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719A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719A
KR20210136719A KR1020200055375A KR20200055375A KR20210136719A KR 20210136719 A KR20210136719 A KR 20210136719A KR 1020200055375 A KR1020200055375 A KR 1020200055375A KR 20200055375 A KR20200055375 A KR 20200055375A KR 20210136719 A KR20210136719 A KR 20210136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oven
cooking space
antennas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형
심성훈
채윤병
백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719A/ko
Priority to EP20212725.4A priority patent/EP3908081B1/en
Priority to US17/117,385 priority patent/US11985753B2/en
Publication of KR2021013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2Radiators or antenn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7Feed lines using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조리공간의 내부에서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상부프레임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리공간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통전되어 전파를 생성하는 전파생성부로부터 전파를 전달받아 상기 조리공간을 향해 방사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는 폐영역을 형성하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에는 복수개의 개소에 접촉되도록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히팅부가 설치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oven)이란, 조리재료를 밀폐한 후 가열하여 열로 음식을 익히는 조리기구를 통칭한다.
오븐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재료를 가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microwave), 적외선(Infrared) 또는 대류(convection)를 이용하여 조리재료를 가열할 수 있다.
이중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방식의 오븐을 마이크로 오븐(전자레인지(microwave range))라고 한다. 마이크로 오븐은 그 구조의 간단하고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 오븐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조리재료가 수용된 후 조리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마이크로파가 유입되게 된다. 마이크로파는 외부전원에 의해 형성되고 도파관(waveguide)을 지나 오븐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내부 공간에는 전자기파 방사 장치가 구비된다. 전자기파 방사 장치는 도파관을 통해 유입된 마이크로파를 오븐의 내부공간으로 방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방사된 마이크로파는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금속 소재의 내벽 등과 충돌하면서 내부에 위치되는 조리재료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기파 방사 장치로는 안테나(antenn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파 방사 장치의 일부분은 연결 커넥터에 의해 도파관과 연결되고, 전자기파 방사 장치의 다른 일부분은 소형화를 위해 오븐의 내부 공간의 내벽에 배치되어 접지(earth)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라운드(ground)에 각각 연결된다.
그라운드 효과에 의해 실제 전자기파 방사 장치의 길이에 비해 낮은 대역의 전자기파가 전자기파 방사 장치를 통해 방사될 수 있으며, 전자기파 방사 장치에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부분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최대의 방사 효율을 갖는 대역이 단일 대역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오븐은 다양한 조리재료의 가열에 사용되며, 조리재료가 가열되는 효율이 좋은 최적의 주파수 대역은 조리재료의 종류 및 요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선행문헌 1(미국 등록특허문헌 US 6649890 B1)은, 마이크로오븐에 관한 것으로, 히터 요소가 설치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히터 요소는 내부부분, 외부부분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교차부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도파관을 이용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리공간 내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져 히팅요소 설치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히터요소의 형상 변경을 통해 히터에 의한 간섭을 제한하게 되므로, 균일한 조리 성능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2 (미국 등록특허문헌 US 9967925 B2)는 방사부를 구비하는 오븐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오븐은 일 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중간 부분이 도파관과 연결되며, 타 단이 방사부로 형성되는 안테나를 구비한다. 다만, 선행문헌에는 하나의 방사부가 조리공간의 내부에 노출되어 있어 조리재료에 의해 안테나가 오염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에, 조리공간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충분한 조리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조리공간을 향해 전자기파가 조사되어, 최적의 가열 효율을 제공 및 안테나의 오염과 그 손상을 제한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 등록특허문헌 US6649890B1 미국 등록특허문헌 US9967925B2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히팅부에 의해 조리공간의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오븐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복수의 대역에서 최적의 방사 효율을 갖는 안테나 간의 상호 간섭을 제한하면서도 조리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안테나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븐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은, 내부에 조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조리공간의 내부에서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상부프레임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리공간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통전되어 전파를 생성하는 전파생성부로부터 전파를 전달받아 상기 조리공간을 향해 방사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는 폐영역을 형성하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에는 복수개의 개소에 접촉되도록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부는, 복수개의 개소에서 벤딩되도록 이루어져,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방부로부터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방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제1 부재를 따라 연장되고, 복수개의 개소에서 벤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히팅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후방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히팅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일 측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안착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복수개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와 복수개의 개소에서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후방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제2 고정부재보다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부재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제3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전방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 측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안테나를 