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470A - 주사기용의 보조구 - Google Patents

주사기용의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470A
KR20210141470A KR1020217027835A KR20217027835A KR20210141470A KR 20210141470 A KR20210141470 A KR 20210141470A KR 1020217027835 A KR1020217027835 A KR 1020217027835A KR 20217027835 A KR20217027835 A KR 20217027835A KR 20210141470 A KR20210141470 A KR 2021014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yringe
state
movable par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요시 소메카와
Original Assignee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4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61M5/3204Needle cap remover, i.e. devices to dislodge protection cover from needle or needle hub, e.g. deshie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사바늘의 천자 시의 안전성을 높이는 주사기용의 보조구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주사기를 수용하고 또한, 인체에 닿는 접촉면을 가지는 수용부와, 상기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상기 접촉면의 전방에 진출시킨 진출 위치와, 상기 주사바늘을 상기 접촉면의 후방으로 퇴피시킨 후퇴 위치에 배치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동부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주사기용의 보조구
본원은, 일본특허출원 제2019-04890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주사를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사가 행해질 때, 주사기가 단체(單體)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 경우, 주사바늘을 인체에 천자(穿刺)하는 깊이를 적절한 깊이에 맞추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주사바늘을 인체에 대하여 간단히 적절한 깊이로 천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사를 간단히 행할 수 있게 한 주사기용의 보조구가 종종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주사기용의 보조구(약물 송달 장치)은, 하단으로부터 시린지의 바늘이 돌출한 상태에서, 해당 시린지를 유지하는 하부 하우징과, 해당 하부 하우징의 상단부에 외측에 끼워지고, 또한 하단부 측을 향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시린지의 플런저를 밀어 넣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하단으로부터 바늘을 덮거나 또는 노출시키도록 출퇴(出退) 가능한 바늘 가드와, 해당 바늘 가드를 돌출 측으로 가압하는 바늘 가드 복귀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약물 송달 장치에서는, 바늘 가드를 퇴피시켜 바늘을 소정 길이만큼 노출시킨 상태에서 인체에 바늘을 찌르고, 또한 상부 하우징을 밀어 넣음으로써 주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주사기용의 보조구(주사 디바이스)는, 선단을 인체에 맞부딪히도록 구성된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 요소로서, 피하 시린지를 유지 가능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가동 요소와, 해당 가동 요소를 상기 하우징의 선단 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측에 슬라이딩시킨 상기 가동 요소의 상기 전방 측으로의 슬라이딩을 규제 가능한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주사 디바이스에 의하면, 사용 전(주사를 행하기 전)에 있어서는, 피하 시린지를 유지한 상태의 가동 요소가 미리 상기 하우징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해당 가동 요소의 상기 전방 측으로의 슬라이딩가 잠금 기구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선단을 인체와 맞부딪히게 한 후에 상기 잠금 기구에 의한 상기 슬라이딩에 대한 규제를 해제하면, 스프링의 가압력에 맡겨 가동 요소가 피하 시린지마다 하우징의 선단 측을 향하여 슬라이딩하고, 이에 의해, 피하 시린지의 피하 바늘이 소정 길이만큼 인체에 천자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6219353호 공보 일본특표 제2016-525417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약물 송달 장치는, 바늘을 상기 소정 길이만큼 노출시킨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늘을 잘못하여 인체에 찔러버린 경우, 바늘이 인체로부터 바로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 주사 디바이스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약물 송달 장치나, 상기 주사 디바이스와 같은 주사기용의 보조구에는, 주사바늘의 천자 시에서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주사바늘의 천자 시에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주사기용의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주사기용의 보조구는,
인체에 닿는 접촉면(contact surface)을 가지는 수용부로서, 주사기를, 주사바늘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주사기에 걸어맞추고 또한,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그 전후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부로서, 상기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상기 접촉면의 전방에 진출시키는 진출 위치와, 상기 주사바늘을 상기 접촉면의 후방으로 퇴피시키는 후퇴 위치에 배치 변경 가능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를 향하는 후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동부를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진출 위치를 향하는 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기용의 보조구는,
