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697A -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 Google Patents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697A
KR20210136697A KR1020200055309A KR20200055309A KR20210136697A KR 20210136697 A KR20210136697 A KR 20210136697A KR 1020200055309 A KR1020200055309 A KR 1020200055309A KR 20200055309 A KR20200055309 A KR 20200055309A KR 20210136697 A KR20210136697 A KR 20210136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time
clothes
speed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인우
배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697A/en
Publication of KR2021013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6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0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detect at least one of a dehydration rate and a drying time and change a dehydration time or speed in the currently performed dehydration cycle or change a dehydration time or speed in a dehydration cycle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hydration step for dehydrating laundry at a dehydration speed for a dehydration time, the dehydration speed and time stored in a control unit; a detection step for changing the rotation speed of a drum during the dehydration step to detect the dehydration rate of the laundry; and a determination step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speed and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In general, a clothes treatment devic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washing or drying clothes or the like, or washing or drying clothes. He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perform only a washing or drying function, or may perform both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회전시켜 물리력을 가할 수 있는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물리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과, 상기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헹굼행정과,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as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rum capable of applying a physical force by rotating clothe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es a physical force to the cloth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separates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lothes. A rinsing process and a dehydration process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clothes may be performed.

상기 탈수행정은 상기 세탁행정이나 상기 헹굼행정에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이 회전하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의류의 양에 따라 상기 탈수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드럼회전속도, 가속도, 허용되는 진동값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탈수행정을 수행하기 전에 의류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In general, the dehydration cycle rotates at a faster speed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ccommodating the clothes in the washing cycle or the rinsing cycle. Accordingly, there may be differences in drum rotation speed, acceleration, and allowable vibration values for performing the dehydration cyc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lothes. Therefore,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n sense the amount of laundry before performing the dehydration cycle.

한편, 상기 탈수행정은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 이후에 수행되므로 의류는 물을 머금은 습포에 해당한다. 따라서, 세탁행정 전에 건포량을 감지하였다고 하더라도 의류의 재질이나 상태에 따라 습포량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탈수행정 전에 습포량을 추가로 감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hydration cycle is performed after the washing cycle or the rinsing cycle, the clothing corresponds to a wet cloth soaked in water. Therefore, even if the amount of dry cloth is sensed before the washing cycle, it may be necessary to additionally sense the amount of wet cloth before the spin-drying cycle because the amount of wet cloth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condition of the clothes.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a dehydration cycle of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도1을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이 종료되면 드럼회전을 중단하고 배수펌프를 구동한다. 배수가 완료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가속한 뒤, 감속하는 과정에서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탈수포량 또는 습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S1)를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n a washing cycle or a rinsing cycle is finished, the drum stops rotating and a drain pump is driven. When the drainage is completed,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perform a laundry weight sensing step (S1) of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the drum and sensing the amount of dewatering or wet cloth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drum. .

이후, 상기 드럼을 세탁행정 보다 헹굼행정시 드럼회전속도 보다 낮은 제1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포분산단계(S2)를 수행한 후, 상기 드럼을 공진속도보다 상승시키는 통과단계(S3)를 수행하고, 상기 공진속도보다 높은 제2속도에서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를 감지하는 언밸런스 감지단계(S4)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after performing the cloth dispersion step (S2) of rotating the drum at a first speed lower than the drum rotation speed during the rinsing cycle rather than the washing cycle, the passing step (S3) of raising the drum above the resonance speed is performed. And, the unbalance detection step (S4) of detecting the degree of unbalance of the clothes by rotating the drum at a second speed higher than the resonance speed may be performed.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습포량에 따른 언밸런스 감지값이 기준값 이하이면,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3속도까지 상기 드럼을 가속시키는 가속단계(S5)를 수행하고, 상기 드럼을 제3속도로 유지하면서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S6)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erforms an acceleration step (S5) of accelerating the drum to a third speed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clothes when the unbalance det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tted cloth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nd then moves the drum to the third speed. A dehydration step (S6) of removing moisture from clothes while maintaining the speed may be performed.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탈수단계(S6)을 수행하는 탈수시간과 제3속도의 rpm이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의류의 포량 또는 포질과 상관없이 상기 탈수시간과 제3속도가 항상 유지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dehydration time for performing the dehydration step (S6) and the rpm of the third speed are stored in the control uni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hydration time and the third speed are alway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amount or quality of the clothes.

예를들어, 의류가 탈수가 잘 수행되는 폴리에스테르 옷감일 경우, 상기 탈수시간과 상기 rpm은 너무 과도하여 불필요하게 탈수시간이 지연되거나 옷감이 상할수 도 있고, 의류가 탈수가 잘 수행되기 어려운 면 으로 구성된 옷감일 경우, 상기 탈수시간과 rpm이 너무 부족하여 탈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f the clothes are polyester fabrics that can be dehydrated well, the spin-drying time and the rpm are too excessive, so the spin-drying time is unnecessarily delayed or the fabric may be damaged, and if the clothes are difficult to perform spin-drying In the case of a cloth composed of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에 탈수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코스가 저장되어 있고, 가변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류조건에 맞춤형 탈수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 course for performing the dehydration step is stored in the controller and cannot be chang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erform dehydration customized to the user's clothing condition.

다시말해, 의류처리장치의 제조사에서 실험 및 검증 과정을 거쳐서 사전에 고정된 동작 설정값이, 실제 고객이 사용하는 환경에서 제품 산포(기구, 모터, PCB등)와 옷감 종류, 설치 조건 등에 의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옷감의 탈수도에 불만족 등을 느낄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setting value fixed in advance through the experiment and verification process by the manufacturer of the clothing treatment equipment is suitable for the product distribution (equipment, motor, PCB, etc.) may not Accordingly, the user who actually uses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may feel dissatisfied with the dehydration ability of the clothes.

한편, 의류처리장치들의 오차 등으로 인해 같이 설정된 탈수시간과 rpm을 수행해도, 탈수력이 부족하거나 탈수력이 과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이를 고려하여 탈수시간과 rpm을 조정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set spin-drying time and rpm are performed due to an err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the dehydration power may be insufficient or the dehydration power may be excessive. However,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spin-drying time and the rpm in consideration of this.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건조행정도 함께 수행하는 경우, 건조행정을 수행할때의 부하가 전혀 고려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강도로 탈수행정이 수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의류의 탈수도가 낮아 건조행정이 지연되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lso performs the drying cy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hydration cycle is always performed at a constant intensity without considering the load when the drying cycle is performed.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rying cycle was delayed due to the low dehydration of the clothes.

본 발명은 탈수행정 중 의류의 포질에 따라 탈수시간 이나 탈수rpm을 가변시켜 탈수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in-drying intensity by varying the spin-drying time or spin-drying rpm according to the fabric of the clothes during the spin-drying process.

본 발명은 물이 빨리 빠지는 부하, 물의 빠짐이 느린 부하, 중간 정도의 부하로 의류를 구분 및 감지하여 탈수 시간 및 rpm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varying the spin-drying time and rpm by classifying and sensing clothes into a load through which water drains quickly, a load with slow water drain, and a medium load.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자체 산포나 특성을 고려하여 탈수시간 또는 탈수rpm을 최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optimally varying the spin-drying time or spin-drying rpm in consideration of the self-dispers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포량, 습포량, 탈수 수행 중 얻어지는 전류 및 속도 정보를 포질을 구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Deep Learning을 활용하여 포질을 구분할 수 도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amount of dry cloth, the amount of wet cloth, and the current and speed information obtained during dehydration to classify the cloth. In this cas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lassify the cloth by using deep learning.

본 발명은 물이 옷감에서 빠지는 정도를 물이 잘빠지는 옷감(ex, 폴리에스테르), 물이 잘안빠지는 옷감(ex, 면섬유), 중간 정도의 옷감(ex, Mixed) 등으로 구분하여, 구분된 수준에 따라 고속탈수가 수행되는 시간이나 rpm을 가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degree of water draining from the fabric into fabrics that drain well (ex, polyester), fabrics that do not drain well (ex, cotton fiber), and medium fabrics (ex, Mixed), etc. The time or rpm during which the high-speed dehydration is performed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i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 탈수 조건을 최적화하여 변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매번의 탈수행정이 끝날 때마다, 각 포 량별별로 제어부에 탈수행정의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목표한 탈수도 와 비교하여 탈수시간 또는 rpm 중 하나를 가변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process of optimizing and changing the dewatering conditions se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result of the dehydration cycle in the control unit for each amount of laundry at the end of each dehydration cycle, and determine whether to change either the spin-drying time or the rpm compared to the target dehydration degree. can decide

본 발명은 의류 포질의 판단 값, 탈수시간, 최종 탈수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설치 환경에 맞게 탈수시간 또는 rpm 중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spin-drying time or the rpm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by using information such as the determination value of the garment fabric, the spin-drying time, and the final degree of dehydration.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최종 탈수도의 상태가 기준값 이하이면, 탈수시간을 늘려 탈수도를 낮출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탈수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시간을 늘리더라도, 전체 행정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한계시간을 넘지 않도록 한계 값을 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inal dewatering degre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set value may be changed in a direction to decrease the dewatering degree by increasing the dehydration time. In this case, even if the time is increased to satisfy the dehydration, the limit value may be set so as not to exceed the limi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ening of the total stroke time.

반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최종 탈수도의 상태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탈수 시간을 줄여 행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일정시간 이상을 줄일 수 없도록 한계 값을 정할 수 있다. Conversely,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nal dewatering degre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set value may be changed in a direction to reduce the spin-drying time and thus the stroke time. In this case, a limit value may be set so that a predetermined time cannot be reduc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탈수시간 설정변경이 불가능할 경우, RPM을 가변하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a method of varying the RPM when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spin-drying time setting.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 겸용 세탁기의 경우 건조 시간을 줄이기 위해 건조 Heating력을 올리는 방식으로 설정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ing, the set value may be changed by increasing the drying heating power in order to reduce the drying time.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적게 소모되는 방법으로서, 탈수행정의 설정값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Howeve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changing a set value of the dehydration cycle as a method that consumes relatively little energy.

예를들어, 설정된 탈수 시간을 동작하고 건조를 완료 하였을때, 소요되는 건조시간이 제조시에 검증 되었던 평균 기준을 넘어가면 고속 탈수 시간을 늘리는 것으로 설정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t dehydration time is operated and drying is completed, the set value can be changed by increasing the high-speed dehydration time if the required drying time exceeds the average standard verified during manufacturing.

본 발명은 탈수행정 중 의류의 포질에 따라 탈수시간 이나 탈수rpm을 가변시켜 탈수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dehydration intensity by varying the dewatering time or dewatering rpm according to the fabric of the clothes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본 발명은 물이 빨리 빠지는 부하, 물의 빠짐이 느린 부하, 중간 정도의 부하로 의류를 구분 및 감지하여 탈수 시간 및 rpm을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vary the spin-drying time and rpm by classifying and sensing clothes into a load through which water drains quickly, a load with slow water drain, and a medium load.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자체 산포나 특성을 고려하여 탈수시간 또는 탈수rpm을 최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optimally vary the spin-drying time or spin-drying rpm in consideration of the self-dispersion or characteristic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탈수행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포질을 감지하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포질을 감지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세부적인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확장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제어방법의 세부적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 dehydration process of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 is a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uni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ing cloth.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cloth.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detailed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xpanded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 detailed process of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mpon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직교좌표계에서, x축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을 각각 의류처리장치의 전방 및 후방으로 정의하고, z축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을 각각 의류처리장치의 상방 및 하방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y축의 양의 방향은 의류처리장치의 우방으로 정의하고, y축의 음의 방향은 의류처리장치의 좌방으로 정의하기로 한다.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shown in the draw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of the x-axis are defined as the front and rea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espectively,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of the z-axis are defined a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espectively. decide to do In additio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is defined as the right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y-axis is defined as the left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도2(a)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ior and a clothing receiving unit 20 ′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to accommodate clothes. have.

