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541A -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 Google Patents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541A
KR20210141541A KR1020217032626A KR20217032626A KR20210141541A KR 20210141541 A KR20210141541 A KR 20210141541A KR 1020217032626 A KR1020217032626 A KR 1020217032626A KR 20217032626 A KR20217032626 A KR 20217032626A KR 20210141541 A KR20210141541 A KR 2021014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istensenella
bacteria
composition
genus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 라와디
샌드린 폴 클라우스
로르 리날디
프레데릭 엘루스톤도
마리옹 소피 마들렌 소토
케이티 니콜 르코르프
카미유 뮤리엘 도미니크 마틸드 크로프
필립 란젤라
로지끄 레베카 마르탱
파트리치아 브리지디
Original Assignee
와이소피아 바이오사이언시즈
엥스티튀 나쇼날 드 르쉐르슈 푸흐 라그리컬튀흐, 랄리망따씨옹 에 랑비허른망
알마마 테르 스투디오룸 유니베르시타‘ 디 볼로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1902437A external-priority patent/FR3093642A1/fr
Priority claimed from FR1908384A external-priority patent/FR3099054A1/fr
Application filed by 와이소피아 바이오사이언시즈, 엥스티튀 나쇼날 드 르쉐르슈 푸흐 라그리컬튀흐, 랄리망따씨옹 에 랑비허른망, 알마마 테르 스투디오룸 유니베르시타‘ 디 볼로냐 filed Critical 와이소피아 바이오사이언시즈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20/056565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82916A1/fr
Publication of KR2021014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 또는 인간 또는 동물에서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본 발명은 장 미생물군의 특정 박테리아 및 이의 조성물로의 만성 염증성 질환,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공격에 대한 신체의 정상적인 방어 과정이다. 이는 상기 공격의 기원에서 외래 작용제(들)와 싸우고 이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급성으로 알려진 이러한 염증은 가역적이고, 수 분 내지 수 일 범위의 제한된 기간만을 갖는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염증 과정이 잘못되어, 염증은 만성이 된다. 신체의 방어에 기여하는 대신에, 염증 과정에 관련된 행위자(actor)는 위험해지고, 종종 심각하고 무력한 병리학적 상태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만성 염증성 질환은 병태생리학이 염증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질환으로서, 상기 염증은 자가면역 및/또는 자가-염증성 기원이다.
소화기 계통(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자가면역 위염, 등), 간(간염, 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등), 췌장(췌장염), 폐(천식), 피부(아토피성 피부염, 예를 들어, 건선), 신경계(다발성 경화증), 관절(다발관절염)과 같이, 모든 장기는 만성 염증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더욱이, 만성 염증은 특히, 암과 같은 다른 메커니즘이 관련된 다른 상황에서도 존재한다.
만성 염증, 및 특히, 만성 염증성 질환은 관련된 병리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인구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질환이 비록 서서히 발달하지만 무력화되고, 고통스럽고, 조기 사망률의 높은 위험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
현재, 이러한 질환에 대해 제안된 치료법에는 항-염증 약물, 면역조절제 및/또는 면역억제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예를 들어, 하기를 인용할 수 있다:
- 단기간 사용하도록 의도되고 만성 통증에 대해 적합하지 않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 약물,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및 아스피린,
- 면역조절제인 퓨린 대사 조절제,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 및 아자티오프린,
- 생물학적 약물, 예를 들어, 항-TNF-α, IL1 및 IL6 수용체의 길항제, 또는 심지어
- 설파살라진.
이러한 약물들 모두는 투여될 때 분자의 분해로 인해 매우 가변적인 반응률을 가지고, 상당한 부작용을 갖는다. 또한, 면역조절제는 병원체에 대한 정상적이고 건강한 면역 반응을 방해하며, 이에 따라, 치료된 환자는 감염에 취약하게 된다. 메토트렉세이트의 경우, 구체적으로 정자 생산 및 이에 따라 생식력에 대한 이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염증성 질환 대부분은 치료되지 않거나 적절한 치료법이 없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항-염증 치료 전략의 연구 및 조사는 의약 및 생의학 연구, 특히, 만성 염증성 질환, 위장 질환 및 만성 염증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서 투여가 용이하고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에 주요 초점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간 장 미생물군의 특정 박테리아, 즉,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Christensenellaceae family), 바람직하게는, 크리스텐세넬라 속(genus Christensenella)의 박테리아의 사용을 목표로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박테리아는 다른 박테리아, 및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Akkermansia muciniphila) 종의 박테리아와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는 이미 연구되고 기술되었다. 이는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Christensenella minuta),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Christensenella massiliensis)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Christensenella timonensis)를 갖는 경우이다.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는 2012년에 최초로 기술되었다. 2014년에, 한 연구에 따르면, 이는 영국 쌍둥이의 코호트에서 가장 유전적인 분류군이었으며, 이의 존재가 낮은 체질량 지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에, 2014년 이후에 발표된 지리적으로 다양한 집단에서의 10개의 연구에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와 낮은 체질량 지수 간의 이러한 상관 관계가 관찰되었다.
장 미생물군에서 크리스텐세넬라의 결핍과 관련된 염증성 장 질환을 나타내는 개체에서 크리스텐세넬라의 최소 집단을 재구축하는 것의 장점은 출원 WO2016/15652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박테리아 중 어떠한 것도 인간에서 이러한 병리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출원 WO2018/162738호 및 WO2018/162726호에는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종 및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종과는 구체적으로 다른 것으로 규정된 종에 속하는,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특정 박테리아의 사용이 특히, 예를 들어, 내장 지방의 존재 및 장 투과성에 개입함으로써 과체중 및 비만과 싸울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교시되어 있다.
베루코마이크로비아시에 과(Verrucomicrobiaceae family) 및 아케만시아 속에 속하는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는 2004년에 처음으로 확인된 박테리아로서, 이는 건강한 성인의 장 미생물군의 박테리아 속 전체 수의 대략 1 내지 3%를 나타낸다[Derrien et al., 2004, 54: 1469-1476; Derrien et al. Appli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008, 74, 1646-1648].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의 집단 수는 비만 개체 및 염증성 위장 질환을 갖는 환자로부터의 대변 샘플에서 감소된다는 것이 이미 보고되었다[Png, et al. Gastroenterol. 2010;105: 2420-2428].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는 과체중 또는 심지어 비만 성인에서 칼로리 제한 개입 후 더 건강한 대사 상태 및 더 양호한 임상 결과와 관련이 있다.
놀랍게도,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크리스텐세넬라 속 및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종의 박테리아는, 인간 또는 동물에 투여될 때, 염증성 질환, 특히, 염증성 위장 질환 및 만성 염증성 질환; 및 암의 기원에서의 염증의 마커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아케만시아 속의 박테리아,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베루코마이크로비아시에 과로부터 널리 공지된 차세대 프로바이오틱(NGP)과 함께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승적 항-염증성 특성을 예상치 못하게 밝혀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에서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박테리아는, 만성 염증을 나타내는 인간 또는 동물에 투여될 때, 만성 염증 동안 과도하게 생성되는 분자, 예를 들어, 카이뉴레인, 인터류킨 6, 인터류킨 8, TNF알파, 인터류킨 1b, 리포칼린 또는 배설물 칼프로텍틴에 작용하고/하거나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인터류킨 10의 생산을 자극함으로써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인간 또는 동물에서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를 단독으로 또는 이를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바람직하게는, 아케만시아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에, 이러한 박테리아 중 적어도 하나(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단독 또는 이와 아케만시아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를 조합함) 및/또는 이의 상청액을 포함하는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그 자체로도 표적이 된다.
다른 특징 및 장점은 하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의 균주(가로 좌표)의 존재 하에서 TNF-α에 의해 자극받은 HT-29 세포에서 인터류킨-8(IL-8)(pg/㎖ 단위)의 생산(세포 좌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균주(DSMZ: DSM22607)의 상청액의 존재 하에서 공동-인큐베이션 및 TNF-α에 의한 자극 후에 HT29 라인의 장내 세포에 의한 IL-8의 분비를 도시한 것이다. 던 비무수 통계 검정(Dunn's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p<0.05; **p<0.01; ***p<0.001. IL-8: 인터류킨 8; TNF-α: 종양 괴사 인자 알파. 3회 반복된 4개의 실험의 평균치.
도 3은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박테리아(DSMZ: DSM22607)의 존재 하에서 공동-인큐베이션 및 TNF-α로의 자극 후 Caco-2 라인의 장내 세포에 대한 경상피 내성의 측정을 도시한 것이다. 던 비무수 통계 검정: *p<0.05; **p<0.01; ***p<0.001. IL-8: 인터류킨 8; TNF-α: 종양 괴사 인자 알파. 3회 반복된 3개의 실험의 평균치.
도 4는 DNBS에 의해 유발된 염증 모델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DSM 22607)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A) 주사 당일(OJ)로부터 치료군의 체중 감량의 모니터링. (B) DSM 22607 및 SASA 치료 후 염증의 중증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거시적 점수(macroscopic score)의 유의미한 감소. 마이엘로퍼옥시다제의 활성의 감소(C), 및 비장에서 인터류킨-10(IL-10),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D)를 통한 DSM22607의 면역조절 효과. 비무수 ANOVA 이후 던 통계 검정: *p<0.05; **p<0.01; ***p<0.001. DNBS: 다이니트로벤젠 설폰산.
도 5는 DNBS에 의해 유발된 염증의 모델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종의 항염증 효과의 일반화를 나타낸 것이다. (A)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상이한 종으로의 치료 후 염증의 중증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거시적 점수의 감소. (B) 마이엘로퍼옥시다제 활성의 감소(C)를 통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상이한 종의 면역조절 효과. 비무수 ANOVA 이후 던 통계 검정: *p<0.05; **p<0.01; ***p<0.001. DNBS: 다이니트로벤젠 설폰산.
도 6은 HT-29 세포(결장의 선암종)의 증식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DSMZ: DSM22607, 시. 미뉴타 1 및 시. 미뉴타 2)의 균주의 상청액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RLU: 상대적 발광 단위(Relative Luminescence Unit). 대조군이 GAM 군(Gifu 혐기성 브로쓰 배양 배지를 나타냄)인 던넷 검정. 코드: *p<0.05, **p<0.01, ***p<0.001, ****p<0.0001.
