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573A -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573A
KR20210136573A KR1020200055001A KR20200055001A KR20210136573A KR 20210136573 A KR20210136573 A KR 20210136573A KR 1020200055001 A KR1020200055001 A KR 1020200055001A KR 20200055001 A KR20200055001 A KR 20200055001A KR 20210136573 A KR20210136573 A KR 2021013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abutment
determined
gum lin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0408B1 (en
Inventor
김종문
조상형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408B1/en
Publication of KR2021013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4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61B2034/104Modelling the effect of the tool, e.g. the effect of an implanted prosthesis or for predicting the effect of ablation or bur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7Visualisation of planned trajectories or targe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obo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and a device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and the device thereof can automatically provide abutment specifications including the gingival height (G/H) value of an abutment after arranging crowns virtually in image data and placing fixtures to match the arranged crowns.

Description

최적화된 어버트먼트를 제안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의료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dic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을 할 때, 골질을 미리 판단한 상태에서 가상의 크라운을 배열하고 크라운을 기준으로 픽스쳐를 식립한다. 이로 인해 상용화된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술을 하면 정확한 위치에 픽스쳐를 식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고정력을 높게 얻을 수 있게 되고, 픽스쳐를 식립한 후 바로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임시 보철물을 환자에게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에게 심미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만족감을 줄 수 있다.When designing a guide for dental implant surgery using software, virtual crowns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bone quality is determined in advance and fixtures are placed based on the crown. For this reason, when surgery is performed using a commercialized digital implant system, not only can the fixture be placed in an accurate position, but also a high mechanical fixation force can be obtained. A prosthesis may be fastened to the patien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esthetic and functional satisfaction to the patient.

그러나 상용화된 가이드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영상 소프트웨어에서는 어버트먼트를 제안해주는 기능이 없다. 또한 어버트먼트를 가이드 디자인 소프트웨어에서 디자인 하는 것이 아니라, 보철 디자인 소프트웨어에서 구강 데이터를 가지고 다시 디자인을 해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function to suggest an abutment in image software including commercialized guide design software. Also,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design the abutment again with the oral data in the prosthetic design software, rather than designing the abutment in the guide design software.

일 실시 예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디자인 할 때, 최적화된 어버트먼트를 자동으로 제안해 주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designing a guide for dental implant surgery using software, a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and an apparatus thereof for automatically suggesting an optimized abutment are proposed.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은, 영상 데이터에서 가상으로 크라운을 배열하는 단계와, 배열된 크라운에 맞게 픽스쳐를 식립하는 단계와, 픽스쳐의 최상단에서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의 잇몸부 높이(Gingival Height: G/H, 이하 'G/H'라 칭함)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G/H 값을 포함한 어버트먼트 사양을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수술 보고서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arranging a crown virtually in image data, placing a fixture to match the arranged crown, and us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gingival height (G/H, hereinafter referred to as 'G/H') value of the abutment, and displaying the abutment specific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G/H value on the screen or on the surgical report including providing steps to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픽스쳐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G/H value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checking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and based on the gum line according to the checked user set value determining a G/H value.

픽스쳐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는, 픽스쳐의 최상단 상에 위치하는 양쪽 연결지점을 생성하는 단계와, 양쪽 연결지점과 잇몸 라인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수직 거리를 픽스쳐의 최상단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sur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generating both connection points located on the top of the fixture, measuring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oints and the gum line, the measured vertical determining the distance as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하위 마진 조건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사양 중에 결정된 G/H 값보다 작은 최대 정수 값을 G/H 값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G/H value based on the gum line, if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a low margin condition, the G/H value is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below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gum line. can At this time, the maximum integer value smaller than the G/H value determined among the specifications in the abutment library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the G/H value.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상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상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사양 중에 결정된 G/H 값보다 큰 최소 정수 값을 G/H 값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G/H value based on the gum line, if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upper margin, the G/H value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above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gum line. have. At this time, the minimum integer value greater than the G/H value determined among the specifications in the abutment library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the G/H value.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어버트먼트의 G/H 값이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서 미리 설정된 최대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최대 값 이상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G/H valu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G/H value of the abutm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maximum value in the abutment library, and if greater than the preset maximum value, warn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t may include the step of outputting.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은, 어버트먼트 내 크라운 삽입부 높이(Abutment height: A/H, 이하 'A/H'라 칭함)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A/H 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G/H 값이 결정되면 크라운의 최저 높이 또는 대합치의 최고 높이에서 보철물의 강도를 고려한 길이를 차감하여 A/H 값을 결정할 수 있다.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crown insertion part within the abutment (A/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H'). In the step, when the G/H value is determined, the A/H value may be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length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prosthesis from the lowest height of the crown or the highest height of the opposing tooth.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은, G/H 값이 결정되면 크라운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 및 설측의 폭경을 반영하여 어버트먼트의 직경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diameter value of the abutment by reflecting the widths of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sides of the crown when the G/H value is determined.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서 어버트먼트의 사양을 결정하되, 픽스쳐의 최상단에서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의 G/H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결정된 어버트먼트 사양을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수술 보고서를 통해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image data, and determining the specification of the abutment from the acquired image data, us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and an output unit that displays the determined abutment specification on the screen or provides through a surgical report.

제어부는, 픽스쳐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측정하고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을 확인하며 확인된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measure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check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and determine the G/H value based on the gum line according to the checked user set value.

제어부는, 픽스쳐의 최상단 상에 위치하는 양쪽 연결지점을 생성하고 양쪽 연결지점과 잇몸 라인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된 수직 거리를 픽스쳐의 최상단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both connection points located on the top of the fixture, measure the vertical distance to both connection points and the gum line, and determine the measured vertical distance as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제어부는,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하위 마진 조건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하고,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상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상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a low margin con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G/H value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below a preset distance from the gum line, and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upper margin In the case of , the G/H value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above a preset distance from the gum line.

