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069A -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 Google Patents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069A
KR20210142069A KR1020200058745A KR20200058745A KR20210142069A KR 20210142069 A KR20210142069 A KR 20210142069A KR 1020200058745 A KR1020200058745 A KR 1020200058745A KR 20200058745 A KR20200058745 A KR 20200058745A KR 20210142069 A KR20210142069 A KR 20210142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cylindrical body
filter
fish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일
Original Assignee
윤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일 filed Critical 윤석일
Priority to KR102020005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069A/ko
Publication of KR20210142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어항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는 자세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원통형몸체로써, 원통형몸체의 상단은 개봉구역을 형성하는 것이고, 개봉구역은 원통형몸체 내부의 수위와 어항의 수위가 상이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원통형몸체의 하단은 깔대기형입수구와 결합된 것이고, 깔대기형입수구는 어항내의 수압, 수류가 원통형몸체에 유입되는 통로이며, 보조여과재 하단면 하부 원통형몸체에 천공되어 위치하는 배수구에서 수류의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물잡이 초기단계에 있는 어항에서 노폐물을 수집하여 제거하는 물리적 여과를 주로하고, 물속의 여과박테리아가 증식하여 노폐물 분해가 활성화 되는 정도에 상응하여 노폐물 수집량이 충분히 작아지면 여과기를 어항에서 제거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것이다.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도록 하고 있어 사용 도중 노폐물 수집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상응하는 처리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bubble of an aquarium filter}
본 발명은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어항 물속에 설치되어 있는 기포분출기로 부터 분출되고 부력으로 상승하며 어항 물을 통과하는 버블이 만드는 수류에 의하여 물속에 유영 중인 노폐물을 포집하고 여과하는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여과기들이 여러 종류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어항의 물 속 산소 공급이나 여과여과박테리아의 증식에 주안 하는 것들이고 여과박테리아 활성도가 낮은 단계의 어항에 대한 것에서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일반 가정용 어항에 사용되는 여과기에서 비교적 저렴한 것들은 동력원으로 수중모터를 사용하는 것과 기포분출기를 사용하는 것들로 양분 할 수 있다. 수중모터를 사용하는 것에서는 물을 파이프를 통하여 이동 시키려 하는 것이고 기포분출기를 사용하는 것은 부력을 사용하여 물을 인양 하려는 것이다.
일반 가정용 어항에서는 여과기의 구성에 따라 유지비용, 청소 그리고 관리, 소음, 미관 등, 여러 가지 요소에 관계되는 것이며 또한 이들에 있어 가정용 어항에 적용되는 공통되는 특징으로 질소순환 싸이클에 역점을 두는 생물학적 여과방식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생물학적 여과는 질소순환 싸이클을 의미하며 여기에 관여되는 미생물들을 말한다.
이들 여과기에서 초기 단계에는 물리적여과 수순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것은 생물학적 여과 단계에 필요한 물질의 공급 수단의 하나로 취급되고 있는 것이며 생물학적 여과가 요구되는 규모의 수준에 도달되지 못한 어항에서의 환경은 노폐물의 적체를 증가시키고 암모니아 발생 또한 증가 할 수 있는 환경으로 되어 물고기에게 매우 위험한 환경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생물학적 여과가 요구되는 규모의 수준으로 어항 내에 박테리아들이 정착되려면 몇 주에 이르는 기간이 소요되는 등, 어려움을 갖는다.
생물학적 여과가 요구되는 규모의 수준으로 어항 내에 정착되기 전 단계, 일반적으로 물잡이 과정에 있는 단계에서 일반인 사용자에게 어항의 관리는 쉽지 않은 것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이것은 어항 내의 물에서 또는 물고기에서 또는 바닥재에 남겨진 배설물 등에서 어항의 진단자료를 취하고 적당한 처치를 하여야 하는 것은 고도의 숙련을 요하는 기술 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 된 것이다.
