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479A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479A
KR20210142479A KR1020200059358A KR20200059358A KR20210142479A KR 20210142479 A KR20210142479 A KR 20210142479A KR 1020200059358 A KR1020200059358 A KR 1020200059358A KR 20200059358 A KR20200059358 A KR 20200059358A KR 20210142479 A KR20210142479 A KR 20210142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disposed
displa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479A/ko
Publication of KR2021014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되어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고, 커버부와 별도로 동작하고,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측에 인접한 제1영역에 차량 정보를 표시하며, 내측에 인접한 제2영역에서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컴바이너부를 포함하되, 경고 정보는 햅틱 및 점등 중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해 복수의 신호가 좌우로부터 출력되되, 출력 방향이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단일 초점에서 출력 신호가 집중되고 증폭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바이너 부위에 햅틱 및/또는 점등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전면창에 다양한 차량 정보를 가상 이미지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차량 운전 중 전방을 계속 주시하면서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컴바이너 타입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 내부에 컴바이너가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시 전개되어 차량 정보를 표시한다. (특허문헌 0001 참조)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시야는 눈동자를 중심으로 3 내지 5°가 주 시계, 5 내지 20°까지 양호 시계, 20 내지 60°까지를 경계 시계로 간주한다. 또한, 두 눈으로 색채까지 확인할 수 있는 범위는 좌우 ±35° 범위 수준이다. 일반 클러스터 계기판에 비해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용이하게 인지되긴 하지만, 안전과 관련된 알림(예를 들어, 주차 시 차량 주변의 장애물 인지, 주행 시 차선 이탈, 전방 추돌 등)은 운전자가 계기판이나 클러스터를 주시하지 않고 있더라도 인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핸들, 가속 페달, 브레이크 페달 또는 좌석이 진동하여 운전자의 주위를 환기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특허문헌 0002, 0003 참조) 핸들의 경우, 정보가 전달되는 형태가 제한적이며, 좌석이 진동하는 경우 좌석의 좌우측이 개별적으로 혹은 동시에 진동함으로써 방향을 알려주는 등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듈은 클러스터나 컴바이너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실장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88561호 (2009.08.20) 한국 실용신안 제0354887호 (2004.06.2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108984호 (2008.12.16)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바이너의 주 표시 부위 하단에 햅틱 및/또는 점등을 이용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관한 것으로서, 비 시각적인 수단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발생한 안전 상황을 운전자가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컴바이너 타입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되어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고, 커버부와 별도로 동작하고,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측에 인접한 제1영역에 차량 정보를 표시하며, 내측에 인접한 제2영역에서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컴바이너부를 포함하되, 경고 정보는 햅틱 및 점등 중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해 복수의 신호가 좌우로부터 출력되되, 출력 방향이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단일 초점에서 출력 신호가 집중되고 증폭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바이너부는, 구동부에 장착되는 받침부; 받침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앙 하단 부위에 배치되는 표시결합부를 통해 받침부와 핀결합되며, 차량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제1영역을 제공하는 표시부; 받침부와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되고, 표시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후방덮개부; 받침부와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되고, 표시부의 내측을 커버하며, 좌우 대칭축의 좌우에 형성되는 전방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방덮개부;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표시부에 걸려 회전되면서 표시부를 구속하는 래치부; 및 제2영역에 배치되고,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고 출력 모듈은, 전방덮개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PCB; 전방덮개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PCB; 제1PCB의 일측과 제2PCB의 일측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 제1PCB의 타측 및 제2PCB의 타측을 전방덮개부에 각각 연결하고, 연신 및 굽힘이 허용되는 유연 힌지; 일단이 중앙 힌지와 연결되고 타단이 표시결합부와 연결되어 중앙 힌지와 표시결합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및 제1 및 제2PCB 상에 배치되고, 전방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 및 복수의 점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햅틱 모듈 및 복수의 점등 모듈은 전방덮개부의 좌우측 방향으로 제1 및 제2PCB 상에 번갈아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솔레노이드가 중앙 힌지를 당기면 제1 및 제2PCB는 소정의 둔각을 가지도록 접혀, 제1 및 제2PCB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햅틱 모듈에서 출력되는 햅틱 신호는 소정의 거리에서 만나 단일 