제어부는, 어버트먼트 내 A/H 값을 결정하되, G/H 값이 결정되면 크라운의 최저 높이 또는 대합치의 최고 높이에서 보철물의 강도를 고려한 길이를 차감하여 A/H 값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A/H value within the abutment, but when the G/H value is determined, the A/H value may be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prosthesis from the lowest height of the crown or the highest height of the opposing tooth .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시 가상의 크라운과 픽스쳐를 디자인 한 후, 그에 맞는 어버트먼트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제안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해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guide design method and device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designing a virtual crown and fixture when designing a guide for dental implant surgery, the user's abutment specification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nd suggested accordingly. It can provide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사양 자동 결정 프로세스를하기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의 크라운을 대합 치아에 맞게 배열하는 모습을 도시한 영상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라운 배열 이후 CT 단면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크라운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픽스쳐가 식립된 CT 단면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상의 양쪽 연결지점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의 잇몸 라인과 닿는 거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하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의 G/H 값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영상 화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위 마진을 설명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상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의 G/H 값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영상 화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위 마진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라운의 강도를 고려하여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최종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A/H 사양에서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합치가 정출되어 수직 공간이 부족한 경우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직경 값을 자동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결정된 어버트먼트 직경 값이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사양보다 작은 경우 어버트먼트 직경 값을 최종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된 어버트먼트 사양을 수술 보고서에 자동으로 연동하여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라운이 배열된 CT 단면영상 데이터나 표면 데이터 모두에서 어버트먼트의 사양 설정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determination process of an abutm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deo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a virtual crown is arranged to fit the opposing tee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T cross-sectional image after crown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T cross-sectional image in which a fixture is placed on the basis of the central axis of the virtual cr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both connection points on a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distance in contact with the gum line of the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deo screen showing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lower marg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wer marg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deo screen showing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upper marg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upper marg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the A / H value of the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the A / H value of the abu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finally determining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cr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in the abutment A/H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when the vertical space is insufficient due to the crystallization of the opposing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diameter value of the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finally determining the abutment diameter value when the abutment diameter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specification in the abutment library;
21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n abutment specification determined automatically in conjunction with a surgical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that it is possible to set the specifications of the abutment in both the CT cross-sectional image data and the surface data in which the crown is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combinations of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 which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It may be mounted so that its instructions, which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is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create a computer-executable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blocks or steps referred to in the block or step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for functions to occur out of sequen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and also the blocks or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s, if necessar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어버트먼트(60)는 픽스쳐 감합부(61), 잇몸부(62) 및 크라운 삽입부(63)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60)는 원통에 가까운 통상체이며, 그 내측에는 픽스쳐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butment 60 includes a fixture fitting portion 61 , a gum portion 62 , and a crown insertion portion 63 . The abutment 60 is a cylindrical body close to a cylinder, and is configured so that a screw for installation in the fixture can be inserted inside the abutment 60 .

픽스쳐 감합부(61)는 어버트먼트(60)의 픽스쳐 측에 배치되어 픽스쳐의 내측에 감합되는 부위이다. 감합을 위한 형상은 픽스쳐의 형태에 의해서 결정된다. 잇몸부(62)는 픽스쳐 감합부(61)로부터 구강 내측 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잇몸부(62)는 잇몸 내에 들어가는 부위이다. 크라운 삽입부(63)는 잇몸부(62)로부터 구강 내측 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크라운 삽입부(63)를 크라운에 삽입하여 그 크라운을 고정 시킨다. 잇몸부(62)와 크라운 삽입부(63)의 경계에는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64)이 형성된다. 잇몸부(62)의 높이를 Gingival Height(G/H, 이하 'G/H'라 칭함)라 하고, 크라운 삽입부(63)의 높이를 Abutment Height(A/H, 이하 'A/H'라 칭함)라 한다. 도 1에서는 보철물이 크라운인 경우를 예를 들어 크라운 삽입부(63)를 설명하였으나, 크라운이 아닌 다른 보철물로 대체 가능하다.The fixture fitting portion 61 is disposed on the fixture side of the abutment 60 and is a portion fitted to the inside of the fixture. The shape for fitting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fixture. The gum portion 62 is a region continuously formed in the oral cavity direction from the fixture fitting portion 61 . The gum portion 62 is a portion that enters the gum. The crown insertion portion 63 is a portion continuously formed in the oral cavity direction from the gum portion 62 . Insert the crown insertion part 63 into the crown to fix the crown. An abutment margin line 64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gum portion 62 and the crown insertion portion 63 . The height of the gum portion 62 is referred to as Gingival Height (G/H, hereinafter referred to as 'G/H'), and the height of the crown insertion unit 63 is referred to as Abutment Height (A/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H'). called). In FIG. 1, the crown insertion part 63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when the prosthesis is a crown, but it can be replaced with a prosthesis other than the crow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이하, '가이드 디자인 장치'라 칭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uide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과 같은 치과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치과 프로그램은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 이외에, 스캔 프로그램, CAD 프로그램, 의료영상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이외에 다른 일반적인 의료용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guide design device 1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dental program such as a guide design program for dental implant surgery.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ersonal media player (PMP),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In addition to the guide design program, the dental program includes a scan program, a CAD program, and a medical imaging program.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other general medical programs in addition to dental implant surgery.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 등의 치과 프로그램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 과정은 수술 환자 등록, 등록된 환자의 CT 데이터 및 구강 모델 데이터 획득, CT 데이터 및 구강 모델 데이터의 정합, 정합된 영상 데이터에서의 악궁 라인 생성 및 악궁 라인을 이용한 파노라믹 영상(Panoramic image) 생성, 환자의 구강 모델 데이터에서 크라운 모델 위치 및 크기 결정, 환자의 CT 데이터에서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의 위치 결정, 가이드 형상 디자인, 최종 가이드 출력을 포함한 과정으로 구성된다.The implant placement design process using a dental program such as a guide design program includes surgical patient registration, CT data and oral model data acquisition of registered patients, registration of CT data and oral model data, and arch line creation and arch from the matched image data. Process including creation of panoramic image using line, determination of crown model position and size from patient's oral model data, positioning of implant structure including fixtures from patient's CT data, guide shape design, and final guide output is composed of

본 발명은 위 과정 중에서 프로그램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크라운 및 픽스쳐의 위치를 결정한 이후, 최적의 어버트먼트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프로그램 상에서 제안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최적의 어버트먼트를 검색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예상 가능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고 이를 참조하여 수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of automatically or manuall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crown and a fixture in a program among the above processes, and then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optimal abutment and suggesting it on a program. In this case, since the user can omit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optimal abutment, the user's predictable trial and error can be reduced, and a surgical plan can be established with reference to this.