수용하며, 상기 안테나가 상기 조리공간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포밍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부는, 상기 포밍부보다 상기 조리공간의 내부를 향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밍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 측에 상기 안테나가 위치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를 덮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각 안테나는 일정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밍부는 상기 각 안테나를 수용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함몰부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함몰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의 상기 조리공간을 향해 위치되는 외측면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는, 외부 전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딩부와, 그라운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지부; 및 상기 피딩부와 접지부를 연결하고 전파를 방사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부는 일정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복수개의 개소에서 일정한 각도로 벤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해결 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히팅부에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히팅부의 뒤틀림과 견고한 지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파 성능의 개선으로 조리공간의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대역에서 최적의 방사 효율을 갖는 안테나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안테나는 포밍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조리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각 안테나 간의 간섭이 제한될 수 있으며, 조리 공간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더라도 안테나의 오염과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오븐의 작동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조리공간의 상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히팅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조리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팅부와 안테나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히팅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부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조리공간의 내부를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부재에 안착부가 설치되는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지지부재 상에 안착부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오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100)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오븐(100)의 작동을 위한 개념도이다.
오븐(oven, 1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조리재료(10)를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븐(100)은, 일반적인 오븐(100)에 대비하여 조리 속도가 빠른 주파수를 이용한 복합 가열 오븐(100)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븐(100)은, 전파생성부에서 발생되어 안테나(131, 132)를 통해 조리공간(S)에 입사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조리재료(10)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전파는 그 주파수가 3 KHz 내지 106 MHz인, 적외선 이상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 파(micro wave)를 의미할 수 있다.
오븐(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조리공간(S)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140), 조리공간(S)을 향해 전파를 전달하는 안테나(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case)를 의미하는 것으로, 내부에 조리 대상인 조리재료(10)가 수용되도록 조리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조리재료(10)를 수용되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리공간(S)은 캐비티(cavity)라고 지칭되기도 하며, 조리공간(S)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도어(미도시)가 개방됨에 따라 외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내부에 조리재료(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하우징(110)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안테나(131, 132)에서 방사되는 전파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접촉하였을 때,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10)은 내열성 소재로 형성되어, 조리공간(S)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10)은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우징(110)에 수용되는 전파생성부(미도시)가 외부의 전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조리공간(S)의 내부에서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1)은, 조리공간(S)의 내부에서 상부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프레임(111)에는 안테나(131, 132)가 결합 설치될 수 있으며, 안테나(131, 132)는 상부프레임(11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안테나(131, 132)는 조리공간(S)의 상측에서 전파를 방사할 수 있게 된다.
히팅부(140)는, 조리공간(S)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리공간(S)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조리공간(S)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공간(S)에 수용된 조리재료(10)에 골고루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히팅부(140)는 상부프레임(111)에 고정 설치되어 조리공간(S)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히팅부(140)는 하우징(110)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조리공간(S)으로 노출될 수 있을 것이다.
히팅부(140)는, 상부프레임(111)을 따라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히팅부(140)와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안테나(131, 132)는, 조리공간(S)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파생성부에서 생성된 전파를 조리재료(10)를 가열하기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파생성부는 도선부재(미도시)에 의해 유선의 방식으로 외부의 전원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제너레이터모듈(미도시)에 의해 조리공간(S)에 입사될 전파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너레이터모듈(미도시)은,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파동 형태의 전파로 변환하고, 변환되는 전파의 세기, 위상 및 주파수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너레이터모듈(미도시)은 반도체 오실레이터(oscillator) 기능을 가진 SSPM(Solid State Power Module)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븐(100)은, DC 전원공급장치에서 발생한 전원이 SSPM(Solid State Power Module)에 공급되어, 파동 형태의 전파로 변환되어, SSPM과 연결된 안테나(131, 132)에 의해 조리공간(S)으로 전파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안테나(131, 132)는, 상기 상부프레임(111)의 일 측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통전되어 전파를 생성하는 전파생성부로부터 전파를 전달받아 상기 조리공간(S)을 향해 방사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131, 132)는 전파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세기, 위상 및 주파수가 조절된 전파를 전달하게 된다.