상기 가동부와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상기 조작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진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가동부의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를 향하는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진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사기용의 보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진출 위치에 슬라이딩시키기 전의 제1 상태와, 상기 가동부를 상기 진출 위치에 슬라이딩시킨 후의 제2 상태로 전환 가능하며,
해당 조작부는, 상기 연결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상기 가동부를 상기 진출 위치에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누름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누름부에 누름 조작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누름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누름 조작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저지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저지용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누름부와 상기 누름 조작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저지부와 상기 저지용 걸어맞춤부가 비(非)걸어맞춤이며,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누름부와 상기 누름 조작용 걸어맞춤부가 비걸어맞춤으로 되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상기 규제 구조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고,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에 돌아왔을 때 상기 저지부와 상기 저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의 평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斷面)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의 평면도이며, 수용부 내의 평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서의, 주사기로부터 캡을 떼어내는 동작의 설명도로서, 캡 부착 주사기를 수용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서의, 주사기로부터 캡을 떼어내는 동작의 설명도로서, 캡 부착 주사기를 수용부에 삽입하고, 캡과 주사기 사이에 분리 구조가 개입한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서의, 주사기로부터 캡을 떼어내는 동작의 설명도로서, 분리 구조에 의해 캡과 주사기를 분리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서의, 주사바늘을 천자하는 조작의 설명도로서, 주사기를 전진시키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서의, 주사바늘을 천자하는 조작의 설명도로서, 주사기를 전진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1]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서의, 주사바늘을 인체로부터 빼는 조작의 설명도로서, 주사기의 플런저를 전진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2]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서의, 주사바늘을 인체로부터 빼는 조작의 설명도로서, 주사기가 후퇴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는, 주사를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사기용의 보조구를 이용하는 주사는, 환자 스스로가 행해도 되고, 의사 등의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 행해도 된다.
주사기용의 보조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기를 수용하는 수용부(2)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 내에서 수용부(2)에 수용된 주사기와 함께 전후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가동부(3)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가동부(3)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조작부(4)와, 수용부(2)에 수용되는 캡이 부착된 상태의 주사기(이하, 캡 부착 주사기로 칭함)를 대상에 캡과 주사기를 분리하는 분리 구조(5), 주사바늘을 수용부(2)로부터 진출시킨 상태에서 주사기의 후퇴를 규제 가능한 규제 구조(6)(도 2 참조)와, 주사바늘을 수용부(2) 내에 퇴피시킨 상태에서 주사기의 전진을 규제 가능한 저지 구조(7)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前端)으로부터 후단(後端)에 걸쳐 연속하는 개구(H)가 형성된 수용부 본체(20)와, 상기 개구(H)를 통하여 수용부 본체(20) 내에 들어간(삽입된) 캡 부착 주사기를 받는 받이부(21)와, 해당 받이부(21)에 의해 받고 있는 주사기를 빠짐방지하는 빠짐방지부(22)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용부(2)는, 가동부(3), 조작부(4), 분리 구조(5), 규제 구조(6)를 받는 케이스부(2A)와, 케이스부(2A) 위에 탑재되는 커버부(2B)가 접합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H)와 받이부(21)는, 커버부(2B)에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부(2A)는 수용부(2)의 바닥부를 구성하고, 커버부(2B)는 수용부(2)의 천장부를 구성하고 있다.