이하,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가이드 디자인 장치(1)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design device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guide desig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0 , a storage unit 12 , a control unit 14 , an input unit 16 , and an output unit 18 .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픽스쳐 식립을 위해 필요한 영상 데이터는 CT 데이터, 구강 모델 데이터 등이 있다. 데이터 획득부(10)는 CT 데이터와 구강 모델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image data from a patient. Image data required for fixture placement include CT data and oral model data. The data acquisition unit 10 may execute CT data and oral model data in a program or load data stored in a web page and a server.

구강 모델 데이터는 손상된 치아를 포함한 실제 치아들의 정보를 가진 데이터이다. 구강 모델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D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강 내 3D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구강 모델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The oral model data is data having information on actual teeth including damaged teeth. The oral model data may be obtained by scanning a plaster model created by imitating a patient's mouth with a 3D scanner.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obtained by scann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using a 3D intra-oral scanner. The acquired oral model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CT 데이터는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이미지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구분(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구강 모델 데이터와 CT 데이터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치아 아래에서 상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하악 치아 위에서 하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국소부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구강 방사선 사진 등을 포함한다. 획득된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CT data may be obtained by generating tomography images of the patient's head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segmenting the tooth boundaries in each tomography image, and combining them into one. These oral model data and CT data are images obtained by imaging the maxillary teeth under the maxillary teeth with the patient's mouth open, images obtained by imaging the mandibular teeth above the mandibular teeth with the patient's mouth open, and local areas with the mouth closed. Images obtained, oral radiographs, etc. are included. The acquired CT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저장부(12)에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구강 모델 데이터와 CT 데이터가 저장되고, 치과 치료 시뮬레이션 시 전체 구강 모델 데이터들 및 CT 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구강 모델 데이터 및 CT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구강 모델 데이터 및 CT 데이터에 매칭되는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 stores various data such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design apparatus 1 for implant surgery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 the storage unit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ral model data and CT data of an individual patient are stored, and a user requests oral model data and CT data of a specific patient from among all oral model data and CT data during dental treatment simul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the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2 stores the imag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each patient, and sends the imag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matching the oral model data and CT data of a specific patient to the user's request. It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는 복수의 치아 모델로 구성된 라이브러리를 가진다. 복수의 치아 모델은 가상의 크라운, 어버트먼트, 픽스쳐 등을 모델링한 디자인을 포함한다.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는 어버트먼트의 G/H 값, A/H 값, 직경 등의 사양이 사전에 정의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library composed of a plurality of tooth models. The plurality of tooth models include designs modeling virtual crowns, abutments, fixtures, and the like. In the abutment library, specifications such as G/H value, A/H value, and diameter of the abutment are defined in advance.

제어부(14)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수립하면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4)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보이는 화면정보를 관리하고, 의료 영상에 가상의 객체를 식립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가상의 객체가 식립되는 의료 영상은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을 위해 생성된 환자의 치아 배열이 나타난 2차원, 3차원 등의 다차원 영상을 의미한다. 임플란트 수술 계획에는 X-ray, CT, MRI, 파노라믹 영상, 구강 스캔 영상, 재구성을 통해 생성된 영상, 복수의 영상을 정합한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 controls each component while establishing an implant placement plan through control by a computer program. The control unit 14 manages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18 and performs a simulation of implanting a virtual object in a medical image. A medical image in which a virtual object is implanted refers to a two-dimensional, three-dimensional, or the like, multidimensional image in which a patient's tooth arrangement is generated for establishing an implant surgery plan. Various types of images such as X-ray, CT, MRI, panoramic image, oral scan image, image generated through reconstruction, and image obtained by matching multiple images can be used for implant surgery planning.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크라운 및 픽스쳐를 영상 데이터에 가상으로 배열한 이후 식립 환경에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14)는 가상의 크라운과 픽스쳐를 디자인 한 후, 그에 맞는 어버트먼트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에 제안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최종적으로 설계된 픽스쳐의 위치에 맞게 어버트먼트의 G/H 값, A/H 값 및 직경 등을 포함한 어버트먼트 사양을 자동 결정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수술 보고서를 통해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함이 증대되고, 사용자가 술 후 어버트먼트를 구강에서 맞춰보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철용 소프트웨어에 데이터를 불러와서 사용자가 일일이 어버트먼트의 사양을 결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abutment specification optimized for the implantation environment after arranging the crown and the fixture on the image data virtually.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 promote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designing the virtual crown and the fixture, and then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abutment suitable for it and suggesting it to the user. The abutment specification including the G/H value, A/H value, and diameter of the abutment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r suggested through a surgical repor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nally designed fixture.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and the user does not need to fit the abutment in the oral cavity after surger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individually determine the specifications of the abutment by importing data into the prosthetic software.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가상의 크라운이 배열되고 그에 맞게 픽스쳐가 디자인 된 후 픽스쳐의 최상단(Top) 상의 양쪽 연결지점에서 잇몸 라인까지를 어버트먼트의 G/H 값으로 결정한다. 그 이후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먼저 결정할 수도 있고 어버트먼트의 직경을 먼저 결정할 수도 있다. A/H 값을 먼저 자동으로 결정하는 경우 G/H 값으로부터 크라운의 최저 높이 또는 대합치의 최고 높이에서 보철물의 강도를 고려한 길이를 차감하여 A/H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의 직경은 결정된 G/H 값으로부터 가상 크라운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 및 설측의 폭경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s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from both connection points on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after the virtual crown is arranged and the fixture is designed accordingly. After that,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may be determined first or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may be determined first. If the A/H valu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first, the A/H value can be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length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prosthesis from the lowest height of the crown or the highest height of the opposing tooth from the G/H value.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from the determined G/H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widths of the virtual crown.

