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668A -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668A
KR20210137668A KR1020200055744A KR20200055744A KR20210137668A KR 20210137668 A KR20210137668 A KR 20210137668A KR 1020200055744 A KR1020200055744 A KR 1020200055744A KR 20200055744 A KR20200055744 A KR 20200055744A KR 20210137668 A KR20210137668 A KR 20210137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eating
seating part
abras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배강
김화민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주)미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주테크 filed Critical (주)미주테크
Priority to KR102020005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668A/ko
Publication of KR2021013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5Feeding or manipul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gri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5Steady r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은 환봉을 연삭하여 연마봉을 배출하는 연삭기, 상기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연삭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연마봉이송부 및 상기 연마봉이송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진동을 저감하는 방진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봉이송부는 상기 연마봉이 놓일 수 있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이송하여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상기 연마봉을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이동하여 상기 안착부에 놓인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안착부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연마봉이송부(예, 안착부와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방진부를 마련하고, 안착부이송부를 통하여 멈춤부에 멈춘 연마봉을 안착부에 놓은 후 안착부를 측정부로 이송하여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함으로써 연삭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줄인 상태에서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vibration reduction type system for automatically checking dimensions of grinded rod}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진동을 저감하면서 연삭이 진행된 연마봉을 측정부로 이송하여 방진상태에서 연마봉의 외형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필요시 순환가공을 할 수 있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기술이전사업화 사업(No. 2019-DG-RD-0017-01-10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에 의해서 완성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전함이 따라 자동차, 산업기기, 로봇산업 등에 이동 로드, 축대 등으로 사용되는 샤프트의 정밀도와 강도를 높이기 위한 부품소재 관련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샤프트의 외경, 진원도, 직진도 등은 정밀부품의 경우에 중요한 기준 조건이며, 이에 따라 최근 기술개발에 있어서 부품의 외경의 정밀도, 진원도, 직진도 등을 높일 수 있는 소재 기술 개발, 공정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연마봉과 같은 금속봉은 기계관련 산업에서 핵심부품이며, 연마봉을 활용하여 얻어지는 축은 유압 실린더, 공압실린더, LM 샤프트 등에 사용되는 핵심 기계 부품들로 외경의 정밀도, 진원도, 직진도 등이 중요한 요소이며, 가공공정, 사용 용도 등에 따라 필요한 외경의 정밀도, 진원도, 직진도 등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마봉은 정확한 운동 전달 특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경의 정밀도, 진원도, 직진도, 경도 등의 유지가 필요하다.
또한, 연마봉은 1회 연삭 가공만으로 정확한 외경 치수를 맞출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때는 연삭 가공을 마친 연마봉을 다시 연삭기로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연마봉을 수차례에 걸쳐 연삭 가공할 때에 연삭 가공된 다수의 연마봉을 모아서 다시 적재대에 적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고,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는 연마봉의 외경, 진원도, 직진도 등을 측정하는 과정에서도 발생한다. 즉, 연삭을 마친 연마봉이 기준 규격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외경, 진원도, 직진도 등의 측정이 연삭 가공과 별도로 진행되므로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연삭기의 연마봉의 자동 로딩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KR 20-0422068 "센터리스 연마기의 연마봉 자동 로딩 장치" 등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센터리스 연마기에 연마봉을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연속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연마기의 자동 적재에 관한 기술만 제시할 뿐 연삭된 연마봉의 외형 측정을 별도로 진행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별도로 측정을 진행한 연삭된 연마봉의 치수가 기준에 미달할 경우에 이를 작업자에 의해 다시 연삭을 진행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계를 또한 안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연삭이 진행된 연마봉을 수거부에서 수거하기 전에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방진부를 활용함으로써 연마봉의 외형 측정의 정확도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연삭기에서 배출된 연마봉 중 치수가 기준에 미달된 연마봉을 다시 연삭기로 순환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은 환봉을 연삭하여 연마봉을 배출하는 연삭기, 상기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연삭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연마봉이송부 및 상기 연마봉이송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진동을 저감하는 방진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봉이송부는 상기 연마봉이 놓일 수 있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이송하여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상기 연마봉을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이동하여 상기 안착부에 놓인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안착부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은 상기 연삭기를 통하여 배출되어 수거위치로 이송되는 상기 연마봉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를 통해 수거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마봉의 이동을 멈추는 멈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각각은 상기 수거위치로 이송되는 상기 연마봉이 중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멈춤부는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마봉이송부는 상기 연마봉이 놓일 수 있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이송하여 상기 안착부에 놓인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안착부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안착부를 