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712A -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712A
KR20210135712A KR1020200053691A KR20200053691A KR20210135712A KR 20210135712 A KR20210135712 A KR 20210135712A KR 1020200053691 A KR1020200053691 A KR 1020200053691A KR 20200053691 A KR20200053691 A KR 20200053691A KR 20210135712 A KR20210135712 A KR 2021013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orce
valve
force variable
poppet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308B1 (en
Inventor
기성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0005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308B1/en
Publication of KR2021013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6Adjustment of valve bias or pre-st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amping force-variable shock absorb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force-variable shock absorber includes: a cylinder having an outer shell and an inner shell, a piston rod, a piston valve, a reservoir chamber, a separator tube, and a damping force-variable valve assembly. The damping force-variable valve assembly includes: a damping force-variable valve housing connected with the outer shell; a valve assembly combined with the separator tube in the damping force-variable valve housing and providing a variable flow path part; and a solenoid driving part combined in the damping force-variable valve housing, and including a rod combined with a plunger moved to vary a flow path of the variable flow path part, a bobbin on which a coil is wound, a core located inside the bobbin, a yoke located in an upper part of the bobbin, and a magnetic washer located in a lower part of the bobbin. A magnetic flux path generated by the coil forms a loop through the core, the plunger, the damping force-variable valve housing and the magnetic wash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vity by reducing material costs.

Description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튜닝 성능과 감쇠력 선형성이 향상되며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mproved tuning performance and damping force linearity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이동수단에 설치되며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 및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In general,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in a moving means such as a car or a motorcycle, and absorbs and buffers vibrations or shock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to improve riding comfort.

쇽업소버는 실린더의 내부에 압축 및 인장 행정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로드와, 이 피스톤 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The shock absorber is composed of a piston rod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to enable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 and a piston valve coupled to the piston rod and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to generate a damping force.

감쇠력을 낮게 설정 시 쇽업소버는 노면의 요철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대로 감쇠력을 높게 설정 시 쇽업소버는 차체의 자세 변화가 억제되어 조종 안정성이 향상되는 특성이 있다.When the damping force is set low, the shock absorber can absorb vibrations caused by th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to improve riding comfort.

최근에는 차량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감쇠력의 특성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apable of setting different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vehicle has been applied to a vehicle.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외통과, 외통의 내측에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통과,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어 내통을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한다.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includes an outer cylinder, an inner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outer cylinder and the piston rod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ston valve coupled to one end of the piston rod to divide the inner cylinder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do.

또한, 내통과 외통의 사이에는 피스톤 로드의 왕복 운동에 따른 내통 내부의 체적 변화를 보상하는 리저버 챔버가 형성되고, 리저버 챔버와 압축챔버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동은 바디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In addition, a reservoir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to compensate for a volume change inside the inner cylinder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rod, and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between the reservoir chamber and the compression chamber is controlled by the body valve.

이러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감쇠력을 조절하기 위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는 솔레노이드의 스풀이 보조적인 유로를 폐쇄하여 높은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하드 모드(Hard mode)와, 스풀이 보조적인 유로를 개방하여 낮은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소프트 모드(Soft mode)로 감쇠력을 전환시킬 수 있다.This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further includes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for adjusting the damping force,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s a hard mode in which the spool of the solenoid closes the auxiliary flow path to generate a high damping force (Hard mode) and the spool By opening this auxiliary flow path, the damping force can be switched to a soft mode that generates a low damping force.

한국 공개특허 제10-1998-0002962호(1998. 03. 3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002962 (March 30, 1998)

본 실시 예들은 부품수를 줄여 생산 원가의 절감과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reduce production cost and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솔레노이드에 저전류 인가 시 피스톤 로드의 잦은 행정 변화에도 불구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ntends to provide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that can implement a comfortable ride despite frequent stroke changes of the piston rod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통 및 내통을 갖는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밸브와, 리저버 챔버와, 세퍼레이터 튜브와,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는, 상기 외통과 연결되는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내에서 상기 세퍼레이터 튜브와 결합되며, 가변 유로부를 제공하는 밸브 조립체;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내에 결합되며, 상기 가변 유로부의 유로를 가변하기 위해 이동하는 플런저가 결합된 로드, 코일이 감긴 보빈, 상기 보빈 내측에 위치된 코어, 상기 보빈의 상부에 위치된 요크, 상기 보빈의 하부에 위치된 자성 와셔를 갖는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 경로는 상기 코어, 상기 플런저, 상기 요크,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및 상기 자성 와셔를 통해 루프를 형성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cylinder having an outer cylinder and an inner cylinder, a piston rod, a piston valve, a reservoir chamber, a separator tube,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the damping force is variable The valve assembly includes: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connected to the outer cylinder; a valve assembly coupled to the separator tube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and providing a variable flow path; A rod coupled to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and coupled with a plunger that moves to change the flow path of the variable flow path part, a bobbin around which a coil is wound, a core positioned inside the bobbin, a yoke positioned above the bobbin, and the bobbin and a solenoid driving unit having a magnetic washer positioned under A variable shock absorber may be provided.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 와셔는 상기 보빈과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자성 와셔의 내주는 상기 코어와 접촉하고, 상기 와셔의 외주는 상기 가변밸브 하우징과 접촉할 수 있다.and a cov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wherein the magnetic wash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cover,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gnetic washer contacts the core,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sher and the variable valve housing can come into contact with

상기 보빈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는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Flange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bobbin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상기 요크는 상기 밸브 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다.The yoke may support the valve assembly.

