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820A - Electric wire protective pipe - Google Patents

Electric wire protective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820A
KR20210137820A KR1020200056132A KR20200056132A KR20210137820A KR 20210137820 A KR20210137820 A KR 20210137820A KR 1020200056132 A KR1020200056132 A KR 1020200056132A KR 20200056132 A KR20200056132 A KR 20200056132A KR 20210137820 A KR20210137820 A KR 20210137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evice
locking
wire
electric wire
prot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2976B1 (en
Inventor
이주학
박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976B1/en
Publication of KR2021013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8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wire protection pipe comprising: a body part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n electric wir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to surround the electric wire, 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space as both ends thereof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move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a first locking part provided on one of both the ends of the body part; a second lock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of both the ends of the body part,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part or in a second direction closer to the body part, and engaged with or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part as moving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an opening devic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part, and for changing the accommodating space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by moving the second locking part in the second direction as the other end thereof is pull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accommodating space. Therefore, the electric wire protection pipe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Description

전선 방호관{ELECTRIC WIRE PROTECTIVE PIPE}Wire protection pipe {ELECTRIC WIRE PROTECTIVE PIPE}

본 발명은 전선을 감싸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선 방호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protection tube configured to wrap and protect an electric wire.

전선 방호관은 전선의 외면을 감싸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 protection tube is formed to wrap and accommodate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and is made to protect the wire accommodated therein.

종래의 전선 방호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선 방호관에 전선을 삽입 수용하기 위하여, 전선 방호관에 일정한 힘을 가하고, 전선 방호관을 벌린 상태에서 전선을 수용시킴으로써 전선 방호관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In general, a conventional wire protection tube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In addition, in order to insert and accommodate the wire in the conventional wire protective tube,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protective tube, and the installation of the wire protective tube is completed by accommodating the wire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protective tube is spread.

하지만, 폴리에틸렌 재질의 특성상 기온에 따라 형상의 변형량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은 경우, 전선 방호관이 딱딱해져서 전선 방호관의 설치를 위해 전선 방호관을 벌리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전선 방호관의 설치 현자에서는 작업자가 뭉툭한 형태의 활선 장갑을 낀 상태에서 전선 방호관의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전선 방호관을 벌리는 작업의 능률이 매우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활선 장갑을 벗고 전선 방호관의 설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높다.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ethylene material show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shap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is low, such as in winter, the wire protection tube becomes hard, making it very difficult to spread the wire protection tube for installation of the wire protection tube.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wire protection tube is performed while the operator is wearing a blunt form of live wire gloves in the installation wise of the wire protection tub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spreading the wire protection tube may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live wire gloves are removed and the wire protection pipe installation work is performed, there is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전선 방호관의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선 방호관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protective tube in which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wire protective tube can be made more easily.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선 방호관은,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둘레 방향상에 마련되는 양단부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로 만들도록 이루어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잠금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바디부에 가까워지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잠금부와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잠금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잠금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닫힘 상태에서 타단부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2 잠금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개방장치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protection tube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ire,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to surround the wire, and both end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mutually a body portion configured to make the receiving space open or closed as it moves away or approaches; a first locking part provided on one of both ends of the body part; It is provided at the other of both ends of the body part, and is made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part or to b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close to the body part, and as it moves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 a second locking portion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or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one end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part, and as the other end is pull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accommodating space, the second locking part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open the accommodating space in the closed state. and an opening device configured to switch to the state.

상기 개방장치부의 일부는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의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receiving space and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는 상기 개방장치부의 일부는, 상기 바디부보다 탄성 변형이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portion dispos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body portion.

상기 개방장치부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외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par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through the body part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개방장치부는, 상기 개방장치부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링(ring)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opening device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portion, may include a ring portion formed to have a ring (ring) shape.

상기 바디부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감싸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portion and a second cover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formed to surround and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잠금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기 설정된 위치상에서 제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리브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part may include a rib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 limit movement of the second lock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t a preset position.

상기 전선 방호관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제2 잠금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잠금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부는, 상기 개방장치부의 타단부가 당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리브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re protection tub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rt provid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locking part and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the second locking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locking part may include the opening device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is not pulled, it may be made to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rib part by the elastic part.

