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866A - Curl removing apparatus for multi-layer film - Google Patents

Curl removing apparatus for multi-layer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866A
KR20210136866A KR1020210058084A KR20210058084A KR20210136866A KR 20210136866 A KR20210136866 A KR 20210136866A KR 1020210058084 A KR1020210058084 A KR 1020210058084A KR 20210058084 A KR20210058084 A KR 20210058084A KR 20210136866 A KR20210136866 A KR 20210136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eeling
roller
adhesive layer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2352B1 (en
Inventor
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엔피에스
배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피에스, 배성호 filed Critical (주)엔피에스
Priority to US17/314,54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90061B2/en
Priority to CN202110498195.7A priority patent/CN113620097B/en
Publication of KR2021013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8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air incl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l removing apparatus for a multi-layer film, which is to remove a curl from a multi-layer film including at least a first film having a surface where an adhesive layer is formed and a second film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The apparatus includes: a fixing unit fixing the first film; a peeling unit provided with a peeling roller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with a peeling adhesive layer to which the second film layer is attached so as to be peelable and a first roller driving member rotationally driving the peeling roller such that the second film layer attached to the peeling adhesive layer peels off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while flowing along the peeling roller; and an attachment unit re-attaching the second film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after the peeling off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Description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Curl removing apparatus for multi-layer film}Curl removing apparatus for multi-layer film

본 발명은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기능성 필름의 생산 공정에서는, 기능성 필름과 이형 필름 또는 기능성 필름과 보호 필름의 사이에서 내부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내부 응력은, 보호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을 기능성 필름에 부착할 때 발생하거나, 기능성 필름을 롤을 이용해 이송하는 롤패스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거나, 보호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이 부착된 기능성 제품을 절단할 때 발생하거나, 생산 완료된 기능성 필름의 보관 중에 발생하는 등 다양한 경우에 발생한다. 이처럼 내부 응력은 기능성 필름의 평탄도에 영향을 미쳐 기능성 필름을 휘어지게 할 수 있다.In the production process of a functional film, internal stress may generate|occur|produce between a functional film and a release film, or a functional film and a protective film. This internal stress occurs when a protective film or a release film is attached to a functional film, is caused by the effect of a roll pass that transports a functional film using a roll, or cuts a functional product to which a protective film or release film is attached. Occurs in various cases, such as when it occurs or during storage of a functional film that has been produced. As such, the internal stress may affect the flatness of the functional film to warp the functional film.

이러한 기능성 필름의 컬(curl, 휘어짐)은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의 생산 과정에 약영향을 미치므로, 기능성 필름의 컬은 제거되어야 한다. 이에, 기능성 필름의 생산 과정이나 보관 중에 발생하는 컬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지책이 실시되고 있지만, 생산 과정의 공차 내지는 한계로 인해 일정량의 컬은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컬이 발생한 기능성 필름은 불량품으로 분류되어 판매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Since the curl of the functional film has a weak effect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various products using the functional film, the curl of the functional film must be removed. Accordingly, although preventive measures for minimizing curls occurring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r storage of the functional film are implemented, a certain amount of curls are inevitably generated due to tolerances or limitations of the production process. Functional films with curls are classified as defective and not sol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컬이 발생한 다층 필름을 복원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curls for a multilayer film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recover the multilayer film in which curl has occurr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는, 일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에 부착된 제2 필름을 적어도 포함하는 다층 필름에 발생한 컬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필름을 고정하는 고정 유닛; 상기 제2 필름층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박리용 점착층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박리 롤러와, 상기 박리용 점착층에 부착된 상기 제2 필름층이 상기 박리 롤러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제1 롤러 구동 부재를 구비하는 박리 유닛; 및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에 재부착하는 부착 유닛을 포함한다.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first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and a second film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generated in a multilayer film comprising at least As for removing the curl,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first film; A peeling roller having an adhesive layer for peeling to which the second film layer is detachably attache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film layer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for peeling, while flowing along the peeling roller, a peeling unit including a first roller driving membe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eeling roller so as to be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and an attachment unit for reattaching the second film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다층 필름을 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착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다층 필름은, 상기 제1 필름이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필름이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마주보되 상기 제2 필름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안착된다.Preferably, the fixing unit includes a seating plate provided to allow the multi-layer film to be mounted, and the multi-layer film includes the first film on which the first film is mounted so that the first film can be fixed by the fixing unit. It is seated on the mounting plate facing the plate so that the second film is exposed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필름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진공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제1 흡착홀들을 갖는다.Preferably, the mounting plate has a plurality of first adsorption holes to which a vacuum pressure for vacuum adsorbing and fixing the first film is applied.

바람직하게, 상기 박리 유닛은, 상기 박리 롤러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가로 폭 방향에 해당하는 X축 방향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세로 폭 방향에 해당하는 Y축 방향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에 해당하는 Z축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기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peeling unit uses the peeling roller in an X-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a Y-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vertical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and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It further includes a first transporter for transporting in at least one of the Z-axis directions.

바람직하게, 상기 박리 유닛은, 상기 박리 롤러를 Z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롤러 스윙 부재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peeling unit further includes a roller swing member that swings the peeling roller about the Z-axis.