초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솔레노이드는, 차량이 전방 차량과의 추돌이 우려된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중앙 힌지를 당기도록 동작하여, 제1 및 제2PCB를 접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전자의 의도가 차량에 입력됨이 없이 차량이 주행 차선을 벗어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침범한 차선 방향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복수의 햅틱 및 점등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출력 신호를 침범한 차선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솔레노이드는 운전자의 좌석 위치를 참조하여 단일 초점 위치를 형성하되, 단일 초점 위치는 운전자에 맞춰지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고 출력 모듈은, 전방덮개부에 배치되는 제3PCB; 및 제3PCB 상에 전방덮개부의 좌우 대칭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을 포함하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 각각의 햅틱 신호는 소정의 거리에서 각각 좌측 초점 및 우측 초점을 형성하도록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측 초점 및 우측 초점은 동일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전자의 의도가 차량에 입력됨이 없이 차량이 주행 차선을 벗어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침범한 차선 방향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 중 침범한 차선 방향의 복수의 햅틱 모듈에서 출력 신호를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되어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고, 커버부와 별도로 동작하고,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측에 인접한 제1영역에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컴바이너부를 포함하되, 하우징부의 외측이고 운전자를 향한 방향에 배치되고, 햅틱 신호로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고 출력 모듈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전자의 의도가 차량에 입력됨이 없이 차량이 주행 차선을 벗어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침범한 차선 방향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복수의 햅틱 모듈이 출력 신호를 침범한 차선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동 신호와 같은 햅틱 신호를 포함하는 비 시각적인 수단을 통해 발생한 안전 상황 및 발생 방향을 고려하여 구조가 가변되는 경고 신호 출력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안전 관련 경보를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을 나타내는 영역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받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방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후방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의 중앙힌지 부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의 일반모드/집중모드 가변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모드에서의 경고 출력 모듈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집중모드에서의 경고 출력 모듈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의 일반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의 집중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면 배치 햅틱 모듈을 포함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 후방 장착형 경고 출력 모듈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부(3)와, 커버부(4)와, 구동부(5)와, 컴바이너부(6)를 포함한다. 컴바이너부(6)는 제1영역(63)에 차량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20) 및 제2영역(64)에서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경고 출력 모듈(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부(3)는 차량에 장착된다. 일 예로, 하우징부(3)는 운전석 전방에 형성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4)는 하우징부(3)의 입구를 커버한다. 일 예로, 커버부(4)는 시동이 켜지면 하우징부(3)의 입구를 개방하고, 시동이 꺼지면 하우징부(10)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구동부(5)는 하우징부(3)에 장착되고, 컴바이너부(6)를 구동시킨다. 일 예로, 구동부(5)는 주행 중일 때 하우징부(3)에 내장된 컴바이너부(6)를 하우징부(3)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컴바이너부(6)는 구동부(5)에 결합되어 커버부(4)와 별도로 동작하며, 하우징부(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영역(63)에서 차량 정보를 표시한다. 제1영역(63)에 인접하여 그 하단에는 제2영역(64)을 포함한다. 제2영역(64)에는 복수의 햅틱 모듈(71) 및/또는 점등 모듈(72)을 포함하는 경고 출력 모듈(7)이 배치된다. 햅틱 모듈(7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예컨대 진동 신호일 수 있다.
컴바이너부(6)는 복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컴바이너부(6)는 교체 가능하다. 일 예로,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0) 부분이 손상된 경우 또는 경고 출력 모듈(7)에 이상이 있는 경우 컴바이너부(6)를 탈착하여 고장 부분을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을 나타내는 영역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컴바이너부(6)는 하우징부(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영역(63)에서 차량 정보를 표시한다. 제1영역(63)에 인접하여 그 하단은 제2영역(64)으로 정의한다. 제2영역(64)에는 복수의 햅틱 모듈(71) 및/또는 점등 모듈(72)을 포함하는 경고 출력 모듈(7)이 배치된다. 복수의 햅틱 모듈(71) 및/또는 점등 모듈(72)은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방향이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부(6)는 수직방향으로 조립되며, 받침부(10), 표시부(20), 후방덮개부(30), 전방덮개부(40), 래치부(50) 및 경고 출력 모듈(7)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1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20)는 표시창부(21)와, 표시연장부(22)와, 표시결합부(23)와, 표시조립부(24)를 포함한다.
