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731A -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731A
KR20210138731A KR1020217033760A KR20217033760A KR20210138731A KR 20210138731 A KR20210138731 A KR 20210138731A KR 1020217033760 A KR1020217033760 A KR 1020217033760A KR 20217033760 A KR20217033760 A KR 20217033760A KR 20210138731 A KR20210138731 A KR 2021013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transmission
signaling
detection mechanism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626B1 (ko
Inventor
이야쥔 주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통지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르면, 단말은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채널 자원을 공평하고 효율있게 점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 면허 주파수 스펙트럼 지원 액세스(License Assisted Access, LAA)의 메커니즘을 통해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함을 제기하였다. 즉, 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을 통해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의 사용함을 지원하여 구현한다.
LAA에서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인입한다. 즉, 단말이 업링크 전송을 송신할 때 업링크 채널이 비어있는지 여부를 검출해야 하고, 업링크 채널이 비어있는 상태에서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의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를 구비하며, 서로 다른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의 전송 우선 순위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채널 검출 메커니즘도 다양한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업링크 전송을 위해 어떻게 합리적인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사용하는지 아직 해결 수단이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할 때 합리적인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출원의 하나의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은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통지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함 -;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독립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함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은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단말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전송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 관계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배치한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은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됨 -;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배치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함 -;
또는,
상기 기지국이 독립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함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는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통지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며,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독립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며,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는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단말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단말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업링크 전송의 유형을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 관계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배치한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는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 -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됨 -; 및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송신 모듈은 배치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며,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독립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며,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송신 모듈은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단말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드하고 수행하여 전술한 측명에 따른 단말측에서 수행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기지국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드하고 수행하여 전술한 측명에 따른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되고 수행되어, 전술한 임의의 측명에 따른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수단은 적어도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단말을 통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통지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여, 단말은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채널 자원을 공평하고 효율있게 점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소개할 것이며, 명백히 알 수 있는 것은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도면을 바탕으로 윈도우조적인 작업 없이도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출원에 언급되는 LBT Cat.2의 채널 감청 개략도이고;
도2는 본 출원에 언급되는 LBT Cat.4의 채널 감청 개략도이고;
도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8은 도7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예시적인 예의 예시도이고;
도9는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10은 도9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예시적인 예의 예시도이고;
도1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1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1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1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수단 및 우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선 충실도 시스템(WiFi)과 같은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다른 무선 시스템과의 공존을 보장하기 위해 LAA에도 데이터 송신하기 전에 채널 검출이 필요한 메커니즘을 도입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먼저 본 출원에 언급된 채널 검출 메커니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채널 검출 메커니즘은 하기와 같은 다섯 가지 유형이 포함된다.
제1 유형(Cat.1): LBT(Listen before talk, 말하기 전에 듣기)를 포함하지 않고, 즉 무선 통신 기기가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 검출이 필요하지 않고, 정보를 바로 송신한다. LBT는 모니터링 회피 메커니즘이라고도 할 수 있고,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효과적인 공유를 구현하도록 사용된다. LBT는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을 먼저 모니터링해야 하며, CCA(Clear Channel Assessment, 비움 채널 평가)를 수행하여 채널이 비어 있음이 보장될 때 전송을 수행한다.
제2 유형(LBT Cat.2): 랜덤 백오프 과정의 LBT 메커니즘을 포함하지 않는다. 무선 통신 기기가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하나의 시간 입도 만을 검출하면 되고, 예를 들어 시간 입도는 25us일 수 있고, 당해 시간 입도 내에서 채널이 비어있으면 무선 통신 기기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아니면, LBT 수행이 실패되어, 무선 통신 기기는 정보를 전송할 수 없다.
예시적으로 도1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 기기가 하나의 단일 타임 슬롯의 CCA 감청을 수행하는 바, 첫 번째 CCA 타임 슬롯과 세 번째 CCA 타임 슬롯 중에서 채널에 대한 감청 결과가 비어있는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기기는 당해 채널을 점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두 번째 CCA 타임 슬롯 중에서 채널에 대한 감청 결과가 바쁜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기기는 당해 채널을 점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되, 데이터 전송 없음으로 약칭한다.
