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613A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613A
KR20210142613A KR1020217028823A KR20217028823A KR20210142613A KR 20210142613 A KR20210142613 A KR 20210142613A KR 1020217028823 A KR1020217028823 A KR 1020217028823A KR 20217028823 A KR20217028823 A KR 20217028823A KR 20210142613 A KR20210142613 A KR 20210142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ransmission right
communication device
transmiss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히라타
유스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4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carrier sens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복수의 밴드를 묶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는,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하고 나서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에서 모두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신호로서, RTS 프레임, CTS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 비지 톤 등이 송신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VR(Virtual Reality) 등에서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이용이 기대되고 있으며, 그것들에 대응하기 위해서 피크 스루풋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피크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하나로서 차세대 무선 LAN 규격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광대역을 확보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로 분리된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 병행으로 통신을 하는 경우에, 송신 데이터를 복수 주파수 대역에 매핑하고, 주파수대마다 전력 배분을 행하고, 변조 방식·채널 부호화율과 송신 대역폭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채널의 상황을 관측하여, 아이들이라고 예측되는 채널 및 기관에 캐리어 센스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밴드에서 동시의 송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서도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575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78447호 공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목적은, 복수의 밴드를 묶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하고 나서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에서 모두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신호로서, RTS 프레임, CTS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 비지 톤 등이 송신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2 측면은,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하는 스텝과,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에서 모두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3 측면은,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대역 및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4 측면은,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대역 및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하면, 먼저 송신권을 획득한 밴드에서의 송신권을 유지하면서 다른 밴드에서 송신권을 획득하여, 복수의 밴드를 묶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해 초래되는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상기 효과 이외에, 더욱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00)의 모식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장치(200)의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기지국과 별체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RTS 프레임의 포맷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CTS 프레임의 포맷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제1 실시예)이다.
도 7은, 기지국과 별체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기지국과 별체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기지국과 별체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기지국과 별체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STA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밴드에서 동시에 데이터 송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 과제가 있다고 본 출원인은 생각한다. 하나는, 어떤 밴드에서 송신권을 획득한 후, 다른 밴드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 다른 단말기가 송신을 개시해버려, 먼저 송신권을 획득한 밴드에서 송신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는, 어떤 밴드에서 송신권을 획득하고 나서 다른 밴드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불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본 명세서에서는, 먼저 송신권을 획득한 밴드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밴드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동안에도, 송신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하여, 이하에서 제안한다. 먼저 송신권을 획득한 밴드에 있어서 송신하는 신호는, RTS(Request To Send)나 CTS(Clear To Send)와 같이 다른 단말기에 송신을 대기시키는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이어도 되며, 비지 톤과 같이 다른 단말기가 전력의 검출에 의해 송신을 대기시키는 신호여도 된다.
도 1에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기술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의 모식적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은, 1대의 기지국(AP)(101)과, 1대의 별체(STA)(102)로 구성된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이 이용 가능한 것으로 한다. 밴드 A, B는, 예를 들어 5㎓대, 6㎓대이다. 그리고, 별체(102)는, 기지국(101)에 접속되어 있으며, 밴드 A 내의 채널과 밴드 B 내의 채널을 묶어 통신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통신 장치의 수나 위치 관계, 주파수에 대해서는 일례이며, 여기에서의 기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밴드 A, B 내의 복수의 다른 채널을 묶어 통신을 행해도 된다.
도 2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기지국 또는 별체 중 어느 것으로 하여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200)의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통신 장치(200)는, 제어부(210)와, 전원부(220)와, 복수(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통신부(230-1, 230-2, 230-3)와, 각 통신부(230-1, …)마다의 안테나부(240-1, …)로 구성된다. 또한, 각 통신부(230-1) 및 통신부(230-1, …)마다의 안테나부(240-1)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간소화를 위해서 통신부(230) 및 안테나부(240)로서 참조하기로 한다.
