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329A -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 Google Patents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329A
KR20210001329A KR1020190077275A KR20190077275A KR20210001329A KR 20210001329 A KR20210001329 A KR 20210001329A KR 1020190077275 A KR1020190077275 A KR 1020190077275A KR 20190077275 A KR20190077275 A KR 20190077275A KR 20210001329 A KR20210001329 A KR 20210001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amping force
poppet
force variabl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9007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329A/en
Publication of KR2021000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3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6Adjustment of valve bias or pre-st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stalled in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includes: a valve housing including a hollow hole connected to a shock absorber through a port; a valve seat dividing the hollow hole into a pilot chamber and a poppet chamber, while including a connection flow path connecting the pilot chamber with the poppet chamber; a main valve part provided to the pilot chamber of the hollow hole, and controlling a flux passing through a main flow path connecting the pilot chamber with the shock absorber; and a soft valve part provided to the poppet chamber of the hollow hole, and controlling a flux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The soft valve part includes: a poppet valve moving forward or backward toward the valve seat to control the flux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a first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ppet valve; a second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seat; and a solenoid connected with the poppet valve to move the valve forward and backward.

Description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본 발명은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닝 성능과 감쇠력 선형성이 향상되며 페일 세이프 모드를 갖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having a fail-safe mode with improved tuning performance and damping force linearity,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will be.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이동수단에 설치되며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 및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In general, shock absorbers are installed in moving means such as automobiles and motorcycles, and absorb and buffer vibrations or shock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to improve riding comfort.

쇽업소버는 실린더의 내부에 압축 및 인장 행정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로드와, 이 피스톤 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The shock absorber is composed of a piston rod installed in a cylinder for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 and a piston valve that is located inside the cylinder while being coupled to the piston rod to generate a damping force.

감쇠력을 낮게 설정 시 쇽업소버는 노면의 요철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대로 감쇠력을 높게 설정 시 쇽업소버는 차체의 자세 변화가 억제되어 조종 안정성이 향상되는 특성이 있다.When the damping force is set low, the shock absorber can improve the riding comfort by absorbing vibrations caused by th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On the contrary, when the damping force is set high, the shock absorber has the characteristic of improving the steering stability by suppressing changes in the attitude of the vehicle body.

최근에는 차량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감쇠력의 특성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 damping force variable type shock absorber,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mping force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vehicle, has been applied to a vehicle.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외통과, 외통의 내측에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통과,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어 내통을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한다. The shock absorb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includes an outer cylinder, an inner cylind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and installed so that the piston rod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ston valve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piston rod to divide the inner cylinder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do.

또한, 내통과 외통의 사이에는 피스톤 로드의 왕복 운동에 따른 내통 내부의 체적 변화를 보상하는 리저버 챔버가 형성되고, 리저버 챔버와 압축챔버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동은 바디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In addition, a reservoir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to compensate for a volume change inside the inner cylinder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rod, and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between the reservoir chamber and the compression chamber is controlled by the body valve.

이러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감쇠력을 조절하기 위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는 솔레노이드의 스풀이 보조적인 유로를 폐쇄하여 높은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하드 모드(Hard mode)와, 스풀이 보조적인 유로를 개방하여 낮은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소프트 모드(Soft mode)로 감쇠력을 전환시킬 수 있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further includes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damping force,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has a hard mode in which a spool of a solenoid closes an auxiliary flow path to generate a high damping force, and a spool.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damping force into a soft mode that generates a low damping force by opening this auxiliary flow path.

한국 공개특허 제10-1998-0002962호(1998. 03. 30)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998-0002962 (1998. 03. 30)