수용부 본체(20)는 가늘고 긴 통형이며,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면(선단면)이, 주사 시에 인체에 닿는 접촉면(200)이 되고 있다. 또한, 수용부 본체(2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H)는, 수용부 본체(20) 자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똑바로 연장되고 있으므로, 수용부 본체(20)에는, 캡 부착 주사기가 옆으로 쓰러지는 자세, 즉 주사기의 축선 방향을 해당 수용부 본체(20)의 길이 방향에 대응시킨 자세로 수용된다. 그러므로, 수용부(2)에 수용된 주사기는, 수용부 본체(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선단면 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주사바늘의 일부가 접촉면(200)보다 전방으로 진출한다. 이 때, 주사바늘 전체 중 접촉면(200)보다 전방에 진출한 부분이, 인체에 천자되는 부분으로 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용부 본체(20) 전단과 후단이 배열되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사기를 슬라이딩시키는 방향이기도 함)을 전후 방향, 개구(H)가 개방하고 있는 방향(수용부(2)의 바닥부와 천장부가 배열되는 방향)을 높이 방향,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폭 방향으로 칭하여 이하의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은, 수용부(2)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기의 주사바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받이부(21)는, 수용부 본체(20)의 개구(H) 내에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2)의 내측(높이 방향 하방 측)을 향하여 볼록형으로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오목형임).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받이부(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로 폭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부(210)와, 그 한 쌍의 측부(210)의 각각에 연속하는 바닥부(211)를 가진다. 한 쌍의 측부(210)는, 수용부 본체(20)의 개구 에지부(201)로부터 하방 측을 향하여 똑바로 연장되어 있고, 바닥부(211)는 이 한 쌍의 측부(210)의 선단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2개의 받이부(2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받이부(21) 중 한쪽의 받이부(21)(전방 측의 받이부(21))에 빠짐방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부(22)는 측부(2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대향하는 다른 측부(210) 측을 향하여 돌출한 형상이다. 또한, 한 쌍의 측부(210)에는, 각각 개별의 빠짐방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빠짐방지부(22)는, 수용부 본체(20)의 개구 에지부(201)와 바닥부(211)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부 본체(20)의 개구 에지부(201)와 해당 바닥부(211) 사이에 있어서, 바닥부(211)에 탑재되어 있는 주사기의 외면에 압접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수용부 본체(20)로부터의 주사기의 빠짐이 방지되고 있다.
가동부(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 본체(20) 내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부 본체(30)와, 가동부 본체(30)에 대하여 주사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31)와, 가동부 본체(30)를 후술하는 후퇴 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32)를 가진다. 또한, 가동부(3)는, 수용부 본체(20) 내에 배치되어 있는 가압 수단(S)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 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3)의 전면(前面)(후술하는 전벽부(321)의 전면)과 수용부 본체(20) 내의 선단 측의 내측단 사이에 가압 수단(S)으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고, 이 가압 수단(S)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부(3)가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 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고정부(31)는, 가동부(3)의 슬라이딩에 맞추어 주사기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31)는, 주사기의 플랜지의 전면, 및 후면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정부(31)는, 주사기의 플랜지를 끼워넣기 가능한 삽입홈(31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고정부(31)는, 가동부(3)에 대한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주사기의 이동을 규제하고 또한, 가동부(3)의 슬라이딩 시에 주사기를 상기 전후 방향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부(3)는 슬라이딩에 따라,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접촉면(200)의 전방에 진출시키는 진출 위치와, 주사바늘을 접촉면(200)의 후방으로 퇴피시키는 후퇴 위치에 배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위치결정부(32)는, 가동부 본체(30)의 하측(케이스부(2A)측)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부(32)에는, 하측(케이스부(2A) 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오목부(3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320)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320) 내에는, 수용부(2)의 내저면(케이스부(2A))에 세워 설치되어 있는 입설부(立設部)(23)가 삽입되어 있고, 가동부(3)가 상기 전후 방향에서 슬라이딩하여 후퇴 위치에 배치되면, 전벽부(321)의 후면(내면)이 입설부(23)와 맞닿는다. 그러므로, 가동부(3)는 후퇴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후퇴 위치보다 후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벽부(321)(전벽부(321)의 후면)와 입설부(23)로 구성되는 위치결정 구조에 의해, 가동부(3)의 후퇴 위치(주사액을 투여한 후에 주사기를 후퇴시키는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조작부 본체(40)와, 상기 조작부 본체(40)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조작부 본체(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부(41)와, 해당 작동부(41)에 형성되는 누름부(42)로서, 가동부(3)(가동부(3)에서의 조작부(4)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누름 조작되는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를 전방을 향하여 누르기 위한 누름부(42)와, 수용부 본체(20)로부터의 주사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부(43)를 가진다.
