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352A -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352A
KR20210136352A KR1020200054470A KR20200054470A KR20210136352A KR 20210136352 A KR20210136352 A KR 20210136352A KR 1020200054470 A KR1020200054470 A KR 1020200054470A KR 20200054470 A KR20200054470 A KR 20200054470A KR 20210136352 A KR20210136352 A KR 20210136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care
data collection
collection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docking s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199B1 (ko
Inventor
정준홍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1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PLC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를 헬스케어 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케어 장치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Healthcare system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병원, 요양 시설, 복지 시설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노인인구에 따라 노인 요양 시설은 2008년 1,332개소에서 2018년 3,390개소로 약 2.6배 증가하였으며, 노인 요양 시설 근무자 1명이 약 5명의 입원자를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병원이나 노인 요양 시설 등은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를 도입하여 환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1:1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일례로, 착용자의 헬스케어 장치와 모바일 장치를 1:1 연결하여 생체정보를 확인하는 식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를 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해 있는 복수의 환자에게 착용시킨 상황에서는 다수의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에서 측정한 생체정보를 당사자, 병원이나 요양병원 관계자, 보호자(이하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병원, 노인 요양 시설 등의 환자의 생체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장치(DCU, Data Concentration Unit)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헬스케어 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케어 장치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는 트리형(tree type)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의 하위 네트워크 계층은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이고,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의 하위 네트워크 계층은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는 각각 고유 ID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고유 ID를 기준으로 상호간 연결관계를 매핑한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헬스케어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생체정보에 포함된 상기 헬스케어 장치의 고유 ID 및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의 고유ID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동일한 헬스케어 장치에서 생성된 생체정보가 복수의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 중복 수집될 경우, 가장 최근에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의 ID를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수집한 생체정보를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PLC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는 각각 고유 ID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고유 ID를 기준으로 상호간 연결관계를 매핑한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가 상기 생체정보에 포함된 상기 헬스케어 장치의 고유 ID 및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의 고유ID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PLC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가 헬스케어 장치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 스테이션이 상기 헬스케어 장치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헬스케어 장치는 각각 고유 ID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고유 ID를 기준으로 상호간 연결관계를 매핑한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헬스케어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헬스케어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을 판단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은 병원, 노인 요양 시설 등의 환자의 생체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 업무를 경감시키고 감염병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입원자의 바이탈(혈압, 체온, 맥박, 산소포화도) 체크 등 통상적, 주기적인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위급시 신속한 상황전파 및 구호활동 연계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에게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던 입원자의 생체정보를 개선된 방법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입원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통하여 병원이나 노인요양원 종사자의 업무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도 입원자를 보다 안심하고 병원이나 노인요양시설에 맡길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실시예예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3 내지 도5는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1)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 및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PLC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물은 병원, 요양원, 복지 시설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건물 내의 노약자, 환자 등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30)가 장착되며, 장착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 산소 포화도, 움직임 등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생체정보는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장치(30)는 예를 들면, 혈압 측정 센서, 체온 측정 센서, 맥박 측정 센서, ECG(Electro Cardiogram) 센서, 모션 센서 등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의복 내장형, 벨트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는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의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헬스케어 장치(30)는 다양한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생성되는 생체정보를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헬스케어 장치(3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헬스케어 장치(30)의 통신모듈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도킹 스테이션(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 장치(30)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도킹 스테이션(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건물 내의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집장치(20)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를 헬스케어 장치(30)로 전달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은 복수의 헬스케어 장치(30)와 데이터 수집장치(20)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헬스케어 장치(30)와 데이터 수집장치(20) 간의 통신 음영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은 PLC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킹 스테이션(10)은 데이터 수집장치(20)와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수집장치(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의 통신모듈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헬스케어 장치(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10)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헬스케어 장치(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PLC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도킹 