제어부(14)는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의 G/H 값, A/H 값 및 직경 값을 포함한 어버트먼트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이에 맞는 제품코드를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수술 보고서에 자동 반영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abutment specification including the G/H value, A/H value, and diameter value of the abutment in this way, and displays the appropriate product code on the screen or automatically reflects it in the surgery report. By giving the user 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4)에 의해 식립 정보가 결정되어 출력부(18)를 통해 가상의 객체가 표시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필요할 경우 조정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아 가상 객체의 위치 및 각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For example, when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4 and necessary for image data in which the virtual object is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18, a user operation for adjustment is input to adjust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virtual object. can

출력부(18)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출력부(18)는 실제 보철 치료 시술을 수행하기 전에 가상의 객체를 영상 데이터의 식립 위치에 배치하는 시뮬레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가상으로 타겟 위치에 어버트먼트를 배치하고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고 어버트먼트 윗 부분에 크라운이 삽입되는 시뮬레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제어부(14)를 통해 결정된 최적의 어버트먼트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8 displays the image data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8 may display a simulation of arranging a virtual object at an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age data before the actual prosthetic treatment is performed. The output unit 18 may display a simulation in which the abutment is virtually disposed at the target positio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are fastened, and the crown is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The output unit 18 may display the optimal abutment information determin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on the scree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사양 자동 결정 프로세스를하기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abutment specification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가상의 크라운을 대합 치아에 맞게 배열(S310) 하고, 배열된 크라운에 맞게 픽스쳐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식립한다(S320). 이때, 픽스쳐의 위치, 방향 및 깊이가 결정된다.2 and 3 ,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virtual crown to match the opposing teeth (S310), and automatically or manually places the fixture to match the arranged crown (S320). At this time, the position, direction and depth of the fixture are determined.

이어서, 픽스쳐의 최상단(Top)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어버트먼트 G/H 값으로 자동 결정한다(S330). 잇몸 라인은 구강 스캔 데이터에서의 잇몸 마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사용자의 마진 유형 설정 값에 따라 G/H 값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진 유형 설정 값이 하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0.5~1.0mm) 하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한다. 상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0.5~1.0mm) 상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한다. 디폴트(Default) 값으로 전치부에서 제1 소구치까지는 하위 마진 조건으로, 제2 소구치부터 제2 대구치까지는 상위 마진 조건로 설정할 수 있다.Then,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s the abutment G/H value (S330). The gum line can be obtained from the gum margin in the oral scan data. The guide design apparatus 1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e G/H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margin type setting value. For example, when the margin type setting value is the lower margin, the G/H value is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below a preset distance (eg, 0.5 to 1.0 mm) from the gum line. In the case of the upper margin, the G/H value is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above a preset distance (eg, 0.5 to 1.0 mm) from the gum line. As a default value, the lower margin condition can be set from the anterior teeth to the first premolars, and the upper margin conditions can be set from the second premolars to the second molars.

어버트먼트의 G/H 값이 결정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G/H 값으로부터 대합치의 가장 높은 부위까지를 자동으로 결정하거나, 가상 크라운의 가장 낮은 부위까지를 어버트먼트의 A/H 값으로 자동 결정한다(S340). 이때, 크라운의 강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5~2.0mm)를 차감한 높이를 A/H 값으로 자동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is determined, the guide design device 1 automatically determines from the G/H value to the highest part of the opposing tooth, or the lowest part of the virtual crown to the A of the abutment. /H valu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S340). 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crown, the height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set distance (eg, 1.5 to 2.0 mm)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s the A/H value.

어버트먼트의 G/H 값이 결정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G/H 값이 결정된 위치에서 크라운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 및 설측의 폭경에 의해 어버트먼트의 직경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S350).When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is determined, the guide design device 1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by the widths of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sides of the crown at the position where the G/H value is determined. It can be determined (S350).

전술한 단계들에 의해 어버트먼트의 사양(G/H, A/H, 직경)이 자동으로 결정된 이후,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결정된 어버트먼트의 사양을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수술 보고서 상에 제공한다(S360). 이때, 결정된 어버트먼트의 사양을 수술 보고서 상에 기록하고 제품 코드까지를 자동으로 연동할 수 있다.After the specifications (G/H, A/H, diameter) of the abutment ar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above steps, the guide design device 1 displays the determined specifications of the abutment on the screen or on the surgical report. provided to (S36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determined specification of the abutment on the surgical report and automatically link up to the product code.