바람직하게, 상기 롤러 스윙 부재는, 상기 박리 롤러가 상기 다층 필름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상기 Z축을 중심으로 스윙하고, 상기 제1 이송기는, 상기 제2 필름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박리용 점착층에 부착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이송하며, 상기 제1 롤러 구동 부재는, 상기 제2 필름이 상기 일측 모서리를 기점으로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박리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회전 구동한다.Preferably, the roller swing member swings the peeling roller about the Z-axis so that the peeling roller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ultilayer film, and the first conveyer includes one edge of the second film. The peeling roller is transferred to be attached to the peeling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rotates the peeling roller so that the second film is gradually peeled off from the first film starting from the one edge. .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박리 롤러에 의해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제2 필름의 박리 영역을 가압하여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에 재부착하는 부착 롤러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attaching unit includes an attaching roller for reattaching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by pressing the peeling area of the second film peeled from the first film by the peeling roller.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부착 롤러가 상기 박리 영역을 순차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부착 롤러를 왕복 이송하는 제2 이송기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attach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veyer that reciprocates the attaching roller so that the attaching roller sequentially presses the peeling area.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이송기는, 상기 박리 영역이 상기 부착 롤러에 걸림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미리 정해진 일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2 이송기는, 상기 박리 영역이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에 재부착되도록, 상기 박리 영역이 걸림된 상기 부착 롤러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한다.Preferably, the first transporter transports the peeling roll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peeling region is caught by the adhesion roller, and the second transporter, wherein the peeling region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In order to reattach, the attachment roller, in which the peeling area is caught, is transferr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부착 롤러에 의해 상기 박리 영역이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에 재부착될 때, 상기 박리 영역에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인가 부재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attaching unit further includes a tension applying member that applies a tension to the peeling area when the peeling area is re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by the attaching roller.

바람직하게, 상기 장력 인가 부재는, 상기 부착 롤러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기는, 상기 박리 영역의 하부가 상기 부착 롤러에 걸림되되, 상기 박리 영역의 상부가 상기 장력 인가 부재에 안착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한다.Preferably, the tension apply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roll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first conveyer has a lower portion of the peeling area caught by the attachment roll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eeling area. The peeling roller is transferred in the one direction so that it is seated on the tension applying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장력 인가 부재는, 상기 박리 영역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제2 흡착홀들을 갖는다.Preferably, the tension apply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second adsorption holes to which a vacuum pressure for vacuum adsorbing the peeling region is applied.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압은, 상기 박리 영역이 상기 제2 흡착홀들에 진공 흡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된다.Preferably, the vacuum pressure is adjusted so that the peeling area slides while being vacuum-adsorbed to the second adsorption holes.

바람직하게, 상기 장력 인가 부재는, 상기 일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며, 상기 박리 영역이 안착되는 경사면을 더 갖고, 상기 제2 흡착홀들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다.Preferably, the tension applying member,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in the one direction, further has an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 peeling region is seated, and the second adsorption holes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장력 인가 부재는, 상기 부착 롤러와 함께 상기 제2 이송기에 의해 왕복 이송되도록 설치된다.Preferably, the tension apply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transferred by the second transfer machine together with the attachment roller.

본 발명은,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2 필름을 제1 필름의 점착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제2 필름과 제1 필름 사이에 작용하는 응력을 제거한 후, 제2 필름을 곧게 펴진 상태에서 제1 필름의 점착층에 재부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응력에 의해 컬이 발생한 다층 필름으로부터 컬을 제거하여, 컬이 발생한 다층 필름을 평평한 양품으로 복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wherein the second film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to remove the stress acting between the second film and the first film, and then the second film is straightened. may be re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tore the curled multilayer film to a flat, good product by removing the curl from the curled multilayer film due to stress.

도 1은 다층 필름의 층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의 제어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내지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를 이용해 제2 필름을 제1 필름으로 박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10은 도 2에 도시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를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재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ayered structure of a multilayer film.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curl removal device for the multilayer film shown in Figure 2;
4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eling the second film into the first film using the curl removal device for the multilayer film shown in FIG. 2 .
8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attaching the second film to the first film in the curl removal device for the multilayer film shown in FIG. 2 .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다층 필름의 층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의 제어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layered structure of the multilayer film,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multilayer shown in Figure 2 It is a block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curl removal apparatus for film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1)는, 다층 필름(F)에 발생한 컬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다층 필름(F)의 적층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필름(F)은, 점착층(A)이 형성된 제1 필름(F1)과, 제1 필름(F1)의 점착층(A)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제2 필름(F2)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for removing curls for a multilayer film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device for removing curls generated in the multilayer film (F).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multilayer film (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multilayer film F may be peelable from the first film F1 on which the adhesive layer A is formed, and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It may include at least an attached second film (F2).