이송하여 상기 멈춤부에 멈춘 상기 연마봉을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정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안착부를 상승시켜 상기 멈춤부에 멈춘 상기 연마봉을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추가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정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연마봉의 상기 외형이 측정된 후 상기 안착부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안착부이송부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놓이는 상기 연마봉이 상기 멈춤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연마봉이 상기 안착부이송부에 의한 하강 후에는 상기 멈춤부에 걸리지 않고 상기 수거부를 통하여 수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안착부를 상승시켜 상기 멈춤부에 멈춘 상기 연마봉을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추가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정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연마봉의 상기 외형이 측정된 후 상기 안착부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는 상기 멈춤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치우쳐 상기 안착부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마봉이 상기 안착부이송부에 의한 하강 후에는 상기 멈춤부에 걸리지 않고 상기 수거부를 통하여 수거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진부는 상기 안착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안착부의 대향면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체,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연마봉이송부(예, 안착부와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방진부를 마련하고, 안착부이송부를 통하여 멈춤부에 멈춘 연마봉을 안착부에 놓은 후 안착부를 측정부로 이송하여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함으로써 연삭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줄인 상태에서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연삭이 진행된 연마봉을 수거부에서 수거하기 전에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하여 연마봉의 외형이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기준에 미흡한 연마봉을 다시 연삭기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안착부이송부를 통하여 멈춤부에 멈춘 연마봉을 안착부에 놓은 후 안착부를 측정부로 이송하여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함으로써 연삭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줄인 상태에서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안착부이송부를 상승시켜 멈춤부에 멈춘 연마봉을 안착부에 놓는 과정에서 연마봉이 멈춤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측정부를 통한 연마봉의 외형의 측정 후 안착부이송부에 의한 안착부의 하강시 연마봉이 멈춤부에 걸리지 않고 수거부를 통하여 수거되도록 할 수 있어 멈춤부의 하강 동작 필요없이 측정된 연마봉이 수거부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안착부이송부를 상승시켜 멈춤부에 멈춘 연마봉을 안착부에 놓는 과정에서 안착부에 마련되는 함몰부를 멈춤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치우쳐 마련한 기술을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측정부를 통한 연마봉의 외형의 측정 후 안착부이송부에 의한 안착부의 하강시 연마봉이 멈춤부에 걸리지 않고 수거부를 통하여 수거되도록 할 수 있어 멈춤부의 하강 동작 필요없이 측정된 연마봉이 수거부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연마봉이송부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진부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측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의 순환이송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연마봉이송부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수거위치로 이송되는 연마봉을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를 통하여 수거부로 수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b)는 수거부로 수거하는 과정에서 멈춤부에서 이동이 멈춤 연마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c)는 연마봉이송부를 통하여 연마봉을 안착부에 놓은 후 연마봉을 측정부로 이송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d)는 측정부에서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한 후 연마봉을 수거부로 이송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진부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안착부와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며, 안착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된 방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b)는 안착부와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며, 서로 병렬로 마련되는 탄성체와 피스톤을 구성요소로 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방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c)는 안착부와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며, 안착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면과 하우징의 내면에 대향하는 안착부의 대향면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체, 하우징의 외면과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2탄성체 및 하우징의 외면과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제2탄성체와 병렬로 마련되는 피스톤을 구성요소로 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방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측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의 순환이송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은 연삭기(200), 측정부(130), 연마봉이송부(150) 및 방진부(16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공급부(110), 수거부(120), 멈춤부(126) 및 순환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삭기(200, grinding machine)는 공급되는 환봉(10)을 연삭하여 연마봉(10)을 배출한다. 연삭기(200)에 공급되는 환봉(10)은 연삭되기 전의 환봉 또는 연삭되었으나 치수가 규격에 부합되지 않는 연마봉일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환봉(10)을 연마봉(10)으로 통일하여 표현하기로 한다. 연삭기(200)는 제품 표면의 마무리 공정에 사용되는 공작기기로서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작기기 중 하나이다. 연삭기(200)로는 원통연삭기(Cylindrcal grinding machine), 내면연삭기(Intemal grinding machine), 무심연삭기(Centerless grinding machine), 평면연삭기(Surface Cylindrcal grinding machin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부(130)는 연삭이 진행되어 배출되는 연마봉(10)의 외형을 측정한다. 측정부(130)는 연삭이 진행된 연마봉(10)-이하 측정대상 연마봉(10a)이라 함-의 외경, 진원도, 진직도, 함몰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측정부(13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측정부(130)가 활용될 수도 있다.
