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579A -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579A
KR20210142579A KR1020210159989A KR20210159989A KR20210142579A KR 20210142579 A KR20210142579 A KR 20210142579A KR 1020210159989 A KR1020210159989 A KR 1020210159989A KR 20210159989 A KR20210159989 A KR 20210159989A KR 20210142579 A KR20210142579 A KR 2021014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ner case
outer case
vacuum spac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925B1 (ko
Inventor
정원영
지성
이명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9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579A/ko
Priority to KR1020220179380A priority patent/KR20230002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는 한편, 외부 용적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내부 케이스와;상기 내부 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 케이스와;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본 발명은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 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부를 형성하여 냉장고의 단열기능을 제고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싸이클을 이용하여 저장실의 온도를 영상 또는 영하의 온도로 형성하여, 저장물을 냉장보관 또는 냉동보관할 수 있는 전기제품이다.
냉장고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면,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본체의 경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단열재에 의하여 외부 온도에 의하여 저장공간 내의 온도가 영향받는 것이 억제된다.
다만,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가 어느정도 확보되어야 하고, 이는 그만큼 단열재가 두꺼워지는 것을 의미하며, 자연적으로 내부 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의 벽 두께가 두꺼워져서 냉장고의 크기가 그만큼 커지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냉장고의 컴팩트화 경향이 대두되어, 내부 저장공간의 용적은 크게하면서도 외부 크기는 종전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는 한편, 외부 용적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내부 케이스와;상기 내부 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 케이스와;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이격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의 돌출높이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면에 마련되는 내측 보강리브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면에 마련되는 외측 보강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보강리브와 상기 외측 보강리브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 보강리브와 상기 외측 보강리브는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보강리브 또는 상기 외측 보강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호 교차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보강리브와;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보강리브와 상호 교차되는 제2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마련되며,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포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밍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제1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상기 포밍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에 형성되는 내부 포밍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외부 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마련되고, 상기 포밍부가 배치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을 둘러싸며 연결되는 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을 지지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을 따라서 연결되는 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밍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1포밍부와;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2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복사 또는 가스에 의한 열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전달 현상을 방지하는 다공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 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기 위한 게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통상의 단열재가 아닌 진공공간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진공공간부에 의하여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간의 열 전달이 억제되는 단열작용이 이루어진다.
진공 상태의 단열효과가 통상적인 단열재에 의한 진공효과보다 현저하게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종전의 냉장고보다 단열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진공공간부의 경우, 그 두께(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간의 간격)에 무관하게 진공 상태만 유지되면 단열이 되나, 통상의 단열재의 경우,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고, 이러한 두께의 증가는 곧 냉장고의 크기의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종래의 냉장고와 비교하여, 그 저장공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외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냉장고의 컴팩트화에 기여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에 형성되는 진공공간부의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에 장착되는 보강프레임의 전체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에 장착되는 보강프레임의 전체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보강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마련되는 진공공간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마련되는 진공공간부 및 진공공간부에 채워진 다공성 물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성 물질의 공극 또는 포어(pore)의 크기에 따른 단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도어(4)와, 상기 본체(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도어(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어(4)는 저장실 중 냉장실을 개폐하고, 제2도어(5)는 저장실 중 냉동실을 개폐하는 기능을 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상기 본체(1)의 구조를 보면, 그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111)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110)와, 상기 내부케이스(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외부케이스(12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내부케이스(11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는 별도의 단열재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단열작용을 한다.
즉,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내부 케이스(110) 사이에는 진공공간부(130)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20) 간의 열전달을 매개하는 매질이 제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120) 외부의 더운 공기의 영향이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온도에 변화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진공공간부(130)가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스페이서(spacer)역할을 하는 지지부(140)가 필요하며, 이러한 지지부(140)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면접하거나,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면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120) 내면에 배치되는 지지부(140)와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배치되는 지지부(140)의 위치는 상호 겹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는 상기 지지부(140)와 별도로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두께가 두껍지 않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뒤틀리거나, 또는 상기 진공공간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인출 작업시 상기 내부 케이스(110)나 외부케이스(120)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이나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보강리브(150)를 배치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리브(15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공공간부(130)에는 진공공간부(130)에 존재할 수 있는 기체를 포집할 수 있는 게터(getter)(160)가 마련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20) 또는 내부 케이스(110)의 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체에 의한 열전달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게터(160)는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천정이나 바닥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터(160)는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의 잔류 기체 분자를 흡착하거나 그것과 화합해서 고체 화합물을 만드는 작용이 강한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에서 만족할 만한 진공도를 얻기 위해서는 진공펌프 만으로는 기술적으로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게터(160)를 사용한다.
