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963A - 압축 완철밴드 - Google Patents

압축 완철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963A
KR20210135963A KR1020210150538A KR20210150538A KR20210135963A KR 20210135963 A KR20210135963 A KR 20210135963A KR 1020210150538 A KR1020210150538 A KR 1020210150538A KR 20210150538 A KR20210150538 A KR 20210150538A KR 20210135963 A KR20210135963 A KR 20210135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band
stopper
protrusion
tors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162B1 (ko
Inventor
조율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5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1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압축 완철밴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압축 완철밴드는: 반원통 형상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전주을 감싸며, 완철밴드가 설치되는 압축밴드 몸체와, 압축밴드 몸체에 구비되며,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와, 압축밴드 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전주에 밀착되는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와, 압축밴드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완철밴드 어댑터에 밀착되는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를 포함하고,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와,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스토퍼 지지판과; 스토퍼 지지판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와, 이웃하는 돌출부 사이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허니컴 구조로 이루어지고, 돌출부는 육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첨단부를 구비하고,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와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압축밴드 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좌, 우에 각각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완철밴드 어댑터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완철밴드.

Description

압축 완철밴드{COMPRESSION BANDS FOR CROSSARM BAND}
본 발명은 압축 완철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철밴드와 전주사이에 개재되며,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 및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전주에 대한 밀착력을 극대화시키고 그로 인해 최소공간과 자재의 사용으로 경제적이고 정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압축 완철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출장주라 함은, 전주의 일측에 시설되는 장주로서, 이는 대도시의 도심지에서와 같이 주위에 건물이나 수목 등 전선설치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요소가 존재할 경우 전주를 기준으로 일측에만 시설하여 전선과 장애물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장주를 말한다.
종래의 편출장주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완철(11) 및 완철(11)을 전주(1)에 지지하는 아암(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완철(11)은 전주(1) 상에 일측 단부가 지지된 형태로 시설되어 있으며, 타측으로는 다수의 배전전선(2)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편출장주는 도심지의 복잡한 건물 및 수목 등이 위치한 곳에 시설되어 배전전선과 건물 및 수목 등과의 이격거리를 최대한 확보하여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편출 장주의 완철(11) 설치 시 전주(1)를 중심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전주의 3상 전력선 간에 상호 당기는 힘을 완철밴드(4) 단독으로 감당하기에는 지지력이 부족하여, 완철밴드(4)의 취부 부위에서 비틀림이 일어나고 있다. 편출장주의 완철밴드(4)가 전력선에 의하여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철(11)에 고압전력선(8)을 설치하여 완철밴드(4)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공법은 별도의 지선주(6)를 설치하거나 도로횡단 타 전주에 지선을 설치해야만 한다. 또한, 편출장주의 완철밴드(4)가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완철(11)을 설치하거나 각도주의 경우 하단 완철에 비틀림 방지를 위해 아연도 강연선을 설치도 한다. 편출장주에 완철(11)의 비틀림 방지 차원에서 설치한 고압전력선(8)이 단선이 될 경우 아연도 강연선 낙하로 인해서 고압선로의 접촉에 의한 정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배전선로의 이도하향에 의해 가로등, 이단선로의 하단 전력선에 접촉이 일어나 또 다른 정전사고 등을 야기시키며, 안전사고 위험 및 기타 시설물, 차량등 파손으로 인한 민원 발생소지가 있다. 기존의 완철밴드(4)는 설치 시 전주와의 밀착 면이 적어 한쪽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밴드 자체가 비틀어져 취부에 대한 지지 신뢰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88079호(발명의 명칭: 단완철 밴드, 등록일: 2003.06.0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주에 대한 밀착력을 극대화시키고 그로 인해 최소공간과 자재의 사용으로 경제적이고 정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압축 완철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압축 완철밴드는: 반원통 형상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전주을 감싸며, 완철밴드가 설치되는 압축밴드 몸체; 상기 압축밴드 몸체에 구비되며,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압축밴드 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주에 밀착되는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 및 상기 압축밴드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완철밴드 어댑터에 밀착되는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와 상기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상기 압축밴드 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좌, 우에 각각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밴드 몸체는 상기 완철밴드의 상하 높이에 비해 높이가 적어도 4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상기 완철밴드 어댑터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와, 상기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스토퍼 지지판; 상기 스토퍼 지지판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이웃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허니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육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는 편출장주 설치시 비틀림력에 대응하여 완철밴드나 완철밴드 어댑터를 강하게 전주에 밀착시키게 되므로 수평지선이나 기타 비틀림력 방지용 보조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서 경제적이고, 추가 설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보강선의 