그리고, 조작부 본체(40)는, 수용부(2) 내에서 상기 빼고 꽂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P)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부 본체(40)는, 수용부(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에 따라, 수용부(2)에 대하여 일으켜 세워진 기립 상태와, 수용부(2)에 대하여 넘어뜨려진 압도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또한, 기립 상태란, 조작부(4)의 가동부(3)를 진출 위치에 슬라이딩시키기 전의 제1 상태에 대응하고, 압도 상태란, 조작부(4)의 가동부(3)를 후퇴 위치에 슬라이딩시킨 제2 상태에 대응한다.
또한, 조작부 본체(40)는,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한 후는,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 본체(40)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조작부 본체(4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클로우(44)가 수용부(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축(24)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 본체(40)는, 제2 상태로 전환되기 전의 단계라면, 제1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 본체(40)가 제1 상태일 때, 누름부(42)와 누름 조작용 걸어맞춤부(33)는 서로 걸어맞추어지고, 조작 본체부(40)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되면, 누름부(42)와 누름 조작용 걸어맞춤부(33)가 비걸어맞춤으로 된다.
작동부(41)는, 조작부 본체(40)와 같이 회전축(P)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원호형의 궤도를 따라 움직인다. 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도 바뀌도록 움직인다.
탈락 방지부(43)는, 작동부(41) 위에 세워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4)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개구(H) 내에 진출한 상태와, 상기 개구(H) 내에서 퇴피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 본체(20) 내에 주사기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탈락 방지부(43)가 개구(H) 내에 진출하면, 주사기의 위쪽이 탈락 방지부(43)에 의해 차단되고, 이에 의해, 수용부 본체(20)로부터의 주사기의 탈락이 방지되고, 수용부 본체(20)로부터의 주사기의 분리를 저지한다.
누름부(42)는, 작동부(41)로부터 하방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42)는, 조작부 본체(40)가 제1 상태인 경우는, 가동부(3)(가동부(3)의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부터 걸어맞추고, 조작부 본체(40)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있을 때에 있어서는,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를 전방을 향하여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42)는, 작동부(41)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도 바뀌므로, 조작부 본체(40)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가로 폭 방향에 있어서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해당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리 구조(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3)의 선단 측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의 천장부 측으로부터 수용부(2)의 바닥부 측을 향함에 따라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로 폭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분리 구조(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사이를 주사기가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리 구조(5)는, 전방 측에 위치하는 안내면(50)과, 후방 측에 위치하는 멈춤면(51)을 가지고 있다. 상하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멈춤면(51)에 대하여, 안내면(50)은, 수용부(2)의 천장부 측으로부터 수용부(2)의 바닥부 측으로 됨에 따라서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또한, 하방 측을 향하여 오목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여기에서, 캡에는, 주사바늘이 찔리는 씰재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주사기로부터 캡을 떼어내는 경우, 캡은, 전진에 따라 씰재가 주사바늘의 선단보다 전방까지 이동했을 때(씰재로부터 주사바늘이 빠졌을 때)에 주사기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분리 구조(5)의 치수,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멈춤면(51)으로부터 안내면(50)의 선단까지의 치수는, 캡이 주사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씰재가 주사바늘로부터 분리되므로 필요한 이동 거리와 같은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멈춤면(51)으로부터 안내면(50)의 선단까지의 치수가, 상기 이동 거리보다 짧은 경우는, 캡 부착 주사기의 수용부 본체(20) 내로의 삽입 시에 캡이 주사기에 대하여 충분히 전진하지 않으므로, 캡이 주사기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멈춤면(51)으로부터 안내면(50)의 선단까지의 치수가, 상기 이동 거리보다 긴 경우에는, 씰재가 주사바늘로부터 빠져도 캡이 분리 구조(5)에 남고, 이 상태인채로 주사기에 하향의 외력이 계속해서 작용하므로(받이부(21)측에 계속해서 움직이므로), 주사바늘이 캡에 간섭하면, 주사바늘이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멈춤면(51)으로부터 안내면(50)의 선단까지의 치수가, 상기 이동 거리와 같은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씰재가 주사바늘로부터 빠지면 캡이 분리 구조(5)로부터 낙하하므로, 주사기도 하향으로 계속해서 움직여도 주사바늘이 캡에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구조(5)는, 개구(H)로부터 수용부 본체(20) 내에 삽입되었을 때, 안내면(50)이 캡 후단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부터 맞닿고, 멈춤면(51)은 주사기의 숄더부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부터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규제 구조(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3)의 후단부에 형성된 규제부(60)와, 가동부(3)가 진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규제부(60)에 대하여 후방 측에서 걸어맞추어지는 규제용 걸어맞춤부(61)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규제 구조(6)에서는, 한 쌍의 규제부(60)가 상기 가로 폭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한 쌍의 규제부(60)의 외측(상기 가로 폭 방향에서의 외측)에 한 쌍의 규제용 걸어맞춤부(61)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60)는, 가동부(3)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똑바로 연장되는 직선부(600)와, 해당 직선부의 후단에 연속하고, 또한 해당 직선부보다 가로 폭 방향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601)를 가진다.
