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242A -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242A
KR20210141242A KR1020200058651A KR20200058651A KR20210141242A KR 20210141242 A KR20210141242 A KR 20210141242A KR 1020200058651 A KR1020200058651 A KR 1020200058651A KR 20200058651 A KR20200058651 A KR 20200058651A KR 20210141242 A KR20210141242 A KR 20210141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arm
coupled
doo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578B1 (ko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우 filed Critical 박준우
Priority to KR102020005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57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4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for assisting in opening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에 결합된 방화문이 개방되는 개방위치와 폐쇄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방화문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아암 시스템에 있어서,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문틀에 지지된 피벗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이동하는 방화문의 도어클로저에 결합된 고정암대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암대에 결합된 길이조절암대;를 포함하되, 방화문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가 결합된 길이방향으로 상대적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90도에 근접하게 개방되면서 자동으로 폐쇄하고 피벗힌지를 사용하는 방화문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고, 방화문을 피벗힌지를 사용하는 개방 및 폐쇄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방화문을 개방하고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 {Arm System for Fire-Door Closing Apparatus and Fire-Door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90도에 근접한 범위를 열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폐쇄시키는 아암 시스템의 구조를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선한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별 피난계단이나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제연구역 등의 문은 방화문으로 설치하도록 소방 관련법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다.
방화문에는 화재시 연기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클로저(door closer)나 오토 힌지(auto hinge)를 포함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다.
아울러 방화문 및 방화문 측벽에는 평상시에는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로 개방유지 되게 하고 화재 등에 의해 실내에 연기나 유독가스 발생시 제어신호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의 방화문의 개방을 자동 해제시켜 방화문이 닫히는 폐쇄위치로 오게 하는 방화문 폐쇄 장치가 구비된다.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의 일예로는 방화문에 걸림고리가 있고 벽체에 래치(latch)가 설치된 도어릴리즈(door release)가 있다.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가 구비된 방화문은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연기 발생이나 유독가스 발생과 같은 화재발생 감지시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의 구동부가 작동되어 방화문의 도어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준다. 그에 따라 도어 자동 폐쇄 장치의 폐쇄력(닫힘력)에 의해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혀지게 되어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독성 가스의 확산이 방지되고 불길의 확산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로 개발된 일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78144호(2016. 11. 21. 공고)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특히 방화문이 90도만 개방되는 경우에도 180도에서 폐쇄되도록 폐쇄력을 제공하는 제어부(선행기술 제10-1678144호의 참조번호 '100' 참조)가 사용되어 과도하고 필요 이상의 구조, 기구이며 설치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90도의 방화문도 대부분 '피벗 힌지'로 방화문을 지지하는 문틀에 방화문이 지지되어 있음으로 인해 방화문이 개방 및 폐쇄되는 과정에서 문틀과 방화문에 결합된 도어클로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는다는 것도 하나의 이유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어클로저와 전술한 제어부가 사용되어 왔다.
[참고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678144호 (2016.11.21.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175호 (2002.06.2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90도에 근접하게 개방되면서 자동으로 폐쇄하고 피벗힌지를 사용하는 방화문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문을 피벗힌지를 사용하는 개방 및 폐쇄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방화문을 개방하고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 신호에 효과적으로 방화문이 폐쇄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화문 폐쇄 장치의 제조, 설치 등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90도에 근접하게 개방되면서 자동으로 폐쇄하고 피벗힌지를 사용하는 방화문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을 피벗힌지를 사용하는 개방 및 폐쇄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방화문을 개방하고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신호에 효과적으로 방화문이 폐쇄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 폐쇄 장치의 제조, 설치 등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암 시스템이 방화문, 문틀에 결합된 방화문 폐쇄 장치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아암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아암 시스템의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폐쇄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방화문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2000, 이하에서 '아암 시스템'이라 함)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1000, 이하에서 '방화문 폐쇄 장치'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암 시스템이 방화문, 문틀에 결합된 방화문 폐쇄 장치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아암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아암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폐쇄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방화문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폐쇄 