연마봉이송부(150)는 연삭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연마봉(10)을 측정부(130)로 이송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봉이송부(150)는 연마봉(10)이 놓일 수 있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안착부(152) 및 안착부(152)를 이송하여 안착부(152)의 상기 함몰부에 연마봉(10)을 놓은 후 안착부(152)를 이동하여 안착부(152)에 놓인 연마봉(10)을 측정부(130)로 이송하는 안착부이송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은 연삭기(200)를 통하여 배출되어 수거위치로 이송되는 연마봉(10)을 수거하는 수거부(120) 및 수거부(120)를 통해 수거되는 과정에서 연마봉(10)의 이동을 멈추는 멈춤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부(120)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각각은 상기 수거위치로 이송되는 연마봉(10)이 중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부(126)는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연마봉이송부(150)는 연마봉(10)이 놓일 수 있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안착부(152) 및 안착부(152)를 이송하여 안착부(152)에 놓인 연마봉(10)을 측정부(130)로 이송하는 안착부이송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152)는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이송부(154)는 안착부(152)를 이송하여 멈춤부(126)에 멈춘 연마봉(10)을 안착부(152)의 상기 함몰부에 놓은 후 안착부(152)를 측정부(130)로 이동하여 연마봉(10)을 측정부(130)로 이송할 수 있다. 안착부이송부(154)는 예로서 피스톤(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로드의 일단에 안착부(152)가 연결되어 안착부이송부(154)는 안착부(152)를 측정부(13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안착부(152)를 측정부(130)로 이송할 수 있는 한 안착부이송부(154)의 구조에는 그 제한이 없다.
일례로, 안착부이송부(154)는 안착부(152)를 상승시켜 멈춤부(126)에 멈춘 연마봉(10)을 안착부(152)의 함몰부에 놓은 후 안착부(152)를 추가적으로 상승시켜 안착부(152)를 측정부(130)로 이동하여 연마봉(10)을 측정부(130)로 이송할 수 있다. 안착부이송부(154)는 측정부(130)에 의하여 연마봉(10)의 외형이 측정된 후 안착부(15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는 안착부이송부(154)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놓이는 연마봉(10)이 멈춤부(126)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연마봉(10)이 안착부이송부(154)에 의한 하강 후에는 멈춤부(126)에 걸리지 않고 수거부(120)를 통하여 수거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함몰부는 쐐기, 곡선,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안착부(152)의 함몰부의 형상이 안착부(152)에 놓이는 연마봉(10)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연마봉(10)이 안착부이송부(154)에 의한 하강 후에는 멈춤부(12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멈춤부(126)에 걸린 연마봉(10)을 수거부(120) 즉,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를 통하여 하향 이송하기 위해서는 멈춤부(126)를 하향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예시에서 제시하는 기술은 안착부이송부(154)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놓이는 연마봉(10)이 멈춤부(126)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하도록 상기 함몰부의 형상을 마련함으로써 멈춤부(126)의 하향 이동 없이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연마봉(10)이 수거부(120)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안착부이송부(154)는 안착부(152)를 상승시켜 멈춤부(126)에 멈춘 연마봉(10)을 안착부(152)의 함몰부에 놓은 후 안착부(152)를 추가적으로 상승시켜 안착부(152)를 측정부(130)로 이동하여 연마봉(10)을 측정부(130)로 이송할 수 있다. 안착부이송부(154)는 측정부(130)에 의하여 연마봉(10)의 외형이 측정된 후 안착부(15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는 멈춤부(126)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치우쳐 안착부(152)에 마련됨으로써 연마봉(10)이 안착부이송부(154)에 의한 하강 후에는 멈춤부(126)에 걸리지 않고 수거부(120)를 통하여 수거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함몰부는 쐐기, 곡선,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경사면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안착부(152)의 함몰부의 형상이 멈춤부(126)에 멈춘 연마봉(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연마봉(10)의 중심축이 연마봉(10)이 안착부(152)의 함몰부에 놓인 경우에도 유지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연마봉(10)이 안착부이송부(154)에 의한 하강 후에는 멈춤부(12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멈춤부(126)에 걸린 연마봉(10)을 수거부(120) 즉,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를 통하여 하향 이송하기 위해서는 멈춤부(126)를 하향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예시에서 제시하는 기술은 안착부이송부(154)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놓이는 연마봉(10)이 멈춤부(126)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하도록 안착부(152)의 함몰부를 멈춤부(126)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치우쳐 마련함으로써 멈춤부(126)의 하향 이동 없이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연마봉(10)이 수거부(120)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52)는 함몰부에 안착된 연마봉(10)을 연마봉(10)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30)를 통하여 연마봉(10)의 외형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회전부(156)를 통하여 연마봉(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부(130)는 연마봉(10) 즉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외형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30)에 의한 연마봉(10a)의 외형 측정은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는 비접촉 방식으로 연마봉(10a)의 외형을 측정하는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측정부(130)는 연마봉이송부(150)를 통하여 이송되는 연마봉(10a)의 외경, 진원도 및 이들의 조합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제1외경측정부(32)와 제2외경측정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경측정부(32)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항되게 마련되는 제1광송신부(32a) 및 제1광수신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광송신부(32a)가 제공하는 광은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경유하여 제1광수신부(32b)에 도달하며, 제1광수신부(32b)에 도달하는 광의 영상분석(예, 음영분석)을 통하여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다. 제2외경측정부(34)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항되게 마련되는 제2광송신부(34a) 및 제2광수신부(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광송신부(34a)가 제공하는 광은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경유하여 제2광수신부(34b)에 도달하며, 제1광수신부(32b)에 도달하는 광의 영상분석(예, 음영분석)을 통하여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다.