상기 요크의 중앙에는 상기 플런저를 흡착하기 위한 도체성 앵커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A conductive anchor member for adsorbing the plunger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yoke.

상기 앵커부재에는 상기 로드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코어에는 상기 로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An upper bearing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rod may be installed in the anchor member, and a lower bearing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rod may be installed in the core.

상기 코어의 외주면은 상기 보빈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상기 요크의 측벽은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과 접촉하고, 상기 요크의 바닥은 상기 보빈의 상기 상단 플랜지와 접촉할 수 있다.A side wall of the yoke may be in contact with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and a bottom of the yoke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bobbin.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세퍼레이터 튜브와 연결되는 포트와 연통되는 중공을 갖는 밸브 하우징; 상기 중공을 파일럿 챔버와 포펫 챔버로 구획하되, 상기 파일럿 챔버와 상기 포펫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 상기 파일럿 챔버 측에 마련되고, 상기 파일럿 챔버와 상기 쇽업소버를 연통시키는 메인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메인 밸브부; 상기 포펫 챔버 측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소프트 밸브부;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기 중공에 마련되되 상기 포트와 상기 메인 밸브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포트와 연통되며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바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포펫 챔버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돌출부와, 상기 포펫 챔버와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밸브부는 상기 밸브 시트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펫 밸브와, 상기 포펫 밸브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밸브 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포펫 밸브에 연결되어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스프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The valve assembly may include: a valve housing having a hollow in communication with a port connected to the separator tube; a valve seat partitioning the hollow into a pilot chamber and a poppet chamber, the valve seat having a connectio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and the poppet chamber; a main valve unit provided on the pilot chamber side and controlling a flow rate passing through a main flow path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and the shock absorber; a soft valve unit provided on the poppet chamber side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nd a body valve part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valve housing, provided between the port and the main valve part, communicating with the port, and generating a damping force, wherein the valve housing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poppet chamber and the a protrus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and a bypass flow path for communicating the poppet chamber and the insi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wherein the soft valve part advances or retreats toward the valve seat and flows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a poppet valve for adjusting the pressure, a first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ppet valve, a second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seat, a solenoid connected to the poppet valve to advance and retreat, and a space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spring. and a retainer interposed therein to support the second spring.

상기 메인 밸브부는 상기 밸브 하우징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메인 시트와, 상기 파일럿 챔버에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메인 시트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개폐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를 상기 메인 시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메인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는 포펫 몸체부와,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시트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걸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와, 상기 포펫 몸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포펫 챔버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유로를 포함한다.The main valve unit includes a ring-shaped main seat fixed to the valve housing, a main valve that is provided in the pilot chamber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nd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contact with the main seat, and elastically moves the main valve toward the main seat. and a main spring for supporting, wherein the poppet valve includes a poppet body connected to the solenoid, passing through the retainer to extend toward the valve seat, and a step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to enable the retainer to be caught and supported. and an opening/closing part configured to be formed, and at least one auxiliary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poppet body to communicate the poppet chamber and the bypass flow path.

본 실시 예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자속 경로 생성을 위한 솔레노이드 하우징을 제거하고, 실린더의 외통과 결합되는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을 이용하여 자속 경로를 생성함에 따라 재료비 절감을 통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of this embodiment removes the solenoid housing for generating a magnetic flux path, and creates a magnetic flux path us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coupled with the outer cylinder of the cylinder,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through material cost reduction. .

본 실시 예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솔레노이드에 저전류 인가 시 피스톤 로드의 잦은 행정 변화에도 불구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of this embodiment can implement a comfortable ride despite frequent stroke changes of the piston rod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본 실시 예에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솔레노이드에 고전류 인가 시 초기 제어량을 높여 차량의 조정안정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an satisfy the adjustment stability of the vehicle by increasing the initial control amount when a high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소프트 모드에서 저전류를 적용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페일 모드에서 감쇠력을 소프트 모드의 감쇠력보다 높게 발생시킴으로써 전류 공급 차단 시에도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pplying a low current in the soft mode, and by generating a damping force higher than the damping force of the soft mode in the fail mode in which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even when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의 소프트 밸브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의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oft valve part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enoid driving unit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외통(11) 및 내통(12)을 갖는 실린더(10)와, 피스톤 로드(13)와, 피스톤 밸브(14)와, 리저버 챔버(15)와, 세퍼레이터 튜브(16)와,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를 포함한다.1,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ylinder 10 having an outer cylinder 11 and an inner cylinder 12, a piston rod 13, a piston valve 14, and a reservoir chamber (15), a separator tube (16),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외통(11)은 외측에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가 설치되며, 외통(11)의 내부에는 내통(12)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또, 외통(11)과 내통(12)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압실(PL)과 고압실(PH)을 형성하기 위한 리저버 챔버(15)가 형성된다.The outer cylinder 11 is provided with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on the outside, and the inner cylinder 12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lso, a reservoir chamber 15 for forming a low pressure chamber PL and a high pressure chamber PH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inner cylinder 12 as shown in FIG. 1 .

피스톤 로드(13)는 일단이 내통(12)의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 밸브(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The piston rod 13 is reciprocally moved in the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 directions in a state where one end is coupled to the piston valve 14 located inside the inner cylinder 12 .

피스톤 밸브(14)는 피스톤 로드(13)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통(12)을 길이방향으로 압축챔버(12a)와 인장챔버(12b)로 구분하며, 이를 통해 실린더(10) 내부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The piston valve 14 divides the inner cylinder 12 into a compression chamber 12a and a tension chamber 12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piston rod 13, and through this, the cylinder 10 is compressed inside and a damping force due to the resistive force of the fluid while reciprocating in the tensile stroke direction.