이러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1)는,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 사이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다층 필름(F)에 컬이 발생한 경우에, 제2 필름(F2)을 제1 필름(F1)의 점착층(A)으로부터 박리하여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 사이에 작용하는 응력을 제거한 후, 제2 필름(F2)을 제1 필름(F1)의 점착층(A)에 재부착하여, 다층 필름(F)을 응력이 제거된 양품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When curling occurs in the multilayer film F by the stress acting between the 1st film F1 and the 2nd film F2, this curl removal apparatus 1 for multilayer films, the 2nd film F2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to remove the stress acting between the first film (F1) and the second film (F2), and then the second film (F2) is applied to the first film (F1). ) by re-attaching to the adhesive layer (A), the multilayer film (F)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a good product from which the stress is removed.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1)를 적용 가능한 다층 필름(F)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필름(F1)은 다층 필름(F)을 사용해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과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름일 수 있고, 제2 필름(F2)은 제1 필름(F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 필요 시 제1 필름(F1)의 점착층(A)을 이용해 제1 플림(F1)을 부착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제1 필름(F1)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 필름 등일 수 있다.The kind of multilayer film (F) to which the curl removal apparatus 1 for multilayer films is applicabl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 first film (F1) may be a functional film hav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to be manufactured using the multilayer film (F), and the second film (F2) is to protect the first film (F1) a release film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film (F1) so that the first film (F1) can be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attached using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if necessary hav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1)는, 다층 필름(F)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하는 고정 유닛(10)과, 제2 필름(F2)을 제1 필름(F1)의 점착층(A)으로부터 박리하는 박리 유닛(20)과, 제2 필름(F2)을 제1 필름(F1)의 점착층(A)에 재부착하는 부착 유닛(30)과,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curl removal device 1 for the multilayer film includes a fixing unit 10 for vacuum adsorbing and fixing the multilayer film F, and the second film F2 to the first film ( A peeling unit 20 for peeling from the adhesive layer A of F1, an attachment unit 30 for reattaching the second film F2 to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and a multilayer film It may include a controller 40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url removal device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10)은, 다층 필름(F)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다수의 제1 흡착홀들(12a)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안착 플레이트(12)와, 안착 플레이트(12)의 제1 흡착홀들(12a)에 진공압을 인가하는 제1 진공 펌프(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2 and 3 , the fixing unit 10 is provided to seat the multilayer film F, and a plurality of first adsorption holes 12a are se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include a plate 12 and a first vacuum pump 14 for applying a vacuum pressure to the first suction holes 12a of the seating plate 1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 유닛(20)은, 제2 필름(F2)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박리용 점착층(22a)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박리 롤러(22)와, 박리 롤러(22)와 축 결합되며, 박리 롤러(22)를 회전 구동하는 제1 롤러 구동 부재(24)와, 제1 롤러 구동 부재(24)가 Z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롤러 구동 부재(24) 및 제1 롤러 구동 부재(24)에 결합된 박리 롤러(22)를 Z축 중심으로 스윙하여, 안착 플레이트(12)에 안착된 다층 필름(F)과 박리 롤러(22)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롤러 스윙 부재(26)와, 롤러 스윙 부재(26) 및 롤러 스윙 부재(26)에 결합된 제1 롤러 구동 부재(24)와 박리 롤러(22)를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 등 3축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제1 이송기(28) 등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peeling unit 20 includes a peeling roller 22 on which an adhesive layer 22a for peeling to which the second film F2 can be peelably attach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eeling roller A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that is axially coupled to 22 and rotationally drives the peeling roller 22, and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are rotatably coupled around a Z-axis, the first roller driving By swinging the member 24 and the peeling roller 22 coupled to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about the Z-axis, the multilayer film F seated on the mounting plate 12 and the peeling roller 22 form The roller swing member 26 for adjusting the angle, the roller swing member 26 and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and the peeling roller 22 coupled to the roller swing member 26 ar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nd a first transporter 28 for reciprocating transport in at least one of the three axial directions, such as the Z-axis direction.

여기서, X축 방향은 안착 플레이트(12)의 가로 폭 방향을 말하고, Y축 방향은 X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안착 플레이트(12)의 세로 폭 방향을 말하고, Z축 방향은 X축 방향 및 Y 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안착 플레이트(12)의 두께 방향을 말한다.Here, the X-axis direction refers to the horizontal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12, the Y-axis direction refers to the vertical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12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is the X-axis direction and Y It refers to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12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기(28)는, 롤러 스윙 부재(26)가 결합되는 슬라이더(28a)와, 슬라이더(28a) 및 슬라이더(28a)에 결합된 롤러 스윙 부재(26), 기타 구성 요소들을 X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X 방향 이송기(28b)와, X 방향 이송기(28b) 및 X 방향 이송기(28b)에 결합된 슬라이더(28a), 기타 구성 요소들을 Z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Z 방향 이송기(28c)와, Z 방향 이송기(28c) 및 Z 방향 이송기(28c)에 결합된 X 방향 이송기(28b), 기타 구성 요소들을 Y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Y 방향 이송기(28d) 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conveyer 28 includes a slider 28a to which the roller swing member 26 is coupled, and a slider 28a and a roller swing member coupled to the slider 28a ( 26), an X-direction feeder 28b that reciprocates other components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lider 28a coupled to the X-direction feeder 28b and the X-direction feeder 28b, and other components The Z-direction feeder 28c reciprocating in the Z-axis direction, the X-direction feeder 28b coupled to the Z-direction feeder 28c and the Z-direction feeder 28c, and other components in the Y-axis direction It may have a Y-direction feeder 28d that reciprocates, etc.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유닛(30)은, 안착 플레이트(12)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31)와, 지지 플레이트(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 롤러(32)와, 부착 롤러(32)와 축 결합되며, 부착 롤러(32)가 제1 필름(F1)의 점착층(A)으로부터 박리된 제2 필름(F2)을 Z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필름(F1)에 재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 롤러(32)를 회전 구동하는 제2 롤러 구동 부재(33)와, 지지 플레이트(31)에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2 흡착홀들(34b)이 형성되며, 부착 롤러(32)에 의해 제2 필름(F2)이 제1 필름(F1)에 재부착될 때 제2 필름(F2)에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인가 부재(34)와, 장력 인가 부재(34)의 제2 흡착홀들(34b)에 진공압을 인가하는 제2 진공 펌프(35)와, 지지 플레이트(31) 및 지지 플레이트(31)에 결합된 부착 롤러(32)와 장력 인가 부재(34)를 Y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제2 이송기(36) 등을 구비할 수 있다.2 and 3 , the attachment unit 30 includes a support plate 31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late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31 . The attachment roller 32 and the attachment roller 32 are axially coupled, and the attachment roller 32 presses the second film F2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in the Z-axis direction. a second roller driving member 33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attachment roller 32 so that it can be reattached to the first film F1 and a plurality of second roller driving members 33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3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Suction holes 34b are formed, and a tension applying member ( 34), a second vacuum pump 35 for applying a vacuum pressure to the second suction holes 34b of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and an attachment roll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31 and the support plate 31 (32) and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transfer machine 36 for reciprocat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like.