통신부(23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프로세서나 회로로 구성되고, 무선 제어부(231)와, 데이터 처리부(232)와, 변복조부(233)와, 신호 처리부(234)와, 채널 추정부(235)와,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IF)부(236-1, …, 236-N)와, 각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 236-N)에 직렬적으로 접속된 증폭기부(237-1, …, 237-N)를 구비하고 있다(단, N은 2 이상의 정수로 함). 그리고, 각 증폭기부(237-1, …, 237-N)에는, 당해 통신부(230)에 대응하는 안테나부(240)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직렬 접속된 무선 인터페이스부(236), 증폭기부(237) 및 안테나부(240) 중의 안테나 소자를 1조로 하여, 1개 이상의 조가 통신부(230)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 236-N)에, 각각에 대응하는 증폭기부(237-1, …, 237-N)의 기능이 내포되어 있어도 된다.
데이터 처리부(232)에서는, 자신의 통신 프로토콜의 상위층으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송신 시에 있어서, 그 데이터로부터 무선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를 위한 헤더 부가나 오류 검출 부호의 부가 등의 처리를 더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변복조부(233)에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32)는, 변복조부(233)로부터의 입력이 있는 수신 시에 있어서는, MAC 헤더의 해석, 패킷 오류의 검출, 패킷의 리오더 처리 등을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자신의 프로토콜 상위층에 제공한다.
무선 제어부(231)는, 당해 통신 장치(200) 내의 각 부 간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한다. 또한, 무선 제어부(231)는, 변복조부(233) 및 신호 처리부(234)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설정이나, 데이터 처리부(232)에 있어서의 패킷의 스케줄링, 무선 인터페이스부(236) 및 증폭기부(237)의 파라미터 설정 및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변복조부(233)는, 송신 시에는, 데이터 처리부(232)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무선 제어부(231)에 의해 설정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인터리브 및 변조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여, 신호 처리부(234)에 제공한다. 또한, 변복조부(233)는, 수신 시에는, 신호 처리부(234)로부터의 입력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송신 시와는 반대의 복조 처리, 디인터리브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처리부(232) 혹은 무선 제어부(231)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신호 처리부(234)는, 송신 시에는, 필요에 따라 변복조부(233)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공간 분리에 제공되는 신호 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1개 이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에 제공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34)는, 수신 시에는,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로부터 입력된 수신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스트림의 공간 분해를 행하여, 변복조부(233)에 제공한다.
채널 추정부(235)는,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36-1, …)로부터의 입력 신호 중, 프리앰블 부분 및 트레이닝 신호 부분으로부터 전반로의 복소 채널 이득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된 복소 채널 이득 정보는, 무선 제어부(231)를 통해 변복조부(233)에서의 복조 처리 및 신호 처리부(234)에서의 공간 처리에 이용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36)는, 송신 시에는, 신호 처리부(234)로부터의 입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 및 반송파 주파수로의 업컨버트, 위상 제어를 실시하고, 대응하는 증폭기부(237) 또는 안테나부(240)로 송출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236)는, 수신 시에는, 대응하는 증폭기부(237) 또는 안테나부(240)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송신 시와는 반대의 다운 컨버트나 필터링,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신호 처리부(234) 및 채널 추정부(235)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증폭기부(237)는, 송신 시에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36)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전력까지 증폭하고, 안테나부(240) 내의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로 송출한다. 또한, 증폭기부(237)는, 수신 시에는, 안테나부(240) 내의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전력까지 저잡음 증폭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236)에 출력한다.
증폭기부(237)는, 송신 시의 기능과 수신 시의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이 무선 인터페이스부(236)에 내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증폭기부(237)는, 송신 시의 기능과 수신 시의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이 통신부(230) 이외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어도 된다.
1조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36) 및 증폭기부(237)에서, 1개의 RF(Radio Frequency) 브랜치를 구성하고 있다. 1개의 RF 브랜치에서 1밴드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장치 구성예에서는, 통신부(230)는 N개의 RF 브랜치를 구비하고 있게 된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프로세서나 회로로 구성되고, 무선 제어부(231) 및 전원부(220)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무선 제어부(231)의 상술한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무선 제어부(231) 대신에 실시해도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210) 및 무선 제어부(231)가,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부(220)는, 배터리 전원 또는 고정 전원으로 구성되고, 당해 통신 장치(200)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한다.