리저버 챔버(15)는 외통(11)과 내통(1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된다.The reservoir chamber 15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inner cylinder 12 .

세퍼레이터 튜브(16)는 외통(11)과 내통(12) 사이, 구체적으로는 내통(12)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내측에는 고압실(PH)을 형성하고 외측에는 저압실(LH)을 형성한다. 즉, 세퍼레이터 튜브(16)는 리저버 챔버(15) 내부를 저압실(PL)과 고압실(PH)로 구획한다.The separator tube 16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inner cylinder 12, specifi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12 to form a high-pressure chamber PH on the inside and a low-pressure chamber LH on the outside. That is, the separator tube 16 divides the inside of the reservoir chamber 15 into a low pressure chamber PL and a high pressure chamber PH.

바디 밸브(17)는 내통(12)의 하단에 설치되어 리저버 챔버(15)와 압축챔버(12a)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The body valve 17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cylinder 12 to control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between the reservoir chamber 15 and the compression chamber 12a to generate a damping force.

한편, 고압실(PH)은 내통(12)에 마련되는 내부홀(12c)을 통해 인장챔버(12b)와 연결되고, 저압실(PL)은 바디 밸브(17)와 외통(11)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유로 및 바디 밸브(17)에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통해 압축챔버(12a)와 연결된다.Meanwhile, the high pressure chamber PH is connected to the tension chamber 12b through the inner hole 12c provided in the inner cylinder 12 , and the low pressure chamber PL is formed between the body valve 17 and the outer cylinder 11 . It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12a through a flow path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flow path and the body valve 17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소프트 밸브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oft valve part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는 포트(110)와, 밸브 하우징(120)과, 바디 밸브부(130)와, 메인 밸브부(140)와, 소프트 밸브부(160)를 포함하여 가변 유로부를 제공하는 밸브 조립체와, 솔레노이드 구동부(200)가 내장되며 외통(11)과 연결되는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2 and 3 ,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rt 110 , a valve housing 120 , a body valve unit 130 , and a main valve unit 140 , , a valve assembly providing a variable flow path including the soft valve 160 ,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having a built-in solenoid driving unit 200 and connected to the outer cylinder 11 .

포트(110)는 전단이 세퍼레이터 튜브(16)를 통해 고압실(PH)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고압실(PH)로부터 작동 유체가 밸브 조립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홀(11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즉, 연결홀(111)은 입구 부위가 고압실(PH)에 연결되고, 출구는 후술할 밸브 하우징(120)의 파일럿 챔버(121a) 및 포펫 챔버(121b)로 연결된다. 포트(110)의 외부에는 고정을 위한 와샤(113)가 마련될 수 있다.The port 110 has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high-pressure chamber PH through the separator tube 16, and a connection hole 111 is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o that the working fluid can flow from the high-pressure chamber PH into the valve assembly. do. That is, the inlet of the connection hole 111 is connected to the high-pressure chamber PH,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poppet chamber 121b of the valve housing 120 to be described later. A washer 113 for fixing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ort 110 .

밸브 하우징(120)은 원통형의 금속소재로 마련되며, 내부 중공(121)에 바디 밸브부(130)와 메인 밸브부(140)와 소프트 밸브부(160)가 순차 조립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120 is made of a cylindrical metal material, and the body valve part 130 , the main valve part 140 , and the soft valve part 160 may be sequentially assembled in the hollow interior 121 .

밸브 하우징(120)은 내부에 복수 개의 단차가 형성되는 중공(121)을 구비할 수 있고, 중공(121)은 후술할 밸브 시트(150)에 의해 파일럿 챔버(121a)와 포펫 챔버(121b)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하우징(120)의 중공(121)은 밸브 시트(150)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파일럿 챔버(121a)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포펫 챔버(121b)가 마련되며, 두 챔버는 밸브 시트(150)의 연결유로(151)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파일럿 챔버(121a)는 포펫 챔버(121b)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120 may include a hollow 121 having a plurality of steps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121 is formed into a pilot chamber 121a and a poppet chamber 121b by a valve seat 15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artitioned. Specifically, in the hollow 121 of the valve housing 120 , a pilot chamber 121a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with the valve seat 150 as the center and a poppet chamber 121b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and the two chambers are the valve seat 150 . ) may be communicat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51 of the . The pilot chamber 121a may form a relatively larger space than the poppet chamber 121b.

파일럿 챔버(121a) 측 밸브 하우징(120)은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며, 각 단차에는 포트 측 입구로부터 순차적으로 바디 밸브부(130)와 메인 밸브부(140)가 마련된다. 메인 밸브부(140)가 위치하는 밸브 하우징(120)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는 메인 유로(122)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홀(126)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어 밸브 하우징(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럿 챔버(121a)와 쇽업소버의 외통과 세퍼레이터 튜브 사이의 저압실(PL)을 연통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steps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valve housing 120 on the pilot chamber 121a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ody valve part 130 and the main valve part 140 are sequentially provided at each step from the port side inlet. .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126 for forming the main passage 122 are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n intermediate height of the valve housing 120 in which the main valve unit 140 is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valve housing 120 . and, in more detail, the low pressure chamber PL between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outer cylinder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separator tube may be communicated.