안테나(131, 132)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안테나(131, 132)는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각 안테나(131, 13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조리공간(S)을 향해 전파를 입사하게 되므로, 조리공간(S)에 수용된 조리재료(10)를 향해 다양한 위치에서 전파가 입사될 수 있어, 조리재료(10)는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안테나(131, 132)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안테나(131, 132)의 개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안테나(131, 132)가 두 개를 초과하여 구비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각 안테나(131, 132)가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것이다.
각 안테나(131, 132)는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각 안테나(131, 13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조리공간(S)을 향해 전파를 입사하게 되므로, 안테나(131, 132)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안테나(131, 132)에서 발산된 전파가 조리공간(S)의 내부에서 반사된 전파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리공간(S)의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111)에 포밍부(121, 122)가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각 안테나(131, 132)는 안테나(131, 132)에서 발산된 전파가 다른 안테나(131, 132)에 입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포밍부(121, 122)는, 상부프레임(111)의 일 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131, 132)를 수용하여 안테나(131, 132)가 상기 조리공간(S)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은, 조리공간(S)의 상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히팅부(140)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조리공간(S)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팅부(140)와 안테나(131, 132)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6은, 히팅부(14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부프레임(111)에는 안테나(131, 132)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131, 132)는 조리공간(S)의 상측에서 조리재료(10)를 향해 전파를 방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히팅부(140)는, 조리공간(S)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상기 조리공간(S)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히팅부(140)는, 상기 포밍부(121, 122)보다 상기 조리공간(S)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히팅부(140)는 조리공간(S)을 가열하는 것으로, 조리공간(S)에 수용된 조리재료(10)에 골고루 열을 전달하도록 상부프레임(111)의 전체 면적에 골고루 분포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팅부(140)는, 상부프레임(111)에 인접한 위치에서 폐영역을 형성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를 포함되고, 히팅부(140)에는 복수개의 개소에서 접촉되도록 지지부재(145)가 설치될 수 있다.
히팅부(140)는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에 의해 일정한 히팅 패턴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재(141)는 상부프레임(111)의 후방으로부터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재(142)는 제1 부재(141)의 내측에 위치되고, 복수개의 개소에서 벤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일정한 히팅 패턴을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는 상부프레임(111)의 면적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이루어져, 각각 균일한 부하 가열과 가열 효율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부재(141)는 상부프레임(111)의 후방부로부터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일정한 폐영역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재(142)는, 상부프레임(111)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부재(141)의 내측에서 복수개의 개소에서 벤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한 폐영역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재(142)의 형상에 의해, 조리재료(10)의 조리 과정 중 균일한 요리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제2 부재(14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2a)와,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벤딩되도록 이루어지는 굴곡부(14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재(142)는, 복수개의 개소에서 굴곡부(142b)에 의해 벤딩되는 구조를 가지며 폐영역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는 후방부의 일 단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지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는 후방부가 히팅부 브라켓(143)에 의해 각각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히팅부 브라켓(143)은 하우징(110)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히팅부 브라켓(143)은,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는 후방부의 일 단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미도시) 보다는 전방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히팅부 브라켓(143)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히팅부 브라켓(143)은 상부프레임(111)의 후방부에 제1 부재(141) 및 제2 부재(142)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의 후방부는 히팅부 브라켓(143)에 형성되는 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히팅부 브라켓(143)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는 복수개의 개소에서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는 복수개의 개소에 설치되어, 히터부(140)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부재(141) 또는 제2 부재(142)와 복수개의 개소에서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는 