게터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고체 상태이면 흡착 작용이 강한 것을 접촉 게터라고 하고, 기체 상태이며 강한 화합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분산 게터라고 한다.
현재 사용되는 게터의 재질은 활성탄, 바륨, 마그네슘, 지르코늄, 붉은 인 등이다.
한편,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전방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전방 테두리를 연결하여 실링하는 전면 커버(170)에 의하여 차폐된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리브(150)와 상기 지지부(140)는 서로 겹치지 않게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3(a)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를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상기 외부 케이스(12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150)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전후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교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1방향(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리브(150)를 제1보강리브(151)라고 하고, 제2방향(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리브(150)를 제2보강리브(152)라고 하면, 상기 제1,2보강리브(151,152)는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며, 직교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보강리브(150)와 보강리브(150) 사이에 있는 표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배치되는 보강리브(150)를 외부 보강리브(150a)라고 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배치되는 보강리브(150)를 내부 보강리브(150b)라고 하는 경우,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a)와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b)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겹치지 않게 상호 이격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서로 겹쳐지거나 간섭되는 경우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두께를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내부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간의 겹침 또는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는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에서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특정한 지역에서 내부보강리브(150a)-외부보강리브(150b)-내부 보강리브(150a)-외부 보강리브(150b)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 또는 외부 케이스(120)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리브(150)가 일방향으로만 배치되어도 보강기능을 할 수 있으나, 교차되는 경우, 강도보강의 효과가 현저하게 크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는 보강리브(150)와 보강리브(150)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과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진공공간부(130)를 구성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20)간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4는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에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가 서로 겹치지 않게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및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의 돌출 길이 또는 돌출 높이는 상기 진공공간부(13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부 보강리브(150b)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가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에 상기 보강리브(150)의 접촉이 있는 경우, 그 부분으로 열전달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필요에 의하여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또는 내부 보강리브(150a)의 돌출길이 또는 돌출 높이를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게 함으로써,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폭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다만, 상기 지지부(140)를 통해서 상기 열전달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140)의 폭을 유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지지부(140)의 수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상기 보강리브(150)가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부에 하나의 방향으로만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150)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20)에 각각 상기 보강리브(150)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보강리브(150)가 상기 내부케이스(110)에만 마련되거나, 상기 외부 케이스(120)에만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보강리브(150) 중 내부 보강리브(150a)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벽 측면과 상면과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150) 중 외부 보강리브(150b)는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벽 측면과 내벽 상부,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보강리브(150)와 보강리브(15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도, 제1실시예와 같이, 어느 하나의 케이스(110, 120)에 형성되는 보강리브(150)는 다른 케이스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40)의 돌출 높이 또는 길이 보다 상기 보강리브(150)의 돌출길이 또는 돌출높이가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모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내부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보강리브(150b)는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되거나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상기 외부케이스(210)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제1,2실시예에 나타난 보강리브(150) 대신, 포밍부(250)가 마련된다.
상기 포밍부(250)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표면과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표면에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10) 및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표면을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케이스(210)에 형성되는 포밍부(250)를 내부 포빙부(250a)라고 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20)에 형성되는 포밍부(250)를 외부 포밍부(250b)로 정의하겠다.
상기 내부 포밍부(250a)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양측면과, 상면, 하면, 후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다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포밍부(250b)도 상기 외부 케이스(220)의 양측면과, 상면, 하면, 후면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실시예에서 보강리브(150)의 돌출높이 또는 길이가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진공공간부(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것 처럼, 상기 포밍부(250)의 돌출된 정도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진공공간부(2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밍부(250)를 통한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상기외부케이스(220)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외면 또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면에도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외부케이스(220) 사이의 진공공간부(230)의 간격 또는 폭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2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40)는 상기 포밍부(250)의 주위에 마련되는 평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와 외부 보강리브(150b)가 상호 접촉하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한 것 처럼, 상기 내부 포밍부(250a)와 상기 외부 포밍부(250b)도 상호 접촉하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내부 포밍부(250a)와 상기 외부 포밍부(250b)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진공공간부(230)의 폭을 최소화 하여 냉장고의 컴팩트 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7와 도8에서 나타난 상기 포밍부(250)는 제1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포밍부(251)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 또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포밍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포밍부(251)와 제2포밍부(252)를 교차하게 배치하는 것은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강도 보강이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포밍부(251)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포밍부(252)도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포밍부(251)와 상기 제2포밍부(252)가 상호 교차되게 마련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강도가 보강되면, 별도의 강도 보강을 위한 부재가 불필요할 것이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60은 게터이고, 270은 상기 진공공간부(230)의 전방을 차폐하여 상기 진공공간부(230)를 밀폐하는 전방커버이다.
