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0925A - 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0925A
KR20210140925A KR1020200057707A KR20200057707A KR20210140925A KR 20210140925 A KR20210140925 A KR 20210140925A KR 1020200057707 A KR1020200057707 A KR 1020200057707A KR 20200057707 A KR20200057707 A KR 20200057707A KR 20210140925 A KR20210140925 A KR 2021014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aser beam
light
infrared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재국
이재호
김종민
김용수
이현준
이상희
이성진
김순걸
추명경
Original Assignee
(주)네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스랩 filed Critical (주)네스랩
Priority to KR102020005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0925A/en
Publication of KR2021014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9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41G1/35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for illuminating the target, e.g. flash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2Foresights
    • F41G1/027Foresights with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41G1/36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with infrared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emitter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performing a lighting function. The laser emit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 source control module which selects a type of laser emitted from an infrared laser or a visible light las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adjust the intensity and wavelength of the selected laser; a light source tube module including an infrared laser unit or a visible light laser unit; 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for controlling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output laser to up, down, left and right; and an auxiliary module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light outlet of the laser emitter, and performs an illumination beam function when the infrared laser is emitted by the concave lens bundle when attach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diffusion lens is attached to an outlet where the infrared laser beam is output, such that an output beam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and the attached diffusion lens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s needed from the outside of the laser emitter, so as to be installed in an existing laser emitter.

Description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오목 렌즈 뭉치의 탈부착이 가능한 레이저 빔 발사기{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

본 발명은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오목 렌즈 뭉치의 탈부착이 가능한 레이저 빔 발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외선 레이저의 출구에 탈부착이 가능한 오목 렌즈 뭉치를 부착시켜 물체의 주변을 조명할 수 있도록 서치라이트 형태의 적외선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빔 발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beam launcher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performing an illumin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ttaching a detachable concave lens bundle to the exit of an infrared laser to illuminate the periphery of an object. It relates to a laser beam launcher that emits an infrared beam of the form.

21세기에 들어 가장 보급이 빠른 총기 부착용 액세서리의 하나가 바로 레이저 빔 발사기(Laser target designator)이다. 레이저 빔 발사기(Laser Target Designator)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조준하거나 항공이나 지상에서 화력 지원시 정밀 타격이 가능하도록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적을 지시하는 장비로서, 가늠자와 가늠쇠, 혹은 망원조준경 등의 광학 조준장비와 달리 직접 목표 위에 탄착점의 예상 위치를 구현하므로 유사시의 신속한 조준에 큰 도움이 된다. One of the most popular gun attachment accessories in the 21st century is a laser target designator. A laser target designator is a device that uses a laser to direct a target so that it can aim a target using a laser or achieve a precise strike when supporting firepower from the air or the ground. Unlike aiming equipment, it implements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impact point directly on the target, which is very helpful for quick aiming in case of emergency.

미군의 경우 빔 발사기와 광학조준경을 병용해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방식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준의 정밀도로만 따지면 스코프, 다시 말해 망원조준경이 가장 뛰어나지만 근거리에서 다중 목표에 대한 대처는 어렵다. In the case of the U.S. military, the combination of a beam launcher and an optical sight is achieving significant results by applying it to the situation. In general, in terms of aiming precision alone, the scope, that is, the telescopic sight, is the best, bu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multiple targets at close range.

또한, 무배율 광학조준경을 이용할 경우 근거리에서 기존의 가늠자를 사용하여 조준선을 정렬하는 것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조준선 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준선 정렬 과정이 필요 없는 레이저 빔 발사기는 위급할 때 요긴하게 사용가능하며, 실내전이나 시가전 등 교전거리가 짧은 곳에 최적화되어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a non-magnifying optical sight, it can be adjust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an aligning the line of sight using a conventional scale at close range. 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sufficient time was required to align the crosshairs. Therefore, the laser beam launcher, which does not require line-of-sight alignment, can be usefully used in an emergency, and can be optimized and used in places with short engagement distances such as indoor and street warfare.