상기 개방장치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개방장치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opening device part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opening device par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일시예에 따른 전선 방호관의 설치방법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잠금부와 상기 제2 잠금부를 체결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닫힘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wire protection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teps of disposing the electric wire o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fastening the first locking part and the second locking part to convert the accommodating space to the closed state.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전선 방호관은,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전선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디부의 양단부상에 마련되고, 서로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도록 이루어는 제1 잠금부와 제2 잠금부와, 제2 잠금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바디부의 수용공간을 닫힘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개방장치부를 포함한다.The wire protection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ocking part and a second locking part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ir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body part formed to surround the wire, and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or released from each other; , and an opening device configured to convert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ortion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by moving the second locking portion.

이에 따라, 수용공간의 닫힘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잠금부에 의해 수용공간의 닫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한편, 개방장치부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제1 및 제2 잠금부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져, 전선 방호관의 설치를 위해 바디부의 수용공간을 개방시키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선 방호관의 작업 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losed state of the accommodating space, the closed state of the accommodating space is stably maintained b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whil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are engaged by moving the opening device in the second direction. is made to be released, so that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ortion for installation of the wire protective tube can be made more easi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wire protective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호관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 방호관의 개방장치부를 조작하여 바디부의 수용공간을 닫힘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시킨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잠금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전선 방호관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선 방호관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호관의 설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a wire protection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art is convert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by manipulating the opening device part of the wire protection tube shown in FIG. 1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the wire protection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unit shown in FIG. 2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4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wire protection tube shown in FIG. 1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wire protection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선 방호관(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wire protection pi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호관(10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 방호관(100)의 개방장치부(140)를 조작하여 바디부(110)의 수용공간(110a)을 닫힘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시킨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잠금부(13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전선 방호관(100)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선 방호관(100)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wire protective tube 100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opening device 140 of the wire protective tube 100 shown in FIG. 1 .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110a of the body part 110 is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by manipulating the )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in a state moved to, FIG. 4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선 방호관(100)은, 바디부(110), 제1 잠금부(120), 제2 잠금부(130) 및 개방장치부(140)를 포함한다.1 to 4 ,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10 , a first locking portion 120 , a second locking portion 130 , and an opening device portion 140 .

바디부(110)는, 전선(1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0a)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110)는, 전선(10)을 감싸도록 전선(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둘레 방향상에 마련되는 양단부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르 바디부(110)에 마련되는 수용공간(110a)을 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로 만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part 110 may be formed to have an accommodating space 110a for accommodating the electric wire 10 . The body part 1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10 so as to surround the electric wire 10, and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10 as both end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ve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It may be made to make the space 110a into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제1 잠금부(120)는, 바디부(11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part 12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both ends of the body part 110 .

제2 잠금부(130)는, 바디부(110)의 양단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바디부(110)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거나 바디부(110)에 가까워지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D2)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잠금부(120)와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art 130 is provided at the other one of both ends of the body part 110 ,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away from the body part 110 or in a second direction closer to the body part 110 . (D2) can be achieved to be movable. In addition, as it moves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 it may be engaged with or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part 120 .

개방장치부(140)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고, 개방장치부(140)의 일단부는 제2 잠금부(1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장치부(140)는, 바디부(110)의 수용공간(110a)의 상기 닫힘 상태에서 개방장치부(140)의 타단부가 당겨짐에 따라 제2 잠금부(130)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켜 수용공간(110a)을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공간(110a)을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개방장치부(140)의 타단부가 당겨지는 방향은 바디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장치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개방장치부(140)는, 예를 들어, 제1 개방장치부(140a), 제2 개방장치부(140b) 및 제3 개방장치부(14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개방장치부(140a,140b,140c)는 바디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opening device 140 may exten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one end of the opening device 14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part 130 . In addition, the opening device 140 moves the second locking part 130 in the second direction as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140 is pull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receiving space 110a of the body part 110 . By moving to (D2) it may be made to convert the receiving space (110a)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For example, in order to convert the receiving space 110a into the open state,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14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110 . In addition, the opening device 14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shown in FIG. 1 . The plurality of opening device parts 14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opening device part 140a, a second opening device part 140b, and a third opening device part 140c. The first to third opening device parts 140a , 140b , and 140c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110 .

또한, 개방장치부(140)는 고리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device 140 may include a ring portion 141 .

고리부(141)는, 개방장치부(140)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링(ring)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141)는 상기 링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ring portion 14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14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ring shape. The ring portion 141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other than the ring shape.