지지 플레이트(31)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착 유닛(30)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들(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착 롤러(32)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와 장력 인가 부재(34)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는 지지 플레이트들(3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고, 부착 롤러(32)의 양측 단부 중 타측 단부와 장력 인가 부재(34)의 타측 단부는 지지 플레이트들(31)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support plate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attachment unit 30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 plates 30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is case, one end of both ends of the attachment roller 32 and one end of both ends of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support plates 31 , The other end of the both ends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may be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lates 31 .

부착 롤러(32)는, 다층 필름(F)을 부착 롤러(32)와 안착 플레이트(12)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도록, 안착 플레이트(12)로부터 다층 필름(F)의 두께 또는 다층 필름(F)의 두께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작은 간격만큼 안착 플레이트(12)로부터 + Z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부착 롤러(32)는 회전축이 X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ttaching roller 32 is configured to interpose the multilayer film F between the attaching roller 32 and the mounting plate 12,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film F or the multilayer film F from the mounting plate 12.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late 12 in the + Z-axis direction by an interval as small as a predetermined ratio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 In addition, the attachment roller 32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rotation axis is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장력 인가 부재(34)는 부착 롤러(32)에 비해 안착 플레이트(12)의 -Y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장력 인가 부재(34)는 부착 롤러(32)의 후방 즉, -Y축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34a)을 가질 수 있고, 제2 흡착홀들(34b)은 이러한 경사면(34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34a)은 부착 롤러(32)에 비해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roller 32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12 .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34a whose height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rear of the attachment roller 32, that is,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suction holes 34b are 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34a. )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34a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attachment roller 3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기(36)는, Y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레일(36a)과, 레일(36a)에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지지 플레이트(31)가 결합되고, 지지 플레이트(31) 및 지지 플레이트(31)에 결합된 부착 롤러(32), 장력 인가 부재(34), 기타 구성 요소들을 레일(36a)을 따라 Y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이송 부재(36b) 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conveyer 36 is mounted movably in the Y direction on the rail 36a extending long along the Y direction and the rail 36a, and the support plate 31 is The transfer member 36b coupled to and reciprocating the support plate 31 and the attachment roller 32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31,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and other components along the rail 36a in the Y direction. ), and so on.

제2 이송기(36)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들(31)이 설치되는 경우에, 부착 유닛(30은 한 쌍의 제2 이송기들(36)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지 플레이트들(31) 중 어느 하나는 제2 이송기들(36)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이송 부재(36b)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들(31) 중 다른 하나는 제2 이송기들(36)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이송 부재(36b)에 결합될 수 있다.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2nd transfer machine 36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when a pair of support plates 31 are installed, the attachment unit 30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conveyers 36.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s 31 ) may be coupled to a transfer member 36b provided on any one of the second transferers 36 , and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lates 31 is the other of the second transferers 36 . It may be coupled to the transfer member 36b provided in one.

도 4 내지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를 이용해 제2 필름을 제1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eling the second film from the first film using the curl removal device for the multilayer film shown in FIG. 2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2 필름(F2)을 제1 필름(F1)으로부터 박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eeling the second film F2 from the first film F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필름(F)의 후단부가 부착 롤러(32)와 안착 플레이트(12) 사이에 개재되도록 다층 필름(F)을 안착 플레이트(12)에 안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층 필름(F)은, 제1 필름(F1)이 안착 플레이트(12)와 마주보고 제2 필름(F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착 플레이트(12)에 안착된다. 또한, 다층 필름(F)은 다층 필름(F)의 길이 방향과 Y축 방향이 평행하도록 안착 플레이트(12)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rst, as shown in FIG. 2 , the multilayer film F is seated on the mounting plate 12 so that the rear end of the multilayer film F is interposed between the attachment roller 32 and the mounting plate 12 . More specifically, the multilayer film F is seated on the mounting plate 12 such that the first film F1 faces the mounting plate 12 and the second film F2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multilayer film (F) is preferably seated on the mounting plate 12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of the multilayer film (F) are parall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제어기(40)는, 고정 유닛(10)의 제1 진공 펌프(14)를 구동하여 안착 플레이트(12)의 제1 흡착홀들(12a)에 진공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 필름(F1)은. 안착 플레이트(12)의 제1 흡착홀들(12a)에 인가된 진공압에 의해 진공 흡착됨으로써, 안착 플레이트(12)에 고정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40 drives the first vacuum pump 14 of the fixing unit 10 to apply a vacuum pressure to the first suction holes 12a of the seating plate 12 . Then, the first film (F1). By being vacuum-adsorbed by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adsorption holes 12a of the seating plate 12 , it may be fixed to the seating plate 12 .