규제용 걸어맞춤부(61)는, 수용부(2)에 연설(連設)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규제 연장부(610)와, 해당 연장부의 선단(뒤쪽의 일단)에 형성되는 규제 훅부(611)를 가진다.
규제 연장부(610)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로 폭 방향에서 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규제 훅부(611)는, 규제 연장부(610)로부터 가로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측단(가로 폭 방향에서의 선단)은, 규제부(60)의 외측단보다 가로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규제 훅부(611)는, 규제부(60)의 후단면 (돌출부(601)의 후단면)과 전후 방향에서 서로 걸어맞추어지도록이 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 훅부(611)의 선단면과 규제부(60)의 후단면은, 서로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규제 훅부(611)의 후단면은, 후방 측을 향함에 따라서 가로 폭 방향 외측에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규제용 걸어맞춤부(61)에서는, 규제 훅부(611)의 후단면이 전방을 향하는 외력을 받으면, 규제 연장부(610)가 외측으로 휘는 것에 의해, 규제 훅부(611)가 가로 폭 방향 외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규제 훅부(611)는, 돌출부(601)의 후단면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외력을 받으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돌출부(601)의 후단면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지 구조(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3)에 형성된 저지용 걸어맞춤부(70)와, 조작부(4)의 작동부(41)에 형성되고, 또한 가동부(3)가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했을 때 저지용 걸어맞춤부(70)가 걸어맞추어지는 저지부(71)를 가진다.
저지용 걸어맞춤부(70)는, 가동부(3)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저지용 연장부(700)와, 상기 저지용 연장부(700)의 선단(뒤쪽의 일단)에 형성되는 저지용 훅부(701)를 가진다.
저지용 연장부(700)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로 폭 방향에서 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지용 훅부(701)는, 저지용 연장부(700)로부터 가로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누름부(42)의 후단면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저지용 훅부(701)의 후단면은, 후방 측을 향함에 따라서 가로 폭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방을 향하는 외력을 받으면 외측으로 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 본체(40)가 제1 상태일 때, 저지부(71)와 저지용 걸어맞춤부(70)는 비걸어맞춤으로 되고, 조작 본체부(40)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되면, 규제 구조(6)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고, 가압 수단(S)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부(4)가 진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돌아왔을 때 저지부(71)와 저지용 걸어맞춤부(70)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1)에는, 가동부(3)에 대하여 해당 가동부(3)와 조작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부는,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와 저지용 걸어맞춤부(70)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1)는 이상과 같다. 계속해서, 주사기용의 보조구의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사기용의 보조구(1)를 이용하여 주사를 행함에 있어서, 캡 부착 주사기(8)를 수용부(2)에 수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부착 주사기(8)를 옆으로 쓰러지게 한 자세로 개구(H)로부터 수용부 본체(20) 내에 삽입한다.
이 때,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부착 주사기(8)가 개구(H)를 통과하여 받이부(21)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분리 구조(5)가 주사기(80)와, 캡(81)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캡(81)은, 분리 구조(5)의 안내면(50)에 의해 전방에 안내되지만, 주사기(80)의 플랜지(800)가 삽입홈(310)에 끼이므로, 주사기(80)의 가동부(3)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움직임은 규제되고 있다. 또한, 주사바늘(801)은, 접촉면(200)보다 후방으로 퇴피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주사바늘(801)에 접촉할 우려는 없다.