상기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가 출입 가능한 개구부(12) 및 개구부 (12)를 개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3)는 캐비닛(10)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도어(13)의 회전에 따라 개구부 (12)가 개폐될 수 있다.The cabinet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and may include an opening 12 through which clothes can enter and exit and a doo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2 . The door 1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 and the opening 12 may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oor 13 .

한편, 도2에서는 본 발명의류처리장치(1)의 개구부(12) 및 도어(13)가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되는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개구부 (12) 및 도어(13)가 캐비닛(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FIG. 2 shows a front load typ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opening 12 and the door 13 of the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12) and the door (13) may be provided as a top-load typ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상기 도어(13)는 상기 개구부(12)에 결합되면 잠금(Locking)되어 임의로 상기 개구부(12)를 개방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는 솔레노이드, 직접적인 체결수단 등에 의해 상기 개구부(12)를 잠금(locking) 할 수 있다.When the door 13 is coupled to the opening 12 , the door 13 may be locked so as not to arbitrarily open the opening 12 . The door 13 may lock the opening 12 by a solenoid, direct fastening means, or the like.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를 수용하며 상기 캐비닛에서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세제박스(14)와, 의류처리장치에 작동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16)이 구비될 수 있다. The front of the cabinet 10 contains a detergent box 14 that accommodates detergent or fabric softener and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cabinet, and it is possible to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r to display the stat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 control panel 16 may be provided.

상기 세제박스(14) 및 컨트롤 패널(16)은 개구부(12)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거나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etergent box 14 and the control panel 16 may be disposed above the opening 1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or contact them.

상기 세제박스(14)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가루세제 또는 액체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제박스는 드로워 타입일 수 있다.The detergent box 14 is provided to be withdrawn to the front, and can store a powdered detergent or a liquid detergent therein. For example, the detergent box may be a drawer type.

상기 컨트롤 패널(16)은 세제박스(14)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세탁코스 및 세탁에 관련된 옵션 정보를 포함한 작동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8) 및, 상기 입력된 정보들 및 세탁 진행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16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tergent box 14, and an input unit 18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including op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 washing course and washing from a user, and the inputted information and washing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17 for displaying the progress.

상기 입력부(18)는 버튼 타입 또는 로터리 놉 타입일 수 있으며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7)는 액정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소리를 발산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의류처리장치(1)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입력부(18)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8 may be a button type or a rotary knob type, and may be provided as a touch panel. The display unit 17 may include a display unit having a liquid crystal and a speaker emitting sound, but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display the stat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 and the input unit 18 ) and may be provided integrally.

한편, 컨트롤 패널(16)에는 의류처리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P)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panel 16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P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후술하는 의류처리장치(1)의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장부품(이하, 부하부)들은 상기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므로, 각 부하부(구동부, 급수밸브, 통신모듈 등)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ontrol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since the electrical components (hereinafter, the load unit)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ntrol unit, each load unit (drive unit, water supply valve, communication module, etc.)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캐비닛(10)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상기 의류수용부(20')는 물을 저장하는 터브(20),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20 ′ accommodated in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tub 20 for storing water and a drum 30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20 to accommodate clothes. can

상기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브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tub 2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nd may form a space in which washing water is stored. For example, the tub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상기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drum 30 may b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20 .

한편, 캐비닛(10)의 투입구(12)와 터브(20)의 터브 투입구(21) 사이에는 가스켓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은 터브(20) 내부의 세탁수가 캐비닛(10)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터브(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스켓은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gasket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inlet 12 of the cabinet 10 and the tub inlet 21 of the tub 20 . The gasket may prevent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tub 20 from leaking into the cabinet 10 and prevent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tub 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0 . For example, the gaske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ember.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0)에 결합되어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9), 터브(2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70), 및 터브(20)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72,73)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9 coupled to the tub 20 to rotate the drum 30, a water supply unit 70 for 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20, and It may include drainage parts 72 and 73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of the tub 20 to the outside.

상기 배수부는 상기 터브(20)와 연통하는 배수관(73)과,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20)에 물을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unit may include a drain pipe 73 communicating with the tub 20 and a drain pump 72 connected to the drain pipe to provide power for draining water to the tub 20 .

상기 급수부(70)는 상기 터브(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71)과 상기 급수관(17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관(171)는 상기 세제박스(14)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70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171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20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171 , and the water supply pipe 171 is the detergent box 14 . It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14)는 상기 터브(20)와도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급수시 자동으로 터브(20)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etergent box 14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tub 20 to automatically supply detergent to the tub 20 when water is supplied.

상기 구동부(9)는 터브(20) 외측에 구비되며, 터브(20)의 배면에 결합되거나 관통하여 드럼(3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터브(20)의 배면에 고정되며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9 is provided outside the tub 20 , and may be coupled to or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0 to be connected to the drum 30 . The driving unit 40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0 and may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That is, the drum 30 can be rotated by receiving a current from the outside.

상기 구동부(9)는 자계(magnetic field)를 생성하는 스테이터, 스테이터 내부에서 상기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및 터브(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0)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9 includes a stat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 rotor rotating by the magnetic field inside the stator, and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0 to connect the drum 30 and the rotor. can

상기 구동부는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터는 코일로 구성되며 로터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be a brush-less direct current (BLDC) motor. In this case, the stator may consist of a coil and the rotor may be a permanent magnet.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 겸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for both drying. In this cas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t air supply unit 60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inside of the drum 30 .

상기 열풍공급부(60)는 상기 드럼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61)와, 상기 배출덕트(61)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63)와, 상기 가열부(63)에서 가열된 공기를 다시 드럼에 투입하는 유입덕트(64)와, 상기 배출덕트(61)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관,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출덕트(61)로 배출시켜 상기 가열부(63) 및 상기 유입덕트(64)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6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t air supply unit 60 communicates with the drum and includes a discharge duct 61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drum, a heating unit 63 for heat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uct 61, and the heating unit An inlet duct 64 for introducing the air heated in (63) back into the drum, a condensation pipe for condens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duct 61 to remove moisture, and the air inside the drum to the outlet duct ( 61) and may include a blower fan 62 providing power to be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63 and the inlet duct 64.

한편, 상기 드럼(40) 또는 상기 배출덕트(61)에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건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um 40 or the discharge duct 61 may include a drying sensor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drying of the clothes.

도3은 본 발명의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P)는 컨트롤패널 등에 구비되어 입력부(18)를 통해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세탁코스와 옵션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the control unit P may be provided on a control panel or the like to receive a command to operat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rough the input unit 18 to perform a washing course and option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특히 구동부(9)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255)와 구동부(9)의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검출부(2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브(20) 내부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unit 255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9 and a current detection unit 225 for sensing current applied or output from the driving unit 9, and the tub ( 20) It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sensor 92 for detecting internal vibration.

상기 제어부(P)는 상기 위치감지부(225) 또는 상기 전류검출부(225)를 제어하여 구동부(9)에서 의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의류의 상태란 의류의 포질, 포량, 탈수도, 건조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P may control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25 or the current detecting unit 225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clothes from the driving unit 9 . The state of the clothes may include the fabric quality, weight, dehydration, and dryness of the clothes.

상기 제어부(P)는 저장부(P2)에 저장된 세탁 코스와 옵션을 수행하면서,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저장부(P2)는 탈수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탈수시간, 탈수 RPM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 may perform at least one of a washing cycle, a rinsing cycle, and a dehydration cycle while performing the washing course and op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P2. For example, in the storage unit P2, a dehydration time and a dehydration RPM for performing a dehydration cycle may be set.

또한, 상기 제어부(P)는 의류처리장치의 현재 상태를 상기 표시부(17)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P may provide the current stat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rough the display unit 17 .

한편, 상기 제어부(P)는 진동센서(92)의 신호값, 구동부(9)에 인가된 전류값, 상기 드럼(30)의 RPM 등 다양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한꺼번에 연산하여 의류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병렬연산장치(P1)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P receives various signals such as the signal value of the vibration sensor 92,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9, and the RPM of the drum 30, and calculates them at once to detect the state of the clothes. It may include a parallel arithmetic unit (P1) that can.

또한, 상기 제어부(P)는 상기 저장부(P2)에 상기 병렬연산장치가 처리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거나, 상기 병렬연산장치(p1)를 작동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저장하거나, 상기 병렬연상장치(p1)에 입력되는 각종 전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 stores the data value processed by the parallel processing unit in the storage unit (P2), or stores an algorithm capable of operating the parallel processing unit (p1), or the parallel processing unit ( Various electrical signals input to p1) can be stored.

한편, 본 발명 제어부(P)는 상기 병렬연산장치(P1)와 상기 저장부(P2)로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을 생성하는 인공 신경망 학습 Logic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인공신경망은 복수의 인자를 조합 및 분석하여 하나의 일관화된 결과값을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logic for generat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the parallel computing device P1 and the storage unit P2.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used to derive one consistent result by combining and analyzing a plurality of factors.

종래 제어부는 하나의 입력값으로 하나의 출력값을 도출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병렬연산장치(P1)를 통해 2개 이상의 신호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1개의 정보를 활용할 때 보다 필요한 정보를 더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control unit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no choice but to derive one output value from one input value. However, sinc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wo or more signals through the parallel computing device P1,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more accurately than when using one piece of information.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P)가 구동부(9)를 전류로 제어하고, 전류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4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rol unit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riving unit 9 with a current and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current.

도4(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구동부(9)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부(9)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9)에서 토출되는 전류까지 감지할 수 있는 제어부(P)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riving unit 9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driving unit 9 , and can sense even the current discharged from the driving unit 9 .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P).

상기 제어부(P)는 기설정된 코스 또는 옵션에 따라 상기 구동부(9)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9)는 상기 제어부(P)의 명령에 따라 드럼(30)를 회전시키게 된다. The control unit P controls the driving unit 9 according to a preset course or option, and the driving unit 9 rotates the drum 30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P.

상기 제어부(P)는 입력부(18)로부터 동작 신호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상기 입력부(18)에는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세탁코스와 옵션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표시부(17)를 통해 세탁 코스, 세탁 시간, 탈수 시간, 헹굼 시간 등, 또는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P operates b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r a control command from the input unit 18 . The input unit 18 may include a washing course for performing washing, rinsing, and spin-drying operations and an option selection unit. Accordingly,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on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 may control to display the washing course, washing time, spin-drying time, rinsing time, or the like, or a current operation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17 .

상기 제어부(P)는 구동부(9)를 제어하여 드럼(30)을 회전시킬뿐더러 상기 드럼(30)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P)는 상기 구동부(9)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25)와 구동부(2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9)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부(9)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감지된 위치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제어부(P)에 피드백 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9)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9)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9 to not only rotate the drum 30 but also to chang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30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P)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current detection unit (225) that detects an outpu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unit (9) and a position detection unit (220)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230). The driving unit 9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any one of a current detected by the driving unit 9 or a sensed position signal may be fed back to the control unit P, and the control unit 9 appropriately adjusts the driving unit 9 according to the feedback signal.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urrent signal that can be tightly controlled.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위치감지부(235)를 생략하고, 별도의 알고리즘의 구현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9)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명, 센서리스 구동부) 상기 센서리스 구동부(9)는 제어부(P)가 상기 구동부(9)에서 출력된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9)에서 상기 로터나 스테이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35 may be omitted and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9 may be detected through implementation of a separate algorithm. (aka, sensorless driving unit) The sensorless driving unit 9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trol unit P measures the current or voltage output from the driving unit 9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otor or stator in the driving unit 9 .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P)가 상기 구동부(9)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trol unit P controls the driving unit 9 will be described.