차량 정보가 표시되는 제1영역(63)은 표시창부(21)에 배치된다. 경고 출력 모듈이 배치되는 제2영역(64)은 표시결합부(23)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표시연장부(22)는 표시창부(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후방덮개부(30)가 삽입된다. 일 예로, 표시연장부(22)는 표시창부(21)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표시연장부(22)의 외측에는 표시연장홈부(221)가 형성되어 후방덮개부(30)를 안내할 수 있다.
표시결합부(23)는 표시연장부(22)에서 꺾인 형태로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받침부(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받침부(10)와 결합된다. 표시결합부(23)는 결합판부(231)와, 결합홀부(232)를 포함한다.
결합판부(231)는 받침부(10)에 안착된다. 일 예로, 결합판부(231)는 표시연장부(2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받침판부(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홀부(232)는 결합판부(231)에 형성되고, 받침부(10)가 관통된다. 일 예로 3개의 받침핀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부(232)가 형성되어 받침핀부(12)가 관통될 수 있다.
표시조립부(24)는 표시결합부(23)에 형성되고, 래치부(50)에 구속된다. 일 예로, 표시조립부(24)는 결합판부(231)의 양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판부(231)의 양단부는 래치부(50)와 걸려 래치부(50)의 회전을 유도하고, 회전된 래치부(50)는 하방 이동된 표시조립부(24)의 상측을 압박하여 표시부(20)를 구속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받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부(10)는 받침판부(11)와, 받침핀부(12)와, 받침중앙부(14)와, 받침사이드부(15)와, 받침축부(16)를 포함한다.
받침판부(11)는 구동부(5)와 연결된다. 일 예로, 받침판부(11)는 하우징부(3)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판베이스부(111)와, 판베이스부(111)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판측지지부(112)와, 판측지지부(112)에 형성되고 구동부(5)와 연결되는 판측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핀부(12)는 받침판부(11)에 형성되고, 표시부(20)를 관통하여 전방덮개부(40)에 삽입된다. 일 예로, 받침핀부(12)는 받침베이스부(111)에 3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받침중앙부(14)는 받침판부(11)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후방덮개부(30)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된다. 일 예로, 받침중앙부(14)는 받침판부(11)의 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중앙부(14)는 중앙가이드부(141)와 중앙후크부(142)를 포함한다. 중앙가이드부(141)는 받침판부(11)에 형성되고, 후방덮개부(30)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중앙가이드부(141)는 후방덮개부(3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중앙후크부(142)는 받침판부(11)에 형성되고, 후방덮개부(30) 방향으로 돌출되어 후방덮개부(30)에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한 쌍의 중앙후크부(142) 사이에 중앙가이드부(141)가 배치될 수 있다.
받침사이드부(15)는 받침판부(11)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후방덮개부(30)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된다. 일 예로, 받침사이드부(15)는 받침판부(11)의 양단부에서 후방덮개부(30)를 지지하면서 후방덮개부(30)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받침사이드부(15)는 사이드몸체부(151)와, 사이드삽입부(152)와, 사이드걸림부(153)를 포함한다.
사이드몸체부(151)는 받침판부(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일 예로 사이드몸체부(151)는 받침판부(11)에서 돌출되고, 단부가 후방덮개부(30)와 면접촉되어 후방덮개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삽입부(152)는 사이드몸체부(151)에 형성되고, 후방덮개부(30)가 삽입된다. 일 예로, 사이드삽입부(152)는 후방덮개부(30)가 삽입되어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홈이 될 수 있다.
사이드걸림부(153)는 사이드몸체부(151)에 형성되고, 후방덮개부(30)가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사이드걸림부(153)는 사이드몸체부(15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홀이 될 수 있다.
