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001A -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001A
KR20210137001A KR1020217026863A KR20217026863A KR20210137001A KR 20210137001 A KR20210137001 A KR 20210137001A KR 1020217026863 A KR1020217026863 A KR 1020217026863A KR 20217026863 A KR20217026863 A KR 20217026863A KR 20210137001 A KR20210137001 A KR 20210137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band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다나카
류이치 히라타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복수의 대역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수신 결과에 관한 통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MBO BA Setup 신호를,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본 기술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본 기술은,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대역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수신 결과에 관한 통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높은 전송 속도 및 높은 통신 품질의 무선 통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높은 전송 속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이하, 간단히 대역이라고도 칭함)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무선 통신에 있어서는, 송신 전에 대역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Listen Before Talk를 행할 필요가 있는 언라이센스대로서, 복수의 대역이 할당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대역을 사용하여 높은 전송 속도를 실현하는 무선 통신이, 금후에는 상정된다. 특허문헌 1에는, 무선 LAN을 상정한 복수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한 통신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으로 높은 통신 품질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통신에 실패한 송신 데이터의 재송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취득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내에서 수신 결과를 송신하기 위해서, 적절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함으로써, 송신 성공 확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575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52711호 공보
재송을 행할 때에는, 수신하였지만 복조에 실패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에 통지하고, 재송해야 할 데이터를 송신측에서 판정한다.
그러나, 복수의 대역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각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각 대역에서 통지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또한, 어느 대역의 전반 특성이 나쁜 경우에는, 전반 특성이 나쁜 대역에서 수신 결과를 통지해도, 송신측에 정확하게 통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대역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수신 결과에 관한 통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무선 통신 장치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Setup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다른 측면의 무선 통신 장치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일 측면에 있어서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Setup 신호가, 상기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가,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되도록 제어된다.
본 기술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가,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어느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복수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반 특성이 양호한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복수 대역에서 동일한 Dat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AP로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STA로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MBO BA 신호가 저장되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MBO BA Setup 신호가 저장되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Data 신호에 사용되는 포맷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시스템 구성
2. 통신의 시퀀스
3. 장치의 구성
4. 처리의 흐름
5. 데이터 구성
6. 하드웨어 구성
7. 기타
<1. 시스템 구성>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AP가 단말기 STA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구성된다.
기지국 AP는 무선 통신 장치(11)로 구성된다. 단말기 STA는 무선 통신 장치(12)로 구성된다. 이하, 기지국 AP는 간단히 AP라고 칭하고, 단말기 STA는 간단히 STA라고 칭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1 및 12)에 대하여는 후술된다.
AP는 2 이상의 주파수 대역(이하, 대역이라고 칭함)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셋업 신호인 MBO BA Setup(Multi Band Operation Block Ack Setup)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MBO BA Setup 신호는 AP와 STA 사이의 통신 및 재송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MBO BA Setup 신호는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이 사용되어 송신되도록 제어된다.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Response 신호를 수신하고, AP와 STA 사이의 통신 및 재송의 방법을 결정하고,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복수의 대역으로 나누어 STA에 송신한다.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Setup 신호를 수신하고,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회답 신호인 Response 신호를 AP에 송신한다.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Data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함으로써 자신을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 후, STA는 수신 결과 신호인 MBO BA 신호를 AP에 송신한다. 그 때, MBO BA 신호는 MBO BA Setup 신호 및 Response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결정된 1 또는 2 이상의 대역에서 송신되도록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MBO BA Setup 신호(Setup 신호)를,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주파수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고, 복수 대역을 사용한 통신의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를, AP와 STA에서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2. 통신의 시퀀스>
<동작 시퀀스의 예(어느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예)>
도 2는, 본 기술의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는, 어느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 장치(11)인 AP와 무선 통신 장치(12)인 STA가 3개인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예가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AP와 STA는 제1 대역, 제2 대역, 제3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AP의 제1 대역, 제2 대역, 제3 대역의 시퀀스가 AP@Band1, AP@Band2, AP@Band3으로 각각 나타내어진다. STA의 제1 대역, 제2 대역, 제3 대역의 시퀀스가 STA@Band1, STA@Band2, STA@Band3으로 각각 나타내어진다.
AP는 시각 t1에서, MBO BA Setup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MBO BA Setup 신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AP와 STA 사이의 통신 및 재송에 관한 설정 정보가 포함된다.
설정 정보는, AP가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대역, 또는 STA가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대역에 관한 정보는 특정 주파수 및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특정 주파수 및 대역폭을 특정하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대역에 관한 정보는, MBO BA Setup 신호가 송신된 대역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설정 정보는, AP 및 STA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수, 사이즈, 종류를 나타내는 각 식별자,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설정 정보는, AP 및 STA가 보유 가능한 데이터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설정 정보는, AP 및 STA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재송 상한 횟수, 보유한 데이터를 파기할 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설정 정보는, STA가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 및 수신 결과의 통지의 송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해도 된다.