한편, 제4실시예와 관련된 도9내지 도10에서도 포밍부(350)가 형성되는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역시 내부케이스(310)와 상기 내부케이스(310)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320)로 나뉜다.
상기 내부케이스(310)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는 상기 내부케이스(310)와 상기 외부케이스(320)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부(340)가 마련된다.
다만, 도7과 도8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포밍부(350)가 특정방향으로, 구체적으로는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었다는 점이다. 다만, 상기 포밍부(350)는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도, 포밍부(350) 중에서 상기 외부케이스(320)에 형성되는 것은 외부 포밍부(320), 상기 내부 케이스(310)에 형성되는 것은 내부 포밍부(350a)라고 하겠다.
본 실시예서 중요한 점은 상기 포밍부(350)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 중 어느 한 쪽을 향해서만 배치되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상기 포밍부(350)를 어느 한 방향으로만 배치하는 것의 장점은, 도7내지도8의 경우보다 케이스 형성을 위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만, 상기 포밍부(350)가 어느 한 방향으로만 배치되는 경우, 시간이나 비용적으로 도 7내지 도8의 경우보다 우월한 지위에 있으나, 강도 보강이라는 측면에서는 뒤쳐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강도 보강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과 도12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 프레임(380)을 도시하였다.
상기 보강프레임(380) 중 상기 내부 케이스(310)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380)을 내부 보강프레임(380a)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320)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380)을 외부 보강프레임(380b)이라고 정의한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보강프레임(380a)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을 둘러싸는 띠 또는 링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보강프레임(380a)의 배치방향은 상기 내부 포밍부(350a)의 배치방향과 교차되게 함으로써, 상기 내부포밍부(350a)가 커버하지 못하는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한다.
본 도면에서처럼, 상기 내부 포밍부(350a)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서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양 측면에 대해서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310) 표면에 상기 내부 포밍부(350a)에 의한 돌출부(P)와 리세스(R) 부가 형성되면, 상기 내부 보강부재(380a)는 상기 돌출부(P)와 상기 리세스 부(R)의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내부 포밍부(350a)에 의하여 돌출된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은 그 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 포밍부(350a)와 내부 포밍부(350a)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 부에 접촉하는 부분은 외부로 돌출된 부분 보다는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외부 보강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보강프레임(380b)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는 띠 또는 링 형태(폐루프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보강프레임(380b)의 배치방향은 상기 외부 포밍부(350b)의 배치방향과 교차되게 함으로써, 상기 외부포밍부(350b)가 커버하지 못하는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변형을 방지한다.
본 도면에서처럼, 상기 외부 포밍부(350b)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부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서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양 측면에 대해서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320) 표면에 상기 외부 포밍부(350b)에 의한 돌출부(P)와 리세스 부(R)가 형성되면, 상기 외부 보강프레임(380b)는 상기 돌출부(P)와 상기 리세스 부(R)의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외부 포밍부(350b)에 의하여 돌출된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은 그 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 포밍부(350b)와 외부 포밍부(350b)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 부에 접촉하는 부분은 외부로 돌출된 부분 보다는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도13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부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보강 프레임(380) 중 하나인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단면은 "I" 자 형태, 또는 "I"자가 옆으로 누운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부(385)와 하부(386)의 폭이 이들을 잇는 중간부(387)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단면을 형성한 이유는 재료를 절약하면서도 그 상하 폭이 동일한 경우보다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단면 형태는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4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가 결합된 경우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높이와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의 높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공간부(330)의 높이 또는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 간의 열전달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에는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이 배치되되, 상기 내부 보강프레임(380a)의 상단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이 배치되되,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의 하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340)가 마련되어 상기 진공공간부(330)의 변형을 방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외부케이스(320)의 내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공간부(330)의 형상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340)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보스 또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14에서는 상기 지지부(340)가 상기 내부 케이스(310)를 둘러싸는 벨트 또는 띠 형태의 베이스부(341)와, 상기 베이스부(341)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342)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42)는 상기 베이스 부(341)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지지부(340)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324)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과 접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4에서,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과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 그리고 상기 지지부(340)를 제외한 공간은 텅 빈 공간으로서 진공공간부(330)를 형성하게 된다.