받침축부(16)는 받침사이드부(15)에 형성되고, 래치부(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받침축부(16)는 사이드몸체부(151)의 측면에서 돌출되고 원기둥 형상을 갖는 축돌기부(161)와, 축돌기부(161)에서 연장되고 축돌기부(161) 보다 직경이 작은 축삽입부(62)와, 축삽입부(62)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축홈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래치부(50)는 축삽입부(62)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받침부(10)는 구동부(5)에 장착되어 구동되고, 표시부(20)는 받침부(10)의 수직선상에서 하방 이동되어 받침부(10)와 핀결합되어 차량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후방덮개부(30)는 받침부(10)와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되고, 표시부(20)의 외측을 커버한다. 그리고, 전방덮개부(40)는 받침부(10)와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되고, 표시부(20)의 내측을 커버한다. 래치부(50)는 받침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표시부(20)에 걸려 회전되면서 표시부(20)를 구속한다. 이러한 표시부(20)는 래치부(50)의 구속이 해제되면 교체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부(5)에 장착된 받침부(10)는 표시부(20)가 수직방향으로 조립되고, 표시부(20)의 전후방에서 각각 후방덮개부(30)와 전방덮개부(40)가 조립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전방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방덮개부(40)는 전덮개판부(41), 전덮개삽입부(42), 전덮개후크부(43), 전덮개압박부(44) 및 전방개구부(45)를 포함한다.
전덮개판부(41)는 표시부(20)의 내측을 커버한다. 일 예로, 전덮개판부(41)는 사이드몸체부(151)의 곡면에 안착되면서 받침부(10)와 표시부(20)의 결합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
전덮개삽입부(42)는 전덮개판부(41)에 형성되고, 받침부(10)가 삽입된다. 일 예로, 전덮개삽입부(42)는 전덮개판부(4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각각의 받침핀부(12)가 삽입될 수 있다.
전덮개후크부(43)는 전덮개판부(41)에 형성되고, 받침부(10)에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전덮개후크부(43)는 전덮개판부(4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받침판부(11)에 형성되는 받침판관통홀부(111)를 관통하여 받침판부(11)의 저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전덮개압박부(44)는 전덮개판부(41)에 형성되고, 래치부(50)를 구속한다. 일 예로, 전덮개압박부(44)는 전덮개판부(41)의 저면에 형성되고, 표시부(20)에 대한 구속이 완료된 래치부(50)에 안착되어 래치부(50)의 의도치 않은 잠금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전방개구부(45)는 경고 출력 모듈(7)의 복수의 햅틱 모듈(71) 및/또는 점등 모듈(72)의 출력 신호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 형태일 수 있다. 전방개구부(45)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긴 세장형일 수 있다. 전방 개구부(45)의 좌측 및 우측 말단에 인접한 전방덮개부(40) 위치에는 경고 출력 모듈(7)이 조립되기 위한 경고모듈조립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후방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덮개부(30)는 후덮개판부(31)와, 후덮개핀부(32)와, 후덮개후크부(33)와, 후덮개중앙부(34)를 포함한다.
후덮개판부(31)는 표시부(20)의 외측을 커버한다. 일 예로, 후덮개판부(31)는 표시부(20)의 외측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후덮개핀부(32)는 후덮개판부(31)에 형성되고, 받침부(10)를 관통한다. 일 예로, 후덮개핀부(32)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이드삽입부(152)에 삽입될 수 있다.
후덮개후크부(33)는 후덮개판부(31)에 형성되고, 받침부(10)의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후덮개후크부(33)는 후덮개판부(31)의 양단부에서 받침부(10) 방향으로 돌출되고, 사이드걸림부(15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후덮개중앙부(34)는 후덮개판부(31)에 형성되고, 받침부(10)의 중앙부와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후덮개중앙부(34)는 후덮개가이드부(341)와 후덮개걸림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덮개가이드부(341)는 한 쌍이 돌출되고, 중앙가이드부(141)는 이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후덮개걸림부(342)는 후덮개가이드부(341)의 양측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중앙후크부(142)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그 외 후방덮개부(30)는 후덮개돌기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덮개돌기부(35)는 후덮개판부(31)에 형성되고, 표시연장홈부(221)에 삽입되어 조립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의 중앙힌지 부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경고 장치 모듈(7)은 전방덮개부(40)의 좌우측 방향으로 제1 및 제2PCB(73, 74) 상에 번갈아 배열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71) 및/또는 복수의 점등 모듈(7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장치 모듈(7)은 제1PCB(73), 제2PCB(74), 중앙 힌지(75), 유연 힌지(76, 77), 솔레노이드(78), 복수의 햅틱 모듈(71) 및/또는 복수의 점등 모듈(7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PCB(73)는 전방덮개부(40)의 좌측에, 제2PCB(74)는 전방덮개부(40)의 우측에 배치된다.
