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0998A - 스마트 칼라필터 - Google Patents

스마트 칼라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0998A
KR20210140998A KR1020200057988A KR20200057988A KR20210140998A KR 20210140998 A KR20210140998 A KR 20210140998A KR 1020200057988 A KR1020200057988 A KR 1020200057988A KR 20200057988 A KR20200057988 A KR 20200057988A KR 20210140998 A KR20210140998 A KR 2021014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smart color
phase change
change material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366B1 (ko
Inventor
박남규
인성준
박주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36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02B5/282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reflecting for infrared and transparent for visible light, e.g. heat reflectors, laser 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칼라필터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마트 칼라필터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및 상변이 물질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단위시트층; 및 상기 단위시트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변이 물질층과 접하는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칼라필터 {SMART COLOR FILTER}
본 발명은 스마트 칼라필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도에 의해 가시광선 및 적외선 영역의 광투과도 및 광반사도가 변화하는 스마트 칼라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물의 외벽 및 창 등은 외부 온도에 무관하게,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그대로 투과 또는 흡수하여, 실내의 색 환경 및 온도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이러한 빛의 투과 및 흡수로 인해, 계절에 따라 실내 색 환경 및 온도의 유지에 많은 비용이 든다. 이에 실내로 투과되는 색 및 외부로 보이는 반사 색을 조절할 수 있고, 계절 혹은 외부의 온도에 따라 실내 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적외선 대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 및 반사 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칼라필터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 칼라필터에 이용되는 상변이 물질의 특성상 온도에 따른 가시광선 대역 빛에 대한 반응성이 적고, 적외선 대역 빛의 투과-반사 비율의 증가 한계로 인해서 새로운 상변이 물질의 발명 또는 기존의 상변이 물질을 이용한 광공학적 새로운 스마트 칼라필터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7307호(2014.08.06. 공고, 발명의 명칭: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가시광선 대역 내의 광반응성 효율이 우수하고,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반사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칼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 공학적 구조를 제안하여, 가시광선-적외선 대역 빛의 광 반응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칼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면적, 저비용 공정을 통해 광 반응성, 실용성 및 양산성이 우수한 스마트 칼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스마트 칼라필터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마트 칼라필터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및 상변이 물질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단위시트층; 및 상기 단위시트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변이 물질층과 접하는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위시트층은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변이 물질층 및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1:1~1:10의 두께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두께가 10~300nm 이며, 상기 상변이물질층은 두께가 5~60nm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투명기판은 유리, 사파이어 및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제1 금속산화물, 제1 금속불화물 및 제1 금속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은 실리콘(Si), 몰리브덴(Mo), 니켈(Ni), 바나듐(V), 리튬(Li), 텅스텐(W),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구리(Cu)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질화물(SiN), 플루오르화 마그네슘(MgF2), 산화텔루륨(TeO2), 산화티타늄(TiO2),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및 폴리알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변이 물질층은 바나듐 다이옥사이드(VO2) 및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륨(GeSbTe, germanium-antimony-tellurium)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은 제2 금속산화물, 제2 금속불화물 및 제2 금속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금속은 실리콘(Si), 몰리브덴(Mo), 니켈(Ni), 바나듐(V), 리튬(Li), 텅스텐(W),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구리(Cu)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질화물(SiN), 플루오르화 마그네슘(MgF2), 산화텔루륨(TeO2), 산화티타늄(TiO2),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및 폴리알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및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은 각각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증착(Evaporation), 플라즈마-증강 화학기상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스퍼터링(Sputtering) 및 스핀코팅(Spin-coating)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변이 물질층은 화학기상증착(CVD), 증착(Evaporation), 플라즈마-증강 화학기상증착(PECVD), 스퍼터링(Sputtering) 및 스핀코팅(Spin-coating)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칼라필터는 가시광선 대역 내의 광반응성 효율이 우수하고,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반사 비율을 향상시키며, 가시광선-적외선 대역 빛의 광 반응성 효율을 높이며, 기존의 상변이 물질 증착법을 활용하여 대면적 및 저비용 공정을 통해 광 반응성, 실용성 및 양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칼라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칼라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스마트 칼라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광파장에 따른 광반사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광파장에 따른 광반사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광파장에 따른 광투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광파장에 따른 광투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CIE1931 반사색 평가 결과이며, 도 8(b)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CIE1931 투과색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실시예 1의 낮은 온도(25℃)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 에서의 전기장 분포도(Enorm) 평가결과이며, 도 9(b)는 실시예 1의 높은 온도(67℃)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에서의 전기장 분포도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실시예 2의 낮은 온도(25℃)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 에서의 전기장 분포도(Enorm) 평가결과이며, 도 10(b)는 실시예 2의 높은 온도(67℃)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에서의 전기장 분포도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비교예 1의 낮은 온도(25℃)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 에서의 전기장 분포도(Enorm) 평가결과이며, 도 11(b)는 비교예 