제1외경측정부(32)와 제2외경측정부(34)는 동일한 임의의 평면 상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90도의 각도로 마련되는 제1외경측정부(32)와 제2외경측정부(34)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제1외경측정부(32)와 제2외경측정부(34)가 90도 각도로 마련되는 경우, 제1외경측정부(32)와 제2외경측정부(34)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이 1/4회전 또는 1/2 회전하는 동안의 외경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전체 외경뿐만 아니라 최대 외경과 최소 외경을 측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회전부(156)를 통하여 회전하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측정대상 연마봉(10a)은 멈춰있고 센서부(130)이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부(156)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회전부(156)에 의해 회전하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활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대상 연마봉(10a)은 회전하므로 제1외경측정부(32)와 제2외경측정부(34)를 통하여 측정한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최대 외경(Dmax)과 최소 외경(Dmin)으로부터 아래의 수식을 통하여 진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진원도 = (Dmax-Dmin)/((Dmax+Dmin)/2) × 100
연마봉(10)은 복수 개 준비될 수 있고, 이들은 순차적으로 연삭기(200) 및 측정부(130)를 경유할 수 있다. 연삭이 진행된 측정대상 연마봉(10a)은 연삭이 진행된 순서대로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외경측정부(32)와 제2외경측정부(34)가 측정한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최대 외경(Dmax), 최소 외경(Dmin), 진원도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연삭기(200)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다시 연삭할 경우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최대 외경(Dmax), 최소 외경(Dmin), 진원도를 참조하여 연삭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연마봉(10)을 원하는 수준의 진원도를 가지도록 연삭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측정부(130)는 연마봉이송부(150)를 통하여 이송되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36)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길이를 기준으로 측정대상 연마봉(10a)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거리측정부(36)는 연마봉(10)의 총 길이(L) 상에 5지점을 정한 후 각 지점에 마련된 후 각 지점에 대하여 거리측정부(36)에서 5지점 각각에 이르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5지점은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거리측정부(36)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직진도를 측정할 수 있다. 5지점은 예시이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거리측정부(36)가 측정하는 포인트는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거리측정부(36)는 연마봉(10)의 길이를 고려하여 측정대상 연마봉(10a)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거리측정을 할 수 있다.
연마봉(10)은 복수 개 준비될 수 있고, 이들은 순차적으로 연삭기(200) 및 측정부(130)를 경유할 수 있다. 연삭이 진행된 측정대상 연마봉(10a)은 연삭이 진행된 순서대로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점별로 거리측정부(36)가 측정한 거리측정부(36)로부터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지점까지의 거리, 직진도(또는 진직도) 등은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연삭기(200)는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다시 연삭할 경우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거리측정부(36)로부터 측정대상 연마봉(10a)의 지점까지의 거리, 직진도(또는 진직도) 등을 참조하여 연삭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연마봉(10)을 원하는 수준의 직진도(또는 진직도)를 가지도록 연삭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방진부(160)는 연마봉이송부(150)에 마련되며, 외부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부(160)는 안착부(152)와 안착부이송부(15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부(160a)는 안착부(152)와 안착부이송부(154) 사이에 안착부(152)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안착부(152)에 놓인 연마봉(10)에 인가되는 횡방향, 종방향의 외부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방진부(160a)로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가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부(160b)는 안착부(152)와 안착부이송부(154) 사이에 서로 병렬로 마련되는 탄성체(160b1)와 피스톤(160b2)을 구성요소로 하는 댐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안착부(152)에 놓인 연마봉(10)에 인가되는 외부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3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부(160c)는 안착부(152)와 안착부이송부(154) 사이에 마련되며, 안착부(152)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하우징(160c3), 