포펫 챔버(121b) 측 밸브 하우징(120)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4)는 제1 스프링(162)의 일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리테이너(164)를 지지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poppet chamber 121b side valve housing 120 may include a protrusion 124 protruding inwardly to form a step. The protrusion 124 may support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162 and at the same time support the retainer 164 ,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바디 밸브부(130)는 포트(110)를 통과한 유체가 밸브 하우징(120)을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포트(110)의 연결홀(111)에 연통 설치된다. 또한, 바디 밸브부(130)는 밸브 하우징(120)의 중공(121)에 마련되되 포트와 메인 밸브부(140) 사이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body valve unit 13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hole 111 of the port 110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port 110 preferentially passes through the valve housing 120 . In addition, the body valve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e hollow 121 of the valve housing 120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rt and the main valve unit 140 to generate a damping force.

바디 밸브부(130)는 밸브 몸체(131)와, 밸브 디스크(133)와, 밸브 마운트(135)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131)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중심에는 밸브 마운트(135)가 관통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132)이 관통 마련된다. 밸브 디스크(133)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밸브 몸체(131)의 하단 측 예를 들어, 포트(110)의 반대편에서 밸브 몸체(131)에 밀착된 상태로 마련된다. 밸브 디스크(133)는 다수의 디스크를 적층시킨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밸브 디스크(133)에도 작동 유체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밸브 마운트(135)는 밸브 디스크(133)를 지지하여 연통홀(132)을 평상 시 폐쇄하는 상태로 밸브 몸체(131)에 고정된다. 밸브 마운트(135)는 I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밸브 몸체(131)의 상하에 패킹을 개재하여 빠지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body valve unit 130 includes a valve body 131 , a valve disk 133 , and a valve mount 135 . The valve body 13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valve mount 135 is coupled through the center,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132 is provide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valve disk 133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body 131 on the lower side of the valve body 131 , for example,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 110 . The valve disk 133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sks are stacked, and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passes may be provided in the valve disk 133 . The valve mount 135 is fixed to the valve body 131 in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132 is normally closed by supporting the valve disk 133 . The valve mount 135 is provided in an I-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alve body 131 so as not to fall off with the packing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바디 밸브부(130)는 밸브 하우징(120)의 입구 측 단부에 결합하여 포트(110)와, 파일럿 챔버(121a)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특히, 바디 밸브부(130)는 하나의 독립된 부품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개별 설계를 통해 요구되는 사양 예를 들어, 소프트 모드에서 메인 밸브부(140)의 감쇠력은 최소화하고 저속에서의 감쇠력을 조정하는 등의 튜닝 자유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The body valve unit 130 is coupled to the inlet side end of the valve housing 120 to selectively communicate between the port 110 and the pilot chamber 121a. In particular, since the body valve unit 130 has a single independent component form, the specification required through individual design, for example, minimizes the damping force of the main valve unit 140 in the soft mode and adjusts the damping force at low speed. The degree of freedom in tuning of the back can be greatly increased.

메인 밸브부(140)는 밸브 하우징(120) 중공(121)의 파일럿 챔버(121a)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메인 시트(141)와 메인 밸브(143)와 메인 스프링(14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valve unit 140 is provided on the pilot chamber 121a side of the valve housing 120 hollow 121 , and may include a main seat 141 , a main valve 143 , and a main spring 145 . .

메인 밸브부(140)의 메인 시트(141)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시트(141)는 외측에 마련되는 단차를 이용하여 밸브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걸림턱(127)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메인 시트(141)의 하단은 밸브 바디(143)의 상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파일럿 챔버(121a)와 밸브 하우징(120) 사이의 메인 유로(122)를 개폐할 수 있다. The main seat 141 of the main valve unit 140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In addition, the main seat 141 may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clasp 127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120 using a step provided on the outside. The lower end of the main seat 141 may open and close the main flow path 122 between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valve housing 120 while selectively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valve body 143 .

메인 밸브(143)는 파일럿 챔버(121a)에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된다. 메인 밸브(143)는 원판 형태의 바디 디스크(143a)와, 바디 디스크(143a)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연장 마련되는 상부 림(143b)와 하부 림(143c)를 포함한다. 바디 디스크(143a)는 중앙에 바디홀(144)을 구비하여 바디 디스크(143a)의 전방과 후방을 연통시킨다. 상부 림(143b)의 상단은 메인 시트(141)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거나 이격되며, 바디 디스크의 하단은 메인 스프링(145)을 개재하여 메인 시트(141) 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메인 스프링(145)은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main valve 143 is provided in the pilot chamber 121a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he main valve 143 includes a disk-shaped body disk 143a, and an upper rim 143b and a lower rim 143c respectively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of the body disk 143a. The body disk (143a) is provided with a body hole (144)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disk (143a). The upper end of the upper rim 143b is selectively contacted or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seat 141 ,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disk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main seat 141 via the main spring 145 . The main spring 145 may have a coil spring shape.

밸브 시트(150)는 메인 밸브부(140)와 소프트 밸브부(160) 사이에 마련되고, 가장자리가 밸브 하우징(120)의 단차에 지지되며, 밸브 하우징(120)의 중공(121)을 밸브 시트(150) 상단의 파일럿 챔버(121a)와 밸브 시트(150) 하단의 포펫 챔버(121b)로 구획할 수 있다.The valve seat 15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valve unit 140 and the soft valve unit 160 , the edge is supported by the step of the valve housing 120 , and the hollow 121 of the valve housing 120 is formed in the valve seat. (150) It can be divided into a pilot chamber (121a) at the upper end and the poppet chamber (121b)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seat (150).

또한, 밸브 시트(150)는 파일럿 챔버(121a)와 포펫 챔버(121b)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151)가 중심 부근에 형성된다. 연결유로(151)는 후술할 포펫 밸브(161)가 선택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파일럿 챔버(121a)와 포펫 챔버(121b)를 연통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Also, in the valve seat 150 , a connection passage 151 connecting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poppet chamber 121b is formed near the center thereof. The connection flow path 151 may communicate or close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poppet chamber 121b as a poppet valve 16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lectively contacts.