여과싸이클의 시작으로 보는 암모니아 발생을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진 스키마 방식 여과에서는 질산염 발생의 원인 단계에서 이것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이므로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가 많이 완화 될 수 있는 것이므로 유용한 것이나 일반인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접근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어항에 설치 되어 가동 중에 있는 기포발생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기포발생기가 어항 내에서 산소 공급과 수류의 발생을 위한 것으로 가동 중 일 때 발생되는 버블에 노폐물 포집기를 탈착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를 어항에서 제거하면 기포발생기에 의한 어항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 된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여과박테리아의 활성 정도가 충분한 수준의 어항환경이 조성되어 있다면 노폐물 수집 능력에 주안하는 물리적 여과장치는 어항내의 미관만 손상시키는 것으로 되어 간단히 이것을 착탈 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를 어항에서 제거하면 기포발생기에 의한 어항이 복원 되는 것에서 본 발명에 의한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물잡이 초기단계에 있는 어항에서 노폐물을 수집하여 제거하는 물리적 여과를 주로하고, 물속의 여과박테리아가 증식하여 노폐물 분해가 활성화 되는 정도에 상응하여 노폐물 수집량이 충분히 작아지면 여과기를 어항에서 제거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것이다.
물잡이 초기단계의 어항에서 물갈이와 청소에 드는 수고는 물론이고 여러 가지 약품 사용에 따른 비용 등에 의한 초기의 어항관리 어려움을 경감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여과 필터나 여과재를 간단히 교환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특징으로 여과재의 청소와 교환주기를 충분히 짧은 시간으로 하는 것에 불편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여과박테리아 활성 수준이 낮은 단계에서는 적체되어 있는 노폐물의 량을 빨리 감소시켜 박테리아의 소비 수준으로 노폐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노폐물의 교환 주기 또한 수분 또는 수십분 까지 짧게 관리하기에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노폐물 발생량과 박테리아의 소비수준이 조화를 이루는 경우 여과 필터를 제거하여 어항의 미관을 높혀 줄 수 있는 것이다.
어항에서 요구되는 여과방식으로 통상 물리적 여과, 화학적 여과, 생물학적 여과 방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들 중 어느것의 전용기기가 아니고 이들의 특징을 선택하여 사용 중인 어항의 상태에 알맞은 여과기를 구성하는 것이 간단하며 손쉽게 실행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도록 하고 있어 사용 도중 노폐물 수집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상응하는 처리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직립하는 파이프형태를 취함으로써 어항의 모서리에 직립시켜 설치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항 면적의 손실을 적게하고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와 염가의 특성을 갖는다,
도 1 ; 기본 구조도 및 사시도.
도 2 ; 여러 종류의 필터 사용례.
도 3 ; 파이프커플러 사용례.
도 4 ; 원통형 몸체의 분절 사용례.
도1에는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B와 단면도 도1A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어항 내 물속에 장치되어 어항 내의 물을 정수하려는 것으로 도1A와 도1B에 의하면 몸체는 어항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는 자세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원통형몸체(1)로써, 원통형몸체(1)의 상단은 개봉구역(11)을 형성하는 것이고, 개봉구역(11)은 원통형몸체(1) 내부의 수위(91)와 어항의 수위(9)가 상이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원통형몸체(1)의 하단은 깔대기형입수구(21)와 결합된 것이고, 깔대기형입수구(21)는 어항내의 수압, 수류가 원통형몸체(1)에 유입되는 통로이며, 보조여과재(5) 하단면 하부 원통형몸체(1)에 천공되어 위치하는 배수구(12)에서 수류의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이다.
깔대기(2)의 직경은 원통형몸체(1)의 직경과 같거나 1~2mm 큰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깔대기(2)의 재료가 고무 또는 우레탄 또는 연질 플라스틱 재료 등, 탄성이 큰 재료로 되어 있으므로 원통형몸체(1) 내에 깔대기(2)를 장치하는 것으로 어항의 물에 대하여 기밀을 유지 할 수 있다.