하우징(160c3)의 내면과 하우징(160c3)의 내면에 대향하는 안착부(152)의 대향면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체(160c4), 하우징(160c3)의 외면과 안착부이송부(154) 사이에 마련되는 제2탄성체(160c1) 및 하우징(160c3)의 외면과 안착부이송부(154) 사이에 제2탄성체(160c1)와 병렬로 마련되는 피스톤(160c2)을 구성요소로 하는 댐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안착부(152)에 놓인 연마봉(10)에 인가되는 횡방향, 종방향의 외부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의 (c)에 예시된 방진부(160c)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60c3)의 외면과 안착부이송부(154) 사이에 제2탄성체(160c1)와 병렬로 마련되는 피스톤(160c2)을 구성요소로 하는 댐퍼의 스프링 상수와 댐핑 상수를 조정함으로써 도면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외력을 감쇄시킬 수 있다. 하우징(160c3)의 내면과 하우징(160c3)의 내면에 대향하는 안착부(152)의 대향면 사이에 마련되는 제1탄성체(160c4)의 스프링 상수를 조정함으로써 도면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외력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탄성체(160c3)와 병렬로 마련되는 피스톤(미도시)을 추가함으로써 추가적인 스프링 상수와 댐핑 상수를 조정함으로써 수평방향의 외력을 보다 더 감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의 (c)를 다시 참조하면, 도 3의 (c)에는 하우징(160c3)의 내부에 바닥과 이격되게 마련된 안착부(152)가 예시되어 있다. 안착부(152) 및 연마봉(10)은 질량을 가지는 질량체이므로 안착부(152)를 하우징(160c3)의 내부에 제1탄성체(160c4)를 통하여 바닥과 이격되게 마련함으로써 도면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외력이 진동의 형태로 인가될 경우에 안착부(152) 및 연마봉(10)의 관성에 의하여 수평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삭기(200) 등 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줄인 상태에서 측정부(130)가 연마봉(10)의 외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방진부(160)가 구성될 수 있는 몇몇 예시로서 상술한 외부의 진동이 안착부이송부(154)를 통하여 안착부(15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를 저감할 수 있는 한 방진부(16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댐퍼라는 용어는 스프링 상수와 댐핑 상수를 가지는 기술요소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은 순환가공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부(110), 수거부(120), 순환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10)는 연삭기(20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적재된 복수의 연마봉(10)들 중에서 연마봉(10)을 연삭기(200)로 회전 공급할 수 있다.
수거부(120)는 연삭기(20)의 타측에 마련되고,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회수하여 적재하거나 순환 이송시킬 수 있다.
순환부(140)는 수거부(120)로 회수된 측정대상 연마봉(10a)을 공급부(110)로 다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순환부(140)는 수거부(120)로 회수된 측정대상 연마봉(10a) 중에서 측정부(130)에 의하여 측정된 외형이 기준조건을 만족하는 연마봉을 배출하는 배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10), 수거부(120) 및 순환부(140)의 동작과 구조에 대해서는 발명자가 현재 생산라인에 적용준비 중인 실제 설비를 설명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발명이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후술하는 사례에 한정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후술하는 예시에서 측정부(130)는 접촉방식이며, 앞서 상술한 방식으로 후술하는 예시에서 제시하는 접촉방식의 측정부(130)가 비접촉방식의 측정부(30)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은 공급부(110), 수거부(120), 측정부(130), 순환부(140), 연마봉이송부(150) 및 방진부(160)를 포함한다.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의 요부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의 공급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공급부(110)는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P)을 적재하고, 적재된 연마봉(P) 중의 하나를 연삭기(200)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공급부(110)는 적재대(111), 공급모터(112), 공급체인(113), 공급가이드(114), 착지가이드(115), 착지실린더(116), 공급지지롤러(117), 이송리니어(118)를 포함한다.
적재대(111)는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P)이 적재되는 것으로, 연삭기(200)의 공급측 전방에 마련된다.
적재대(111)는 상단 착지면의 전방부위가 높고 후방부위가 낮은 형태이며, 그에 따라 적재대(111)의 전방부위에 올려지는 연마봉(P)은 자연스럽게 적재대(111)의 후방부위 쪽으로 이동된다.
공급모터(112)는 공급체인(113)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대(111)의 후방에 설치된다.
공급모터(112)의 구동축(112b)에는 다수의 구동롤러(112a)가 마련되고, 구동축(112b)의 상부에 마련되는 종동롤러 지지축(112c)에는 복수의 종동롤러(112d)가 마련된다.
공급체인(113)은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을 공급지지롤러(117)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롤러(112a)와 종동롤러(112d)의 사이에 설치된다.
공급체인(113)에는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을 밀어올려 공급지지롤러(117) 쪽으로 떨어뜨리는 한 쌍의 공급브라켓트(113a)가 대향 설치된다.