밸브 시트(150)의 하단에는 홈이 마련되어 제2 스프링(163)이 끼워지며, 구체적으로 제2 스프링(163)은 리테이너(164)의 상단과 밸브 시트(150)의 하단 사이에 개재된다. A groov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seat 150 so that the second spring 163 is fitted. Specifically, the second spring 163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etainer 164 and the lower end of the valve seat 150 .

포펫 챔버(121b)는 밸브 시트(150)의 하단에 마련되고 파일럿 챔버(121a)보다 체적이 작게 마련되며, 내부에 소프트 밸브부(160)가 위치한다. 또한, 포펫 챔버(121b)는 소프트 밸브부(160)의 작동에 의해 파일럿 챔버(121a)로부터 작동 유체가 통과하는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The poppet chamber 121b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seat 150 and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soft valve unit 160 is positioned therein. In addition, in the poppet chamber 121b, the flow rate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passes from the pilot chamber 121a may be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the soft valve unit 160 .

소프트 밸브부(160)는 밸브 시트(150)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연결유로(151)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펫 밸브(161)와, 포펫 밸브(161)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162)과 밸브 시트(150)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163)과 포펫 밸브(161)에 연결되어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ft valve unit 160 includes a poppet valve 161 that advances or retreats toward the valve seat 150 to adjust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151 , and a first spring 162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oppet valve 161 . ) and a second spring 163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seat 150 and a solenoid driving unit 200 connected to the poppet valve 161 to advance and retreat.

포펫 밸브(161)는 판상으로 마련되는 포펫 몸체부(161b)와, 포펫 몸체부(161b)의 중심에서 밸브 시트(150)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유로(151)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16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ppet valve 161 includes a poppet body portion 161b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an opening/closing portion 161a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poppet body portion 161b toward the valve seat 150 to open and close the connection flow path 151 . ) may be included.

포펫 몸체부(161b)는 포펫 챔버(121b)와 바이패스 유로(123)를 연통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유로(161e)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auxiliary flow path 161e may be formed through the poppet body 161b to communicate the poppet chamber 121b and the bypass flow path 123 .

포펫 몸체부(161b)의 상면은 제1 스프링(162)에 탄성 지지되어 포펫 밸브(161)의 전진(또는 상승) 시 밸브 시트(150)와 이격(또는 하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포펫 몸체부(161b)의 하면에는 포펫 몸체부(161b)와 솔레노이드 구동부(200)를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키기 위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161c)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61c)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포펫 챔버(121b)와 바이패스 유로(123)가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65)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페일 모드 시에도, 포펫 몸체부(161b)와 솔레노이드 구동부(200)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어 포펫 챔버(121b)의 작동유체는 보조 유로(161e) 및 바이패스 유로(123)를 통해 쇽업소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poppet body 161b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162 so that when the poppet valve 161 moves forward (or rises), it may receiv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or descend) from the valve seat 150 . . In addition, at least one stopper 161c protruding to separate the poppet body 161b and 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ppet body 161b. For example, the stopper 161c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at least one slit (not show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oppet chamber 121b and the bypass passage 1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even in the fail mod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the poppet body 161b and 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maintain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working fluid of the poppet chamber 121b flows through the auxiliary flow path 161e. And it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to the shock absorber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123).

개폐부(161a)는 포펫 몸체부(161b)의 중심에서 리테이너(164)를 관통하도록 밸브 시트(150)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61a)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161d)가 형성되어 포펫 밸브(161)가 전진 시 리테이너(164)를 걸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에 저전류가 인가되어 로드 및 포펫 밸브(161)가 밸브 시트(150) 측으로 전진하되 개폐부(161a)의 단차(161d)에 리테이너(164)가 접촉될 때 개폐부(161a)와 밸브 시트(150)의 거리가 일정 거리(약 0.1mm ~ 0.2mm)로 유지되는 위치에 단차(161d)가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part 161a may extend from the center of the poppet body part 161b toward the valve seat 150 to pass through the retainer 164 . 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portion 161a may be provided such that a step 161d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retainer 164 is caught and supported when the poppet valve 161 moves forward. For example, in the soft mode, a low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so that the rod and poppet valve 161 advances toward the valve seat 150, but the retainer 164 is in contact with the step 161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1a.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1a and the valve seat 15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ut 0.1mm to 0.2mm), the step 161d may be formed.

리테이너(164)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밸브 하우징(120)의 돌출부(124)와 제2 스프링(163)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스프링(163)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tainer 164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 124 of the valve housing 120 and the second spring 163 ,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second spring 163 .

구체적으로, 리테이너(164)는 외경이 포펫 챔버(121b) 상측 내주면과 대응되고 내경이 돌출부(124) 측 내주면과 대응되는 링 부재와, 링 부재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며, 돌기부재의 끝단은 포펫 밸브(161)의 단차(161d)에 걸림 지지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tainer 164 has a ring member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ppet chamber 121b and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4 sid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inside of the ring member. It includes a member, and the end of the protrusion me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extend and support the step 161d of the poppet valve 161 .