도1A에 의하면 깔대기(2)와 원통형몸체(1)가 만드는 폐쇄공간에 배출구(12)가 존재하도록하여 기밀유지의 목적이 깔대기형입수구(21)와 배출구(12)의 위치에 이격을 두어 물의 입수와 출수가 혼합되는 것을 저지하려는 목적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원통형몸체(1) 내의 물은 보조여과재(5)에 의한 필터와 이에 더하여 탄성스펀지(4)의 투과성에 제어되어 배수구(1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이고 따라서 수압이 필터를 통과하는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에서 보조여과재(5)에게 시트가 되어주는 탄성스펀지(4)에 의하여 유연한 여과재료는 기계적 성능이 부족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는 틀을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던 종래의 제한사항을 경감시키고 비용과 관리수고를 완화 시킨다.
탄성스펀지(4)의 직경은 원통형몸체(1)의 수평 단면 직경을 초과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원통형몸체(1) 내부에 장착시 탄성스펀지(4)가 응축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원통형몸체(1) 내에서의 복원력으로 원통형몸체(1) 내부에 탄성스펀지(4)의 위치 고정효과를 나타내는 것이고 또한 깔대기출수구(22)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탄성스펀지(4) 중심원천공이 역시 원통형몸체(1)와 탄성스펀지(4)의 위치 고정효과와 같은 역할로 깔대기(2)를 그립하는 것으로 원통형몸체(1)에 깔대기(2)를 장착하는 것이며 따라서 원통형몸체(1)의 하단과 깔대기형입수구(21)의 결합은 탄성스펀지(4)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되는 결합구조이다. 이러한 결합구조의 특징, 깔대기(2)의 입수구 탄성력이나 또는 탄성스펀지(4)의 탄성력으로 구조물 결합력을 간단히 획득하는 것에서 저렴하고 간단한 것임은 물론 수력을 사용하는 장치로써 필요한 기밀유지를 또한 간단히 실현하는 것이며 원통형몸체(1)의 분해 또는 조립을 간단하게 하는 것으로 청소작업 편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이다.
도1A에 의하면 탄성스펀지(4)에 의한 결합구조 상단면에 원통형몸체(1)의 내부를 분리하는 층을 구성하는 보조여과재(5)가 도너스 원반 형태로 장치된다. 이러한 보조여과재(5)는 상단면에서 기포분출파이프(3)을 수렴한다. 또한 보조여과재(5)는 원통형몸체(1)을 상,하위로 양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보조여과재(5)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포분출파이프(3)로 입수된 물이 보조여과재(5)를 통과하여 보조여과재(5) 하단면 아래의 원통형몸체(1)에 천공 되어 있는 배수구(12)를 통하여 원통형몸체(1)를 탈출한다.
탄성스펀지(4)의 상단면에 적층형태로 설치되는 보조여과재(5)는 미세한 입자를 걸러내는 기능이 클수록 좋은 것이나 세척하여 재사용하거나 사용한도가 초과된 것은 폐기하고 신품으로 교환하거나 하는 관리와 비용을 고려하면 두께 5mm정도의 여과섬유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손쉽게 교환하고 폐기하는 것이 추천된다.