공급가이드(114)는 공급체인(113)에서 낙하하는 연마봉(P)을 착지가이드(115) 쪽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공급모터 종동롤러 지지축(112c)의 후방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공급가이드(114)는 전방부위가 높고 후방부위가 낮은 형태로, 전방부위에 올려진 연마봉(P)을 자연스럽게 후방에 설치된 착지가이드(115)로 유도한다.
착지가이드(115)는 공급지지롤러(117) 쪽으로 굴러내리는 연마봉(P)을 안전하게 공급지지롤러(117)에 착지시키는 것으로, 공급가이드(114)의 후방에 설치되는 착지회전축(114a)의 후방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착지가이드(115)의 상단 후방에는 연마봉 받침턱이 마련된다.
착지실린더(116)는 착지가이드(115)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착지실린더(116)의 작동플런저(116a)는 접속링크(116b)를 통해 착지회전축(114a)에 접속된다.
공급지지롤러(117)는 연삭기(200)로 공급되는 연마봉(P)을 지지하는 것으로, 연삭기(200)의 공급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이송리니어(118)는 공급지지롤러(117)에 착지된 연마봉(P)의 일측부위를 밀어서 연마봉(P)의 타측부위가 연삭기(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적재대(111)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다.
이송리니어(118)는 리니어본체(118a)의 하부에 푸쉬봉(118b)이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 형태이다.
도 8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의 요부 좌측면도이고, 도 9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의 수거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수거부(120)는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회수하여 적재하거나 순환이송시키는 부분이다.
수거부(120)는 수거지지롤러(121), 이송휠모터(122), 수거가이드(123), 수거실린더(124), 수거대(125), 멈춤부(126)를 포함한다.
수거지지롤러(121)는 연삭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연마봉(P)를 지지하는 것으로, 연삭기(200)의 배출 측에 다수 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이송휠모터(122)는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회수위치로 이송하는 것으로, 연삭기(200)의 배출 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이송휠모터(122)는 구동축에 이송휠(122a)이 설치된 형태이고, 프레임에 지지되는 승강실린더(122b)의 플런저 상단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하게 된다.
수거가이드(123)는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수거대(125)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연삭기(200)의 배출 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수거가이드(123)의 상단 후방에는 연마봉 받침턱(123b)이 마련된다.
각 수거가이드(123)의 전방부위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수거회전축(123a)에 고정 설치된다.
수거실린더(124)는 수거가이드(12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수거실린더(124)의 작동플런저(124a)는 접속링크(124b)를 통해 수거회전축(123a)에 접속된다.
수거대(125)는 연마를 마친 연마봉(P)을 적재하거나 순환부(140)로 이송하는 부분으로, 연삭기(200)의 배출 측 전방에 마련된다.
수거대(125)는 상단 착지면의 후방부위가 높고 전방부위가 낮은 형태이며, 그에 따라 수거대(125)의 후방부위에 올려지는 연마봉(P)은 자연스럽게 수거대(125)의 전방부위쪽으로 이동된다.
멈춤부(126)는 수거대(125)의 후방부위로부터 전방부위로 이동하는 연마봉(P)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거대(125)의 내부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멈춤부(126)는 작동실린더(126a)의 플런저에 완충부재(126b)가 설치된 형태이다.
도 10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의 순환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순환부(140)는 수거부(120) 쪽으로 회수된 연마봉(P)을 다시 공급부(110) 쪽으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순환부(140)는 제1이송컨베이어(141), 제2이송컨베이어(142), 적재실린더(143)를 포함한다.
제1이송컨베이어(141)는 수거대(125)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연마봉(P)을 제2이송컨베이어(142)로 이송하는 것으로, 수거대(125)의 전방에 마련된다.
제2이송컨베이어(142)는 제1이송컨베이어(141)로부터 이송되는 연마봉(P)을 적재위치까지 이송하는 것으로, 적재대(111)의 전방에 마련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41) 및 제2이송컨베이어(142)는 각각 구동모터와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기술 구성은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적재실린더(143)는 제2이송컨베이어(142)의 적재위치로 이송된 연마봉(P)을 적재대(111)로 밀어주는 것으로, 제2이송컨베이어(142)의 내부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적재실린더(143)는 플런저(143a)의 선단에 푸싱부재(143b)가 마련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100)은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을 연삭기(200)에 자동 공급하여 연삭 가공한 후 연삭된 연마봉(P)을 회수하여 다시 연삭기(200)로 순환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부(110)의 적재대(111)에는 연삭 가공할 다수의 연마봉(P)이 적재된다.
공급부(110)의 공급모터(112)가 작동하게 되면 공급체인(113)에 마련된 공급브라켓트(113a)가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 중에서 최후방의 연마봉(P)을 종동롤러(112d) 쪽으로 상승시킨다.