상기 구동부(P)는 회전속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3상 모터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어, BLDC 모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driving unit P may be provided as a three-phase motor so that the rotation speed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as a BLDC motor.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P)는 전술한 로터와 스테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420) 및 인버터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인버터(420)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41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controller P may include an inverter 420 and an inverter controller 430 to control the above-described rotor and stato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 may further include a converter 410 and the like for supplying DC power input to the inverter 420 .

즉, 상기 제어부(P)는 상기 인버터 제어부(430)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버터제어부(430)는 상기 제어부(P)와 별도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인버터 제어부(430)가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인버터(420)로 출력하면, 인버터(420)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로터(913)와 스테이터(911)에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P may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le of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 Of course,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P). When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output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to the inverter 420 , the inverter 420 performs a high-speed switching operation to transmit AC pow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the rotor 913 . ) and the stator 911 can be suppli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컨버터(410),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뿐만 아니라, DC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및 출력전류 검출부(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verter 410, an inverter 420, and an inverter controller 430, as well as a DC terminal voltage detector (B), a smoothing capacitor (C), and an output current detector (E). have.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a reactor (L), and the like.

상기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reactor L is disposed between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vs) and the converter 410 to perform power factor correction or boost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reactor L may perform a function of limiting the harmonic current caused by the high-speed switching of the converter 410 .

상기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may detect an input current is input from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 To this end, as the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a current transformer (CT), a shunt resistor, or the like may be used. The detected input current is may be input to the inverter controller 430 a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상기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The converter 410 converts the commercial AC power 405 through the reactor L into DC power and outputs it. Although the figure shows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as a single-phase AC power source, it may be a three-phase AC power sour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ter 410 also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405 .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verter 410 may be formed of a diode or the like without a switching element, and may perform a rectification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switching ope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ingle-phase AC power supply, four diodes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bridge, and in the case of a three-phase AC power, six diodes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bridge.

상기 컨버터(410)는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verter 410 may be a half-bridge converter in which two switching elements and four diodes are connected, and in the case of a three-phase AC power source, six switching elements and six diodes may be used. When the converter 410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a step-up operation, a power factor improvement, and a DC power conversion may be performed by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element.

상기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The smoothing capacitor C smoothes the input power and stores it. In the drawings, one device is exemplified as the smoothing capacitor C, but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provided to ensure device stability.

상기 컨버터(410)는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으나,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The converter 4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but DC power may be directly inputted. For example, DC power from the solar cell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smoothing capacitor C or may be inputted after being converted to DC/DC. Since DC power is stored at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C, it may be referred to as a dc terminal or a dc link terminal.

상기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The dc terminal voltage detector B may detect a dc terminal voltage Vdc that is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C. To this end, the dc terminal voltage detection unit B may include a resistance element, an amplifier, and the like. The detected dc terminal voltage Vdc may be input to the inverter controller 430 a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상기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구동부(9)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될 수 있다. The inverter 420 includes a plurality of inverter switching elements, and converts the smoothed DC power (Vdc) by the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s into three-phase AC power (va, vb, vc)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a driving unit (9) can be output. The inverter 420 is a pair of upper-arm switching elements (Sa, Sb, Sc) and lower-arm switching elements (S'a, S'b, S'c)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 total of three pairs of upper and lower arms The switching elemen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Sa&S'a, Sb&S'b, Sc&S'c).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A diode is connected in anti-parallel to each of the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and S'c.

상기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구동부(9)에 출력되게 된다.The switching elements in the inverter 420 turn on/off the respective switching elements based on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from the inverter controller 430 . Thereby, the three-phase AC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output to the driving unit 9 .

상기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verter controller 430 may control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420 . To this end,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may receive the output current io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as an input.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류값(i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The inverter controller 430 outputs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to the inverter 420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420 .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i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is generated and output based on the output current value io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As shown in FIG.

상기 제어부(P)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출력전류값(io)를 감지하여 드럼 내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P)는 위치 감지부(235)에서 감지된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드럼 내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40)가 회전하는 동안에, 구동부(9)의 출력전류값 전류값(io)에 기초하여 포량, 탈수율, 함수율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P)는 드럼(30)의 편심량 즉 드럼(30)의 언밸런스(unbalance; UB)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량 감지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의 리플 성분 또는 드럼(30)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 may sense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drum by detecting the output current value (io)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2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 may detect a state inside the drum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H) sensed by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35). For example, while the drum 40 is rotating, based on the output current value and the current value io of the driving unit 9 , the amount of laundry, the spin rate, the moisture content, etc. may be sens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 may sense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drum 30 , that is, the unbalance (UB) of the drum 30 . Sensing the amount of eccentricity may be performed based on a ripple component of the current io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220 or a change amount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30 .

또한, 상기 제어부(P)는 상기 인버터제어부에 입력되는 입력전류값(is)을 감지하여 드럼 내부의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전류값을 통해 드럼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과정 및 연산방법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 may sense the state inside the drum by sensing the input current value (is) input to the inverter control unit. The process and calculation method of detecting the state inside the drum through the current value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구동부(9)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E)는 구동부(9)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output current io flowing between the inverter 420 and the three-phase driving unit 9 .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detect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unit 9 .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may detect all of the output currents ia, ib, and ic of each phase, and may also detect the output currents of the two phases using three-phase balance.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구동부(9)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션트 저항이, 인버터(420)와 구동부(9) 사이에 위치하거나, 인버터(4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될 수 있다.The output current detecting unit 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verter 420 and the driving unit 9 , and a current transformer (CT), a shunt resistor, or the like may be used to detect the current. When the shunt resistor is used, three shunt resistors are located between the inverter 420 and the driving unit 9 or the three lower arm switching elements S'a, S'b, S'c of the inverter 420 . )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each.

한편,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2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1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서 해당 션트 저항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using three-phase equilibrium, it is also possible that two shunt resistors are used. In addition, when one shunt resistor is us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hunt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capacitor C and the inverter 420 .

상기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o)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하여 기술한다.The detected output current io i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and may be applied to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 and an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is generated based on the detected output current io do.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detected output current io is the three-phase output current ia, ib, ic.

한편, 삼상 구동부(9)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e-phase driving unit 9 has a stator and a rotor, and each phase AC pow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applied to the coils of the stators of each phase (a, b, c phase), and the rotor rotates. will do

이러한 구동부(9)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The driving unit 9 is a surface-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an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and a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and the like. Among them, SMPMSM and IPMSM ar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 applied with permanent magnet, and Synrm is characterized by no permanent magnet.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가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컨버터(410) 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입력 전류 검출부(A)에서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컨버터스위칭 제어신호(Scc)를 컨버터(4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는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입력 전류 검출부(A)로부터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nverter 410 includes a switch element, the inverter controller 430 may control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in the converter 410 . To this end,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may receive the input current is detected by the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In addition, the inverter controller 430 may output the co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cc to the converter 410 in order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onverter 410 . The co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cc i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type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may be generated and output based on the input current is detected by the input current detection unit A.

한편, 위치 감지부(235)는, 구동부(9)의 로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235)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로터 위치(H)는,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 되어 속도 연산등에 기초로 사용되게 된다.Meanwhile, the position sensing unit 235 may detect the rotor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9 . To this end,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35 may include a Hall sensor. The sensed rotor position (H) is input to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to be used as a basis for speed calculation and the like.

도4(c)는 상기 인버터제어부(430)가 구동부(9)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회로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510), 속도 연산부(520), 전류 지령 생성부(530), 전압 지령생성부(540), 축변환부(5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FIG. 4( c ) shows an embodiment of a specific circuit structure in which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controls the driving unit 9 . The inverter control unit 430 includes an axis conversion unit 510 , a speed calculation unit 520 , a current command generation unit 530 , a voltage command generation unit 540 , an axis conversion unit 550 , a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unit ( 560) may be included.

상기 축변환부(5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삼상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한다. 상기 축변환부(5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The axis conversion unit 510 receives the three-phase output current (ia, ib, ic) detected by the output current detection unit E, and converts it into the two-phase current (iα, iβ)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510 may convert the two-phase currents (iα, iβ)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into the two-phase currents (id, iq) of the rotational coordinate system.

상기 속도 연산부(520)는, 위치 감지부(235)로 부터 입력되는 회전자의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위치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에 대해, 나누면, 속도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속도 연산부(520)는, 입력되는 회전자의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연산된 위치와 연산된 속도를 출력할 수 있다.The speed calculating unit 520 may calculate the speed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H of the rotor input from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35 . That is,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by dividing with respect to tim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velocity. The speed calculator 520 may output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he calculated speed based on the input position signal H of the rotor.

상기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1
)와 속도 지령치(ω*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q)를 생성한 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2
)와 속도 지령치(ω*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The current command generation unit 530, the calculation speed (
Figure pat00001
) and the speed command value (ω*r), the current command value (i*q) is generated. For example, the current command generation unit 530 may set the calculation speed (
Figure pat00002
) and the speed setpoint (ω*r), the PI controller

(5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PI control is performed at 535, and a current setpoint iq may be generated. In the drawing, the q-axis current command value (i*q) is exemplified as the current command value, but unlike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the d-axis current command value (i*d)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the d-axis current command value (i*d) may be set to 0.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전류 지령치(i*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0079]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생성부(5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d,i*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축 전류(id)와, d축전류 지령치(i*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d축 전압 지령치(v*d)의 값은, d축 전류 지령치(i*d)의 값은 0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mmand generation unit 530, the current command value (i * q) may further include a limiter (not shown) for limiting the level so as not to exceed the allowable range. Next, the voltage command generation unit 540, the d-axis and q-axis current (id, iq) axis-transformed into the two-phase rotation coordinate system in the axis transformation unit, and the current command value (i*) from the current command generation unit 530 , etc. d,i*q),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d,v*q) are generated. For example, the voltage command generating unit 540 performs PI control in the PI controller 544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q-axis current iq and the q-axis current command value i*q, and the q-axis current command value (i*q). A voltage setpoint (v*q)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voltage command generator 540 performs PI control in the PI controller 548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xis current id and the d-axis current command value i*d, and the d-axis voltage command value (v*d) can be created.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the d-axis voltage command value (v*d) may be set to 0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d-axis current command value (i*d) is set to 0.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oltage command generation unit 540, d-axis,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 * d, v * q) may further include a limiter (not shown) for limiting the level so as not to exceed the allowable range. .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 q)는, 축변환부(550)에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generated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d, v*q) are input to the axis conversion unit 550 .

축변환부(550)는,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3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5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4
)가 사용될 수 있다.The axis conversion unit 550, the position calculated by the speed calculating unit 520 (
Figure pat00003
) and d-axis and q-axis voltage command values (v*d, v*q) are received, and axis transformation is performed. First, the axis transformation unit 550 performs transformation from a two-phase rotational coordinate system to a two-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At this time, the position calculated by the speed calculating unit 520 (
Figure pat00004
) can be used.

그리고, 축변환부(5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Then, the axis transformation unit 550 performs transformation from the two-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to the three-phas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Through this conversion, the axis conversion unit 1050 outputs a three-phase output voltage command value (v*a, v*b, v*c).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 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unit 560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for an inverter according to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based on the three-phase output voltage command value (v*a, v*b, v* c) to output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The output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may be converted into a gate driving signal by a gate driver (not shown) and input to a gate of each switching element in the inverter 420 . Accordingly, each of the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and S'c in the inverter 420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한편,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2상 펄스폭 변조 방식과 3상 펄스폭 변조 방식을 혼합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unit 560 may generate and output an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in which a two-phase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and a three-phase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are mixed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예를 들어, 후술하는 가속 회전 구간에서는 3상 펄스폭 변조 방식에 의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등속 회전 구간에서는 역기전력을 검출하기 위해, 2상 펄스폭 변조 방식에 의한 인버터 스위칭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o generate and output an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by a three-phase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in an accelerated rotation sec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detect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n a constant speed rotation section, an inverter using a two-phase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ic may be generated and output.