제3 유형(LBT Cat.3): CWS(Contention Window Size, 경쟁 윈도우 크기)가 고정된 랜덤 백오프 유형의 LBT 메커니즘, 송신 기기가 먼저 제1 시간 입도에서 당해 채널이 비어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당해 채널이 비어있음을 검출할 경우, 제1 경쟁 윈도우 내에서 난수의 값을 N로 선택하고, 제2 시간 입도를 시간 입도로 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며; 제2 시간 입도에서 당해 채널이 비어있음을 검출하고, 난수의 값이 0이 아닐 경우, 난수의 값에서 1을 빼고, 계속하여 제2 시간 입도를 시간 입도로 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며; 제2 시간 입도에서 당해 채널이 바쁨을 검출할 경우, 다시 제1 시간 입도를 시간 입도로 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며; 다시 제1 시간 입도에서 당해 채널이 비어있음을 검출하고, 난수의 값이 0이 아닐 경우, 난수의 값에서 1을 빼고, 제2 시간 입도를 시간 입도로 회복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며; 난수의 값이 0으로 줄려야 채널이 비어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4 유형(LBT Cat.4): CWS 가변 랜덤 백오프 유형의 LBT 메커니즘. 즉, LBT Cat.3을 기반으로 송신 기기는 이전 전송 결과에 따라 CWS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전송 과정에서 하나의 참조 시간 내에 전송된 데이테에서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의 비율이 X이면, X가 임계값보다 클 경우 CWS 값이 증가된다. LBT 과정의 파라미터 설정을 세분화하기 위해 LBT Cat.4에서 4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각 우선 순위는 서로 다른 파라미터 배치에 대응되고, 서로 다른 업무 유형의 데이터 전송은 서로 다른 우선 순위에 대응된다.
LBT Cat.4의 원리는 하기와 같다. 무선 통신 기기가 먼저 제1 시간 입도에서 당해 채널이 비어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당해 채널이 비어있음을 검출할 경우, 제1 경쟁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카운터(난수라고도 함)의 값을 N로 선택하고, 제2 시간 입도를 시간 입도로 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며; 제2 시간 입도에서 당해 채널이 비어있음을 검출하고, 백오프 카운터의 값이 0이 아닐 경우, 백오프 카운터의 값에서 1을 빼고, 계속하여 제2 시간 입도를 시간 입도로 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며; 제2 시간 입도에서 당해 채널이 바쁨을 검출할 경우, 다시 제1 시간 입도를 시간 입도로 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며; 다시 제1 시간 입도에서 당해 채널이 비어있음을 검출하고, 백오프 카운터의 값이 0이 아닐 경우, 백오프 카운터의 값에서 1을 빼고, 제2 시간 입도를 시간 입도로 회복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하며; 백오프 카운터의 값이 0으로 줄려야 당해 채널을 점용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2를 참조하여, 무선 통신 기기가 0~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s Size, CWS) 사이에서 백오프 카운터 N를 균일하고 랜덤하게 생성하고, 감청 타임 슬롯(CCA slot)을 입도로 하여 감청을 수행한다. 제1차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전송에 대응되는 CWS=15 및 N=7을 예로 하여, 첫 번째 및 두 번째 감청 타임 슬롯에서 채널 감청 결과는 비어있는 상태이고, N는 5로 줄이며; 세 번째 내지 여섯 번째 감청 타임 슬롯에서 채널 감청 결과는 바쁜 상태이고, N는 일정하며, 4개의 감청 타임 슬롯을 연장하여 감청을 다시 시작하고, 열한 번째 내지 열다섯 번째 감청 정보에서 채널 모니터링 결과는 비어있는 상태이고, N는 0으로 줄여, 무선 통신 기기가 채널을 점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당해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무선 통신 기기가 CWS 조정 참조 서브프레임에서 부정 피드백(NACK)을 수신할 경우 데이터 전송이 실패되었음을 의미하며, 무선 통신 기기는 당해 오류 수신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CWS=31으로 증가시키고 백오프 카운터 N=20을 재생성하며, 제2 차 PDSCH 전송하기 전에 당해 증가시킨 CWS 및 백오프 카운터 N를 사용하여 채널 감청을 수행한다. 연속적인 20개의 감청 타임 슬롯에서 채널 감청 결과가 비어있는 상태일 경우 채널을 점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로 다른 경쟁 윈도우 크기 CWS에 서로 다른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 p가 대응된다. 예시적인 예에서, 표-1은 다운링크 LBT Cat.4의 4개의 우선 순위 파라미터 배치이고, 표-2는 업링크 LBT Cat.4의 4개의 우선 순위 파라미터 배치이며, 양자는 배치 값이 약간 다를 뿐이다.