본 실시 예는 솔레노이드에 저전류 인가 시 피스톤 로드의 잦은 행정 변화에도 불구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apable of realizing a comfortable ride despite frequent stroke changes of a piston rod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to a solenoid,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본 실시 예는 솔레노이드에 고전류 인가 시 초기 제어량을 높여 차량의 조정안정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apable of satisfying the adjustment stability of a vehicle by increasing an initial control amount when a high current is applied to a solenoid,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본 실시 예는 소프트 모드에서 저전류를 적용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페일 모드에서 감쇠력을 소프트 모드의 감쇠력보다 높게 발생시킴으로써 전류 공급 차단 시에도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This embodimen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pplying a low current in the soft mode, and by generating a damping force higher than that of the soft mode in the fail mode in which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secure control stability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설치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에 포트를 통해 연통 마련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중공을 파일럿 챔버와 포펫 챔버로 구획하되, 상기 파일럿 챔버와 상기 포펫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 상기 중공의 상기 파일럿 챔버 측에 마련되고, 상기 파일럿 챔버와 상기 쇽업소버를 연통시키는 메인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메인 밸브부; 및 상기 중공의 상기 포펫 챔버 측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소프트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밸브부는 상기 밸브 시트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펫 밸브와, 상기 포펫 밸브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밸브 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포펫 밸브에 연결되어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stalled in the shock absorber variable damping force, a valve housing having a hollow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hock absorber through a port; A valve seat that divides the hollow into a pilot chamber and a poppet chamber, and has a connectio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and the poppet chamber; A main valve part provided on the hollow side of the pilot chamber and controlling a flow rate passing through a main flow path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and the shock absorber; And a soft valve part provided on the hollow side of the poppet chamber and for adjusting a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wherein the soft valve part advances or retreats toward the valve seat to control a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cluding a poppet valve to adjust, a first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ppet valve, a second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seat, and a solenoid connected to the poppet valve to advance and retreat may be provided. have.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포펫 챔버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to the poppet chamber to support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상기 소프트 밸브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스프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감쇠력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The soft valve part may be provided with a damping force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retainer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spring to support the second spring.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는 포펫 몸체부와,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시트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걸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The poppet valve is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including a poppet body connected to the solenoid and an opening/closing part which penetrates the retainer and extends toward the valve seat and has a stepped radially inward so as to engage and support the retainer. An assembly may be provided.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포펫 몸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포펫 챔버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유로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The poppet valve may be provided with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auxiliary flow path which is formed through the poppet body and communicates the poppet chamber and the bypass flow path.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포펫 몸체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The poppet valve may be provided with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stopper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poppet body.

상기 메인 밸브부는 상기 밸브 하우징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메인 시트와, 상기 파일럿 챔버에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메인 시트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개폐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를 상기 메인 시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메인 스프링을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The main valve unit includes a ring-shaped main seat fixed to the valve housing, a main valve provided to be advanced or retracted in the pilot chamber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contacting the main seat, and the main valve is resilient toward the main seat.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cluding a main spring supporting it may be provided.

상기 밸브 하우징의 중공에 마련되되 상기 포트와 상기 메인 밸브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포트와 연통되며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바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may be provided that is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valve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a body valve part provided between the port and the main valve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port and generate a damping force.

상기 바디 밸브부는 상기 포트와 상기 파일럿 챔버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을 구비하는 밸브 몸체와, 상기 연통홀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 디스크와, 상기 밸브 몸체 및 상기 밸브 디스크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밸브 디스크를 상기 밸브 몸체에 고정시키는 밸브 마운트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The body valve part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ort and the pilot chamber, at least one valve disk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and penetrating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disk.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cluding a valve mount coupled to the valve disk to fix the valve body may be provided.

상기 솔레노이드에 저전류 인가 시,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개폐부의 단차가 접촉하는 정도까지 전진하여,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밸브 시트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the poppet valve advances to a level where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retainer and the opening/closing part contacts, so that the opening/closing part and the valve seat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 can.

상기 솔레노이드에 고전류 인가 시, 상기 포펫 밸브는 전진하여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When a high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the poppet valve advances to provide a variable damping force valve assembly that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valve seat.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including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솔레노이드에 저전류 인가 시 피스톤 로드의 잦은 행정 변화에도 불구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implementing a comfortable ride despite frequent stroke changes of the piston rod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솔레노이드에 고전류 인가 시 초기 제어량을 높여 차량의 조정안정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initial control amount when a high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to satisfy the adjustment stabil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소프트 모드에서 저전류를 적용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페일 모드에서 감쇠력을 소프트 모드의 감쇠력보다 높게 발생시킴으로써 전류 공급 차단 시에도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pplying a low current in the soft mode, and reduce the damping force in the fail mode in which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By generating higher than the damping forc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의 소프트 밸브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의 소프트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의 하드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의 페일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의 전류 변화에 따른 압력변화 그래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ft valve part of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oft mo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hard mo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fail mo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of a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a current change of a variable damping forc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presented here,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sizes of compon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aid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외통(11) 및 내통(12)을 갖는 실린더(10)와, 피스톤 로드(13)와, 피스톤 밸브(14)와, 리저버 챔버(15)와, 세퍼레이터 튜브(16)와,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ylinder 10 having an outer cylinder 11 and an inner cylinder 12, a piston rod 13, a piston valve 14, and a reservoir chamber. (15), a separator tube (16), and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외통(11)은 외측에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가 설치되며, 외통(11)의 내부에는 내통(12)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또, 외통(11)과 내통(12)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압실(PL)과 고압실(PH)을 형성하기 위한 리저버 챔버(15)가 형성된다.The outer cylinder 11 has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installed on the outside, and the inner cylinder 12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In addition, a reservoir chamber 15 for forming a low pressure chamber PL and a high pressure chamber PH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inner cylinder 12 as shown in FIG. 1.