그리고, 주사바늘(801)을 인체에 천자하는 경우에는,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면(200)을 인체와 맞닿게 한 상태, 조작부(4)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하면, 누름부(42)에 의해 가동부(3)가 전방으로 눌려 주사기(80)가 전진하고, 주사바늘(801)이 접촉면(200)의 전방으로 진출한다. 즉, 주사바늘(801)이 인체에 찔린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4)의 누르는 방법에 의해, 주사바늘(801)이 전진하는 스피드를 조정할 수 있는 등, 조작부(4)가 제2 상태로 전환되기 전의 단계라면, 조작부(4)에 대한 조작을 중지하면, 가압 수단(S)에 되밀려 가동체(3)가 후퇴하고, 주사바늘(801)이 자동적으로 수용부(2) 내에 퇴피한다. 이 때, 누름부(42)가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에 의해 후방 측을 향하여 되밀리므로, 조작부(4)가 자동적으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조작부(4)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하면, (즉, 가동부(3)를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까지 전진시키면) 규제부(60)와 규제용 걸어맞춤부(61)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가동부(3)의 후방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플런저(802)를 밀어넣으면, 도 11,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플런저(802)(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80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누름 플랜지부(802a))에 의해 규제용 걸어맞춤부(61)가 후방 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눌려 가로 폭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고, 규제부(60)와 규제용 걸어맞춤부(61)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플런저(802)로부터 손을 떼면, 가동부(3)와 함께 주사기(80)가 자동적으로 후방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주사바늘(801)이 접촉면(200)의 후방으로 퇴피하고, 인체로부터 주사바늘(801)이 뽑힌다.
이 때, 저지용 걸어맞춤부(70)가 저지부(71)에 걸어맞추어지고, 가동부(3)와 주사기(80)의 재차의 전진이 방지되고 또한 탈락 방지부(43)가 주사기(80)의 위쪽이 탈락 방지부(43)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므로, 수용부(2)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기(80)는, 주사바늘(801)을 수용부(2) 내에 퇴피시킨 상태인채로 분리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용의 보조구(1)에 의하면, 사용자가 주사를 행하는 경우, 수용부(2)의 접촉면(200)을 인체에 닿게 한 상태에서 조작부(4)를 조작함으로써 가동부(3)를 후퇴 위치로부터 진출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딩시키면, 해당 가동부(3)와 함께 주사기(80)가 전진한다. 그리고, 주사바늘(801)이 접촉면(200)의 전방으로 진출하면, 이 주사바늘(801)이 인체에 찔린다.
또한, 상기 구성의 주사기용의 보조구(1)에서는, 가압 수단(S)에 의해 가동부(3)가 상기 후퇴 방향을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므로, 주사바늘(801)의 천자 시에 조작부(4)의 조작을 중지하면, 가압 수단(S)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부(3)가 후퇴 위치까지 슬라이딩하고, 이에 따라, 주사바늘(801)이 인체로부터 뽑힌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주사기용의 보조구(1)에서는, 사용자는 접촉면(200)을 인체에 닿게 한 상태에서 주사바늘(801)을 안정적으로 찌를 수 있고, 또한, 주사바늘(801)을 잘못 찔러도 조작부(4)에 대한 조작을 중지하면 주사바늘(801)이 인체로부터 빠지므로, 주사바늘(801)의 천자 시에서의 안전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사기용의 보조구(1)에 의하면, 사용자가 주사바늘(801)을 잘못 찌른 것을 깨닫고 조작을 중지하면 주사바늘(801)이 인체로부터 빠지도록 함으로써, 주사바늘(801)의 천자 시에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주사기용의 보조구(1)는, 가동부(3)가 진출 위치에 배치된 상태, 즉 주사바늘(801)이 인체에 찔린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4)이 가동부(3)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후퇴 위치를 향하는 슬라이딩을 규제 구조(6)가 규제하므로, 주사바늘(801)이 인체에 찔린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4)의 오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주사바늘(801)이 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사기용의 보조구(1)에서는, 가동부(3)를 진출 위치에 슬라이딩시킨 후, 즉 주사바늘(801)을 인체에 찌른 후에 있어서는, 누름부(42)와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가 비걸어맞춤으로 되므로, 규제 구조(6)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면, 가동부(3) 및 연결부가 가압 수단(S)의 가압력에 의해 후퇴 위치까지 슬라이딩한다. 