단선에 의한 정전사고나 공간의 낭비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편출장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에 구성된 내,외부 비틀림방지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단면도이고,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에 구성된 내,외부 비틀림방지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20)는 완철밴드(4)와 전주(1) 사이에 개재되며,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28) 및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를 구비함으로써 전주에 대한 밀착력을 극대화시키고 그로 인해 최소공간과 자재의 사용으로 경제적이고 정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밴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20)는 압축밴드 몸체(22a,22b), 플랜지(24),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28) 및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를 포함한다. 압축밴드 몸체(22a,22b)는 반원통 형상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전주(1)를 감싸며, 외측면에 완철밴드(4)가 설치된다(도 3 참조). 압축밴드 몸체(22a,22b)는 복수개가 한조로 구성되어, 전주(1)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전주(1)에 거치된다.
플랜지(24)는 압축밴드 몸체(22a,22b)의 양측 가장자리 소정부에 구비되며, 체결부(26)가 체결되는 체결공(21)이 형성된다. 체결부(26)는 볼트(26a)와 너트(2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26a)는 체결공(21)을 체결되며, 너트(26b)는 볼트(26a)와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24)는 일측단에 복수개가 형성되고, 한조로 구성된 압축밴드 몸체(22a,22b)의 좌우측 단에 형성되어 전주(1)에 압축밴드 몸체(22a,22b)가 결합될 때, 플랜지(24)끼리 서로 마주보며 밀착될 수 있다.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28)는 압축밴드 몸체(22a,22b)의 내주연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전주(1)의 외주연에 밀착된다.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는 압축밴드 몸체(22a,22b)의 외주연에 외측으로 돌출되며, 완철밴드 어댑터(40)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압축밴드 몸체(22a,22b)를 전주(1)를 중심으로 서로 맞대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플랜지(24)에 형성된 체결공(21)을 통해 체결부(26)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면,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28)가 전주(1)의 외주연에 압착되면서 밀착력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20)의 외주연에 완철밴드(4)를 결합시키고, 완철밴드 어댑터(40)를 체결하게 되면, 완철밴드 어댑터(40)에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가 압착되면서 밀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28)와,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는 압축밴드 몸체(22a, 22b)의 상부와 하부 및 좌, 우에 각각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밴드 몸체(22a, 22b)는 충분히 완철밴드(4)의 결합시 약간의 완철밴드(4)의 비틀림에도 완철밴드(4)의 내주연에 고르게 압축밴드 몸체(22a, 22b)가 밀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압축밴드 몸체(22a, 22b)의 높이가 완철밴드(4)에 비해 그 높이가 적어도 4배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축밴드 몸체(22a, 22b)와 완철밴드(4)의 직경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면, 압축밴드 몸체(22a, 22b)는 완철밴드(4)에 비해 적어도 4배 이상의 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20)는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는 완철밴드 어댑터(40)의 내측벽 좌우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통해, 완철밴드(4)나 완철밴드 어댑터(40)가 전주(1)에 대해 비틀림 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완철밴드 어댑터(40)의 내측에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돌기부(42)와 돌기부(42) 사이에 배치되는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는 그 좌우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42)의 이동에 구속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에 의해 완철밴드(4)나 완철밴드 어댑터(40)의 비틀림이 제한되게 된다.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에 구성된 내,외부 비틀림방지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28)와,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는 일정두께이면서, 사각의 스토퍼 지지판(32)과, 스토퍼 지지판(32)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34)와, 돌출부(34)와 이웃하는 돌출부(34) 사이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중공부(36)로 이루어진다. 이때, 돌출부(34)는 육각의 허니컴 구조로 이루어지고, 더욱 바람직하게 돌출부(34)는 육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첨단부(38)를 구비한다.
전주(1)에 대해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28)가 압착되거나 또는 완철밴드(4)나 완철밴드 어댑터(40)의 내주연에 대해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가 압착되는 경우, 돌출부(34)는 후방에 구성된 지지판(32)의 화살표 방향의 압착력을 그대로 전달받아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그러지면서 압착되게 된다.
그로 인해,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28)와,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30)의 밀착력이 증대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 돌출부(34)와 이웃하는 돌출부(34) 사이에는 중공부(36)가 형성되어 돌출부(34)가 압착될 때 중공부(36) 방향으로 돌출부(34)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중공부(36)내의 공기를 외부로 밀어내게 되고, 결과적으로 빨판처럼 중공부(36)가 대상 물체에 흡착되게 된다.
이때, 돌출부(34)는 육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첨단부(38)를 구비하는 바, 육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첨단부(38)는 물체의 압착 대상면에 돌출부(34)가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비틀림력이 가해지면 첨단부(38)의 육각뿔 면이 압착대상면에 밀착되어 비틀림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 완철밴드(20)는 편출장주 설치시 비틀림력에 대응하여 완철밴드나 완철밴드 어댑터를 강하게 전주에 밀착시키게 되므로 수평지선이나 기타 비틀림력 방지용 보조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서 경제적이고, 추가 설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보강선의 단선에 의한 정전사고나 공간의 낭비가 없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전주 4: 완철밴드
11: 완철 15: 아암
20: 압축 완철밴드 22a,22b:압축밴드 몸체,
24: 플랜지 26: 체결부
26a : 볼트 26b : 너트
28 : 내부 비틀림방지 스토퍼 30 : 외부 비틀림방지 스토퍼
32: 지지판 34: 돌출부
36: 중공부 40: 완철밴드 어댑터
41 : 돌기부