히팅부(140)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저항을 낮추는 역할을 하여, 안테나(131, 132)에서 방사되는 전파에 의한 에너지가 히팅부(140)를 구성하는 제1 부재(141) 및 제2 부재(142)의 가열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는 면저항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도록, 별도의 클립 형상의 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히팅부(140)에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히팅부(140)의 좌우측 복수개의 개소에 비대칭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의 이러한 배치 구조는 안테나(131, 132)에서 방사되는 전파의 주파수별 RF 에너지의 조리재료의 가열 패턴이 상이하게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안테나가 방사하는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균일한 가열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는, 제1 부재(144a), 제2 부재(144b), 제3 부재(144c), 제4 부재(144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고정부재(144a, 144b, 144c, 144d)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히팅부(140)의 일 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44a)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의 후방부에서 횡방향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44a)는 히팅부 브라켓(143) 보다는 전방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44a)는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 부재(141) 및 제2 부재(142)와 각각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44a)는 안테나(131, 132) 가열 성능의 확보와 함께 히팅부(140)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2 고정부재(144b)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bar)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고정부재(144b)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2 고정부재(144b)는 제1 고정부재(144a)와 교차되는 방향인 종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 부재(141) 및 제2 부재(142)와 각각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재(144b)는 제1 고정부재(144a) 보다 전방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2 고정부재(144b)는 제1 고정부재(144a)를 기준으로 전방부 우측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제2 고정부재(144b)는 안테나(131, 132)의 성능을 고려하여 제1 고정부재(144a)를 기준으로 전방부 좌측에 설치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고정부재(144b)는 제1 부재(141) 및 제2 부재(142)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안테나(131, 132) 가열 성능의 확보와 함께 히팅부(140)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3 고정부재(144c)는 제2 부재(142) 간의 연결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고정부재(144c)는 히팅부(14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 부재(142)의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연장부(142a)에 각각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고정부재(144c)는, 제2 부재(142)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각 굴곡부(142b) 보다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고정부재(144c)는 제2 부재(14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안테나(131, 132) 가열 성능의 확보와 함께 히팅부(140), 특히 제2 부재(142)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4 고정부재(144d)는,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의 전방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4 고정부재(144d)는 히팅부(140)의 전방부에서 제1 부재(141) 및 제2 부재(142)의 일 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안테나(131, 132) 가열 성능의 확보와 함께 히팅부(140)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4 고정부재(144d)는 제3 고정부재(144c) 보다 전방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3 고정부재(144c)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히팅부(140)에는 복수개의 개소에서 접촉되도록 지지부재(14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는 지지부재(1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14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히팅부(140)의 좌측단에서 우측단을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45)는 제4 고정부재(144d) 보다는 후방부에 설치된다. 지지부재(145)는 제3 고정부재(144c)와 제4 고정부재(144d)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45)는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를 가로 지르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45)는 제1 부재(141) 및 제2 부재(142)와 각각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45)의 일 측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부프레임(111)에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안착부(145a, 145b)가 결합될 수 있다.