한편, 레이저 빔 발사기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지만 야시경으로는 보이는 적외선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므로, 야시경과 함께 사용하는 비가시(非可視) 방식의 레이저 빔 발사기가 사용된다. 이런 종류의 빔 발사기는 특히 총기의 조준장치 사용이 불편한 야시 고글과 겸용할 때 큰 위력을 발휘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ser beam emitter uses a laser of an infrared wavelength tha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but visible with a night vision goggles, a non-visible laser beam emitter used together with the night vision goggles is used. This type of beam launcher is especially powerful when paired with Yashi Goggles, which are inconvenient to use the gun's aiming device.

그러나, 종래의 레이저 빔 발사기는 빔의 퍼짐을 억제하고 표적에 빔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빔 크기가 작은 광선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광선은 주변의 탐지, 인지는 제한되었으며, 무월일 경우, 야시경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적어져 야시경의 탐사거리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빛의 양이 많은 만월일 경우, 산악지형의 나무 아래 또는 건물 등의 그늘지역은 음영을 발생시켜 탐지하는데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the conventional laser beam launcher uses a beam having a small beam size in order to suppress the spread of the beam and increase the beam concentration on the target. Therefore, the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the surroundings of the existing light beam was limited, and in case of moonless moon,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night vision goggles decreased and the search distance of the night vision goggles was shorten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ull moon with a large amount of light, shaded areas such as under trees or buildings in mountainous terrain generate shadows and are limited in detection.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86830호(2006. 06. 08.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0586830 (2006. 06. 08. Announce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외선 레이저의 출구에 탈부착이 가능한 오목 렌즈 뭉치를 부착시켜 물체의 주변을 조명할 수 있도록 서치라이트 형태의 적외선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빔 발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detachable concave lens bundle to the exit of the infrared laser to provide a laser beam launcher that emits an infrared beam in the form of a searchlight so as to illuminate the periphery of an object.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오목 렌즈 뭉치의 탈부착이 가능한 레이저 빔 발사기에 있어서, 적외선 레이저 또는 가시광선 레이저 중에서 발사되는 레이저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레이저의 세기 및 파장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광원 제어 모듈, 가시광선 레이저부와 적외선 레이저부를 포함하는 광원 튜브 모듈, 상기 출력된 레이저의 조사 방향을 상하좌우로 제어하는 하는 방향 조정 모듈, 그리고 상기 레이저 빔 발사기의 광 출구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부착시 오목 렌즈 뭉치에 의해 상기 적외선 레이저가 발사되면 조명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보조 모듈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task, in a laser beam launcher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performing an illumination function, a type of laser emitted from an infrared laser or a visible laser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laser A light source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ntensity and wavelength of a light source control module, a light source tube module including a visible light laser unit and an infrared laser unit, 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for controlling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output laser vertically, horizontally, horizontally, and the It is detachable from the light outlet of the laser beam launcher, and includes an auxiliary module for performing an illumination beam function when the infrared laser is emitted by a concave lens bundle when attached.

상기 적외선 레이저부는 상기 광원제어 모듈과 연결된 적외선 레이저 및 제1 볼록 렌즈 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선 레이저부는 상기 광원제어 모듈과 연결된 가시광선 레이저 및 제2 볼록 렌즈 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rared laser unit may include an infrared laser and a first convex lens bundle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and the visible ray laser unit may include a visible ray laser and a second convex lens bundle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상기 보조 모듈은, 상기 레이저 빔 발사기의 광출구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광출구 마개, 그리고 상기 광출구 마개의 일부분에 형성되며, 부착시에 상기 제1 볼록 렌즈 뭉치와 연결되는 오목 렌즈 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module includes an optical exit stopper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tical exit of the laser beam emitter, and a concave lens bundle formed on a portion of the optical exit stopp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vex lens bundle when attached can do.

