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772A -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6772A KR20210136772A KR1020200055532A KR20200055532A KR20210136772A KR 20210136772 A KR20210136772 A KR 20210136772A KR 1020200055532 A KR1020200055532 A KR 1020200055532A KR 20200055532 A KR20200055532 A KR 20200055532A KR 20210136772 A KR20210136772 A KR 202101367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device
- store
- user terminal
- payment
- service provi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는, 임의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 행위가 감지될 때 매장의 주문메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가령 사용자가 음식점 등의 매장에 방문하여 주문이나 결제를 진행할 때 자신의 스마트폰을 흔드는 등의 간단한 행위를 통해 주문이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간편결제나 QR 코드의 사용은 이미 일상화된지 오래다. 해당 기술은 그만큼 우리의 일상에 너무나 보편화되어 있다. 물론 노년층들에게는 여전히 스마트기기의 사용 등에 따른 정보격차가 존재하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간편결제나 QR 코드를 이용한 시장은 이미 성숙단계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로 인해 관련 업체들 사이에서도 치열한 경쟁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그 가운데 QR 코드는 사용의 번거로움 때문에 여전히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특정 결제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시킨 후 카메라의 화면에 QR 코드를 인식시켜야 하며, 이의 과정에서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결제가 지연되는 등 많은 번거로움이 뒤따르고 있다.
또한, QR 코드는 기존의 바코드의 연장선상에서 사용되어 오고 있기 때문에 코드 패턴은 코드 정보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바코드에 비하여 QR 코드는 더욱 복잡한 정보를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코드의 URL 정보를 통해 웹사이트에 바로 접속할 수 있는 등의 활용성때문에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QR 코드의 경우 규격을 유지하면서 개인이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QR 코드를 이용해 많은 고객을 상대로 영업행위를 해야하는 업체의 경우에는 고객을 상대로 이러한 QR 코드를 제작해 주어야 하므로, 그에 따르는 제작 비용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 QR 코드를 이용해 음식점 등에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점심 시간이나 출퇴근 시간과 같이 나쁜 시간대에는 결제를 위해 고객들이 줄을 길게 서야 하는 등 많은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사용자가 음식점 등의 매장에 방문하여 주문이나 결제를 진행할 때 자신의 스마트폰을 흔드는 등의 간단한 행위를 통해 주문이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는, 임의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 행위가 감지될 때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행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회전동작, 상하동작 및 좌우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행위의 거리, 방향,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여 상기 주문메뉴의 제공 또는 결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공장치는, 각 매장의 식별정보와 주문메뉴를 매칭해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행위를 발생시키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매장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메뉴 주문시 입력하는 테이블 정보를 근거로 상기 매장 내 테이블 주문 내역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매장 내에서 주문한 내역을 불러내기하여 결제를 요청할 때 상기 지정 행위에 의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임의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 행위가 감지될 때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행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회전동작, 상하동작 및 좌우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행위의 거리, 방향,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여 상기 주문메뉴의 제공 또는 결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각 매장의 식별정보와 주문메뉴를 매칭해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행위를 발생시키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매장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메뉴 주문시 입력하는 테이블 정보를 근거로 상기 매장 내 테이블 주문 내역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매장 내에서 주문한 내역을 불러내기하여 결제를 요청할 때 상기 지정 행위에 의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은, 임의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 행위가 감지될 때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식당 등의 매장에 방문시에 기존과 같이 QR 코드를 인식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신의 스마트폰 등에 움직임을 발생시켜 간편하게 메뉴의 주문이나 결제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업의 영위 활동을 위해 QR 코드의 제작에 따르는 비용이나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점이나 커피숍, 나아가 의류매장 등을 방문하여 주문 및 결제시 줄을 서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지정 행위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서비스제공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지정 행위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서비스제공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지정 행위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제공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매장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서비스제공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서비스제공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서비스제공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휴대하여 이동 가능한 모바일 기반의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국내S사의 갤럭*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되는 전용 단말(장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시 말해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통해 가령 음식점 등의 매장에서 메뉴를 주문하고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장치이어도 무관하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탑재한다. 물론 외부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가 탑재되어 시중에 출시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매장 내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이외에도 매장 내에 설치되는 각종 통신장치와의 통신 상태(예: 신호세기에 근거한 거리 측정 등)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물론 음성인식모듈을 가동해 음성인식을 사용함으로써 움직임을 대신할 수도 있지만,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대중적인 장소에서 음성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다소 기피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을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소지한 채 음식점이나 의류 매장 등 각종 매장을 방문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들이 음식점에 방문하여 매장 내에 자리가 비어있는 테이블에 앉은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사용자들은 음식 메뉴를 주문하기 위하여 또는 해당 매장의 음식 메뉴를 살피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흔드는 등의 동작을 통해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혹은 주문메뉴, 메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앱을 설치할 수 있다. 