안착부(145a, 145b)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면이 상부프레임(111)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착부(145a, 145b)를 통해 지지부재(145)는 상부프레임(1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착부(145a, 145b)는 상부프레임(111)에 접촉하여 접지 역할을 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부(145a, 145b)는, 상부프레임(111)과 결합되어, 접지 또는 그라운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안착부(145a, 145b)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지지부재(145)의 복수개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안착부(145a, 145b)는 지지부재(145) 상에서 안테나(131, 132)의 피딩부(131a, 132a)와 접지부(132a, 132b)를 연결하는 가상의 종방향의 선과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부재(145)의 안착부(145a, 145b)를 통해, 접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의 각 주파수 상의 최고 온도를 낮출 수 있어, 각 안테나(131, 132)의 주파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조리공간(S)의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111)에는 복수개의 안테나(131, 13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안테나(131, 132)는 히팅부(140)가 형성하는 폐영역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안테나(131, 13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안테나(131, 132)는, 상부프레임(111)에 형성되는 포밍부(121, 122)에 위치되어, 각 안테나(131, 132)에서 발산된 전파가 다른 안테나(131, 132)에 입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포밍부(121, 122)는, 제1 안테나(131)가 위치되기 위한 제1 포밍부(121)와, 제2 안테나(132)가 위치되기 위한 제2 포밍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31, 132)는 SSPM으로 이루어지는 제네레이터모듈에서 생성 및 조절된 전파를 조리공간(S)을 향해 입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131, 132)는 전파생성부와 연결되는 피딩부(132a)와,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접지부(132b) 및 방사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부(132a)는, 전파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전파를 전송하는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피딩부(132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딩부(132a)는 중공형의 몸체의 내부에는 전파생성부(미도시)에서 연장되는 도파관과 결합되는 통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통전부재는 동(cooper) 또는 황동(bras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부(132b)는, 그라운드(ground)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131, 132)의 접지부(132b)가 그라운드와 연결됨에 따라 낮은 대역의 전파가 효율적으로 방사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대역의 전파를 최적의 효율로 방사하게 됨으로써 안테나(131, 132)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안테나(131, 132)가 제1 안테나(131) 및 제2 안테나(132)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접지부(132b)는 그라운드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접지부(132b)는 중공형의 몸체의 내부에는 그라운드의 단자와 결합되는 통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통전부재는 동(cooper) 또는 황동(brass)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피딩부(132a)의 상하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접지부(132b)의 상하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방사부(132c)는, 피딩부(132a)와 접지부(132b)를 연결하여, 전파를 방사하는 역할을 한다. 방사부(132c)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서, 예를 들어, 방사부(132c)는 알루미늄(Al), 금(Au), 은(Ag)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방사부(132c)의 전체 길이는 방사하는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방사부(132c)의 전체 길이와 맞지 않는 대역의 전파가 방사부(132c)를 통해 방사될 경우, 전파 방사 효율이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방사부(132c)의 전체 길이는 접지부(132b)와 피딩부(132a) 사이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 및 절곡되도록 이루어지는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부프레임(111)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상부프레임(111)의 단면도이다.
조리공간(S)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부프레임(111)에는 안테나(131, 132)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131, 132)는 조리공간(S)의 상측에서 조리재료(10)를 향해 전파를 방사하여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만, 조리공간(S)의 상부에 안테나(131, 132)가 설치되면, 안테나(131, 132)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히팅부(140)에 의한 고열과 조리공간(S)에서 조리되는 조리재료(10)에 의해 안테나(131, 132)의 오염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00)은, 상부프레임(111)의 일 측에는 안테나(131, 132)가 수용되도록 포밍부(121, 122)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포밍부(121, 122)는 상부프레임(111)의 일 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포밍부(121, 122)에는 안테나(131, 132)를 수용될 수 있어, 안테나(131, 132)가 조리공간(S)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포밍부(121, 122)는 함몰부(121a, 122a)와 덮개부(121b, 122b)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21a, 122a)는 상부프레임(111)의 일 측에 상기 안테나(131, 132)가 위치되도록 상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이루어져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함몰부(121a, 122a)는 상부프레임(111)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한 깊이를 가지도록 사각형의 형상으로 함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함몰부(121a, 122a)의 형성 깊이는, 대략 λ/9 내지 λ/10의 깊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λ는 안테나(131, 132)에 의해 방사되는 주파수를 통해 얻어지는 파장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함몰부(121a, 122a)는 주파수가 915MHz 일때 대략 30~40mm의 함몰 깊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함몰부(121a, 122a)의 길이는 안테나(131, 132)의 방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대략 λ/2의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함몰부(121a, 122a)의 폭은 히팅부(14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몰부(121a, 122a)와 상하 중첩되도록 좌우폭이 대략 10m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λ는 안테나(131, 132)에 의해 방사되는 주파수를 통해 얻어지는 파장값을 의미한다.