1의 높은 온도(67℃)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에서의 전기장 분포도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보는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칼라필터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스마트 칼라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칼라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칼라필터(1000)는 투명기판(110); 투명기판(110)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122) 및 상변이 물질층(1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단위시트층(120); 및 단위시트층(120) 상부에 형성되고, 상변이 물질층(124)과 접하는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마트 칼라필터에 외부로부터 광의 입사시,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 상변이 물질층(124),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122) 및 투명기판(110)의 순서로 투과되면서 광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투명기판(110)은 유리, 사파이어 및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설파이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올레핀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투명기판(110)은 두께가 5nm~100mm 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스마트 칼라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단위시트층(120)은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122) 및 상변이 물질층(1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122)는 제1 금속산화물, 제1 금속불화물 및 제1 금속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은 실리콘(Si), 몰리브덴(Mo), 니켈(Ni), 바나듐(V), 리튬(Li), 텅스텐(W),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구리(Cu)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산화실리콘(SiO2), 산화몰리브덴(MoO3), 니켈산화물(NiOX), 오산화바나듐(V2O5), 플루오로화리튬(LiF), 산화텅스텐(WO3),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및 산화구리(Cu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산화실리콘(SiO2), 질화실리콘(Si3N4), 산화알루미늄(Al2O3) 및 플루오르화 마그네슘(MgF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122)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질화물(SiN), 플루오르화 마그네슘(MgF2), 산화텔루륨(TeO2), 산화티타늄(TiO2),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및 폴리알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변이 물질층(124)은 바나듐 다이옥사이드(VO2) 및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륨(GeSbTe, germanium-antimony-tellurium, GST)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륨은 상기 게르마늄, 안티몬 및 텔루륨이 다양한 몰비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변이 물질층(124)은 폴리머 및 페로브스카이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설파이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올레핀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칼라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칼라필터(2000)는 단위시트층(120)은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시트층(120)은 1~100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스마트 칼라필터의 가시광 대역의 광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적외선 대역의 광의 투과-반사 비율 증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30 층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두께가 10~300nm 이며, 상기 상변이 물질층은 두께가 5~60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증착비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반사를 줄이고, 가시광선-적외선 반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두께가 20~100nm 이며, 상기 상변이 물질층은 두께가 10~30nm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변이 물질층 및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1:0.1~1:10의 두께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두께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스마트 칼라필터의 가시광 대역의 광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적외선 대역의 광의 투과-반사 비율 증가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1~1:10 두께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변이 물질층(124)은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과 접한다. 상기 도 2와 같이, 단위시트층이 복수 개 포함되는 경우, 최상부의 상변이 물질층(124)과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이 접할 수 있다.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은 광 입사시 상변이 물질층으로부터 역으로 광이 반사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목적하는 광효율을 확보하기 위해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은 두께가 5~500n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가시광선 대역 내의 광 반응성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반사 비율을 매우 증가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은 제2 금속산화물, 제2 금속불화물 및 제2 금속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금속은 실리콘(Si), 몰리브덴(Mo), 니켈(Ni), 바나듐(V), 리튬(Li), 텅스텐(W),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구리(Cu)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은 플루오르화 마그네슘(MgF2), 산화실리콘(SiO2), 산화몰리브덴(MoO3), 니켈산화물(NiOX), 오산화바나듐(V2O5), 플루오로화리튬(LiF), 산화텅스텐(WO3),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및 산화구리(Cu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실리콘(SiO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질화물(SiN), 플루오르화 마그네슘(MgF2), 산화텔루륨(TeO2), 산화티타늄(TiO2),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및 폴리알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및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은 각각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증착(Evaporation), 플라즈마-증강 화학기상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스퍼터링(Sputtering) 및 스핀코팅(Spin-coating)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변이 물질층은 화학기상증착(CVD), 증착(Evaporation), 플라즈마-증강 화학기상증착(PECVD), 스퍼터링(Sputtering) 및 스핀코팅(Spin-coating)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스핀코팅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바나듐 트리-이소프로폭사이드(vanadium tri-isopropoxide, VO(OC3H7)3) 0.12M 용액을 투명기판 표면에 2500 rpm 조건으로 20초 스핀코팅한 다음, 250℃에서 3분간 열처리를 한다.그후 380℃에서 약 50분 동안 열처리를 하여, 중간 산화물인 V2O5를 얻고, 이후 저압 산소 환경에서 약 570℃에서 약 40분 이상 열처리를 하여 상변이 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투명기판의 일 표면에 두께 250nm의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를 스핀코팅하고,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의 일 표면에 두께 40nm의 상변이 물질층을 스핀코팅하여 단위시트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상변이 물질층의 표면에 두께 10nm의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을 스핀코팅하여, 상기 도 1과 같은 스마트 칼라필터를 제조하였다. (상변이 물질층: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1:6.25 두께비).