도 2에 있어서,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Setup 신호를 수신하고, 시각 t2에서,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Response 신호를 AP에 송신한다.
Response 신호는, MBO BA Setup 신호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 및 재송을 행할지 여부의 시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Response 신호는, MBO BA Setup 신호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와는 다른 통신 및 재송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도 2에 있어서는, MBO BA Setup 신호 및 Response 신호는 제1 대역에서 송신되고 있지만, 제2 대역 또는 제3 대역에서 송신되어도 되고, 제1 내지 제3 대역 중2개 이상의 대역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MBO BA Setup 신호 및 Response 신호는, AP와 STA의 접속 확립 시에 송수신되어도 된다.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Response 신호를 수신하고, AP와 STA 사이의 통신 및 재송의 방법을 결정한다. AP는 시각 t3에서,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도 2에 있어서는, 각 대역에서,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가 송신되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제1 대역에서,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1, #2, #3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가 송신된다. 제2 대역에서,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4, #5, #6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가 송신되고, 제3 대역에서,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7, #8, #9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각 대역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는, Data 신호의 송신 전에 결정되어도 되고, MBO BA Setup 신호 및 Response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Data 신호는 Response 신호의 일정 시간 후에 송신되어도 되고, IEEE802.11에서 규정되는 SIFS(Short Inter Frame Space) 경과 후에 송신되어도 된다. Data 신호는 2개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대역은 MBO BA Setup 신호 및 Response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결정된 대역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Data 신호는 2개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Data 신호는 2개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동시에 송신되어도 되고, 송신 가능해진 대역부터 차례로 송신되어도 된다.
Data 신호는, MBO BA Setup 신호 및 Response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결정된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Data 신호 중, STA가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대역에서 송신되는 Data 신호는, 그 대역에서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Data 신호는, Data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Data 신호는, 각 대역에서 송신되는 Data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각 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Data 신호는, Data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수, 사이즈, 종류를 나타내는 각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도 2에 있어서,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Data 신호를 제1 내지 제3 대역에서 수신하고, 복조함으로써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데이터의 취득 후, STA는 시각 t4에서, MBO BA 신호를 AP에 송신한다. 그 때, MBO BA 신호는 MBO BA Setup 신호 및 Response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결정된 대역에서 송신된다. 도 2에 있어서는, 제1 대역을 사용하여 MBO BA 신호가 송신되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MBO BA 신호는, 복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라는 통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MBO BA 신호는, 각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비트맵 형식의 수신 결과를 복수 포함해도 된다.
MBO BA 신호는 어느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MBO BA 신호는 어느 대역에 있어서의 모든 데이터 또는 모든 대역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MBO BA 신호는, 수신 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MBO BA 신호는, 수신 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식별자가 어느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도 2에 있어서,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신호를 제1 대역에서 수신하고, 통신 처리를 종료로 한다.
이상의 시퀀스에 의해, 주파수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고, 복수 대역을 사용한 통신의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를, AP와 STA에서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동작 시퀀스의 다른 예(복수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예)>
도 3은, 복수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MBO BA Setup 신호, Response 신호 및 Data 신호에 대하여는, 상술한 도 2의 MBO BA Setup 신호, Response 신호 및 Data 신호와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AP는 시각 t11에서, MBO BA Setup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Setup 신호를 수신하고, 시각 t12에서,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Response 신호를 AP에 송신한다.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Response 신호를 수신하고, AP와 STA 사이의 통신 및 재송의 방법을 결정한다. AP는 시각 t13에서,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Data 신호를 제1 내지 제3 대역에서 수신하고, 복조함으로써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데이터의 취득 후, STA는 시각 t14에서, MBO BA 신호를 AP에 송신한다. 그 때, MBO BA 신호는 Data 신호가 송신된 모든 대역에서 송신된다.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신호를 제1 내지 제3 대역에서 수신하고, 통신 처리를 종료로 한다.
도 3의 경우, MBO BA 신호는, 모든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MBO BA 신호는, MBO BA 신호가 송신된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와 다른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대역에서 송신되는 MBO BA 신호는,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송신되는 MBO BA 신호는, 각각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해도 된다.
이상의 시퀀스에 의해,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에 용장성을 갖게 하고, 높은 신뢰성으로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를 AP와 STA 사이에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작 시퀀스의 다른 예(전반 특성이 양호한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예)>
도 4는, 전반 특성이 양호한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MBO BA Setup 신호, Response 신호 및 Data 신호에 대하여는, 상술한 도 2의 MBO BA Setup 신호, Response 신호 및 Data 신호와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AP는 시각 t21에서, MBO BA Setup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Setup 신호를 수신하고, 시각 t22에서,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Response 신호를 AP에 송신한다.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Response 신호를 수신하고, AP와 STA 사이의 통신 및 재송의 방법을 결정한다. AP는 시각 t23에서,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Data 신호를 제1 내지 제3 대역에서 수신하고, 복조함으로써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 때, STA는 모든 대역에 대하여 전반 특성이 낮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반 특성의 판정은,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의 수신 전력, 신호 간섭 잡음 전력 비용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전반 특성의 판정은 Data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복조의 성공 여부의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전반 특성의 판정은, Data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복조의 성공 여부의 비율, 미리 설정되는 소정의 역치와의 대소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전반 특성의 판정은, MBO BA Setup 신호 및 Response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결정된 Data 신호의 송신 대역의 정보로부터, Data 신호가 송신되는 것으로 상정되는 대역에 있어서, Data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는, 전반 특성의 판정은, 다른 대역에서 수신한 Data 신호에 포함되는 Data 신호의 송신 대역의 정보로부터, Data 신호가 송신되는 것으로 상정되는 대역에 있어서, Data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STA는 시각 t24에서, 전반 특성이 낮다고 판정한 대역 이외의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한다. STA는 전반 특성이 낮다고 판정한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결과를, 다른 대역에서 송신되는 MBO BA 신호에 저장하여 송신해도 된다.