표-1
Figure pct00001
표-2
Figure pct00002
상기 표-1 및 표-2에 나타낸 4개의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에서, p의 값이 작을수록 대응되는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가 더 높다. m p 는 하나의 지연 시간에 포함된 ECCA(Extended Clear Channel, 연장 비움 채널 평가)의 개수이고, 각각의 지연 시간은 고정된 16us의 시간 길이 및 m p 개의 ECCA로 구성되며, 즉, 전술한 제1 시간 입도이다. CW min,p CW max,p 는 최소의 경쟁 윈도우 값 및 최대의 경쟁 윈도우 값이며, LBT 과정에서 CWS가 당해 2개의 값 사이이 생성되고, 그 다음 0부터 생성된 경쟁 윈도우 CW p 에서 랜덤으로 생성된 백오프 카운터 N에 의해 LBT 채널 검출 과정의 백오프 시간의 장단을 결정하며, T mcot,p 는 각각의 우선 순위에 대응되는 LBT Cat.4가 수행 성공된 후 채널을 점용할 수 있는 최대의 시간 길이이고, 상기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순위 1, 2와 대비하여 우선 순위 3, 4의 LBT 과정의 수행 시간이 더 길고, 채널 액세스를 획득하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낮아, 공정성을 획보하기 위해 당해 2개의 우선 순위를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이 점용할 수 있는 최대의 전송 시간은 상대적으로 길다.
제5 유형: 프레임 구조를 기반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 즉 FBE(Frame Based Equipment). FBE에 대해 하나의 주기를 설정하고, 각각의 주기의 고정 위치에서 채널 검출을 한 번 수행하며, 예컨대 각각의 CCA 검출 시간 내에서 CCA 검출을 수행한다. 채널 상태가 비어 있음을 검출할 경우, 즉 채널을 점용하여 전송할 수 있을 경우, 최대의 채널 점용 시간의 길이가 고정되면, 다음 주기의 CCA 검출 시간에서 CCA 검출을 다시 수행하고; 채널 상태가 바쁨을 검출할 경우, 당해 주기에서 기기는 채널을 점용할 수 없고, 다음 주기의 고정 위치까지 기다려 검출을 계속한다. 고정 주기는 FBE 스케줄링의 시간 영역 유닛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고정 주기는 FFP(Fixed Frame Period, 고정 프레임 주기)일 수 있다. 고정 주기의 시간 길이는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규정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다섯 가지의 채널 검출 메커니즘은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하되,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상기 다섯 가지의 채널 검출 메커니즘이 변경될 수도 있고, 또는 새로운 채널 검출 메커니즘이 생성될 수도 있지만, 모두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기술 수단에 적용 가능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업무 시나리오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수단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당업자가 알다시피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변화 발전 및 새로운 업무 시나리오의 출현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수단은 또한 그 유사한 기술적 과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310) 및 단말(3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310)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된다. 5G NR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는 NG-RAN(New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 신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기지국(310) 및 단말(320) 사이에서는 셀룰러 기술과 같은 특정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서로 통신된다.
기지국(310)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단말(320)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기지국(310)은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 기능을 구비한 기기의 명칭이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G NR 시스템에서는 gNodeB 또는 gNB라고 한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지국"이라는 명칭이 변경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320)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통칭하여 기지국이라고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310)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잇다.
단말(320)의 수량은 일반적으로 다수이고, 각각의 기지국(310)이 관리한 단지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단말(320)가 분포될 수 있다. 단말(320)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다양한 핸드 헬드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기기, 및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기기(terminal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기기를 통칭하여 단말라고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5G NR 시스템"은 또한 5G 시스템 또는 NR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으나 당업자는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수단은 5G NR 시스템 뿐만 아니라 5G NR 시스템 후속의 발전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당해 5G NR 시스템은 LAA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도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도3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당해 방법은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광대역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고, 당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2, 기지국이 통지 정보를 생성하며, 당해 통지 정보는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되고;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또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한다.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적재된 제어 시그널링 및 측정에 사용되는 일부 파일럿 신호를 포함한다. 업링크 데이터는 PUSCH에 적재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업링크 시그널링 또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우선 순위가 다르며, 서로 다른 업링크 시그널링 또는 업링크 데이터가 사용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도 다를 수 있다.