정의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용어 "박테리아" 또는 박테리움은 또한, 용어 "박테리아 균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박테리아 균주는 특정 종, 예를 들어,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종에 속하는 제공된 균주의 박테리아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 균주 또는 박테리움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DSM22607이 언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용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하나 또는 수 개의 박테리아를 지정하기 위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인터류킨 6의 과잉 생산"은 염증이 없는 건강한 사람 또는 동물에서의 생산에 비해 인터류킨 6의 과도한 생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인터류킨 8의 과잉 생산"은 염증이 없는 건강한 사람 또는 동물에서의 생산에 비해 인터류킨 8의 과도한 생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인터류킨 10의 과소 생산"은 염증이 없는 건강한 사람 또는 동물에서의 생산에 비해 인터류킨 10의 불충분한 생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만성 염증성 질환"은 특히, 서서히 및 점진적으로 발달하는 병리생리가 자가면역의 염증 및/또는 자가-염증 기원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임의의 만성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염증성 위장 질환"은 특히, 염증성 장 질환, 보다 특히, 결장의 염증성 장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결장 염증성 장 질환은 특히, 크론병(CD), 궤양성 대장염(UC) 및 맹낭염, 특히, CD 및 U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CD 및 UC는 과민성 소화 면역 체계와 연관된 소화관 일부의 내벽의 염증에 의해 특징되는 2가지 질환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예방하다" 또는 "예방"은 제공된 현상, 즉, 본 발명의 맥락에서, 만성 염증, 위장 염증, 및 암과 같이 이로부터 발생되는 병인, 특히 장 염증의 발생 위험 또는 가능성을 더 낮은 정도로 감소시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치료하다" 또는 "치료"는 질환의 진행의 감소, 염증성 만성 질환, 염증성 위장 질환, 암의 진행의 안정화, 역전 또는 퇴행, 또는 심지어 중단 또는 저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러한 용어는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에도 적용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장 미생물군에서 "크리스텐세넬라가 부족하지 않은"은 이의 장 미생물군에서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가 이의 장 미생물군에 검출된 박테리아 속 전체 수의 적어도 0.01%, 특히, 적어도 0.1%,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를 나타내는 인간 또는 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대변에서 수집하는 경우, 크리스텐세넬라의 존재비는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정량적 시퀀싱 시험, 형광 인시튜 혼성화(FISH), qPCR(정량적 PCR)에 의해 또는 메타게놈 분석(상대적 정량화)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는 상기 조성물이 투여되는 개체의 유기체와 혼화 가능한 배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예를 들어, 비독성 용매, 예를 들어, 물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지는 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미생물군"은 개체 및 개체와 동거하는 것: 대부분의 경우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진균, 효모 및 원생동물을 콜로니화한 모든 미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미생물군의 조성은 콜로니화된 표면에 따라 다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피부 미생물군, 질 미생물군, 비뇨기 미생물군, 호흡기 미생물군, ENT(이비인후과) 미생물군 및 지금까지 100조개의 세균을 갖는 가장 중요한, 종래에 장내 세균총으로 불리워진 장 미생물군을 구별한다. 이에 따라, "장 미생물군"은 모든 미생물, 특히, 제공된 개체의 장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세계 보건 기구(WHO)의 공식적인 정의에 따르면, "체질량 지수"(BMI)는 과도한 체중 및 불충분한 체중과 관련된 건강 위험의 지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BMI는 개체의 체중(킬로그램 단위)을 신장(미터 단위)의 제곱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BMI 값은 WHO(https://www.who.int/features/factfiles/obesity/facts/en/)에서 제공된 분류에 따라 특정 신체 크기와 관련이 있다.
"유효량", "...를 위한 유효량", "...에 효과적인 X의 양", 등은 화합물이 투여될 때,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증상들 중 하나 이상을 완화시키거나 어느 정도까지 감소시키거나, 예방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임상적 마커 또는 증상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데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지칭한다. 이에 따라, 양은 (i) 질환의 진행 속도를 역전시키고/시키거나, (ii) 질환의 진행을 어느 정도까지 저해하고/하거나 (iii) 질환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까지 완화(또는 바람직하게는 제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활성 성분의 양을 지칭한다. 그러한 양의 유효성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에 대한 공지된 생체내 및 시험관내 모델 시스템에서 관련 화합물을 시험함으로써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주제는 인간 또는 동물에서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 특히, 염증 특성의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 바람직하게는,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또는 적어도 1종의 이러한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또는 적어도 상기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의 배양물 상청액의 용도이다. 박테리아는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종 중 하나의 임의의 박테리아 균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베루코마이크로비아시에 과의 추가의 박테리아 및/또는 상기 추가의 박테리아의 배양물 상청액을 추가로 포함하며, 특히, 상기 박테리아는 아케만시아 속, 보다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종의 박테리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테리아.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에서, 특히, 인터류킨 6의 과잉 생산 및/또는 인터류킨 8의 과잉 생산 및/또는 인터류킨 10의 과소 생산을 갖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암을 갖는 인간 또는 동물에서 염증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는, 만성 염증, 위장 염증 또는 암을 나타내는 인간 또는 동물에 투여될 때, 만성 염증, 위장 염증 또는 암, 동안 과도하게 생산된 분자, 특히, 인터류킨 6, 인터류킨 8 및 카이뉴레인에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NF알파, 인터류킨 1b, 리포칼린 또는 배설물 칼프로텍틴에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가 시험관내 및 생체내 염증 및 세포 증식, 특히, 위장 염증 및 보다 특히, 장의 만성 염증을 감소시키는 예상치 못한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박테리아는 전염증성 분자, 예를 들어, 인터류킨 6(IL-6) 및 인터류킨 8(IL-8)의 생산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실제로, 인터류킨 6, 인터류킨 8, 카이뉴레인, TNF알파, 인터류킨 1b, 리포칼린 또는 칼프로텍틴과 같은 이러한 마커들 중 하나의 증가를 나타내는 염증성 질환 및 암에서, 이의 감소는 전염증성 신호 경로의 감소의 징후이며, 다시 말해서, 이러한 생산의 원인이 되는 면역 세포는 덜 자극된다. 결과적으로, 염증을 유발하는 과도한 면역 반응은 느려지며, 시스템은 점진적으로 정상으로 돌아간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박테리움 또는 박테리아는 염증의 이러한 마커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작용하는 데 효과적인, 다시 말해서, 신체에서 이러한 분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양으로 인간 또는 동물에 투여된다. 적합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박테리움 또는 박테리아는 사람 또는 동물의 체중과는 무관하게 하루에 107 내지 1011개의 콜로니-형성 단위(CFU)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109 내지 1012개의 CFU의 용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개의 CFU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히, 용량은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단일 용량으로, 즉, 1회 투여되거나, 매 식사 전에 소정 용량, 즉, 하루에 3회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은 장의 만성 염증성 질환, 간의 만성 염증성 질환, 췌장의 만성 염증성 질환, 다발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신경 염증성 질환 또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서 유용하다. 특히, 이는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맹낭염, 궤양성 대장염, 셀리악병, 자가면역 위염, 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췌장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건선, 습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은 적어도 하나의 염증성 위장 질환, 예를 들어, 염증성 장 질환, 보다 특히, 염증성 결장 장 질병상태의 치료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질병상태(affection)"는 질환 또는 병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염증성 장 질병상태는 특히,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및 맹낭염, 특히,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는 림프종, 교모세포종, 골수종, 백혈병, 대장암, 유방, 전립선, 난소, 자궁, 췌장, 폐, 간, 담낭 및 신장의 암으로부터 선택된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박테리움 또는 박테리아는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이다. 이는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Christensenella intestinihominis), 및/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일 수 있다. 특히 적합한 변형예에 따르면, 이는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이다.
이러한 박테리아는 예를 들어, 문헌[Morotomi et al. 2012 (Morotomi, M., Nagai, F. & Watanabe, Y. Description of Christensenella minuta gen. nov., Sp. nov., Isolated from human faeces, which forms a distinct branch in the order Clostridiales, and proposal of Christensenellaceae fam. nov.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2, 144-149 (2012)) NDongo et al. 2016 (Ndongo, S., Dubourg, G., Khelaifia, S., Fournier, P.E. & Raoult, D. Christensenella timonensis, a new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the human gut. New Microbes and New Infections 13, 32-33 (2016))]에 공개된 프로토콜에 따라 인간 대변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문헌들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박테리아의 배양 방법을 기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박테리아는 특히, 접수 번호(filing number) DSM 22607, DSM 102344, DSM 102800의 미생물 및 세포 배양물(가능한 텍스트는 누락됨, German GmbH)의 수집물에서 입수 가능하고, 액세스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박테리움 또는 박테리아의 사용을 위해 유용한 박테리움 또는 박테리아는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에서, 적어도 유용한 박테리움 또는 박테리아 및/또는 이의 상청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투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인간 또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터류킨 6의 과잉 생산을 나타내는 인간 또는 동물에서,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의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 인터류킨 6의 증가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어, 염증성 장애, 알레르기 장애, 자가면역 장애, 이식거부 장애, 죽상동맥 경화증, 골다공증, 신경병증 통증, 패혈증, 캐슬만병, 섬유증 병태, 류머티스성 관절염, 소아 류머티스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골관절염, 난치성 류머티스성 관절염, 만성 비-류머티스성 관절염 또는 강직성 척추염,
- 인터류킨 8의 증가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골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뇌졸중, 패혈성 쇼크, 내독성 쇼크, 건선, 그람 음성 패혈증, 독성 쇼크 증후군, 신장 재관류 손상, 사구체신염, 혈전증, 이식편 대 숙주 반응, 동종이식 거부, 말라리아, 재협착, 혈관 신생, 죽상 동맥 경화증, 골다공증, 치은염 및 조혈 줄기세포의 원치 않는 방출, 호흡기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및 간연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 질환, 뇌수막염, 단순 헤르페스 뇌염, CNS 혈관염, 외상성 뇌손상, CNS 종양, 지주막하 출혈, 수술후 외상, 낭포성 섬유증, 가려움증, 간질성 폐렴, 과민증, 결정성 관절염, 라임 관절염, 진행성 골화 섬유이형성증, 급성 및 만성 췌장염, 괴사성 장염, 만성 부비동염, 포도막염, 다발근염, 혈관염, 여드름,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 셀리악병, 루푸스, 및/또는
- 인터류킨 10의 감소와 관련되거나 인터류킨 10을 증가시킴으로써 치료될 수 있는 질환, 예를 들어, 자가면역 질환, 장기 및 골수 이식의 거부, 이식편 대 숙주 질환, 기생충 감염, 육아종, 크론병, 대장염, 췌장염, 염증성 폐 질환, 염증성 안구 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및 비염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효량의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및/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와 같은,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에서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에 (i)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ii)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의 배양물 상청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개체에서 염증성 위장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에,
(i)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균주, 및/또는
(ii) 이러한 박테리아 균주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양물 상청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본 조성물은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으로 고통받는 인간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인간은 25 미만의 체질량 지수(BMI)를 가지며, 특히,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위장 질환으로 고통받는 인간에게 투여된다.