도 4에 있어서는, STA는 제2 대역의 전반 특성이 낮다고 판정하여, MBO BA 신호를 제1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송신하고, 제2 대역에서 송신하지 않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제1 대역 또는 제3 대역에서 송신되는 MBO BA 신호 중 적어도 한쪽은, 제2 대역에 있어서의 Data 신호의 수신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신호를 제1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수신하고, 통신 처리를 종료로 한다.
이상의 시퀀스에 의해, 전반 특성이 나쁜 대역에서의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피하고, 높은 신뢰성으로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를, AP와 STA에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AP가 전반 특성이 나쁜 대역을 아는 것이 가능해져, 재송이 필요한 데이터를 전반 특성이 양호한 대역에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작 시퀀스의 다른 예(복수 대역에서 동일한 Data 신호를 송신하는 예)>
도 5는, 복수 대역에서 동일한 Data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MBO BA Setup 신호, Response 신호 및 MBO BA 신호에 대하여는, 상술한 도 2의 MBO BA Setup 신호, Response 신호 및 MBO BA 신호와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AP는 시각 t31에서, MBO BA Setup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Setup 신호를 수신하고, 시각 t32에서,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Response 신호를 AP에 송신한다.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Response 신호를 수신하고, AP와 STA 사이의 통신 및 재송의 방법을 결정한다. AP는 시각 t33에서,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STA에 송신한다.
도 5에 있어서는, 각 대역에서,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가 송신되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제1 대역에서,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1, #2, #3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가 송신된다. 제2 대역에서,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1, #2, #3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가 송신되고, 제3 대역에서,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4, #5, #6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가 송신된다.
즉, AP는 제1 대역과 제2 대역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기타 Data 신호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도 2의 예와 마찬가지이다.
STA는 AP로부터 송신되는 Data 신호를 제1 내지 제3 대역에서 수신하고, 복조함으로써 STA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 때, STA는 도 4의 예와 마찬가지로, 모든 대역에 대하여 전반 특성이 낮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STA는 시각 t34에서, 전반 특성이 낮다고 판정한 대역 이외의 대역(예를 들어, 제1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한다. STA는 전반 특성이 낮다고 판정한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결과를, 다른 대역에서 송신되는 MBO BA 신호에 저장하여 송신해도 된다.
AP는 STA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신호를 제1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수신하고, 통신 처리를 종료로 한다.
이상의 시퀀스에 의해, 주파수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고,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AP와 STA에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어느 예에 있어서도,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2개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STA는, 2개 이상의 MBO BA 신호에 포함되는 수신 결과를 동일한 내용으로 한다.
STA로부터 송신되는 2개 이상의 MBO BA 신호에 포함되는 수신 결과가 다른 경우, AP는 단일의 수신 결과를 결정한다. 수신 결과의 결정은, 특정 대역에서 수신한 MBO BA 신호에 포함되는 수신 결과를 우선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수신 결과의 결정은, 복수의 MBO BA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수신 결과 중, 수적 우위인 수신 결과를 우선함으로써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ata#1에 대한 수신 결과가, 제1 및 제2 대역에서 수신한 MBO BA 신호에 있어서 복조 성공, 제3 대역에서 수신한 MBO BA 신호에 있어서 복조 실패로 되어 있었을 경우, 복조 성공한 것으로서 결정된다.
수신 결과의 결정은, 복수개의 MBO BA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의 수신 결과가 복조 성공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 복조 성공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Data#1에 대한 수신 결과가, 제1 및 제2 대역에서 수신한 MBO BA 신호에 있어서 복조 성공, 제3 대역에서 수신한 MBO BA 신호에 있어서 복조 실패로 되어 있었을 경우, 복조 성공한 것으로서 결정된다.
수신 결과의 결정은, 복수개의 MBO BA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의 수신 결과가 복조 실패로 되어 있었을 경우, 복조 실패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Data#1에 대한 수신 결과가, 제1 및 제2 대역에서 수신한 MBO BA 신호에 있어서 복조 성공, 제3 대역에서 수신한 MBO BA 신호에 있어서 복조 실패로 되어 있었을 경우, 복조 실패한 것으로서 결정된다.