상기 광원 제어 모듈은, 조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상기 적외선 레이저부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조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가시광선 레이저부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infrared laser unit when the illuminance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visible light laser unit if the illumin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상기 적외선 레이저부는 표적 물체에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고, 상기 가시광선 레이저부는 표적 물체에 가시광선 레이저 광선을 발사할 수 있다. The infrared laser unit may emit an infrared laser beam to a target object, and the visible light laser unit may emit a visible laser beam to the target objec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레이저 광선이 출력되는 출구에 확산렌즈를 부착시켜 출력되는 광선을 조명빔 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으며, 부착되는 확산렌즈는 레이저 빔 발사기의 외측에서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레이저 빔 발사기에도 설치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diffusion lens to the outlet from which the infrared laser beam is output, the output beam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and the attached diffusion lens can be detached as needed from the outside of the laser beam emitter. Therefore, it can be installed in an existing laser beam launc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조준빔과 조명빔 형태로 출력 가능하므로 조명빔을 이용하여 야간 전투시 어두운 전장 환경에서의 탐지 거리를 증가시키고, 산악지형의 나무 아래 또는 건물 등과 같이 음영이 발생된 특정지역에서는 주변을 탐색할 수 있는 탐조등의 역할을 수행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infrared laser beam in the form of an aiming beam and an illumination beam, the detection distance is increased in a dark battlefield environment during night battle using the illumination beam, and shadows such as under trees or buildings in mountainous terrain are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erform the role of a searchlight that can search the surroundings in a specific area where it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 발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모듈이 몸체부로부터 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광원 튜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모듈이 탈착된 상태에서의 적외선 레이저에서 출력되는 빛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조준빔 형태로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모듈이 레이저 빔 발사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튜브 모듈에 오목 렌즈 뭉치를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오목 렌즈 뭉치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의 빛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조명빔 형태로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aser beam laun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odule shown in FIG. 1 is detached from the body.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body portion shown in FIG. 1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light source tube module shown in FIG. 2 .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light output from the infrared laser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odule is de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nfrared laser beam output in the form of a collimated beam.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laser beam launcher.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cave lens bundle is connected to a light source tub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light flow of an infrared laser beam output in a state in which the concave lens bundle is connected.
10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nfrared laser beam output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 발사기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laser beam laun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 발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모듈이 몸체부로부터 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aser beam laun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odule shown in Figure 1 is detached from the body.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 발사기(100)는 몸체부(110) 및 보조 모듈(120)을 포함한다. 1 and 2 , the laser beam launch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 and an auxiliary module 120 .

먼저, 몸체부(110)는 화기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광출구(111)가 형성된다. 광출구(111)는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 및 가시광선 레이저 광선을 외부로 내보내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광출구(111)는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제1 광출구(111-1)와, 가시광선 레이저 광선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제2 광출구(111-2)를 포함한다. First, the body 11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earm, the light outlet 1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The light outlet 111 serves as a path for emitting the infrared laser beam and the visible laser beam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optical exit 111 includes a first optical exit 111-1 for emitting an infrared laser beam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ptical exit 111-2 for emitting a visible laser beam to the outside.

또한, 몸체부(110)의 다른 일측에는 배터리 삽입부(112)를 형성한다. 배터리 삽입부(112)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덮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내측에 배터리가 삽입된다. 삽입된 배터리는 레이저 빔 발사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In addition, the battery insertion part 1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110 . The battery insert 112 has a cover that is screwed together, and the battery is inserted t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The inserted battery supplies power to the laser beam launcher 100 .

그리고, 보조 모듈(120)은 광출구마개(121) 및 오목 렌즈 뭉치(12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module 120 includes a light outlet stopper 121 and a concave lens bundle 122 .

광출구마개(121)는 원형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121-1)를 포함한다. 그리고, 광출구마개(121)의 일측에는 오목 렌즈 뭉치(122)를 형성하며, 오목 렌즈 뭉치(122)는 입사되는 광선을 확산시켜 조명빔 형태로 출력시킨다. The light outlet stopper 121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includes a pair of coupling portions 121-1 protruding outward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a concave lens bundle 1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ght outlet stopper 121 , and the concave lens bundle 122 diffuses the incident light beam and outputs it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한편, 보조 모듈(120)과 몸체부(110)는 필요에 의해 탈착 또는 부착되는 것으로서, 보조 모듈(120)은 몸체부(110)로부터 완전 분리되어 끼워맞춤 또는 나사식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module 120 and the body portion 110 are detachable or attached as necessary, and the auxiliary module 12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10 and coupled in a fitting or screw typ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1-1)의 일단이 몸체부(110)에 고정한 상태에서 보조 모듈(12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조명빔 형태로 출력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보조 모듈(120)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광출구(111)의 전면에 오목 렌즈 뭉치(122)를 위치시키고, 조준빔 형태로 출력할 경우에는 보조 모듈(120)을 상측으로 회전하여 광출구(111)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auxiliary module 120 may be rotated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121-1 is fixed to the body part 110 . That is, when outputting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the user rotates the auxiliary module 120 downward to position the concave lens bundle 122 on the front of the light outlet 111, and when outputting in the form of a collimating beam, the auxiliary module By rotating 120 upward, the light outlet 111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외선 레이저 및 가시광선 레이저를 출력시키기 위한 레이저 빔 발사기(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aser beam launcher 100 for outputting an infrared laser and a visible ray la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body portion shown in FIG.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 발사기(100)의 몸체부(110)는 광원 제어 모듈(113), 광원 튜브 모듈(114), 방향조정모듈(115), 전원모듈(116), 커넥터(117), 점검등(118) 및 스위치(119)를 포함한다. 3, the body 110 of the laser beam launcher 100 includes a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a light source tube module 114, 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115, a power module 116, a connector ( 117 ), an inspection light 118 , and a switch 119 .