통신 장치(200)가 대기 중에는, 통신부(230)가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혹은,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정지시킨 상태)로 천이하여,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장치 구성예에서는, 통신부(230)는, N개의 RF 브랜치를 구비하고 있지만, RF 브랜치마다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단,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할 때에는, 적어도 애그리게이션하는 밴드 수의 RF 브랜치가 통상의 동작 상태로 복귀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제어부(210)와 통신부(230)를 합쳐서, 1개 또는 복수의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기지국(AP)이 송신을 요구하는 프레임을 송신하고 나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기지국(AP)과 별체(STA)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를 나타내고 있다. STA는 AP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AP와 STA는, 서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두어도 된다. 또한, AP나 STA는, 예를 들어 CSMA/CA(Carrier Senc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식에 준하여,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다.
우선, AP가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한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밴드 A에서는 백 오프가 만료되지 않았다. 그래서, AP는,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하기 위해서(혹은, 다른 통신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밴드 B에 있어서 송신을 요구하는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는, AP로부터의 RTS 프레임을 밴드 B에서 수신한 후, 송신을 허가하는 CTS 프레임을, 동일하게 밴드 B에서 반송한다. 이에 의해, 밴드 B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통신 단말기(도시생략)는, RTS 또는 CTS 중 적어도 한쪽의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하기 위해서, 밴드 B에서의 송신을 대기한다.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에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후술).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나, 송신권을 아직 획득하지 못한 대역 등의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AP가 밴드 A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RTS 프레임이나 CTS 프레임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STA는, 수신한 RTS 프레임으로부터, AP가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자신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고자 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STA는, 예를 들어 밴드 A용 RF 브랜치를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밴드 A용 RF 브랜치도 통상의 동작 상태로 복귀시켜, AP로부터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데이터 송신에 구비하도록 한다.
다른 통신 단말기가 NAV를 설정함으로써,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을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STA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그리고, STA측에서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한 통신 시퀀스에서 이용되는 RTS 프레임의 포맷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3에 도시한 통신 시퀀스에서 이용되는 CTS 프레임의 포맷예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번호 401 및 501로 나타내는 Frame Control 필드에는, RTS 그리고 CTS의 각 프레임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다.
참조 번호 402 및 502로 나타내는 Duration 필드에는, 후속하는 데이터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정보가 기재된다. 통신을 행하지 않는 주위 단말기는 이 필드의 값을 읽고, NAV를 설정한다. AP가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하는 시간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Duration 필드에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ACK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의 기간이 기재된다. 또한, AP가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하는 시간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Duration 필드에는, 허용되는 최댓값이 기재된다.
참조 번호 403 및 503으로 나타내는 RA(Receiver Address)는, 각 프레임의 송신처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또한, 참조 번호 404로 나타내는 TA(Transmitter Address)는, 각 프레임의 송신원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참조 번호 405 및 504로 나타내는 CA(Carier Aggregation) Indiction 필드에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다. 구체적으로는, CA Indication 필드에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혹은 송신권을 아직 획득하지 못한 대역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재된다.
참조 번호 406 및 505로 나타내는 FCS(Frame Check Sequence)는, 프레임 전체의 오류 정정 부호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밴드 B에서의 RTS/CTS 프레임을 교환하는 도중이나, 프레임 교환을 완료한 후에, 밴드 A가 비지로 된 경우에는, AP나 STA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해도 된다.
도 6에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수순은, 도 2에 도시한 통신 장치(200)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AP로서 기능할 때 실행한다.
AP는,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601),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602).
여기서, AP가 밴드 A에서도 이미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스텝 S602의 "아니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AP가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스텝 S602의 "예"), AP는, 밴드 B에서 RTS 프레임을 송신하고(스텝 S603), 밴드 B에서 CTS 프레임을 수신하여(스텝 S604),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한다.