이 때, 저지부(71)와 저지용 걸어맞춤부(70)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가동부(3)의 전진이 저지되고, 주사바늘(801)이 재차 접촉면(200)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바늘(801)을 인체에 찌른 후에 있어서 가동부(3)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는, 저지부(71)와 저지용 걸어맞춤부(70)의 걸어맞춤에 의해 가동부(3)의 전진이 저지되지만, 조작부(4)가 제1 상태인 경우, 즉 주사바늘(801)을 인체에 찌르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가동부(3)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는, 누름부(42)와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33)가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저지부(71)와 저지용 걸어맞춤부(70)가 비걸어맞춤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성의 주사기용의 보조구(1)는, 주사바늘(801)을 인체에 찌르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가동부(3)의 전진이 저지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 보조구는, 상기 일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행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부 본체(20)에는, 2개의 받이부(21)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용부 본체(20)에는, 3개 이상의 받이부(21)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주사기를 옆으로 쓰러지게 한 자세로 안정시킬 수 있으면 하나의 받이부(21)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받이부(21) 중 전방의 받이부(21)에 빠짐방지부(22)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개의 받이부(21) 중 후방의 받이부(21)에 빠짐방지부(22)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2개의 받이부(21)의 양쪽에 빠짐방지부(22)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부(3)는, 수용부 본체(20) 내의 선단 측의 내측단과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 수단(S)으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 측으로 가압되어 있었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부(3)는, 예를 들면 해당 가동부(3)의 후면과 수용부 본체(20) 내의 후단측의 내측단 사이에 배치된 가압 수단(S)으로서의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 측으로 가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부(4)는, 가동부(3)를 누름 조작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부(4)는 가동부(3)를 당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 : 보조구
2 : 수용부
2A : 케이스부
2B : 커버부
3 : 가동부
4 : 조작부
5 : 분리 구조
6 : 규제 구조
7 : 저지 구조
8 : 캡 부착 주사기
20 : 수용부 본체
21 : 받이부
22 : 빠짐방지부
23 : 입설부
24 : 걸림축
30 : 가동부 본체
31 : 고정부
32 : 위치결정부
33 : 누름 조작부용 걸어맞춤부
40 : 조작부 본체
41 : 작동부
42 : 가압부
43 : 탈락 방지부
44 : 걸림 클로우
50 : 안내면
51 : 멈춤면
52 : 본체부
53 : 돌출부
60 : 규제부
61 : 규제용 걸어맞춤부
70 : 저지용 걸어맞춤부
71 : 저지부
80 : 주사기
81 : 캡
200 : 접촉면
201 : 개구 에지부
210 : 측부
211 : 바닥부
310 : 삽입홈
600 : 직선부
601 : 돌출부
610 : 규제 연장부
611 : 규제 훅부
700 : 저지용 연장부
701 : 저지용 훅부
800 : 플랜지
801 : 주사바늘
802 : 플런저
803 : 노즐
820a : 누름 플랜지부
H : 개구
P : 회전축
S : 가압 수단

Claims (3)

  1. 인체에 닿는 접촉면(contact surface)을 가지는 수용부로서, 주사기를, 주사바늘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주사기에 걸어맞추고 또한,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부로서, 상기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상기 접촉면의 전방에 진출시키는 진출 위치와, 상기 주사바늘을 상기 접촉면의 후방으로 퇴피시키는 후퇴 위치로 배치 변경 가능한 가동부;
    상기 가동부를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를 향하는 후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 및
    상기 가동부를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진출 위치를 향하는 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된 조작부;
    를 구비하고 있는, 주사기용의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상기 조작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진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가동부의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를 향하는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진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사기용의 보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진출 위치에 슬라이딩시키기 전의 제1 상태와, 상기 가동부를 상기 진출 위치에 슬라이딩시킨 후의 제2 상태로 전환 가능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상기 가동부를 상기 진출 위치에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누름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누름부에 누름 조작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누름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누름 조작용 걸어맞춤부와, 상기 저지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저지용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누름부와 상기 누름 조작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저지부와 상기 저지용 걸어맞춤부가 비걸어맞춤이며,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누름부와 상기 누름 조작용 걸어맞춤부가 비걸어맞춤으로 되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상기 규제 구조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고,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에 돌아왔을 때 상기 저지부와 상기 저지용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는, 주사기용의 보조구.