스테이션(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의 통신모듈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HFC(Hybrid Fiber Coax Network), 광통신망 등의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헬스케어 서버(4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고유 ID를 기준으로 상호간 연결관계를 매핑한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 및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헬스케어 장치(30)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10)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생체정보에 포함된 헬스케어 장치(30)의 고유 ID 및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10)의 고유ID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동일한 헬스케어 장치(30)에서 생성된 생체정보가 복수의 도킹 스테이션(10)을 통해 중복 수집될 경우, 가장 최근에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10)의 고유 ID를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여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수집한 생체정보를 헬스케어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장치(20),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 및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는 트리형(tree type)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장치(20)의 하위 네트워크 계층은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이고,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의 하위 네트워크 계층은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과 연계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도킹 스테이션(10)은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와 연계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헬스케어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도킹 스테이션(10)과 연계될 수 있으며, 측정한 생체정보를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장치(20),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 및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는 각각 고유 ID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하나의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도킹 스테이션(10)은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헬스케어 장치(30)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하기 표1은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이블이다. 표1을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장치(20)와 도킹 스테이션(10), 헬스케어 장치(30)와의 연계 관계가 매핑되어 테이블로 작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네크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들은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호간 연결관계가 매핑되어 있는 네트워크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데이터수집장치 ID 도킹스테이션 ID 헬스케어 장치 ID
DCU_N DS_1 H_1 H_2 H_i
DS_2 H_j H_k H_n
DS_m H_p H_q H_x
데이터 수집장치(20),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 및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는 작성된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작성된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헬스케어 장치(30)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10)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장치(20)는 특정 헬스케어 장치(30)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헬스케어 장치(30)와 연계되어 있는 도킹 스테이션(10)을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검출된 도킹 스테이션(10)을 통하여 해당 헬스케어 장치(3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테이블은 가장 최근에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이 연계 도킹 스테이션으로 검출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생체정보에 포함된 헬스케어 장치(30)의 고유 ID 및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10)의 고유ID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생체정보에 포함된 ID와 해당 생체정보를 전달한 도킹 스테이션(10)의 ID를 매핑하여 네트워크 테이블을 작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요청에 의하여 수신하는 생체정보에 포함된 헬스케어 장치(30)의 ID와 해당 생체정보를 전달한 도킹 스테이션(10)의 ID를 매핑하여 네트워크 테이블을 작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먼저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건물 내의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헬스케어 장치(30)는 평상시에는 전력사용을 최소화하도록 무선통신 기능을 차단한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이벤트 시에만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헬스케어 장치(30)의 생체정보 전송주기가 도래했을 경우 또는, 헬스케어 장치(30)가 착용자의 위급상황을 인지했을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생체정보 전송주기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0초를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급상황은 측정한 혈압, 체온, 맥박, 산소포화도 등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헬스케어 장치(30)는 이벤트 발생시 측정한 생체정보를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헬스케어 장치(30)는 사용하는 무선 통신모듈이 갖고 있는 고유한 MAC 주소를 ID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헬스케어 장치(30)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한 도킹 스테이션(10)은 이를 데이터 수집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통신방식은 ISO/IEC12139-1 규격의 전력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은 사용하는 PLC 모뎀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MAC 주소를 ID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생체정보에 포함된 헬스케어 장치(30)의 고유 ID 및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10)의 고유ID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장치(20)를 루트(root)로 하는 트리형의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테이블이 생성되며, 이 네트워크 테이블은 도킹 스테이션(10)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수집한 생체정보를 취합하여 헬스케어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하나의 헬스케어 장치(30)가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10)에 생체정보를 전송할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하나의 헬스케어 장치(30)에서 전송하는 생체정보는 복수의 도킹 스테이션(1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수집장치(20) 또한 복수의 도킹 스테이션(10)을 통해 중복된 생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중복된 생체정보를 수신할 경우, 헬스케어 장치(30)의 ID와 생체정보 생성시각을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에 수신한 생체정보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30)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전송주기, 생체정보의 정상판단 범위, 현재시각 등 헬스케어 장치(30)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현 시점의 착용자 생체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메시지를 생성하여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도킹 스테이션(10)과 헬스케어 장치(30)간의 연계관계를 확인한 후, 특정 헬스케어 장치(30)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10)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킹 스테이션(10)은 헬스케어 장치(30)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도킹 스테이션(10)은 메시지를 전달할 특정 헬스케어 장치(30)가 접속할 때까지 대기한 후, 해당 헬스케어 장치(30)가 접속하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시지를 수신한 헬스케어 장치(30)는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고 생체정보나 메시지의 처리 결과 등을 포함하는 답변을 도킹 스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킹 스테이션(10)은 헬스케어 장치(30)로부터 수신한 답변을 데이터 수집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헬스케어 시스템