용어 "25 미만의 BMI"는 엄격하게 25 미만의 BMI, 보다 특히, 24.9 이하의 BMI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상기 인간은 특히, 25 미만 및 18.5 이상의 BMI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이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및/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또는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는 점에서 특징된다. 이는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조성물은 장 미생물군에서 크리스텐세넬라가 부족하지 않은 개체에서,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속이 이의 장 미생물군의 박테리아 속 전체 수의 적어도 0.01%를 나타내는 인간 또는 동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박테리움 또는 박테리아는 치료받는 사람 또는 동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는 조성물에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용어 "사람"은 개체, 특히, 인간 또는 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유용한 조성물은 투여되는 상기 조성물의 일일 용량당 106 내지 1012 콜로니-형성 단위(CFU)의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사람 또는 동물의 체중과는 무관하게 투여되는 박테리아의 일일 용량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용량은 하루에 1회 투여된다. 특히, 유용한 조성물은 투여되는 일일 용량당 107 내지 1011 CFU, 바람직하게는, 109 CFU의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특히, 조성물에 존재하는 상기 박테리아는 동일한 종, 종들의 혼합물 또는 박테리아 균주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조성물은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특히,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 및/또는 이를 보존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박테리아에 대한 배양 배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양 혈액이 풍부한 혐기성 컬럼비아 아가 배지, 또는 어떠한 동물 부산물도 함유하지 않은 동등한 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배양 배지"는 박테리아 또는 박테리아 균주가 이의 배양 동안 잔류하는 배양물 상청액, 또는 세포외 배지를 의미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조성물은 고체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박테리아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또한, 부형제, 예를 들어, 미정질 셀룰로스, 락토스, 수크로스, 프럭토스, 레불로스, 전분, 스타키오스, 라피노오스, 아밀룸, 칼슘 락테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나트륨 시트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말토덱스트린, 갈락토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 펙틴, 베타-글루칸, 락토글로불린, 아이소말토올리고당, 폴리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또는 글리세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조성물은 분말, 마이크로캡슐화 분말, 젤라틴 캡슐, 캡슐, 정제, 로젠지, 과립, 에멀션, 현탁액, 좌제, 음료, 식품, 의약품 또는 기능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보조 식품 또는 유제품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위-저항성 형태, 예를 들어, 마이크로캡슐화된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코팅된 정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본 발명의 박테리아가 손상된 위를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위액에 대한 저항성인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테리움 또는 박테리아의 방출은 상부 장관에서 처음으로 일어날 수 있다.
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 보충제에 포함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식품 보조제는 캡슐, 경질 캡슐, 연질 캡슐, 정제, 당-코팅된 정제, 환제, 페이스트, 로젠지, 검, 경구 용액 또는 에멀션, 시럽 또는 겔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충제는 감미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첨가제, 착향제 및/또는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제형은 당-코팅된 정제, 캡슐, 겔, 제어된 방출을 위한 하이드로겔, 에멀션, 정제 또는 캡슐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영양학적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영양학적 조성물은 요거트, 시리얼 바, 아침식사용 시리얼, 디저트, 냉동 식품, 수프, 애완동물 사료, 액체 현탁액, 분말, 정제, 검 또는 사탕 조각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산화제, 어유, DHA, EPA, 비타민, 미네랄, 식물 영양소, 단백질, 지질, 프로바이오틱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구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박테리아 본 발명에 따르면, 살아 있는, 반-활성, 비활성화된, 또는 죽은 형태, 바람직하게는, 살아 있는 형태가 단독으로 또는 상기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반-활성, 비활성화된 또는 죽은 형태의 상기 박테리아는 예를 들어, 조사, 열적 비활성화 또는 동결건조에 의해, 특히, 열, 적절한 pH에 대한 노출, UV, 감마선, X선 또는 고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어 "반-활성"은 증식하는 능력이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감소된 낮은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 박테리아를 지정한다. 용어 "비활성화된"은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더 이상 증식할 수 없는 박테리아를 지정한다. 용어 "죽은(dead)"은 정의상 더 이상 증식할 수 없는 박테리아를 지정한다. 죽은 또는 비활성화된 박테리아는 손상되지 않은 또는 파열된 세포막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어 "비활성화된"은 또한, 얻어진 박테리아의 추출물 및 용해물을 지정한다.
박테리아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에서, 전체 형태로, 즉, 본질적으로, 이의 본래 형태로, 또는 이러한 미생물의 분획 및/또는 대사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또는 용해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해물은 용해에 의해 얻어진 용해물 전체 또는 단지 이의 일부만을 의미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들 중 하나, 예를 들어, 열 충격, 초음파, 삼투압 충격, 또는 기계적 응력 하, 예를 들어, 원심분리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모두 반-활성, 비활성화된, 또는 죽은 것일 수 있다. 특히, 이는 살아 있는, 반-활성, 비활성화된 및 죽은 박테리아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의 적어도 일부, 특히, 적어도 50%(숫자 기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숫자 기준)는 살아 있다.
이에 따라, 적합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의 적어도 50%(숫자 기준)는 살아있는 박테리아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숫자 기준)는 살아있는 박테리아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살아있는 박테리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제형에 대한 저장 조건은 시일링된 패킷에서 -20℃에서 유지된 냉동 제품의 형태이다. 고체 제형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조건은 15℃ 내지 40℃의 주변 온도 및 3% 내지 70%의 습도 함량에서 유지된, 광 및 산소에 대해 밀폐된 캡슐 또는 코팅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은 소화관, 특히, 창자를 위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박테리아, 및 특히,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국소, 흡입, 또는 직장 경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직장 또는 직장내로 투여될 수 있다.
특히, 직장 또는 직장내 투여는 좌제, 관장제 또는 포말 형태로 수행된다.
본 발명자는 또한, 놀랍게도, 아케만시아 균주 및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균주의 항-염증 특성을 증가시키는 크리스텐세넬라 균주의 능력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위장 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균주(또는 이러한 균주의 배양물 상청액)와 아케만시아 균주(또는 이러한 균주의 배양물 상청액)의 조합물의 상승적 효과, 및 특히, 위장 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또는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균주(또는 이러한 균주의 배양물 상청액)와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균주(또는 이러한 균주의 상청액)의 조합물의 상승적 효과의 존재를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조성물은
(i) 베루코마이크로비아시에 과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ii) 상기 추가의 박테리아의 배양물 상청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루코마이크로비아시에 과의 추가의 박테리아는 아케만시아 속, 보다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종의 박테리아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종의 박테리아는 또한,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로 불리는 박테리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박테리아 및 추가의 박테리아는 서로 독립적으로, 살아 있는, 반-활성, 비활성화된 및/또는 죽은 형태이고, 특히, 살아 있는 형태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07 내지 1011 콜로니 형성 단위(CFU)를 나타내는 일일 용량, 바람직하게는, 109 CFU와 동등한 일일 용량의 베루코마이크로비아시에 과의 박테리아, 특히, 아케만시아 속의 박테리아, 보다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박테리아의 투여를 위해 적합하다.
상기 언급된 박테리아 중 어느 하나의 배양물 상청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99 중량%, 특히, 10 내지 90 중량%, 특히, 25 내지 70 중량% 및, 보다 특히, 30 내지 50 중량%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99 중량%, 특히, 10 내지 90 중량%, 특히, 25 내지 70 중량%, 보다 특히, 30 내지 50 중량% 함량의 상청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박테리아에 추가하여, 적어도 1종의 프로바이오틱, 및/또는 적어도 1종의 프리바이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박테리아에 추가하여, 다른 화합물, 예를 들어,
- 적어도 1종의 프로바이오틱, 및/또는
-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에 유리한 혐기성 환경을 생성시킬 수 있게 하는 락트산을 생성하는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종, 비피도박테리움 종, 스트렙토코쿠스 종 및/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종의 속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효모 또는 메타노박테리아세아에 과의 미생물과 같은,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혐기성 조건을 증진시키는 적어도 1종의 다른 유기체의 박테리아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 장에서 생존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의 생태계와 관련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예를 들어, 피르미쿠테스, 박테로이데테스, 악티노박테리아, 테네리쿠테스 및 베루코마이크로비아 문의 박테리아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 클로스트리달레스, 베루코마이크로바이알레스, 아에로모나달레스, 알테로모나달레스, ML615J-28, RF32, YS2, 클로스트리디아세아에 과, 라크노스피라세아에, 루미노코카세아에, 박테로이다세아에, 엔테로코카세아에, 리케넬라세아에, 데할로박테리아세아에, 베일로네라세아에 목(order)의 박테리아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 패칼리박테리움, 아케만시아, 유박테리움 및 오실로스피라의 박테리아, 예를 들어, 패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유박테리움 할리이, 오실로스피라 구일리에르몬디이 속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 적어도 1종의 프리바이오틱, 예를 들어, 갈락토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 이눌린, 아라비녹실란, 베타-글루칸, 락토글로불린 및/또는 베타-카제인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프리바이오틱, 및/또는
- 적어도 1종의 폴리페놀, 예를 들어, 케르세틴, 캠페롤, 레스베라트롤, 플라본(예를 들어, 루테올린), 플라반-3-올(예를 들어, 카테킨), 플라바논(예를 들어, 나리네닌), 아이소플라본, 안토시아니딘, 프로안토시아니딘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폴리페놀, 및/또는
- 적어도 1종의 미네랄 및/또는 적어도 1종의 비타민 및/또는 적어도 1종의 영양제, 및/또는
- 바람직하게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 약물, 전염증성 표적에 대해 유도된 항체(항-TNF알파), 항류머티스 약물, 진통제, 항균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동화성 스테로이드, 항당뇨병제, 갑상선제, 지사제, 기침 억제제, 제토제, 항궤양제, 설사제, 항응혈제, 에리스로포이에틴, 면역글로불린, 면역억제제, 성장 호르몬, 호르몬 약물,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알킬화제, 항대사물질, 유사분열 저해제, 방사선약물, 항우울제, 항정신병약, 항불안제, 최면제, 교감 신경 흥분제, 흥분제, 도네페질, 타크린, 천식 약물, 베타-효능제, 흡입용 스테로이드, 류코트리엔 저해제, 크로모글리케이트 또는 크로모글리산, 에피네프린, 알파 도르나제, 사이토카인, 사이토카인 길항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활성 약제학적 제제
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에,
(I) (a)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b)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의 적어도 1종의 배양물 상청액;
(II) (a) 아케만시아 속, 보다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종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b) 아케만시아 속, 보다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종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의 적어도 1종의 배양물 상청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체에 유효량의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종의 박테리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염증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개체에 유효량의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종의 박테리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IL-6의 수준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IL-6의 수준을 안정화시키고/시키거나 IL-6 수준의 증가를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체는 치료 전에 IL-6의 상승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상승된 혈청 IL-6 수준은 5 pg/㎖ 초과, 10 pg/㎖ 초과, 20 pg/㎖ 초과, 30 pg/㎖ 초과, 40 pg/㎖ 초과, 50 pg/㎖ 초과, 70 pg/㎖ 초과, 90 pg/㎖ 초과 또는 100 pg/㎖ 초과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개체에 유효량의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종의 박테리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IL-8의 수준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IL-8의 수준을 안정화시키고/시키거나 IL-8 수준의 증가를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체는 치료 전에 상승된 혈청 IL-8 수준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상승된 혈청 IL-8 수준은 5 pg/㎖ 초과, 10 pg/㎖ 초과, 20 pg/㎖ 초과, 30 pg/㎖ 초과, 40 pg/㎖ 초과, 50 pg/㎖ 초과, 70 pg/㎖ 초과, 90 pg/㎖ 초과 또는 100 pg/㎖ 초과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개체에 유효량의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특히, 크리스텐세넬라 종의 박테리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IL-10의 수준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IL-10의 수준을 안정화시키고/시키거나 IL-10 수준의 감소를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체는 치료 전에 낮은 혈청 IL-10 수준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낮은 혈청 IL-10 수준은 15 pg/㎖ 미만, 10 pg/㎖ 미만 또는 5 pg/㎖ 미만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체에 유효량의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카이뉴레인의 수준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카이뉴레인의 수준을 안정화하고/하거나 카이뉴레인 수준의 증가를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체는 치료 전에 높은 대변 카이뉴레인 수준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염증과 관련된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개체에 유효량의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박테리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염증과 관련된 암을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개체에서 기에 언급된 염증의 마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상기 마커는 바람직하게는, 혈청, 혈액 또는 대변에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질환으로부터 고통받는 개체에서 구현되며, 상기 개체는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움 크리스텐세넬라는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또는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로부터의 16S 리보솜 RNA 유전자와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서열 동일성,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선택된 서열과 적어도 97%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16S 리보솜 RNA 유전자를 포함한다.