다시 말해, 포펫 밸브(161)가 전진하여 단차(161d)가 리테이너(164)에 접촉되면 포펫 밸브(161)와 밸브 시트(150)가 일정 거리를 유지한다. 나아가, 포펫 밸브(161)가 더 전진하면 포펫 밸브(161)의 단차(161d)에 리테이너(164)가 걸림 지지된 상태로 포펫 밸브(161)와 함께 밸브 시트(150) 측으로 전진하며, 리테이너(164)는 돌출부(124)로부터 이격되어 제2 스프링(163)을 지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poppet valve 161 moves forward and the step 161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tainer 164 , the poppet valve 161 and the valve seat 150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more, when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further, the retainer 164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step 161d of the poppet valve 161 and advances to the valve seat 150 side together with the poppet valve 161, and the retainer ( 16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124 to support the second spring 163 .

솔레노이드 구동부(200)는 포펫 밸브(161)에 연결되어 포펫 밸브(161)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poppet valve 161 to move the poppet valve 161 forward or backward.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의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enoid driving unit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구동부(200)는 자성의 금속재료인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을 이용하여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 경로를 만들도록 함에 의해 기존의 솔레노이드 구동부에서 자속 경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하우징을 제거하여 재료비 절감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uses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that is a magnetic metal material to create a magnetic flux path generated by a coil, thereby forming a magnetic flux path in the conventional solenoid driving unit. By removing the housing,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material costs.

솔레노이드 구동부(200)는 코일(221)이 감긴 보빈(220)과, 보빈(220)의 내측과 상부를 감싸는 코어(230) 및 요크(240)와, 코어(230) 및 요크(24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251)가 결합된 로드(250)를 포함한다.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includes a bobbin 220 on which a coil 221 is wound, a core 230 and a yoke 240 surrounding the inner and upper portions of the bobbin 220 , and the core 230 and the yoke 240 . It includes a rod 250 coupled to the plunger 251 movably installed on the .

보빈(220)은 중공 원통 형상이고, 보빈(220)의 상단과 하단 외주면에는 상단 플랜지(222)와 하단 플랜지(223)가 형성된다. 보빈(220)은 절연 재질의 구조물로 형성된다. 보빈(220)의 외면에는 코일(221)이 권취될 수 있다.The bobbin 22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n upper flange 222 and a lower flange 223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bobbin 220 . The bobbin 22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 coil 221 may be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20 .

보빈(220)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222,223)의 단부는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의 내주면(2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Ends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222 and 223 of the bobbin 220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1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

보빈(220)의 외측에 위치된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은 자성체(예로서,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구성됨에 의해 코일(221)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 경로(MC)의 일부를 형성한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located outside the bobbin 220 forms a part of the magnetic flux path MC generated by the coil 221 by being made of a magnetic material (eg,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코일(221)은 전원 인가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도선으로, 보빈(220)의 외주면에 감겨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The coil 221 is a conducting wire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when power is applied, and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220 to form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코일(221)에 전원이 인가되면 보빈(220)의 주위로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에 의해 플런저(251)와 결합된 로드(250)는 이동하여 포펫 밸브(161)를 작동시킨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221 ,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bobbin 220 , and the rod 250 coupled to the plunger 251 moves by this magnetic field to operate the poppet valve 161 .

코어(230)와 요크(240)는 철체로 이루어진 도체성 물질로 구성된다. 코어(230)는 보빈(220)의 내측에 위치되며, 요크(240)는 보빈(220)의 상부에 위치된다.The core 230 and the yoke 240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made of an iron body. The core 230 is located inside the bobbin 220 , and the yoke 240 is located above the bobbin 220 .

코어(230)는 원통 용기 형태로 구성되고, 바닥 중앙에는 하부 베어링(232)이 안착되는 홈(231)이 형성된다. 코어(230)의 외주면은 보빈(220)과 접촉한다.The core 23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and a groove 231 in which the lower bearing 232 is seat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230 is in contact with the bobbin 220 .

코어(230)의 내부에는 로드(250)와 일체로 결합된 플런저(25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A plunger 251 integrally coupled with the rod 250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core 230 .

요크(240)는 보빈(220)의 상부를 덮으며 밸브 조립체를 구성하는 밸브 하우징(120)을 지지한다. 요크(240)의 측벽(241)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실링부재(242)가 설치된다. 요크(240)의 측벽(241)은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의 내주면(211)과 접촉하고, 요크(240)의 바닥(243)은 보빈(220)의 상단 플랜지(222)와 접촉한다.The yoke 240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220 and supports the valve housing 120 constituting the valve assembly. A sealing member 242 for airtight maintenance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241 of the yoke 240 . The side wall 241 of the yoke 24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211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 and the bottom 243 of the yoke 24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222 of the bobbin 220 .

요크(240)의 중앙에는 상부 베어링(244)이 안착되는 홈(245)을 갖는 앵커부재(260)가 고정된다. 앵커부재(260)는 철제로 이루어진 도체성 물질이다. 앵커부재(260)는 코일(221)에 자력을 발생시켰을 때 플런저(251)를 흡착할 수 있다.An anchor member 260 having a groove 245 in which the upper bearing 244 is seated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yoke 240 . The anchor member 260 is a conductive material made of iron. The anchor member 260 may adsorb the plunger 251 when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coil 221 .

플런저(251)는 코어(2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플런저(251)는 로드(250)와 일체로 결합되며, 로드(250)의 양단은 상부 베어링(244)과 하부 베어링(232)을 통해 지지된다.The plunger 251 is disposed inside the core 230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e plunger 25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od 250 , and both ends of the rod 250 are supported through the upper bearing 244 and the lower bearing 232 .