매장을 방문한 상태에서 앱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장소에서 바로 앱스토어 등에 접속하여 해당 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앱의 설치없이 GPS 위치추적이나 매장에 방문했을 때 매장 내의 매장 단말장치(110)와의 통신에 의해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매장에 방문했다는 것을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지정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주문메뉴 혹은 메뉴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의 편리성을 위해 앱의 실행을 통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지역에 위치하는 매장을 방문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앱을 실행한 후 흔들기(shaking)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흔들기 동작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표적으로 회전동작이나 상하좌우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한다. 물론 더 정확하게는 지정 행위(혹은 행위 패턴)를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매장을 잠시 나갔다가 들어오는 등의 행위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에는 일(측) 방향으로 거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속도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의 경우에는 지정 행위로 규정(혹은 판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사용자가 소지한 채 원을 그리거나 삼각형 그리기를 하고, 또 흔들기를 하거나, 왕복 직선운동을 하거나, 또 통상적으로 메뉴를 음식점에서 주문할 경우 사용자들은 손을 드는 경향을 많이 보이므로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일시적으로 들어 올린 후 내리는 등의 행위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근거로 해당 매장의 주문 메뉴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된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주문메뉴를 제공받는 이러한 지정 행위는 매장의 관리자가 별도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매장을 방문한 후 가령 서비스 이용을 위해 앱을 실행하는 경우, 주변의 매장 단말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한 후 매장 내 다양한 단말장치 또는 통신장치의 식별정보를 취득한 후, 물론 순서는 바뀔 수 있지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할 때 이때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전송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나 앱을 통해서도 스탠드얼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제공장치(130)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특정 매장에 방문한 것이 감지되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매장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주문 메뉴를 미리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기저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흔들거나 앱을 실행한 후 지정 행위를 수행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기저장된 주문 메뉴를 화면에 활성화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제공장치(130)의 DB(130a)에 각 매장의 식별정보와 메뉴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매장의 식별정보와 함께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근거로 해당 매장 및 지정 행위를 인식해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앞서 언급한 대로, 앱을 실행한 후 음성인식을 통해, 가령 "메뉴"라고 발화하거나 "주문메뉴 줘" 등과 같이 발화를 통해 기저장된 주문메뉴를 활성화하거나 서비스제공장치(130)로부터 해당 매장의 주문메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발화 명령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발화 명령이 있을 때 주변의 매장 단말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매장의 식별정보를 취득한 후 함께 제공하거나, 매장의 방문시에 미리 취득한 매장의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장의 고유번호가 서비스제공장치(130)로부터 발급된 상태라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이를 입력한 후 주문메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매장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나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에 물품이나 음식 등의 주문이나 결제 등을 위해 QR 코드 등을 인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이를 위해 간단하게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지정 행위를 감지하는 것만으로도 주문이나 결제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어떠한 경우이어도 무관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결제를 한번 가정해 보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가령 음식의 주문시에 결제를 함께 진행하여 선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뉴 추가가 있는 경우 다시 앱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지정 행위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기저장된 주문메뉴를 화면에 활성화시키거나 서비스제공장치(130)로부터 제공받아 추가 주문을 한 후 또 선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식사를 마치거나 의류 매장과 같이 출구로 퇴장시에 매장 내에서 주문한 음식이나 구매한 물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자 할 때 가령 마이페이지의 주문리스트에 담긴 목록을 화면에 불러낸 후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지정 행위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지정 조건을 만족할 때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음식점의 지정 테이블에서 식사를 마친 후 자신이 주문했던 메뉴들에 대하여 테이블에 앉아, 또는 관리자의 매장 단말장치(110)의 앞에서 결제를 진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앱을 실행하여 메뉴 리스트를 불러 결제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지정 행위를 발생시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일종의 간편결제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의 경우,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지정 매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인식한 상태일 수 있고, 또 메뉴 리스트를 불러 내어 화면에 표시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있을 때 사용자의 결제 요청이 유효 행위라 판단하여 간편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매장을 벗어난 곳에서 결제를 요청한다 하더라도 위의 지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간편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요약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소지하는 사용자들은 음식의 주문 및 결제나, 의류 매장 등에 방문하여 물품을 구매하거나 할 때, 특히 음식점에 방문하여 가령 앱을 실행시킨 후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지정 행위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때 화면에 표시되는 주문메뉴를 통해 주문을 진행하고, 또 주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앉아있는 테이블의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물론 이러한 테이블의 위치정보는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매장의 영역을 지정하고 즉 구획하고 신호세기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테이블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 테이블의 식별정보를 입력한 후 결제를 함께 진행하여 음식 주문에 대한 주문 및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매장의 식별정보가 함께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제공됨으로써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해당 식별정보를 근거로 매장 단말장치(110)로 주문 내역 및 결제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게 된다. 