채널 검출 메커니즘은 전술한 다섯 가지의 채널 검출 메커니즘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404, 기지국이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며;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높은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며, 당해 높은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406,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408, 단말이 통지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한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단말을 통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통지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여, 단말은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채널 자원을 공평하고 효율있게 점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 및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은 기지국이 배치 시그널링을 단말에 송신하고, 단말이 다음 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당해 배치 시그널링의 배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배치 시그널링은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 사용되는 시간 빈도 자원, 사용되는 주기 등 정보를 정적 또는 반 정적 방식으로 배치하도록 사용된다.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은 기지국이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단말에 동적으로 송신하여, 단말이 당해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스케줄링에 따라 업링크 전송을 한 번 또는 여러 번 수행한다.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 사용되는 시간 빈도 자원, 사용되는 주기 등 정보를 동적 방식으로 배치하도록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이다.
도4를 기반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에 대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2a, 기지국이 배치 시그널링을 생성하며, 당해 배치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있고, 통지 정보는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되고;
선택적으로, 기지국에 대응 관계가 저장되어 있고, 당해 대응 관계는 업링크 전송의 유형과 채널 검출 메커니즘 사이의 대응 관계이다. 기지국은 당해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의 업링크 전송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고, 더 나아가 통지 정보를 생성한다.
배치 시그널링은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 사용되는 시간 빈도 자원, 사용되는 주기 등 정보를 정적 또는 반 정적 방식으로 배치하도록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당해 배치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더 휴대하고 있다.
단계 404a, 기지국이 배치 시그널링을 단말에 송신하고;
단계 406a,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단계 408a, 단말이 배치 시그널링의 통지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한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통지 정보를 배치 시그널링에 휴대하고 송신함으로써 기지국 및 단말 사이에 요구되는 시그널링 인터랙션 차수를 감소하고, 기지국 및 단말 사이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4를 기반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에 대하여, 독립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고, 독립 시그널링은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2b, 기지국이 독립 시그널링을 생성하며, 당해 독립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있고, 통지 정보는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되고;
선택적으로, 기지국에 대응 관계가 저장되어 있고, 당해 대응 관계는 업링크 전송의 유형과 채널 검출 메커니즘 사이의 대응 관계이다. 기지국은 당해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의 업링크 전송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고, 더 나아가 통지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404b, 기지국이 독립 시그널링을 단말에 송신하고;
단계 406b,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독립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단계 408b, 단말이 독립 시그널링의 통지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한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통지 정보를 독립 시그널링에 휴대하고 송신함으로써 기지국 및 단말 사이의 고유 배치 형태가 필요없고, 따라서 기지국 및 단말 사이에 요구되는 시그널링 인터랙션 차수를 감소하고, 기지국 및 단말 사이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4를 기반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에 대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2c, 기지국이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생성하며, 당해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있고, 통지 정보는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되고;
선택적으로, 기지국에 대응 관계가 저장되어 있고, 당해 대응 관계는 업링크 전송의 유형과 채널 검출 메커니즘 사이의 대응 관계이다. 기지국은 당해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의 업링크 전송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고, 더 나아가 통지 정보를 생성한다.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 사용되는 시간 빈도 자원, 사용되는 주기 등 정보를 동적 방식으로 배치하도록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당해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더 휴대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통지 정보는 고정 또는 배치 가능한 정보 영역의 길이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비면허 주파수 구간에서 Cat.1, Cat.2, Cat.3 및 Cat.4의 네 가지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원하면, 하기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비트의 지시 정보를 사용하여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할 수 있다.
표1
Figure pct00003
선택적으로, 상기 표1에 나타난 대응 관계는 미리 정의(Pre-determined) 또는 미리 배치(Pre-configured)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리 정의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이된 것을 의미하고, 미리 배치는 기지국이 단말에 미리 배치한 것을 의미한다.
단계 404 c, 기지국이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단말에 송신하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일 수 있으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 전에 송신된다.