중앙 힌지(75)는 제1PCB(73)의 일측과 제2PCB(74)의 일측을 연결하여 중앙 힌지(75)의 중앙힌지축(750)을 기준으로 제1PCB(73)와 제2PCB(74)가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연 힌지(76, 77)는 제1PCB(73)의 타측 및 제2PCB(74)의 타측을 전방덮개부(40)와 각각 연결하도록 경고모듈조립부(46)와 조립된다.
솔레노이드(78)는 일단이 중앙 힌지(75)와 연결되고 타단이 컴바이너부(6)의 표시결합부(23)와 연결되어 중앙 힌지(75)와 표시결합부(2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햅틱 모듈(71) 및/또는 복수의 점등 모듈(72)은 제1 및 제2PCB(73, 74) 상에 배치되고, 전방덮개부(40)에 형성된 전방개구부(45)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솔레노이드(78)와 중앙 힌지(75)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하는 솔레노이드축(780)과 수평 방향으로 핀 결합되는 요크(751)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단 구멍에 중앙힌지축(75)이 조립되는 형태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78)가 동작하여 후퇴되면 중앙 힌지(75)가 당겨지고, 유연 힌지(76, 77)가 늘어나고 굽혀짐으로써 제1PCB(73)와 제2PCB(74)는 소정의 둔각을 가지도록 굽혀질 수 있다.
요크(751)와 솔레노이드몸체(781) 사이에는 압축스프링(782)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스프링(782)는 제어 신호가 해제된 경우, 후퇴한 솔레노이드축(780)를 원위치 시켜 제1PCB(73)와 제2PCB(74)가 다시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PCB(73, 74)가 평면을 이루는 경우를 일반모드로, 제1 및 제2PCB(73, 74)가 둔각을 이루어 각각의 평면에 수직한 가상선이 예컨대 운전자의 위치에서 초점을 형성하는 경우를 집중모드로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컴바이너부(6)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판부(11)가 상방으로 바라보도록 위치시킨 다음, 받침판부(11)의 상방에서 표시부(20)를 수직 하방 이동시킨다. 이때, 받침핀부(12)가 표시부(20)를 관통하여 조립 위치를 보정하고, 받침체결부(13)가 표시부(20)에 걸림 고정된다.
받침판부(11)에 표시부(20)가 걸림 고정되면, 후방덮개부(30)를 표시부(20)에 장착한다. 이때, 후방덮개부(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후덮개후크부(33)가 사이드걸림부(153)에 걸림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판부(11)의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후크부(142)가 후덮개걸림부(342)에 걸림 고정된다.
받침부(10)와 후방덮개부(30)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표시부(20)의 표시결합부(23)에 솔레노이드몸체(781)을 조립하고 솔레노이드축(780)과 요크(751)를 핀 결합한 후 전방덮개부(40)를 받침부(10)에 결합한다. 이러한 전방덮개부(40)는 받침부(10)와 표시부(20) 간의 결합부위를 커버한다. 제1 및 제2PCB(73, 74), 중앙 힌지(75), 유연 힌지(76, 77), 중앙힌지축(750) 및 요크(751)은 전방덮개부(40)에 사전에 조립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의 일반모드/집중모드 가변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출력 모듈(7)은 기구적인 형태가 가변됨으로써, 발생한 안전 상황에 따라 구분되어 인지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경고 출력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햅틱 및/또는 점등 신호 각각의 출력 방향은 동일하게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위급한 상황에서는 경고 출력 모듈(7)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햅틱 및/또는 점등 신호는 좌측과 우측이 운전자 위치에서 모이도록 경고 출력 모듈(7)의 구조가 솔레노이드(78)의 동작에 의해 빠르게 변형된다. 복수의 햅틱 및/또는 점등 신호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출력되는 일반모드와 비교하여 좌우측 신호가 하나의 초점에서 모이도록 더 높은 세기로 출력되는 집중모드에서는 운전자가 신호를 더 잘 감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모드에서의 경고 출력 모듈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반모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출력 모듈(7) 내의 복수의 햅틱 및/또는 점등 모듈(71, 72)은 평면상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집중모드에서의 경고 출력 모듈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집중모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출력 모듈(7) 내의 복수의 햅틱 및/또는 점등 모듈(71, 72)은 둔각으로 접힌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배치된 복수의 햅틱 및/또는 점등 모듈(71, 72)의 중간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모듈들과 우측에 배치된 모듈들은 소정의 거리에서 초점을 형성하고 그 출력 신호가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운전자의 좌석 위치(전후 위치 및 등받이 각도 등)를 참조하여 초점 위치가 조정되도록 경고 출력 모듈(7)이 접히는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점 위치가 운전자에 근접하게 맞춰지도록 형성될 수 있어 집중모드에서 방출되는 경고 신호가 운전자가 인지하기 용이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전달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솔레노이드축(78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부(미도시)가 운전자의 좌석 위치에 대응하여 조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의 일반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모드 동작은, 우측 차선을 침범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좌측 차선을 침범한 경우에도 방향만 다를 뿐 마찬가지 방식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의도가 차량에 입력됨이 없이 차량이 주행 차선을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침범한 차선 방향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복수의 햅틱 및/또는 점등 모듈(71, 72)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출력 신호를 차량이 침범한 차선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차선에 차량이 가까워지는 정도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방향의 햅틱 신호 및/또는 점등 신호의 신호 주기를 점차 빠르게 하거나, 해당되는 방향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차선을 침범한 경우, 해당되는 방향의 PCB상의 모든 햅틱 모듈 및/또는 점등 모듈(71, 72)이 모두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고 출력 모듈의 집중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모드 동작은, 주로 전방추돌에 관련될 수 있다. 