먼저, 광원 제어 모듈(113)은 필요한 레이저의 종류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레이저의 세기 및 파장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First,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selects a required laser type, and then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ntensity and wavelength of the selected laser.

부연하자면, 광원 제어 모듈(113)은 조도센서(미도시함)를 포함한다. 그리고 광원 제어 모듈(113)은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을 이용하여 레이저의 종류를 선택한다. 여기서 레이저의 종류는 적외선 레이저와 가시광선 레이저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원 제어 모듈(113)은 조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적외선 레이저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조도가 기준값보다 이상이면 가시광선 레이저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레이저의 종류 선택이 완료되면, 광원 제어모듈(113)은 선택된 레이저의 광선 세기를 조절시킨다. In other words,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And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selects the type of laser using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Here, the type of laser includes an infrared laser and a visible light laser. Accordingly,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infrared laser when the illumin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visible ray laser when the illuminanc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selection of the laser type is completed,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adjusts the beam intensity of the selected laser.

그 다음, 광원 튜브 모듈(114)은 광원 제어 모듈(113)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레이저를 출력시킨다. Then, the light source tube module 114 outputs the selected las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

이하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튜브 모듈(114)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ight source tube module 1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원 튜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light source tube module shown in FIG. 3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튜브 모듈(114)은 적외선 레이저부(114-1) 및 가시광선 레이저부(114-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 the light source tube module 114 includes an infrared laser unit 114-1 and a visible light laser unit 114-2.

먼저, 적외선 레이저부(114-1) 는 적외선 레이저(114-11) 및 제1 볼록 렌즈 뭉치(114-12)를 포함하며, 광원 제어 모듈(113)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은 제1 광출구(111-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First, the infrared laser unit 114-1 includes an infrared laser 114-11 and a first convex lens bundle 114-12,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and outputs an infrared laser beam. do. In this case, the output infrared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first light outlet 111-1 and is radiated to the outside.

그리고, 가시광선 레이저부(114-2)는 가시광선 레이저(114-21) 및 제2 볼록 렌즈 뭉치(114-22)를 포함한다. 가시광선 레이저부(114-2)는 광원 제어 모듈(113)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가시광선 레이저 광선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된 가시광선 레이저 광선은 제2 광출구(111-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In addition, the visible ray laser unit 114-2 includes a visible ray laser 114-21 and a second convex lens bundle 114-22. The visible ray laser unit 114 - 2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and outputs a visible ray laser beam. At this time, the output visible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second light outlet 111 - 2 and is radiated to the outside.

한편, 적외선 광원부(114-1) 및 가시광선 광원부(114-2)에 포함된 볼록 렌즈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광선은 볼록 렌즈에 의해 평행광이 되어 조준빔 형태로 표적 물체에 조사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aser beam output from the convex lenses included in the infrared light source unit 114-1 and the visible light source unit 114-2 becomes parallel light by the convex lens and is irradiated to the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 collimating beam.

그 다음, 방향조정모듈(115)은 출력되는 레이저 광선의 조사방향을 상하좌우로 조정한다. Then, the direction adjustment module 115 adjusts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output laser beam up, down, left and right.

전원모듈(116)은 레이저 빔 발사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삽입부(112)를 통해 삽입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module 116 supplies power to the laser beam launcher, and supplies power using a battery inserted through the battery insertion unit 112 shown in FIGS. 1 and 2 .