도5는 상기 제어부(P)가 상기 구동부(9)에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로 의류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the control unit P can sense the state of clothes by the current applied or output to the driving unit 9 .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o change a setting value of at least one of a washing cycle, a rinsing cycle, and a dehydration cycle by detecting the state of the clothes.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상태를 감지하여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se the state of the clothes and adjust the intensity of at least one of a washing cycle, a rinsing cycle, and a dehydration cycle.

의류의 상태는 의류의 포량, 의류의 탈수율, 의류의 함수율, 의류의 포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e of the cloth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aundry weight of the clothes, a dehydration rate of the clothes, a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es, and a cloth quality of the clothe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구동부(9)에서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변화를 통해 의류의 포질, 포량, 탈수율, 함수율 등을 연산하여 인식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and recognize the cloth quality, the laundry amount, the dehydration rate, the moisture content, etc.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P)는 구동부(9)를 통해 포량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건포량(i)과 습포량(ii)을 감지할 수 있다. 건포량(i)은 급수과정이 수행되기 전의 의류의 포량이며, 습포량(ii)은 배수과정이 완료된 후의 의류의 포량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se the dry laundry amount (i) and the wet cloth amount (ii) in a manner that detects the laundry amount through the driving unit 9 . The dry cloth amount (i) may be the laundry amount of the clothes before the water supply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wet cloth amount (ii) may be the laundry amount of the clothes after the drainage process is completed.

또한, 상기 제어부(P)는 상기 건포량과 습포량의 차이로 의류의 함수율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습포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의류의 탈수율 또는 탈수도를 판단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P may determin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e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dry cloth and the amount of wet cloth, and may determine the dehydration rate or dehydration degree of the clothing by detect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wet cloth.

상기 함수율과 상기 탈수율을 감지하여, 의류의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By sensing the moisture content and the dehydration rate, it is possible to sense the cloth quality of the clothes.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P)는 상기 함수율과 탈수율로 상기 의류가 물이 매우 잘빠지는 포질1, 물이 잘빠지지 않는 포질2, 평균수준의 포질3로 크게 구분하여 이에 대응되는 탈수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clothes into cloth 1, which drains water very well, cloth 2 that does not drain easily, and cloth 3 with an average level,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and dehydration rate. The corresponding dehydration strength can be determined.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P)는 구동부(9)에서 토출되는 전류패턴(iii)과 상기 구동부(9)에 인가된 전류에 따라 드럼(30)이 회전하는 속도패턴(iv)을 고려하여 상기 의류의 포질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 considers the current pattern (iii) discharged from the driving unit (9) and the speed pattern (iv) at which the drum 30 rotates according to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unit (9). I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porosity of

상기 제어부(P)는 병렬연산장치를 통해 상기 건포량(i), 습포량(ii), 전류패턴(iii), 속도패턴(iv) 등 복수의 인자를 모두 딥러닝 방식으로 연산하여 의류의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 calculates all of the plurality of factors such as the dry cloth amount (i), the wet cloth amount (ii), the current pattern (iii), and the speed pattern (iv) in a deep learning method through a parallel computing device to form the fabric of the garment. can detect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P)는 RPM 파형, 전류값 또는 전류파형, 진동량의 크기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의류의 무게, 의류의 상태, 의류의 종류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드럼의 RPM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P) receives at least two or more data among the RPM waveform, the current value or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amount and comprehensively analyzes it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clothing, the state of the clothing, the type of clothing, etc.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RPM of the drum.

예를들어, 본 발명 제어부(P)는 병렬연상장치(P1)를 통해 상기 RPM의 파형을 Neural Network로 처리하고, 입력전류 값을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으로 처리한 후, 이를 혼합하여 처리할 수 있는 Decision Neural Network를 통해 새로운 인자인 세탁물의 무게, 상태, 종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P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waveform of the RPM as a neural network through the parallel association device P1, processes the input current value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en mixes and processes them. Through a decision neural network that can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P)에 입력되는 상기 RPM, 전류, 진동의 파형은 세탁기 내 의류의 종류, 무게와 제어 RPM에 따라 종속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P2)나 상기 병렬연상장치(P1)가 획득한 Decision Neural Network에 부하의 무게와 제어 RPM에 따라 사전 실험된 대표 값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세탁기 내부에 발생한 계측 Data를 인공 신경망으로 역산 할 경우 의류의 종류와 무게를 정확하게 역산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veforms of the RPM, current, and vibra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P appear dependently according to the type, weight, and control RPM of the clothes in the washing machine. Therefore, if the Decision Neural Network acquired by the storage unit P2 or the parallel association device P1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representative values test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oad and the control RPM, the measurement data generat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In case of inverse calculation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versely calculate the type and weight of clothing.

도6은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ensing the amount of laundry of clothes.

본 발명은 구동부(9)의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를 통해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고, 상기 포량으로 건포량(i), 습포량(ii), 함수율, 탈수율을 연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의 포질까지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amount of the clothing is sensed through the current applied or output from the driving unit 9, and the dry cloth amount (i), the wet cloth amount (ii), the moisture content, and the dehydration rate are calculated based on the laundry amount. It can even detect the fossa.

따라서, 의류의 포량 감지는 의류의 상태를 감지하는 최소한의 정보라고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etection of the amount of clothes is the minimum information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clothes.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행정 수행 전, 헹굼행정 수행 전, 탈수행정 수행 전에 상기 드럼(30) 내부에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감지단계(A3)를 수행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sensing step (A3) of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in the drum 30 before performing the washing cycle, before performing the rinsing cycle, and before performing the dehydration cycle.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P)는 상기 드럼(30)을 가속하는 가속가변단계(A31)와, 상기 드럼(30)을 감속하는 감속가변단계(A32)와, 상기 가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9)의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의 감속측정값을 통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A33)를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P includes an acceleration and variable step A31 of accelerating the drum 30, a decelerating variable step A32 of decelerating the drum 30, and the driving unit 9 during the acceleration step. A laundry weight sensing step (A33) of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of , and the deceler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driving unit during the deceleration step.

상기 가속가변단계(A31)와 상기 감속가변단계(A32) 사이에는 드럼을 가속시키기 위한 전류공급을 중단시키는 중간단계(A34)가 더 설정될 수 있다. An intermediate step (A34) of stopping the current supply for accelerating the drum may be further set between the acceleration/variable step (A31) and the deceleration/variable step (A32).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9)를 가속하면서 상기 구동부(9)에서 측정되거나 상기 구동부(9)로 인가된 가속측정값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부(9)를 감속하면서 상기 구동부(9)에서 측정되거나 상기 구동부(9)로 인가된 감속측정값을 감지한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o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9 while accelerating the driving unit 9 , and decelerating the driving unit 9 while decelerating the driving unit 9 . The measured deceleration value measured in o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9 is sensed.

이후,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을 연산하여 상기 드럼(30)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을 감지한다.Thereafter, the amount of clothes contained in the drum 30 is sensed by calculating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 and the measured deceleration value.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구동부(9)를 구동하면서 상기 구동부(9)에 가해지는 지령값일 수 있고, 상기 구동부(9)를 구동하면서 상기 구동부(9)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일 수 있다.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and the deceleration measurement value may be a command valu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9 while driving the driving unit 9, and may be a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driving unit 9 while driving the driving unit 9 have.

예를 들어, 상기 지령값은 상기 구동부(9)를 구동하기 위해 인가되는 PI제어기(535)에서 도출된 전류지령값이나 전압지령값일 수 있고, 상기 측정값은 상기 위치감지부(235)나 전류감지부(225)에서 측정된 상기 구동부(9)의 전류값이나 전압값 그 자체 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and value may be a current command value or a voltage command value derived from the PI controller 535 applied to drive the driving unit 9, and the measured value is the position sensing unit 235 or current It may be a current value or a voltage value of the driving unit 9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225 itself.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9)를 등속으로 구동하는 것을 유지하는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상기 포량을 감지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required for sensing the laundry amount can be greatly reduced by omitting the step of maintaining the driving unit 9 to be driven at a constant speed.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9)를 등속으로 유지하는 과정 뿐만 아니라, 등속을 유지하는 필요한 에너지 및 시간까지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9)를 등속으로 유지할 때 극복되야 하는 상기 구동부(9) 자체의 마찰력도 연산과정에서 완전히 무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not only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driving unit 9 at a constant speed, but also energy and time required for maintaining the constant speed. In addition,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9 itself, which must be overcome when the driving unit 9 is maintained at a constant speed, can be completely ignored in the calculation process.

상기 제어부(P)가 상기 포량을 감지할 때 상기 지령값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P)는 상기 구동부(9)에 실제상황을 피드백(feed back)하거나 상기 구동부(9)의 실제 구동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P)가 포량값을 연산하는 것이 간단하고 쉬워질 수 있다. 또한, 포량을 연산하는 연산식이 간단해지므로 포량값을 신속하게 얻어낼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P uses the command value when detecting the laundry amount, the control unit P feeds back the actual situation to the driving unit 9 or the actual driving situation of the driving unit 9 no need to consider Accordingly, it can be simple and easy for the control unit P to calculate the laundry amount value. In addition, since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laundry amount is simplified, the laundry weight value can be obtained quickly.

구체적으로, 상기 가속측정값은 상기 구동부(9)에서 측정된 가속전류값(Iq_Acc)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구동부(9)에서 측정된 감속전류값(Iq_Dec)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may include the acceleration current value Iq_Acc measured by the driving unit 9 , and the deceleration measurement value may include the deceleration current value Iq_Dec measured by the driving unit 9 . .

상기 가속전류값은 상기 가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9)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류 지령치값(Iq*_Acc)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전류값은 상기 감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9)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류지령치값(Iq*_Dec)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current value includes a current command value (Iq*_Acc) for rotating the driving unit 9 during the acceleration step, and the deceleration current value is a current command value for rotating the driving unit 9 during the deceleration step. It may contain a value (Iq*_Dec).

한편, 상기 제어부(P)가 상기 포량을 감지할 때 상기 측정값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9)에 실제적인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게 되므로 포량값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P uses the measured value when detecting the laundry weight, the actual situation is reflected in the driving unit 9 as it is, so that the laundry weight value can be accurately obtained.

그리고, 상기 지령값은 상기 구동부(9)가 구동하거나 전원이 인가되어 능동적으로 제어되는 경우에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값을 이용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9)에 전원이 차단되거나, 상기 구동부(9)가 능동적으로 제어되지 않을 때에도 상기 포량을 감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nd, the command value is generated only when the driving unit 9 is driven or the power is applied to be actively controlled. Therefore, using the measured value has an advantage in that data for detecting the laundry amount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power to the driving unit 9 is cut off or the driving unit 9 is not actively controll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속가변단계(A32)에서 전원을 차단하여 발전제동 방식 등으로 상기 구동부(9)를 감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가변단계(A32)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생략하고, 상기 감속가변단계(A32)를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cut off in the deceleration and variable step A32 to decelerate the driving unit 9 using a power generation braking method or the like. Accordingly, the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deceleration and variable step A32 can be omitted, and energy for the deceleration and variable step A32 can be saved.

나아가, 상기 감속가변단계(A32)에서 전원을 차단하므로 전압지령치값이 O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은 전압을 제외하고 전류만으로 연산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power is cut off in the deceleration and variable step (A32), the voltage command value may be 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detected by calculating only the current excluding the voltage.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압지령치나, 전압값 자체를 무시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전류값만을 사용하므로 포량감지를 위한 연산식을 매우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다. 연산식이 간단하여지므로 연산이 신속하고 정확해질 수 있어 포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gnore or not use the voltage command value or the voltage value itself, and use only the current value, so that the calculation formula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provided very simply. Since the calculation formula is simplified, the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accurately detected.