KR1020217027835A 2019-03-15 2020-03-13 주사기용의 보조구 KR20210141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8906 2019-03-15
JP2019048906A JP7373829B2 (ja) 2019-03-15 2019-03-15 注射器用の補助具
PCT/JP2020/011221 WO2020189573A1 (ja) 2019-03-15 2020-03-13 注射器用の補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470A true KR20210141470A (ko) 2021-11-23

Family

ID=7243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835A KR20210141470A (ko) 2019-03-15 2020-03-13 주사기용의 보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52318A1 (ko)
EP (1) EP3939636A4 (ko)
JP (1) JP7373829B2 (ko)
KR (1) KR20210141470A (ko)
WO (1) WO202018957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353A (ja) 1993-01-22 1994-08-0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生産管理方法
JP2016525417A (ja) 2013-08-02 2016-08-25 ユニオン・メディコ・エイピイエス 注射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7191A (en) 1980-10-31 1982-05-14 Sumitomo Metal Ind Method of detecting swing of load hung by crane
DE69319753T2 (de) * 1992-11-19 1999-04-15 Galli Rosaria & C Automatische injektionsvorrichtung für vorgefüllte spritzen
SE9803662D0 (sv) * 1998-10-26 1998-10-26 Pharmacia & Upjohn Ab Autoinjector
ES2683629T3 (es) * 2001-04-13 2018-09-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intradérmica de llenado previo con aguja oculta y protección pasiva
JP5222722B2 (ja) 2005-04-20 2013-06-26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フランス・エス.エー.エス. 注入セットおよび注入補助装置
JP6832076B2 (ja) * 2016-04-15 2021-02-24 大成化工株式会社 注射器補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353A (ja) 1993-01-22 1994-08-0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生産管理方法
JP2016525417A (ja) 2013-08-02 2016-08-25 ユニオン・メディコ・エイピイエス 注射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9636A1 (en) 2022-01-19
WO2020189573A1 (ja) 2020-09-24
US20220152318A1 (en) 2022-05-19
JP2020146398A (ja) 2020-09-17
JP7373829B2 (ja) 2023-11-06
EP3939636A4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827B2 (en) Invisible needle
KR101519396B1 (ko) 주사기 캐리어용 체결 메커니즘을 갖는 주사 디바이스
US9757523B2 (en) Selectable dose injection device
EP1743666B1 (en) Injector with automatic needle insertion, injection and needle retraction
KR101562836B1 (ko) 주사기 캐리어용 체결 메커니즘을 갖는 주사 디바이스
EP2490734B1 (en) Auto injector with automatic needle shielding
EP1285674B1 (en) A non-dosing cartridge for an injection device
DK2782620T3 (en) autoinjector
KR101555825B1 (ko) 주사 디바이스
JP2009514572A (ja) 自動注射器を作動させるトリガ要素
KR20170071576A (ko) 약물 주사 장치
CA2589843A1 (en) Device for the injection of a solid or semi-solid implant
AU2004269838A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an injectable product, comprising an anti-release safety device
KR102628205B1 (ko) 주사기 및 보호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
EP3448461B1 (en) Container holder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GB2515032A (en) Guide for an injection device
KR20210141470A (ko) 주사기용의 보조구
US20090062736A1 (en) Safety syringe assembly
KR102067956B1 (ko)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JP7334929B2 (ja) 注射器用の補助具
JP6725149B2 (ja) 注射器補助具
KR20170083934A (ko) 슬라이드 타입 주사바늘 찔림 방지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