커넥터(117)는 레이저 빔 발사기(100)의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광원 제어 모듈(113)에 전달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광선이 조사되고, 연속해서 두번 누를 시 광선이 계속 조사되게 할 수도 있다.The connector 117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a switch installed outside the laser beam emitter 100 and transmits it to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 Here,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the light beam is irradiated,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twice in succession, the light beam can be continuously irradiated.

점검등(118)은 발사되는 광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 적외선일 경우는 초록색 LED를 가시광선 일 경우는 빨간색 LED를 점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점검등(118)은 배터리 양 및 저전압 정도를 표시한다. The inspection light 118 is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emitted light, and in the case of infrared light, the green LED may be turned on, and in the case of visible light, the red LED may be turned on. In addition, the check light 118 indicates the battery level and the low voltage level.

마지막으로 스위치(119)는 선택스위치(119-1) 및 조사스위치(119-2)를 포함한다. Finally, the switch 119 includes a selection switch 119-1 and an irradiation switch 119-2.

선택스위치(119-1)는 광선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선택스위치(119-1)를 통하여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적외선 조명을 선택할 수 있다.The selection switch 119-1 is for selecting the type of light, and the user can select visible light, infrared light, or infrared light through the selection switch 119-1.

그리고, 조사스위치(119-2)는 커넥터(117)를 통해 외부 입력 신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조사스위치(119-2)를 누르면 광선이 조사되고, 연속해서 두번 누를시 광선이 계속 조사되게 할 수도 있다.And, the irradiation switch 119-2 is for use when not using an external input signal through the connector 117,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irradiation switch 119-2, a light beam is irradiated, and when the user presses twice in succession It is also possible to keep the light irradia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레이저 빔 발사기(100)에 필요에 따라 보조 모듈(120)을 탈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모듈(120)에 포함된 오목 렌즈 뭉치(122)는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출력하는 제1 광출구(111-1)와 연결되며, 보조 모듈(120)을 탈착할 경우에는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조준빔 형태로 출력시키고, 보조 모듈(120)을 부착할 경우에는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조명빔 형태로 출력시킨다. On the other h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ttach and detach the auxiliary module 120 to the laser beam launcher 100 as needed. At this time, the concave lens bundle 122 included in the auxiliary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optical outlet 111-1 for outputting an infrared laser beam, and when the auxiliary module 120 is detached, the infrared laser beam is emitted. The output is in the form of a collimating beam, and when the auxiliary module 120 is attached, an infrared laser beam is output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먼저,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보조 모듈(120)을 몸체부(110)에 탈착시킨 상태에서의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는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First, a configuration for irradiating an infrared laser beam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odule 120 is detached from the body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모듈이 탈착된 상태에서의 적외선 레이저에서 출력되는 빛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조준빔 형태로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light output from the infrared laser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odule is de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frared laser beam output in the form of a collimating beam am.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를 수신한 적외선 레이저(114-11)는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출력한다.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은 제1 볼록 렌즈 뭉치(114-12)를 통과하며 평행광이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광이 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은 조준빔 형태로 표적 물체에 조사된다. 한편, 조준빔 형태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조사할 경우, 주변의 탐지 및 인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는 오목 렌즈 뭉치(122)가 포함된 보조 모듈(120)을 광출구(111)의 전면에 부착하여 조명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As shown in FIG. 5 , the infrared laser 114-11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utputs an infrared laser beam. The output infrared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first convex lens bundle 114-12 and becomes parallel light. Then, as shown in FIG. 6 , the infrared laser beam that has become a parallel light is irradiated to the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 collimating beam.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frared laser beam is irradiated in the form of a collimating beam, the detection and recognition functions of the surroundings may be limited. Accordingly, the user attaches the auxiliary module 120 including the concave lens bundle 122 capable of diffusing light to the front of the light outlet 111 to perform the lighting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보조 모듈(120)을 몸체부(11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의 적외선 레이저 광선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frared laser beam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odule 120 is attached to the body part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모듈이 레이저 빔 발사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튜브 모듈에 오목 렌즈 뭉치를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오목 렌즈 뭉치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의 빛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조명빔 형태로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laser beam launcher, and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cave lens bundle is connected to a light source tub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light flow of the infrared laser beam output in a state in which the concave lens bundle is connected, and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frared laser beam output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모듈(120)은 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된 광출구(111)에 부착된다. 7 and 8 , the auxiliary module 120 is attached to the light outlet 11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