구체적으로,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을 연산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하, 연산식)은 상기 제어부(P)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산식은 애초부터 전압값을 이용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인해, 역기전력을 계산할 필요도 없으므로 본원발명은 구동부(9)의 등속회전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Specifically, data and an algorithm (hereinafter, an arithmetic expression) for calculating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 and the measured deceleration value may be stored in the control unit P. The arithmetic expression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use a voltage value from the beginning. For this reason, since there is no need to calculate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the constant speed rotation step of the driving unit 9 .

예를들어, 본 발명의 연산식은 다음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rithmetic expre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follows.

본 발명의 포량값(관성,Jm, Load_data)Weight value of the present invention (inertia, Jm, Load_data)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연산될 수 있다. 상기 P와 Ke는 구동부(9) 자체의 상수값으로 상기 제어부(P)가 측정할 수 있으며, 분모는 가속단계의 속도변화량과 감속단계의 속도변화량의 차이에 해당한다.can be calculated in the following way. The P and Ke are constant values of the driving unit 9 itself and can be measured by the control unit P, and the denominator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ed change amount in the acceleration step and the speed change amount in the deceleration step.

상기 속도변화량은 위치감지부(235)로 인해 상기 제어부(P)가 측정하거나, 상기 가속하거나 감속할 때까지 도달한 시간을 측정하여 연산하거나, 전류 등을 측정하여 즉시 감지할 수 있다.The speed change amount may be measured by the control unit P due to the position sensing unit 235,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ime reached until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r immediately detected by measuring a current or the like.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 가속할 때의 가속출력전류값(Iq_Acc)과, 감속할때의 가속출력전류값(Iq_Dec)값을 측정하는 것만으로 포량값을 즉시 연산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속전류값은 상기 가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에서 출력된 가속출력전류값(Iq_Acc)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전류값은 상기 감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에서 출력된 감속출력전류값(Iq_Dec)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weight value can be calculated immediately by simply measuring the acceleration output current value Iq_Acc at the time of acceleration and the acceleration output current value Iq_Dec at the time of deceleration. That is, the acceleration current value includes the acceleration output current value (Iq_Acc) output from the driving unit during the acceleration step, and the deceleration current value includes the deceleration output current value (Iq_Dec) output from the driving unit during the deceleration step it can be seen that

나아가, 상기 가속출력전류값에는 상기 가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의 평균값(Iqe_Acc)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감속출력전류값은 상기 감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의 평균값(Iqe_Dec)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more, an average value (Iqe_Acc) of the current values measured by the driving unit during the acceleration step may be applied to the acceleration output current value, and the deceleration output current value is an average value (Iqe_Dec) of the current values measured by the driving unit during the deceleration step. ) can be applied.

어느 경우에든, 상기 포량은 오직 전류값이란 인자 하나만으로 연산될 수 있고, 전압값의 인자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포량연산이 단순해지고, 포량값의 신속과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In any case, the laundry weight can be calculated using only one factor of the current value, and the factor of the voltage value can be omitted, thereby simplifying the laundry weight calculation and improving the speed and accuracy of the laundry weight value.

따라서, 상기 가속단계의 시간이 매우 짧거나, 상기 가속단계의 시간이 매우 짧아도 상기 포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포량감지에 소요되는 시간 자체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time of the acceleration step is very short or the time of the acceleration step is very short, the laundry weight can be accurately detected, and thus the time required for detecting the laundry weight itself can be further reduced.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는 가속한 뒤 바로 감속하여 포량을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포량을 측정하는 시간자체는 매우 짧고, 상기 시간동안 상기 드럼(30) 내부의 의류가 움직이거나 유동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의류의 상태가 변하지 않는 짧은시간에 포량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포량연산에 정확도가 더 상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dry weight sen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laundry weight by decelerating immediately after accelerating. Therefore, the time itself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aundry is very short, and the clothes inside the drum 30 cannot move or flow during the time. Accordingly, since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sensed in a short time in which the state of the clothes does not change, the accuracy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본 발명 포량감지에 적용되는 연산식은 가속단계의 전류값에서 감속단계의 전류값의 차이를 이용한다. 따라서, 가속단계에서 구동부의 마찰력과 감속단계에서 구동부의 마찰력은 서로 같게 되므로 상기 마찰력을 고려한 전류의 보상식은 서로 상쇄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 제어방법은 상기 구동부(9)의 마찰력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찰력을 보정하거나 튜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포량감지는 전압값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압값의 오차를 보상하거나 튜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등속과정을 생략하므로 의류의 이동, 구동부(9)의 마찰력을 보상하거나 튜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 제어방법은 전류값을 대입한 즉시 포량이 도출되고, 상기 포량을 보상하거나 튜닝하는 절차가 없으므로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formula applied to the weight sen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value in the acceleration phase and the current value in the deceleration phase. Therefor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driving part in the acceleration step an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driving part in the deceleration step are equal to each other, so the current compensation equation considering the frictional force cancels each other out. Therefore,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weight sensing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9 does no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and thus the process of correcting or tuning the frictional force can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voltage value,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compensating for or tuning an error in the voltage value, and omitting the constant velocity process, thereby compensating or tuning the movement of clothes and the friction force of the driving unit 9 The process can be omitted. As a result,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laundry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laundry is derived immediately after the current value is substituted, and since there is no procedure for compensating or tuning the amount,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detected very quickly and accurately.

따라서, 상기 제어부(P)에 소요되는 부하량을 낮출 수 있고, 상기 제어부(P)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대체하거나, 상기 제어부(P)의 성능을 다른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mount of load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P can be reduced, the control unit P can be replaced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or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 unit P can be utilized in other ways.

한편, 상기 연산식에도 알 수 있듯, 상기 가속측정값은 상기 가속가변단계(A31)의 속도변화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감속가변단계(A32)의 속도변화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formula,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further includes the speed change amount of the acceleration variable step A31, and the deceleration measurement value further includes the speed change amount of the deceleration variable step A32. have.

상기 가속가변단계(A31)의 속도변화량과 상기 감속가변단계(A32)의 속도변화량은 상기 가속가변단계(A31)의 관성과 감속가변단계(A32)의 관성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일 뿐, 별도의 전압값 등의 측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보상이나 튜닝과정이 필요하지 않는다.The speed change amount of the acceleration variable step (A31) and the speed change amount of the deceleration variable step (A32) are only necessary to obt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ertia of the acceleration variable step (A31) and the inertia of the deceleration variable step (A32). It may not be necessary to measure the voltage value of , and furthermore, no compensation or tuning process is requir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산식은 다음과 같은 연산식에 의해서 도출된다. In more detail, the arithmetic expression is derived by the following arithmetic expression.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이때, 가속관성과 감속관성의 차이를 통해 포량을 연산하므로 상기 속도에 변화량이 필요한 것이다. At this time, since the laundry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celeration inertia and the deceleration inertia,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peed is required.

따라서,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드럼의 같은 RPM구간에서 측정되면, 상기 속도변화의 폭은 동일하기 때문에 연산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속가변단계(A31) 상기 감속가변단계(A32)는 같은 속도 대역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f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and the deceleration measurement value are measured in the same RPM section of the drum, the width of the speed change is the same, so that the calculation can be simpler.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eleration variable step (A31) and the deceleration variable step (A32) share the same speed band.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가속가변단계(A31)와 감속가변단계(A32)를 수행하여 전류지령치값이나, 구동부(9)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한다. Meanwhil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laundry is sensed using the current command value or the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driving unit 9 by performing the acceleration varying step A31 and the decelerating varying step A32 .

이때, 상기 연산식은 전류값을 이용하므로 감속가변단계(A32)를 먼저 수행하고, 가속가변단계(A31)를 수행함으로써 전류값을 측정하여 동일한 연산식을 통해 포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above formula uses a current value, the deceleration and variable step A32 is first performed, and the current value is measured by performing the acceleration variable step A31 to detect the amount of laundry through the same formula.

한편,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가속가변단계(A31)와 상기 감속가변단계(A32)를 수행할 수 있는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9)에 인가되는 전류를 유지하거나 전류 공급을 중단시키는 준비단계(Ba)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Ba)에서는 드럼(30)은 가속되거나 감속되지 않고 일정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nsing step (A),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unit 9 is maintained or the current supply is stopped in order to set a reference value capable of performing the acceleration/variable step (A31) and the deceleration/variable step (A32). A preparation step (Ba) may be performed. In the preparation step (Ba), the drum 30 may rotate at a constant rpm without being accelerated or decelerated.

상기 가속가변단계(A31)는 상기 대기단계에서 회전하고 있는 드럼의 rpm에서 추가적으로 판단속도까지 가속시키고, 상기 감속가변단계(A32)는 상기 드럼을 판단속도 에서 감속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속가변단계(A31)와 상기 감속가변단계(A32)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속가변단계(A32)는 상기 가속가변단계(A31)에서 상기 구동부(9)를 향한 전류지령치를 낮추거나, 상기 구동부(9)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면 되므로 상기 제어부(P)나 회로의 소손 염려가 없다. The variable acceleration step (A31) may further accelerate from the rpm of the drum rotating in the standby step to a determined speed, and the deceleration/variable step (A32) may decelerate the drum from the determination speed. That is, the acceleration variable step A31 and the deceleration variable step A32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The deceleration/variable step (A32) is performed by lowering the current command value directed to the driving unit (9) in the acceleration/variable step (A31) or block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9), so that the control unit (P) or the circuit No risk of burnout

이때,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판단속도과, 상기 판단속도 rpm보다 낮은 제1중간속도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속도그래프에서 꼭지점을 포함하는 구간 대역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연속적인 상황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게 되므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and the deceleration measurement value may be measured between the determination speed and a first intermediate speed lower than the determination speed rpm. That is,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in the section band including the vertex in the speed graph. Thi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a situation in which an error may occur because the amount of laundry is detect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in a continuous situation.

한편,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판단속도보다 낮은 제1중간속도, 상기 제1중간속도보다 높고 상기 판단속도 보다 낮은 제2중간속도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꼭지점을 포함하는 구간은 아니지만 같은 속도 구간 대역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꼭지점에서 속도변화가 가장 크므로 안정화된 전류값을 측정하여 포량연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and the deceleration measurement value may be measured between a first intermediate speed lower than the determination speed and a second intermediate speed higher than the first intermediate speed and lower than the determination speed. That is, although the section does not include the vertex,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in the same speed section band.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weight calculation by measuring the stabilized current value because the speed change is the largest at the vertex.

한편, 상기 판단속도는 상기 드럼(30)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드럼(30) 내벽에 부착되는 고정 rpm보다는 낮은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etermination speed may be set to a lower rpm than a fixed rpm at which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drum 30 a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drum 30 .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감지단계(B)는 상기 드럼(30)을 빠른 속도로 회전하지 않더라도 포량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포량을 바탕으로 탈수율 또는 함수율을 연산하고, 그에 따라 의류가 방수재질인지 또는 상기 의류 내부에 물풍선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ensing step (B)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amount can be measured even when the drum 30 is not rotated at a high speed, and the dehydration rate or moisture conte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laundry amount, and accordingly, the laundr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aterial is waterproof or whether there is a water balloon inside the clothing.

예를들어, 상기 함수율이 기준 함수율 이상이면서, 상기 탈수율이 기준 탈수율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의류의 포질이 물이 잘빠지지 않는 포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moisture content and the dehydration rat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dehydration r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abric of the clothing is a fabric that does not drain easily.