단계 S310~S330 이후 단계 S350을 진행한 후 단계 S340을 진행할 수 있다(G/H

Figure pat00001
직경
Figure pat00002
A/H). 단계 S310~S350을 차례대로 진행하는 방법은 G/H
Figure pat00003
A/H
Figure pat00004
직경을 차례대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G/H 값을 결정해야, 즉 보철물의 마진 위치를 결정해야 A/H 값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거나 직경 값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가장 우선적으로 G/H 값을 결정한다.After steps S310 to S330, step S350 may be performed, and then step S340 may be performed (G/H
Figure pat00001
diameter
Figure pat00002
A/H). How to proceed with steps S310 to S350 in sequence is G/H
Figure pat00003
A/H
Figure pat00004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iameter in turn. The G/H value must be determined, that is, the margin position of the prosthesis must be determined so that the A/H value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or the diameter value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so the G/H value is determined firs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의 크라운을 대합 치아에 맞게 배열하는 모습을 도시한 영상 화면이다.4 is an image scree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irtual crown is arranged to fit an opposing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가상의 크라운을 대합 치아에 맞게 배열한다. 이를 위해, 환자의 표면 데이터와 CT 데이터를 정합한 후, 3차원 구강 데이터의 상, 하악 표면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크라운을 대합 치아에 맞게 배열한다.2 and 4 , the guide design device 1 arranges a virtual crown to fit the opposing teeth. To this end, after matching the patient's surface data with the CT data, the virtual crown is arranged to match the opposing teeth using the upper and lower mandibular surface in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oral data.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30)은 양 옆의 인접치를 기준으로 근심면(Mesial) 및 원심면(Distal)의 폭경(Width)이 설정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데이터의 잇몸에서부터 대합치의 형태를 기준으로 크라운(30)의 길이가 설정된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합치의 협측(Buccal) 및 설측(Lingual)의 폭경 사이즈에 의해 가상 크라운(30)의 협측 및 설측의 폭경이 결정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the crown 30 has the width of the mesial and distal surfaces set based on the adjacent values on both sides, and in FIG. 4 b As shown, the length of the crown 30 is set based on the shape of the antagonist teeth from the gum of the surface data.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c , the buccal and lingual widths of the virtual crown 30 are determined by the widths of the buccal and lingual of the opposing teeth.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라운 배열 이후 CT 단면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T cross-sectional image after crown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3차원 구강 데이터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크라운을 배열하면, CT 단면영상(예를 들어, Cross 단면영상)에 배열된 크라운(30)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user automatically or manually arranges the crown on the three-dimensional oral data, the crown 30 arranged on the CT cross-sectional image (eg, cross-sectional image) can be confi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크라운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픽스쳐가 식립된 CT 단면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T cross-sectional image in which a fixture is placed on the basis of the central axis of the virtual cr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가상의 크라운(30)의 중심 축과 주변 구조물을 이용하여 픽스쳐(50)의 위치, 방향 및 깊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크라운(30)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중심 축을 가지고 크라운(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픽스쳐(50)의 위치를 결정한다. 나아가, 픽스쳐(50)의 주변 구조물(예를 들어, 치조골 및 인접치)과의 관계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픽스쳐(5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스쳐(50)가 치조골(51) 내부에 위치하도록 픽스쳐(50)의 위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결정한다. 이때, CT 데이터의 치조골 정보를 확인하면서 픽스쳐(50)의 식립을 시행할 수 있다.2 and 6 , the guide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position, direction, and depth of the fixture 50 using the central axis and surrounding structures of the virtual crown 30 .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fixture 50 is determin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rown 30 with the same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wn 30 . 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fixture 50 may be determined by additionally considering relational information between the fixture 50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s (eg, alveolar bone and adjacent teeth). For example, the fixture 50 automatically or manually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fixture 50 to be located inside the alveolar bone (51). At this time, the implantation of the fixture 50 may be performed while checking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of the CT dat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상의 양쪽 연결지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의 잇몸 라인과 닿는 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both connection points on the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distance in contact with the gum line of the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표면 데이터와 CT 데이터를 정합하면, CT 데이터와 구강 모델 데이터 중 하나의 단면에서 잇몸의 마진정보와 CT 데이터의 단면정보가 같이 표현된다. 이때, 픽스쳐(50)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70)까지의 높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50)의 최상단 상의 양쪽 연결지점(71, 72)을 잇는 연결 선(75)을 생성한다. 양쪽 연결지점(71, 72)은 각각 어버트먼트와 픽스쳐(50)가 닿는 부위이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연결지점(71, 72)과 잇몸 라인(70)까지의 수직 거리(73, 74)을 자동으로 측정한다. 양쪽 연결지점(71, 72)과 잇몸 라인(70)까지의 수직 거리(73, 74)가 픽스쳐(50)의 최상단부터 잇몸 라인(70)까지의 높이가 된다.Referring to FIG. 7 , when the surface data and the CT data are matched, the margin information of the gum and the cross-sectional information of the CT data are expressed together in one section of the CT data and the oral model data. At this time, the height from the uppermost end of the fixture 50 to the gum line 70 is determin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a connection line 75 connecting both connection points 71 and 72 on the uppermost end of the fixture 50 is generated. Both connection points 71 and 72 are portions where the abutment and the fixture 5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n, as shown in FIG. 9, the vertical distances 73 and 74 to both connection points 71 and 72 and the gum line 70 are automatically measured. Both connection points (71, 72) and the vertical distance (73, 74) to the gum line (70) becomes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50) to the gum line (7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하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의 G/H 값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영상 화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위 마진을 설명한 도면이다.10 is a video screen illustrating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lower marg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ower marg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하위 마진 조건인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 라인(110)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0.5~1.0mm) 하방에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64)이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된 G/H 값이 정수가 아니면,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서 결정된 G/H 값보다 작은 최대 정수를 G/H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양쪽 연결지점(71, 72)과 잇몸 라인(70)까지의 수직 거리(73, 74)가 각각 4.26mm, 4.15mm인 경우, 하위 마진 조건이면 어버트먼트의 G/H 값은 4mm가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마진 조건은 잇몸(110) 아래에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64)이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심미적인 부위에 사용된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a lower margin condition, as shown in FIG. 11 , a preset distance (for example, 0.5 to 1.0 mm) from the gum line 110 is The G/H value may be determined such that the butt margin line 64 is located. At this time, if the determined G/H value is not an integer, a maximum integer smaller than the G/H value determined in the abutment library may be determined as the G/H value. For example, when the vertical distances 73 and 74 to both the connecting points 71 and 72 and the gum line 70 measured as shown in FIG. 10 are 4.26 mm and 4.15 mm, respectively, if the lower margin condition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becomes 4 mm. As shown in FIG. 11 , the lower margin condition refers to a case where the abutment margin line 64 is located under the gum 110 , and is generally used for aesthetic areas.