피스톤 로드(13)는 일단이 내통(12)의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 밸브(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The piston rod 13 reciprocates in the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 directions with one end coupled to the piston valve 14 located inside the inner cylinder 12.

피스톤 밸브(14)는 피스톤 로드(13)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통(12)을 길이방향으로 압축챔버(12a)와 인장챔버(12b)로 구분하며, 이를 통해 실린더(10) 내부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The piston valve 14 divides the inner cylinder 12 into a compression chamber 12a and a tension chamber 12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piston rod 13, and is compressed inside the cylinder 10 through this. And while reciproc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stroke, a damp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resistance force of the fluid.

리저버 챔버(15)는 외통(11)과 내통(1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된다.The reservoir chamber 15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inner cylinder 12.

세퍼레이터 튜브(16)는 외통(11)과 내통(12) 사이, 구체적으로는 내통(12)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내측에는 고압실(PH)을 형성하고 외측에는 저압실(LH)을 형성한다. 즉, 세퍼레이터 튜브(16)는 리저버 챔버(15) 내부를 저압실(PL)과 고압실(PH)로 구획한다.The separator tube 16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inner cylinder 12, specifi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12 to form a high pressure chamber PH inside and a low pressure chamber LH outside. That is, the separator tube 16 divides the inside of the reservoir chamber 15 into a low pressure chamber PL and a high pressure chamber PH.

바디 밸브(17)는 내통(12)의 하단에 설치되어 리저버 챔버(15)와 압축챔버(12a)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The body valve 17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cylinder 12 to control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between the reservoir chamber 15 and the compression chamber 12a to generate a damping force.

한편, 고압실(PH)은 내통(12)에 마련되는 내부홀(12c)을 통해 인장챔버(12b)와 연결되고, 저압실(PL)은 바디 밸브(17)와 외통(11)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유로 및 바디 밸브(17)에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통해 압축챔버(12a)와 연결된다.Meanwhile, the high pressure chamber (PH) is connected to the tension chamber (12b) through an inner hole (12c) provided in the inner cylinder (12), and the low pressure chamber (PL) is formed between the body valve (17) and the outer cylinder (11). It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12a through a flow path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flow path and the body valve 17.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소프트 밸브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ft valve portion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는 포트(110)와, 밸브 하우징(120)과, 바디 밸브부(130)와, 메인 밸브부(140)와, 소프트 밸브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rt 110, a valve housing 120, a body valve part 130, a main valve part 140, and , It may include a soft valve unit 160.

포트(110)는 전단이 외통(11)과 세퍼레이터 튜브(16)를 통해 고압실(PH)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고압실(PH)로부터 작동 유체가 가변밸브 조립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홀(11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즉, 연결홀(111)은 입구 부위가 고압실(PH)에 연결되고, 출구는 후술할 밸브 하우징(120)의 파일럿 챔버(121a) 및 포펫 챔버(121b)로 연결된다. 포트(110)의 외부에는 고정을 위한 와샤(113)가 마련될 수 있다.The port 110 has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chamber PH through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separator tube 16, and has a connection hole inside so that the working fluid can flow into the variable valve assembly from the high pressure chamber PH. 111) is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That is, the connection hole 111 has an inlet portion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chamber PH,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poppet chamber 121b of the valve housing 120 to be described later. A washer 113 for fixing may be provided outside the port 110.