서열번호: 1은 인간 대변 샘플로부터 단리된, 박테리움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DSM 22607의 16S 리보솜 RNA 유전자의 서열이다. 시. 미뉴타 16S rRNA 서열은 GenBank 수탁번호 AB490809로 식별된다. 서열번호: 2는 박테리움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DSM 22607로부터의 16S 리보솜 RNA 유전자 서열의 일부이다.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에 대한 추가 16S 서열, 예를 들어, 서열번호: 3 내지 6(각각 Greengenes 데이터베이스에서 OTU 번호 701845, 177179, 1146771, 및 361793)이 제공된다. 서열번호: 1에 대한 각 서열의 동일성은 하기와 같다: 서열번호: 3, 서열번호: 1과 93% 동일성; 서열번호: 4, 서열번호: 1과 95% 동일성; 서열번호: 5, 서열번호: 1과 97% 동일성; 서열번호: 6, 서열번호: 1과 95% 동일성.
특히, 상기 방법은 전술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박테리아의 혼합물인 지의 여부, 투여되는 양, 생존 가능 박테리아의 양, 추가 성분, 예를 들어, 약제학적 활성 성분, 프리바이오틱 또는 프로바이오틱, 비타민, 미네랄, 영양제, 다른 미생물, 상기 조성물의 특정 제형, 예를 들어, 분말, 캡슐, 등에 의해 특징되는,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또는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당연하게도, 본 방법은 충분한 양의 경구, 흡입, 국소, 직장 또는 직장내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에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박테리아의 예, 이러한 박테리아를 배양하는 방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예, 및 단지 예시 목적으로만 나타낸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는 시험 결과를 예시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를 하기에 기술되는 작업 프로토콜에 따라 배양할 수 있다.
1/ 증류수 중에 탈수된 RCM(강화된 클로스트리듐 배지)을 용해시킴.
2/ 0.5 ㎖/ℓ의 레자주린-Na 용액(0.1% w/v)을 첨가함.
3/ 80% N2와 20% CO2의 가스 혼합물을 주입하면서 비등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킴.
4/ 무산소 헌게이트-타입 튜브(anoxic Hungate-type tube)에 또는 혈청의 바이알에 동일한 기체 분위기 하에서 배지를 살포하고, 이후에, 오토클레이브함.
5/ 사용하기 전에, 80% N2와 20% CO2의 가스 혼합물과 함께 제조된 멸균 무산소 스톡 용액으로부터 1 리터당 1.0 g의 나트륨 카보네이트를 첨가함.
6/ 오토클레이빙 후에 배지의 pH를 체크하고, 80% N2와 20% CO2의 가스 분위기에서 제조된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 w/v)의 멸균 무산소 스톡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7.3 내지 7.5 사이로 조정함.
실시예 2: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를 하기에 기술되는 작업 프로토콜에 따라 배양할 수 있다.
1/ 하기에 제공되는 DSMZ(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의 지침에 따라 카복시메틸셀룰로스(N2/CO2) 배지를 제조함.
Figure pct00001
2/ 시스테인, 탄수화물 및 카보네이트를 제외하고, 상기 표에 나열된 다양한 구성성분들을 용해시킴.
3/ 배지를 1분 동안 비등시키고, 이후에, 이를 80% N2 및 20% CO2에서의 기체 분위기 하에서 실온까지 냉각시킴.
4/ 0.5 g/ℓ의 L-시스테인-HCl×H2O를 첨가하고, 이를 동일한 가스상 대기 하에서 헌게이트-타입 튜브(육류 입자를 필요로 하는 균주의 경우, 이를 먼저 튜브에 도입하고, 4 또는 5부의 액체에 대해 1부의 육류 입자를 사용함)에 부었음.
5/ 121℃에서 2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함.
6/ 오토클레이빙 후에, 100% N2 가스와 함께 제조된 멸균 무산소 스톡 용액으로부터의 글루코스, 셀로비오스, 말토스 및 전분을 첨가하고, 80% N2 및 20% CO2의 가스 혼합물 하에서 제조된 멸균 무산소 스톡 용액으로부터의 카보네이트를 첨가함.
7/ 필요한 경우에, 배지의 pH를 7로 조정함.
육류 여과액의 제조:
[표 2]
소 살코기 또는 말고기를 사용한다.
자르기 전에 지방 및 결합 조직을 제거한다.
육류, 물 및 NaOH를 혼합하고, 이후에, 교반하면서 15분 동안 비등시킨다.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표면 및 균주로부터 지방을 제거하고, 육류 입자 및 여과액을 잔류시킨다.
여과액에 물을 1000.0㎖의 최종 부피까지 첨가한다.
박테리아는 혐기성 조건 하에서 37℃에서 배양되어야 한다.
실시예 3: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는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에 대해 실시예 2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작업 프로토콜에 따라 배양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균주
하기에 기술되는 모든 균주를 독일 DSMZ 컬렉션(collection)(Leibnitz DSMZ Institute)으로부터 획득하였다.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DSM 22607,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DSM 102800 및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DSM 22959를, N2=85%, CO2=10% 및 H2=5%가 채워진 혐기성 챔버에서 셀로비오스(1 ㎎/㎖; Sigma), 말토스(1 ㎎/㎖; Sigma), 시스테인(0.5 ㎎/㎖; Sigma) 및 뮤신(1 ㎎/㎖; Sigma)이 보충된 YBHI 배지[0.5% 효모 추출물이 보충된 뇌-심장 관류 배지(Difco)] 중에서 37℃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5: 상청액을 기초로 한 유용한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조성물의 예는 균주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DSM 22607,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DSM 102800 및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DSM 22959의 0.1 내지 95% 배양물 상청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액체 형태의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액체 형태의 조성물의 예는 동물 부산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5% 글리세롤이 풍부하도록 변형된, 상기에 기술된 혐기성 RCM 배양 배지 중에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109 CFU/㎖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RCB(Research Cell Bank)로부터 획득된 실시예 6의 조성물을 1010 CFU/㎖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로로부터 제조하고, 이후에, 산소로부터 시일링된 패킷에서 -20℃에서 냉동 저장하였다.
냉동된 조성물은 사용하기 전에 액체 형태로 되돌아갈 때까지 실온으로 가온되어야 한다.
실시예 7: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고체 형태의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동결건조된 형태의 조성물의 실시예는 실시예 6의 조성물을 냉동된 상태로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는 시험 결과
1.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 카이뉴레인 )의 시험관내 항염증 효과의 설명.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의 시험관내 항염증 효과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의 설명은 염증의 공지된 마커인, 카이뉴레인에 대해 수행하였다. 인간 대변을 수집하고, 발효기에서 배양하였다. 크리 스텐세넬라 종의 존재비는 발효기에 존재하는 카이뉴레인의 존재비와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작업 프로토콜은 하기에 기술되어 있다.
1/ 크리스텐세넬라 종을 함유하는 인간 기원의 대변으로부터의 발효 프로토콜:
- 공여자는 실험 전 6개월 동안 항생제를 복용해서는 안되고, 위장 장애의 병력이 없어야 한다. 공여자는 18세 내지 60세이었다.
- 이의 대변의 새로운 샘플의 수집물을 Oxoid™ AnaeroGen™ 2.5L 사세(O2 <0.1%; CO2: 7 내지 15%)를 함유하는 혐기성 바이알에 유지된, 멸균 플라스틱 용기에서 수득하였다. 이러한 샘플을 생산 후 2시간 내에 실험실로 가져왔다.
- 대변 샘플을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1M)(PBS), pH 7.4 중에 1/5(중량/부피)로 희석하였다. 현탁액을 스토마커(stomacher)에서 120초 동안 균질화하였다.
- 기본 영양 배지: 기본 영양 배지를 2 g/ℓ의 대두 트립톤 브로쓰, 2 g/ℓ 효모 추출물, 0.1 g/ℓ NaCl, 0.04 g/ℓ K2HPO4, 0.01 g/ℓ MgSO3.7H2O, 0.01 g/ℓ CaCl2.6H2O, 2 g/ℓ NaHCO3, 0.5 g/ℓ L-시스틴 HCl, 2 ㎖/ℓ 트윈 80, 10 ㎕/ℓ 비타민.K1, 0.05 g/ℓ 헴, 0.05 g/ℓ 담즙염, 4 ㎖/ℓ 레자주린(pH 7)으로부터 제조하였다.
- 생물발효기에서의 발효: 20㎖ 생물발효기는 18㎖의 기본 영양 배지를 함유하고, 오토클레이빙하고(15분 동안 121℃), 멸균 생물발효기에 무균적으로 부었다. 이러한 시스템을 2 ㎖/분의 속도로 배지를 통해 버블링되는 무산소 질소와 함께 밤새 정치시켰다. pH를 HCl 또는 NaOH(0.5M)를 사용하여 6.7 내지 6.9에서 유지하였다. 각 생물발효기의 온도를 37℃에서 조절하고, 용기의 내용물을 자석 믹서로 균질화하였다.
- T0에서 2㎖ 대변 접종물을 접종하기 전에 용기에 미리 소화된 단백질(0.35 g)의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미리 소화된 단백질을 문헌[Versantvoort et al. (2005)]의 프로토콜로부터 개조된 위장 소화 프로토콜에 따라 수득하였다.
- 샘플을 발효 전(T0) 및 배양 48시간 후(T48)에 수집하고, 분석이 수행될 때까지 -80℃에서 냉동시켰다.
2/ 카이뉴레인의 정량화
- -80℃에서 수집되고 저장된 50㎕의 샘플을 20㎕의, 내부 표준물을 함유하는 Milli-Q 물과 혼합하였다.
- 혼합물을 혼합하고, 5-kDa 컷오프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거대 분자를 제거하였다.