10: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20: 데이터 수집장치(DCU)
30: 헬스케어 장치(Healthcare Device)
40: 헬스케어 서버

Claims (18)

  1.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PLC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를 헬스케어 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케어 장치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는 트리형(tree type)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는 헬스케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의 하위 네트워크 계층은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이고,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의 하위 네트워크 계층은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인 헬스케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는 각각 고유 ID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고유 ID를 기준으로 상호간 연결관계를 매핑한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헬스케어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을 판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생체정보에 포함된 상기 헬스케어 장치의 고유 ID 및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의 고유ID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복수의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 중복된 생체정보가 수집될 경우, 가장 최근에 생체 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수집한 생체정보를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10.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PLC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는 각각 고유 ID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고유 ID를 기준으로 상호간 연결관계를 매핑한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헬스케어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가 상기 생체정보에 포함된 상기 헬스케어 장치의 고유 ID 및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의 고유ID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가 복수의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 중복된 생체정보를 수집하였을 경우, 가장 최근에 생체 정보를 전송한 도킹 스테이션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15.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복수개의 도킹 스테이션과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PLC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가 헬스케어 장치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 스테이션이 상기 헬스케어 장치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헬스케어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판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특정 헬스케어 장치가 접속할 때,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상기 특정 헬스케어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특정 헬스케어 장치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처리결과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회신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헬스케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54470A 2020-05-07 2020-05-07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238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70A KR102387199B1 (ko) 2020-05-07 2020-05-07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70A KR102387199B1 (ko) 2020-05-07 2020-05-07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52A true KR20210136352A (ko) 2021-11-17
KR102387199B1 KR102387199B1 (ko) 2022-04-15

Family

ID=7870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470A KR102387199B1 (ko) 2020-05-07 2020-05-07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1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633A (ko) * 2009-11-23 2011-05-31 (의료)길의료재단 의료기기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웹기반 원격 관리 지원을 위한 통합 의료관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한 통합 의료관리 방법
KR20170043273A (ko) * 2015-10-13 2017-04-21 디노플러스 (주)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4045A (ko) * 2016-09-27 2018-04-04 박일권 요양병원의 간호사 응급호출 스마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633A (ko) * 2009-11-23 2011-05-31 (의료)길의료재단 의료기기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웹기반 원격 관리 지원을 위한 통합 의료관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한 통합 의료관리 방법
KR20170043273A (ko) * 2015-10-13 2017-04-21 디노플러스 (주)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4045A (ko) * 2016-09-27 2018-04-04 박일권 요양병원의 간호사 응급호출 스마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배영. "IoT 게이트웨이로서의 데이터 집중장치(DCU)". 주간기술동향. 2017.07.12. 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199B1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hayatmy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wireless body area network in healthcare
US8040238B2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of information
Custodio et al. A review on architectures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for wearable health-monitoring systems
Lim et al. Security issues on wireless body area network for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US20130257614A1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Of Information
CN101516256A (zh) 基于ip的监测和报警
AbdElnapi et al. A survey of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and projects for healthcare services
CN101371801A (zh) 基于ZigBee的病房无线监护系统
Varshney A framework for supporting emergency messages in wireless patient monitoring
WO2010117695A2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 interaction between objects
US201401952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Workflow Modification
US20140195256A1 (en) Workflow Context Aware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Boikanyo et al.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s: Applications, architecture, and challenges
Velrani et al. Sensor based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Al_Barazanchi et al. A new routing protocols for reducing path loss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CN107615393A (zh) 输入构件、生物体信息管理系统、医疗和护理中的数据输入装置及其使用方法
Guizani et al. IoT healthcare monitoring systems overview for elderly population
KR102387199B1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
Shin et al. Intelligent M2M network using healthcare sensors
Adam et al. Sensor enhanced health information systems: issues and challenges
Maciuca et al. Integrating wireless body and ambient sensors into a hybrid femtocell network for home monitoring
Ezhilarasi et al. Integrated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Body Area Networks and Internet of Things
Wang et al. A multitiers service architecture based diabetes monitoring for elderly care in hospital
Vasanthamani A Study on Lifetime Enhancement and Reliability in Wearable Wireless Body Area Networks
KR20220050622A (ko)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