장치(1000)는, 문틀(140)에 결합된 방화문(120)이 개방되는 개방위치와 폐쇄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방화문(120)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아암 시스템(2000)과, 화재 발생시 방화문(120)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9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 시스템(2000)은, 문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2700)와; 문틀(140)에 지지된 피벗힌지(150)를 중심으로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이동하는 방화문(120)의 도어클로저(130)에 결합된 고정암대(2100)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7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암대(2100)에 결합된 길이조절암대(2300);를 포함하되, 방화문(120)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700)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230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700)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2300)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700)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2300)가 결합된 길이방향으로 상대적 위치가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암 시스템(2000)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700)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2300)가 결합된 길이방향으로 상대적 위치를 복귀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부(2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암대(2100)는, 필요에 따라 절곡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막대 형상으로 마련된 고정암대본체(2110)와, 고정암대본체(2110)의 단부 영역에 고정암대본체(2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도어클로저(130)에 결합된 도어클로저고정부(2130)와, 스프링이동볼트(25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길이조절슬롯(2150)과, 길이조절암대(2300)가 더 이상 고정암대(2100)에 대하여 이동이 제한되어 상대적인 길이가 줄어들지 않도록 고정암대(2100)에 결합된 볼트를 포함하는 조절암대스토퍼(2170)와, 길이조절암대(2300)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는 조절암대수용부(21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암대(2100)는 중앙이 비어 있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구조을 부분적으로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길이조절암대(2300)는, 필요에 따라 절곡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 길이조절암대본체(2310)와, 길이조절암대본체(2310)의 단부 영역에 형성된 가이드볼트결합홈(2350)에 결합되고 볼트안내슬롯(27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가이드볼트(2330)와, 측면에 개방위치에서 고정암대본체(2110)에 대한 길이조절암대본체(2310)의 상대적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개방위치고정부재(2370)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개방위치고정홈(2360)과, 개방위치고정부재(2370)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길이조절암대(2300)의 측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238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볼트(233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롤러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조절암대(2300)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탄성부(2500)는, 탄성력 내지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510)과, 스프링(2510)의 일단을 고정암대본체(2110) 또는 길이조절암대(2300)에 지지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링고정볼트(2530)와, 스프링(25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스프링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길이조절슬롯(2150)에 맞물리는 스프링이동볼트(25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위치고정부재(2370)는 예를 들면 볼과 스프링으로 구비(미도시)되어 고정암대본체(2110)에 결합되어 볼이 길이조절암대(230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볼이 개방위치고정홈(2360)에 위치한 경우 고정암대본체(2110)와 길이조절암대본체(2310)의 이동이 상호 제한되어 개방위치에서 고정암대(2100)와 길이조절암대(2300)의 상대적인 길이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2700)는, 중앙이 비어 있어 문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막대 형상으로 마련된 가이드본체(2710)와, 가이드볼트(2330)를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는 볼트안내슬롯(2730)과, 볼트안내슬롯(2730)을 향하여 돌출되면서도 방화문(120)을 수동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외력 이상인 경우 돌출된 부분이 미도시된 스프링(2510)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하여 들어가서 가이드볼트(2330)가 볼트안내슬롯(2730)을 통과 가능하게 마련된 개방스토퍼(27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방화문(120)을 개방위치로 위치시키면 방화문(120)을 개방위치에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개방위치에 있는 방화문(120)을 닫으려고 설정된 외력 이상으로 방화문(120)을 가압하면 가이드볼트(2330)는 개방스토퍼(2750)의 폐쇄력을 극복하고 폐쇄위치로 이동하여 도어클로저(130)의 폐쇄력에 의하거나 자동으로 방화문(120)이 폐쇄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가이드(2700)는 필요에 따라 폐쇄위치에서 가이드볼트(233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미도시된 폐쇄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스토퍼(2750)는 자력이 구비된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전원의 공급으로 인해 길이가 줄어들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방화문(120)을 개방하여 방화문(120)을 열어 놓은 경우 화재 신호를 제어부(2900)에서 수신하면 제어부(2900)는 개방스토퍼(2750)의 작동을 제어하여 돌출되어 가이드볼트(2330)가 폐쇄위치로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2900)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아암 시스템(2000)이 작동하여 방화문(120)이 폐쇄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된 개방스토퍼(2750)를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시켜 가이드볼트(2330)가 볼트안내슬롯(2730)을 따라 도어클로저(130)의 폐쇄력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설명하지 않은 참조번호 '110'은 문틀(140)이 결합되는 건축물의 구조물 내지 벽체이다.