한편, 개방장치부(140)의 일부는 바디부(110)의 상기 수용공간(110a)상에 배치되며, 전선(10)의 일부와 접하여 전선(10)의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10)의 수용공간(110a)상에 배치되는 개방장치부(140)의 일부는, 바디부(110)보다 탄성 변형이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110a)상에 배치되는 상기 개방장치부(140)의 일부는, 수용공간(110a)의 상기 닫힘 상태에서 전선(10)을 바디부(11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선(10)이 수용공간(110a)상에 수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10a)상에 배치되는 상기 개방장치부(140)의 일부가, 바디부(110)보다 탄성 변형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전선 방호관(100)을 설치하는 전선(10)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변형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선(10)들이 수용공간(110a)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opening device 140 is disposed on the receiving space 110a of the body part 110 , and may be made to contact a part of the electric wire 10 and surround a part of the electric wire 10 . In addition, a part of the opening device 140 disposed on the receiving space 110a of the body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body 110 .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140 disposed on the receiving space 110a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1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in the closed state of the receiving space 110a.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wire 10 is accommodat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opening device 140 disposed on the receiving space 110a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body portion 110 , the wire 10 for installing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 It is deformed even when the diameters of the wir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different types of wires 10 having different diameters can be stably disposed on the receiving space 110a.

또한, 개방장치부(14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바디부(110)의 수용공간(110a)에서 바디부(110)를 관통하여 바디부(110)의 외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장치부(140)가 바디부(11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 보호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ceiving space 110a of the body 11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by penetrating the body 110 . Accordingly, the opening device 140 may be protected from an external impact by the body 110 .

한편, 전선 방호관(100)은, 제1 커버부(151)와 제2 커버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part 151 and a second cover part 152 .

제1 커버부(151)와 제2 커버부(152)는, 바디부(110)상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잠금부(120,130)의 적어도 이루블 각각 감싸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다라, 제1 및 제2 잠금부(120,130)가 외부 환경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 잠금부(120,130)의 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접 활선 작업 시 집게 형태의 간접 활선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커버부(151)와 제2 커버부(152)를 조작함으로써, 전선 방호관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part 151 and the second cover part 152 may be provided on the body part 110 ,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and accommodate at least the first and second lock parts 120 and 130 respectively. According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120 and 130 are not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durability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120 and 130 may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by manipulating the first cover part 151 and the second cover part 152 using an indirect live wire tool (not shown) in the form of tongs during indirect live wire work, the installation of the wire protection tub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have.

또한, 제2 커버부(152)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잠금부(13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기 설정된 위치상에서 제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리브부(15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잠금부(130)의 제1 방향(D1)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 part 152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 and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D1 of the second locking part 130 . It may include a rib portion 152a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rib on a preset position.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second locking part 130 in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performed more stably.

또한, 전선 방호관(100)은, 바디부(110)와 제2 잠금부(130) 사이에 마련되고, 제2 잠금부(13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160)는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잠금부(130)는, 상기 개방장치부(140)의 타단부가 당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부(160)에 의해 상기 리브부(152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locking part 130, and is an elastic part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the second locking part 130 in the first direction D1. (160)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elastic part 160 may be formed of a spring member. Here, the second locking part 130 is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rib part 152a by the elastic part 160 while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part 140 is not pulled. can

이하,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호관(100)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stallation method of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ogether with FIGS. 1 to 4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호관(100)의 설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method of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선 방호관(100)의 설치방법은, 바디부(110)의 상기 수용공간(110a)의 상기 열림 상태에서, 전선(10)을 상기 수용공간(110a)상에 배치시키는 단계(S100)와, 제1 잠금부(120)와 제2 잠금부(130)를 체결시켜, 바디부(110)의 상기 수용공간(110a)을 상기 닫힘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wire protection tube 100 , in the open stat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of the body part 110 , the wire 10 is plac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Step (S100) of placing the first locking part 120 and the second locking part 130 together to convert the receiving space 110a of the body part 110 to the closed state (S200). ) may be included.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oregoing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ividually or in any combination.