밸브 하우징(120)은 원통형의 금속소재로 마련되며, 내부 중공(121)에 바디 밸브부(130)와 메인 밸브부(140)와 소프트 밸브부(160)가 순차 조립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120 is made of a cylindrical metal material, and the body valve unit 130, the main valve unit 140, and the soft valve unit 160 may be sequentially assembled in the inner hollow 121.

밸브 하우징(120)은 내부에 복수 개의 단차가 형성되는 중공(121)을 구비할 수 있고, 중공(121)은 후술할 밸브 시트(150)에 의해 파일럿 챔버(121a)와 포펫 챔버(121b)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하우징(120)의 중공(121)은 밸브 시트(150)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파일럿 챔버(121a)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포펫 챔버(121b)가 마련되며, 두 챔버는 밸브 시트(150)의 연결유로(151)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파일럿 챔버(121a)는 포펫 챔버(121b)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120 may include a hollow 121 having a plurality of steps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121 is formed into a pilot chamber 121a and a poppet chamber 121b by a valve seat 15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artitioned. Specifically, in the hollow 121 of the valve housing 120, a pilot chamber 121a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and a poppet chamber 121b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with the valve seat 150 as the center. ) Can be communicat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51. The pilot chamber 121a may form a relatively wider space than the poppet chamber 121b.

파일럿 챔버(121a) 측 밸브 하우징(120)은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며, 각 단차에는 포트 측 입구로부터 순차적으로 바디 밸브부(130)와 메인 밸브부(140)가 마련된다. 메인 밸브부(140)가 위치하는 밸브 하우징(120)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는 메인 유로(122)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홀(126)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어 밸브 하우징(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럿 챔버(121a)와 쇽업소버의 외통과 세퍼레이터 튜브 사이의 저압실(PL)을 연통시킬 수 있다.The pilot chamber 121a side valve housing 120 has a plurality of step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step has a body valve unit 130 and a main valve unit 140 sequentially provided from the port side inlet. . A plurality of flow path holes 126 for forming the main flow path 122 are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n intermediate height of the valve housing 120 where the main valve unit 140 is located,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alve housing 120 And, more specifically,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low pressure chamber PL between the outer cylinder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separator tube may be communicated.

포펫 챔버(121b) 측 밸브 하우징(120)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4)는 제1 스프링(162)의 일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리테이너(164)를 지지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valve housing 120 on the poppet chamber 121b side may include a protrusion 124 protruding inward to form a step. The protrusion 124 may support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162 and at the same time support the retainer 164, an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바디 밸브부(130)는 포트(110)를 통과한 유체가 밸브 하우징(120)을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포트(110)의 연결홀(111)에 연통 설치된다. 또한, 바디 밸브부(130)는 밸브 하우징(120)의 중공(121)에 마련되되 포트와 메인 밸브부(140) 사이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body valve unit 13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hole 111 of the port 110 so that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ort 110 passes through the valve housing 120 preferentially. In addition, the body valve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e hollow 121 of the valve housing 120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rt and the main valve unit 140 to generate a damping force.

바디 밸브부(130)는 밸브 몸체(131)와, 밸브 디스크(133)와, 밸브 마운트(135)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131)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중심에는 밸브 마운트(135)가 관통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132)이 관통 마련된다. 밸브 디스크(133)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밸브 몸체(131)의 하단 측 예를 들어, 포트(110)의 반대편에서 밸브 몸체(131)에 밀착된 상태로 마련된다. 밸브 디스크(133)는 다수의 디스크를 적층시킨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밸브 디스크(133)에도 작동 유체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밸브 마운트(135)는 밸브 디스크(133)를 지지하여 연통홀(132)을 평상 시 폐쇄하는 상태로 밸브 몸체(131)에 고정된다. 밸브 마운트(135)는 I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밸브 몸체(131)의 상하에 패킹을 개재하여 빠지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body valve unit 130 includes a valve body 131, a valve disk 133, and a valve mount 135. The valve body 1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valve mount 135 is penetrat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132 is provided through 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valve disk 133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body 131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valve body 131, for example, at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 110. The valve disk 133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sks are stacked, and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passes may be provided in the valve disk 133. The valve mount 135 is fixed to the valve body 131 in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132 is normally closed by supporting the valve disk 133. The valve mount 135 may be provided in an I-shaped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valve body 131 so as not to fall out through packings.

