을 니들 펀칭기에서 600 내지 1000 개/cm2의 니들침 밀도로써 펀칭하여 혼합섬유들을 접착제 없이 결속시키는 니들 펀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제조방법.
KR1020200059580A 2020-05-19 2020-05-19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440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80A KR102440728B1 (ko) 2020-05-19 2020-05-19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80A KR102440728B1 (ko) 2020-05-19 2020-05-19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866A true KR20210142866A (ko) 2021-11-26
KR102440728B1 KR102440728B1 (ko) 2022-09-05

Family

ID=7870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580A KR102440728B1 (ko) 2020-05-19 2020-05-19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837B1 (ko) 2023-01-25 2023-08-21 (주) 주항테크 열융착 기능성 부직포 합성초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583B1 (ko) * 1997-10-13 2000-03-02 원정희 천연섬유를이용한부직포의제작방법
KR101001260B1 (ko) * 2009-10-14 2010-12-14 (주)태봉 친환경 한지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044417B1 (ko) * 2008-08-22 2011-06-27 강귀금 면을 함유한 초배지
KR101160987B1 (ko) 2009-05-25 2012-06-29 이철수 삼중초배지 및 그 제조장치
KR101611887B1 (ko) * 2015-04-28 2016-04-14 주식회사 대성메디칼 한지부직포 제조방법
KR20160125930A (ko) 2016-09-08 2016-11-01 김수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583B1 (ko) * 1997-10-13 2000-03-02 원정희 천연섬유를이용한부직포의제작방법
KR101044417B1 (ko) * 2008-08-22 2011-06-27 강귀금 면을 함유한 초배지
KR101160987B1 (ko) 2009-05-25 2012-06-29 이철수 삼중초배지 및 그 제조장치
KR101001260B1 (ko) * 2009-10-14 2010-12-14 (주)태봉 친환경 한지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611887B1 (ko) * 2015-04-28 2016-04-14 주식회사 대성메디칼 한지부직포 제조방법
KR20160125930A (ko) 2016-09-08 2016-11-01 김수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728B1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thik et al. Nonwovens: process, structur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SE503606C2 (sv) Nonwovenmaterial innehållande en blandning av massafibrer och långa hydrofila växtfibrer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nonwovenmaterialet
ATE507965T1 (de) Mehrlagiger verbundvliesstoff, fluidfil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vliesstoffes
RU2010130157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лок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3220308A (ja) 解繊維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解繊維を用いた解繊維集合体とその製造方法
KR102440728B1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RU234518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тканого иглопроби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15048569A (ja) 不織布及び該不織布の製造方法
JP5208861B2 (ja) 吸音性積層材および吸音性積層材成形物
ATE180524T1 (de) Spinnvliesstoff mit hoher schütt- und hoher absorptionskapazit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KR101001260B1 (ko) 친환경 한지부직포의 제조방법
CN110917727A (zh) 涤纶针刺毡表层混入pet/copet双组份低熔点纤维的滤料及其制备方法
JPH1053950A (ja) 複合紙及びその製造方法
US3795575A (en) Cellulosic sheet material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US6539596B1 (en) Nonwovens from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based staple fibers
CN107109732A (zh) 纤维聚集体及使用了该纤维聚集体的吸液性片状物、以及纤维聚集体的制造方法
JP2000141524A (ja) 繊維積層体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10080A (ja) 複合紙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紙
US7293336B2 (en) Method for consolidating a material web made from wood pulp
Dönmez et al. Thermal and sound insulation performances of building panels produced by recycling waste fibres of yarn factories
KR20100042909A (ko) 친환경 원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지
US395905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extile fiber fleeces reinforced with expanded netting
KR102274953B1 (ko) 터치감이 우수한 혼섬부직포
RU109767U1 (ru) Объемный экологичный тепло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ый утеплитель
AU2007100274B4 (en) A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