그리고,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605),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흐름도에서는 생략하였지만, 밴드 B에서의 RTS/CTS 프레임을 교환하는 도중이나, 프레임 교환을 완료한 후에, 밴드 A가 비지로 된 경우에는,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해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 의하면, AP의 주변 단말기뿐만 아니라, STA의 주변 단말기도 NAV가 설정되므로, 송신측(AP)으로부터의 신호가 도착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단말기(은닉 단말기)에 대해서도 송신을 대기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기지국(AP)이 송신권을 획득한 대역에서 CTS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송신권을 유지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기지국(AP)이 별체(STA)에 대하여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를 나타내고 있다. STA는 AP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AP와 STA는, 서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두어도 된다. 또한, AP나 STA는, 예를 들어 CSMA/CA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식에 준하여,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다.
우선, AP가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한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밴드 A에서는 백 오프가 만료되지 않았다. 그래서, AP는,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하기 위해서(혹은, 다른 통신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밴드 B에 있어서 CTS 프레임을 송신한다.
여기서, AP가 송신하는 CTS 프레임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 포맷을 포함하고, CTS-to-Self와 같이 RA가 송신원인 AP의 MAC 어드레스로 되어 있다. 단, CTS-to-self는 IEEE802.11g로 규정되어 있는 기능이며, AP는 의도적으로 자기 자신에 대하여 CTS를 송신함으로써, 그 AP에 접속하고 있는 STA로 이제부터 통신이 행해지는 것을 통지한다.
이에 의해, 밴드 B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는, 이 CTS 프레임 중의 Duration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서 NAV를 설정하여, 밴드 B에서의 송신을 대기한다.
AP가 송신하는 CTS 프레임에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전술). 구체적으로는, AP가 밴드 A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CTS 프레임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STA는, 수신한 CTS 프레임으로부터, AP가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자신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고자 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STA는, 예를 들어 밴드 A용 RF 브랜치를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밴드 A용 RF 브랜치도 통상의 동작 상태로 복귀시켜, AP로부터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데이터 송신에 구비하도록 한다.
다른 통신 단말기가 NAV를 설정함으로써,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을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STA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그리고, STA측에서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밴드 B에서 CTS 프레임을 송신 중이나 CTS 프레임의 송신을 완료한 후에, 밴드 A가 비지로 된 경우에는, AP나 STA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해도 된다.
도 8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수순은, 도 2에 도시한 통신 장치(200)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AP로서 기능할 때 실행한다.
AP는,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801),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802).
여기서, AP가 밴드 A에서도 이미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스텝 S802의 "아니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AP가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스텝 S802의 "예"), AP는, 밴드 B에서 CTS 프레임을 송신하고(스텝 S803),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한다.
그리고,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804),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흐름도에서는 생략하였지만, 밴드 B에서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도중이나, CTS 프레임의 송신을 완료한 후에, 밴드 A가 비지로 된 경우에는,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해도 된다.
도 8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 의하면, AP의 주위의 단말기에 송신을 대기시켜,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까지의 송신권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3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기지국(AP)은, 송신권을 획득한 대역에서, RTS 프레임이나 CTS 프레임이 아니라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송신권을 유지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는, 기지국(AP)이 별체(STA)에 대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를 나타내고 있다. STA는 AP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AP와 STA는, 서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두어도 된다. 또한, AP나 STA는, 예를 들어 CSMA/CA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식에 준하여,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다.
우선, AP가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한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밴드 A에서는 백 오프가 만료되지 않았다. 그래서, AP는, 밴드 B에 있어서 STA앞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 결과, AP는,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한다(혹은, 다른 통신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함).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기간에 대해서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획득 후에서 밴드 A에서의 송신권 획득까지의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밴드 B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는, AP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 중의 Duration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서 NAV를 설정하고, 밴드 B에서의 송신을 대기한다. 다른 통신 단말기가 NAV를 설정함으로써,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을 유지할 수 있다.
AP가 송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에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전술). 구체적으로는, AP가 밴드 A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데이터 프레임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STA는,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AP가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자신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고자 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STA는, 예를 들어 밴드 A용 RF 브랜치를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밴드 A용 RF 브랜치도 통상의 동작 상태로 복귀시켜, AP로부터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데이터 송신에 구비하도록 한다.