즉, 탈수단계에서 감지한 포량을 감지포량(WC)라고 정의하면, 함수율은 상기 감지포량을 건포량인 기준포량(Io)로 나눈 값이며, 탈수율은 감지포량(WC)을 습포량(Wo)으로 나눈 값이라고 볼 수 있다. That is, if the amount of cloth detected in the dehydration step is defined as the amount of detected cloth (WC), the moisture content i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the detected cloth by the standard amount of cloth (Io), which is the amount of dry cloth, and the dehydration rate is the amount of the detected cloth (WC) and the amount of wet cloth (Wo). ) divided by

이때, 기준함수율(Rwf)은 평균의류의 함수율이며, 기준 탈수율(Rsf)은 평균의류의 탈수율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평균의류는 상기 제어부(P)에 최초로 저장된 코스 또는 옵션의 강도에 대응하는 의류라고 볼 수 있으며, 수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ference moisture content (Rwf) is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of clothes, and the reference dehydration rate (Rsf) is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of clothes. The average clothing may be regarded as clothing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the course or option initially stored in the control unit P, and may mean a towel or the like.

함수율이 높다는 것은 의류가 물을 많이 머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함수율이 기준 함수율 이상이라는 것은 물이 잘 머금을 수 있는 포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A high moisture content means that clothing can hold a lot of water, and a moisture content higher than the standard moisture content means that it is a fabric that can hold water well.

또한, 탈수율이 높다는 것은 의류에서 물이 많이 배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탈수율이 기준 탈수율 이하라는 것은 의류가 물을 잘 배출하지 못하는 포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준함수율과 기준 탈수율은 의류가 포질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high dehydration rate means that a lot of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lothes, and a dehydration rate below the standard dehydration rate means that the clothes are fabrics that do not drain water well. The reference moisture content and the reference dehydration rate may be set as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fabric quality of the gar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제어부(P)가 파악하는 탈수량 및 의류의 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탈수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탈수속도와 탈수시간 중 하나 이상을 최적화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at least one of the dewatering speed and the dewatering time set to perform the dehydration cycle using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amount and the cloth of the clothe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P). A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탈수행정에 적용되는 것은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제어방법이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건조행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reason that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dehydration cycle is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s, and the same control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washing cycle, the rinsing cycle, and the drying cycle.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포질 및 탈수도를 감지하여 탈수강도를 최적화 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timize the dehydration intensity by detecting the fabric and dehydration of the clothes.

상기 제어부(P)에는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이 저장부(P2)에 미리 설정되거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은 상기 제어부(P)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의 특색과는 무관하게 제조당시 설정된 기본값일 수 있다. In the control unit P, the dehydration speed and dehydration time for performing the dehydration cycle may be preset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P2. The spin-drying speed and the spin-drying time may be default values set at the time of manufacture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control unit P is installed.

우선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탈수도를 감지하여 상기 탈수행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P)는 상기 탈수도가 예상되는 탈수도 보다 높은지 낮은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P)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탈수행정에서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Firs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whether the dehydration cycle is successfully performed by detecting the degree of dehydr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dehydration cycle. For example, the controller P may detect whether the dehydration degree is higher or lower than the expected dehydration degre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P can determine whether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time and the dehydration speed in the currently ongoing dehydration cycle.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 동안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A2)와, 상기 탈수단계 과정 중에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변시켜 상기 의류의 탈수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A3)와, 상기 감지된 탈수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결정단계(A4)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ydration step (A2) of using the drum to remove moisture from the clothes during the spin-drying time and the spin-drying time, and chang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during the dehydration step to control the dehydration degree of the clothes It may include a sensing step (A3) of detecting, and a determining step (A4) of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speed and the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dehydration degree.

상기 감지단계(A3)는 상기 탈수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3)는 감지한 탈수도를 상기 제어부(P)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P)는 감지한 탈수도를 상기 저장부(P2)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ensing step (A3) may be performed at least once or more while the dehydration step is performed. In the sensing step (A3), the detected dehydr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P, and the control unit P may store the sensed dehydration in the storage unit P2.

상기 제어부(P)의 저장부(P2)는 상기 탈수시간 별로 예상되는 예상탈수도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저장부(P2)에는 상기 감지단계(A3)가 수행되는 시점에서 상기 탈수행정이 진행되었을 때 예상되는 탈수도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P2 of the control unit P may store expected dehydration values for each dehydration time. The storage unit P2 may store an estimated dehydration degree when the dehydr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sensing step A3 is performed.

상기 결정단계(A4)는 상기 탈수시간 동안 상기 감지단계(A3)에서 감지된 탈수도와 상기 저장부(P2)에 저장되어 있는 예상탈수도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상기 결정단계(A4)에서 상기 감지된 탈수도와 상기 예상탈수도가 다를 경우에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지 여부를 제어부(P)는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step (A4) is a step of comparing the dehydration degree detected in the sensing step (A3) with the expected dehydration degree stored in the storage unit (P2) during the dehydration time. When the sensed dehydration degree is different from the expected dehydration degree in the determining step (A4), the controller P may determine whether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rate and the dehydration time.

상기 제어부(P)는 상기 감지단계(A3)를 수행하고 있는 탈수행정에서 수행될 탈수속도와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 may change at least one of a dehydration speed and a dehydration time to be performed in the dehydration cycle in which the sensing step (A3) is performed.

예를들어, 상기 감지단계(A3)에서 측정된 예상 탈수도가 실제탈수도 보다 낮을 경우에는 실제 탈수행정이 종료되어도 탈수효과가 미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P)는 실제 탈수행정을 본격적으로 수행할 때, 탈수속도와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stimated dehydration degree measured in the sensing step A3 is lower than the actual dehydration degre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ehydration effect is weak even after the actual dehydration cycle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P may increase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speed and the dehydration time when the actual dewate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earnest.

예를들어, 상기 감지단계(A3)에서 측정된 예상 탈수도가 실제 탈수도 보다 높을 경우에는 탈수가 목표치 까지 수행되었음에도 더 탈수가 진행될 우려가 있고 옷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expected dehydration level measured in the sensing step (A3) is higher than the actual dehydration level,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further dehydration even though dehydration has been performed up to a target value and that the fabric may be damaged.

따라서, 상기 제어부(P)는 실제 탈수행정을 본격적으로 수행할 때, 탈수속도와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P may reduce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speed and the dehydration time when the actual dewate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earnest.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탈수행정을 수행할 때 의류에서 실제 진행되는 탈수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의도한 탈수효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actual dehydration degree of the clothes in real time when performing the dehydration operation, and change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time and the dehydration speed so that the intended dehydration effect can be derived. .

한편, 상기 제어부(P)는 예상탈수도와 실제 탈수도를 비교하여 현재 작동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정된 탈수성능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의류처리장치의 탈수성능이 최적화 될 수 있도록 설정값 자체를 조절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P compares the expected dehydration and the actual dehydration to determine the set dehydration performance of the currently ope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reby adjusting the set value itself so that the dehydration performance of the current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n be optimized. .

상기 제어부(P)는 예상탈수도와 실제탈수도를 비교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현재 진행되는 탈수행정에서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를 가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앞으로 진행될 탈수행정에서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의 기본 설정값 자체를 가변시킬 수 있다. Based on the data comparing the expected dehydration and the actual dehydration, the control unit (P) not only varies the dehydration time or the dehydration rate in the current dehydration cycle, but also determines the dehydration time or the dehydration rate in the dehydration cycle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You can change the default setting itself.

상기 제어부(P)는 실제 초기에 저장된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의 설정값을 실제 작동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황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 탈수강도가 너무 강하면, 상기 제어부(P)는 상기 탈수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탈수시간을 감소시켜 의류의 손상 및 에너지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P may change the set values of the spin-drying speed and the spin-drying time, which are actually initially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actually operat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ly, if the dehydration intensity se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too strong, the controller P may reduce the dehydration rate or decrease the dehydration time to prevent damage to clothes and waste of energy in advance.

또한,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 탈수강도가 너무 강하면, 상기 제어부(P)는 상기 탈수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탈수시간을 증가시켜 탈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Also, when the dehydration intensity se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too strong, the control unit P may increase the dehydration rate or increase the dehydration time to ensure dehydration reliability.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탈수행정을 시작하기 이전에 의류의 포질 자체를 판단하여, 현재 드럼에 수용된 의류가 탈수효과가 우수한 재질인지, 탈수효과가 미약한 재질인지를 판단하는 조건확정단계(A1)를 더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fabric itself before starting the dehydration process, and determines whether the clothes currently accommodated in the drum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xcellent dehydration effect or a material having a weak dehydration effect ( A1) can be further performed.

상기 제어부(P)는 상기 의류의 건포량 및 습포량을 비교하거나, 상기 의류의 시간별 탈수율 및 함수율을 비교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을 파악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 may determine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by comparing the amount of dry cloth and the amount of wet cloth of the clothing or by comparing the dehydration rate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lothing over time.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P)는 현재 수용된 의류의 평균 재질이 폴리에스테르 계열과 같이 조금만 탈수를 수행하여도 물이 제거될 수 있는 재질과 가까운지, 아니면 면 계열과 같이 탈수를 상당수 진행하여도 물이 제거되기 어려운 재질과 가까운지 등을 상기 조건확정단계(A1)에서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P determines whether the average material of the currently accommodated clothing is close to a material from which water can be removed even if a little dehydration is performed, such as a polyester series, or whether a significant amount of dehydration is performed such as a cotton series. Whether or not water is close to a material that is difficult to remove can be identified in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A1).

상기 조건확정단계(A1)에서 상기 제어부(P)가 의류의 재질을 파악하여 탈수난이도를 판단하게 되면, 실제 탈수행정에서 수행될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미리 조정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P determines the degree of dehydration difficulty by grasping the material of the clothes in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A1,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time and the dehydration speed to be performed in the actual dehydration cycle may be adjusted in advance.

다시말해, 상기 제어부(P)는 상기 조건확정단계(A1)에서 의류의 재질을 감지한 다음, 상기 의류의 재질과 적합한 탈수속도와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조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fter detecting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A1 , the controller P may pre-adjust at least one of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and an appropriate spin-drying speed and spin-drying time.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P)가 의류의 재질이 평균적인 의류의 재질이라고 판단되면 설정된 탈수속도와 탈수시간 그대로 탈수단계(A2)에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P)가 의류의 재질이 평균적인 의류보다 탈수율이 낮은 재질로 판단되면 설정된 탈수속도와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증가시켜 탈수단계(A2)에 진입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unit P determines that the material of the clothes is an average material of the clothes, the dehydration step A2 may be entered as it is with the set spin-drying speed and spin-drying time. However, if the control unit P determines that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is a material having a lower dehydration rate than the average clothing, the control unit P may increase at least one of the set dehydration rate and dewatering time to enter the dehydration step (A2).

또한, 상기 제어부(P)가 의류의 재질이 평균적인 의류보다 탈수율이 높은 재질로 판단되면 설정된 탈수속도와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소시켜 탈수단계(A2)에 진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trol unit P determines that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is a material having a higher dehydration rate than the average clothing, the control unit P may decrease at least one of the set dehydration rate and dewatering time to enter the dehydration step (A2).

이처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포량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의류의 재질에 따라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spin-drying speed and the spin-drying time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lothes, even if the amount of clothes is the same.

한편, 상기 탈수단계(A2)를 수행할 때 감지단계(A3)를 통해 조절된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을 진행된 탈수도에 따라 상기 결정단계(A4)에서 다시 조정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dehydration step (A2), the dehydration rate and the dehydration time adjusted through the sensing step (A3) may be adjusted again in the determining step (A4) according to the progressed dehydration degree.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포질에 따라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진행되는 탈수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을 최적화를 위해 변경하 수 있으며, 앞으로 진행될 탈수속도와 탈수시간도 변경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상태에 맞춰 최적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dehydration speed and the dehydration tim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abric of the clothes, and can change the set dehydration speed and dehydration time to optimize the dehydration rate and dehydration time by detecting the dehydration degree in progres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optimiz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by changing the and spin-drying time.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결정단계(A4)에서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을 가변할 때, 탈수시간을 우선적으로 가변시키고, 탈수속도는 탈수시간으로 보상이 되지 않을 경우에만 변경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pin-drying speed and the spin-drying time are varied in the determining step (A4), the spin-drying time is preferentially changed, and the spin-drying speed is set to be changed only when the spin-drying time is not compensated. can

이는 탈수속도는 드럼의 진동 및 공진주파수 등에 매우 밀접한 인자이므로, 탈수속도를 가변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pin-drying speed is a factor that is very close to the vibration and resonance frequency of the drum, and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ensure stability by varying the spin-drying speed.