이를 다시 설명하면, 적외선 레이저(114-11) 및 제1 볼록 렌즈 뭉치(114-12)를 포함하는 적외선 광원부(114-1)는 광원 제어 모듈(113)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적외선 레이저 광원을 출력하며,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원은 제1 광출구(111-1)를 통과한다. 이때, 제1 광출구(111-1)의 전면에 오목 렌즈 뭉치(122)를 위치시키면, 제1 광출구(111-1)를 통과한 적외선 레이저 광원은 확산 렌즈 뭉치(122)에 입사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infrared light source unit 114-1 including the infrared laser 114-11 and the first convex lens bundle 114-12 is an infrared laser light sour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3. , and the output infrared laser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first light outlet 111-1. At this time, when the concave lens bundle 122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light exit 111-1, the infrared laser light source passing through the first light exit 111-1 is incident on the diffusion lens bundle 122. .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은 제1 볼록 렌즈 뭉치(114-12)를 통과하며 평행광이 되고, 평행광이 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은 오목 렌즈 뭉치(122)를 통과하며 다시 확산된다. Then, as shown in FIG. 9 , the output infrared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first convex lens bundle 114-12 and becomes parallel light, and the parallel infrared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concave lens bundle 122 . and spread again.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된 적외선 레이저 광선은 조명빔 형태로 표적 물체의 주변에 조사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 the diffused infrared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periphery of the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 발사기는 적외선 레이저 광선이 출력되는 출구에 확산렌즈를 부착시켜 출력되는 광선을 조명빔 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으며, 부착되는 확산렌즈는 레이저 빔 발사기의 외측에서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레이저 빔 발사기에도 설치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beam emit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 output beam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beam by attaching a diffusion lens to the outlet from which the infrared laser beam is output, and the attached diffusion lens is installed from the outside of the laser beam emitter.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s needed, so it can be installed in an existing laser beam launch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 발사기는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조준빔과 조명빔 형태로 출력 가능하므로 조명빔을 이용하여 야간 전투시 어두운 전장 환경에서의 탐지 거리를 증가시키고, 산악지형의 나무 아래 또는 건물 등과 같이 음영이 발생된 특정지역에서는 주변을 탐색할 수 있는 탐조등의 역할을 수행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aser beam launc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infrared laser beams in the form of an aiming beam and an illumination beam, so it increases the detection distance in a dark battlefield environment during night battle using the illumination beam, and under a tree in a mountainous terrain Alternatively, in a specific area where shadows are generated, such as a build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erform the role of a searchlight that can search the surrounding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레이저 빔 발사기
110 : 몸체부
111 : 광출구
112 : 배터리 삽입부
113 : 광원 제어 모듈
114 : 광원 튜브 모듈
114-1 : 적외선 광원부
114-11 : 적외선 레이저
114-12 : 제1 볼록 렌즈 뭉치
114-2: 가시광선 광원부
114-21 : 가시광선 레이저
114-22 : 제2 볼록 렌즈 뭉치
115 : 방향조정모듈
116 : 전원모듈
117 : 커넥터
118 : 점검등
119 : 스위치
119-1 : 선택스위치
119-2 : 조사스위치
120 : 보조 모듈
121 : 광출구 마개
121-1 : 결합부
122 : 오목 렌즈 뭉치
100: laser beam launcher
110: body part
111: light exit
112: battery insert
113: light source control module
114: light source tube module
114-1: infrared light source unit
114-11: infrared laser
114-12: first convex lens bundle
114-2: visible light source unit
114-21: visible light laser
114-22: second convex lens bundle
115: direction adjustment module
116: power module
117: connector
118: check light
119: switch
119-1: selection switch
119-2: irradiation switch
120: auxiliary module
121: light exit stopper
121-1: coupling part
122: concave lens bundle

