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271A -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271A
KR20210138271A KR1020200056398A KR20200056398A KR20210138271A KR 20210138271 A KR20210138271 A KR 20210138271A KR 1020200056398 A KR1020200056398 A KR 1020200056398A KR 20200056398 A KR20200056398 A KR 20200056398A KR 20210138271 A KR20210138271 A KR 20210138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port
suit
exhaust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199B1 (ko
Inventor
김호종
Original Assignee
특허법인(유한) 해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특허법인(유한) 해담 filed Critical 특허법인(유한) 해담
Priority to KR102020005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1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고 다른 일측에 상기 냉각된 공기가 외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기공급부와, 일단이 상기 토출구에 결합되고 타단이 방호복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흡입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외기공급부를 통해 냉각공기가 상기 방호복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과, 일단이 상기 방호복의 다른 일측 표면에 형성된 배기포트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호복 내부의 공기가 타측으로 이송되는 배출관과,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관의 타단이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방호복 내부에서 유통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수집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복을 착용한 의료진이 방호복에 형성된 흡배기포트에 공급관과 배출관을 간단하게 체결시킬 수 있어, 방호복을 착용한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 시간 동안 신속하게 외부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외부공기의 유통으로 인해 무더운 여름철 방호복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쾌적함을 향상시켜 무리없이 의료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of Protective clothing}
본 발명은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착용하게 되는 방호복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인체 또는 가축 등을 통해 전염되는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고병원성 바이러스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장치 등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병원성 바이러스는 크게는 동물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조류 독감, 또는 구제역 등의 전염성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메르스, 사스 또는 신종 플루 등의 전염성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전염성 바이러스 중 신종 병원성 바이러스인 코로나19가 출현하였다.
병원성 바이러스는 감염체가 전염을 통해 숙주 개체로 전파된 후, 감염을 통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를 뜻하는 것으로서, 인구의 밀집화 및 집단 사육의 증가로 단시간 내에 다수의 개체에 전파되어 많은 피해를 입히므로, 병원성 바이러스의 출현 시 가능한 신속한 대응을 통해 더 이상의 확산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각 국에서는 고병원성 바이러스 출연시 고병원성 바이러스의 확산방지와 치료를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출현한 경우 방역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감염자 발생시 해당 감염자에 대한 격리치료 조치와 더불어 이동동선 내 소독처리 및 접촉인에 대한 감염여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개체로 전파되는 병원성 바이러스의 특성상 감염자 1명에 대하여 그와 접촉한 다수인의 감염여부 검사가 요구되는 바 방역대책에 필요한 지원인력이 턱없이 모자른 실정이다.
이를 보다 상술하면, 고병원성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 의료진이 방호복을 착용하고, 검사대상자가 위치한 특정 채취실에 입실한 후 검체를 채취하게 되는데, 검체 채취 후 의료진이 착용한 방호복과 더불어 채취실 전체를 소독, 청소해야하므로 다음 검사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검체 채취 작업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방호복은 감염여부 검사 이외에 감염자 치료시에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의료진은 이러한 대기시간 동안 방호복을 벗지 못하고 계속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호복은 방수성, 비투과성 등의 특성을 갖는 소재로 외부 공기가 방호복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차단하도록 밀폐되어, 더운 여름철의 경우 조금만 움직여도 방호복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며, 이러한 방호복을 착용한 착용자는 높은 온도에 의해 땀이 계속적으로 배출된다. 이에, 착용자가 방호복을 탈의하려 해도 탈의하는데도 시간이 오래 걸려, 대기시간 동안 탈의하지 못하고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착용한 상태로 의료업무를 수행하게 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장시간 방호복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덜고, 방호복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통되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9-897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착용하게 되는 방호복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고 다른 일측에 상기 냉각된 공기가 외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기공급부와, 일단이 상기 토출구에 결합되고 타단이 방호복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흡입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외기공급부를 통해 냉각공기가 상기 방호복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과, 일단이 상기 방호복의 다른 일측 표면에 형성된 배기포트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호복 내부의 공기가 타측으로 이송되는 배출관과,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관의 타단이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방호복 내부에서 유통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수집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배기구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배기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기구의 배기단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로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공기수집부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일정 하중을 가지고 상기 배기구의 배기단에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단을 개폐하는 회동플레이트로서,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중력에 의해 상기 배기단을 밀폐시키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회동플레이트가 상기 공기수집부 내측으로 자유회동되어,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공기수집부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기수집부의 일측에는 공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수집부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공기배출공에는 여과필터가 설치되어, 상기 여과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공급관과 배출관이 복수개 설치되어, 복수의 각 방호복에 형성된 흡입포트와 배기포트에 각각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외기공급부와 상기 공기수집부가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외부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복을 착용한 의료진이 방호복에 형성된 흡배기포트에 공급관과 배출관을 간단하게 체결시킬 수 있어, 방호복을 착용한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 시간 동안 신속하게 외부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외부공기의 유통으로 인해 무더운 여름철 방호복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쾌적함을 향상시켜 무리없이 의료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측 개폐부의 일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측 개폐부의 일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은 외기공급부(10), 공급관(20), 배출관(50), 공기수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기공급부(10)는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내측에 설치되는 냉각모듈(13)을 통해 공기를 냉각시켜 방호복 내측으로 공급시키는 것으로,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흡입구(11)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모듈(13)을 통해 냉각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냉각모듈(13)은 일반적인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구조로 구성되어 외부 공기를 냉각시켜 외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구(12)가 일측면에 형성된다.