한편, 탈수시간을 가변시킬 경우에, 탈수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최대시간과, 탈수성능을 발휘해야 하는 최소시간은 설정될 수 있다. 즉, 탈수시간의 변경은 최대시간과 최소시간 사이에서만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최대시간은 1시간으로, 최소시간은 1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varying the spin-drying time, the maximum time for preventing the dehydration delay and the minimum time for exhibiting the de-watering performance can be set. That is, the change of the dehydration time can be changed only between the maximum time and the minimum time. For example, the maximum time may be set to 1 hour, and the minimum time may be set to 15 minutes.

도8는 도7에서 언급한 본원발명의 제어방법을 구체화한 것이다.8 is a concrete view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in FIG.

도8(a)를 참조하면, 본 발명 탈수단계(A2)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마찬가지로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A21)와, 드럼의 속도를 탈수속도까지 가속하는 가속단계(A22)와, 상기 탈수속도를 탈수시간 만큼 유지하는 고속단계(A2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a), the dewatering step (A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undry weight sensing step (A21)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and an acceleration step (A22) for accelerating the drum speed to the dewatering speed as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it may include a high-speed step (A23) of maintaining the dehydration speed by the dehydration time.

상기 포량감지단계(A21)에서 조건확정단계(A1)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의 습포량 뿐만 아니라 포질까지 판단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A2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dition (A1) may be performed together. For example, not only the amount of compresses of the clothes but also the quality of the cloths may be determined.

상기 고속단계(A23)에서의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은 상기 저장부(P)의 저장된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일 수 있고, 상기 조건확정단계(A1)에서 조정된 탈수단계와 탈수시간일 수 있다. The dehydration speed and dehydration time in the high-speed step (A23) may be the dehydration speed and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storage unit (P), and may be the dehydration step and the dehydration time adjusted in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A1).

도8(b)를 참조하면, 본 발명 감지단계(A3)는 도6에 도시된 제어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가속가변단계(A31)와 감속가변단계(A32)를 수행하여 전류값의 연산을 통해 포량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P)는 습포량과 비교하여 탈수도를 연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b), the control method shown in FIG. 6 may be applied as it is in the sensing step A3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acceleration variable step A31 and the deceleration variable step A32, the amount of laundry is sens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current value, and the control unit P may calculate the dehydration degree by comparing it with the amount of wet cloth.

상기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포량 및 탈수도를 감지하면 이를 제어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A33)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laundry weight and dehydration are sensed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laundry amount, a storage step (A33) of storing the weight in the control unit may be performed together.

도8(c)를 참조하면, 본 발명 결정단계(A4)는 상기 감지단계(A3)에서 감지된 탈수도와 예상되는 탈수도인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이다. Referring to FIG. 8( c ), the determining step (A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comparing the dehydration degree detected in the detecting step (A3) with a reference value that is an expected dehydration degree.

상기 감지단계(A3)가 N회 수행되었다면, 상기 결정단계(A4)는 N회의 평균 탈수도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A41)와, N회의 평균 탈수도가 기준값 이하인지를 비교하는 제2비교단계(A42)를 수행할 수 있다. If the detecting step (A3) is performed N times, the determining step (A4) includes a first comparison step (A41) of comparing whether the average dehydration of N tim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verage dehydration of N times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 second comparison step (A42) of comparing may be performed.

제1비교단계(A41)에서 평균탈수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탈수시간 또는 탈수 속도를 감소시키는 탈수약화단계(A43)를 수행하고, 평균탈수도가 기준값 이하 이면 상기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를 증가시키는 탈수강화단계(A44)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first comparison step (A41), if the average dehydration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 dehydration weakening step (A43) of reducing the dehydration time or dehydration rate is performed. A strengthening step (A44) may be performed.

그러나, 상기 결정단계(A4)에서 N호의 평균 탈수도가 기준값과 대응되거나 소량의 차이만 있다면 상기 탈수속도 및 탈수시간을 변경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determining step (A4), if the average dehydration degree of No. N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value or there is only a small difference, the dehydration rate and dehydration time may be terminated without changing.

이때, 상기 결정단계(A4)에서 평균 탈수도를 판단하는 것은 특정 상황에서만 탈수도가 높거나 낮더라도 전체적인 상황에서 탈수도가 기준값과 동일하다면 무리하게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을 변동할 필요가 없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of the average dehydration in the determining step (A4) means that even if the dehydration is high or low only in a specific situation, if the dehydration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value in the overall situation, there is no need to unreasonably change the dehydration rate and dehydration time. will be considered

한편, 상기 N회의 감지단계(A3)는 1회의 탈수행정을 수행할 때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탈수시간과 탈수속도 중 어느 하나를 가변시키는 것은 앞으로 후속되는 의류의 탈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복수회의 탈수행정에서 감지된 탈수도와 기준값을 파악하여, 상기 결정단계(A4)에서 탈수속도 또는 탈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 times detection step (A3) may not mean only when performing one dehydration cycle. Varying either the spin-drying time or the spin-drying speed has a lasting effect on the subsequent spin-drying of clothes. Therefore, the dehydration degree and the reference value sensed in a plurality of spin-drying cycles are identified, and in the determining step (A4), the spin rate or spin-drying process is performed. You can decide the time.

따라서, 상기 결정단계(A4)는 상기 감지된 탈수도와 예상탈수도가 대응되거나, 기준횟수 미만으로 상기 탈수도가 감지되거나, 기준횟수 이상 감지된 상기 탈수도의 평균값이 상기 예상탈수도와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in the determining step (A4), when the detected dehydration and the expected dehydration correspond, or the dehydration is detected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the average value of the dehydration sensed more than the reference number corresponds to the expected dehydration The dehydration speed and the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may be maintained as they are.

도9는 상기 조건확정단계(A1)에서 결정된 사항에 따라 탈수시간이 가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ehydration time is varied according to the matters determined in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A1).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조건확정단계(A1)에서 의류의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된 의류의 포질에 따라 이에 맞게 대응되는 탈수시간과 탈수속도을 각각 결정할 수도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se the cloth quality of the clothes in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A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corresponding spin-drying time and spin-drying speed according to the sensed cloth quality,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된 의류의 포질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대응되는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를 각각 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lassify the sensed cloth for each step to determine a spin-drying time or a spin-drying speed corresponding to each step,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P)는 상기 의류의 포질에 대응되는 복수의 탈수속도 또는 탈수시간이 저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건확정단계(A1)에서는 상기 의류의 포질을 감지하여 이와 대응되는 상기 탈수단계(A2)에서 수행될 탈수속도 또는 탈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 may be provided to store a plurality of dehydration rates or dehydration times corresponding to the fabric of the clothes.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A1),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hydration speed or dehydration time to be performed in the dehydration step (A2) corresponding thereto by detecting the fabric of the clothes.

상기 조건확정단계(A1)는 탈수행정 뿐만 아니라,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을 수행하면서 의류의 포질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조건확정단계(A1)는 상기 드럼을 2회 이상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거나 측정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의류의 포질을 결정할 수 있다. In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A1), the fabric quality of the clothes may be measured while performing a washing cycle or a rinsing cycle as well as a dehydration cycle. That is,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A1) may determine the fabric quality of the garment by measuring a current applied or measured to the driving unit in the process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drum twice or more.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된 의류의 포질을 수건, 폴리에스테르 계열과 같이 물이 잘빠지는 재질인 CLASS1, 평균적인 의류와 같이 물이 적당히 빠지는 CLASS2, 면 계열과 같이 물이 잘빠지지 않는 재질인 CLASS3로 구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ensed cloth for cloth, such as towels and polyester, which drains water well, CLASS1, which drains water well like average clothing, and CLASS2, which drains water moderately like average clothes, and does not drain well like cotton. It can be classified into CLASS3, which is a non-existent material.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속단계(A23)에서 수행될 탈수시간 또는 탈수단계를 각 재질마다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탈수시간을 전술한 의류의 재질의 순서대로 T1, T2, T3로 달리 설정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can set the spin-drying time or the spin-drying step to be performed in the high-speed step A23 differently for each material. For example, the spin-drying time may be set differently to T1, T2, and T3 in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clothes material.

이로써, 물이 잘빠지지 않는 재질은 탈수강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탈수행정이 수행될 수 있고, 물이 잘 빠지는 재질은 탈수강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탈수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dewate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 a material that does not drain easily with a high dewatering strength, and a dewate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 a material that easily drains water with a low dewatering strength.

한편, 상기 가속단계(A22)에서 감지단계(A3)가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ing step A3 may be performed in the acceleration step A22.

상기 감지단계(A3)는 가속단계(A22)에서 드럼이 가속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A22)는 의류에 수분이 제거될 수 있는 속도로 드럼이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상기 감지단계(A3)가 상기 가속단계(A22)에서 수행되면 실시간으로 탈수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 sensing step (A3) may be performed whenever the drum is accelerated in the acceleration step (A22). In the accelerating step (A22), since the drum is continuously rotating at a speed at which moisture can be removed from the clothes, when the detecting step (A3) is performed in the accelerating step (A22),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dehydration in real time have.

상기 감지단계(A3)는 상기 가속단계(A22)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측정구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정구간에서 상기 드럼을 가속한 뒤 감속하여 상기 의류의 탈수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detecting step (A3) may include at least one measurement section for maintain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in the acceleration step (A22), and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the drum in the measuring section to dehydrate the clothes can detect

우선 가속단계에서 포량속도보다 높은 제1감지속도로 가속되면 일정시간 드럼이 등속회전하여 감지단계(A3)가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제1감지속도 보다 높은 제2감지속도로 더 가속되면 일정시간 드럼이 등속회전하며 감지단계(A3)가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제2감지속도 보다 높은 제3감지속도로 더 가속되면 일정시간 드럼이 등속회전하며 감지단계(A3)가 수행될 수 있다. First, in the acceleration step, if the drum is accelerated at a first detection speed higher than the laundry speed, the drum rotates at a constant speed to perform the detection step (A3). The drum rotates at a constant speed and the sensing step (A3) may be performed. If the drum is further accelerated at a third sensing speed higher than the second sensing speed, the drum rotates at a constant spe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nsing step (A3) may be performed.

도10은 상기 감지단계(A3)에서 감지된 탈수도를 통해 결정단계(A4)가 수행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10 shows an aspect in which the determination step A4 is performed through the dehydration sensed in the detection step A3.

상기 결정단계(A4)는 상기 감지단계(A3)에서 측정된 탈수도를 연산하여 기준값과 비교를 통해 조건확정단계에서 결정된 탈수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In the determining step (A4), the dehydration time determined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can be adjusted by calculating the dehydration degree measured in the detecting step (A3) and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value.

예를들어, 의류의 포질이 특정 포질인 CLASS X로 결정되어 탈수시간이 확정되면, 상기 결정단계(A4)에서 감지단계에서 판단된 탈수도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탈수시간을 연장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ehydration time is determined because the cloth quality of the clothing is determined to be a specific cloth material class X, the dehydration time may be extended or decreased by comparing the dehydration degree determined in the sensing step and the reference value in the determining step (A4).

한편, 결정단계(A4)에서 탈수도를 최종적으로 조절하기 이전에 고속단계(A23)에서 감지단계(A3)를 더 수행하여 최종적인 탈수도를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efore finally adjusting the dehydration in the determining step (A4), the detection step (A3) may be further performed in the high speed step (A23) to detect the final dehydration.