만약, 선결제가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후결제로 인식하거나 별도의 후결제 버튼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한 경우에는 이를 통해 매장 내 지정 테이블에서 후결제를 요청하였음을 인식한 후 이후 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결제를 간편결제로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정 행위의 움직임 정보는 간편 결제를 위한 인증 정보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A 매장에 방문하여 가령 앱을 실행한 후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켜 이의 센싱 정보를 근거로 A 매장의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B 매장에 방문한 경우에는 위의 동일 앱을 실행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켜 B 매장의 메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특정 매장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킬 때, 매장 내의 매장 단말장치(11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매장에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가령 흔들기 등의 동작이 있을 때,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탑재되는 GPS 모듈을 구동시켜 GPS 정보 즉 좌표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GPS 정보는 건물 내에서 측위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더러 오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GPS 정보를 사용하거나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또 실외의 경우에는 GPS 정보를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매장 단말장치(110)는 음식점이나 각종 매장 내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음식점의 경우 관리자나 경영자에 의해 매장 내 주문이나 결제를 관리할 수 있는 POS 단말장치가 이에 해당한다. POS 단말장치의 경우 컴퓨터 장치이기는 하지만, 관리자 또는 경영자는 매장 내에서 이루어진 주문의 내역 및 결제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인 화면상에는 매장 내의 테이블 식별정보(예: 아이콘 등에 번호 표시 등)를 근거로 어떠한 음식이 주문되었고 결제 여부에 대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사용자들이 음식을 주문하고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또 미결제시에는 후결제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30)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지정 테이블에서 메뉴 추가시에는 추가 메뉴에 대한 정보도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매장 단말장치(110)는 무선공유기와 같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주방에 주문 메뉴를 알리기 위한 메뉴 주문판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메뉴 주문판은 디스플레이장치이다. 따라서, 메뉴 주문판의 주문 메뉴는 서비스제공장치(130)에서 제공될 수 있지만, POS 단말장치 등의 관리자가 확인을 완료했을 때 이의 확인을 통해(예: 확인버튼 클릭) 주방으로 주문이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장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2가지를 예시한 바 있다. 하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매장에 진입했을 때 매장 단말장치(110)와 통신을 통해 매장의 식별정보가 취득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적외선 등 다양한 형태의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출입문에 통상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때 적외선 센서의 센싱 신호를 근거로 매장의 식별정보가 취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블루투스와 같이 통신반경이 작은 통신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신호를 이용해서는 매장의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신 신호의 세기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의 측정을 통해 모서리나 가장자리 영역에 대한 경계를 구획할 수 있으며, 매장 내 복수의 통신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좌표의 형태로 매장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의 경우, 테이블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를 간단하게 통신신호 세기의 측정을 통해서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매장의 방문시에 위의 방법에 의해 매장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또 사용자가 어떠한 테이블에 착석했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앱을 실행하여 음식주문, 나아가 결제를 함께 진행하는 경우 기저장된 매장의 식별정보나 테이블의 식별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서비스제공장치(130)로부터 주문내역과 결제내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매장 단말장치(110)에서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을 실행한 후 움직임을 발생시켜 주문을 진행할 때 해당 시점에서 매장 내 매장 단말장치(110)와 통신에 의해 가령 스캔 동작에 의해 매장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또 테이블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여 이의 과정을 통해 주문이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매장 단말장치(110)는 이러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매장 단말장치(110), 가령 POS 단말장치나 액세스포인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매장 단말장치(110)는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인식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움직임 정보, 가령 센싱 데이터를 전송할 때 또는 요청에 의해 수신하여 도 1의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앱을 실행할 때와는 데이터 송수신 경로가 다소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위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행위 주체가 되어 매장 단말장치(110)로부터 식별정보를 취득하여 통신망(120)으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매장 단말장치(110)에 포함되는 액세스포인트 등에서 통신중계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되어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매장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매장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서비스제공장치(13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음식이나 물품 등의 주문이나 결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서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매장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 즉 지정 행위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근거로 주문 및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여기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로서, 스마트폰이 바람직하지만, 태블릿PC나 웨어러블장치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장치들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주문과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음식점이나 커피숍 등은 테이블을 구비하는 매장에 해당한다. 