함몰부(121a, 122a)는 조리공간(S)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이루어져, 안테나(131, 132)가 함몰부(121a, 122a)에 설치되도록 일정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함몰부(121a, 122a)의 수용 공간에 안테나(131, 132)가 위치되므로, 안테나(131, 132)는 조리공간(S)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덮개부(121b, 122b)는, 일정한 금속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함몰부(121a, 122a)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덮개부(121b, 122b)는 함몰부(121a, 122a)의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부(121b, 122b)는 함몰부(121a, 122a)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안테나(131, 132)의 외부 노출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덮개부(121b, 122b)는 상부프레임(111)의 저면부에 상기 함몰부(121a, 122a)를 덮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덮개부(121b, 122b)는 상기 상부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조리공간(S)을 향해 돌출되지 않도록, 덮개부(121b, 122b)의 상기 조리공간(S)을 향해 위치되는 외측면이 상부프레임(111)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덮개부(121b, 122b)는, 함몰부(121a, 122a)에 수용된 안테나의 투광도를 제한하도록, 불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포밍부(121, 122)에 수용된 각 안테나(131, 132)는, 조리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덮개부의 불투광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각 안테나(131, 132)를 볼 수 없어, 일체감 있는 오븐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포밍부(121, 122)는 각 안테나(131, 132)를 수용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포밍부(121, 122)에는 각 안테나(131, 132)가 수용되도록, 상기 안테나(131, 132)의 전체 형상에 대응되게 조리공간(S)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함몰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복수개의 포밍부(121, 122)에는 안테나(131, 132)가 각각 위치되므로, 조리공간(S)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밍부(121, 122)에 의해, 각 안테나(131, 132) 간에는 서로 구분되는 벽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각 안테나(131, 132)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131, 132)가 조리 공간을 향해 돌출될 경우, 안테나(131, 132)는 -2 내지 -3dB의 상호 커플링이 이루어지게 되나, 포밍부(121, 122)에 안테나(131, 132)가 위치될 경우, 안테나(131, 132)는 -6 내지 -8dB의 상호 커플링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 9a와 도9b는 조리공간(S)의 내부를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부재(145)에 안착부(145a, 145b)가 설치되는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지지부재(145) 상에 안착부(145a, 145b)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안착부(145a, 145b)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지지부재(145)의 복수개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안착부(145), 145b)는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와는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안착부(145a, 145b)는 지지부재(145) 상에서 안테나(131, 132)의 피딩부(131a, 132a)와 접지부(132a, 132b)를 연결하는 가상의 종방향의 선과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부재(145)의 안착부(145a, 145b)를 통해, 접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의 각 주파수 상의 최고 온도를 낮출 수 있어, 각 안테나(131, 132)의 주파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각 안착부(145a, 145b)가 지지부재(145) 상에서 각 안테나(131, 132)의 종방향의 선과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는 각 작동 주파수에서 최고 온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131)는 902㎒일 때, 44.5℃ 의 최고 온도를, 914㎒일 때 38.3℃의 최고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24㎒ 일때, 72.2℃의 최고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2 안테나(132)는, 908㎒일 때, 38.6℃ 의 최고 온도를, 914㎒일 때 45.4℃의 최고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22㎒ 일때, 48.6℃의 최고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안착부(145a, 145b)는 지지부재(145) 상에서 안테나(131, 132)의 피딩부(131a, 132a)와 접지부(132a, 132b)를 연결하는 가상의 종방향의 선과 교차되는 위츨 벗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안착부(145a, 145b)는 지지부재(145) 상에서 안테나(131, 132)의 피딩부(131a, 132a)와 접지부(132a, 132b)를 연결하는 가상의 종방향의 선을 벗어나 지지부재(145) 상에서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지부재(145)의 안착부(145a, 145b)를 통해, 접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의 각 주파수 상의 최고 온도를 낮출 수 있어, 각 안테나(131, 132)의 주파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각 안착부(145a, 145b)가 지지부재(145) 상에서 각 안테나(131, 132)의 종방향의 선과 교차되는 위치를 벗어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각각 설치될 경우, 제1 안테나(131)와 제2 안테나(132)는 각 작동 주파수에서 최고 온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131)는 905㎒일 때, 43.5℃ 의 최고 온도를, 909㎒일 때 48.7℃의 최고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21㎒ 일때, 52.2℃의 최고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2 안테나(132)는, 906㎒일 때, 58.2℃ 의 최고 온도를, 910㎒일 때 53.2℃의 최고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21㎒ 일때, 52.1℃의 최고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착부(145a, 145b)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145)의 복수개의 개소(146)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45) 상에 안착부(145a, 145b)가 설치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2 개소 이상에 안착부(145a, 145b)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때, 각 안착부(145), 145b)는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와는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부프레임(111)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내부에 조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조리공간의 내부에서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상부프레임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리공간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통전되어 전파를 생성하는 전파생성부로부터 전파를 전달받아 상기 조리공간을 향해 방사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는 폐영역을 형성하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에는 복수개의 개소에 접촉되도록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복수개의 개소에서 벤딩되도록 