나아가, 도 10의 하위 마진 조건 하에서 자동 결정된 G/H 값이 4mm일 때 한쪽의 높이가 0.15mm 차이가 나는 경우 가이드의 오차로 인해 상위 마진 또는 동위(Equal) 마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G/H 값을 3mm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자동 결정된 G/H 값이 4mm인데, 사용자가 픽스쳐(50)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70)까지의 높이에서 0.3mm 이상 낮도록 설정한 하위 마진 조건(0.3mm 하위 마진 조건)에서는 최종 G/H 값은 4mm가 아닌 3mm가 된다.Furthermore, when the automatically determined G/H value is 4 mm under the lower margin condition of FIG. 10 , when the height of one side is 0.15 mm different, the upper margin or the equal margin may be due to the error of the guide. Therefore, the G/H value may be determined to be 3mm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value. For example, the automatically determined G/H value is 4mm, but in the lower margin condition (0.3mm lower margin condition) the user sets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50 to the gum line 70 to be lower than 0.3mm, the final G/H The H value will be 3mm instead of 4mm.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상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의 G/H 값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영상 화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위 마진을 설명한 도면이다.12 is a video screen illustrating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upper marg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upper marg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상위 마진 조건인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 라인(130)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0.5~1.0mm) 상방에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64)이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된 G/H 값이 정수가 아니면,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서 결정된 G/H 값보다 큰 최소 정수를 G/H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양쪽 연결지점(71, 72)와 잇몸 라인(70)까지의 수직 거리(73, 74)가 각각 4.26mm, 4.15mm인 경우, 상위 마진 조건이면 어버트먼트의 G/H 값은 5mm가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마진 조건은 잇몸(110) 위에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64)이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대구치 부위에 사용되어 치주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12 and 13,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upper margin condition, as shown in FIG. 13, a preset distance (eg, 0.5 to 1.0 mm) from the gum line 130 above The G/H value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64 is located. In this case, if the determined G/H value is not an integer, a minimum integer greater than the G/H value determined in the abutment library may be determined as the G/H value. For example, if the vertical distances 73 and 74 to both the connecting points 71 and 72 and the gum line 70 measured as shown in FIG. 12 are 4.26 mm and 4.15 mm, respectively, if the upper margin condition is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becomes 5mm. As shown in FIG. 13 , the upper margin condition refers to a case where the abutment margin line 64 is on the gum 110 ,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molar region to obtain good periodontal results.

가이드 디자인 장치는 픽스쳐를 깊게 식립해야 하거나 잇몸의 두께가 두꺼워 어버트먼트의 G/H 값이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서 미리 설정된 최대 값(예를 들어, 7mm)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어버트먼트에 제한이 있음을 경고하는 문구를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을 통해 어버트먼트를 수동으로 결정하거나, 소프트웨어 상에서의 어버트먼트 선택을 생략할 수 있다.The guide design device generates warning information when the fixture needs to be placed deeply or the thickness of the gum is thick and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exceeds the preset maximum value (for example, 7mm) in the abutment library. It can be printed on the screen. For example, it provides a warning that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selectable abutments. In this case, the user may manually determine the abutment through user manipulation, or may omit the abutment selection on the software.

가이드 디자인 장치는 어버트먼트의 G/H 값을 결정한 이후 어버트먼트의 직경 값을 결정하고 그 후 A/H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어버트먼트의 G/H 값을 결정한 이후 어버트먼트의 직경 값을 결정하고 그 후 A/H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G/H 값을 가장 먼저 결정해야, 즉 보철물의 마진 위치를 결정해야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거나 직경 값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가장 우선적으로 G/H 값을 결정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로 하여 A/H 값을 결정하는 실시 예에 대해 후술하고,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로 하여 직경 값을 결정하는 실시 예에 대해 후술한다.After determining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the guide design device may determine the diameter value of the abutment and then determine the A/H value. As another example, after determining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the diameter value of the abutment may be determined and then the A/H value may be determined. As such, the G/H value must be determined first, that is, the margin position of the prosthesis must be determined so that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or the diameter value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to decide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A/H valu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 and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diameter valu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0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an A/H value of an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의 G/H 값이 자동 결정된 이후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64)으로부터 대합치(140)의 최상단(142)까지의 수직거리(144)를 측정하고 이 측정 값(144)을 어버트먼트의 A/H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2 and 14 , after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the guide design device 1 moves vertically from the abutment margin line 64 to the uppermost end 142 of the opposing tooth 140 . The distance 144 may be measured and the measured value 144 may be determined as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an A/H value of an abu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의 G/H 값이 자동 결정된 이후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64)으로부터 크라운(30)의 최하단(150)까지의 수직거리(152)를 측정하여 이 측정 값(152)을 어버트먼트의 A/H 값(도 15의 6.29mm)으로 결정한다.2 and 15 , after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the guide design device 1 sets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abutment margin line 64 to the lowest end 150 of the crown 30 . (152) is measured to determine this measured value 152 as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6.29 mm in FIG. 15).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라운의 강도를 고려하여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최종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finally determining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cr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16을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어버트먼트의 A/H 값(도 16의 6.29mm)에서 크라운의 강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5~2.0mm)를 차감한 값(도 16의 4.29mm)을 어버트먼트의 A/H 최종 값으로 결정한다.2 and 16 , the guide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crown at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6.29 mm in FIG. 16 )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 In consideration of this, a value (4.29 mm in FIG. 16 )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set distance (eg, 1.5 to 2.0 mm) is determined as the final A/H value of the abutment.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A/H 사양에서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an A/H value of an abutment in an abutment A/H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어버트먼트의 높이 사양이 4.0mm, 5.5mm, 7.0mm이 있다고 가정하면, 도 16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의 A/H 최종 값이 4.29mm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4.0mm로 자동 결정한다. 어버트먼트의 A/H 사양은 제조사별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예시로 사양을 정의하였으며, 각 시스템에 대한 사양 별로 본 발명이 적용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7, assuming that the height specification of the abutment is 4.0 mm, 5.5 mm, and 7.0 mm,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6, if the A/H final value of the abutment is 4.29 mm, FIG. As shown in Fig.,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s 4.0mm. Since the A/H specification of the abutment is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the specification is defined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for each system.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합치가 정출되어 수직 공간이 부족한 경우 어버트먼트의 A/H 값을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determining the A/H value of the abutment when the vertical space is insufficient due to the crystallization of the opposing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대합치가 정출되어 수직 공간이 부족할 경우, 어버트먼트의 최소 높이 값(예를 들어, 4mm)를 선택할 수 없다. 이때는 사용자에게 경고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버트먼트 높이가 4mm 이하'라는 경고 문구를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어버트먼트를 선택하거나, 소프트웨어 상에서 어버트먼트 선택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when the vertical space is insufficient due to the crystallization of the antagonist, the minimum height value (eg, 4 mm) of the abutment cannot be selected. In this case, warning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the user. For example, it provides a warning message 'The abutment height is 4 mm or less'.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ively select the abutment, or the abutment selection step may be omitted on the software.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직경 값을 자동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diameter value of an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19를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1)는 G/H 값이 결정된 이후 크라운의 근심면, 원심면, 혈측 및 설측의 폭경을 이용하여 직경 값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에서 어버트먼트의 직경 값을 1mm씩 늘려나가다 크라운(3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 및 설측의 폭경 중 어느 한 곳과 맞닿을 경우 이때의 길이를 어버트먼트의 직경 값으로 자동 결정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19 , the guide design device 1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diameter value using the widths of the mesial, distal, hematological and lingual sides of the crown after the G/H value is determined. For example, if the software increases the diameter value of the abutment by 1 mm and comes into contact with any one of the width diameters of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sides of the crown 30, the length at this time is set to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valu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다른 예로, G/H 값이 결정된 이후 크라운(30)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 및 설측의 폭경을 측정하고 가장 작은 사이즈를 기준으로 어버트먼트의 직경을 자동 결정한다. 만약 가상 크라운의 직경이 근심면, 원심면, 협측 및 설측의 폭경 모두 정수로 떨어지지 않을 경우 소수점을 버린 한 단계 작은 사이즈로 어버트먼트의 직경을 결정한다.As another example, after the G/H value is determined,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widths of the crown 30 are measured, and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the smallest size. If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rown does not fall to an integer in all of the widths of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sides,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is determined by one notch smaller than the decimal point.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결정된 어버트먼트 직경 값이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사양보다 작은 경우 어버트먼트 직경 값을 최종 결정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for finally determining an abutment diameter value when the abutment diameter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a specification in the abutment library.