공급관(20)은 외기공급부(10)에서 형성된 냉각공기를 방호복 내측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관으로서, 일단이 토출구(12)에 결합되고, 타단이 방호복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흡입포트(30)와 연결되어, 외기공급부(10)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방호복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배출관(50)은 일단이 방호복의 다른 일측 표면에 형성된 배기포트(40)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공기수집부(60)의 배기구(61)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출관(50)은 공급관(20)을 통해 방호복 내측으로 공급된 냉각공기가 방호복 내측에서 유통된 다음, 배기구(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흡입포트(30)는 방호복의 가슴부위 정도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포트(40)는 방호복의 다리 측면 부분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히다.
공기수집부(60)는 일측에 배기구(61)가 형성되며, 배출관(50)으로부터 방호복 내부에서 유통된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배기구(61)의 단부측에 흡입팬이 설치된다. 아울러 이러한 공기수집부(60)는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측, 즉 바닥면에 공기배출공(63)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기배출공(63)에는 별도의 여과필터(62)가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시킨 다음 공기배출공(63)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배기구(61)에는 공기수집부(60)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방호복 내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개폐부(70)가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부(70)는 배출관(50)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배기구(61)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개폐부(70)는 배기구(61)의 배기단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일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는 배출관(5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하여 배출관(50)에서 공기수집부(6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공기압이 일정압력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밸브를 막아 공기수집부(60) 내부의 공기가 배출관(50)을 통해 방호복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개폐부(70)는 일정 하중을 가지고 배기구(61)의 배기단에 자유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71) 일 수 있다. 이러한 회동플레이트(71)는 중력에 의해 상시 배기단을 밀폐시키도록 하며, 배출관(50)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회동플레이트(71)가 공기수집부(60) 내측으로 자유회동되어 배기구(61)를 개방시키도록 하여, 배출관(50)에서 공기수집부(6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배출관(50)에서의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다시 회동플레이트(71)가 중력방향으로 회동되어 배기구(61)가 닫혀지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은 외기공급부(10)와 공기수집부(60)를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도록 하는 외부하우징(80)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외부하우징(80)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동바퀴(81)가 설치되도록 하여 재난현장 등 필요한 장소로 적시적소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급관(20)과 배출관(50)이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각 방호복에 형성된 흡입포트(30)와 배기포트(40)로 각각 연결시켜 방호복을 착용한 다수의 사람이 한꺼번에 본 시스템을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방호복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여, 방호복을 착용한 의료진이 흡입포트(30)와 배기포트(40)에 공급관(20)과 배출관(50)을 간단하게 연결시켜 대기시간 동안 방호복 내부 공기를 유통시켜 쾌적함을 제공하도록 하며, 본 시스템에 이러한 공급관(20)과 배출관(50)을 다수개 형성시켜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외기공급부 11 : 흡입구
12 : 토출구 13 : 냉각모듈
20 : 공급관
30 : 흡입포트
40 : 배기포트
50 : 배출관
60 : 공기수집부 61 : 배기구
62 : 여과필터 63 : 공기배출공
70 : 개폐부 71 : 회동플레이트
80 : 외부하우징 81 : 이동바퀴

Claims (7)

  1.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고 다른 일측에 상기 냉각된 공기가 외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기공급부와,
    일단이 상기 토출구에 결합되고 타단이 방호복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흡입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외기공급부를 통해 냉각공기가 상기 방호복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과,
