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279A -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279A
KR20210136279A KR1020200054293A KR20200054293A KR20210136279A KR 20210136279 A KR20210136279 A KR 20210136279A KR 1020200054293 A KR1020200054293 A KR 1020200054293A KR 20200054293 A KR20200054293 A KR 20200054293A KR 20210136279 A KR20210136279 A KR 20210136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enter
sleeve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140B1 (ko
Inventor
박성길
Original Assignee
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길 filed Critical 박성길
Priority to KR102020005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1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23B29/20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for placing same by shanks in sleeves of a turret
    • B23B29/205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for placing same by shanks in sleeves of a turret the tool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04Balancing rotat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6Damping of vib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내경을 외경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공구 중심을 공작물의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공구가 결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있어서,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중공부 내경의 중심이 몸체 외경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Sleeve for lathe}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내경을 외경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공구 중심을 공작물의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릿형 CNC 공작기계에 있어서, 드릴링, 엔드 밀, 탭핑 등과 같은 내경 가공을 위해서는 내경공구 홀딩블럭에 공구를 고정하여 가공을 하게 되는데, 이 때 공구의 중심을 척 센터와 일치시키도록 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미숙련자의 경우는 이러한 작업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셋팅 완료된 터릿이라 하더라도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충격이나 설비 등의 노후로 인하여 셋팅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공구의 센터 셋팅은 터릿형 CNC공작기계의 사용시에 가장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공구의 센터 셋팅을 위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53992호에는 내부 중공에 공구가 삽입고정되어 공구홀딩블럭의 소켓에 설치되는 터릿 선반용 공구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공구홀딩블럭의 소켓에 삽입되는 내측슬리브와, 공구홀딩블럭의 소켓에 삽입되지 않는 외측슬리브를 구비하되, 상기 내측슬리브 중공의 내경 중심은 내측슬리브의 외경 중심보다 상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하고, 상기 외측슬리브 중공의 내경 중심과 외측슬리브의 외경 중심은 상기 내측슬리브 중공의 내경 중심과 동심이 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 선반용 공구 슬리브의 구성이 나타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공작물을 절삭팁으로 절삭할 때 공구가 그 고정상태에서 벗어나 미세하게 회전되는 현상이 초래되어 절삭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다른 한 예로 공구 생크의 외주연이 나사가 조여지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면으로 만나도록 평탄면을 가질 경우 공구홀딩블럭 등의 미세한 각도 변화시 공구의 각도오차에 대한 수정을 전혀 구현치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539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내경을 외경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공구 중심을 공작물의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측부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공이 둘레방향에 일정 각도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상단부의 외측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공작물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공구가 결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있어서,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중공부 내경의 중심이 몸체 외경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중공부 내경과 몸체 외경의 편심량은 0.5mm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부에는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볼트공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공은 몸체의 둘레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공의 형성 각도는 65°~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전방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내경을 외경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공구 중심을 공작물의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측부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공이 둘레방향에 일정 각도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상단부의 외측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공작물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도시한 A-A'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도시한 B-B'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도시한 A-A'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도시한 B-B'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내경을 외경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공구 중심을 공작물의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공구(20)가 결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110)의 중공부 내경의 중심이 몸체(110) 외경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구(20)는 상기 몸체(110)의 측부에 형성되는 볼트공(112)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공구(20)의 중심은 몸체(110)의 내경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공(112)의 중심이 몸체(110)의 외경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 내경의 중심은 볼트공(112)에 대하여 하방으로 편심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절삭 가공 시 발생되는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해 공구(20)가 미세하게 회전하거나 변형이 발생하여 공작물(10)과의 중심이 맞지 않게 되는 경우, 공구(20)가 결합된 상태로 몸체(110)를 회전시켜 공작물(10)과의 중심을 맞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 내경의 중심의 몸체(110) 외경의 중심에 대한 편심량은 0.5~1.0mm로 이루어지는데, 편심량이 0.5mm 미만이나 1.0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몸체(110)를 회전시킬 때 내경 중심의 변화량이 너무 작거나 커서 공작물(10)과의 중심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슬리브를 폐기하여야 하는 정도의 손상에 해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볼트공(112)은 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110)의 회전 시 공구(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몸체(110)만 회전하여 공구(20)를 다시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종래에는 볼트공을 통해 볼트가 결합되어 몸체(110)에 공구(20)가 고정된 상태가 되며, 몸체(110)를 회전하면 공구(20)도 함께 회전하여 절삭 작업을 위해 공구(20)의 가공팁이 공작물(10)을 향하도록 다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100)에 의하면, 장공 형태의 볼트공(112)에 의해 공구(20)는 고정된 상태로 장공 형태의 볼트공(112) 형성각도 범위 내에서 몸체(110)만 회전하여 공구(20)를 별도로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트공(112)의 각도는 65°~75°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각도는 몸체(110) 내경의 중심과 외경의 중심 간 편심량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전방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경사면(114)이 더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경사면(114)에 의해 몸체(110)가 전단부가 더 길게 형성되어 공구(20)를 보다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114)의 경사에 의해 몸체(110)에 의한 간섭을 줄여 절삭유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절삭유가 보다 안정적으로 공구(20)와 공작물(10) 사이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전단부, 특히 경사면(114)의 외주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렌치 등이 결합되는 결합홈(116)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결합홈(116)에 렌치를 끼운 상태에서 몸체(110)를 회전시켜 공구(20)와 공작물(10) 간에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16)은 내경이 다르고, 모양이 사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서로 다르게 2단으로 형성되어 렌치 외에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도구를 이용하여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100)에 의하면, 공구(20)가 결합되는 몸체(110)의 내경을 외경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공구(20) 중심을 공작물(10)의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몸체(110)의 측부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공(112)이 둘레방향에 일정 각도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몸체(110)의 상단부의 외측부에 경사면(114)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공작물(10)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내경을 외경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공구 중심을 공작물의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10: 공작물 20: 공구
100: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110: 몸체
112: 볼트공 114: 경사면
116: 결합홈