그 후,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 밴드 B에서의 데이터의 송신을 중단하여,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STA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그리고, STA측에서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AP는,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한 후, 바로 밴드 B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해도 되고, STA가 도중에 복호 가능한 어떤 일정한 기간까지 밴드 B만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다 끝내고 나서,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의 데이터 송신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일정한 기간이란, 예를 들어 A-MPDU(Aggregate MAC Protocol Data Unit) 중의 어떤 A-MPDU 서브 프레임의 종단이나,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의 블록 단위이다.
또한, 밴드 B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 중이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완료한 후에, 밴드 A가 비지로 된 경우에는, AP나 STA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해도 된다.
도 10에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수순은, 도 2에 도시한 통신 장치(200)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AP로서 기능할 때 실행한다.
AP는,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1001),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1002).
여기서, AP가 밴드 A에서도 이미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02의 "아니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AP가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스텝 S1002의 "예"), AP는, 밴드 B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스텝 S1003),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한다.
그리고,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1004),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 밴드 B에서의 데이터의 송신을 중단하여,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STA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또한, 흐름도에서는 생략하였지만, 밴드 B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도중이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완료한 후에, 밴드 A가 비지로 된 경우에는,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해도 된다.
도 10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 의하면, AP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사용하는 전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을 낭비 없이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제4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기지국(AP)은, 송신권을 획득한 대역에서 비지 톤을 송신함으로써 송신권을 유지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는, 기지국(AP)이 별체(STA)에 대하여 비지 톤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를 나타내고 있다. STA는 AP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AP와 STA는, 서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두어도 된다. 또한, AP나 STA는, 예를 들어 CSMA/CA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식에 준하여,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다.
우선, AP가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한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밴드 A에서는 백 오프가 만료되지 않았다. 그래서, AP는, 밴드 B에 있어서 비지 톤을 송신한다. 이 결과, AP는,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한다(혹은, 다른 통신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함). 비지 톤의 송신 기간에 대해서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획득 후에서 밴드 A에서의 송신권 획득까지의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밴드 B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는, 백 오프 기간 중에 AP로부터 송신된 비지 톤을 검출하면, 밴드 B에서의 송신을 대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할 수 없도록 하여,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AP가 송신하는 비지 톤에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전술). 구체적으로는, AP가 밴드 A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비지 톤(예를 들어 프리앰블 신호)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STA는, 수신한 비지 톤으로부터, AP가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자신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고자 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STA는, 예를 들어 밴드 A용 RF 브랜치를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로 하고 있을 때에는, 밴드 A용 RF 브랜치도 통상의 동작 상태로 복귀시켜, AP로부터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데이터 송신에 구비하도록 한다.
그 후,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 밴드 B에서의 비지 톤의 송신을 중단하여,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STA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그리고, STA측에서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비지 톤의 포맷은 임의이다. 비지 톤은, IEEE802.11 규격에 따르는 통신 단말기가 NAV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AP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비지 톤은, IEEE802.11 규격에 따르는 통신 단말기가 신호의 수신을 끊기 위한 판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BSS(Basic Service Set) 식별 정보 등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비지 톤에는, 타 시스템(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과 공통의 신호 패턴을 중첩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타 시스템으로부터의 인터럽트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밴드 B에서 비지 톤을 송신 중이나 비지 톤의 송신을 완료한 후에, 밴드 A가 비지로 된 경우에는, AP나 STA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해도 된다.
도 12에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수순은, 도 2에 도시한 통신 장치(200)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AP로서 기능할 때 실행한다.
AP는,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1201),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1202).
여기서, AP가 밴드 A에서도 이미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스텝 S1202의 "아니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AP가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스텝 S1202의 "예"), AP는, 밴드 B에서 비지 톤을 송신하고(스텝 S1203),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 다른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밴드 B에 있어서의 송신권을 유지한다.
그리고,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1204),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 밴드 B에서의 비지 톤의 송신을 중단하여,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STA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또한, 흐름도에서는 생략하였지만, 밴드 B에서 비지 톤을 송신하는 도중이나, 비지 톤의 송신을 완료한 후에, 밴드 A가 비지로 된 경우에는,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해도 된다.