아울러 문틀(140)에 방화문(120)이 결합되는 방법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40) 및 방화문(120) 사이의 틈새(도 6a의 'GAP1' 및 'GAPCL1' 참조)가 거의 없도록 결합되어 경첩의 중심(도 6a의 'CL1' 참조)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첩 타입과, 문틀(140) 및 방화문(120) 사이의 틈새(도 6b의 'GAP2' 및 'GAPCL2' 참조)가 경첩 타입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경첩의 중심(도 6b의 'CL2' 참조)에 대하여 회전하는 피벗힌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피벗힌지는 문틀(140)과 방화문(120)에 상호 맞물리게 결합되는 공지의 힌지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방화문(120)이 피벗힌지(150) 타입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방화문(120)과 문틀(140) 사이를 본 발명과 같이 직선 타입의 아암 시스템으로 개폐하였을 때 아암 시스템의 길이가 늘었다가 줄었다가 하지 않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경첩 타입과 달리 피벗힌지 타입의 틈새가 많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방화문(120)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개폐가 될 수 없다.
추측컨대 우리나라에서 피벗힌지(150) 타입으로 되어 있는 것은 방화문(120)이 개방될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180도 개방이 가능한 경우에는 피벗힌지가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건물 복도 등에서와 같이 90도를 이루는 코너에 방화문(120)이 설치된 경우 방화문(120)은 90도보다 조금 더 열리고 벽체 등으로 인해 180도까지 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렇게 90도에 근접하게 개방되는 방화문(120)의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문틀에 방화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고가의 가칭 '제어부'(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 참조)가 부착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벗힌지를 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직선 타입의 아암 시스템 구조를 적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에측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도출하게 되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아암 시스템(2000) 및 방화문 폐쇄 장치(1000)의 작동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방화문(120)이 폐쇄위치에 위치한 상태이고, 도 5b는 방화문(120)이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도 5a의 폐쇄위치에서는 가이드볼트(2330)는 폐쇄스토퍼(미도시)측에 위치하고, 개방스토퍼(2750)는 미도시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부재 탄성력으로 볼트안내슬롯(2730)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길이조절암대(2300)와 고정암대(2100)가 상호 중첩되어 결합된 길이와 스프링(2510)의 길이도 제일 짧은 상태이다. 개방위치고정부재(2370)는 절개홈(2380) 영역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폐쇄위치에서 사용자가 방화문(120)의 손잡이를 잡고 열면 방화문(120)은 도 5a에서 피벗힌지(15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이드볼트(2330)는 슬라이딩 가이드(2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피벗힌지(150)측으로 볼트안내슬롯(2730)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조절암대(2300)와 고정암대(2100)가 상호 중첩되어 결합된 길이와 스프링(2510)의 길이도 점점 늘어나게 된다.
방화문(120)이 도 5b와 같은 개방위치에 도달하면, 가이드볼트(2330)는 개방스토퍼(2750)를 통과하여 위치하여 개방스토퍼(2750)의 돌출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이동이 제한되고, 길이조절암대(2300)와 고정암대(2100)가 상호 중첩되어 결합된 길이와 스프링(2510)의 길이는 제일 긴 상태이다. 개방위치고정부재(2370)는 개방위치고정홈(2360) 영역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방화문(120)을 놓더라도 가이드볼트(2330)가 개방스토퍼(275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어 방화문(120)는 개방위치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런 개방위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화문(120)을 가압하여 가압된 외력이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개방스토퍼(2750)의 폐쇄력을 극복하고 가이드볼트(2330)의 돌출된 영역이 들어가게 되어 가이드볼트(2330)는 볼트안내슬롯(2730)을 따라 방화문(120)은 폐쇄위치로 도어클로저(130)의 폐쇄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90도에 근접하게 개방되면서 자동으로 폐쇄하고 피벗힌지를 사용하는 방화문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을 피벗힌지를 사용하는 개방 및 폐쇄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방화문을 개방하고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신호에 효과적으로 방화문이 폐쇄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 폐쇄 장치의 제조, 설치 등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0 : 방화문 폐쇄 장치
2000 : 아암 시스템 2100 : 고정암대
2110 : 고정암대본체 2130 : 도어클로저고정부
2150 : 길이조절슬롯 2170 : 조절암대스토퍼
2180 : 조절암대수용부
2300 : 길이조절암대 2310 : 길이조절암대본체
2330 : 가이드볼트 2350 : 가이드볼트결합홈
2360 : 개방위치고정홈 2370 : 개방위치고정부재
2380 : 절개홈
2500 : 탄성부 2510 : 스프링
2530 : 스프링고정볼트 2550 : 스프링이동볼트
2700 : 슬라이딩가이드 2710 : 가이드본체
2730 : 볼트안내슬롯 2750 : 개방스토퍼
2900 : 제어부
110 : 벽체 120 : 방화문
130 : 도어클로저 140 : 문틀
150 : 피벗힌지

Claims (5)

  1. 문틀에 결합된 방화문이 개방되는 개방위치와 폐쇄되는 폐쇄위치 사이를 방화문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아암 시스템에 있어서,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문틀에 지지된 피벗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이동하는 방화문의 도어클로저에 결합된 고정암대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암대에 결합된 길이조절암대;를 포함하되,
    방화문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가 결합된 길이방향으로 상대적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길이조절암대가 이동 가능하게 상기 길이조절암대의 가이드볼트가 결합되는 가이드볼트슬롯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볼트슬롯의 일측에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볼트가 이동 제한 가능하게 마련된 개방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스토퍼는 화재발생시 상기 가이드볼트의 이동 제한을 해제 가능하게 이동하여 방화문이 도어클로저의 닫힘력에 의하여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가 결합된 길이방향으로 상대적 위치를 복귀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가 개방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길이조절암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개방위치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시스템.