- 대사물을 모세관 전기영동-비행시간 질량 분석법(CE-TOFMS) 분석에 의해 검출하였다. 최대 검출 한계를 신호-대-잡음비(S/N=3)를 기초로 하여 결정하였다.
상대적인 최대 면적 = (대사물의 최대 면적):(내부 표준물의 최대 면적×샘플의 양).
3/ 크리스텐세넬라 종의 정량화
- 샘플에 함유된 DNA를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Macherey-Nagel로부터의 NucleoSpin®96 Soil 키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 이후에, 전체 추출된 DNA를 350 bp의 단편으로 무작위적으로 단편화시키고, 이후에,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New England Biolabs으로부터의 NEBNext Ultra II 키트를 이용하여 라이브러리를 작제화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이후에, 라이브러리를 Illumina HiSeq 플랫폼 상에서 2×150 bp 페어드-엔드 시퀀싱(paired-end sequencing)을 이용하여 시퀀싱하였다.
- 22M 유전자를 함유하는 참조 카탈로그로부터 메타게놈 종(MGS)의 카탈로그를 생성시킴으로써 박테리아의 존재비를 측정하였다. 이후에, 이러한 MGS는 적절한 분류학적 수준에서 연관되었다. 크리스텐세넬라의 경우에, 이러한 것들을 속-수준에서 검출하였고, 이에 따라, 이러한 실험에서 크리스텐세넬라 종으로 언급하였다.
카이뉴레인의 상대량(측정된 총량에 대해) 및 크리스텐세넬라 종의 상대 존재비(측정된 총량에 대해)를 분석하고, 상관시켜 R=-0.44(n=18)의 선형 회귀를 얻었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2
2.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IL-8)의 시험관내 항염증 효과의 설명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실시예 4에 따른 박테리아의 시험관내 항염증 효과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을 염증의 마커 중 하나인 인터류킨 8(IL-8)에 대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하기와 같이 얻어지는 HT-29 세포에 대해 수행하였다:
HT-29(ATCC HTB-38) 인간 결장 상피 세포(LGC Standards)를 10%(w/v) 열-활성화된 우태아혈청(FBS)(GibcoBRL, Eragny, France) 및 페니실린 G/스트렙토마이신(5000 IU/㎖, 5000 ㎍/㎖)(Sigma-Aldrich)이 보충된 둘베코 변형 이글 최소 필수 배지(DMEM)(Sigma-Aldrich)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물을 25㎠ 조직 배양 플라스크(Nunc, 덴마크 로스킬데 소재)에서 37℃에서 5%(v/v) CO2 대기 중에서 컨플루언스에 도달할 때까지 인큐베이션하였다.
본 연구의 작업 프로토콜은 하기에 기술된다.
단일 배양물 및 나열된 균주들 간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공동 배양물을 시간 0에서 제조하였다. 24시간에, 박테리아 샘플을 6000 rpm에서 10분 동원 원심분리하였다. 시험관내 면역조절 특성의 분석을 계속하기 위해 이에 따라 수득된 상청액을 -80℃에서 저장하였다.
항-염증 시험을 문헌[Kechaou et al., 2012 (Kechaou N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2012, 79:1491-1499)]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상세하게는, 웰 당 50,000개의 HeLa 또는 HT-29 세포를 24-웰 배양 플레이트(Nunc)에 파종하였다. 박테리아와 접촉하기 24시간 전에, 배양 배지를 5% FBS를 함유하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실험을, 세포가 컨플루언스에 있을 때(1.83×106 세포/웰) 파종 후 7일째에 수행하였다. 박테리아 공동 배양(6일)하기 24시간 전에, 배양 배지를 5% 열-비활성화된 FBS 및 1% 글루타민을 함유하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공동 배양일에, 10% 박테리아 상청액을 DMEM에 500㎕의 총 부피로 첨가하였다. 세포를 10% CO2 중에서 37℃에서 6시간 동안 인간 TNF-α(5 ng/㎖; Peprotech, 뉴저지 소재)와 동시에 자극시켰다. 모든 샘플을 3회 반복하여 분석하였다. 공동-인큐베이션 후에, 세포 상청액을 수집하고, ELISA(Biolegend,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소재)가 인터류킨-8(IL-8)의 추가 분석을 수행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실험을 적어도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도 1은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의 존재 하에서 TNF-α에 의해 자극받은 HT-29 세포에서 IL-8의 생산을 도시한 것이다. 결과를 IL-8(pg/㎖)으로 나타내었고, 음성 대조군으로서 PBS와 공동-인큐베이션 후에 생산된 IL-8을 기준값으로서 사용하여 정규화하였다. 결과를 Kruskal Wallis 검정, 이후에 던 다중 비교 검정(*p<0.05; **p<0.0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raphPad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미국 캘리포니아주 라호이야 소재)를 통계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결과를 박스플롯(최소에서 최대) 형태로 나타내었다. 비교를 Kruskal-Wallis 비무수 검정 이후에 던 다중 비교로 수행하였다. 0.05 미만의 p-값은 유의미한 것으로 여겨졌다.
결과는 하기에 기술되어 있다:
기준 균주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DSM 22959는 이의 면역조절 특성, 및 보다 특히, 이의 항염증 효과에 대해 널리 알려져 있다(Derrien M, Belzer C, de Vos WM. Microb Pathog. 2017 May; 106:171-181. doi: 10.1016/j.micpath.2016.02.005. Epub 2016 Feb. 11).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DSM 22607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DSM 102800의 균주가 면역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HT-29 결장 상피 세포에서 TNF-α 자극에 의해 유도된 IL-8(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차단하는 능력을 기초로 한 모델에서 균주의 상청액의 면역조절 특성을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2개의 균주가 본 발명자의 양성 대조군(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DSMZ 22959)과 동일한 방식으로 IL-8의 생산을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도 1).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DSM 22607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DSM 102800은 시험관내에서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DSMZ 22959의 항-염증 특성을 증가시킨다.
크리스텐세넬라의 구성원이 장 미생물군의 다른 구성원의 항-염증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와의 공동배양을 수행하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DSM 22607 및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DSM 102800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방식으로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DSMZ 22959의 항-염증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3.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IL-8)의 시험관내 항염증 효과의 설명.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박테리아의 시험관내 항염증 효과를 설명하는 것이다. 설명을 염증의 마커 중 하나인 인터류킨-8에 대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작업 프로토콜은 하기에 기술된다.
HT-29 세포가 컨플루언스(파종 후 대략 7일)에 있을 때, 5% FCS를 함유하는 배지로 대체하기 위해, 이후에 완전 배지(DMEM Glutamax + 10% FCS)를 제거하였다(D0). D+1에, 배지를 제거하였다. 2개의 배지(DMEM Glutamax + 5% FCS +/- TNF-α)를 제조하였다. 450 ㎕/웰의, 2개의 배지 중 하나를 이후에 첨가하고, 50㎕의 시험할 상청액을 첨가하였다. 6시간의 공동-인큐베이션 후에, 상청액을 회수하고, -80℃에서 저장하였다. IL-8 케모카인 ELISA 검정일 이후에 수행하였다(Biolegend로부터의 인간 IL-8로 셋팅된 ELISA MAX Deluxe).
도 2는 TNF-α에 의해 유도된 염증 상태의 HT-29 세포(결장 선암종)에 의해 분비된 케모카인 IL-8의 검정을 도시한 것이다. 면역조절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종의 박테리아에 속하는 상이한 박테리아 상청액(시. 미뉴타 1, 시. 미뉴타 2, 시. 미뉴타 3, 시. 미뉴타 4 및 DSMZ, 균주 DSM22607에 해당함)을 시험하였다. 박테리아 배양 배지(GAM)는 상청액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하는 대조군을 나타낸다. 실험을 3회 반복하면서 4차례 수행하였다.
시험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모든 균주는 항-염증 면역조절 효과(분비된 IL-8의 수준의 50% 이상의 감소)를 가지며, 이는 크리스텐세넬라의 항-염증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4. 장 상피 막의 투과성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의 효과의 설명.
도 3은 Caco-2 상피 세포에서 얻어진 경상피 전기 저항의 측정을 나타낸 것이다. 후자는 소화관에 존재하는 장 장벽을 모방하여, 세포에 의해 생성된 이러한 장벽의 완전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분화에 의해 이들 사이의 접합부(밀접 접합부)를 확립시킨다.
사이토카인 TNF-α(종양 괴사 인자)의 첨가는 이러한 밀접 접합부를 파괴하고, 이후에, 막 투과성을 증가시켜, 예를 들어, 염증성 또는 감염성 질환을 증진시키고, 이에 따라, TEER 비율(DMEM + TNF-α 대조군)을 감소시킨다. "DMEM" 대조군은 TNF-α 또는 박테리아가 없는, 세포 배양 배지만이 존재하는 웰을 나타낸다.
경상피 전기 저항(TEER)은 통과하는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상피 조직의 장벽의 완전성을 정량화하는 방법이다. 반-투과성 막 상에서 배양된 상피 세포의 층의 양쪽 극 모두에 전극을 배치시킴으로써 TEER 측정을 수행하였다. 전극은 교류를 인가하여 상피 세포의 층을 통해 전기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TEER 비율을 하기 계산식에 의해 얻었다:
Figure pct00003
트랜스웰 플레이트에서 Caco-2 세포(장 상피 세포)를 파종하고 7일 후에, TEER을 자동화 기계(RE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값을 기록하고, 이는 출발 값(T0)을 나타낸다. 이후에, 세포를 후자가 세포에 접착하는 시간인 3시간 동안 (MOI 1/40)에서 박테리아의 존재 하에서 공동-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에, 세포에 TNF-α를 접종하여, 특히 밀접 접합부에서 상피 세포층의 파괴를 유도한다. 박테리아를 첨가하고 24시간(T24) 후에, TEER을 다시 측정하였다.
이러한 도면은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박테리아가 경상피 저항을 개선시킴으로써 장 장벽의 완전성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는데, 이는 밀접 접합부 단백질에 대한 잠재적인 효과 및 장 투과성의 감소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박테리아는 상피 막의 저항을 복원할 수 있게 한다.
5.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의 생체내 항염증 효과의 설명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박테리아의, 마우스에 대한 생체내 항염증 효과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을 염증의 주요 마커인, 2개의 사이토카인, 즉, IL-6(인터류킨 6) 및 TNF-α(종양 괴사 인자-알파)에 대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블라인드 여구로서 수행하였다. 실험자들은 이들의 사전 지식이 본 연구의 결과에 어떠한 방식으로든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치료법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작업 프로토콜은 하기와 같이 기술한다.
- 4주령 C57BL/6 수컷 마우스를 Charles River(St Germain sur I'Arbresle, 프랑스 소재)로부터 구매하였다.
- 마우스를 본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표준 식단("차우 식단(chow diet)(SafeA04)")을 기초로 한 식단에 1주일 동안 순응시켰다.