또한, 의류 매장의 경우에는 별도의 테이블을 구비하지 않은 매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모든 매장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매장이든지 관계없이 주문이나 결제를 위하여 길게 줄을 서지 않도록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음식점에 고객이 방문한 경우, 비어있는 테이블에 앉아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테이블에 구비되어 있는 태블릿PC 등을 통해 주문과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은 개인 소유이므로 내부에 신용카드 등의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스마트폰에 움직임을 발생시켜 간편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반면, 개인소유가 아니라 매장에서 제공하는 태블릿PC의 경우에는 결제를 진행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이의 경우에는 자신의 결제정보를 별도로 입력할 수 있고, 단지 자신의 움직임 패턴을 통해 결제를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앞서 언급한 대로 지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따라서 자신이 주문한 내역을 불러낸 후 결제를 요청했을 때, 자신의 인증 정보로서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여 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축 동작을 선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장의 경영자나 관리자들의 회원 가입을 통해 자신의 매장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물론 이는 매장 단말장치(110)의 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관리자가 매장의 주소정보를 입력할 때 자동으로 매장 단말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식별정보를 스캔하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매장의 식별정보가 취득되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메뉴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요청하여 매장의 식별정보와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를 매칭시켜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메뉴정보는 지정 포맷으로 생성된 메뉴 목록 데이터에 해당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지정 포맷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설계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시스템 설계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설계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을 실행하지 않고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과 앱을 실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크게 구분해 볼 수 있다. 앱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앱의 실행 자체로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것이므로, 데이터 처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을 실행한 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킨 경우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 그리고 이때 취득되거나 기저장된 매장의 식별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30)가 수신한 후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의 행위 혹은 행위 패턴을 감지하고 이의 감지 결과 및 매장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정보는 다양한 메뉴들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가령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리스트 형태의 주문서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를 선택한 후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만약 앱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므로 이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아 움직임을 감지한 후 매장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메뉴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지정 행위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주문이나 결제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움직임에 대한 센싱 데이터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내부적으로 탑재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결제시에는 안전한 결제를 위하여 지정 조건을 만족할 때에만 움직임 기반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서비스제공장치(130)가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대표적인 행위 패턴이다. 행위란 일회성 동작을 의미한다면 행위 패턴은 동일 동작이 반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복성을 이용하는 경우,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이용해 도 2의 (a)에서와 같이 흔들기 동작, 더 정확하게는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도 2의 (b) 및 (c)에서와 같이 상하, 좌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특정 도형(예: 원, 네모, 삼각형 등)을 그리는 행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하여 서비스제공장치(130)는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는 4방위와 관련되는 방향(혹은 방위) 정보를 제공한다. 즉 자이로센서는 특정 방향으로 각도 혹은 각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가속도센서의 센싱 데이터는 속도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를 시간(t)에 대하여 미분 연산하면 속도값을 얻을 수 있고, 다시 속도값을 미분 연산하여 거리값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위는 지정 거리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속도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들고 내리는 행위를 보자. 지정 거리만큼 이동한 후 다시 반대 방향으로 리턴한다. 이러한 감지는 가령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들고 화장실을 가거나 매장을 나가는 동작과 구별할 수 있다. 후자의 행위는 거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며, 또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이러한 행위를 구분해 낼 수 있다. 즉 이러한 동작은 메뉴정보를 불러오거나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지정 행위의 동작과는 명확히 구분된다고 볼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음식점, 커피숍, 또는 의류매장 등의 다양한 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문이나 상품 판매를 위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이용할 수 있으며, 결제를 위해서는 인증방식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령 기존의 QR 코드를 인식하여 간편결제를 진행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음식점의 특정 테이블에 앉아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앱(예: 서비스 명은 쉐이킹오더, 댄싱오더, 흔들(기)주문 등)을 실행한 후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현재 위치하고 있는 매장의 메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메뉴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선결제를 진행하거나 후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재주문시에도 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가령 후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마이페이지 등을 통해 주문내역을 불러내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킨 경우 이를 근거로 자동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내부적으로 카드정보나 휴대폰 등에 의한 결제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움직임 정보를 근거로 결제모듈을 실행시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더 정확하게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가 특정 매장 내에 위치하고 있고, 결제를 진행하려는 주문이 해당 매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이미 인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조건이 만족하므로 가령 흔들기 동작을 통해서도 간편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가령 