이루어져,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방부로부터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방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제1 부재를 따라 연장되고, 복수개의 개소에서 벤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후방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히팅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 측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안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복수개의 개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와 복수개의 개소에서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후방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제2 고정부재보다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부재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제3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전방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 측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안테나를 수용하며, 상기 안테나가 상기 조리공간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포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포밍부보다 상기 조리공간의 내부를 향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 측에 상기 안테나가 위치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를 덮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테나는 일정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상기 각 안테나를 수용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기 조리공간을 향해 위치되는 외측면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외부 전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딩부와, 그라운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지부; 및
    상기 피딩부와 접지부를 연결하고 전파를 방사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일정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복수개의 개소에서 일정한 각도로 벤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KR1020200055375A 2020-05-08 2020-05-08 오븐 KR20210136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75A KR20210136719A (ko) 2020-05-08 2020-05-08 오븐
EP20212725.4A EP3908081B1 (en) 2020-05-08 2020-12-09 Oven
US17/117,385 US11985753B2 (en) 2020-05-08 2020-12-10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75A KR20210136719A (ko) 2020-05-08 2020-05-08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19A true KR20210136719A (ko) 2021-11-17

Family

ID=7378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375A KR20210136719A (ko) 2020-05-08 2020-05-08 오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5753B2 (ko)
EP (1) EP3908081B1 (ko)
KR (1) KR202101367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9890B1 (en) 2002-11-20 2003-11-18 Maytag Corporation Microwave cooking appliance incorporating electric heating element
US9967925B2 (en) 2012-09-13 2018-05-08 Goji Limited RF oven with inverted F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2244A (en) * 1960-07-05 1964-10-06 Wiegand Co Edwin L Pivoted heater assembly
US5237141A (en) * 1990-07-17 1993-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wave detector for use i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US5619982A (en) * 1995-07-31 1997-04-15 Mayta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owndraft cooking vapor withdrawal system
US6229131B1 (en) * 1996-07-22 2001-05-08 Kontract Product Supply, Inc. Microwave cooking grill and steamer
US6933472B1 (en) * 2003-11-14 2005-08-23 Blodgett Holdings, Inc. Electric convection oven
US7015443B2 (en) * 2004-04-15 2006-03-21 Maytag Corp. Sheathed electric heating element support bracket for RF cooking applications
WO2012011233A1 (ja) * 2010-07-20 2012-0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装置
US10571133B1 (en) * 2016-06-14 2020-02-25 Brown Stove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bake and broil elements in an electric oven
CN110151001A (zh) * 2019-05-31 2019-08-2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9890B1 (en) 2002-11-20 2003-11-18 Maytag Corporation Microwave cooking appliance incorporating electric heating element
US9967925B2 (en) 2012-09-13 2018-05-08 Goji Limited RF oven with inverted F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8081A1 (en) 2021-11-10
US20210352780A1 (en) 2021-11-11
US11985753B2 (en) 2024-05-14
EP3908081B1 (en)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5380C2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и волновод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использующего высокую частоту излучения
WO2013018244A1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100368943B1 (ko) 전자렌지
JP5884093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5152971B2 (ja) 加熱調理器
US4185181A (en) Microwave oven
WO2012052248A1 (en) Microwave oven cavity and microwave oven
KR950013271B1 (ko) 마이크로파 오븐용 삼각형 안테나 어레이
CA1118844A (en) Combination microwave oven with a multi-port radiator
KR20210136719A (ko) 오븐
JP2004265616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CA1134449A (en) Microwave oven having rotating conductive radiators
KR101840684B1 (ko) 전자 레인지 및 그의 방사 모듈
KR20210136717A (ko) 복수 개의 안테나를 갖는 오븐
JP2004327293A (ja) 高周波加熱装置
CA1114453A (en) Combination microwave and resistively heated oven
US4314127A (en) Microwave oven with rotating multiport radiator
JP2017528884A (ja) パッチアンテナを介した直接加熱
US11950350B2 (en) Radio wave radiating device and oven having same
CN113507757A (zh) 微波烹饪器具
KR100896311B1 (ko) 전자레인지의 그릴히터 장치
KR102180507B1 (ko) 안테나가 구비된 열선을 이용한 복합 가열 장치
KR100662304B1 (ko) 전자 레인지
JP5169015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100861948B1 (ko) 가열 조리기기의 전자파 차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