- 첫째날(D0)에, 동물에게 지방이 풍부한 식단(45% kcal "Research Diet D12451")을 적용하고, 2개의 그룹(그룹당 n=5)으로 무작위로 나누었으며, 각각은 150㎕의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109 CFU/㎖)의 용액, 즉, 박테리아의 성장을 위해 사용되는 배양 배지로 이루어진 대조군 용액을 12주 동안 수용하였다. 동물은 본 연구의 기간 동안 자유롭게 음식 및 물을 제공받았고, 제어된 온도(22.0±2.0℃) 및 습도(40 내지 50%)의 방에서 12시간 낮(오전 8시 내지 오후 8시)/12시간 밤의 주기로 유지시켰다.
- 실험 마지막날(D85)에, 마지막 혈액 샘플을 마취된 동물로부터 (케타민/자일라진 80/10 ㎎/㎏의 혼합물과 함께) 채혈하였다. 혈액 샘플을 헤파린 설페이트(200 IU/㎖ 혈액)가 미리 채워진 원심분리기 튜브에 수집하였다. 혈장을 원심분리(3500 rpm, 15분, 4℃)에 의해 분리하고, 수집하고, 이후에, 분석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 사이토카인 IL-6 및 TNF-α의 혈장 수준을 "lnvitrogen® Luminex® Cytokine Mouse Magnetic 10-Plex" ELISA 검정 키트를 이용하고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결정하였다. 측정을 VEBIO(프랑스 아르케이 소재)에 의해 수행하였다.
45%(cal)의 고지방 식단으로 85일의 후에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및 IL-6의 검정 결과(표 4에 제시됨)는,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가 염증을 강력하게 제한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6.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의 생체내 항염증 효과의 설명
동물이 도착한 즉시, 동물을 케이지에 넣고(케이지당 n=5), 마우스가 운송에서 회복하고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짐으로써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순응 기간을 시작하였다. 1주 후에, 모든 그룹의 위관영양(5-ASA 대조군, 약리학적 항-염증성 대조군 제외)뿐만 아니라 체중 모니터링을 시작하였다. 대조군 마우스(ctlr-비히클 및 DNBS-비히클)에 대해 150㎕의 PBS/16% 글리세롤로 위관영양을 수행하였다. DNBS-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시. 미뉴타) 마우스에 대해 PBS/16% 글리세롤 중에 재현탁된 1010 CFU/㎖로 150㎕의 시. 미뉴타 DSM 22607로 위관영양을 수행하였다. 2주 후에, 염증을 DNBS(디니트로벤젠설페이트)로 불리는 화학물질에 의해 유발시켰다. 후자를 직장에 삽입된 프로브에 의해 마우스의 결장에 직접 주사하였다. DNBS를 30% 에탄올에 용해시킴으로써, 이러한 것이 장 장벽을 약화시켜 DNBS가 조직에 들어가는 것을 촉진시키고 이에 따라 면역 체계 및 및 이에 따라 염증을 촉발시킬 수 있다. 위관영양은 이러한 기간 동안 계속되며, 5-ASA 그룹의 위관영양은 이러한 주사 당일에 150㎕(5-ASA의 용액은 PBS 중에 재현탁된 2 ㎎/마우스로 매일 아침에 제조됨)로 시작하였다. 주사하고 3일 후에 안락사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소위 "회복" 기간은 짧지만, DNBS 대조군과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도 4는 DNBS에 의해 유도된 염증 모델에 대한 시험 동안 평가된 다양한 파라미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서, 체중 감량의 모니터링을 주사일, 및 이에 따라, 이어지는 회복 기간(D1, D2 및 D3)으로부터 관찰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치료 투여 후에 더 빠른 것으로 보이는 회복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도 4B에서, 거시적 점수는, 질환의 중증도의 수준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DSM 22607로의 치료 후에, 스코어의 유의미한 감소가 관찰되었고, 또한, 약리학적 항-염증제, 5-ASA(비교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되는 5-아미노살리실산)에서 관찰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4C 및 도 4D는 특히, 마이엘로퍼옥시다제의 활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평가된, 결장에서의 호중구의 존재를 감소시킴으로써, DSM 22607의 면역조절 가능성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비장에서 인터류킨-10의 증가(도 4D)는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와 관련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7.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의 생체내 항염증 효과의 설명
주사하고 3일 후에, 동물을 안락사시켰다. 마우스의 체중을 매일 측정함으로써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측정하였다. 희생하는 동안, 거시적 점수화를 수행하기 위해 결장을 열고 세정하였다. 후자는 조직 내 혈액의 존재(충혈), 궤양의 존재, 장 통과(예를 들어, 마우스가 변비에 걸린 경우) 및 DNBS에 의해 유도된 결장의 비대를 기초로 한 것이다.
마이엘로퍼옥시다제(MPO)의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또한 결장의 한 조각을 회수하였다. 이러한 효소는 염증의 마커인 호중구에 존재한다. 이는 또한, 활성 산소 종(ROS)의 생산에 참여한다. 이러한 시험 동안, 샘플의 크기에 따라 결과를 정규화하기 위해 결장을 계량한 후에, 이러한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열량 반응을 일으킨다.
비장은 또한, 희생(말초 림프구 장기) 동안 회복되며, 선천적 및 후천적 면역 반응의 세포는 IL-10, 항-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분비된 사이토카인을 검정하기 위해 자극을 받는다.
도 5는 도 4에 제시된 실험의 반복 동안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다른 균주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실험 설계 및 방법은 유사하다. 이러한 경험은 시험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모든 균주가 DNBS의 직장내 주사 후 거시적 점수를 감소시키는 데 동일한 효능을 가짐을 교시한다. 마찬가지로, 시험된 모든 균주는 MPO 활성의 감소를 초래하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8. 크리스텐세넬라 박테리아의 항-증식 효과의 설명
HT-29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서 100㎕의 총 부피에서 10,000개의 세포/웰의 밀도로 접종하였다. 24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배양 배지를 부착 세포로부터 제거하고, 10%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고정상 상청액이 보충된 새로운 배지(DSMZ, 시. 미뉴타 1 및 시. 미뉴타 2 및 대조군 GAM(박테리아 배양 배지))를 첨가하였다. 각 조건을 4회 반복 수행하였다. 세포를 추가 48시간 또는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증식을 CellTiter-Glo 2.0 검정 키트(Promega)의 평균으로 결정하였다. 측정을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간단히,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에서 꺼내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동일한 부피의 CellTiter-Glo 2.0 시약을 웰(100㎕)에 직접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회전식 쉐이커를 이용하여 300 rpm에서 2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에, 실온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후에 백색 벽의 96-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발광 신호를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FLUOstar Omega, BMG Labte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6은 종양 세포의 증식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균주의 영향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종양 세포의 증식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균주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자는 HT-29 라인인, 인간 결장 선암종 세포주를 처리함으로써 이러한 상청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HT-29 세포의 증식에 대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상청액의 효과는 48시간 및 72시간 후에 평가되었다. 균주 DSM22607(DSMZ), 시. 미뉴타 1 및 시. 미뉴타 2의 상청액은 박테리아 배양 배지로 처리된 세포에 해당하는 "GAM" 대조군과 비교하여, 48시간 및 72시간 동안 처리된 세포의 증식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다(통계적 시험 = 던네트, 여기서, 대조군은 GAM임; ****GAM 대 DSMZ p<0.0001, *GAM 대 시. 미뉴타 1 p=0.0140, **48시간에 GAM 대 시. 미뉴타 2 p=0.0027 및 **** 72시간에 p<0.0001). Akt 저해제 VIII은 세포 증식을 차단하기 위한 대조군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시험된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의 상이한 균주의 상청액이 HT-29 종양 라인의 증식 감소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 이러한 균주가 종양 발달의 저해하는 데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YSOPIA BIOSCIENCES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POUR L'AGRICULTURE, L'ALIMENTATION ET L'ENVIRONNEMENT ALMA MATER STUDIORUM - UNIVERSITA DI BOLOGNA <120> BACTERIUM OF THE CHRISTENSENELLACEAE FAMILY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AND/OR INFLAMMATORY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OR CANCERS <130> WO/2020/182916 <140> PCT/EP2020/056565 <141> 2020-03-11 <150> US 62/816,539 <151> 2019-03-11 <150> FR 1902437 <151> 2019-03-11 <150> FR 1908384 <151> 2019-07-24 <160> 6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495 <212> DNA <213> Christensenella minuta <400> 1 ggctcaggac gaacgctggc ggcgtgctta acacatgcaa gtcgaacgag gttgcccttt 60 gtgaatcctt cgggaggaac tgtgggtata ccgagtggcg gacgggtgag taacgcgtga 120 gcaacctgcc ctgcaacggg ggacaacagt tggaaacgac tgctaatacc gcatgagacc 180 acgaaaccgc atggttttga ggtaaaagga tttattcgat gcaggatggg ctcgcgtccc 240 attagatagt tggtgaggta acggcccacc aagtcaacga tgggtagccg acctgagagg 300 gtgatcggcc acactggaac tgagacacgg tccagactcc tacgggaggc agcagtgggg 360 aatattgggc aatgggggaa accctgaccc agcaacgccg cgtgagggaa gaaggtcttc 420 ggattgtaaa cctttgtcct atgggacgaa agaaatgacg gtaccatagg aggaagctcc 480 ggctaactac gtgccagcag ccgcggtaat acgtagggag caagcgttgt ccggaattac 540 tgggcgtaaa gggtgcgtag gtggtcatgt aagtcagatg tgaaagaccg gggcttaacc 600 ccggggttgc atttgaaact gtgtgacttg agtacaggag agggaagtgg aattcctagt 660 gtagcggtga aatgcgtaga tattaggagg aacaccagtg gcgaaggcga ctttctggac 720 tgtaactgac actgaggcac gaaagcgtgg ggagcaaaca ggattagata ccctggtagt 780 ccacgccgta aacgatggat actaggtgtg gggcccgata gggttccgtg ccgaagcaaa 840 cgcattaagt atcccgcctg gggagtacga tcgcaaggtt gaaactcaaa ggaattgacg 900 ggggcccgca caagcagcgg agcatgtggt ttaattcgaa gcaacgcgaa gaaccttacc 960 aaggcttgac atcctctgac gactgtagag atacagtttc ccttcggggc agagagacag 1020 gtggtgcatg gttgtcgtca gctcgtgtcg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1080 gcaaccctta ttgctagttg ccagcgcgta aaggcgggaa ctctagtgag actgccgggg 1140 acaactcgga ggaaggtggg gacgacgtca aatcatcatg ccccttatgt cttgggctac 1200 acacgtgcta caatggccgg tacaaagggc agcgaacccg taaggggaag cgaatctcaa 1260 aaagccggtc ccagttcgga ttgtgggctg caacccgccc acatgaagtc