음식점을 방문하고 나갈 때 음식 주문이나 결제를 위해 줄을 서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후결제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흔들기 동작을 통해 주문메뉴의 화면에 접속하여 테이블에 앉아 결제를 진행하므로 결제를 위해 줄을 서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주문과 관련해서는 서비스업체에서 지정하는 행위 또는 행위 패턴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고, 또 매장의 관리자가 특정 행위를 선택하여 이를 통해 매장의 매뉴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지만, 결제의 경우에는 가령 후결제를 진행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행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종의 결제인증을 위한 암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간편 결제를 위해 지문인식을 하거나 QR 코드를 인식한 후 가격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주문 내역을 통해 결제 금액이 화면상에 불러내어 지므로, 그에 해당하는 금액을 간단히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지정 행위를 발생시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가령, 암호의 형태로 저장한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지정 조건을 만족하고, 지정 암호의 행위와 일치하면 간편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예: 신발)을 구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오프라인상에서 선택한 상품을 온라인상의 메뉴정보를 통해 해당 매장의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한 후 매장 안에서 결제를 진행함으로써 굳이 관리자의 결제단말 앞에서 기다리지 않고, 해당 정보를 관리자에게 확인시키는 동작만으로 구매한 상품을 들고 매장을 퇴장할 수 있어, 매우 상품구매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매장 단말장치(110)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알림이 통지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요약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이나 상품의 주문이나 결제를 다양한 형태로 진행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주문이나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고, 주문과 결제를 병행하여 이루어지거나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사용자들의 행위와 관련되는 다시 말해 주문이나 결제와 관련한 행위와 관련한 빅데이터를 수집하므로 이를 인공지능(AI)의 딥러닝 등을 통해 분석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사용자의 행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앞서서는 해당 행위의 반복 횟수를 근거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빅데이터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시간 변화에 따라 지금까지 행해온 행위를 분석함으로써 다시 말해 확률이나 통계적으로 특정 행위를 추출해 냄으로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분실되거나 도난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분실 여부를 예측하고 이의 경우에는 주민번호나 지인의 성명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근거로 결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40)는 서비스제공장치(13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로 연동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업체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장치(130)가 결제모듈을 탑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결제를 진행시키는 업체의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30)가 광고나 게임 등을 제공할 수 없다면 주문 및 결제가 완료된 후에 이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업체의 서버가 될 수 있다. SMS 문자를 발송하기 위한 업체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드파티장치(140)는 서비스제공장치(130)의 서비스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 서비스에 연계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물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업체의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을 제공하는 앱스토어 등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서비스제공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 매장 단말장치(110) 및 서드파티장치(1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해상도 변환 등의 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특정 매장, 더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매장에 방문한 경우 해당 매장의 주문과 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앱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별도의 앱스토어를 통해 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지만, 서비스제공장치(130)에서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앱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아닐 때 매장 단말장치(110)로부터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특정 매장을 방문했을 때, 매장 단말장치(110), 가령 출입문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나 액세스포인트(AP), 또는 매장 내 POS 단말장치 등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비콘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대한 식별정보를 취득한 후, 사용자들이 매장 내 테이블에 앉아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켜 메뉴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움직임을 감지하여 메뉴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 등을 통해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센싱 데이터를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매장 단말장치(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로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설정하느냐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경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메뉴정보를 제공하고, 또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어부(310)는 도 3을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310)는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축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 구축된 데이터를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 구축 동작은 위에서와 같은 데이터 전송의 행위 주체를 결정하고, 또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지정하는 과정일 수 있지만, 무엇보다 매장의 관리자가 서비스에 회원가입할 때 매장의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메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동작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매장의 식별정보나 메뉴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 가령 삭제나 갱신이 있는 경우 이러한 데이터 변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매장에 방문한 경우, 해당 매장 내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의 요청하에 주문이나 결제 등을 진행시킬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움직임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매장의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시킨 후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의 센싱 데이터 분석 결과 해당 행위가 유효 동작이라 판단될 때 이의 통지를 근거로 가령 도 1의 DB(130a)에서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를 근거로 메뉴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지만, 만약 음식점 등에서 주문한 메뉴에 대한 후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지정 조건의 만족 여부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간편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특정 매장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동작 단계에 있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결제 단계에 있고 결제를 위해 움직임 정보를 제공한 경우 이를 근거로 간편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10)는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결제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다. 