원통형몸체(1)의 내부에 돌출되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종단면 토출 단말(도1;사면단말(31))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토출 단말이 반드시 사용되는 이유로써 보조여과재(5)가 있고 그 상단에 돌출되어 토출 단말이 위치하는 것에서 토출되는 물은 보조여과재(5)에 대하여 하향 압력으로 작용하고 따라서 비교적 얇고 유연한 재료의 보조여과재(5)를 탄성스펀지(4)의 상단면에 밀착시키는 작용으로 위치 안정을 위한 별도의 대책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보조여과재(5)와 원통형몸체(1)의 기밀유지와 성능 발휘를 실현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기포분출파이프(3)는 원통형몸체(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깔대기(2) 상단에서 기포분출 수로를 구성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이고 기포분출파이프(3) 종단에서는 토출 단말(도1의 사면단말(31))이 토출구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도1에서 사면으로 된 분출구는 파이프의 직각 절단면(도2B의33)에서 분출하는 기포분출에 비하여 토출 분사 거리가 확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의 구조에서는 원통형몸체(1)를 여과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여과공간을 침전조의 효과로 사용하는 경우와 폭기조와 유사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용 양태를 간단히 절환 하는 수단으로 기포분출파이프(3)의 길이와 토출 단말의 형태를 선택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여과조 사용 양태를 간단히 절환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기포분출파이프(3)는 원통형몸체(1) 내부에 압력 불균형을 만들려는 목적으로 기포분출 수로의 직경과 길이를 구성하는 기포분출파이프(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러한 압력 불균형은 수류를 발생시켜 스러지를 교반하는 효과, 산소공급의 증가를 기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의 여과기로써 여러 종류의 필터와 기포분출파이프(3)를 조합하여 상이한 구성과 효과를 획득 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를 도2에 표시하고 있다.
실시 예 도2A에서는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을 초과하는 장막으로 확장되어 작용되는 멤브레인여과재(61)로 주여과재(6)를 구성하는 경우 보조여과재(5)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사면단말(31)을 사용 하는 것이고 이러한 구성은 원통형몸체(1) 하단 1점에서 부유물을 포함하는 물과 버블 분사를 실현하여 원통형몸체(1)내에서 살포하려려 하는 것으로 이러한 살포(16)에서 멤브레인여과재(61)의 여과면에 대하여 평등한 노폐물의 분사를 실현 하려는 것이다. 또한 멤브레인여과재(61)의 여과면에 흡착되는 노폐물 포집 정도가 평등하게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주여과재(6)로써 멤브레인여과재(61)는 시트형으로 된 부직포, 여과솜이나 스폰지등이 사용 될 수 있으며 여과재의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주름이나 홈파기 등이 가공단계에서 추가 될 수 있다. 특히 저렴하게 사용하는 주여과재(6)를 실현하려 하는 경우 지정된 크기의 사각형 평면 형태의 필터재료를 사용자가 직접 공작하여 원통형몸체(1)의 직경에 비하여 작은 직경의 파이프형태 이거나 3각형 또는 4각형 등 다각형의 형태를 간단하게 구성하고 적용 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예 도2B에서는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 하측까지 적재 될 수 있는 충진여과재(62)로 주여과재(6)를 구성하는 경우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직각단말(33)를 나타내고 있다. 여과재는 그래인 타입이거나 볼 타입이거나 링 타입의 고형물이며 원통형몸체(1)에 침전조를 구성하여 수조안의 물에 대한 pH관리라든가 살균의 필요성 이라든가 질산염, 인산염 등의 제거라든가 하는 특수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 되는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토출 단말이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에 확장하여 위치하는 수단이 필요한 것이고 이러한 수단으로 확장파이프(32)를 파이프커플러(34)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확장파이프에 의한 직각단말(33)은 직각 절단 된 파이프이고 원통형몸체(1)에 적재되는 여과재의 상단 표면에 대하여 분수(17)와 같은 분출을 실현 하는 것이다.
실시 예 도2C에서는 원통형몸체(1)에 적재되어 원통형몸체(1)의 수위 이내에서 유동하는 유동성여과재(63)로 주여과재(6)를 구성하는 경우 보조여과재(5)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사면단말(31)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항의 여과에서 물, 산소, 불순물은 움직이고 여과재는 정지 해 있는 것이나 유동성여과재(63)에서는 여과재 또한 물과 같이 회동하는 것이며 폭기방식 여과에서 비중이 낮은 여과재를 물에 넣어 물과 같이 회동 하도록 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보조여과재(5)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사면단말(31)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러한 구성은 원통형몸체(1) 하단 1점에서 분사를 실현하여 원통형몸체(1)내의 물질을 회동시키려 하는 것이며 이러한 회동(18)으로 유동성여과재(63)의 유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유동은 물속부유물의 분쇄와 증가된 산소공급을 유발하여 효과적인 여과를 실현하는 것이다.