<3. 장치의 구성예>
도 6은, 무선 통신 장치(1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1)는 AP로서 동작하는 장치이다.
무선 통신 장치(11)는 제어부(31), 전원부(32) 및 통신부(33-1 내지 33-3)로 구성된다. 도 6의 예에서는, 3개의 통신부(33-1 내지 33-3)가 포함된다. 통신부(33-1 내지 33-3)는 LSI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통신부(33-1 내지 33-3)는 각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33-1 내지 33-3)는 각각 데이터 처리부(51), 무선 제어부(52), 변복조부(53), 신호 처리부(54), 채널 추정부(55), 무선 인터페이스(I/F)부(56-1 내지 56-N), 앰프부(57-1 내지 57-N) 및 안테나(58-1 내지 58-N)로 구성된다.
무선 I/F부(56-1 내지 56-N), 앰프부(57-1 내지 57-N) 및 안테나(58-1 내지 58-N)는, 동일한 지번을 갖는 각각을 1조로 하고, 하나 이상의 조가 구성 요소가 되어도 된다. 또한, 앰프부(57-1 내지 57-N)는 무선 I/F부(56-1 내지 56-N)에 그 기능이 내포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 통신부(33-1 내지 33-3)는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통신부(33)라고 적절히 칭한다. 또한, 무선 I/F부(56-1 내지 56-N), 앰프부(57-1 내지 57-N) 및 안테나(58-1 내지 58-N)는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무선 I/F부(56), 앰프부(57) 및 안테나(58)라고 적절히 칭한다.
제어부(3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31)는 ROM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원부(32) 및 무선 제어부(52)의 제어를 행한다.
전원부(32)는 배터리 전원 또는 고정 전원으로 구성되고, 무선 통신 장치(11)의 전체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데이터 처리부(51)는 송신 시, 상위층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선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한다. 데이터 처리부(51)는 생성된 패킷에 대하여,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Media Access Control))를 위한 헤더의 부가나 오류 검출 부호의 부가 등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변복조부(53)로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51)는 수신 시, 변복조부(53)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MAC 헤더의 해석, 패킷 오류의 검출, 리오더 처리 등을 행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자신의 상위층으로 출력한다.
무선 제어부(52)는 무선 통신 장치(11)의 각 부 사이의 정보 수수를 행하고, 통신부(33) 내의 각 부를 제어한다. 무선 제어부(52)는 송신 제어부(61)와 수신 제어부(62)를 포함한다.
송신 제어부(61)는 송신 시, 필요에 따라서 변복조부(53) 및 신호 처리부(54)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설정, 데이터 처리부(51)에 있어서의 패킷의 스케줄링, 무선 I/F부(56) 및 앰프부(57)의 파라미터 설정이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수신 제어부(62)는 수신 시, 필요에 따라서 변복조부(53) 및 신호 처리부(54)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설정, 무선 I/F부(56) 및 앰프부(57)의 파라미터 설정을 행한다.
또한, 특히 송신 제어부(61)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MBO BA Setup 신호를 송신하고,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Data 신호를 송신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수신 제어부(62)는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response 신호 및 Data 신호에 대한 MBO BA 신호를 수신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이들 무선 제어부(52)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은, 무선 제어부(52) 대신에 제어부(31)에 의해 행해지게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31) 및 무선 제어부(52)는 하나의 블록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변복조부(53)는 송신 시, 데이터 처리부(5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제어부(31)에 의해 설정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인터리브 및 변조를 행하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생성한다. 변복조부(53)는 생성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신호 처리부(54)로 출력한다.
변복조부(53)는 수신 시, 신호 처리부(5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복조, 디인터리브 및 복호를 행한 결과의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51) 또는 무선 제어부(52)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54)는 송신 시, 필요에 따라서 변복조부(53)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공간 분리에 제공되는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의 결과로 얻어지는 하나 이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각각의 무선 I/F부(56)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54)는 수신 시, 각각의 무선 I/F부(56)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스트림의 공간 분리를 행하고, 공간 분리의 결과로 얻어지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변복조부(53)로 출력한다.
채널 추정부(55)는 각각의 무선 I/F부(56)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심볼 스트림 중, 프리앰블 부분 및 트레이닝 신호 부분으로부터 전반로의 복소 채널 이득 정보를 산출한다. 복소 채널 이득 정보는 무선 제어부(52)를 통해, 변복조부(53)와 신호 처리부(54)에 공급되고, 변복조부(53)에 있어서의 복조 처리 및 신호 처리부(54)에 있어서의 공간 분리 처리에 사용된다.
무선 I/F부(56)는 송신 시, 신호 처리부(54)로부터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 반송파 주파수로의 업컨버트 및 위상 제어를 행하여, 위상 제어 후의 아날로그 신호를 앰프부(57)로 출력한다.
무선 I/F부(56)는 수신 시, 앰프부(57)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위상 제어, 다운컨버트, 역필터링을 행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결과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신호 처리부(54) 및 채널 추정부(55)로 출력한다.