도 20을 참조하면, 결정된 어버트먼트 직경 값이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최대 직경 값(예를 들어, 7.0mm)보다 클 경우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서 최대 직경 값(예를 들어, 7.0mm)을 최종 값으로 결정한다.Referring to FIG. 20 , when the determined abutment diameter valu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diameter value (eg, 7.0 mm) in the abutment library, the maximum diameter value (eg, 7.0 mm) is obtained from the abutment library. determined as the final value.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된 어버트먼트 사양을 수술 보고서에 자동으로 연동하여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n abutment specification determined automatically in conjunction with a surgery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조하면, 가이드 디자인 장치는 어버트먼트의 사양을 자동으로 결정한 이후 수술 보고서(Surgical Report)(210)에 어버트먼트의 사양(G/H, A/H, 직경)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제품코드까지 연동하여 기록한다. 제품코드의 경우 GSTA가 앞에 붙고 직경, A/H, G/H 순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참조부호 212에서와 같이, A/H: 4.0mm, 직경: 7.0mm, G/H 5.0 mm, 제품코드 GSTA7450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ure 21, the guide design device automatically records the specifications (G/H, A/H, diameter) of the abutment in the surgical report (Surgical Report) 210 afte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abutment and record the product code as well. In the case of product code, GSTA is prefixed and can be entered in the order of diameter, A/H, and G/H. For example, as in reference numeral 212 of FIG. 21 , A/H: 4.0 mm, diameter: 7.0 mm, G/H 5.0 mm, product code GSTA7450 is provided.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라운이 배열된 CT 단면영상 데이터나 표면 데이터 모두에서 어버트먼트의 사양 설정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2 is a view showing that it is possible to set the specification of the abutment in both the CT cross-sectional image data and the surface data in which the crown is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크라운과 픽스쳐가 배열된 CT 단면영상(221)이나 표면 데이터(222) 모두에서 어버트먼트의 사양을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the specifications of the abutment may be set in both the CT cross-sectional image 221 and the surface data 222 in which the crown and the fixture are arrang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focusing on the embodiments there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영상 데이터에서 가상으로 크라운을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크라운에 맞게 픽스쳐를 식립하는 단계;
픽스쳐의 최상단에서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의 잇몸부 높이(Gingival Height: G/H, 이하 'G/H'라 칭함)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G/H 값을 포함한 어버트먼트 사양을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수술 보고서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Virtually arranging crowns in the image data;
placing a fixture to fit the arranged crown;
determining a gingival height (G/H, hereinafter referred to as 'G/H') value of the abutment us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and
displaying the abutment specific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G/H value on the screen or providing it on a surgical report;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픽스쳐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G/H value comprises:
Measur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and
checking a user-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and
determining the G/H value based on the gum line according to the confirmed user setting valu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픽스쳐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는
픽스쳐의 최상단 상에 위치하는 양쪽 연결지점을 생성하는 단계;
양쪽 연결지점과 잇몸 라인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수직 거리를 픽스쳐의 최상단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ep of measur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generating both connection points located on the top of the fixture;
Measuring the vertical distance to both connection points and the gum line; and
determining the measured vertical distance as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하위 마진 조건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G/H value based on the gum line comprises: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a lower margin condition, 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G/H value is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below a preset distance from the gum line.
제 4 항에 있어서,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사양 중에 결정된 G/H 값보다 작은 최대 정수 값을 G/H 값으로 최종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G/H value based on the gum line comprises:
A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integer value smaller than the G/H value determined during the specifications in the abutment library is finally determined as the G/H value.
제 2 항에 있어서,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상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상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G/H value based on the gum line comprises: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upper margin, 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G/H value is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above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gum line.
제 6 항에 있어서,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사양 중에 결정된 G/H 값보다 큰 최소 정수 값을 G/H 값으로 최종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G/H value based on the gum line comprises:
A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minimum integer value greater than the G/H value determined among the specifications in the abutment library is finally determined as the G/H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G/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어버트먼트의 G/H 값이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에서 미리 설정된 최대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최대 값 이상이면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G/H value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G/H value of the abutm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maximum value in the abutment library; and
generating warning information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maximum value and outputting it on a screen;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은
어버트먼트 내 크라운 삽입부 높이(Abutment height: A/H, 이하 'A/H'라 칭함) 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A/H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G/H 값이 결정되면 크라운의 최저 높이 또는 대합치의 최고 높이에서 보철물의 강도를 고려한 길이를 차감하여 A/H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is
Determining a height of the crown insertion portion within the abutment (A/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H') valu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to determine the A/H value are
When the G/H value is determined, 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A/H value is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length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prosthesis from the lowest height of the crown or the highest height of the opposing tooth.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은
G/H 값이 결정되면 크라운의 근심면, 원심면, 협측 및 설측의 폭경을 반영하여 어버트먼트의 직경 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is
when the G/H value is determined, determining the diameter value of the abutment by reflecting the widths of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sides of the crown;
Guide design method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서 어버트먼트의 사양을 결정하되, 픽스쳐의 최상단에서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의 G/H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어버트먼트 사양을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수술 보고서를 통해 제공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a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image data;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specifications of the abutment from the obtained image data, and determines the G/H value of the abutment by us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and
an output unit that displays the determined abutment specification on the screen or provides through a surgical report;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픽스쳐의 최상단에서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를 측정하고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을 확인하며
확인된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잇몸 라인을 기준으로 G/H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Measure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Check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G/H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gum line according to the confirmed user setting value.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픽스쳐의 최상단 상에 위치하는 양쪽 연결지점을 생성하고
양쪽 연결지점과 잇몸 라인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된 수직 거리를 픽스쳐의 최상단부터 잇몸 라인까지의 높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Create both connection points located on the top of the fixture and
Measure the vertical distance from both connection points to the gum lin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measured vertical distance as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fixture to the gum line.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하위 마진 조건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하고,
마진 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상위 마진인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 라인이 잇몸 라인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상방에 위치하도록 G/H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a lower margin condition, the G/H value is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below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gum line,
When the user set value for the margin type is the upper margin, the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G/H value is determined so that the abutment margin line is located above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gum line.
제 1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어버트먼트 내 A/H 값을 결정하되, G/H 값이 결정되면 크라운의 최저 높이 또는 대합치의 최고 높이에서 보철물의 강도를 고려한 길이를 차감하여 A/H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A/H value in the abutment is determined, but when the G/H value is determined, the A/H value is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length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prosthesis from the lowest height of the crown or the highest height of the opposing tooth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KR1020200055001A 2020-05-08 2020-05-08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4104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01A KR102410408B1 (en) 2020-05-08 2020-05-08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01A KR102410408B1 (en) 2020-05-08 2020-05-08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573A true KR20210136573A (en) 2021-11-17
KR102410408B1 KR102410408B1 (en) 2022-06-20