상기의 공급준비상태에서 공급모터(112)가 다시 작동하게 되면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 공급체인(1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종동롤러(112d) 쪽의 공급브라켓트(113a)에 지지된 연마봉(P)이 공급체인(113)에서 벗어나 공급가이드(114) 및 착지가이드(115) 쪽으로 굴러 떨어지게 되고, 착지가이드(115) 후방의 연마봉 받침단턱에 걸려 지지된다.
이때 구동롤러(112a) 쪽의 공급브라켓트(113a)는 새로운 연마봉(P)을 종동롤러(112d)의 대기위치로 끌어올리게 된다.
상기 공급모터(112)의 작동은 공급체인(113)이 1/2 회전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다음에 착지실린더(116)가 수축작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착지가이드(115)가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연마봉(P)이 공급지지롤러(117)에 착지된다.
다음에 이송리니어(118)이 작동되고, 푸쉬봉(118b)이 연마봉(P)을 연삭기(200) 쪽으로 밀게 된다.
연삭기(200)로 공급된 연마봉(P)은 연삭기(200)를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통과하면서 연삭가공된다.
이송리니어(118)의 푸쉬봉(118b)은 연마봉(P)을 연삭기(200) 쪽으로 민 다음에 원위치로 복귀된다.
연마봉(P)의 우측부분이 연삭기(200)로 진입한 후에는 착지실린더(116)가 신장작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착지가이드(11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연삭기(200)에서 연삭 가공된 연마봉(P)은 공급측 반대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며, 이때 연마봉(P)는 수거지지롤러(121)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상태로 이송된다.
연마봉(P)이 연삭기(200)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수거부(120)의 이송휠모터(122)가 작동되는 되는 동시에 승강실린더(122b)가 상승 작동되어 이송휠모터(122)가 상승되고, 그에 따라 이송휠(112a)에 접촉되는 연마봉(P)이 수거위치로 이동된다.
연마봉(P)이 수거위치로 이동되면 이송휠모터(122)의 작동이 정지되고, 승강실린더(122b)가 하강 작동된다.
상기 연마봉(P)의 수거위치에서 수거부(120) 즉,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인 수거대(125)를 통하여 상기 연마봉(P)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마봉(P)는 멈춤부(126)에서 멈추게 된다. 이후, 상술한 연마봉이송부(150)에 의하여 상기 연마봉(P)는 측정부(130)로 이동되어 외형이 측정된다.
다음에 멈춤부(126)가 상승 작동되어 완충부재(126b)가 수거대(125)의 상단면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된다.
다음에 수거실린더(124)가 신장 작동되어 수거가이드(123)를 그의 후방부위가 상승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에서 수거실린더(123)의 후방부위가 상승하게 되면 수거가이드(123)가 연마봉(P)을 수거지지롤러(121)의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연마봉(P)은 수거가이드(123)를 따라 수거대(125) 쪽으로 굴러내려가게 된다.
이때 수거대(125)로 이송되는 연마봉(P)은 멈춤부(126)의 완충부재(126b)에 걸려 정지된다.
다음에 수거실린더(124)가 수축 작동되어 수거가이드(123)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멈춤부(126)가 하강 작동되어 완충부재(126)가 수거대(125)의 상단면 위치로 복귀된다.
멈춤부(126)가 하강 작동되면 연마봉(P)은 수거대(125)의 나머지 부분을 지나서 순환부(140)의 제1컨베이어(141)의 컨베이어벨트에 놓여지게 된다. 한편, 앞서 멈춤부(126)의 동작 필요없이 측정부(130)에서 외형 측정 후 자동으로 연마봉(10)이 수거가이드부들 즉, 회수대(125)를 통하여 수거되도록 안착부(152)의 구조를 취할 경우에는 멈춤부(126)의 하강 동작은 필요 없을 수 있다.
다음에 순환부(140)의 제1컨베이어(141)가 작동되면 연마봉(P)은 공급부(110)의 전방에 마련된 제2컨베이어(142) 쪽으로 이동되고, 제1컨베이어(141)의 작동이 정지된 후에 제2컨베이어(142)가 작동되면 연마봉(P)이 제2컨베이어(142) 내부의 적재위치로 이동된다.
연마봉(P)이 적재위치로 이동되면 제2컨베이어(142)의 작동이 정지되고, 적재실린더(143)가 신장 작동되어 연마봉(P)이 공급부(110)의 적재대(111)로 이동된다.