실시예 2
투명기판(110)의 일 표면에 두께 10nm의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122)를 스핀코팅하고,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122)의 일 표면에 두께 10nm의 상변이 물질층(124)을 스핀코팅하여 단위시트층(120)을 형성하는 공정을 6회 실시하였다. 그 다음에 최상부에 형성된 상변이 물질층(124)의 표면에 두께 20nm의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130)을 적층하여, 상기 도 2와 같은 형태의 스마트 칼라필터(2000)를 제조하였다. (상변이 물질층: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1:1 두께비).
비교예 1
투명기판(110)의 일 표면에 두께 50nm의 상변이 물질층(124)을 형성하여, 하기 도 3과 같은 구조의 스마트 칼라필터(3000)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스마트 칼라필터에 대하여, 광반사 및 광투과 효율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4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광파장에 따른 광반사 평가 결과이며,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광파장에 따른 광투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스마트 칼라필터는 비교예 1 보다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반응성이 증가하였으며, 비교예 1에 비해 적외선 영역에서의 광투과-반사 비율이 8.3% 증가하여, 적외선 영역에서의 광투과-반사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스마트 칼라필터에 대하여, 광반사 및 광투과 효율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5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광파장에 따른 광반사 평가 결과이며, 도 7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광파장에 따른 광투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2의 스마트 칼라필터는 비교예 1 보다 가시광영역에서의 광반응성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비교예 1에 비해 적외선 영역에서의 광투과-반사 비율이 7.4% 증가하여, 적외선 영역에서의 광투과-반사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도 8(a)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CIE1931 반사색 평가 결과이며, 도 8(b)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CIE1931 투과색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CIE1931 색평가를 통해 실시예 1~2의 가시광선 대역에서의 광반응성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a)는 실시예 1의 낮은 온도(25℃)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 에서의 전기장 분포도(Enorm) 평가결과이며, 도 9(b)는 실시예 1의 높은 온도(67℃)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에서의 전기장 분포도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실시예 2의 낮은 온도(25℃)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 에서의 전기장 분포도(Enorm) 평가결과이며, 도 10(b)는 실시예 2의 높은 온도(67℃)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에서의 전기장 분포도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비교예 1의 낮은 온도(25℃)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 에서의 전기장 분포도(Enorm) 평가결과이며, 도 11(b)는 비교예 1의 높은 온도(67℃)에서 전기장 분포의 입사파장 2000nm에서의 전기장 분포도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보다 파장 영역 2000nm에서도 온도에 따라 매우 다른 자기장 분포가 형성되어, 광 반응성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투명기판 120: 단위시트층
122: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124: 상변이 물질층
130: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
1000, 2000, 3000: 스마트 칼라필터

Claims (12)

  1.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및 상변이 물질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단위시트층; 및
    상기 단위시트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변이 물질층과 접하는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시트층은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이 물질층 및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1:1~1:10의 두께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두께가 10~300nm 이며,
    상기 상변이 물질층은 두께가 5~6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유리, 사파이어 및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는 제1 금속산화물, 제1 금속불화물 및 제1 금속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은 실리콘(Si), 몰리브덴(Mo), 니켈(Ni), 바나듐(V), 리튬(Li), 텅스텐(W),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구리(Cu)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질화물(SiN), 플루오르화 마그네슘(MgF2), 산화텔루륨(TeO2), 산화티타늄(TiO2),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및 폴리알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이 물질층은 바나듐 다이옥사이드(VO2) 및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륨(GeSbTe, germanium-antimony-tellurium)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은 제2 금속산화물, 제2 금속불화물 및 제2 금속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금속은 실리콘(Si), 몰리브덴(Mo), 니켈(Ni), 바나듐(V), 리튬(Li), 텅스텐(W), 아연(Zn),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구리(Cu)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질화물(SiN), 플루오르화 마그네슘(MgF2), 산화텔루륨(TeO2), 산화티타늄(TiO2),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및 폴리알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광학 스페이서 및 유전체 비반사 보호층은 각각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증착(Evaporation), 플라즈마-증강 화학기상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스퍼터링(Sputtering) 및 스핀코팅(Spin-coating)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이 물질층은 화학기상증착(CVD), 증착(Evaporation), 플라즈마-증강 화학기상증착(PECVD), 스퍼터링(Sputtering) 및 스핀코팅(Spin-coating)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칼라필터.