이후에, 제어기(40)는, 박리 롤러(22)의 회전축이 다층 필름(F)의 폭 방향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게 박리 롤러(22)가 배치되도록, 롤러 스윙 부재(26)를 구동하여 제1 롤러 구동 부재(24) 및 제1 롤러 구동 부재(24)에 결합된 박리 롤러(22)를 Z축 중심으로 스윙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40 drives the roller swing member 26 so that the peeling roller 22 is disposed such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peeling roller 22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multilayer film F. The one-roller driving member 24 and the peeling roller 22 coupled to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swing about the Z-axis.

다음으로, 제어기(40)는, 박리 롤러(22)의 박리용 점착층(22a)이 제2 필름(F2)의 일측 모서리와 접촉되도록, 제1 이송기(28)를 구동하여 박리 롤러(22)를 이송한다. 그러면, 제2 필름(F2)의 일측 모서리는 박리 롤러(22)의 박리용 점착층(22a)에 부착된다.Next, the controller 40 drives the first transporter 28 so that the peeling adhesive layer 22a of the peeling roller 22 comes into contact with one edge of the second film F2 to thereby drive the peeling roller 22 . ) is transferred. Then, one edge of the second film F2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22a for peeling of the peeling roller 22 .

이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는, 박리 롤러(22)에 부착된 제2 필름(F2)의 일측 모서리가 박리 롤러(22)를 따라 유동하면서 제1 필름(F1)의 점착층(A)으로부터 부착 롤러(32)를 향해 박리되기 시작하도록, 제1 롤러 구동 부재(24)를 구동하여 박리 롤러(22)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구동시키고, 롤러 스윙 부재(26)를 구동하여 제1 롤러 구동 부재(24) 및 제1 롤러 구동 부재(24)에 결합된 박리 롤러(22)를 Z축을 중심으로 스윙한다. 즉, 제2 필름(F2)은, 일측 모서리를 기점으로 제1 필름(F1)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first film F1 while one edge of the second film F2 attached to the peeling roller 22 flows along the peeling roller 22 .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is driven to rotate the peeling roller 22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rotation axis so as to start peeling from the adhesive layer A of the roller 32, and the roller swing member (26) is driven to swing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and the peeling roller 22 coupled to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about the Z-axis. That is, the second film F2 is peeled off from the first film F1 with one edge as a starting point.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는, 일측 모서리가 제1 필름(F1)의 점착층(A)으로부터 박리되기 시작한 제2 필름(F2)이 -Y축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박리될 수 있도록, 제1 이송기(28)를 구동하여 롤러 스윙 부재(26) 및 롤러 스윙 부재(26)에 결합된 제1 롤러 구동 부재(24)를 -Y축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와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는, 제2 필름(F2)의 전체 영역 중 제1 필름(F1)에 부착된 부분과 제1 필름(F1)으로부터 박리된 부분의 경계에 해당하는 경계선(B)이 부착 롤러(32)와 평행을 이루도록, 롤러 스윙 부재(26)를 구동하여 제1 롤러 구동 부재(24) 및 제1 롤러 구동 부재(24)에 결합된 박리 롤러(22)를 Z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스윙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는, 제1 롤러 구동 부재(24), 롤러 스윙 부재(26) 및 제1 이송기(28)를 구동하여, 부착 롤러(32)와 안착 플레이트(12) 사이에 개재된 제2 필름(F2)의 후단부를 제외한 제2 필름(F2)의 나머지 부분(이하,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이라고 함)을 박리하되, 상기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의 하부는 부착 롤러(32)에 걸림되고 상기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의 상부는 장력 인가 부재(34)의 경사면(34a)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을 박리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7, the controller 40, one edge of the second film (F2) started to peel from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Y axis direction In order to be gradually peeled toward the side, the first transporter 28 is driven to transport the roller swing member 26 and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coupled to the roller swing member 26 in the -Y-axis direction. .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6 ,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boundary between the portion attached to the first film F1 and the portion peeled from the first film F1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film F2 .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and the peeling roller coupled to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by driving the roller swing member 26 so that the boundary line B corresponding to 22) swings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Z-axi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the controller 40 drives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4 , the roller swing member 26 , and the first conveyer 28 , so that the attachment roller 32 and Peel of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film F2 except for the rear end of the second film F2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plates 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 However, the lower portion of the peeling area F2e of the second film F2 is caught by the attachment roller 3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eeling area F2e of the second film F2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 The peeling area F2e of the second film F2 is peeled to be seated on the 34a.