  5. 제1항의 아암 시스템이 결합된 방화문을 포함하되,
    방화문은 피벗힌지에 의하여 문틀과 결합되며 90도에 근접하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폐쇄 장치.
KR1020200058651A 2020-05-15 2020-05-15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 KR102331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51A KR102331578B1 (ko) 2020-05-15 2020-05-15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51A KR102331578B1 (ko) 2020-05-15 2020-05-15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242A true KR20210141242A (ko) 2021-11-23
KR102331578B1 KR102331578B1 (ko) 2021-11-25

Family

ID=7869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651A KR102331578B1 (ko) 2020-05-15 2020-05-15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5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4933A (zh) * 2022-08-21 2022-11-18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智能消防窗
KR102664051B1 (ko) * 2023-08-22 2024-05-08 박영화 반려동물을 위한 문의 자동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155A (ja) * 1992-10-16 1994-05-10 Sugatsune Ind Co Ltd ドアクローザー
CN208251895U (zh) * 2017-12-26 2018-12-18 滦县捷澳建材有限公司 一种消防防火门窗专用一体式带闭门器的定位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155A (ja) * 1992-10-16 1994-05-10 Sugatsune Ind Co Ltd ドアクローザー
CN208251895U (zh) * 2017-12-26 2018-12-18 滦县捷澳建材有限公司 一种消防防火门窗专用一体式带闭门器的定位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4933A (zh) * 2022-08-21 2022-11-18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智能消防窗
CN115354933B (zh) * 2022-08-21 2024-04-2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智能消防窗
KR102664051B1 (ko) * 2023-08-22 2024-05-08 박영화 반려동물을 위한 문의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578B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578B1 (ko) 방화문 폐쇄 장치용 아암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방화문 폐쇄 장치
EP2140090B1 (en) Restricting devices
CA2771030C (en) Door closer
KR100844525B1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101463714B1 (ko) 방화문용 도어스토퍼
KR102492752B1 (ko) 착탈 브래킷을 갖는 수동 작동 가능한 자동 창문 개폐장치
KR20180098828A (ko) 방화문의 개폐 조절장치
JP2011064046A (ja) 横軸回動窓と横軸回動窓の連窓開閉システム装置
KR20200098096A (ko) 자동 도어 힌지 장치
KR20190117951A (ko)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GB2383376A (en) Friction Stay
US20090211055A1 (en) Door Hinge Stop Mechanism
JP2011153458A (ja) 戸の指挟み防止装置
JP2022034805A (ja) 脱出ドアユニット
JP4750406B2 (ja) 開閉装置
KR102094193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2094195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JP7464983B2 (ja) 扉閉止補助装置
KR20110132878A (ko) 방화도어 폐쇄순위 조절장치
WO2021075185A1 (ja) 開閉装置
KR10083717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2359815B1 (ko) 방화용 비상문의 열림 제어장치
JP7446958B2 (ja) 建具
KR102363523B1 (ko) 토션 조절이 가능한 도어 손끼임 방지장치
JPH07293078A (ja) 火災時における戸の反り防止構造及び反り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