커버(270)는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의 내부를 밀폐한다.The cover 270 is coupl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to seal the insi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

보빈(220)과 커버(270) 사이에는 자성 와셔(280)가 개재된다. 자성 와셔(280)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주(281)는 코어(230)에 접촉하고 외주(282)는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의 내주면(211)에 접촉하여 자속 경로(MC)의 일부를 형성한다.A magnetic washer 280 is interposed between the bobbin 220 and the cover 270 . The magnetic washer 28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281 is in contact with the core 23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28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211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to form a magnetic flux path (MC). form part

코일(221)에 의해 발생한 자속 경로(MC)는 코어(230), 플런저(251), 앵커부재(260), 요크(240),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210), 자성 와셔(280)를 통해 루프를 형성한다.The magnetic flux path MC generated by the coil 221 is looped through the core 230 , the plunger 251 , the anchor member 260 , the yoke 240 ,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10 , and the magnetic washer 280 . to form

이를 통해, 솔레노이드 구동부(2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로드(250)를 진퇴시키고, 인가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로드(250) 및 로드(250)에 연결된 포펫 밸브(161)의 전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값에 따라 포펫 밸브(161)를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the rod 250 advances and retreats by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rod 250 and the poppet valve 161 connected to the rod 250 adva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applied current. can be adjusted, and the poppet valve 161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이 때, 솔레노이드 구동부(200)의 전자기력은 소프트 모드와 하드 모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프트 모드 시 솔레노이드 구동부(200)의 전자기력은 제1 스프링(162)의 탄성력(압축하중)과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고, 하드 모드 시 솔레노이드 구동부(200)의 전자기력은 제1 스프링(162)의 탄성력과 제2 스프링(163)의 탄성력의 합력과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oft mode and the hard mode. Specifically, in the soft mode,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may be controlled to be the same as the elastic force (compressive load) of the first spring 162 , and in the hard mode,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200 is the first spring 162 . ) may be controlled to be equal to the resultant forc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163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163 .

바이패스 유로(123)는 밸브 하우징(120)의 최하단에 원주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홀을 통해 마련되어 포펫 챔버(121b)와 쇽업소버를 연통시킬 수 있다.The bypass flow path 123 may be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flow path hole formed through the bottom end of the valve housing 1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mmunicate the poppet chamber 121b and the shock absorber.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0: 실린더 11: 외통
12: 내통 13: 피스톤 로드
14: 피스톤 밸브 15: 리저버 챔버
16: 세퍼레이터 튜브 100: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110: 포트 120: 밸브 하우징
121: 중공 121a: 파일럿 챔버
121b: 포펫 챔버 122: 메인 유로
123: 바이패스 유로 124: 돌출부
130: 바디 밸브부 131: 밸브 몸체
132: 연통홀 133: 밸브 디스크
135: 밸브 마운트 140: 메인 밸브부
141: 메인 시트 143: 메인 밸브
145: 메인 스프링 150: 밸브 시트
151: 연결유로 160: 소프트 밸브부
161: 포펫 밸브 161a: 개폐부
161b: 포펫 몸체부 161c: 스토퍼
161d: 단차 161e: 보조 유로
162: 제1 스프링 163: 제2 스프링
164: 리테이너 200: 솔레노이드 구동부
210: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220: 보빈
221: 코일 230: 코어
240: 요크 250: 로드
251: 플런저 260: 앵커부재
270: 커버 280: 자성 와셔
10: cylinder 11: outer cylinder
12: inner cylinder 13: piston rod
14: piston valve 15: reservoir chamber
16: separator tube 100: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10: port 120: valve housing
121: hollow 121a: pilot chamber
121b: poppet chamber 122: main flow path
123: bypass flow path 124: protrusion
130: body valve 131: valve body
132: communication hole 133: valve disc
135: valve mount 140: main valve unit
141: main seat 143: main valve
145: main spring 150: valve seat
151: connection passage 160: soft valve part
161: poppet valve 161a: opening and closing part
161b: poppet body 161c: stopper
161d: step 161e: auxiliary flow path
162: first spring 163: second spring
164: retainer 200: solenoid drive unit
210: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220: bobbin
221: coil 230: core
240: yoke 250: rod
251: plunger 260: anchor member
270: cover 280: magnetic washer

Claims (10)