앰프부(57)는 송신 시, 무선 I/F부(56)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전력까지 증폭시키고, 전력을 증폭시킨 아날로그 신호를 안테나(58)로 출력한다. 앰프부(57)는 수신 시, 안테나(58)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전력까지 증폭시키고, 전력을 증폭시킨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I/F부(56)로 출력한다.
앰프부(57)는 송신 시의 기능과 수신 시의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적어도 일부가 무선 I/F부(56)에 내포되어 있어도 된다. 앰프부(5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적어도 일부가 통신부(33) 외의 구성 요소가 되어도 된다.
또한, STA로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12)의 구성도, 무선 통신 장치(11)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이후, 무선 통신 장치(12)의 설명에, 무선 통신 장치(11)의 구성이 사용된다.
이 경우, 수신 제어부(62)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인 MBO BA Setup 신호를 수신하고,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되어 오는 Data 신호를 수신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송신 제어부(61)는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Response 신호 및 데이터의 수신 결과인 MBO BA 신호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4. 처리의 흐름>
<무선 통신 장치(11)(AP)의 처리>
도 7은, AP로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11)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1)의 송신 제어부(61)는 통신부(33)의 각 부를 제어하여, MBO BA Setup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12)에 송신한다.
MBO BA Setup 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12)는,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Response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11)에 송신해 온다(후술하는 도 8의 스텝 S32).
스텝 S12에 있어서, 수신 제어부(62)는 통신부(33)의 각 부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되는 Response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Response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11) 및 무선 통신 장치(12)의 통신 및 재송의 방법을 결정하고, 통신부(33)의 각 부를 제어하여, Data 신호를,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2)에 송신한다.
Data 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12)는, Data 신호에 대한 MBO BA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11)에 송신해 온다(후술하는 도 8의 스텝 S42).
스텝 S14에 있어서, 수신 제어부(62)는 통신부(33)의 각 부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신호를 수신한다.
MBO BA 신호는,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의 대역에서 송신되어 오는 경우도 있으며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대역에서 송신되어 오는 경우도 있다.
스텝 S15에 있어서, 수신 제어부(62)는 동일한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수신 결과가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복수의 수신 결과가 있고, 동일한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수신 결과가 있을 경우, 스텝 S15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 있어서, 수신 제어부(62)는 다른 수신 결과 중에서 단일의 수신 결과를 결정한다. 그 후, 무선 통신 장치(11)의 통신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단일의 수신 결과이거나 또는 복수의 수신 결과가 있고, 동일한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수신 결과가 없을 경우, 스텝 S15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되어, 스텝 S16의 처리를 스킵하고, 무선 통신 장치(11)의 통신 처리는 종료된다.
<무선 통신 장치(12)(STA)의 처리>
도 8은, STA로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12)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11)는 MBO BA Setup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12)에 송신해 온다(도 7의 스텝 S11).
스텝 S3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2)의 수신 제어부(62)는 통신부(33)의 각 부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는 MBO BA Setup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통신부(33)의 각 부를 제어하여, MBO BA Setup 신호에 대한 Response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11)에 송신한다.
Response 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11)는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Data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12)에 송신해 온다(도 7의 스텝 S13).
스텝 S33에 있어서, 수신 제어부(62)는 통신부(33)의 각 부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는 Data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34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Data 신호에 기초하여, MBO BA 신호를 단일의 대역에서 송신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MBO BA 신호를 단일의 대역에서 송신하는 것으로 스텝 S34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5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단일의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MBO BA 신호를 단일의 대역에서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스텝 S34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6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복수의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스텝 S35 및 S36 후, 처리는 스텝 S37로 진행한다.
스텝 S37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Data 신호의 수신 시의 각 대역의 전반 특성에 기초하여, 전반 특성이 나쁜 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반 특성이 나쁜 대역이 있다고 스텝 S37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8로 진행한다.
스텝 S38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전반 특성이 나쁜 대역 이외의 대역에서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39로 진행한다.
전반 특성이 나쁜 대역이 없다고 스텝 S37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스텝 S38을 스킵하고, 처리는 스텝 S39로 진행한다.
스텝 S39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MBO BA 신호에 다른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MBO BA 신호에 다른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한다고 스텝 S39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2 이상의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MBO BA 신호에 다른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스텝 S39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1로 진행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단일의 대역에서 송신된 Data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MBO BA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스텝 S40 또는 S41 후, 처리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61)는 이상의 처리에 의해 결정한 방법에 따라서, MBO BA 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 무선 통신 장치(12)의 통신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송수신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복수의 대역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수신 결과에 관한 통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데이터 구성>
<MBO BA 신호가 저장되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예>
도 9는, MBO BA 신호가 저장되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프레임은, Frame Control, Duration, RA, TA, BA Control, BA Information, FCS의 각 필드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은 MAC층에 있어서의 데이터 유닛인 MPDU(MAC Protocol Data Unit)에 포함된다.