상기 최종적인 탈수도가 기준값 보다 낮으면, 상기 결정단계(A4)에서 제어부(P)는 탈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기준값보다 높으면 탈수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When the final dehydra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in the determining step (A4), the control unit P may increase the dehydration time, and if 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ehydration time may decrease.

한편, 전술한 것처럼, 탈수시간 뿐만 아니라 탈수속도까지 가변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dehydration time but also the dehydration rate may be varied.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 겸용으로 구비되었을 때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both drying.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행정을 수행할 때에도 전술한 조건확정단계와 탈수단계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Even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drying cycle, the above-described condition determining step and dewatering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조건확정단계(B1)에서 탈수단계(B2)에서 적합한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로 탈수단계(B2)가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t a suitable dehydration time or dehydration rate in the dehydration step (B2) in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B1), and the dehydration step (B2) may be performed at the set dehydration time or dehydration rate. .

상기 탈수단계(B2)가 종료되면, 의류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건조단계(B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B3)는 의류의 건조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dehydration step (B2) is completed, a drying step (B3) of completely removing moisture from the clothes may be performed. The drying step B3 may be set to end when the drying level of the clothes reaches a set value.

즉, 상기 건조단계(B3)는 탈수단계(B2)와 달리, 탈수시간 등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의류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는 건조센서를 통해 직접적으로 파악될 수도 있고, 온도센서를 통해 배출덕트(61)로 토출되는 온도가 상승하는 정도를 파악하여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어, 배출덕트(61)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갑작스럽게 상승하면, 의류의 수분이 없어 기화열로 더 이상 열을 가져갈 수 없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the drying step (B3), unlike the dehydration step (B2), may be set to end when the drying of the clothes is completed, rather than having a predetermined dehydration time. The degree of drying of clothes may be directly grasped through the drying sensor, or the degree of increase in the temperatu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duct 61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grasped indirectly.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duct 61 rises sudden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lothes cannot take any more heat as vaporization heat because there is no moisture in the clothes,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drying is complete.

상기 건조단계(B3)에서 측정된 건조시간을 통해 탈수단계(B2)에서 수행될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의 설정값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추가결정단계(B4)를 수행할 수 있다. An additional determination step (B4) of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set value of the dehydration time or dehydration rate to be performed in the dehydration step (B2)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rying time measured in the drying step (B3).

도12는 상기 추가결정단계(B4)를 도시한 것이다.12 shows the additional determination step (B4).

상기 제어부(p)에는 예상되는 건조시간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An expected drying time may be stored in the control unit p.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추가결정단계(B4)는 상기 건조단계(B3)에서 실제 수행된 건조시간과 상기 예상건조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탈수속도 또는 상기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 in the additional determination step (B4),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rate or the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by comparing the drying time actually performed in the drying step (B3) with the expected drying time. You can change either one.

상기 추가결정단계(B4)는 상기 건조시간과 기준시간이 큰지를 비교하는 1차비교단계(B41)와, 상기 건조시간이 기준시간보다 작은지를 비교하는 2차비교단계(B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ditional determination step (B4) may include a primary comparison step (B41) of comparing whether the drying time and the reference time are large, and a secondary comparison step (B42) of comparing whether the drying time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time. have.

상기 1차비교단계(B41)에서 건조시간이 예상되는 기준시간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면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을 증가시키는 탈수강화단계(A44)를 수행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ying time is longer than the expected reference time in the first comparison step (B41), the dehydration strengthening step (A44) of increasing the dehydration rate and the dehydration time may be performed.

상기 2차비교단계(B42)에서 건조시간이 예상되는 기준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판단되면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을 감소시키는 탈수약화단계(A43)를 수행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ying time is shorter than the expected reference time in the secondary comparison step (B42), a dehydration weakening step (A43) of reducing the dehydration rate and the dehydration time may be performed.

한편, 건조시간과 기준시간의 차이가 없다면, 탈수속도 또는 탈수시간을 변경하지 않고 종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drying time and the reference time, the spin-drying speed or the spin-drying time may be finished without changing.

물론,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시간이 길어지면 가열부에 투입되는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에 투입되는 에너지를 증가시키면, 에너지 사용량도 증가될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보장할 수 없고, 의류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건조시간이 예상 건조시간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면, 탈수강도를 높여 건조행정에 투입되는 의류 내부에 수분 자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Of cours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ying time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nergy input to the heating unit. However, if the energy input to the heating unit is increased, not only the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but also safety cannot be guarante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lothes may be damaged.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ying time is longer than the expected drying time, a method of increasing the dehydration strength and reducing the moisture itself in the clothes input to the drying cycle may be taken.

건조시간이 예상 건조시간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p)는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 탈수속도와 탈수속도로는 의류의 충분한 탈수가 수행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설정된 탈수시간 또는 탈수속도 중 어느 하나를 증가시키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탈수시간을 더 증가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탈수속도는 탈수시간을 더 이상 증가할 수 없을 때 증가시킬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ying time is longer than the expected drying time, the control unit p determines that sufficient dehydration of the clothes cannot be performed at the dehydration speed and the dehydration speed se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either the set dehydration time or the dehydration speed You can change it to increment one. At this time, a method of further increasing the dehydration time is taken, and the dehydration rate can be increased when the dehydration time can no longer be increased.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추가결정단계(B4)는 1차비교단계(B41)에서 상기 건조시간이 상기 예상건조시간 보다 길때만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탈수속도 또는 상기 탈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12 (b), the additional determination step (B4) increases the dehydration speed or the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only when the drying time is longer than the expected drying time in the first comparison step (B41). can

그러나, 상기 건조시간이 상기 예상건조시간과 동일하거나 작을때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탈수속도 또는 상기 탈수시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예상건조시간과 동일하거나 작다는 것은 탈수강도가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자연스럽게 건조시간이 줄어들어 전체적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when the drying tim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expected drying time, the dehydration speed or the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may be maintained as it is. This is because the fact that the drying tim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expected drying time means that the dehydration strength is sufficient, and thus the drying time is naturally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overal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ut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터브
30 드럼
70 급수부
72 배수펌프
P 제어부
1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10 cabinet
20 tubs
30 drums
70 water supply
72 drain pump
P control

Claims (16)

물을 저장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탈수속도와 탈수시간이 저장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 동안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상기 탈수단계 과정 중에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변시켜 상기 의류의 탈수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탈수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tub for stor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for accommodating clothes,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tub to rotate the drum, and a dehydration speed and dehydration time for performing a dehydration cycle are stor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the method comprising:
a dehydration step of using the drum to remove moisture from the clothes during the dehydration rate and the dehydration time;
a sensing step of detecting the degree of dehydration of the clothes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during the dehydration step;
and a determining step of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speed and the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dehydration degr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시간 별로 예상하는 예상탈수도가 저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탈수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탈수도와 상기 예상탈수도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탈수도와 상기 예상탈수도가 다를 경우에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by storing the expected dehydration number for each dehydration time,
The decision step is
Comparing the sensed degree of dehydration and the expected dehydration during the dehydration time, and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rate and the dehydration time when the sensed dehydration degree and the expected dehydration are different How to control th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탈수도를 상기 제어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단계는
기준횟수 이상 감지된 상기 탈수도의 평균값이 상기 예상탈수도와 다를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sensed dehydration in the control unit,
The decision step is
and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spin-drying speed and the spin-drying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dehydration sensed more than a reference number of times is different from the expected dehydr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감지된 탈수도와 예상탈수도가 대응되거나, 기준횟수 미만으로 상기 탈수도가 감지되거나, 기준횟수 이상 감지된 상기 탈수도의 평균값이 상기 예상탈수도와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탈수속도와 상기 탈수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ecision step is
If the sensed dehydration and expected dehydration correspond, or the dehydration is detected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the average value of the dehydration sensed more than the reference number corresponds to the expected dehydration, the dehydration rate stored in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maintaining the spin-drying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감지된 탈수도가 상기 예상탈수도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탈수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cision step is
and decreasing the dehydration time when the sensed dehydra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expected dehydration degre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감지된 탈수도가 상기 예상탈수도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탈수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cision step is
and increasing the spin-drying time when the sensed dehydration degree is less than the expected dehydration degre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감지된 탈수도가 상기 예상탈수도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탈수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cision step is
and decreasing the dehydration rate when the sensed dehydra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expected dehydration degre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감지된 탈수도가 상기 예상탈수도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탈수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cision step is
and increasing the dehydration rate when the sensed dehydration degree is less than the expected dehydration degr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탈수속도까지 가속하는 가속단계와,
상기 드럼을 탈수속도로 유지하는 고속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가속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속도를 가변하여 상기 의류의 탈수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ehydration step
an accelerating step of accelera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to a spin-drying speed;
A high-speed step of maintaining the drum at a dewatering speed,
The detection step is
and detecting the dehydration of the clothes by varying the speed of the drum in the accelerating ste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가속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측정구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측정구간에서 상기 드럼을 가속한 뒤 감속하여 상기 의류의 탈수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ection step is
At least one measurement section for maintain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in the acceleration step,
and detecting the dehydration degree of the clothes by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the drum in the measurement s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탈수속도에서 상기 드럼이 감속되기 전에 상기 드럼을 가속한 뒤 감속하여 상기 의류의 탈수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etecting step may include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the drum before the drum is decelerated at the dehydration speed to detect the dehydration degree of the cloth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포질에 대응되는 복수의 탈수속도 또는 탈수시간이 저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의류의 포질을 감지하여 이와 대응되는 상기 탈수단계에서 수행될 탈수속도 또는 탈수시간을 결정하는 조건확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store a plurality of dehydration rates or dehydration times corresponding to the fabric of the clothes,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dition determining step of detecting the fabric of the clothes and determining a dehydration speed or a dehydration time to be performed in the dewatering step corresponding thereto.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확정단계는
상기 드럼을 2회 이상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거나 측정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의류의 포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is
and determining the fabric quality of the clothes by measuring a current applied or measured to the driving unit in the process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drum twice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건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수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열공급부를 구동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의류의 건조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heat supply unit for drying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to the drum, and a drying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drying of the clothes,
a drying step of drying the clothes by driving the heat supply unit when the dehydration step is completed;
The drying step is terminated when the drying level of the clothes reaches a set valu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상되는 예상건조시간이 저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에서 수행된 건조시간과 상기 예상건조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탈수속도 또는 상기 탈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store the expected expected drying time,
The decision step is
and determining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dehydration rate and the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by comparing the drying time performed in the drying step with the expected drying tim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수행된 건조시간과 상기 예상건조시간 보다 길때만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탈수속도 또는 상기 탈수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수행된 건조시간이 상기 예상건조시간과 동일하거나 작을때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탈수속도 또는 상기 탈수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ecision step is
Increase the dehydration rate or the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only when the performed drying time and the expected drying time are longer,
and maintaining the dehydration rate or dehydration time stored in the control unit when the performed drying tim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expected drying time.
KR1020200055309A 2020-05-08 2020-05-08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KR202101366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09A KR20210136697A (en) 2020-05-08 2020-05-08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09A KR20210136697A (en) 2020-05-08 2020-05-08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97A true KR20210136697A (en) 2021-11-17

Family

ID=7870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309A KR20210136697A (en) 2020-05-08 2020-05-08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69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7157A (en) * 2022-02-11 2022-05-0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Dehydration curve-based roller washing machine dehydr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7157A (en) * 2022-02-11 2022-05-0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Dehydration curve-based roller washing machine dehydration performance optimiz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5937B1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504686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460253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US11236460B2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24005254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10136697A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US11274388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063254A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US11811341B2 (en) Motor drive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same
KR20210136376A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KR101037157B1 (en) Washing machine
US1128660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71917B1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KR20210136698A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KR102543582B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s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072548B1 (en) Washing machine
KR20230045363A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and laundry machine thereof
KR101069864B1 (en) Washing machine
KR20240043083A (en)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140586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031331B1 (en) Washing machine
KR20240043678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40043184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10014315A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