100 : 전선 방호관 110 : 바디부
110a : 수용공간 120 : 제1 잠금부
130 : 제2 잠금부 140 : 개방장치부
141 : 고리부 151 : 제1 커버부
152 : 제2 커버부 152a : 리브부
160 : 탄성부 10 : 전선
100: wire protection tube 110: body part
110a: receiving space 120: first locking part
130: second locking unit 140: opening device unit
141: ring portion 151: first cover portion
152: second cover part 152a: rib part
160: elastic part 10: electric wire

Claims (10)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둘레 방향상에 마련되는 양단부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로 만들도록 이루어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잠금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바디부에 가까워지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잠금부와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잠금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잠금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닫힘 상태에서 타단부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2 잠금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개방장치부를 포함하는 하는 전선 방호관.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n electric wire is provide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to surround the electric wire, and as both end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ve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the receiving space is converted into an open or closed state. a body portion made to make;
a first locking part provided on one of both ends of the body part;
It is provided at the other of both ends of the body part, and is made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part or to b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close to the body part, and as it moves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 a second locking portion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or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One end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part, and as the other end is pull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accommodating space, the second locking part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move the accommodating space in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A wire protection tube comprising an opening device configured to be converted into 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부의 일부는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의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방호관.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wire protec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surrounds a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는 상기 개방장치부의 일부는, 상기 바디부보다 탄성 변형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방호관.
3. The method of claim 2,
A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disposed on the accommodating spac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bod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부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외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방호관.
3.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the electric wire protec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body portion in the receiving sp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부는, 상기 개방장치부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링(ring)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방호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ning device por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portion, the wire protec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ing portion formed to have a ring (ring)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감싸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방호관.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protection tube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ver portion and a second cover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formed to surround and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respective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잠금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기 설정된 위치상에서 제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리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방호관.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cover portion may include a rib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 limit movement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on a preset position. wire protec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제2 잠금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잠금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부는, 상기 개방장치부의 타단부가 당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리브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방호관.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elastic part provid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locking part and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the second locking part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locking part is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rib part by the elastic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device part is not pu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개방장치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방호관.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device par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opening device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선 방호관에 있어서, 상기 전선 방호관의 설치방법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상기 수용공간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잠금부와 상기 제2 잠금부를 체결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닫힘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선 방호관의 설치방법.
In the wire protective pi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wire protective pipe comprises:
disposing the electric wire on the receiving space in the open state of the receiving space; and
and fastening the first locking part and the second locking part to convert the accommodating space to the closed state.
KR1020200056132A 2020-05-11 2020-05-11 Electric wire protective pipe KR102402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132A KR102402976B1 (en) 2020-05-11 2020-05-11 Electric wire protective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132A KR102402976B1 (en) 2020-05-11 2020-05-11 Electric wire protective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820A true KR20210137820A (en) 2021-11-18
KR102402976B1 KR102402976B1 (en) 2022-05-27

Family

ID=7871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132A KR102402976B1 (en) 2020-05-11 2020-05-11 Electric wire protective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97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023A (en) * 1998-07-15 2000-02-02 Kinki Denki Kk Wire rising protective pipe
JP2003259539A (en) * 2002-03-01 2003-09-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Fitting portion for electric wire protecting tube
KR200462313Y1 (en) * 2012-06-28 2012-09-05 손홍열 cable arrangement tub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023A (en) * 1998-07-15 2000-02-02 Kinki Denki Kk Wire rising protective pipe
JP2003259539A (en) * 2002-03-01 2003-09-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Fitting portion for electric wire protecting tube
KR200462313Y1 (en) * 2012-06-28 2012-09-05 손홍열 cable arrangement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976B1 (en)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764B2 (en) Device for guiding a flexible hose and robot with the device
KR101448173B1 (e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unnel for Prevention of Flooded
JP5709813B2 (en) Cable protection guide device
KR102402976B1 (en) Electric wire protective pipe
KR100788521B1 (en) Cable protective spring and method of fixing the cable protective spring
JP5694400B2 (en) Electric wire protector
JP7059690B2 (en) Protective tube
US20140208585A1 (en) Tool for installing wires in a wire harness conduit
JP7396016B2 (en) Cable protection guide device
KR200484302Y1 (en) Insulator cover for live line work type on over head distribution line
JP5188098B2 (en) Protective cover
KR20200133473A (en) Protective cover for construction
JP2016082726A (en) Linear sleeve cover for indirect hot-wire, and fitting method therefor
JP5013747B2 (en) High pressure clamp cover
KR20210023517A (en) Cable protect pipe for high tension wire
JP2013192302A (en) Telescopic insulation protector
JP2010183725A (en)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shock-free linear body
US10960546B2 (en) Shear pin for robot calibration
JP5264827B2 (en) Cable protection guide device
JP4832233B2 (en) Conduit
KR20080110096A (en) A jig for welding of the pipes
KR102076559B1 (en) Influx cutoff apparatus of groundwater for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JP6093657B2 (en) Covering cover for electric wire
JP6562207B2 (en) Insulation armor
KR102038423B1 (en) Processed distribution line with insulator cover for live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