다음으로, 제어기(40)는, 부착 유닛(30)의 제2 진공 펌프(35)를 구동하여 장력 인가 부재(34)의 제2 흡착홀들(34b)에 진공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장력 인가 부재(34)의 경사면(34a)에 안착된 상기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의 상부는 경사면(34a)의 제2 흡착홀들(34b)에 의해 진공 흡착된다. 여기서, 제어기(40)는, 상기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이 경사면(34a)의 제2 흡착홀들(34b)에 의해 진공 흡착된 상태로 경사면(34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진공 펌프(35)를 구동하여 미리 정해진 진공압을 경사면(34a)의 제2 흡착홀들(34b)에 인가시킨다. 즉, 고정 유닛(10)의 제1 진공 펌프(14)는 제1 필름(F1)을 유동될 수 없는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진공압을 안착 플레이트(12)의 제1 흡착홀들(12a)에 인가하여야 하는데 반해, 부착 유닛(30)의 제2 진공 펌프(35)는 제2 필름(F2)이 경사면(34a)의 제2 흡착홀들(34b)에 의해 진공 흡착된 상태로 경사면(34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진공압을 경사면(34a)의 제2 흡착홀들(34b)에 인가하는 것이다.Next, the controller 40 drives the second vacuum pump 35 of the attachment unit 30 to apply a vacuum pressure to the second suction holes 34b of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 Then, the upper portion of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seated on the inclined surface 34a of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is vacuum-adsorbed by the second adsorption holes 34b of the inclined surface 34a. . Here, the controller 40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34a in a state in which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is vacuum-adsorbed by the second suction holes 34b of the inclined surface 34a. so that the second vacuum pump 35 is driven to apply a predetermined vacuum pressure to the second adsorption holes 34b of the inclined surface 34a. That is, the first vacuum pump 14 of the fixing unit 10 applies a relatively strong vacuum pressure to the first suction hole of the seating plate 12 in order to fix the first film F1 in a non-flowable state. In contrast, in the second vacuum pump 35 of the attachment unit 30 , the second film F2 is vacuum-adsorbed by the second suction holes 34b of the inclined surface 34a. A relatively weak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cond adsorption holes 34b of the inclined surface 34a so that the furnace can sl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34a.

도 8 내지 10은 도 2에 도시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를 이용해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재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attaching the second film to the first film using the curl removal device for the multilayer film shown in FIG. 2 .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필름(F1)의 점착층(A)으로부터 박리된 제2 필름(F2)을 제1 필름(F1)의 점착층(A)에 재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the second film (F2)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is re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method will be explained.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는, 제2 이송기(36)를 구동하여 부착 롤러(32) 및 장력 인가 부재(34)를 +Y축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2 롤러 구동 부재(33)를 구동하여 부착 롤러(32)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고, 제2 진공 펌프(35)를 구동하여 경사면(34a)의 제2 흡착홀들(34b)에 진공압을 인가한다.8 to 10 , the controller 40 drives the second conveyer 36 to convey the attachment roller 32 and the tension applying member 34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The roller driving member 33 is driven to rotate the attachment roller 32 about the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vacuum pump 35 is driven to apply vacuum pressure to the second suction holes 34b of the inclined surface 34a. approve

그러면, 부착 롤러(32)는 Y축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을 접촉 순서대로 Z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제1 필름(F1)에 재부착한다.Then, the attachment roller 32 is reattached to the first film F1 by sequentially pressing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order of contact while proceeding in the Y-axis direction.

그런데,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 중 경사면(34a)에 안착된 영역은 경사면(34a)의 제2 흡착홀들(34b)에 진공 흡착된 상태에서 경사면(34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면,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은, 부착 유닛(30)의 제2 진공 펌프(35)로부터 제공된 진공압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1 필름(F1)에 재부착될 수 있다. 이에,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은, 주름지지 않고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제1 필름(F1)의 점착층(A)에 재부착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the region seated on the inclined surface 34a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34a while being vacuum-adsorbed by the second suction holes 34b of the inclined surface 34a. is moved Then,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is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tension is applied by the vacuum pressure supplied from the second vacuum pump 35 of the attaching unit 30 to the first film F1 can be reattached to Accordingly,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may be re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in a state in which it is flat and not wrinkle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 롤러(22)의 박리용 점착층(22a)에 부착된 제2 필름(F2)의 일측 모서리는,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이 제1 필름(F1)에 재부착되는 과정에서, 부착 롤러(32)에 의해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에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용 점착층(22a)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박리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 스윙 부재(26) 및 제1 이송기(28)는, 부착 롤러(32)에 의해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이 제1 필름(F1)에 재부착될 때, 제2 필름(F2)의 일측 모서리가 박리용 점착층(22a)으로부터 더욱 자연스럽게 박리되도록, 박리 롤러(22)를 이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 one edge of the second film F2 attached to the peeling adhesive layer 22a of the peeling roller 22 has a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In the process of re-attaching to the first film F1, it is naturally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22a for peeling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by the attachment roller 3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for the roller swing member 26 and the first transporter 28 ,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is formed by the attachment roller 32 to the first film F1 . When reattached to, the peeling roller 22 may be transferred so that one edge of the second film F2 is more naturally peeled from the peeling adhesive layer 22a.

위와 같이,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1)는, 제2 필름(F2)을 제1 필름(F1)의 점착층(A)으로부터 박리하여 제2 필름(F2)과 제1 필름(F1) 사이에 작용하는 응력을 제거한 후, 제2 필름(F2)을 곧게 펴진 상태에서 제1 필름(F1)의 점착층(A)에 재부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1)는, 컬이 발생한 다층 필름(F)으로부터 컬을 제거하여, 컬이 발생한 다층 필름(F)을 양품으로 복원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url removal apparatus 1 for multilayer films peels the 2nd film F2 from the adhesion layer A of the 1st film F1, and between the 2nd film F2 and the 1st film F1. After removing the stress acting on the , the second film F2 may be re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A of the first film F1 in a straightened state. Through this, the curl removal device 1 for multilayer films can remove curl from the curled multilayer film F, and can restore the curled multilayer film F to a good product.