    일단이 상기 방호복의 다른 일측 표면에 형성된 배기포트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호복 내부의 공기가 타측으로 이송되는 배출관과,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관의 타단이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방호복 내부에서 유통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배기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기구의 배기단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로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공기수집부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일정 하중을 가지고 상기 배기구의 배기단에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기단을 개폐하는 회동플레이트로서,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중력에 의해 상기 배기단을 밀폐시키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회동플레이트가 상기 공기수집부 내측으로 자유회동되어,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공기수집부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수집부의 일측에는 공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수집부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공기배출공에는 여과필터가 설치되어, 상기 여과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과 배출관이 복수개 설치되어, 복수의 각 방호복에 형성된 흡입포트와 배기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부와 상기 공기수집부가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외부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200056398A 2020-05-12 2020-05-12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KR10241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98A KR102414199B1 (ko) 2020-05-12 2020-05-12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98A KR102414199B1 (ko) 2020-05-12 2020-05-12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271A true KR20210138271A (ko) 2021-11-19
KR102414199B1 KR102414199B1 (ko) 2022-06-28

Family

ID=7871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398A KR102414199B1 (ko) 2020-05-12 2020-05-12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4949A (zh) * 2021-12-29 2022-05-13 深圳人本国际科技服饰有限公司 智能制冷系统
WO2023095962A1 (ko) * 2021-11-26 2023-06-01 ㈜엔케이이노베이션 휴대용 냉각시스템이 적용된 방호복의 밀폐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365Y1 (ko) * 2001-05-28 2001-10-15 김용권 냉방장치가 부착된 냉방보호복
JP2005537458A (ja) * 2002-08-31 2005-12-08 エントラク エネルギ− ウント アントリーブステヒ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携帯用空調機器、特に個人用空調機器
KR20090089760A (ko) 2008-02-19 2009-08-24 가부시키가이샤 노르메카 아시아 감염증 방호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365Y1 (ko) * 2001-05-28 2001-10-15 김용권 냉방장치가 부착된 냉방보호복
JP2005537458A (ja) * 2002-08-31 2005-12-08 エントラク エネルギ− ウント アントリーブステヒ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携帯用空調機器、特に個人用空調機器
KR20090089760A (ko) 2008-02-19 2009-08-24 가부시키가이샤 노르메카 아시아 감염증 방호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5962A1 (ko) * 2021-11-26 2023-06-01 ㈜엔케이이노베이션 휴대용 냉각시스템이 적용된 방호복의 밀폐구조
CN114484949A (zh) * 2021-12-29 2022-05-13 深圳人本国际科技服饰有限公司 智能制冷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199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199B1 (ko) 방호복 공기조화 시스템
Sadrizadeh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operating room ventilation
KR101575233B1 (ko)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US3966407A (en) Air sterilizing compressor system
CN111764728A (zh) 移动式正负压一体防护隔离舱
CN208762506U (zh) 一种空调通风系统细菌检测装置
CN2626263Y (zh) 防护服
CN209220227U (zh) 防感染纤支镜检查辅助装置
Sharp et al. Do warming blankets increase bacterial counts in the operating field in a laminar-flow theatre?
Whyte et al. An investigation of occlusive polyester surgical clothing
Whyte The effect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lothing on airborne microbes and wound sepsis in hospital operating rooms, part 2
CN113445786A (zh) 一种模块拼装式隔离区进出通道
TWM596259U (zh) 可移動組合式負壓隔離裝置
CN213810914U (zh) 一种两联供地面辐射冷暖全空气新风除湿系统
WO2021203551A1 (zh) 可装卸多用途门诊舱
CN111389109B (zh) 一种移动式洁净分诊工作站
KR20230033098A (ko) 웨어러블 냉난방 시스템
KR20210119837A (ko) 진단 및 검사용 안전부스
CN216651409U (zh) 一种方便散热的新型隔离衣
CN111485735A (zh) 医院单人隔离防护诊疗室
Scherrer Hygiene and room climate in the operating room
Can et al. Design Principles of the Hospital Clean Rooms
CN217520011U (zh) 移动式调温空气消毒机
CN212927244U (zh) 移动式正负压一体防护隔离舱
CN212154273U (zh) 模块拼装式隔离区进出通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