ggagttgcta 1320 gtaatcgcga atcagcatgt cgcggtgaat gcgttcccgg gccttgtaca caccgcccgt 1380 cacaccacgg aagttgggag cacccgaagc cagtggctta accgtaagga gagagctgtc 1440 gaaggtgaga tcaatgactg gggtgaagtc gtaacaaggt agccgtatcg gaagg 1495 <210> 2 <211> 292 <212> DNA <213> Christensenella minuta <400> 2 gtgccagcag ccgcggtaat acgtagggag caagcgttgt ccggaattac tgggcgtaaa 60 gggtgcgtag gtggtcatgt aagtcagatg tgaaagaccg gggcttaacc ccggggttgc 120 atttgaaact gtgtgacttg agtacaggag agggaagtgg aattcctagt gtagcggtga 180 aatgcgtaga tattaggagg aacaccagtg gcgaaggcga ctttctggac tgtaactgac 240 actgaggcac gaaagcgtgg ggagcaaaca ggattagata ccctggtagt cc 292 <210> 3 <211> 1357 <212> DNA <213> Christensenella minuta <220> <221> misc_feature <222> 550..554 <223> /note="n is a, c, g, or t" <220> <221> misc_feature <222> 568..569 <223> /note="n is a, c, g, or t" <220> <221> misc_feature <222> 605..605 <223> /note="n is a, c, g, or t" <220> <221> misc_feature <222> 612..612 <223> /note="n is a, c, g, or t" <220> <221> misc_feature <222> 617..619 <223> /note="n is a, c, g, or t" <400> 3 ggacgaacgc tggcggcgtg cttaacacat gcaagtcgaa cgaggtgcag cgagcggacc 60 ccttcgggga gaagcatgct gtatcctagt ggcggacggg tgagtaacgc gtgagcaacc 120 tacccttgaa tgggggacaa cagctggaaa cggctgctaa taccgcataa gaccacgtca 180 tcgcatggtg aagaggtaaa aggattaatt cgatcaagga tgggctcgcg tcccattaga 240 tagttggtga gatagcagct caccaagccg acgatgggta gccgacctga gagggtgaac 300 ggccacactg gaactgagac acggtccaga ctcctacggg aggcagcagt ggggaatatt 360 gggcaatggg ggaaaccctg acccagcaac gccgcgtgaa ggaagaaggc cttcgggttg 420 taaacttttg tcctatggga cgaagaagtg acggtaccat aggaggaagc tccggctaac 480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gagcgagcgt tgtccggaat tactgggcgt 540 aaagggtgcn nnnncggaga tgtaagtnng gtgtgaaagc ccggggctca accccgggat 600 tgcanttgaa antacannnc ttgagtacag gagaggcaag tggaattcct agtgtagcgg 660 tgaaatgcgt agatattagg aggaacacca gtggcgaagg cgacttgctg gactgtaact 720 gacgctgagg cacgaaagcg tggggagcaa acaggattag ataccctggt agtccacgcc 780 gtaaacgatg gatactaggt gtaggggtcg ataggcctct gtgccgaagc aaacgcatta 840 agtatcccgc ctggggagta cgatcgcaag gttgaaactc aaaggaattg acgggggccc 900 gcacaagcag cggagcatgt ggtttaattc gaagcaacgc gaagaacctt accaaggctt 960 gacatcctct gacggctata gagatatagc ttcccttcgg ggcagagaga caggtggtgc 1020 atggttgtcg tcagctcgtg tcgtgagatg ttgggttaag tcccgcaacg agcgcaaccc 1080 ttattgctag ttgccagcac gtaaaggtgg gaactctagt gagaccgccg gggacaactc 1140 ggaggaaggt ggggacgacg tcaaatcatc atgcccctta tgtcttgggc tacacacgtg 1200 ctacaatggc cggtacaaag ggtagcgaag tcgtaagatg aagcgaatct caaaaagccg 1260 gtcccagttc ggattgaggg ctgcaacccg ccctcatgaa gtcggagttg ctagtaatcg 1320 cgaatcagca tgtcgcggtg aatgcgttcc cgggcct 1357 <210> 4 <211> 1402 <212> DNA <213> Christensenella minuta <400> 4 ttcgccctta gagtttgatc ctggctcagg acgaacgctg gcggcgtgct taacacatgc 60 aagtcgaacg aagttgctct ttgggaagcc ctcgggtgga actgtgagta tacttagtgg 120 cggacgggtg agtaacgcgt gagcaatctg ccctgcaatg ggggacaaca gttggaaacg 180 actgctaatg ccgcataaga ccacgaaacc gcatggttta gaggtaaaag gattcattcg 240 atgcaggatg agctcgcgtc ccattagata gttggtgagg taacggccca ccaagtcaac 300 gatcggtagc cggactgaga ggttgaacgg ccacattggg actgagacac ggcccagact 360 cctacgggag gcagcagtgg ggaatattgc acaatggggg aaaccctgat gcagcgacgc 420 cgcgtggagg aagaaggtct tcggattgta aactcctgtt gttggggaag ataatgacgg 480 tgcccaacaa ggaagtgacg gctaactacg tgccagcagc cgcggtaata cgtagggagc 540 aagcgttgtc cggaattact gggcgtaaag ggtgcgtagg tggccatgta agtcaggtgt 600 gaaagaccgg ggctcaaccc cggggttgca cttgaaactg tgtggcttga gtacaggaga 660 gggaagtgga attcctagtg tagcggtgaa atgcgtagat attaggagga acaccagtgg 720 cgaaggcgac tttctggact gtaactgaca ctgaggcacg aaagcgtggg gagcaaacag 780 gattagatac cctggtagtc cacgccgtaa acgatggata ctaggtgtgg gggggcgata 840 gtcctccgtg ccgaagctaa cgcattaagt atcccgcctg gggagtacga tcgcaaggtt 900 gaaactcaaa ggaattgacg ggggcccgca caagcagcgg agcatgtggt ttaattcgaa 960 gcaacgcgaa gaaccttacc aaggcttgac atcctctgac gcatatagag atatatgttc 1020 ccttcggggc agagagacag gtggtgcatg gttgtcgtca gctcgtgtcg tgagatgttg 1080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g ttgctagttg ccagcacgta aaggtgggaa 1140 ctctagtgag actgccgggg acaactcgga ggaaggtggg gacgacgtca aatcatcatg 1200 ccccttatgt cttgggctac acacgtgcta caatggccgg tacaaagggc agcgacctcg 1260 taagagtaag cgaatctcaa aaagccggcc ccagttcgga ttgtgggctg caacccgccc 1320 acatgaagtc ggagttgcta gtaatcgcga atcagcatgt cgcggtgaat gcgttcccgg 1380 gccttgcaca caccgcccgt ca 1402 <210> 5 <211> 1497 <212> DNA <213> Christensenella minuta <400> 5 agagtttgat cctggctcag gacgaacgct ggcggcgtgc ttaacacatg caagtcgaac 60 gaagttgctc tttgggaagc cctcgggtgg aactgtgagt atacttagtg gcggacgggt 120 gagtaacgcg tgagcaatct gccctgcaat gggggacaac agttggaaac gactgctaat 180 accgcataag accacgaaac cgcatggttt agaggtaaaa ggattcattc gatgcaggat 240 gagctcgcgt cccattagat agttggtgag gtaacggccc accaagtcaa cgatgggtag 300 ccgacctgag agggtgatcg gccacattgg aactgagaaa cggtccaaac tcctacggga 360 ggcagcagtg gggaatattg ggcaatgggg gaaaccctga cccagcaacg ccgcgtgaag 420 gaagaaggcc ttcgggttgt aaacttttgt cctatgggac gaaaaaaatg acggtaccat 480 aggaggaagc tccggctaac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gagcaagcgt 540 tgtccggaat tactgggcgt aaagggtgcg taggtggcca tgtaagtcag gtgtgaaaga 600 ccggggctca accccggggt tgcacttgaa actgtgtggc ttgagtacag gagagggaag 660 tggaattcct agtgtagcgg tgaaatgcgt agatattagg aggaacacca gtggcgaagg 720 cgactttctg gactgtaact gacactgagg cacgaaagcg tggggagcaa acaggattag 780 ataccctggt agtccacgcc gtaaacgatg gatactaggt gtggggggcg atagtcctcc 840 gtgccgaagc taacgcatta agtatcccgc ctggggagta cgatcgcaag gttgaaactc 900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ag cggagcatgt ggtttaattc gaagcaacgc 960 gaagaacctt accaaggctt gacatcctct gacgcatata gagatatatg ttcccttcgg 1020 ggcagagaga caggtggtgc atggttgtcg tcagctcgtg tcgtgagatg ttgggttaag 1080 tcccgcaacg agcgcaaccc ttgttgctag ttgccagcac gtaaaggtgg gaactctagt 1140 gagactgccg gggacaactc ggaggaaggt ggggacgacg tcaaatcatc atgcccctta 1200 tgtcttgggc tacacacgtg ctacaatggc cggtacaaag ggcagcgacc tcgtaagagt 1260 aagcgaatct caaaaagccg gccccagttc ggattgtggg ctgcaacccg cccacatgaa 1320 gtcggagttg ctagtaatcg cgaatcagca tgtcgcggtg aatgcgttcc cgggccttgt 1380 acacaccgcc cgtcacacca cggaagttgg gagcacccga agccagtggc ttaaccgtaa 1440 ggagagagct gtcgaaggtg agatcaatga ctggggtgaa gtcgtaacaa ggtaacc 1497 <210> 6 <211> 1495 <212> DNA <213> Christensenella minuta <400> 6 agagtttgat cctggctcag gacgaacgct ggcggcgtgc ttaacacatg caagtcgaac 60 gaagatgctc tttgtgaagc cttcgggtgg aactgtgagt agactgagtg gcggacgggt 120 gagtaacgcg tgagcaacct gccctgcaac gggggacaac agctggaaac ggctgctaat 180 accgcataag accacggaat cgcatggttc tgaggtaaaa ggatttattc gatgcaggat 240 gggctcgcgt cccattagat agttggtgag gtaacggctc accaagtcaa cgatgggtag 300 ccgacctgag agggtgatcg gccacactgg aactgagaca cggtccagac tcctacggga 360 ggcagcagtg gggaatattg ggcaakgggc gagcctgacc agcacgccgc gtgaaggaag 420 aaggccttcg ggttgtaaac ttttgtccta tgggaagaag aagtgacggt accataggag 480 gaagctccgg ctaactacgt gccagcagcc gcggtaatac gtagggagca agcgttgtcc 540 ggaattactg ggcgtaaagg gtgcgtaggc ggtttgacaa gtcagatgtg aaagcctggg 600 gcttaactcc aggattgcat ttgaaactgt taaacttgag tgcaggagag gcaagtggaa 660 ttcctagtgt agcggtgaaa tgcgtagata ttaggaggaa caccagtggc gaaggcgact 720 tgctggactg taactgacgc tgaagcacga aagcgtgggg agcaaacagg attagatacc 780 ctggtagtcc acgctgtaaa cgatggatac taggtgtagg gggcgatagt cttctgtgcc 840 gcagctaacg cattaagtat cccgcctggg gagtacgatc gcaaggttga aactcaaagg 900 aattgacggg ggcccgcaca agcagcggag catgtggttt aattcgaagc aacgcgaaga 960 accttaccaa ggcttgacat cctctgacgc atgtagagat acatgttccc ttcggggcag 1020 agagacaggt ggtgcatggt tgtcgtcagc tcgtgtcgtg agatgttggg ttaagtcccg 1080 caacgagcgc aacccttatt gctagttgcc agcacgtaaa ggtgggaact ctagtgagac 1140 cgccggggac aactcggagg aaggtgggga cgacgtcaaa tcatcatgcc ccttatgtct 1200 tgggctacac acgtgctaca atggccggta caaaggacag cgaacccgca aggggaagcg 1260 aatctcaaaa agccggtccc agttcggatt gagggctgca acccgccctc atgaagtcgg 1320 agttgctagt aatcgcgaat cagcatgtcg cggtgaatgc gttcccgggc cttgtacaca 1380 ccgcccgtca caccacggaa gttgggagcg cccgaagcca gtggcttaac cgtaaggaga 1440 gagctgtcga aggtgagatc aatgactggg gtgaagtcgt aacaaggtaa ccgta 1495

Claims (22)

  1. 인간 또는 동물에서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리스텐세넬라 속(genus Christensenella)의 박테리아.
