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860A -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860A
KR20210138860A KR1020200056802A KR20200056802A KR20210138860A KR 20210138860 A KR20210138860 A KR 20210138860A KR 1020200056802 A KR1020200056802 A KR 1020200056802A KR 20200056802 A KR20200056802 A KR 20200056802A KR 20210138860 A KR20210138860 A KR 2021013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asset
price
virtua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혁
Original Assignee
김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혁 filed Critical 김준혁
Priority to KR102020005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8860A/ko
Publication of KR2021013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은, 유저로부터 증거금을 송금받아 레버리지 거래 비용을 선택받고 기준자산과 상대자산을 선택받아 거래쌍 자산을 설정하는 거래조건 설정모듈;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거래쌍 자산에 대한 가격 변동 상황을 차트로 표시하는 가격 정보 제공모듈; 상기 거래쌍 자산의 특정 가격 변동 범위를 구간으로 설정하고 거래의 단위 시간을 단계로 설정하는 거래 단위 설정모듈; 상기 차트에서 상기 거래의 진입점을 기준으로 상기 단계 별로 상기 거래쌍 자산의 가격의 상승 추세와 하강 추세를 기반으로 배당 조건을 설정하는 배당 조건 설정모듈; 상기 거래에서 유저의 예측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거래의 진입점을 선택받아 거래를 진행하는 거래 진행모듈; 상기 거래에서 유저의 예측 정보가 상기 배당 조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배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Virtual asset margin trading system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between two types of virtual assets}
본 발명은 가상화폐를 포함한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2종의 가상화폐에 대한 가격 변동 상황에 따라 다양한 마진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유익하고 편의적인 조건과 환경을 제공하여 가상자산의 거래 활성화와 새로운 거래 패러다임을 여는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1990대 말에 기존의 '외국환관리법'이 '외국환거래법'으로 대체되고 각종 규제가 대폭 완화되면서 외환시장의 자유화가 크게 진전되었고, 같은 해 선물거래소가 개설되면서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파생상품'이라는 개념이 서서히 자리 잡아가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실제 화폐는 물론 가상화폐가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지면서 환율을 기반으로 한 파생상품이 가상화폐를 기반으로 확장되었다.
가상화폐는 지폐나 동전과 같은 실물이 없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특정한 가상 공동체(vitual community)에서 전자적 형태로 사용되는 디지털 화폐 또는 전자화폐를 말하는 것으로서, 암호화폐가 유지되기 때문에 화폐 발행에 따른 생산비용이 전혀 들지 않고 이체비용 등 거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가상화폐는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해 매도/매수를 수행하는 것은 물론 상술한 가상하폐 파생상품으로 2종의 가상화폐 간 가격 차이에 따른 마진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개발된 상황이다.
가상화폐 마진거래는 실제 화폐를 기반으로 한 마진거래와 마찬가지로 양방향 수익구조 기반으로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 진입이 모두 가능하며, 미선물업 감독기관인 CFTC의 법령 및 규정 아래 요구자본금 및 중개업무 기반시설등을 갖추고 미선물협회(NFA) 등록하여 영업활동을 하도록 하여 투자자의 이익보호 및 시장의 안정성을 높였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가상화폐와 같은 가상자산 기반의 거래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특허 제 717590호인 '인터넷 상에서의 가상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은 인터넷 상에서 회원에게 웹 페이지 또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상기 회원에게 상기 웹 페이지 또는 전용 소프트웨어 상에서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해서만 사용가능한 가상자산을 제공하여 상기 회원별로 관리하는 가상자산 제공서버; 상기 가상자산 제공서버에 존재하는 가상자산을 화폐가치로 환산하여 상기 가상자산 제공서버의 회원으로서 본인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사이에서 매매가 가능하도록 거래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자산 거래서버; 및 상기 가상자산 거래서버를 이용한 가상 자산의 매매 시 상기 매매가격에 매매수량을 곱한 금액에 대한 대금결제 혹은 대금수수를 위한 가상계좌를 사용자별로 제공하는 가상계좌 제공서버;로 구성되어 불필요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신속하고 안정적인 거래를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를 거래하는 가상화폐 거래소와 같이 가상자산을 매도 또는 매수하는 단순한 환경만을 제공하는 것에 그쳐 상술한 2종의 가상화폐 간 마진거래를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실제 화폐를 기준으로 한 FX 마진거래와 같이 2종의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환차익에 따른 거래 기반을 보다 합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가상자산 마진거래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종의 가상자산 간의 가격 변동에 의한 마진거래를 실제 화폐 간 마진거래 이상으로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종의 가상자산 각각의 극심한 가격 변동에 대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가상자산을 스테이블 가상자산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은, 유저로부터 증거금을 송금받아 레버리지 거래 비용을 선택받고 기준자산과 상대자산을 선택받아 거래쌍 자산을 설정하는 거래조건 설정모듈;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거래쌍 자산에 대한 가격 변동 상황을 차트로 표시하는 가격 정보 제공모듈; 상기 거래쌍 자산의 특정 가격 변동 범위를 구간으로 설정하고 거래의 단위 시간을 단계로 설정하는 거래 단위 설정모듈; 상기 차트에서 상기 거래의 진입점을 기준으로 상기 단계 별로 상기 거래쌍 자산의 가격의 상승 추세와 하강 추세를 기반으로 배당 조건을 설정하는 배당 조건 설정모듈; 상기 거래에서 유저의 예측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거래의 진입점을 선택받아 거래를 진행하는 거래 진행모듈; 상기 거래에서 유저의 예측 정보가 상기 배당 조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배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2종의 가상화폐 간 마진거래를 합리적이고 안전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는 편의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2) 스테이블 가상자산을 하나의 가상자산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심각한 가격 변동에 따른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3) 복수의 가상자산 시세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2종의 가상자산, 즉 거래쌍 자산의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관계를 도시한 서버 관계도.