단계 406c,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단계 408c, 단말이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통지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한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통지 정보를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휴대하고 송신함으로써 기지국 및 단말 사이에 요구되는 시그널링 인터랙션 차수를 감소하고, 기지국 및 단말 사이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도 4, 도 5, 도 6 또는 도 7의 실시예를 기반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시작한 채널 점용 시간에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기지국은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고, 단말은 당해 통지 정보에 따라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시작"은 무선 통신 기기로 LBT를 수행하고, LBT 성공된 후 채널 자원을 점용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당해 무선 통신 기기는 기지국일 수도 있고, 단말일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단말에서 시작할 경우, 단말은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자주적으로 결정한다. 도9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01,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단말에서 시작할 경우 단말이 업링크 전송의 유형을 결정하며;
업링크 전송의 유형은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유형 및 업링크 데이터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902, 단말이 대응 관계에 따라 당해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대응 관계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대응 관계는 기지국이 단말에 배치한 것이다. 즉, 단말이 전송할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 및 업링크 데이터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유형의 전송은 서로 다른 채널 검출 메커니즘이 필요한다.
선택적으로, 각 유형의 채널 검출 메커니즘은 대응되는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를 구비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하나의 단말이 시작한 채널 점용 시간 내에 있는 경우,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또는 업링크 데이터의 유형이 연속적인 전송을 필요할 때 결정된 복수의 채널 검출 메커니즘에서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선택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한다.
기지국에서 시작하는 채널 점용 시간의 시나리오와, 단말에서 시작하는 채널 점용 시간의 시나리오의 대비는 도10을 참조할 수 있고, 단말이 자체로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방식을 통해 단말은 더 빠른 방식으로 업링크 채널을 점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업링크 전송의 시간 지연을 감소한다.
다음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장치 실시예이고, 당해 장치 실시예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어 장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세부 사항들은 상기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하나씩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도1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장치는 단말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1120); 및
상기 통지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1140)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수신 모듈(1120)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며,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또는, 상기 수신 모듈(1120)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독립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며,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수신 모듈(1120)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1120)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도1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장치는 단말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단말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업링크 전송의 유형을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1220);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124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대응 관계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배치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 모듈(1240)은 또한 하나의 단말이 시작한 채널 점용 시간 내에 있는 경우,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또는 업링크 데이터의 유형이 연속적인 전송을 필요할 때 결정된 복수의 채널 검출 메커니즘에서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선택하여 채널 검출을 수행한다.
도1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장치는 기지국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1320) -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됨 -; 및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송신 모듈(1340)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송신 모듈(1340)은 배치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며,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또는, 상기 송신 모듈(1340)은 독립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며,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송신 모듈(1340)은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모듈(1340)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한다.
도1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고, 당해 무선 통신 기기는 단말 또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당해 무선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101), 수신기(102), 송신기(103), 메모리(104) 및 버스(1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102) 및 송신기(103)는 하나의 통신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당해 통신 부품은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다.
메모리(104)는 버스(105)를 통해 프로세서(101)와 연결된다.
메모리(10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01)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해 당해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한다.
또한, 메모리(104)는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전기적지우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지우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PRO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PROM)를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또한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어,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가 제공되어,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비일시적 컴퓨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순위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에의 우열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에 의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균등 교체, 개량 등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1120: 수신 모듈 1140: 결정 모듈
1320: 생성 모듈 1340: 송신 모듈

Claims (23)

  1.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통지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함 -;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독립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5.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단말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업링크 전송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7.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됨 -;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배치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함 -;
    또는,
    상기 기지국이 독립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11.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통지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며,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독립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며,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한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15.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단말에 적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상기 단말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업링크 전송의 유형을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 및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유형에 대응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관계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17. 비면허 주파수 스펙트럼의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에 있어서,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 -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지시하도록 사용됨 -; 및
    상기 통지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업링크 전송할 때 사용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을 결정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배치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송신 모듈은 배치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배치 시그널링이며, 상기 배치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고;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독립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배치 시그널링과 다른 시그널링이며, 상기 독립 시그널링은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스케줄링 유형의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송신 모듈은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시그널링이며, 상기 스케줄링 시그널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통지 정보를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채널 점용 시간이 기지국에서 시작할 경우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장치.