Frame Control의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Duration의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의 길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RA의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의 송부처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TA의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의 송신원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BA Control의 필드는 BA Ack Policy, BA Type, Reserve 및 TID_INFO의 각 필드로 구성된다.
BA Ack Policy의 필드에는, 수신 결과의 송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BA Type의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이 복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Reserve의 필드는 예약 비트가 포함된다. TID_INFO의 필드에는, 송신된 데이터의 종류의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BA Information의 필드는, MBO Info, Block Ack Starting Sequence Control 및 Block Ack Bitmap의 각 필드로 구성된다. 이 Block Ack Starting Sequence Control 및 Block Ack Bitmap의 필드는, 대역의 수만큼 반복된다.
MBO Info의 필드는 Band Info, Copy Indication, All Ack, TID(Traffic ID) encode 및 TID의 각 필드로 구성된다.
Band Info의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에서 수신 결과를 통지하는 데이터가 송신된 대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 각각에 대응하는 비트를 갖고, 그 비트를 설정함으로써, 어느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할지가 나타내어진다.
Copy Indication의 필드에는, 당해 프레임을 저장하는 MBO BA 신호가 송신되는 대역과는 다른 대역에서,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당해 프레임을 저장하는 MBO BA 신호가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All Ack의 필드에는, 수신 결과가 모두 복조 성공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TID encode의 필드에는, 후속하는 TID가 어느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결과인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TID의 필드에는, 수신 결과를 통지하는 데이터의 종류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TID encode의 필드에 있어서,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의 각각에서 수신 결과를 통지하는 데이터의 종류의 수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TID encode의 필드에 있어서, 제1 대역에서 4개, 제2 대역에서 2개, 제3 대역에서 1개의 수신 결과를 통지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이 나타내지는 경우, 후속하는 TID의 필드는 7개분 반복된다. 이 경우, TID의 필드는, 최초의 4개가 제1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다음 2개가 제2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최후의 2개가 제3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Block Ack Starting Sequence Control의 필드에는, 수신 결과가 통지되는 최초의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Block Ack Bitmap의 필드에는, 비트맵 형식의 각 데이터에 관한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지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의 예는 일례이며, 본 기술의 프레임은 다른 포맷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MBO BA Setup 신호가 저장되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예>
도 10은, MBO BA Setup 신호가 저장되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프레임은, BA Band Info, Number of Data, Buffer size, TID_INFO, Sequence Number Info, Retry Limit, Life Time 및 BA Timing의 각 필드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도, 예를 들어 MAC층에 있어서의 데이터 유닛인 MPDU에 포함된다.
BA Band Info에는, 무선 통신 장치(11)가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대역, 또는 무선 통신 장치(12)가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Number of Data의 필드에는, 무선 통신 장치(11) 및 무선 통신 장치(12)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Buffer Size의 필드에는, 무선 통신 장치(11) 및 무선 통신 장치(12)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TID_INFO의 필드에는, 무선 통신 장치(11) 및 무선 통신 장치(12)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종류의 수 및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Sequence Number Info의 필드에는, 무선 통신 장치(11) 및 무선 통신 장치(12)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Retry Limit의 필드에는, 무선 통신 장치(11) 및 무선 통신 장치(12)가 통신하는 데이터의 재송 상한 횟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Life Time의 필드에는, 무선 통신 장치(11) 및 무선 통신 장치(12)가 통신하는 데이터를 파기할 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BA Timing의 필드에는, 무선 통신 장치(12)가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방법 및 통지의 송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Response 신호가 저장되는 프레임의 포맷도, 도 10의 프레임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한, Response 신호가 저장하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에는, MBO BA Setup 신호에 의해 통지된 각 정보에 대한 승인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Response 신호가 저장되는 프레임의 포맷 구성에는, MBO BA Setup 신호에 의해 통지된 각 정보에 대한 승인을 하지 않은 정보만이 포함되어도 된다.
<Data 신호에 사용되는 포맷 구성예>
도 11은, Data 신호에 사용되는 포맷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Data 신호는, 선두에 배치되는 물리 헤더(Phy Header)와, 물리 페이로드(Phy Payload)에 의해 구성된다.
Phy Header는 L-STF(Legacy 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 Long Training Field) 및 L-SIG(Legacy Signal Field)를 포함해도 된다.
도 11의 Phy Header에는, L-SIG 뒤에, 복수 대역을 사용한 통신과 그 수신 결과의 통지에 관한 정보인 통신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인 NEW-SIG가 배치된다.
NEW-SIG에는, 통신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로서, MBO Indication, Band Info 및 MBO BA Request의 각 필드가 포함된다.
MBO Indication의 필드에는, 당해 포맷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Data 신호가 복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Band Info의 필드에는, 당해 포맷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Data 신호가 송신되는 대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MBO BA Request의 필드에는, 당해 포맷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Data 신호가 송신되는 대역이, Data 신호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의 송신을 행하는 대역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당해 포맷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Data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Phy Payload에 저장된다.