실시 예 도2D에서는 원통형몸체(1)에 적재되어 있는 물과 불순물의 이동으로 작용되는 여과를 구성하는 경우 기포분출파이프(3)의 토출 단말의 위치와 형식을 특정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토출 단말의 위치와 형식를 특정하지 않는 것이며 이것은 기포분출파이프(3)에 의한 물의 양수(19)와 보조여과재(5)에 의한 필터링만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필터이고 이러한 구조의 여과방식은 어항에서 어떤 원인으로 다량의 노폐물이 나타났으므로 빠른 제거가 필요할 때 사용 될 수 있는 물리적여과 기능인 것이다,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상기하는 바와 같이 다종다양한 여과재방식 사용 할 수 있는 것에서 여과재방식에 따라 기포분출파이프(3)의 조합에서 적당한 길이와 적당한 토출 단말의 선택이 요구되며 이러한 필요에 상응하는 확장파이프(32)을 준비하고 기포분출파이프(3)의 토출 단말에 확장파이프(32)을 사용하여 기포분출파이프(3)를 연장시키거나 환원 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3에는 이러한 기능의 파이프커풀러(34)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기포분출기(도2의8참조)는 본 발명의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구조물의 일부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의 유무와 관계없이 어항 내에서 본연의 성능으로 가동 중에 있는 장치 중에 하나인 것으로 가정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기포분출기(8)가 본 발명의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와 관계를 성립하려면 어항 안에서 두 장치의 위치가 수직으로 관계되고 두 장치 간에 부력으로 상승하는 버블로써 연결 관계를 맺을 때 깔대기형입수구(21)의 하단에 수집구역(도2의24참조)을 형성하는 기포분출기(8)의 기포분출(81)로써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러한 의미는 수집구역(24)의 특징을 분명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수집구역(24)은 어항 안에서 특별한 제한 없이 있는 통상의 물이고 따라서 어항 안의 부유물 역시 특별한 제약 없이 물에 섞여 유영 할 수 있는 구역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입수구역(23)의 물이 깔대기형입수구(21)를 통하여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의 원통형몸체(1)에 유입하는 구조는 어항 안에서 부유물이 특별한 제약 없이 유영하며 포집되는 결과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기포분출기(8)와 깔대기형입수구(21) 간격의 공간에서 부력으로 상승되는 기포분출(81)과 함께 유영하는 노폐물을 포집하려는 수집구역(24)을 상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러한 수집구역(24)에서 본 발명의 여과기가 한정하는 것은 깔대기형입수구(21)의 입수면적뿐이고 입수량은 기포분출기(8)의 상대적인 위치와 성능에 의존하는 바가 큰 것으로 기포분출기(8)와 깔대기형입수구(21) 간격이 크면 버블의 상승 거리가 증가하고 어항 내의 노폐물 포집범위 역시 증가 된다는 상호관계가 있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어항의 청소에서 어항용 스포이드를 사용하여 바닥의 노폐물을 떠올려 포집하는 용도에 잘 적응되는 결과로 되는 것이다.
깔대기형입수구(21)의 입수면적이 크면 어항 내의 포집범위가 증대되는 것이나 기포분출파이프(3)와 토출 단말에서 진로에 저항이 있으면 포집된 노폐물의 일부가 깔대기형입수구(21)에서 진입이 거부된다. 이러한 문제를 경감하기위하여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에서 입수구역(23)에서 부력으로 상승되는 기포분출(81)에 회전, 가압, 가속을 유도하는 깔대기형입수구(21)를 구비하여 신속한 이동을 신속하게 만드는 것이다.