그런데, 다층 필름(F)의 후단부가 부착 롤러(32)와 안착 플레이트(1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제2 필름(F2)의 박리 영역(F2e)이 박리 및 재부착되는 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1)를 이용해 다층 필름(F)에 발생한 컬을 제거하더라도 다층 필름(F)의 후단부에 발생한 컬은 여전히 남을 수 있다. 이에, 다층 필름(F)의 후단부에 여전히 컬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다층 필름(F)을 반대로 돌려, 다층 필름(F)의 선단부가 부착 롤러(32) 및 안착 플레이트(1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컬 작업을 실시하여, 다층 필름(F)의 후단부에 형성된 잔여 컬을 제거할 수 있다.By the way, in a state where the rear end of the multilayer film F is interposed between the attachment roller 32 and the mounting plate 12 , the peeling region F2e of the second film F2 is peeled and reattached, and the multilayer film Even if the curl generated in the multi-layer film (F) is removed using the curl removal device (1) for use, the curl generated at the rear end of the multi-layer film (F) may still remain. Accordingly, when curls still remain at the rear end of the multilayer film F, the multilayer film F is tur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leading end of the multilayer film F is interposed between the attachment roller 32 and the mounting plate 12 . By performing the curl operation once again in the state in which the multi-layer film (F),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residual curl formed in the rear en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10 : 고정 유닛
12 : 안착 플레이트
12a : 제1 흡착홀
14 : 제1 진공 펌프
20 : 박리 유닛
22 : 박리 롤러
22a : 점착층
24 : 제1 롤러 구동 부재
26 : 롤러 스윙 부재
28 : 제1 이송기
28a : 슬라이더
28b : X 방향 이송기
28c : Z 방향 이송기
28d : Y 방향 이송기
30 : 부착 유닛
31 : 지지 플레이트
32 : 부착 롤러
33 : 제2 롤러 구동 부재
34 : 장력 인가 부재
34a : 경사면
34b : 제2 흡착홀
35 : 제2 진공 펌프
36 : 제2 이송기
36a : 레일
36b : 이송 부재
40 : 제어기
F : 다층 필름
F1 : 제1 필름
A : 점착층
F2 : 제2 필름
F2e : 박리 영역
B : 경계선
1: Curl removal device for multilayer film
10: fixed unit
12: seating plate
12a: first adsorption hole
14: first vacuum pump
20: peeling unit
22: peeling roller
22a: adhesive layer
24: first roller driving member
26: roller swing member
28: first transfer machine
28a: slider
28b: X-direction feeder
28c: Z-direction feeder
28d: Y direction feeder
30: attachment unit
31: support plate
32: attachment roller
33: second roller driving member
34: absence of tension application
34a: slope
34b: second adsorption hole
35: second vacuum pump
36: second transfer machine
36a: rail
36b: transfer member
40: controller
F: multilayer film
F1: first film
A: adhesive layer
F2: second film
F2e: peel area
B: border

Claims (15)