도 2는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거래쌍 자산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가상자산 시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즉 메인 서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격 정보 제공모듈의 추가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배당 조건 설정모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시스템의 주체라 할 수 있는 메인 서버(10)가 이를 중심으로 은행 서버(20) 및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와 연동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우선, 은행 서버(20)는 공지의 은행에서 제반의 송금에 따른 절차와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본 발명의 메인 서버(10)의 거래 조건 설정모듈(110) 및 배당 모듈(160)과 연동되어 유저의 계좌로 유저가 증거금을 송금하거나 메인 서버(10)에서 배당금을 송금할 때 발생되는 일련의 송금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 은행 서버는 공지의 은행 서버와 같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는 가상자산을 거래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자체에서 관리하거나 아니면 이와 연동되어 가상자산 시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https://gx.com 과 같은 사이트를 운영하는 역할을 겸비하면서 거래쌍 가상자산에 대한 시세 정보을 일반적인 유저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가상자산'이라 함은 달러, 엔화같은 실제 화폐가 아닌 가상화폐에 대한 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가상화폐의 마진거래는 현재 이미 비트코인(BTC) 등의 다양한 가상화폐가 하나의 자산으로 평가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실제 통화의 환율에 대한 마진거래와 마찬가지로 제 1 가상화폐를 기준으로 제 2 가상화폐의 가치의 변화에 따른 환차익을 이용한 거래 방식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 1 가상화폐를 기준자산이라 하고, 제 2 가상화폐를 상대자산이라 하며 이러한 기준자산을 기준으로 상대자산의 환차익에 대한 자산을 거래쌍 자산이라 한다.
도 2는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거래쌍 자산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가상자산 시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거래쌍 자산은 다양한 기준자산과 상대자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자산은 BTC, ETH, BCH, LTC, DASH 등의 다양한 가상화폐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대 자산 역시 이와 마찬가지의 가상화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거래쌍 자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대자산은 스테이블 가상자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블 가상자산은 가상화폐의 가격 변동이 실제 화폐보다 급변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계된 가상화폐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코인 = 1달러와 같이 기존 실제 화폐(통화)에 고정된 가치로 발행된 가상화폐를 말한다. 이는 1쌍의 가상화폐가 서로 가격 변동이 극심하여 안정된 마진거래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워지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스테이블 가상자산은 USDT(테더), 리브라 달러 등이 존재한다.