기포분출기(8)는 본 발명의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구조물의 일부가 아닌 것으로 하는 것이므로 이는 변경이 없는 것으로 하고 만드는 알맞은 수집구역(24) 범위에 깔대기형입수구(21)를 위치시키고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원통형몸체(1)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으며 원통형몸체(1)의 기구결합 위치를 흡착판(도1의7참조)을 사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기포분출기(8)에서의 기포분출(81) 단계,
기포가 부력을 받아 상승을 시작하여 수집구역(24)을 통과하며 물속의 불순물을 포함시키는 단계,
기포가 깔대기형입수구(21)에 접근하고 깔대기형태에 포집되어 물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상태로 가속되고 압축되어 기포분출파이프(3)의 단말(31)까지 이동하는 단계,
기포분출파이프(3)의 단말(31)에서 물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상태로 원통형몸체(1) 내부에 확장되며 분출되는 단계,
기포와 물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분출로써 원통형몸체(1) 내부에 압력 불균형을 만드는 것에서 평형을 회복하려는 수류가 발생되는 단계,
주여과재(6) 또는 보조여과재(5)를 통과하며 불순물이 필터링 되는 단계,
여과된 물로써 원통형몸체(1)를 탈출하는 단계로의 경로로 형성되는 수류를 실현하는 구조의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는 수류의 흐름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필요한 시기를 바로 ?O아 서비스하기 위하여 원통형몸체(1)의 몸통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내부 관찰에 용이한 시야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수류의 흐름으로 볼 때 원통형몸체(1)의 개봉구역(11) 이하에서부터 보조여과재(5)를 포함하는 구간까지에서 수류에 포함되어 유영하는 불순물 제거를 위한 흡착이 작동하는 필터구간임이 발견된다. 사용 중인 여과재의 청소, 교환 등, 관리를 위하여 원통형몸체(1)를 상단몸체(13)와 하단몸체(14)로 분절하여 구성하되 분절된 상당몸체와 하단몸체(14)의 결합은 흡착판보조대(71)의 그립으로 하는 것을 추가하여 사용상 편리를 창출 할 수 있는 것으로 원통형몸체(1)에서 분절 된 상단몸체(13)에 보조여과재(5)를 장착하고 하단몸체(14)에는 탄성스펀지(4)를 장치하는 것을 하는 것으로 하여 사용상 편리를 창출 할 수 있는 것이다.
흡착판(7)은 유리평면에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용도로 적합한 것이나 원통형몸체와 흡착판몸체의 결합에서는 간단하지 않은 점이 있으므로 별도의 부라켓을 채용하여 흡착판보조대(71)를 구성하고 유리평면의 소정 위치에 흡착판보조대(71)를 흡착판(7)으로 부착하고 흡착판보조대(71)가 원통형몸체(1)를 그립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원통형몸체의 착탈이 용이하게 하는 방안이 추가 될 수 있다. 즉, 흡착판(7)을 원통형몸체(1)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흡착판보조대(71)를 구비하는 것이 추가되어 사용상 편리를 창출 할 수 있는 것이다.
흡착판보조대(71)와 하단몸체(14)를 결합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추가하여 여과재의 청소에서 사용상 편리를 창출 할 수 있는 것이다.
도4의 실시 예에 이러한 정황이 도시되어 있다.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에 원통형몸체(1)의 몸체익스텐션(15)를 추가하여 개봉구역(11) 위치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은 어항 내에서 가동 중인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에서 가동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원통형몸체(1)의 수위는 상승하고 최종적으로 오버플로우를 만들게 된다. 오버플로우는 여과기능의 저하 또는 정지를 의미한다. 수집되는 다량의 노폐물이 수집되는 경우 오버플로우의 주기가 빈번하여 불편을 초래 할 수 있다. 오버풀로우의 주기를 좀 더 길게 하기 위하여 원통형몸체(1) 개봉구역(11)에 몸체익스텐션(15)를 추가하는 것이다.