Claims (5)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오목 렌즈 뭉치의 탈부착이 가능한 레이저 빔 발사기에 있어서,
적외선 레이저 또는 가시광선 레이저 중에서 발사되는 레이저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레이저의 세기 및 파장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광원 제어 모듈,
가시광선 레이저부와 적외선 레이저부를 포함하는 광원 튜브 모듈,
상기 출력된 레이저의 조사 방향을 상하좌우로 제어하는 하는 방향 조정 모듈, 그리고
상기 레이저 빔 발사기의 광 출구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부착시 오목 렌즈 뭉치에 의해 상기 적외선 레이저가 발사되면 조명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보조 모듈을 포함하는 레이저 빔 발사기.
In a laser beam launcher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performing a lighting function,
A light source control module that selects a type of laser to be emitted from an infrared laser or a visible las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ntensity and wavelength of the selected laser;
A light source tube module including a visible light laser unit and an infrared laser unit;
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for controlling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output laser vertically, horizontally, and
A laser beam launcher comprising an auxiliary modul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light outlet of the laser beam launcher, and performs an illumination beam function when the infrared laser is emitted by a concave lens bundle when atta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레이저부는
상기 광원제어 모듈과 연결된 적외선 레이저 및 제1 집광렌즈 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선 레이저부는,
상기 광원제어 모듈과 연결된 가시광선 레이저 및 제2 집광렌즈 뭉치를 포함하는 레이저 빔 발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frared laser unit
Including an infrared laser and a first condensing lens bundle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The visible light laser unit,
A laser beam launcher including a visible light laser and a second condensing lens bundle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듈은,
상기 레이저 빔 발사기의 광출구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광출구 마개, 그리고
상기 광출구 마개의 일부분에 형성되며, 부착시에 상기 제1 집광렌즈 뭉치와 연결되는 오목 렌즈 뭉치를 포함하는 레이저 빔 발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module is
A light outlet stopper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ight outlet of the laser beam launcher, and
and a concave lens bundle formed on a portion of the light outlet stopp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densing lens bundle when attach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 모듈은,
조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상기 적외선 레이저부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조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가시광선 레이저부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저 빔 발사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source control module,
When the illumin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infrared laser unit is generated,
When the illumin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 laser beam launch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visible ray lase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레이저부는 표적 물체에 적외선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고,
상기 가시광선 레이저부는 표적 물체에 가시광선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는 레이저 빔 발사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rared laser unit emits an infrared laser beam to the target object,
The visible ray laser unit is a laser beam launcher for emitting a visible ray laser beam to the target object.
KR1020200057707A 2020-05-14 2020-05-14 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 KR202101409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07A KR20210140925A (en) 2020-05-14 2020-05-14 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07A KR20210140925A (en) 2020-05-14 2020-05-14 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25A true KR20210140925A (en) 2021-11-23

Family

ID=7869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707A KR20210140925A (en) 2020-05-14 2020-05-14 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09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48208B2 (en) Combined laser range finder and sighting apparatus having dual function laser and method
US7784192B2 (en) SWIR vision and illumination devices
US7325318B2 (en) Compact multifunction sight
US9316460B2 (en) One hand operational combo sight device
US8364002B2 (en) Optical sight
US10386157B2 (en) Illuminated sight system
US4713889A (en) Illuminated gunsight
US8459822B1 (en) Multiple laser sighting and illumination systems for firearms
US20110314720A1 (en) Rubber armored rifle scope with integrated external laser sight
US20110167708A1 (en) Rubber Armored Rifle Scope with Integrated External Laser Sight
KR200398487Y1 (en) a Day-and-Night scope
US9829277B2 (en) Illumination system for weapon optics
US8632223B2 (en) Multi-functional illuminator
EP1033600B1 (en) Gun-sight dry zeroing assembly
WO2005015285A2 (en) System for projecting a reticle for an aiming device
KR20210140925A (en) laser target designat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cave lens bundle with lighting function
KR20210140924A (en) Laser target designator with lighting function
RU2251064C2 (en) Light-emitting diode combined lantern-target-designator for visible and infrared ranges
US8331021B2 (en) Optical sight having a coaxial illumination function
US10213703B2 (en) Viewing instrument for a toy gun
KR820000561Y1 (en) Night sight device
KR100586830B1 (en) Aim light
CN103443600A (en) Light measuring meter apparatus
US20190277485A1 (en) Spot lamp having laser
JPH05307691A (en) Dimming type smoke det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