이러한 바디 밸브부(130)는 밸브 하우징(120)의 입구 측 단부에 결합하여 포트(110)와, 파일럿 챔버(121a)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특히, 바디 밸브부(130)는 하나의 독립된 부품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개별 설계를 통해 요구되는 사양 예를 들어, 소프트 모드에서 메인 밸브부(140)의 감쇠력은 최소화하고 저속에서의 감쇠력을 조정하는 등의 튜닝 자유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The body valve unit 130 is coupled to an inlet end of the valve housing 120 to selectively communicate between the port 110 and the pilot chamber 121a. In particular, since the body valve unit 130 has one independent component type, specifications required through individual design, for example, minimize the damping force of the main valve unit 140 in the soft mode and adjust the damping force at low speed. The degree of freedom for tuning the back can be greatly increased.

메인 밸브부(140)는 밸브 하우징(120) 중공(121)의 파일럿 챔버(121a)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메인 시트(141)와 메인 밸브(143)와 메인 스프링(14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valve unit 140 is provided on the pilot chamber 121a side of the hollow 121 of the valve housing 120 and may include a main seat 141, a main valve 143, and a main spring 145. .

메인 밸브부(140)의 메인 시트(141)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시트(141)는 외측에 마련되는 단차를 이용하여 밸브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걸림턱(127)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메인 시트(141)의 하단은 밸브 바디(143)의 상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파일럿 챔버(121a)와 밸브 하우징(120) 사이의 메인 유로(122)를 개폐할 수 있다. The main seat 141 of the main valve unit 140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In addition, the main seat 141 may be supported and fixed by a locking protrusion 127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120 using a step provided on the outside. The lower end of the main seat 141 may open and close the main flow path 122 between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valve housing 120 while selectively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valve body 143.

메인 밸브(143)는 파일럿 챔버(121a)에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된다. 메인 밸브(143)는 원판 형태의 바디 디스크(143a)와, 바디 디스크(143a)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연장 마련되는 상부 림(143b)와 하부 림(143c)를 포함한다. 바디 디스크(143a)는 중앙에 바디홀(144)을 구비하여 바디 디스크(143a)의 전방과 후방을 연통시킨다. 상부 림(143b)의 상단은 메인 시트(141)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거나 이격되며, 바디 디스크의 하단은 메인 스프링(145)을 개재하여 메인 시트(141) 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메인 스프링(145)은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main valve 143 is provided in the pilot chamber 121a to be advanced or retracted. The main valve 143 includes a disk-shaped body disk 143a, and an upper rim 143b and a lower rim 143c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of the body disk 143a, respectively. The body disk 143a has a body hole 144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body disk 143a. The upper end of the upper rim 143b is selectively contacted or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seat 141,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disk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main seat 141 through the main spring 145. The main spring 145 may have a coil spring shape.

밸브 시트(150)는 메인 밸브부(140)와 소프트 밸브부(160) 사이에 마련되고, 가장자리가 밸브 하우징(120)의 단차에 지지되며, 밸브 하우징(120)의 중공(121)을 밸브 시트(150) 상단의 파일럿 챔버(121a)와 밸브 시트(150) 하단의 포펫 챔버(121b)로 구획할 수 있다.The valve seat 15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valve unit 140 and the soft valve unit 160, the edge is supported by the step of the valve housing 120, and the hollow 121 of the valve housing 120 is formed into a valve seat. (150) It can be divided into a pilot chamber (121a) at the top and a poppet chamber (121b) at the bottom of the valve seat 150.

또한, 밸브 시트(150)는 파일럿 챔버(121a)와 포펫 챔버(121b)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151)가 중심 부근에 형성된다. 연결유로(151)는 후술할 포펫 밸브(161)가 선택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파일럿 챔버(121a)와 포펫 챔버(121b)를 연통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alve seat 150, a connection passage 151 for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poppet chamber 121b is formed near the center. The connection passage 151 may communicate or close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poppet chamber 121b as the poppet valve 161 to be described later selectively contacts.

밸브 시트(150)의 하단에는 홈이 마련되어 제2 스프링(163)이 끼워지며, 구체적으로 제2 스프링(163)은 리테이너(164)의 상단과 밸브 시트(150)의 하단 사이에 개재된다. A groov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seat 150 and a second spring 163 is fitted therein. Specifically, the second spring 163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etainer 164 and the lower end of the valve seat 150.