차량 속도 및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여러 단계의 전방 추돌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전방 추돌이 예상되는 경우 경고 출력 모듈(7)은 소정의 둔각을 가지도록 접힐 수 있고, 위험이 증가할수록 출력되는 모듈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신호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우측, 전방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햅틱 및/또는 점등 신호를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면 배치 햅틱 모듈을 포함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경고 출력 모듈은 전방덮개부(40)에 배치되는 제3PCB 및 제3PCB 상에 전방덮개부(40)의 좌우 대칭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71')을 포함하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71') 각각의 햅틱 신호는 소정의 거리에 단일 초점을 형성하도록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들(71')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되, 복수의 햅틱 모듈(71')이 운전자 위치에 중심점이 형성되는 구면 상에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좌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71')은 모두가 햅틱 신호를 출력하거나, 하나의 햅틱 모듈 만 신호를 출력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좌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71')의 초점과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71')의 초점은 운전자의 위치에서 동일한 지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운전자의 좌측 및 우측에 소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차선을 침범한 경우 좌측에 배치된 복수의 햅틱 모듈(71')이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신호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71')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침범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전방 추돌이 우려되는 경우, 좌우측에 배치된 복수의 햅틱 모듈(71')이 모두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동작하는 햅틱 모듈(71')의 개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더 많은 햅틱 모듈(71')이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상황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 후방 장착형 경고 출력 모듈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장치 모듈은 하우징부(3)의 외측이고 운전자를 향한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고 장치 모듈(7)은 햅틱 모듈(71) 만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신호로부터 출력되는 경고 신호는 예컨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후방에 입사되어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운전자에게 신호가 전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되어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고, 상기 커버부와 별도로 동작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측에 인접한 제1영역에 차량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내측에 인접한 제2영역에서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컴바이너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고 정보는 햅틱 및 점등 중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해 복수의 신호가 좌우로부터 출력되되, 출력 방향이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단일 초점에서 출력 신호가 집중되고 증폭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부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앙 하단 부위에 배치되는 표시결합부를 통해 상기 받침부와 핀결합되며, 차량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상기 제1영역을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받침부와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후방덮개부;
    상기 받침부와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표시부의 내측을 커버하며, 좌우 대칭축의 좌우에 형성되는 전방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방덮개부;
    상기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표시부에 걸려 회전되면서 상기 표시부를 구속하는 래치부; 및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전방덮개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PCB;
    상기 전방덮개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PCB;
    상기 제1PCB의 일측과 상기 제2PCB의 일측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
    상기 제1PCB의 타측 및 상기 제2PCB의 타측을 상기 전방덮개부에 각각 연결하고, 연신 및 굽힘이 허용되는 유연 힌지;