물론 결제모듈은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특정 매장에서 주문만 내역을 불러내기 하지 않고, 편의점과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만 진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행위 패턴을 암호로 저장시킨 후 간편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지문인식과 같은 생체인증을 대신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식점에서 음식을 주문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메뉴정보를 제공받아 상품은 오프라인상에서 취득하고 결제는 온라인상에서 진행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제어부(310)는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와 연계하여 해당 매장에서 어떠한 주문이 있었는지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 조건과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는 기존의 인증을 대신하는 것이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결제를 위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움직임 정보가 발생하였지만 지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결제를 불허하는 것이다.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서비스가 제공되는 매장에 방문하였을 때 주문을 위한 메뉴정보를 제공하고 또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이벤트를 감지한다. 즉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가령, GPS 추적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를 추적하여 매장의 방문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GPS 추적을 위한 배터리 소모가 상당할 것이다. 또한, GPS 추적시 오차 범위가 넓어 어떠한 매장을 방문하였는지 정확히 탐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소지한 채 매장을 방문할 때 도 1에서와 같은 매장 단말장치(110)와의 통신에 의하여 주문이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앱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장치들간의 사물인터넷(IoT) 통신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앱을 실행할 때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주문이나 결제 요청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후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매장에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매장에 최초 방문시에 미리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나 프로그램을 전송한 후, 가령 펌웨어 형태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움직임 이벤트가 발생할 때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가 화면에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전에 방문하여 메뉴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메뉴정보를 화면에 활성화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지만, 날짜정보를 확인하여 그 이후에 갱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갱신된 메뉴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갱신 동작은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매장을 방문하지 않은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음식점을 방문한 경우, 앱을 실행하여 주문을 요청하는지를 감지한다. 가령 앱의 실행에 의해 통신을 위한 채널이 생성될 수도 있다.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앱의 실행이 있음을 감지하고 이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로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위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상에서 사용자들은 매장 내에서 관리자를 호출할 때 손을 들어보이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각도를 측정하여 지정 각도의 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회전동작이나 상하좌우의 직선동작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의 과정에서 행위의 반복성이나 거리, 속도,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번의 행위로 사용자가 주문을 요청한 행위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바로 메뉴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되도록 하지만, 구분이 어려운 경우에는 반복성이나 거리, 속도 등을 추가로 판단해 볼 수 있다. 행동 반경의 거리가 지정값을 벗어나지 않으면 주문을 요청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이용해 제1 방향과 그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흔드는 동작은 사용자들이 많이 행하는 동작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흔드는 동작, 즉 회전 동작이 감지되면 바로 메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직진동작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장실을 잠시 가거나 매장을 나가는 동작과 구분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판단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거리나 속도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근거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경우도 무관하다. 다만, 서비스를 좀더 간편하게 운영하기 위하여 앱을 실행한 후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음성인식을 병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의 경우에도 주문이나 결제에 관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앱을 실행한 후 음성으로 "메뉴줘"라고 발화하면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해당 시점에서, 물론 그 전에도 가능하지만 매장 단말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통신신호를 스캔하여 매장 단말장치(110)의 식별정보(예: 장치ID, 제조사정보, 모델정보 등)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위치하는 매장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스캔하여 취득한 매장 단말장치(110)의 모든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POS 단말장치나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음성인식을 통해서도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대신하여 해당 매장을 인식하여 메뉴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위의 스캔 동작은 앱을 실행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사용해 가령 음식점이나 커피숍 등의 테이블에 앉아 간단히 주문과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즉 앱을 실행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지정 행위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주문메뉴, 즉 메뉴정보를 제공받아 주문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테이블의 식별정보(예: 테이블 번호 등)를 입력할 수 있지만, 이러한 테이블 번호는 사전에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 추적을 통해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이블 식별정보를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나 데이터는 실무상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정보는 단순한 요청(req)이나 응답(ack)과 같은 제어신호를 의미하고, 데이터는 화소데이터나 센싱데이터와 같이 실질적인 동작에 관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데이터 패킷 구조로 볼 때 헤더(header)부와 페이로드(payload)부 중 어디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둘을 구분해 볼 수도 있다. 