Claims (5)

  1. 내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공구가 결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에 있어서,
    공구가 결합되는 몸체의 중공부 내경의 중심이 몸체 외경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공부 내경과 몸체 외경의 편심량은 0.5mm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부에는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볼트공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공은 몸체의 둘레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의 형성 각도는 65°~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전방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KR1020200054293A 2020-05-07 2020-05-07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KR10244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93A KR102447140B1 (ko) 2020-05-07 2020-05-07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93A KR102447140B1 (ko) 2020-05-07 2020-05-07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79A true KR20210136279A (ko) 2021-11-17
KR102447140B1 KR102447140B1 (ko) 2022-09-26

Family

ID=7870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293A KR102447140B1 (ko) 2020-05-07 2020-05-07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1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708A (ja) * 1996-02-26 1997-09-02 Tatsuro Aizawa 旋盤における切削工具の保持装置
KR0149786B1 (ko) * 1995-06-20 1998-11-02 석진철 터릿에 장착되는 내경공구홀더의 위치조정장치
KR100753992B1 (ko) 2006-12-29 2007-08-31 임동수 터릿 선반용 공구 슬리브
JP5781163B2 (ja) * 2011-08-26 2015-09-16 京セラ株式会社 ホルダおよび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786B1 (ko) * 1995-06-20 1998-11-02 석진철 터릿에 장착되는 내경공구홀더의 위치조정장치
JPH09225708A (ja) * 1996-02-26 1997-09-02 Tatsuro Aizawa 旋盤における切削工具の保持装置
KR100753992B1 (ko) 2006-12-29 2007-08-31 임동수 터릿 선반용 공구 슬리브
JP5781163B2 (ja) * 2011-08-26 2015-09-16 京セラ株式会社 ホルダおよび切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140B1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114B2 (en) Combination of center drill and drill holding tool
DE60334813D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tragbaren bohr- oder fräsmaschine an einer schablone zur herstellung von löchern in einem werkstück
US20070217881A1 (en) Cutter tool attachment for milling machines particularly useful to enable cutting sharp (or rounded) interior corners
US10458459B2 (en) Precision holding and locating pin
KR20130132476A (ko) 섕크에 장착된 조정 링을 갖는 절삭 공구
KR102447140B1 (ko) 공작기계용 공구 슬리브
KR20180052303A (ko) 복합 기능을 갖춘 면취 절삭 공구
JP2005111598A (ja) 治具プレート
CN111842962A (zh) 一种用于镗削异形孔的刀具夹持装置
KR101617603B1 (ko) 편심조절 터렛용 공구홀더
KR20100000051A (ko) 회전 공구대용 베이스 홀더
KR101876004B1 (ko) 선반의 센터 장치
CA3044982A1 (en) Work piece mounting system
KR101336482B1 (ko) 공작 기계용 주축 조립체
CN214321862U (zh) 一种刀具及机床
TWI761143B (zh) 車銑中心專用刀把
CN210498470U (zh) 一种卧式铣镗床的刀头连接结构
JP4793007B2 (ja) 金属缶製造装置
KR102221505B1 (ko) 드릴과 바이트 교체가 가능한 공구 조립체
US11746779B2 (en) Scroll assembly and scroll compressor
TWI606878B (zh) 搪孔治具
KR102110432B1 (ko) 내외경 동시 가공홀더
CN210254396U (zh) 一种轴棒钻斜孔定位工装
KR102016765B1 (ko)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KR20030095876A (ko) 씨엔씨 터릿형 선반의 내경공구 홀딩용 공구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