오버플로우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에서 주여과재(6) 또는 보조여과재(5)를 통과하며 불순물이 필터링 되고 원통형몸체(1)를 탈출하는 경로로 형성되는 수류를 실현하는 구조에서 주여과재(6) 또는 보조여과재(5) 흡착 물질의 증가는 토출압력의 상승을 유발하고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의 수위상승이고 수위상승이 개봉구역(11)을 초과하는 때 오버플로우가 발생된다. 오버플로우는 가동 중인 어항의 상태에 대한 경고이다. 따라서 오버플로우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주여과재(6)의 청소 또는 교환 시기를 감지하는 것은 본 발명의 특징이다,
1;원통형몸체, 11;개봉구역, 12;배수구, 15;몸체익스텐션. 13;상단몸체,
14;하단몸체.
2;깔대기, 21;깔대기형입수구, 22;깔대기출수구, 23;입수구역,24;수집구역,
3;기포분출파이프, 31;사면단말, 32;확장파이프, 33;직각단말,
34;파이프커플러
4;탄성스펀지
5;보조여과재
6;주여과재, 61;멤브레인 여과재, 62;충진 여과재, 63;유동성 여과재.
7;흡착판, 71;흡착판 보조대
8;기포분출기, 81;기포분출
9, 91;수위

Claims (7)

  1.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는 자세로 사용되는 원통형몸체(1),
    원통형몸체(1)의 상단은 개봉구역(11)을 형성하는 것이고,
    원통형몸체(1)의 하단은 깔대기형입수구(21)와 결합된 것이고,
    원통형몸체(1)의 몸통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내부 관찰에 용이한 시야를 제공하는 것이고,

    원통형몸체(1)의 하단과 깔대기형입수구(21)의 결합은 탄성스펀지(4)에 의한 탄성력으로 그립 되는 결합구조이고,

    기포분출파이프(3)는 원통형몸체(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깔대기(2) 상단에서 기포분출 수로를 구성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이고 기포분출파이프(3) 종단에서는 단말이 사면(31)이거나 직각절단면(33)으로 구성된 구조.

    탄성스펀지(4)에 의한 결합구조 상단면에 원통형몸체(1)의 내부를 분리하는 층을 구성하는 보조여과재(5),
    보조여과재(5) 상단면에서 기포분출파이프(3)을 수렴하고,
    보조여과재(5) 하단면 하부 원통형몸체(1)에 천공되어 위치하는 배수구(12).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을 초과하는 장막으로 확장되어 작용되는 멤브레인여과재(61)로 주여과재(6)를 구성하는 경우 보조여과재(5)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사면단말(31),
    또는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 하측까지 적재 될 수 있는 충진여과재(62)로 주여과재(6)를 구성하는 경우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직각단말(33),
    또는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 이하에 적재되어 원통형몸체(1)의 수위 이내에서 유동하는 유동성여과재(63)로 주여과재(6)를 구성하는 경우 보조여과재(5)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포분출파이프(3)의 사면단말(31),
    또는
    원통형몸체(1)에 적재되어 있는 물과 불순물의 이동으로 작용되는 여과를 구성하는 경우 기포분출파이프(3)의 토출 단말의 위치와 형식을 특정하지 않는 것,
    의 구성에서 그 어느 것으로 되는 주여과재(6)와 토출 단말 위치와 형식의 구성.