Family

ID=7870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001A KR102410408B1 (en) 2020-05-08 2020-05-08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40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365A (en) * 2022-01-13 2023-07-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mplant library management, implant simula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KR20240015226A (en) * 2022-07-26 2024-02-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expected error information related to implant plac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4165A1 (en) * 2012-10-23 2014-05-01 3Shape A/S Designing a dental restoration
KR101623356B1 (en) * 2014-12-31 2016-05-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implant planning guide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638558B1 (en) * 2015-07-14 2016-07-11 주식회사 디오 digital onebody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KR101862752B1 (en) 2016-12-19 2018-05-30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mplant Abutment using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of Implant Abutment
KR20190142080A (en) * 2018-06-15 2019-12-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implant planning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4165A1 (en) * 2012-10-23 2014-05-01 3Shape A/S Designing a dental restoration
US20180189420A1 (en) * 2012-10-23 2018-07-05 3Shape A/S Designing a dental restoration
KR101623356B1 (en) * 2014-12-31 2016-05-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implant planning guide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638558B1 (en) * 2015-07-14 2016-07-11 주식회사 디오 digital onebody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KR101862752B1 (en) 2016-12-19 2018-05-30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mplant Abutment using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of Implant Abutment
KR20190142080A (en) * 2018-06-15 2019-12-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implant planning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365A (en) * 2022-01-13 2023-07-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mplant library management, implant simula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KR20240015226A (en) * 2022-07-26 2024-02-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expected error information related to implant pla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408B1 (en)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0204B2 (en) Virtually designing a customized healing abutment
KR101693911B1 (en) A method of designing and fabricating patient-specific restorations from intra-oral scanning of a digital impression coping
US9348973B2 (en) Method and system providing improved data matching for virtual planning
JP2017006658A (en) Generating design for dental restorative product from dental images
KR102248604B1 (en) Apparatus for planning implant placement capable of recommendation of optimized abutment and prosthesis replacement type and method thereof
KR101985919B1 (en) Method for designing a dental surgical guid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0527667A (en)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planning
KR102283821B1 (en) Structure data matching method and intraoral structure data matching system
KR20200070706A (en)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dental implant surgery that determines a crown position by reflecting a relationship between adjacent teeth and a an antagonistic teeth
KR102410408B1 (en)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20190008686A (en) Method for designing a dental surgical guid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602992B2 (en) Using a CBCT bone scan to design a dental abutment
KR20210146154A (en) Method for designing structure of guide for implant surgery and apparatus thereof
KR102350098B1 (en) Method for generating arch line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KR102406485B1 (en) Method for designing patient-specific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292873B1 (en) Method for segmenting sinus area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KR102197309B1 (en) A guide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surgery using fixture invasion area segmentation for maxillary sinus lifting
KR102304435B1 (en) Method for anchor pin placement and guide design apparatus for implant surgery
KR102549576B1 (en)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thereof
Moglioni et al. Intra-oral scanning and CAD/CAM prosthesis fabrication
KR102573907B1 (en) Method for editing arch line and tooth arrangement design apparatus thereof
KR1024188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margin line of Inlay or Onlay
KR102388411B1 (en) Method for fabricating tray, data transfer method and simulation apparatus therefor
KR102347493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US20230149086A1 (en) Maxillary sinus lifting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