KR1020200057988A 2020-05-14 2020-05-14 스마트 칼라필터 KR10237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988A KR102373366B1 (ko) 2020-05-14 2020-05-14 스마트 칼라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988A KR102373366B1 (ko) 2020-05-14 2020-05-14 스마트 칼라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98A true KR20210140998A (ko) 2021-11-23
KR102373366B1 KR102373366B1 (ko) 2022-03-11

Family

ID=7869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988A KR102373366B1 (ko) 2020-05-14 2020-05-14 스마트 칼라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3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892A (ko) * 2014-01-21 2015-07-29 (주)맥스필름 적외선 차단용 스마트 윈도우
KR20160079174A (ko) * 2014-12-26 2016-07-06 전자부품연구원 전기변색-열변색 하이브리드 소자
KR20170024830A (ko) * 2015-08-26 2017-03-08 전자부품연구원 단열기능이 있는 스마트 윈도우 코팅
KR20170107349A (ko) * 2016-03-14 2017-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학 소자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892A (ko) * 2014-01-21 2015-07-29 (주)맥스필름 적외선 차단용 스마트 윈도우
KR20160079174A (ko) * 2014-12-26 2016-07-06 전자부품연구원 전기변색-열변색 하이브리드 소자
KR20170024830A (ko) * 2015-08-26 2017-03-08 전자부품연구원 단열기능이 있는 스마트 윈도우 코팅
KR20170107349A (ko) * 2016-03-14 2017-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학 소자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366B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460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coatings of low-emissivity glass including a ternary alloy
US20210396919A1 (en) Optical filter and sensor system
JP2019521376A (ja) 保護コーティングを含む保護されたアイテム
FR2810118A1 (fr) Substrat transparent comportant un revetement antireflet
JP2019197202A (ja) 曲面コーティング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ソーラーモジュール
TW202037935A (zh) 光學濾波器及其形成方法
US2014030852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coatings of low-emissivity glass
WO2019097192A1 (fr) Materiau comprenant une seule couche fonctionnelle a base d'argent et une couche absorbante
CN104584253A (zh) 有机发光器件和用于制造有机发光器件的方法
Shafian et al. High‐Efficiency Vivid Color CIGS Solar Cell Employing Nondestructive Structural Coloration
JP5560434B2 (ja) 断熱ガラスとその製造方法
Welser et al. Broadband nanostructured antireflection coating on glass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KR102373366B1 (ko) 스마트 칼라필터
KR101194258B1 (ko) 광대역 반사방지 다층코팅을 갖는 태양전지용 투명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7251402B2 (en) Anti-reflection coating for the pass-band of photonic bandgap crystal
CN104422188A (zh) 太阳能吸收器及其制造方法
WO2018180127A1 (ja) 光学部材
US7760432B2 (en) Photochromic resistant materials for optical devices in plasma environments
WO2023117725A1 (fr) Substrat transparent muni d'un empilement fonctionnel de couches minces
CN111370588A (zh) 增反膜光栅结构、电致发光器件及其制作方法
KR101543604B1 (ko) 태양전지용 반사방지막
KR20150002516A (ko) 반사방지 코팅층을 가지는 투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BE1019243A3 (fr) Substrat transparent pour dispositifs photoniques.
KR102269781B1 (ko) 반사방지 코팅층을 가지는 투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2517A (ko) 반사방지 코팅층을 가지는 투명기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