도 12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 의하면, AP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사용하는 전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은 경우에도, 다른 통신 인터럽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IEEE802.11 규격에 준한 프레임을 복호할 수 없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송신을 비지 톤의 전력 검출에 의해 대기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제5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기지국(AP)이, 어떤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하고 나서 다른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서 송신하는 신호를 바꿔, 처음에 획득한 대역에서의 송신권을 유지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는, 기지국(AP)이 별체(STA)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퀀스예를 나타내고 있다. STA는 AP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AP와 STA는, 서로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두어도 된다. 또한, AP나 STA는, 예를 들어 CSMA/CA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식에 준하여,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다.
우선, AP가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한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밴드 A에서는 백 오프가 만료되지 않았다. 그래서, AP는, 밴드 B에 있어서 STA앞으로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 결과, AP는,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한다(혹은, 다른 통신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함).
여기서, AP는, 밴드 A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제1 시간에 따라서, 송신하는 프레임을 변경한다.
제1 시간이, 예를 들어 A-MPDU의 적어도 1서브 프레임 등, STA가 복호 가능한 데이터의 최소 단위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바꿔 말하면, 데이터 프레임의 최소 송신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AP는, 밴드 B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여,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제1 시간이, AP와 STA 간에서 RTS/CTS 프레임의 교환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AP는, 밴드 B에서 RTS 프레임을 송신하여,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제1 시간이, AP와 STA 간에서 RTS/CTS 프레임의 교환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 미만이지만,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AP는, 밴드 B에서 CTS 프레임을 송신하여,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제1 시간이,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AP는, 밴드 B에서 비지 톤을 송신하여, 제4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AP는, 밴드 B에 있어서, 제1 시간의 길이에 따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밴드 A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밴드 B에서도 송신권을 유지한다(혹은, 다른 통신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함).
AP가, 데이터 프레임,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 중 어느 것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밴드 B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는, AP로부터 송신된 프레임 중의 Duration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서 NAV를 설정하여, 밴드 B에서의 송신을 대기한다. 다른 통신 단말기가 NAV를 설정함으로써,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AP가 비지 톤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밴드 B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는, 백 오프 기간 중에 AP로부터 송신된 비지 톤을 검출하면, 밴드 B에서의 송신을 대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가 송신권을 획득할 수 없도록 하여, AP는 밴드 B에서의 송신권을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 밴드 B에서의 비지 톤의 송신을 중단하여,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STA앞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도 14에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AP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수순은, 도 2에 도시한 통신 장치(200)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AP로서 기능할 때 실행한다.
AP는, 밴드 B에서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1401),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1402).
여기서, AP가 밴드 A에서도 이미 송신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스텝 S1402의 "아니오"), AP는 밴드 A와 밴드 B를 묶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AP가 밴드 A에서는 아직 송신권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스텝 S1402의 "예"), AP는, 밴드 A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제1 시간의 길이를 체크한다.
제1 시간이, 예를 들어 A-MPDU의 적어도 1서브 프레임 등, STA가 복호 가능한 데이터의 최소 단위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바꿔 말하면, 데이터 프레임의 최소 송신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스텝 S1403의 "아니오"), AP는,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밴드 B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1408).
또한, 제1 시간이, 데이터 프레임의 최소 송신 시간 미만이지만(스텝 S1403의 "예"), AP와 STA 간에서 RTS/CTS 프레임의 교환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스텝 S1404의 "예"), AP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밴드 B에서 STA앞으로 RTS 프레임을 송신하고(스텝 S1409), 그 후에 STA로부터의 CTS 프레임을 수신한다(스텝 S1410).
또한, 제1 시간이, AP와 STA 간에서 RTS/CTS 프레임의 교환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 미만이지만(스텝 S1404의 "예"),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스텝 S1405의 "아니오"), AP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밴드 B에서 자신앞으로의 CTS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1411).
또한, 제1 시간이,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스텝 S1405의 "예"), AP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밴드 B에서 비지 톤을 송신한다(스텝 S1406).