Claims (1)

  1. 반원통 형상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전주을 감싸며, 완철밴드가 설치되는 압축밴드 몸체;
    상기 압축밴드 몸체에 구비되며,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압축밴드 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주에 밀착되는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 및
    상기 압축밴드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완철밴드 어댑터에 밀착되는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와, 상기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스토퍼 지지판;
    상기 스토퍼 지지판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이웃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허니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육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와 상기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상기 압축밴드 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좌, 우에 각각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외측 비틀림 방지 스토퍼는 상기 완철밴드 어댑터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완철밴드.
KR1020210150538A 2019-10-08 2021-11-04 압축 완철밴드 KR102355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38A KR102355162B1 (ko) 2019-10-08 2021-11-04 압축 완철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511A KR102324711B1 (ko) 2019-10-08 2019-10-08 압축 완철밴드
KR1020210150538A KR102355162B1 (ko) 2019-10-08 2021-11-04 압축 완철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511A Division KR102324711B1 (ko) 2019-10-08 2019-10-08 압축 완철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63A true KR20210135963A (ko) 2021-11-16
KR102355162B1 KR102355162B1 (ko) 2022-02-08

Family

ID=7574362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511A KR102324711B1 (ko) 2019-10-08 2019-10-08 압축 완철밴드
KR1020210150538A KR102355162B1 (ko) 2019-10-08 2021-11-04 압축 완철밴드
KR1020210150539A KR102355163B1 (ko) 2019-10-08 2021-11-04 압축 완철밴드
KR1020210150537A KR102327253B1 (ko) 2019-10-08 2021-11-04 압축 완철밴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511A KR102324711B1 (ko) 2019-10-08 2019-10-08 압축 완철밴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539A KR102355163B1 (ko) 2019-10-08 2021-11-04 압축 완철밴드
KR1020210150537A KR102327253B1 (ko) 2019-10-08 2021-11-04 압축 완철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24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546A (ko) 2022-06-21 2023-12-28 한국전력공사 수목에 설치되는 완철밴드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178B1 (ko) * 2011-11-16 2012-03-21 이희삼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배전선로의 랙크밴드
KR101143543B1 (ko) * 2011-03-02 2012-05-10 한국전력공사 말단 편출 장주 지지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43B1 (ko) * 2011-03-02 2012-05-10 한국전력공사 말단 편출 장주 지지밴드
KR101127178B1 (ko) * 2011-11-16 2012-03-21 이희삼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배전선로의 랙크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591A (ko) 2021-11-10
KR20210041828A (ko) 2021-04-16
KR102355162B1 (ko) 2022-02-08
KR20210135964A (ko) 2021-11-16
KR102355163B1 (ko) 2022-02-08
KR102327253B1 (ko) 2021-11-17
KR102324711B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253B1 (ko) 압축 완철밴드
KR101053514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0789693B1 (ko) 전신주 보호 구조물
KR101600240B1 (ko) 공작물 방호용 y형 지지물
KR10216794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바인드리스 커버
KR20100005531U (ko) 일반장주 및 편창출장주 겸용 내장완철
JP5496624B2 (ja) 引き込み線用相間スペーサ
KR101551251B1 (ko) 강풍에 의한 지붕 날림을 방지한 지붕 건축 방법 및 지붕 구조
KR101143543B1 (ko) 말단 편출 장주 지지밴드
KR200147606Y1 (ko) 수직 장주용 금구의 설치구조
JP3196083U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
KR101986079B1 (ko) 조류 접근방지용 보호장치
KR102194195B1 (ko) 송전선로 가설용 스페이서
KR101966643B1 (ko) 내진 설계에 의한 강성 보강의 가로등용 지주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R101083187B1 (ko) 기둥보호용 식생블록
KR20090105123A (ko) 충격 방호 구조물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CN208923760U (zh) 压缩机
KR20140013771A (ko) 작업 및 관리 안전성이 개선된 가로등주
JP2013158189A (ja) 腕金
KR102575245B1 (ko) 펜스지주 체결용 정원조명등 체결 브라켓
RU1464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изолятора опоры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20230093731A (ko) 완철 밴드
KR101080683B1 (ko) 교통신호등 설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