도15는 도14에서 나타난 상기 진공공간부(330)를 채우기 위한 다공성 물질(40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330)는 이상적으로 진공형태를 지향하여, 공기와 기타 잔류 가스를 제거하여 열전달량을 0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가스 함유를 배제하기 어렵다.
이러한 가스로 인하여 약간의 열전달이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330) 내부에 소정의 크기의 공극 또는 포어(pore)(401)를 갖는 단열 물질로 구성되는 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상기 공극 또는 포어(401)는 가스 입자가 움직일 수 있는 활동공간이 될 수 있는데,작은 지름의 공극 또는 포어를 갖는 상기 단열 물질(400)은 열전달의 매개가 되는 가스 입자의 이동을 제한하여 열전달을 억제한다.
어쨌거나, 상기 진공공간부(330)가 단열작용의 메인이 되고, 상기 공극(401)을 갖는 부재에 의한 단열은 보조적 것이라는 점에서 종래의 단열재 또는 진공단열재와는 차이가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400) 내부에 형성되는 공극 또는 포어(401)의 지름(D)은, 작으면 작을수록 효과적이다.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압력(A선)에서도 상기 공극 또는 포어의 지름이 작으면 작을수록, 열전달이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7은 도11 및 도12에서 나타난 내부 케이스(310)와 외부 케이스(320), 그리고 내부 보강 프레임(380a)과, 외부 보강프레임(380b), 상기 지지부(340)의 결합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조립자가 상기 내부 포밍부(350a)가 마련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를 상기 외부 포밍부(350b)가 마련되는 외부 케이스(320)에 넣는다.
이때,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후방은 막혀있고, 전방만 개방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전방과 후방은 모두 개방되어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후방이 개방되어 있는 이유는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과, 외부 보강프레임(380b), 그리고 상기 지지부(340)를 개방된 후방을 통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 사이에 넣기 위함이다.
상기 내부 케이스(310)가 외부 케이스(320)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외부 케이스(320) 사이는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이 이격공간이 나중에 진공공간부(330)가 된다.
다만, 이격공간을 유지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기 이격공간 내부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340) 중 하나의 지지부를 삽입하여 배치한다( (1) 단계 ).
상기 지지부(340)의 배치로 인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케이스 (320)간의 간격이 유지된다.
상기 지지부(340)의 배치가 완료되면, 복수의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 중 하나를 이격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에 배치하되, 상기 지지부(340)와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2) 단계 ).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과 이격되어야 한다.
그 후, 복수의 외부 보강 프레임(380b) 중 하나를 이격 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 배치하되,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과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3) 단계).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과 이격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1)-(2)-(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다만, 상기 (1)-(2)-(3) 단계 수행시, 상기 지지부(340),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의 배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1)-(2)-(3) 단계 수행시, 도15에서 설명하였던 다공성 물질(400)을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부(340),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의 교번적인 배치가 완료되면, 개방된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후방을 후방 커버(321)를 이용하여 덮는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외부 케이스(320)간의 전방 테두리는 전방 커버(370)를 이용하여 덮어서 상기 이격공간이 밀폐 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이격공간에 대하여 공기 빼기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이격공간이 진공공간부(330)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 사이에 진공공간부(330)가 형성되면, 어떠한 단열재보다 현저하게 효과적인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열재의 경우, 그 두께가 두꺼워져야 효과적인 단열을 수행할 수 있으나, 진공단열의 경우, 진공층의 두께와 무관하게 단열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단열층을 가진 냉장고를 제작할 수 있다.
110,210,310: 내부 케이스 120,220,320: 외부케이스
130,230,330: 진공공간부 140,240,340: 지지부
150: 보강리브 250, 250: 포밍부
350: 보강 프레임

Claims (19)

  1.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이격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를 단열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공간부;
    외부 충격에 뒤틀리거나 또는 상기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인출 작업시 상기 내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케이스의 변형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의 표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화학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스에 의한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 공간부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도록 상기 진공 공간부 내부에 제공되는 게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제공되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코너를 향하여 연장되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코너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보강리브, 포밍부, 및 보강프레임 중의 적어도 하나로 정의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코너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연장방향이 다른 두 면이 만나는 부분으로 정의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코너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연장방향이 다른 두 면이 만나는 부분으로 정의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 1 코너로부터, 상기 제 1 에지와 이격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 2 코너로 연장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거나,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 긴,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냉장고.