도 3에서는 기준자산인 비트코인(BTC)를 기준으로 상대자산이자 스테이블 가상자산인 테더(USDT)DP 대한 가격 변동에 대한 차트를 예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차트는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것은 물론 마치 실제 거래쌍 통화(예를 들어, USD/Y)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되는 가격 범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메인 서버(10)는 상술한 은행 서버(20) 및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와의 통신 및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전송수단를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
즉, 메인 서버(1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이때, 메인 서버(10)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즉 메인 서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 즉 메인 서버(10)는 거래 조건 설정모듈(110), 가격 정보 제공모듈(120), 거래 단위 설정모듈(130), 배당 조건 설정모듈(140), 거래 진행모듈(150), 배당 모듈(160)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거래 조건 설정모듈(110)은 유저로부터 증거금을 송금받아 레버리지 거래 비용을 선택받고 기준자산과 상대자산을 선택받아 거래쌍 자산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레버리지 거래라 함은 증거금(담보성 원금)을 유저의 계좌에 맡겨서 얻게 된 신용을 바탕으로 실제 거래액을 증폭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마진레벨이 100%인 경우 레버리지는 200배일 때 마진레벨이 200% 시 레버리지는 100배와 같이 마진레벨의 배율에 따라 레버리지 비율이 반비례하게 설정되는데 만일 마진레벨이 100%일 때 해당 유저의 계좌가 허용하는 최대 레버리지에 도달한 상태로 해석될 수 있고 증거금을 모두 투자할 때의 포지션 역시 100%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레버리지를 낮추려 하면 사용 가능한 증거금(예탁금)을 늘리거나 포지션 규모를 줄이면 되며 이는 공지의 FX 마진거래와 같다 할 것이다.
즉, 거래 조건 설정모듈(110)은 유저로부터 유저의 계좌로 송금 받은 증거금 및 유저의 신용을 기준으로 허용 가능한 레버리지 비율을 선택하도록 한 다음 기준자산과 상대자산 역시 선택받아 유저가 마진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거래쌍 자산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가격 정보 제공모듈(120)은 상술한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와 연동되어 상기 거래쌍 자산에 대한 가격 변동 상황을 차트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만일 유저가 거래쌍 자산을 앞서 BTC/USDT로 설정한 경우 앞서 도시한 도 3과 같은 차트를 유저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거래 단위 설정모듈(130)은 거래쌍 자산의 특정 가격 변동 범위를 구간으로 설정하고 거래의 단위 시간을 단계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 '구간'이라 함은 BTC/USDT가 A 시점에서 9900.12이고 B 시점에서 9900.56일 때 0.1을 1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아니면 C 시점에서 9900.12이고 D 시점에서 9905.23일 경우 1을 1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바 다시 말해 시간이 길수록 가격 변동 폭이 커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1을 1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아니면 시간이 짧은 경우 가격 변동 폭이 작아져 0.1 또는 0.01을 1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시간 단위에 따라 1 또는 0.1와 같이 가격 변동 단위를 설정한 것을 PIP이라고도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단계'라 함은 특정 단위 시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1분 또는 1시간과 같은 시간 단위를 1 단계로 설정할 수 있고 이 단계의 시간의 고저는 상술한 구간의 고저에 따라 알맞게 설정할 수 있다.
배당 조건 설정모듈(140)은 상술한 거래의 진입점을 기준으로 단계 별로 거래쌍 자산의 가격의 상승 추세와 하강 추세를 기반으로 배당 조건을 설정하는 제공한다.
여기서, 진입점이란 유저가 거래를 시작하고자 하는 특정 시점에서의 거래쌍자산의 가격일 수 있으며 이 가격은 특정 구간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TC/USDT가 9000.00일 때 이를 0 구간이라 하고 1 구간을 1로 설정한 경우 9001을 +1 구간, 9002를 +2 구간, 8999를 -1구간, 8998을 -2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진입점은 특정 시간을 기준으로 상술한 특정 구간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배당 조건은 거래쌍 가상자산의 가격이 진입점을 기준으로 종결점에서 상승하였는지 아니면 하강하였는지 여부, 또한 상승 시 어느 특정 구간에 속하도록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일종의 표 또는 비율로 설정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후술할 유저의 예측 정보가 진입점을 기준으로 종결점에서 거래쌍 가상자산의 가격이 +1 내지 +3 구간의 범위 내에 들어갈 때 배당이 가능하다, 즉 당첨되었다는 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배당 조건은 1개 단계 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연속 단계, 즉 복수 단계를 1개 세트로 하여 각 1개 단계 별로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배당 조건을 더 어렵고 복잡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같이 배당 조건이 어려워질수록 배당금이 커지도록 즉 배당률이 높아지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매도 포지션 또는 매수 포지션과 같이 포지션까지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래 진행모듈(150)은 유저로부터 상기 당첨 조건에 대한 예측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거래의 진입점을 선택받아 거래를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예측 정보는 유저 단말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유저 단말은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과 연동된 앱 또는 웹에 접속하여 예측 정보의 입력 및 거래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유저 단말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저는 유저 단말 상의 환율 차트에서 진입점을 클릭하거나 별도의 진입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거래 진행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예측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는 "진입점을 기점으로 특정 시단 단위, 즉 '1단계의 종결점에서 상승 추세', 또는 '3단계에서 각 단계의 종결점에서 하락 추세, 하락 추세, 상승 추세'라고 예측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매도 포지션/ 매수 포지션과 같은 포지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저가 이러한 예측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레버리지 거래 비용을 지불하면서 거래 진행모듈(150)을 통해 거래가 진행될 수 있다.