  21.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드하고 수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드하고 수행하여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되고 수행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33760A 2019-03-20 2019-03-20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566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78927 WO2020186490A1 (zh) 2019-03-20 2019-03-20 信道检测机制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731A true KR20210138731A (ko) 2021-11-19
KR102566626B1 KR102566626B1 (ko) 2023-08-14

Family

ID=6745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760A KR102566626B1 (ko) 2019-03-20 2019-03-20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48461A1 (ko)
EP (1) EP3944525A4 (ko)
JP (2) JP2022525358A (ko)
KR (1) KR102566626B1 (ko)
CN (1) CN110100399B (ko)
BR (1) BR112021018448A2 (ko)
SG (1) SG11202110221UA (ko)
WO (1) WO2020186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679A1 (zh) * 2020-08-07 2022-0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2088165A1 (en) * 2020-11-02 2022-05-0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indication of user equipment initiated channel occupancy time
EP4258768A4 (en) * 2020-12-04 2024-01-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ONFIGURATION, AS WELL AS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CONFIGURATION
CN115087121A (zh) * 2021-03-12 2022-09-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Cot确定方法、上行传输方法和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52573A1 (en) * 2015-09-25 2018-12-06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lbt mod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lbt mode switch
EP3439414A1 (en) * 2016-04-01 2019-02-06 ZTE Corporation Channel access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8780B2 (ja) * 2014-03-19 2018-09-1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4219008B (zh) * 2014-09-12 2016-08-3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六研究所 一种宽带频谱检测方法和装置
JP6790830B2 (ja) * 2014-12-25 2020-11-2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無線局、及びこれらにより行われる方法
CN104540158B (zh) * 2015-01-12 2018-12-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信道检测通知方法、系统和基站
CN106658742B (zh) * 2015-11-03 2020-07-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调度及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US11228462B2 (en) * 2016-01-19 2022-01-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CN105722097B (zh) * 2016-01-21 2017-09-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信道检测方法、信道检测装置和终端
US10194467B2 (en) * 2016-08-19 2019-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sten-before-talk in uplink multiuser MIMO systems
CN107949067A (zh) * 2016-10-12 2018-04-2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道检测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10366248B (zh) * 2018-04-04 202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传输、通信方法、装置及基站、终端、存储介质
CN109417800B (zh) * 2018-09-29 2023-05-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装置、基站及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52573A1 (en) * 2015-09-25 2018-12-06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lbt mod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lbt mode switch
EP3439414A1 (en) * 2016-04-01 2019-02-06 ZTE Corporation Channel access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4525A4 (en) 2022-10-26
CN110100399B (zh) 2023-05-26
BR112021018448A2 (pt) 2021-11-23
SG11202110221UA (en) 2021-10-28
EP3944525A1 (en) 2022-01-26
JP2022525358A (ja) 2022-05-12
JP2023078304A (ja) 2023-06-06
CN110100399A (zh) 2019-08-06
WO2020186490A1 (zh) 2020-09-24
KR102566626B1 (ko) 2023-08-14
US20220248461A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6692B2 (ja) 基準信号のトリガ及び制御シグナリング
US11102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ention window size in clear channel assessment
KR102566626B1 (ko)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EP3189698B1 (en) Conditional uplink radio resource utilization in a cellular network
CN109891815B (zh) 无线通信系统中的节点、无线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542376B1 (ko) 채널 검출 메커니즘의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JP2018528721A (ja) アップリンク伝送リソースのスケジューリング及アップリンク伝送方法、装置
CN114731528A (zh) 共享信道占用时间的机制
KR20170127557A (ko) 백오프 윈도 조정 방법 및 장치
CN110463280B (zh) 信道接入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0422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lf duplex scheduling
EP3993542A1 (en) Downlink transmiss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EP4192149B1 (en) Cg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medium
CN113826432A (zh) 用于上行链路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节点
EP4040904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RU279282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ханизма обнаружения канала, а также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KR20210018899A (ko)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채널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RU278127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ханизма обнаружения канала, а такж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WO2022067622A1 (zh) 上行传输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7716783A (zh) 网络节点、系统、方法、电路和计算机程序产品
CN112738900B (zh) 一种蜂窝网络中无线电传送方法、装置、节点及介质
KR20200112680A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5669160A (zh) Harq进程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