외통 및 내통을 갖는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밸브와, 리저버 챔버와, 세퍼레이터 튜브와,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는,
상기 외통과 연결되는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내에서 상기 세퍼레이터 튜브와 결합되며, 가변 유로부를 제공하는 밸브 조립체;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내에 결합되며, 상기 가변 유로부의 유로를 가변하기 위해 이동하는 플런저가 결합된 로드, 코일이 감긴 보빈, 상기 보빈 내측에 위치된 코어, 상기 보빈의 상부에 위치된 요크, 상기 보빈의 하부에 위치된 자성 와셔를 갖는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 경로는 상기 코어, 상기 플런저, 상기 요크,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및 상기 자성 와셔를 통해 루프를 형성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cylinder having an outer cylinder and an inner cylinder, a piston rod, a piston valve, a reservoir chamber, a separator tube,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connected to the outer cylinder;
a valve assembly coupled to the separator tube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and providing a variable flow path;
A rod coupled to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and coupled with a plunger that moves to change the flow path of the variable flow path part, a bobbin around which a coil is wound, a core positioned inside the bobbin, a yoke positioned above the bobbin, and the bobbin Including; a solenoid driving unit having a magnetic washer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The magnetic flux path generated by the coil forms a loop through the core, the plunger, the yoke,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and the magnetic was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 와셔는 상기 보빈과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자성 와셔의 내주는 상기 코어와 접촉하고, 상기 와셔의 외주는 상기 가변밸브 하우징과 접촉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v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The magnetic wash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cover, and an inner periphery of the magnetic washer contacts the core,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washer contacts the variable valv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는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ccording to claim 1,
Flange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bobbin ar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밸브 조립체를 지지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ccording to claim 1,
The yoke is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for supporting the valve assemb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중앙에는 상기 플런저를 흡착하기 위한 도체성 앵커부재가 마련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5. The method of claim 4,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provided with a conductive anchor member for adsorbing the plunger in the center of the yok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에는 상기 로드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코어에는 상기 로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이 설치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6. The method of claim 5,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in which an upper bearing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rod is installed in the anchor member, and a lower bearing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rod is installed in the co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외주면은 상기 보빈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is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측벽은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과 접촉하고, 상기 요크의 바닥은 상기 보빈의 상기 상단 플랜지와 접촉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8. The method of claim 7,
A sidewall of the yoke is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damping force valve housing, and a bottom of the yok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세퍼레이터 튜브와 연결되는 포트와 연통되는 중공을 갖는 밸브 하우징;
상기 중공을 파일럿 챔버와 포펫 챔버로 구획하되, 상기 파일럿 챔버와 상기 포펫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
상기 파일럿 챔버 측에 마련되고, 상기 파일럿 챔버와 상기 쇽업소버를 연통시키는 메인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메인 밸브부;
상기 포펫 챔버 측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소프트 밸브부;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기 중공에 마련되되, 상기 포트와 상기 메인 밸브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포트와 연통되며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바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포펫 챔버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돌출부와, 상기 포펫 챔버와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밸브부는 상기 밸브 시트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펫 밸브와, 상기 포펫 밸브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밸브 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포펫 밸브에 연결되어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스프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assembly comprises:
a valve housing having a hollow in communication with a port connected to the separator tube;
a valve seat partitioning the hollow into a pilot chamber and a poppet chamber, the valve seat having a connectio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and the poppet chamber;
a main valve unit provided on the pilot chamber side and controlling a flow rate passing through a main flow path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and the shock absorber;
a soft valve unit provided on the poppet chamber side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nd
a body valve part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valve housing, provided between the port and the main valve part, communicating with the port, and generating a damping force;
The valve housing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to the poppet chamber to support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and a bypass flow path for communicating the poppet chamber and the insi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housing,
The soft valve unit includes a poppet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by moving forward or backward toward the valve seat, a first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ppet valve, and a second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seat;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solenoid connected to the poppet valve to advance and retreat, and a retainer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spring to support the second spr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부는 상기 밸브 하우징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메인 시트와, 상기 파일럿 챔버에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메인 시트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개폐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를 상기 메인 시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메인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는 포펫 몸체부와,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 시트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걸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와, 상기 포펫 몸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포펫 챔버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유로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valve unit includes a ring-shaped main seat fixed to the valve housing, a main valve that is provided in the pilot chamber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nd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contact with the main seat, and elastically moves the main valve toward the main seat. comprising a main spring for supporting;
The poppet valve includes: a poppet body connected to the solenoi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extending through the retainer toward the valve seat and provided with a step radially inwardly to engage and support the retaine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t least one auxiliary flow passage formed through the poppet chamber and communicating the bypass flow passage with the poppet chamber.
KR1020200053691A 2020-05-06 2020-05-06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2435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91A KR102435308B1 (en) 2020-05-06 2020-05-06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91A KR102435308B1 (en) 2020-05-06 2020-05-06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12A true KR20210135712A (en) 2021-11-16
KR102435308B1 KR102435308B1 (en) 2022-08-23

Family

ID=7871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91A KR102435308B1 (en) 2020-05-06 2020-05-06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30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413A (en) * 1996-07-31 1998-02-20 Tokico Ltd Damping-force regulating hydraulic shock absorber
KR980002962A (en) 1996-06-21 1998-03-30 슈토베 슈테판·크람프 노르베르트 Damping force variable buffer valve
KR20090063259A (en) * 2006-10-11 2009-06-17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Shock absorber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semi-active valve
KR20110073234A (en) * 2009-12-22 2011-06-29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Damper
KR20150121087A (en) * 2013-03-13 2015-10-28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Damping val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962A (en) 1996-06-21 1998-03-30 슈토베 슈테판·크람프 노르베르트 Damping force variable buffer valve
JPH1047413A (en) * 1996-07-31 1998-02-20 Tokico Ltd Damping-force regulating hydraulic shock absorber
KR20090063259A (en) * 2006-10-11 2009-06-17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Shock absorber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semi-active valve
KR20110073234A (en) * 2009-12-22 2011-06-29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Damper
KR20150121087A (en) * 2013-03-13 2015-10-28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Damp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308B1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138B2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same
EP2693075B1 (en) Front fork
US20100044172A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US20080006493A1 (en) Variable damping valve of shock absorber
US20080190719A1 (en) Variable damping force valve of shock absorber
JP7085689B2 (en)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CN206668851U (en) A kind of automatically controlled piston mechanism of suspension shock-absorber
KR20210048360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KR102435308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CN107061595A (en) A kind of automatically controlled piston mechanism of suspension shock-absorber
JP5624484B2 (en) Shock absorber
JP5671355B2 (en) Solenoid valve and shock absorber
JP6001859B2 (en) Solenoid valve and shock absorber
KR102152017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US20220254555A1 (en) Solenoid, solenoid valve, and shock absorber
JP5771067B2 (en) Solenoid valve and front fork
JP7116018B2 (en) Solenoid device and shock absorber using the same
KR20200113807A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20210001329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CN220151784U (en) Electromagnetic valve piston rod for automobile shock absorber
KR101682188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US20220412429A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KR101761867B1 (en)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KR102424992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JP6204703B2 (en) Solenoid valve and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