배당 모듈(160)은 상기 거래에서 유저의 예측 정보가 상술한 배당 조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배당 모듈(160)은 예를 들어 배당 조건이 실제 종결점에서 진입점을 기준으로 + 1핍(구간) 내지 +3핍(구간)이고 유저의 예측정보는 종점에서의 환율이 +3핍이라고 예측하였을 때, 유저의 예측 정보는 배당 조건에 일치하므로 유저가 배당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배당금은 레버리지 거래비용 대비 3배, 5배와 같이 레버리지 거래비용을 기준으로 추가로 지급되는 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레버리지 거래비용이 100만원이고 배당 조건에 일치한 배당비율이 3배라 하면 배당금은 300만원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에 따르면, 유저가 설정한 거래쌍 가상자산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설정된 거래 조건에 따라 다양한 거래를 수행할 수 있어 투자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다양한 가상자산의 거래 환경을 제공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격 정보 제공모듈의 추가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추가적으로, 가격 정보 제공모듈(120)은 어느 하나의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에서 제공하는 거래쌍 자산이 합리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가상자산 시세 정보 서버(30)와 연동되어 거래쌍 자산의 가격 변동의 객관성을 담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가격 정보 제공모듈(120)은 복수 연동부(121), 표준 설정부(122), 기준가 설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연동부(121)는 4 내지 8개의 상기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와 연동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면 6개의 가상자산 시세 제공 서버(30)와 연동 시 거래쌍 자산의 가격을 6개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준 설정부(122)는 4 내지 8개의 상기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 중에서 상기 거래쌍 자산의 가격이 최고 및 최저로 제공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를 표준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표준 설정부(122)는 도 5에서 BTC/USDT의 거래쌍 자산을 최고가인 8000, 최저가인 7300으로 제공한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가상자산 시세 정보 서버(30)를 표준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로 설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기준가 설정부(123)는 상술한 표준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30)의 상기 거래쌍 자산의 가격의 산술평균을 기준 가격으로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에서, 4개의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가격의 산술평균은 7600이 되는데 바로 이 7600이 기준 가격이 되는 것이고 이 기준 가격을 기준으로 거래 진행모듈에서 거래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격 정보 제공모듈(120)의 추가 구성에 의하면, 거래쌍 자산의 가격을 보다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거래 조건 설정모듈(110)은 게임 방식 설정부(111)와 비용 차등 설정부(11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임 방식 설정부(111)는 유저로 하여금 실제 거래 및 모의 거래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실제 거래라 함은 유저가 지불한 금액을 실제 가상자산, 즉 거래쌍 자산의 가격 변동에 적용한 거래일 수 있으며, 모의 거래는 유저가 금액을 지불하지 않거나 소액을 지불하여 진행한 거래일 수 있다. 이때, 모의 거래는 실제 거래에 대비하여 유저의 예측 능력을 훈련하는 거래일 수 있으며, 1000원, 1만원 등의 작은 금액으로도 거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비용 차등 설정부(112)는 선택된 게임 방식에 따라 상기 레버리지 거래 비용의 고저를 차등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모의 거래에서는 레버리지 비율을 높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의 거래 시 레버리지 비율을 낮추되 모의 거래에서 거래되는 거래 수량(즉, 랏)의 고저에 따라 레버리지 비율 역시 차등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도 6은 배당 조건 설정모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배당 조건 설정모듈(140)은 상기 거래에서 진입점을 기준으로 상기 단계의 종점 가격이 특정 구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맞추는 구간 설정부(141)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앞서 설명한 배당 조건 설정모듈(140)은 차트에서 상기 거래의 진입점을 기준으로 상기 단계 별로 상기 거래쌍 자산의 가격의 상승 추세와 하강 추세를 기반으로 배당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이에 더하여 상승 추세 또는 하강 추세일 때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히 유저에게 예측하도록 추가적인 배당 조건을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거래의 진입점인 0 구간을 기준으로 1단계의 종결점에서 +3구간에 거래쌍 자산의 가격이 형성되었는데 다시 말해 유저의 예측 정보는 상승 추세라는 단편적인 예측에 더하여 + 3 구간에 속하는지 아닌지 여부까지 맞추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바, 이를 통해 보다 진중하고 정확한 유저의 예측을 요구하는 것은 물론 이같이 추가적인 배당 조건이 부과되면서 배당률을 보다 높여 유저의 마진거래 참여의 박진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배당조건 설정모듈(140)은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배당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바,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특정 세부 구성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메인 서버 20: 은행 서버
30: 가상자산 시세 정보 서버 110: 거래조건 설정모듈
111: 게임 방식 설정부 112: 비용 차등 설정부
120: 가격 정보 제공모듈 121: 복수 연동부
122: 표준 설정부 123: 기준가 설정부
130: 거래 단위 설정모듈 140: 배당 조건 설정모듈
141: 구간 설정부 150: 거래 진행모듈
160: 배당 모듈