<6. 하드웨어 구성>
<컴퓨터의 구성예>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12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 ROM(Read Only Memory)(302), RAM(Random Access Memory)(303)은, 버스(3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3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3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30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307)가 접속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30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신부(309), 리무버블 미디어(311)를 구동하는 드라이브(310)가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에서는, CPU(301)가, 예를 들어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305) 및 버스(304)를 통해 RAM(3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리무버블 미디어(311)에 기록하고, 혹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되고, 기억부(308)에 인스톨된다.
또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혹은 호출이 행해졌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7. 기타>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 있어서는,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Setup 신호가,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가,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고, 복수 대역을 사용한 통신의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를,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에 의하면, 수신 결과에 관한 내용에 용장성을 갖게 함으로써,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 높은 신뢰성으로 공유할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전반 특성이 나쁜 대역에서의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피함으로써, 재송이 필요한 데이터를 전반 특성이 양호한 대역에서 재송할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복수 대역에서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기존의 통신 규격(IEEE802.11)과의 친화성을 유지하고, 기존 단말기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하여, 공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에 의하면, 복수 대역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높은 통신 품질을 실현할 수 있고, 데이터 송신에 관계되는 피크 레이트의 향상, 스루풋의 향상 및 신뢰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고,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지 여부는 따지지 않는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하나의 하우징 내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 공동으로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도,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도,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구성의 조합예>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Setup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 및 재송에 관한 제1 통신 정보인
상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3)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Data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인
상기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4)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인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5)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송수신하는 상기 Data 신호에 관한 정보인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6)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송수신하는 상기 Data 신호의 재송 상한 횟수, 및 파기할 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인
상기 (2)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7)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방법 및 상기 수신 결과의 통지의 송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인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8)
상기 Setup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 중 제1 대역에서 송신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9)
상기 Dat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한 통신과 상기 수신 결과의 통지에 관한 제2 통신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10)
상기 제2 통신 정보는, 상기 Data 신호가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상기 (9)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11)
상기 제2 통신 정보는, 상기 Data 신호가 송신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인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12)
상기 제2 통신 정보는, 상기 Data 신호가 송신되는 대역에서 상기 수신 결과에 관한 통지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상기 (9) 또는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13)
무선 통신 장치가,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Setup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BA 신호로 송신되는
상기 (14)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16)
상기 B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17)
상기 B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를 통지하는 상기 데이터가 송신된 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5) 또는 (16)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18)
상기 BA 신호는, 다른 대역에서 동일한 수신 결과가 통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19)
상기 B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에서 송신된 수신 결과에 대한 상기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20)
상기 B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에서 송신된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1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21)
무선 통신 장치가,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무선 통신 장치
12: 무선 통신 장치
31: 제어부
32: 전원부
31, 33-1 내지 33-3: 통신부
51: 데이터 처리부
52: 무선 제어부
53: 변복조부
54: 신호 처리부
55: 채널 추정부
56, 56-1 내지 56-N: 무선 I/F부
57, 57-1 내지 57-N: 앰프부
58-1 내지 58-N: 안테나
61: 송신 제어부
62: 수신 제어부

Claims (21)

  1.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Setup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 및 재송에 관한 제1 통신 정보인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Data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인
    무선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인
    무선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송수신하는 상기 Data 신호에 관한 정보인
    무선 통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송수신하는 상기 Data 신호의 재송 상한 횟수, 및 파기할 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인
    무선 통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수신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방법 및 상기 수신 결과의 통지의 송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인
    무선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etup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 중 제1 대역에서 송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at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한 통신과 상기 수신 결과의 통지에 관한 제2 통신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정보는, 상기 Data 신호가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정보는, 상기 Data 신호가 송신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인
    무선 통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정보는, 상기 Data 신호가 송신되는 대역에서 상기 수신 결과에 관한 통지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통신 장치.