다만 실무적으로 센싱 데이터는 센싱 정보라 표현될 수도 있으므로 그러한 용어의 사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저장부(330)는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제어부(310)의 제어하여 저장한 센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룩업테이블(LUT)의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가령 룩업테이블상의 입력은 매장의 식별정보가 되고, 그에 매칭되는 출력은 즉 각 매장의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출력은 메뉴정보와 같은 화소데이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유효 행위라 판단될 때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매장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LUT상에 매칭되어 있는 메뉴정보 즉 메뉴 화소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처리를,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입력된 2진 비트정보가 어떠한 동작의 수행에 관련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해석은 룩업테이블(LUT)상의 좌측과 우측에 데이터를 매칭한 후 제어회로가 좌측 데이터를 근거로 우측의 데이터를 찾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서비스제공장치(130)의 초기 구동시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320)의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매장의 식별정보와 주문메뉴(혹은 메뉴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S400). 이러한 동작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구축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의 식별정보는 매장 내에 구비되는 POS 단말장치나 출입문에 구비되는 적외선센서, 또 매장 내에 설치되는 무선공유기 등의 액세스포인트 등 다양한 장치의 장치ID가 식별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장치의 식별정보는 매장의 관리자가 복수의 식별정보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유번호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유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메뉴 주문시 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등록시에 매장의 도면 데이터를 제공하여 구역을 설정하고, 또 그 구역(예: 사각형)의 꼭지점 등에 대한 좌표정보를 설정한 경우에는 해당 구역의 좌표값 내의 범위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가 추적될 때 이의 경우에도 위치 인식을 통해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주문메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의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구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특정 매장에 방문한 후 지정 행위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움직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10).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앱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설계된 경우 앱을 실행한 후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앱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신호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앱을 실행하는 경우 움직임 대신 음성명령어를 발화하는 등의 동작이 대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내부적으로 탑재되는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비콘신호 등을 통해 주변의 매장 단말장치(110)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고, 매장 단말장치(110)는 이를 분석하거나 또는 서비스제공장치(130)로 분석을 위해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앱을 실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될 때 센싱 데이터를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전송한다(S420).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기저장한 매장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거나 움직임이 발생한 시점에서 매장 단말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식별정보를 스캔하여 수집한 후 선별적으로 또는 수집한 모든 식별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POS 단말장치와 같은 특정 매장 단말장치(110)만 타겟팅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이 지정 행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430). 즉 해당 매장의 메뉴정보를 제공하기에 유효한 행위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유효 행위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유효 행위로 판단될 때, 해당 매장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메뉴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440).
이후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주문 및 결제 동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S450), 주문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내역을 매장의 매장 단말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450). 여기서, 결제는 선결제와 후결제 중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문과 함께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후결제로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식사의 완료 후에 후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지정 조건을 판단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후결제는 주문 메뉴에 접속하여 마이페이지 등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지 않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후결제를 위하여 가령 기존의 QR 코드를 인식해야 하는 매장에서의 행위는 많은 번거로움을 발생시키므로, 단순히 결제만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편의점 등에서 결제를 진행하고자 지문을 인식시켜야 하는 행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기반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상에서 주문 내역이 있고, 나아가 해당 매장에 위치하는 등의 지정 조건을 만족할 때, 움직임 기반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4의 사용자 단말장치(100), 매장 단말장치(110) 및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임의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S500).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매장을 방문한 경우 다양한 형태로 매장의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매장 단말장치(1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매장을 방문했을 때 POS 단말장치나 액세스포인트 등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여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경우가 아니라면, 앱을 실행하는 시점에서 매장 내 주변 매장 단말장치(110)를 스캔하여 스캔에 의해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스캔 과정에서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가 수집될 수도 있으므로,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ID는 수집하지 않거나 수집 후 삭제시킬 수 있다. 가령, POS 단말장치나 무선공유기와 같은 유형의 장치에 대한 장치ID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 행위가 감지될 때 매장의 주문메뉴(혹은 메뉴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거나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S510). 이의 과정에서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지정 조건을 더 판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매장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지만, 주문한 내역이 있는지 혹은 기저장한 주문 내역을 결제를 위해 불러내기를 하였는지 등을 판단한 후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매장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서비스제공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