  2. 제1항에 있어서, 인터류킨 6 및/또는 인터류킨 8의 과잉 생산 및/또는 인터류킨 10의 과소 생산을 나타내는 환자 또는 동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만성 염증성 장 질환, 간의 만성 염증성 질환, 췌장의 만성 염증성 질환, 다발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신경 염증성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및 염증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맹낭염, 궤양성 대장염, 셀리악병, 자가면역 위염, 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췌장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건선 및 습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림프종, 교모세포종, 골수종, 백혈병,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암, 췌장암, 폐암, 간암, 담낭암 및 신장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가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Christensenella massiliensis),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Christensenella timonensis), 크리스텐세넬라 인테스티니호미니스(Christensenella intestinihominis), 및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Christensenella minuta)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
  7.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균주의 배양물 상청액 및/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 중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스텐세넬라 속의 박테리아 및 상기 배양물 상청액이 크리스텐세넬라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균주 또는 종을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5 미만의 체질량 지수를 갖는 인간에게 투여되는, 조성물.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가 크리스텐세넬라 마실리엔시스,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및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존재하는 상기 박테리아의 적어도 50%(숫자 단위)가 살아있는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존재하는 상기 박테리아의 적어도 90%(숫자 단위)가 살아있는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베루코마이크로비아시에(Verrucomicrobiaceae) 과의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ii) 상기 추가의 박테리아의 배양물 상청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박테리아 균주가 아케만시아(Akkermansia) 속, 보다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Akkermansia muciniphila) 종의 박테리아인, 조성물.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형태 또는 고체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고체 형태의 상기 조성물이 동결건조된 상태의 상기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경구로, 직장으로, 흡입으로 또는 국소로 투여되는, 조성물.
  18. 제7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말, 마이크로캡슐화 분말, 젤라틴 캡슐, 캡슐, 정제, 로젠지, 과립, 에멀션, 현탁액, 좌제, 음료, 식품, 의약품 또는 기능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보조 식품 또는 유제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저항성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프로바이오틱 및/또는 적어도 1종의 프리바이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 적어도 1종의 프로바이오틱, 및/또는
    - 락트산을 생산하는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혐기성 조건을 촉진시키는 적어도 1종의 다른 유기체, 및/또는
    -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의 생태계와 관련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 패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 아케만시아, 유박테리움(Eubacterium) 및 오실로스피라(Oscillospira) 속의 박테리아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및/또는
    - 적어도 1종의 프리바이오틱, 및/또는
    - 적어도 1종의 폴리페놀, 및/또는
    - 적어도 1종의 미네랄 및/또는 적어도 1종의 비타민, 및/또는 적어도 1종의 영양제, 및/또는
    - 적어도 1종의 활성 약제학적 제제로서, 바람직하게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 약물, 전염증성 표적에 대해 유도된 항체(항-TNF알파, 항-IL-6, 항-IL-8), 항류머티스 약물, 진통제, 항균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동화성 스테로이드, 항당뇨병제, 갑상선제, 지사제, 기침 억제제, 제토제, 항궤양제, 설사제, 항응혈제, 에리스로포이에틴, 면역글로불린, 면역억제제, 성장 호르몬, 호르몬 약물,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알킬화제, 항대사물질, 유사분열 저해제, 방사선약물, 항우울제, 항정신병약, 항불안제, 최면제, 교감 신경 흥분제, 흥분제, 도네페질, 타크린, 천식 약제, 베타 효능제, 흡입용 스테로이드, 류코트리엔 저해제, 크로모글리케이트 또는 크로모글리시드산, 에피네프린, 알파 도르나제, 사이토카인, 사이토카인 길항제, 인터류킨 10 효능제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1종의 활성 약제학적 제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조성물로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에,
    (I) (a)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균주; 및/또는
    (b) 크리스텐세넬라 티모넨시스, 크리스텐세넬라 미뉴타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박테리아 균주의 적어도 1종의 배양물 상청액; 및
    (II) (a) 아케만시아 속, 보다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종의 적어도 1종의 추가의 박테리아 균주; 및/또는
    (b) 아케만시아 속, 보다 특히, 아케만시아 무시니필라 종의 적어도 1종의 추가의 박테리아 균주의 적어도 1종의 배양물 상청액
    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17032626A 2019-03-11 2020-03-11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KR20210141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16539P 2019-03-11 2019-03-11
FR1902437 2019-03-11
US62/816,539 2019-03-11
FR1902437A FR3093642A1 (fr) 2019-03-11 2019-03-11 Bactérie de la famille des Christensenellacées dans la prévention et/ou le traitement de maladies inflammatoires chroniques et/ou de cancers
FR1908384 2019-07-24
FR1908384A FR3099054A1 (fr) 2019-07-24 2019-07-24 Souche de Christensenella pour son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et la prévention d’une inflammation gastro-intestinale
PCT/EP2020/056565 WO2020182916A1 (fr) 2019-03-11 2020-03-11 Bacterie de la famille des christensenellacées dans la prevention et/ou le traitement de maladies inflammatoires chroniques et/ou de maladies gastro-intestinales inflammatoires et/ou de canc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541A true KR20210141541A (ko) 2021-11-23

Family

ID=7792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626A KR20210141541A (ko) 2019-03-11 2020-03-11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10141541A (ko)
CN (1) CN113631174A (ko)
AU (1) AU2020235358A1 (ko)
CA (1) CA3132239A1 (ko)
SG (1) SG11202109872S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9477B (zh) * 2021-11-24 2023-06-30 暨南大学 一种用于改善肠炎诱发的男性生殖损伤的益生菌制剂及其用途
CN113975301B (zh) * 2021-11-24 2023-06-30 暨南大学 一种用于提高精子活力的益生菌制剂及其用途
CN116919994B (zh) * 2023-09-15 2023-12-08 中国农业大学 小克里斯滕森氏菌在制备治疗多囊卵巢综合征的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6527A1 (fr) * 2015-03-31 2016-10-06 International Nutrition Research Company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un etat metabolique pathogene du microbiote intestinal et des maladies derivees
FR3034317B1 (fr) * 2015-03-31 2018-09-14 International Nutrition Research Company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un etat metabolique pathogene du microbiote intestinal et des maladies derivees
CA2983236A1 (en) * 2015-04-23 2016-10-27 Kaleido Biosciences, Inc. Glycan therapeutics and methods of treatment
JP2018534277A (ja) * 2015-10-05 2018-11-22 シュヴァイツェリッシェ フォルシュングス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フュア ホーフゲブリクスクリーマ ウント メディツィン イン ダヴォス 炎症性状態を治療するためのアッカーマンシア・ムシニフィラ(Akkermansia muciniphila)の使用
AU2017249159A1 (en) * 2016-04-11 2018-11-2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robiotic formulations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FR3063646B1 (fr) * 2017-03-10 2021-07-30 International Nutrition Res Company Bacteries specifiques pour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 en particulier pour lutter contre le surpoids, l'obesite, les maladies cardiometaboliques et les maladies inflammatoires de l'intest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2239A1 (fr) 2020-09-17
AU2020235358A1 (en) 2021-10-07
CN113631174A (zh) 2021-11-09
SG11202109872SA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67401A1 (en) Bacterium of the christensenellaceae family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and/or inflammatory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or cancers
CN114410548B (zh) 具有各种功能的新型乳酸杆菌及其用途
JP7165218B2 (ja) 制御性t細胞の増殖または集積を誘導するヒト由来細菌
Roselli et al. The novel porcine Lactobacillus sobrius strain protects intestinal cells fro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K88 infection and prevents membrane barrier damage
Damaskos et al. Probiotics and prebiotic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microflora ‘on the scope’
JP6130379B2 (ja) 胃酸過多の薬物処置中に失われる胃自体の障壁効果を修復することができるプロバイオティック細菌と組み合わされたn−アセチルシステインおよび/またはマイクロカプセル化胃保護型リゾチームを含む組成物
Harzallah et al. Lactic acid bacteria as probiotics: characteristics, selection criteria and role in immunomodulation of human GI muccosal barrier
JP2021078511A (ja) 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用途
Corcionivoschi et al. Probiotics-identification and ways of action
Baharav et al. Lactobacillus GG bacteria ameliorate arthritis in Lewis rats
JP2022000040A (ja) 代謝障害を処置するための低温殺菌アッカーマンシアの使用
RU2563525C2 (ru) Пробио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лечении воспаления кишечника
CA2774557C (en)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as hypocholesterolemic agents
Claes et al. Lessons from probiotic–host interaction studies in murine models of experimental colitis
KR20210141541A (ko) 만성 염증성 질환 및/또는 염증성 위장 질환 및/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 과의 박테리아
AU2017211244B2 (en)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strain CNCM 1-4573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gastrointestinal inflammation
US20150079041A1 (en) Bacterial composition and its use
BR112012011315B1 (pt) Formulação que compreende cepa de bifidobactéria probiótica
KR20080081186A (ko) 새로운 락트산간균 균주 및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그사용
EP3812452A1 (en) Bifidobacterium lactis bl-99 and application thereof
CN111676171A (zh) 用于婴儿过度啼哭的益生菌
Qiao et al. Pediococcus acidilactici strains improve constipation symptoms and regulate intestinal flora in mice
Drouault-Holowacz et al.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the probiotic dietary supplement Lactibiane Tolerance: in vitro and in vivo considerations
EP3377083A1 (en) Compositions with a synergistic action between a mucoadherent gelling complex against the passage of antigens, and immunomodulatory anti-il17 bacteria for use in the treatment of un¢ related autoimmune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JP2012180288A (ja) 抗菌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