  7.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이격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를 단열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공간부;
    외부 충격에 뒤틀리거나 또는 상기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인출 작업시 상기 내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케이스의 변형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의 표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화학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스에 의한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 공간부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도록 상기 진공 공간부 내부에 제공되는 게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형성되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테두리를 향하여 연장되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어느 일 면이,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른 일면과 만나지 않는 테두리를 가지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어느 일 면이,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른 일면과 만나지 않는 테두리를 가지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방 테두리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방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방 테두리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방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 1 에지로부터, 상기 제 1 에지와 이격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 2 에지로 연장되는 냉장고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거나,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 긴,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냉장고.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방 테두리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방 테두리를 덮어서 상기 진공공간부를 밀폐하는 전방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진공 공간부를 밀봉하기 전에,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 공간부 안에 놓이거나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는 냉장고.
  15.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이격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를 단열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공간부;
    외부 충격에 뒤틀리거나 또는 상기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인출 작업시 상기 내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케이스의 변형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의 표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화학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스에 의한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 공간부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도록 상기 진공 공간부 내부에 제공되는 게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표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표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밴드(band)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밴드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표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표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밴드는 적어도 두개의 코너를 가지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표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표면을 에워싸는 링(ring)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표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표면을 지지하는 링 형상으로 배치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제 1 코너로부터, 상기 제 1 코너와 이격하는, 상기 외부 케이스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제 2 코너로 연장되거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제 1 코너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에지로 연장되는 냉장고.
  17.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이격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를 단열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공간부;
    외부 충격에 뒤틀리거나 또는 상기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인출 작업시 상기 내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케이스의 변형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의 표면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화학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스에 의한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 공간부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도록 상기 진공 공간부 내부에 제공되는 게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의 표면 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의 표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부분을 가지지만, 상기 외부 케이스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외부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지만, 상기 내부 케이스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부케이스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부케이스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159989A 2020-12-24 2021-11-19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480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989A KR102480925B1 (ko) 2020-12-24 2021-11-19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220179380A KR20230002231A (ko) 2020-12-24 2022-12-20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19A KR102330498B1 (ko) 2019-12-09 2020-12-24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210159989A KR102480925B1 (ko) 2020-12-24 2021-11-19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19A Division KR102330498B1 (ko) 2019-12-09 2020-12-24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380A Division KR20230002231A (ko) 2020-12-24 2022-12-20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579A true KR20210142579A (ko) 2021-11-25
KR102480925B1 KR102480925B1 (ko) 2022-12-23

Family

ID=7414091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19A KR102330498B1 (ko) 2019-12-09 2020-12-24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210159989A KR102480925B1 (ko) 2020-12-24 2021-11-19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220179380A KR20230002231A (ko) 2020-12-24 2022-12-20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19A KR102330498B1 (ko) 2019-12-09 2020-12-24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380A KR20230002231A (ko) 2020-12-24 2022-12-20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304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8707A (en) * 1924-07-23 1926-06-15 Csiga Alexander Vacuum ice chest
EP0071090A1 (en) * 1981-07-16 1983-02-09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Thermal insulating system for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lative realization process
JP2007017053A (ja) *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EP2133643A2 (en) * 2008-06-13 2009-12-16 Karton S.p.A.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l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8707A (en) * 1924-07-23 1926-06-15 Csiga Alexander Vacuum ice chest
EP0071090A1 (en) * 1981-07-16 1983-02-09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Thermal insulating system for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lative realization process
JP2007017053A (ja) *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EP2133643A2 (en) * 2008-06-13 2009-12-16 Karton S.p.A.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l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10A (ko) 2021-01-05
KR102330498B1 (ko) 2021-11-24
KR20230002231A (ko) 2023-01-05
KR102480925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487B1 (ko)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227516B1 (ko)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565420B1 (ko)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48530A (ko)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330498B1 (ko)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197472B1 (ko)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56745B1 (ko)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98494B1 (ko)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12204327B (zh) 冷却装置的隔热结构及冷却装置
JP2013053819A (ja) 冷蔵庫
CN111503961B (zh) 冰箱及真空隔热板
JP2009257715A (ja) 冷蔵庫及び真空断熱材
KR20220059252A (ko)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