330: 저장부
120: 통신망 130: 서비스제공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움직임기반 동작처리부
330: 저장부
Claims (15)
- 임의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 행위가 감지될 때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행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회전동작, 상하동작 및 좌우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는 서비스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행위의 거리, 방향,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여 상기 주문메뉴의 제공 또는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서비스제공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는 서비스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각 매장의 식별정보와 주문메뉴를 매칭해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행위를 발생시키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매장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메뉴 주문시 입력하는 테이블 정보를 근거로 상기 매장 내 테이블 주문 내역을 처리하는 서비스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매장 내에서 주문한 내역을 불러내기하여 결제를 요청할 때 상기 지정 행위에 의한 결제를 처리하는 서비스제공장치. -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임의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 행위가 감지될 때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행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회전동작, 상하동작 및 좌우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행위의 거리, 방향,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여 상기 주문메뉴의 제공 또는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저장부가, 각 매장의 식별정보와 주문메뉴를 매칭해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행위를 발생시키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매장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메뉴 주문시 입력하는 테이블 정보를 근거로 상기 매장 내 테이블 주문 내역을 처리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매장 내에서 주문한 내역을 불러내기하여 결제를 요청할 때 상기 지정 행위에 의한 결제를 처리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은,
임의 매장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 행위가 감지될 때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매장의 주문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532A KR20210136772A (ko) | 2020-05-09 | 2020-05-09 |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532A KR20210136772A (ko) | 2020-05-09 | 2020-05-09 |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772A true KR20210136772A (ko) | 2021-11-17 |
Family
ID=7870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532A KR20210136772A (ko) | 2020-05-09 | 2020-05-09 |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36772A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7910A (ko) | 2009-10-31 | 2011-05-09 | 김청노 | 휴대폰을 이용한 음식 주문 방법 |
KR20130044096A (ko) | 2011-10-21 | 2013-05-02 | 브이피 주식회사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140000520A (ko) | 2012-06-22 | 2014-01-03 | 안만근 | 모바일(휴대폰)을 이용한 실시간 주문정보 관리 시스템 |
KR20160060185A (ko) | 2014-11-19 | 2016-05-30 | 주식회사 인텐스 네트웍스 | 음식 주문 방법 |
KR101774503B1 (ko) | 2015-07-15 | 2017-09-05 | 김정임 | 핀 테크를 이용한 음식 주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식 주문 시스템 |
-
2020
- 2020-05-09 KR KR1020200055532A patent/KR2021013677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7910A (ko) | 2009-10-31 | 2011-05-09 | 김청노 | 휴대폰을 이용한 음식 주문 방법 |
KR20130044096A (ko) | 2011-10-21 | 2013-05-02 | 브이피 주식회사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140000520A (ko) | 2012-06-22 | 2014-01-03 | 안만근 | 모바일(휴대폰)을 이용한 실시간 주문정보 관리 시스템 |
KR20160060185A (ko) | 2014-11-19 | 2016-05-30 | 주식회사 인텐스 네트웍스 | 음식 주문 방법 |
KR101774503B1 (ko) | 2015-07-15 | 2017-09-05 | 김정임 | 핀 테크를 이용한 음식 주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식 주문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34666B2 (en) | Physical shopping chart-to-mobile device associations | |
US20230017398A1 (en) | Contextually aware customer item entry for autonomous shopping applications | |
CN110462669B (zh) | 自动化购物环境内的动态顾客结账体验 | |
US10522017B1 (en) | Remote trigger for security system | |
US9306660B2 (en) | Dynamic interactive zone driven proximity awareness system | |
KR101741592B1 (ko) | 위치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CN105917246B (zh) | 无需测距的接近度确定 | |
CN103891318B (zh) | 对等设备支持的基于位置的服务提供者登记 | |
KR100754548B1 (ko) | 전자 태그 위치 측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
EP3012797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content receiver recommendation service | |
KR20190053878A (ko) | 주문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 |
US12079858B1 (en) | Seamless user retail experience based on location | |
US11087425B2 (en) | Robot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 |
KR20120014480A (ko) |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
US9607296B2 (en) | System for automation and efficient execution of tasks related to mobile POS in retail business | |
CN109479229A (zh) | 使用自动驾驶运输工具提供无线互联网访问 | |
EP3579172A1 (en) | System and methods of searching for a product using hyper-local location techniques | |
US20140209687A1 (en) | Camera Time Out Feature For Customer Product Scanning Device | |
WO201311689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
CN109889655A (zh) | 移动装置与用于建立无线链路的方法 | |
US10360573B1 (en) | Interactions platform | |
CN106910077B (zh) | 目标物信息查询方法及装置 | |
KR20210136772A (ko) |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20200126624A (ko) | Qr 코드 또는 이미지 스캔 방식의 모바일주문 플렛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US1140576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product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