    일단이 상기 중앙 힌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표시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 힌지와 상기 표시결합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제1 및 제2PCB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 및 복수의 점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햅틱 모듈 및 복수의 점등 모듈은 상기 전방덮개부의 좌우측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PCB 상에 번갈아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가 상기 중앙 힌지를 당기면 상기 제1 및 제2PCB는 소정의 둔각을 가지도록 접혀, 상기 제1 및 제2PCB에 각각 배치된 상기 복수의 햅틱 모듈에서 출력되는 햅틱 신호는 소정의 거리에서 만나 상기 단일 초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차량이 전방 차량과의 추돌이 우려된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중앙 힌지를 당기도록 동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PCB를 접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의도가 차량에 입력됨이 없이 상기 차량이 주행 차선을 벗어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침범한 차선 방향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복수의 햅틱 및 점등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출력 신호를 상기 침범한 차선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운전자의 좌석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단일 초점 위치를 형성하되, 상기 단일 초점 위치는 상기 운전자에 맞춰지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전방덮개부에 배치되는 제3PCB; 및
    상기 제3PCB 상에 상기 전방덮개부의 좌우 대칭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을 포함하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 각각의 햅틱 신호는 소정의 거리에서 각각 좌측 초점 및 우측 초점을 형성하도록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초점 및 상기 우측 초점은 동일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의도가 차량에 입력됨이 없이 상기 차량이 주행 차선을 벗어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침범한 차선 방향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햅틱 모듈 중 상기 침범한 차선 방향의 상기 복수의 햅틱 모듈에서 출력 신호를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2.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되어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고, 상기 커버부와 별도로 동작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측에 인접한 제1영역에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컴바이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이고 운전자를 향한 방향에 배치되고, 햅틱 신호로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햅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의도가 차량에 입력됨이 없이 상기 차량이 주행 차선을 벗어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침범한 차선 방향을 상기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복수의 햅틱 모듈이 출력 신호를 상기 침범한 차선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59358A 2020-05-18 2020-05-1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42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58A KR20210142479A (ko) 2020-05-18 2020-05-1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58A KR20210142479A (ko) 2020-05-18 2020-05-1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479A true KR20210142479A (ko) 2021-11-25

Family

ID=7874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358A KR20210142479A (ko) 2020-05-18 2020-05-18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247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887Y1 (ko) 2004-04-14 2004-07-05 황성 자동차핸들의 진동을 이용한 경고 장치
KR20080108984A (ko) 2006-02-23 2008-12-1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운전자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 시스템
KR20090088561A (ko) 2008-02-15 200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887Y1 (ko) 2004-04-14 2004-07-05 황성 자동차핸들의 진동을 이용한 경고 장치
KR20080108984A (ko) 2006-02-23 2008-12-1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운전자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 시스템
KR20090088561A (ko) 2008-02-15 200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7344A1 (en) Occupant detection device
US7847678B2 (en) Vehicle surroundings information output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vehicle surroundings information
US201903518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a truck driver
WO2012164729A1 (ja) 車両用視界支援装置
US20040004541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dead zone related to a front pillar of a vehicle
JP2018122619A (ja) 表示装置、移動体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方法。
CN108973928B (zh) 车辆用警示装置
JP2017013784A (ja) 商用車等の車載表示システム
JP5329855B2 (ja) 自動車の視覚支援モジュール
JP2012148668A (ja) デフロスタ吹出口
JP6585662B2 (ja) 車両ルーフ搭載システム
JP6804805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8477025B2 (en) Vehicle with warning device
KR20210142479A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10949688B2 (en) Monitoring system for person in a vehicle
KR20060088988A (ko) 후방 카메라 및 광원을 이용한 거리 인식 방법
JP2014106635A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
WO2022033336A1 (zh) 车辆
CN103425962A (zh) 车辆用脸部认证装置及方法
US20210340732A1 (en) Work machine
JP2006273002A (ja) 車両用監視装置
JP6132822B2 (ja) 車載器
WO2020149008A1 (ja) カメラモニターシステム、虚像表示装置、及び虚像表示方法
CN112532915A (zh) 车外监视装置
JP6774854B2 (ja) 表示装置、及び、内装部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