  13. 무선 통신 장치가,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Setup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 중 어느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함과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는 Data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BA 신호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를 통지하는 상기 데이터가 송신된 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A 신호는, 다른 대역에서 동일한 수신 결과가 통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에서 송신된 수신 결과에 대한 상기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A 신호는, 상기 2 이상의 대역에서 송신된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결과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무선 통신 장치가,
    2 이상의 대역의 통신에 관한 수신 결과의 통지 방법의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2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217026863A 2019-03-12 2020-02-27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210137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4682 2019-03-12
JPJP-P-2019-044682 2019-03-12
PCT/JP2020/007895 WO2020184191A1 (ja) 2019-03-12 2020-02-27 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001A true KR20210137001A (ko) 2021-11-17

Family

ID=7242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863A KR20210137001A (ko) 2019-03-12 2020-02-27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62413B2 (ko)
EP (1) EP3940977A4 (ko)
JP (1) JPWO2020184191A1 (ko)
KR (1) KR20210137001A (ko)
CN (1) CN113508546A (ko)
WO (1) WO20201841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858A2 (ko)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3541A1 (ko) 2021-10-14 2023-04-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및 이에 적용되는 집전판,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184191A1 (ko) * 2019-03-12 2020-09-17
US20220247545A1 (en) * 2019-06-20 2022-08-0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Receiving state feedback method and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2711A (ja) 2005-06-17 2006-12-28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JP2018157535A (ja) 2017-03-15 2018-10-04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036A (ja) * 1995-04-07 1996-12-17 Ricoh Co Ltd 画像通信装置
JP2894319B2 (ja) * 1997-04-22 1999-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データ通信方式
JP4086304B2 (ja) 2004-04-23 2008-05-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4805081B2 (ja) * 2006-09-29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中継装置、無線中継方法および無線中継プログラム
JP2008263511A (ja) * 2007-04-13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送受信装置
WO2010129367A2 (en) * 2009-04-28 2010-11-11 Zte (Usa) Inc. Dedicated acknowledgement and delivery of management messag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1096221A1 (ja) * 2010-02-04 2011-08-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基地局、応答方法、及び再送制御方法
WO2013130793A1 (en) * 2012-03-01 2013-09-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user parallel channel access in wlan systems
KR102208672B1 (ko) * 2014-01-21 2021-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히든 노드 검출 장치 및 방법
EP3139686B1 (en) * 2014-04-28 2019-05-22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radio terminal,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5515719B (zh) * 2014-09-24 2019-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432381B2 (en) * 2014-10-27 2019-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user block acknowledgement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302457B1 (ko) 2014-11-28 2021-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대역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간 인접 엑세스 포인트 디스커버리 방법 및 시스템
ES2811831T3 (es) * 2014-12-16 2021-03-15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transmisión de dat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y dispositivo para el mismo
US9930652B2 (en) * 2014-12-18 2018-03-27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B,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transition between unlicensed and licensed frequency bands
US10201016B2 (en) * 2015-02-18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ell access using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20160242072A1 (en) * 2015-02-18 2016-08-18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over-sized call setup messages
JP6787328B2 (ja) * 2015-09-11 2020-11-1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7132976A1 (en) * 2016-02-05 2017-08-10 Apple Inc. Quality of service control and usage monitoring mechanisms for unlicensed access
US10568136B2 (en) * 2016-05-23 2020-02-1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transmissions in a customized C-RAN
US9930713B2 (en) * 2016-08-19 2018-03-27 Intel IP Corporation Multi-band link aggregation setup frames
US10057747B2 (en) 2016-12-27 2018-08-21 Intel Corporation 5G MB connectivity acknowledgement aggregation
WO2018156194A1 (en) 2017-02-24 2018-08-30 Intel IP Corporation Simultaneous transmission over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data link
WO2019177655A1 (en) * 2018-03-15 2019-09-19 Marvell World Trade Ltd. Action frame to indicate change in block acknowledgment procedure
US11464027B2 (en) * 2018-08-28 2022-10-04 Mediatek Singapore Pte. Ltd.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multi-band transmission
SG10201810792SA (en) 2018-11-30 2020-06-29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devices and communication methods for multi-band traffic streams
US11166291B2 (en) * 2018-12-19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channel monitoring for unlicensed frequency spectrum band operation
JPWO2020184191A1 (ko) * 2019-03-12 2020-09-17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2711A (ja) 2005-06-17 2006-12-28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JP2018157535A (ja) 2017-03-15 2018-10-04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858A2 (ko)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58862A2 (ko)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58857A2 (ko)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58864A2 (ko)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단자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E202022002791U1 (de) 2021-01-19 2023-06-2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ie, Batteriepack und Fahrzeug damit
WO2023063541A1 (ko) 2021-10-14 2023-04-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및 이에 적용되는 집전판,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66553A1 (en) 2022-05-26
US11962413B2 (en) 2024-04-16
JPWO2020184191A1 (ko) 2020-09-17
TW202034727A (zh) 2020-09-16
EP3940977A1 (en) 2022-01-19
WO2020184191A1 (ja) 2020-09-17
CN113508546A (zh) 2021-10-15
EP3940977A4 (en)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7001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EP2697922B1 (en) Method and device for soft buffer management based on user equipment categori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93379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very high throughput WLAN acknowledgment frames
US10631142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xtending range of wireless networks
US20210399838A1 (en) Methods for enhancing wlan with advanced harq design
CN110447283B (zh) 无线通信网络中的网络节点和方法
KR20210006884A (ko) 비-지상 네트워크용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기술
KR20200036995A (ko) Nr v2x 시스템을 위한 harq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6874074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167185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EP3755102B1 (en) Multi-time-segment-based resource in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220271800A1 (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180124778A1 (en) Back-to-back uplink transmissions from multiple stations
US2024012166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ulti band operations (mbo)
US2009016162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4016372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9018664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EP33422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load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radio access interfaces
TW202110121A (zh) 通訊控制裝置及方法、無線通訊裝置及方法、以及無線通訊終端
US20220174545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WI834823B (zh) 無線通訊裝置及方法
CN101779407A (zh) 采用频带翻转用于数据重传的系统和方法
US2023036297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240154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lock 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link
WO2022002051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以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