Claims (5)

  1.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으로서,
    유저로부터 증거금을 송금받아 레버리지 거래 비용을 선택받고 기준자산과 상대자산을 선택받아 거래쌍 자산을 설정하는 거래조건 설정모듈;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거래쌍 자산에 대한 가격 변동 상황을 차트로 표시하는 가격 정보 제공모듈;
    상기 거래쌍 자산의 특정 가격 변동 범위를 구간으로 설정하고 거래의 단위 시간을 단계로 설정하는 거래 단위 설정모듈;
    상기 차트에서 상기 거래의 진입점을 기준으로 상기 단계 별로 상기 거래쌍 자산의 가격의 상승 추세와 하강 추세를 기반으로 배당 조건을 설정하는 배당 조건 설정모듈;
    상기 거래에서 유저의 예측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거래의 진입점을 선택받아 거래를 진행하는 거래 진행모듈;
    상기 거래에서 유저의 예측 정보가 상기 배당 조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당첨된 유저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배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쌍 자산은,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블 가상자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정보 제공모듈은,
    4 내지 8개의 상기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복수 연동부와,
    상기 4 내지 8개의 상기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 중에서 상기 거래쌍 자산의 가격이 최고 및 최저로 제공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를 표준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로 설정하는 표준 설정부 및,
    상기 표준 가상자산 시세 정보 제공 서버의 상기 거래쌍 자산의 가격의 산술평균을 기준 가격으로 설정하는 기준가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조건 설정모듈은,
    유저로 하여금 실제 거래 및 모의 거래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게임 방식 설정부와,
    선택된 게임 방식에 따라 상기 레버리지 거래 비용의 고저를 차등 설정하는 비용 차등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당 조건 설정모듈은,
    상기 거래에서 진입점을 기준으로 상기 단계의 종점 가격이 특정 구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맞추는 구간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KR1020200056802A 2020-05-13 2020-05-13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KR20210138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802A KR20210138860A (ko) 2020-05-13 2020-05-13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802A KR20210138860A (ko) 2020-05-13 2020-05-13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60A true KR20210138860A (ko) 2021-11-22

Family

ID=7871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802A KR20210138860A (ko) 2020-05-13 2020-05-13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88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 et al. Bitcoin as money?
KR20170142374A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Dos Santos et al. A new era of blockchain-powered decentralized finance (DeFi)-a review
JP7156783B2 (ja) 金融資産ファンドを管理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ベースの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
US20200219189A1 (en) JYB-based Barter Transaction Platform
Abdullah et al.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Crypto-currency
Pelagidis et al. Investigating the role of central banks in the interconnection between financial markets and cryptoassets
Ali The impact of market fundamentals and financial crisis on the liquidity of banks and stock markets: evidence from Jordanian investors
Hakim 11 Islamic money market instruments
Berger Bitcoin exchange transactions: Income tax implications to consider within the South African environment
JP2018514889A (ja) 当初証拠金標準モデルに基づいて当初証拠金を計算及び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Bal Taxing virtual currency: challenges and solutions
WO2016012217A1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indexes
Fatás et al. Initial coin offerings: fundamentally different but highly correlated
Kishore Jain The Economics of Cryptocurrencies-Why Does It Work?
KR20090100043A (ko) 현금 담보 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38860A (ko) 2종의 가상자산 간 가격 변동에 따른 가상자산 마진거래 제공 시스템
JP2014504757A (ja) 為替市場での売買用端末
KR102361897B1 (ko) P2p 투자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ostoula Valuation of cryptoassets in EU insolvency: Challenges and prospects
Scharfman et al. Introduction to cryptocurrency compliance and operations
Wafula Effect of Plastic Money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ommercial Banks in Kenya
KR20190136845A (ko) 신용거래를 통해 채굴되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Dadmal et al. Insights into digital currency's access (Cryptocurrency) and impact on the Indian Economy
GB2570469A (en) Arrangements relating to cryptocurr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