공급부(110)의 적재대(111)로 이동된 연마봉(P)은 다시 연삭기(200)로 공급되어 순환 연삭 가공되며, 수거부(120)의 수거대(125)에 별도의 적재봉(미도시)를 설치하게 되면 연마봉(P)을 더이상 순환시키지 않고 수거대(125)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10, P: 연마봉
10a: 측정대상 연마봉
200: 연삭기
32: 제1외경측정부
32a: 제1광송신부
32b: 제1광수신부
34: 제2외경측정부
34a: 제2광송신부
34b: 제2광수신부
36: 거리측정부
110: 공급부
120: 수거부
130: 측정부
140: 순환부
150: 연마봉이송부
160, 160a, 160b, 160c: 방진부

Claims (7)

  1. 환봉을 연삭하여 연마봉을 배출하는 연삭기;
    상기 연마봉의 외형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연삭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연마봉이송부; 및
    상기 연마봉이송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진동을 저감하는 방진부를 포함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봉이송부는
    상기 연마봉이 놓일 수 있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이송하여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상기 연마봉을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이동하여 상기 안착부에 놓인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안착부이송부를 포함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기를 통하여 배출되어 수거위치로 이송되는 상기 연마봉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를 통해 수거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마봉의 이동을 멈추는 멈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부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각각은 상기 수거위치로 이송되는 상기 연마봉이 중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멈춤부는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연마봉이송부는
    상기 연마봉이 놓일 수 있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이송하여 상기 안착부에 놓인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안착부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수거가이드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며,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안착부를 이송하여 상기 멈춤부에 멈춘 상기 연마봉을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정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안착부를 상승시켜 상기 멈춤부에 멈춘 상기 연마봉을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추가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정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며,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연마봉의 상기 외형이 측정된 후 상기 안착부를 하강시키되,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안착부이송부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 놓이는 상기 연마봉이 상기 멈춤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연마봉이 상기 안착부이송부에 의한 하강 후에는 상기 멈춤부에 걸리지 않고 상기 수거부를 통하여 수거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안착부를 상승시켜 상기 멈춤부에 멈춘 상기 연마봉을 상기 안착부의 상기 함몰부에 놓은 후 상기 안착부를 추가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정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마봉을 상기 측정부로 이송하며,
    상기 안착부이송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연마봉의 상기 외형이 측정된 후 상기 안착부를 하강시키되,
    상기 함몰부는 상기 멈춤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치우쳐 상기 안착부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마봉이 상기 안착부이송부에 의한 하강 후에는 상기 멈춤부에 걸리지 않고 상기 수거부를 통하여 수거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는
    상기 안착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안착부의 대향면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체;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안착부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KR1020200055744A 2020-05-11 2020-05-11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KR20210137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44A KR20210137668A (ko) 2020-05-11 2020-05-11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44A KR20210137668A (ko) 2020-05-11 2020-05-11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668A true KR20210137668A (ko) 2021-11-18

Family

ID=7871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744A KR20210137668A (ko) 2020-05-11 2020-05-11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76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494A1 (en) 2021-10-15 2023-04-20 Lutronic Corporation Skin treatment apparatus using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kin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494A1 (en) 2021-10-15 2023-04-20 Lutronic Corporation Skin treatment apparatus using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kin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96051B (zh) 一种活塞销检测机和检测方法
US4811524A (en) Cylinder grinding machine with tracing and dimensional and surface checking
KR101549682B1 (ko) 타이어 균일성 측정장치
KR20210137668A (ko) 진동저감형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KR910000586B1 (ko) 철로 차륜의 위치조정 및 시험방법과 그 장치
WO2010047197A1 (ja) タイヤ検査装置及びタイヤ検査方法
KR20210156453A (ko) 연삭기 공급 연마봉 자동 검사 및 자동 공급 시스템
KR20210137669A (ko) 연마봉 치수 자동검사 시스템
KR20190032720A (ko) 스크라이빙 장치
EP0548126B1 (en) Apparatus for checking features of a plurality of mechanical pieces
CN111215984B (zh) 一种轴承外圈外径加工装置
CN109211173A (zh) 一种轴承套用圆度检测装置
CN110877263B (zh) 非等厚鼓式刹车片自动外弧磨床
US5323646A (en) Frictionless carriage for tire uniformity machine loadwheel carriage
CN110160472B (zh) 一种板材使用标准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804975B1 (ko)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CN108688146B (zh) 一种fdm打印加工一体机的输送定位装置
CN107845704B (zh) 一种用于石墨舟归整硅片的装置
CN213147792U (zh) 一种平板平面度检测装置
CN115502795A (zh) 上料装置、磨床的上料控制方法及系统、设备、介质
CN209814738U (zh) 水平仪固定装置
JP4052616B2 (ja) 刃物研削方法および装置
KR102618032B1 (ko) 로터검사장치
CN219541219U (zh) 刹车片激光清洗设备
CN110672012A (zh) 气门全尺寸检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