일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에 부착된 제2 필름을 적어도 포함하는 다층 필름에 발생한 컬을 제거하기 위한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을 고정하는 고정 유닛;
상기 제2 필름층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박리용 점착층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박리 롤러와, 상기 박리용 점착층에 부착된 상기 제2 필름층이 상기 박리 롤러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제1 롤러 구동 부재를 구비하는 박리 유닛; 및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에 재부착하는 부착 유닛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In the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for removing curls generated in a multilayer film comprising at least a first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and a second film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first film;
A peeling roller having an adhesive layer for peeling to which the second film layer is detachably attache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film layer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for peeling, while flowing along the peeling roller, a peeling unit including a first roller driving membe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eeling roller so as to be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and
and an attachment unit for reattaching the second film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다층 필름을 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착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다층 필름은, 상기 제1 필름이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필름이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마주보되 상기 제2 필름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unit includes a mounting plate provided to allow the multi-layer film to be mounted,
The multilayer film is, so that the first film can be fixed by the fixing unit, the first film facing the mounting plate is seated on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second film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a multilayer film curl remova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필름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진공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제1 흡착홀들을 갖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nting plate has a plurality of first adsorption holes to which a vacuum pressure for vacuum adsorbing and fixing the first film is applied,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유닛은, 상기 박리 롤러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가로 폭 방향에 해당하는 X축 방향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세로 폭 방향에 해당하는 Y축 방향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에 해당하는 Z축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기를 더 구비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eeling unit is configured to move the peeling roller in an X-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a Y-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vertical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and a Z-axis corresponding to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further comprising a first transporter for transport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among direc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유닛은, 상기 박리 롤러를 Z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롤러 스윙 부재를 더 구비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
The peeling unit further includes a roller swing member that swings the peeling roller about the Z-axi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윙 부재는, 상기 박리 롤러가 상기 다층 필름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상기 Z축을 중심으로 스윙하고,
상기 제1 이송기는, 상기 제2 필름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박리용 점착층에 부착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이송하며,
상기 제1 롤러 구동 부재는, 상기 제2 필름이 상기 일측 모서리를 기점으로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박리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저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oller swing member swings the peeling roller about the Z-axis so that the peeling roller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ultilayer film;
The first transporter transports the peeling roller so that one edge of the second film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for peeling,
The first roller driving member, rotation driving the peeling roller so that the second film is gradually peeled off the first film from the one corner as a starting point,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박리 롤러에 의해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제2 필름의 박리 영역을 가압하여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에 재부착하는 부착 롤러를 구비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taching unit includes an attaching roller for reattaching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by pressing the peeling area of the second film peeled from the first film by the peeling roller;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부착 롤러가 상기 박리 영역을 순차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부착 롤러를 왕복 이송하는 제2 이송기를 더 구비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attach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veyer that reciprocates the attaching roller so that the attaching roller sequentially presses the peeling reg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기는, 상기 박리 영역이 상기 부착 롤러에 걸림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미리 정해진 일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2 이송기는, 상기 박리 영역이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에 재부착되도록, 상기 박리 영역이 걸림된 상기 부착 롤러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transporter transports the peeling roller in one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peeling area is caught by the attachment roller,
The second conveyer,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conveys the attachment roller caught in the peeling are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so that the peeling area is re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부착 롤러에 의해 상기 박리 영역이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점착층에 재부착될 때, 상기 박리 영역에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인가 부재를 더 구비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ttaching unit further comprises a tension applying member for applying a tension to the peeling area when the peeling area is re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film by the attaching roller.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 부재는, 상기 부착 롤러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기는, 상기 박리 영역의 하부가 상기 부착 롤러에 걸림되되, 상기 박리 영역의 상부가 상기 장력 인가 부재에 안착되도록, 상기 박리 롤러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ension apply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roll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ne direction,
The first transporter may include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peeling region is caught by the attachment roller, and the peeling roller is transported in the one direction so that an upper portion of the peeling region is seated on the tension applying member.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 부재는, 상기 박리 영역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제2 흡착홀들을 갖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ension apply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second adsorption holes to which a vacuum pressure for vacuum adsorbing the peeling region is applied,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은, 상기 박리 영역이 상기 제2 흡착홀들에 진공 흡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vacuum pressure is adjusted so that the peeling area slides while being vacuum-adsorbed to the second adsorption holes,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 부재는, 상기 일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며, 상기 박리 영역이 안착되는 경사면을 더 갖고,
상기 제2 흡착홀들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ension applying member,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in the one direction, and further has an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 peeling region is seated,
The second adsorption holes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a curl removal device for a multi-layer fil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 부재는, 상기 부착 롤러와 함께 상기 제2 이송기에 의해 왕복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tension apply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transferred by the second transfer machine together with the attachment roller.
KR1020210058084A 2020-05-09 2021-05-04 Curl removing apparatus for multi-layer film KR1025823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14,549 US11390061B2 (en) 2020-05-09 2021-05-07 Curl removing apparatus for multi-layer film
CN202110498195.7A CN113620097B (en) 2020-05-09 2021-05-08 Curl removing device for multilayer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11 2020-05-09
KR20200055511 2020-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866A true KR20210136866A (en) 2021-11-17
KR102582352B1 KR102582352B1 (en) 2023-09-26

Family

ID=7870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084A KR102582352B1 (en) 2020-05-09 2021-05-04 Curl removing apparatus for multi-layer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35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276A (en) * 1998-09-28 2000-04-25 윤종용 Apparatus for removing tape of wafer
KR20130066892A (en) * 2011-12-13 2013-06-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Apparatus for film peeling and replantation
KR101340959B1 (en) * 2013-08-21 2013-12-13 주식회사 신생테크 Film recoher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276A (en) * 1998-09-28 2000-04-25 윤종용 Apparatus for removing tape of wafer
KR20130066892A (en) * 2011-12-13 2013-06-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Apparatus for film peeling and replantation
KR101340959B1 (en) * 2013-08-21 2013-12-13 주식회사 신생테크 Film recohe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352B1 (en)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1709B2 (en) Optical film stick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95184A (en) Film peeling device
JP2000085011A (en) Film laminating apparatus
KR102089846B1 (en) Laminating system and surface laminating method
KR20210136866A (en) Curl removing apparatus for multi-layer film
JP2007320678A (en) Method and device for peeling outer layer body
JP60293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minating and laminating sheet substrates
JP6957063B2 (en) Peel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JP2008139523A (en) Optical film-pasting method, optical film-pas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WO20070349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sensitive laminated body
KR101614750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eramic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433145B (en) Film member bonding apparatus and film member bonding method
JP2010131837A (en) Laminating device and laminating method
CN113620097B (en) Curl removing device for multilayer film
TWI774020B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JP6129565B2 (en) Seat mounting device
JP2004039939A (en) Film peeling device
JP4461318B2 (en) Laminating apparatus and floo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JP2002322440A (en) Bonding tape, method for bonding, and for coating the substrate
US8741087B2 (en) Media application
JP3954401B2 (en) Laminator
JP4870010B2 (en) Adhesive sheet sticking device and sticking method
WO2024058220A1 (en)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US11249338B2 (en) Flexible to rigid integrated laminator
JP2007160533A (en) Laminator and lamin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