그리고, AP는, 밴드 A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제1 시간의 길이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동안에,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스텝 S1407),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AP는, 밴드 A에서도 송신권을 획득하면,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STA앞으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여기서, AP가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던 경우에는(스텝 S1408), 밴드 B에서의 데이터의 송신을 중단하고, 밴드 A 및 밴드 B를 사용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실시한다. 또한, AP가 비지 톤을 송신하고 있던 경우에는(스텝 S1406), 밴드 B에서의 비지 톤의 송신을 중단하여, 밴드 A 및 밴드 B를 사용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실시한다.
도 14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 의하면, AP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사용하는 전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최적의 처리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6
제6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별체(STA)가 기지국(AP)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여기에서는, AP는,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방법에 의해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도 15에는, 제6 실시예에 있어서의 STA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수순은, 도 2에 도시한 통신 장치(200)가, 밴드 A 및 밴드 B의 2채널을 사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STA로서 기능할 때 실행한다.
STA는, 예를 들어 밴드 B에서 수신 대기 중에, 밴드 B에서 신호를 검출하면(스텝 S1501), 그 신호가 자신앞으로의 신호인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1502).
여기서, 밴드 B에서 검출한 신호가 자신앞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1502의 "아니오"), STA는, 예를 들어 그 신호 중에 기재된 Duration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NAV를 설정하면(스텝 S1507), 이후의 처리를 모두 스킵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밴드 B에서 검출한 신호가 자신앞으로인 경우에는(스텝 S1502의 "예"), STA는, 그 신호를 수신 처리한다(스텝 S1503). 예를 들어, 수신한 신호가 AP로부터 송신된 RTS 프레임인 경우에는, STA는, CTS 프레임을 회신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수신한 신호가 AP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인 경우에는, STA는 그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처리를 실시한다.
이어서, STA는, 수신 신호에 CA Indication(혹은, 밴드 A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1504).
수신 신호에 CA Indication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504의 "아니오"), STA는, 수신 신호의 처리가 끝나면, 그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수신 신호에 CA Indication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504의 "예"), STA는, 밴드 A 및 밴드 B를 사용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준비를 실시한다(스텝 S1505). 예를 들어, STA는, 밴드 B에서 수신 대기하고 있을 때 밴드 A용 RF 브랜치를 스탠바이 상태나 슬립 상태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밴드 A용 RF 브랜치를 통상의 동작 상태로 복귀시켜, 밴드 A 및 밴드 B를 사용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개시에 대비한다.
그 후, STA는, AP가 밴드 A와 밴드 B를 묶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스텝 S1506).
지금까지 제1 내지 제6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다. 끝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효과에 대하여 언급해 둔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하면, 통신 장치가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 대역마다 송신권을 획득하는 타이밍이 다른 경우라도, 다른 단말기에 인터럽트되지 않고, 또한 전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IEEE802.11계의 무선 LAN 시스템에 적용하여, CSMA/CA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식에 준하면서, 복수의 밴드를 효율적으로 묶어 광대역화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IEEE802.11계 이외의 무선 LAN 시스템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주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관리하에 있는 별체로의 다운링크 통신 시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별체로부터 접속처의 액세스 포인트로의 업링크 통신 시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경우나, 단말기 간에서 사이드링크 통신 시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요컨대, 예시라고 하는 형태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청구범위를 참작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하고 나서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송신권을 아직 획득하지 못한 대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에서 모두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송신을 요구하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5-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에서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하여 송신을 허가하는 CTS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5)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제1 대역에서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교환 도중, 또는 프레임 교환을 완료한 후에 상기 제2 대역이 비지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5)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송신을 허가하는 CTS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7-1)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CTS-to-self 프레임을 송신하는
상기 (7)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역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한 후, 상기 제1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통신 장치.
(9-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역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한 후, 바로 상기 제1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9-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역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한 후, 송신처의 단말기가 도중에 복호 가능한 어떤 일정한 기간까지 상기 제1 대역만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끝내도록 제어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9-3) 상기 일정한 기간은, A-MPDU 중 어떤 A-MPDU 서브 프레임의 종단, 또는 LDPC 부호의 블록 단위인
상기 (9-2)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비지 톤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1) 상기 비지 톤은, 자신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상기 비지 톤은,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1) 상기 비지 톤은, 타시스템과 공통의 신호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10)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4)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복호 가능한 데이터의 최소 단위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통신 장치.