    깔대기형입수구(21)의 하단에 수집구역(24)을 형성하는 기포분출기(8)의 기포분출(81),

    기포분출기(8)에서의 기포분출(81) 단계,
    기포가 부력을 받아 상승을 시작하여 수집구역(24)을 통과하며 물속의 불순물을 포함시키는 단계,
    기포가 깔대기형입수구(21)에 접근하고 입수구의 깔대기형태에 포집되어 물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상태로 가속되고 압축되어 기포분출파이프(3)의 단말(31)까지 이동하는 단계,
    기포분출파이프(3)의 단말(31)에서 물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상태로 원통형몸체(1) 내부에 확장되며 분출되는 단계,
    기포와 물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분출로써 원통형몸체(1) 내부에 압력 불균형을 만드는 것에서 평형을 회복하려는 수류가 발생되는 단계,
    주여과재(6) 또는 보조여과재(5)를 통과하며 불순물이 필터링 되는 단계,
    여과된 물로써 원통형몸체(1)를 탈출하는 단계로의 경로로 형성되는 수류를 실현하는 구조의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상기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에서 원통형몸체(1) 내부에 압력 불균형을 만들려는 목적으로 기포분출 수로의 직경과 길이를 구성하는 기포분출파이프(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상기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에서 기포분출기(8)와 깔대기형입수구(21) 간격의 공간에서 부력으로 상승되는 기포분출(81)과 함께 유영하는 노폐물을 포집하려는 수집구역(24)을 상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상기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에서 입수구역(23)에서 부력으로 상승되는 기포분출(81)에 회전, 가압, 가속을 유도하는 깔대기형입수구(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상기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에서 주여과재(6) 또는 보조여과재(5)를 통과하며 불순물이 필터링 되고 원통형몸체(1)를 탈출하는 경로로 형성되는 수류를 실현하는 구조에서 주여과재(6) 또는 보조여과재(5) 흡착 물질의 증가는 토출압력의 상승을 유발하고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의 수위상승이고 수위상승이 개봉구역(11)을 초과하는 때 오버플로우가 발생되고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주여과재(6)의 청소 또는 교환 시기를 인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2. 청구항1에서
    흡착판(7)을 원통형몸체(1)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흡착판보조대(7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3. 청구항1에서
    원통형몸체(1)를 상단몸체(13)와 하단몸체(14)로 분절하여 구성하되 분절된 상당몸체(13)와 하단몸체(14)의 결합은 흡착판보조대(71)의 그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4. 청구항3에서
    상단몸체(13)에 보조여과재(5)를 장착하고 하단몸체(14)에는 탄성스펀지(4)를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5. 청구항3에서
    흡착판보조대(71)와 하단몸체(14)를 결합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6. 청구항1에서
    기포분출파이프(3)의 사면단말(31)에 확장파이프(32)를 사용하여 기포분출파이프(3)를 연장시키거나 환원 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7. 청구항1에서
    원통형몸체(1)의 상단 개봉구역(11)에 원통형몸체(1)의 몸체익스텐션(15)를 추가하여 개봉구역(11) 위치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KR1020200058745A 2020-05-17 2020-05-17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KR20210142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745A KR20210142069A (ko) 2020-05-17 2020-05-17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745A KR20210142069A (ko) 2020-05-17 2020-05-17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069A true KR20210142069A (ko) 2021-11-24

Family

ID=7874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745A KR20210142069A (ko) 2020-05-17 2020-05-17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20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747B1 (ko) 수조식 양식장용 급배수 정화 시스템
KR102030414B1 (ko) 습식 공기청정장치
WO2007125996A1 (ja) 水質改善器及び水質改善装置
KR100957173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870404B1 (ko) 미세조류 수거 분리장치
JP2024523037A (ja) 回収タンクおよび清掃装置
KR20210142069A (ko) 버블에 의한 어항 여과기
JP5743095B2 (ja) 膜分離活性汚泥装置
KR200419211Y1 (ko) 침전장치
JP3811887B2 (ja) 洗浄処理装置
JP3621859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H11179385A (ja) 浄水処理方法
KR100983905B1 (ko) 활어수족관
KR101594197B1 (ko)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KR102275894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20130081521A (ko) 활어수족관 정수장치
JP2015535318A (ja) グリーストラップ掃除機
KR100881629B1 (ko) 중공사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20150117382A (ko) 물세척식 공기청정기
KR100761457B1 (ko) 침전장치
JP2975933B1 (ja) 泡除去装置
JP3937620B2 (ja) 膜分離装置および水の分離方法
JP2008093552A (ja) 移床式ろ過装置
CN211847393U (zh) 一种污水净化装置
KR100331937B1 (ko) 마그네틱 필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