(15)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교환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RTS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통신 장치.
(16)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교환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 미만이지만,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CTS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통신 장치.
(17)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비지 톤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통신 장치.
(18)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하는 스텝과,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에서 모두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9)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대역 및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20)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대역 및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200: 통신 장치
210: 제어부
220: 전원부
230: 통신부
231: 무선 제어부
232: 데이터 처리부
233: 변복조부
234: 신호 처리부
235: 채널 추정부
236: 무선 인터페이스부
237: 증폭기부
240: 안테나부

Claims (20)

  1.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하고 나서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에 관한 정보는, 다른 대역에서의 송신권 획득을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송신권을 아직 획득하지 못한 대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에서 모두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송신을 요구하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에서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교환 도중, 또는 프레임 교환을 완료한 후에 상기 제2 대역이 비지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에서의 송신권 확보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송신을 허가하는 CTS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역에서의 송신권을 획득한 후, 상기 제1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비지 톤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 톤은, 자신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 톤은,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복호 가능한 데이터의 최소 단위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교환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RTS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교환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 미만이지만,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CTS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C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로서 비지 톤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8.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하는 스텝과,
    제2 대역에서 송신권을 획득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에서 모두 송신권을 획득했을 때, 상기 제1 대역 및 상기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9.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대역 및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20.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대역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대역 및 제2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KR1020217028823A 2019-03-27 2020-01-15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10142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9860 2019-03-27
JPJP-P-2019-059860 2019-03-27
PCT/JP2020/001026 WO2020195029A1 (ja) 2019-03-27 2020-01-15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613A true KR20210142613A (ko) 2021-11-25

Family

ID=7260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823A KR20210142613A (ko) 2019-03-27 2020-01-15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4712A1 (ko)
EP (1) EP3934349A4 (ko)
JP (1) JPWO2020195029A1 (ko)
KR (1) KR20210142613A (ko)
CN (1) CN113615284A (ko)
WO (1) WO2020195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1050A1 (ja) * 2021-02-26 2022-09-0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8447A (ja) 2016-11-09 2018-05-17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8157535A (ja) 2017-03-15 2018-10-04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0719B2 (en) * 2003-11-19 2015-12-08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access to a medium by a multi-channel device
FI20115043A0 (fi) * 2011-01-17 2011-01-17 Nokia Corp Lähetysresurssien varaaminen
WO2015023143A1 (ko) * 2013-08-14 2015-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6083608B2 (ja) * 2013-12-06 2017-02-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統合端末装置、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無線通信方法
US10080240B2 (en) * 2014-02-18 2018-09-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EP3125598A4 (en) * 2014-03-26 2017-11-22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JP6893341B2 (ja) * 2017-03-29 2021-06-23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834781B2 (en) * 2018-09-21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losed loop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multiuser request to send and clear to send handshaking in an advanced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8447A (ja) 2016-11-09 2018-05-17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8157535A (ja) 2017-03-15 2018-10-04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4349A1 (en) 2022-01-05
CN113615284A (zh) 2021-11-05
US20220124712A1 (en) 2022-04-21
JPWO2020195029A1 (ko) 2020-10-01
EP3934349A4 (en) 2022-05-25
WO2020195029A1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965B1 (ko) 데이터 프레임 처리 방법 및 수신기
US9515717B2 (en) Coexistent channel access method
US1032148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649773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US20220159718A1 (en) Multi-link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high priority/low latency services
US1051647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10043501A (ko) 고용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KR102301254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화된 복수의 채널을 기반으로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단말
JP2016213760A (ja) 無線通信用集積回路
US2022012487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6080408A1 (j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210142613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82039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number of spatial streams to be used for transmission based on probing of channels
JPWO2020174823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22018288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16478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AU2022253085B2 (en)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6080410A1 (ja) 無線通信用集積回路
US2021023544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on basis of plurality of channels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