포펫 챔버(121b)는 밸브 시트(150)의 하단에 마련되고 파일럿 챔버(121a)보다 체적이 작게 마련되며, 내부에 소프트 밸브부(160)가 위치한다. 또한, 포펫 챔버(121b)는 소프트 밸브부(160)의 작동에 의해 파일럿 챔버(121a)로부터 작동 유체가 통과하는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The poppet chamber 121b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seat 150 and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pilot chamber 121a, and the soft valve unit 160 is positioned therein. In addition, in the poppet chamber 121b, a flow rate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passes from the pilot chamber 121a may be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the soft valve unit 160.

소프트 밸브부(160)는 밸브 시트(150)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연결유로(151)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펫 밸브(161)와, 포펫 밸브(161)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162)과 밸브 시트(150)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163)과 포펫 밸브(161)에 연결되어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1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ft valve unit 160 advances or retreats toward the valve seat 150 to control a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51, and a first spring 162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ppet valve 161 ) And a second spring 16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seat 150 and a solenoid 165 connected to the poppet valve 161 to advance and retreat.

포펫 밸브(161)는 판상으로 마련되는 포펫 몸체부(161b)와, 포펫 몸체부(161b)의 중심에서 밸브 시트(150)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유로(151)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16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ppet valve 161 includes a poppet body part 161b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an opening/closing part 161a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poppet body part 161b toward the valve seat 150 to open and close the connection passage 151. ) Can be included.

포펫 몸체부(161b)는 포펫 챔버(121b)와 바이패스 유로(123)를 연통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유로(161e)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auxiliary flow path 161e may be formed through the poppet body part 161b to communicate the poppet chamber 121b and the bypass flow path 123.

포펫 몸체부(161b)의 상면은 제1 스프링(162)에 탄성 지지되어 포펫 밸브(161)의 전진(또는 상승) 시 밸브 시트(150)와 이격(또는 하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포펫 몸체부(161b)의 하면에는 포펫 몸체부(161b)와 솔레노이드(165)를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키기 위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161c)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61c)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포펫 챔버(121b)와 바이패스 유로(123)가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65)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페일 모드 시에도, 포펫 몸체부(161b)와 솔레노이드(165)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어 포펫 챔버(121b)의 작동유체는 보조 유로(161e) 및 바이패스 유로(123)를 통해 쇽업소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poppet body 161b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162 so that when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or rises), it may receiv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or descended) from the valve seat 150 . In addition, at least one stopper 161c protruding to separate the poppet body portion 161b and the solenoid 165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oppet body portion 161b. For example, the stopper 161c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at least one slit (not show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oppet chamber 121b and the bypass flow path 1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even in the fail mod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the poppet body portion 161b and the solenoid 165 maintain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working fluid of the poppet chamber 121b is supplied with the auxiliary flow path 161e and It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to the shock absorber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123.

개폐부(161a)는 포펫 몸체부(161b)의 중심에서 리테이너(164)를 관통하도록 밸브 시트(150)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61a)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161d)가 형성되어 포펫 밸브(161)가 전진 시 리테이너(164)를 걸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에 저전류가 인가되어 로드 및 포펫 밸브(161)가 밸브 시트(150) 측으로 전진하되 개폐부(161a)의 단차(161d)에 리테이너(164)가 접촉될 때 개폐부(161a)와 밸브 시트(150)의 거리가 일정 거리(약 0.1mm ~ 0.2mm)로 유지되는 위치에 단차(161d)가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part 161a may extend toward the valve seat 150 so as to pass through the retainer 164 at the center of the poppet body part 161b. 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part 161a may be provided with a step 161d formed radially inward to engage the retainer 164 when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For example, in the soft mode, a low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so that the rod and poppet valve 161 advances toward the valve seat 150, but the retainer 164 is in contact with the step 161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1a. At this time, a step 161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closing part 161a and the valve seat 15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ut 0.1mm to 0.2mm).

리테이너(164)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밸브 하우징(120)의 돌출부(124)와 제2 스프링(163)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스프링(163)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tainer 164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124 of the valve housing 120 and the second spring 163,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second spring 163.

구체적으로, 리테이너(164)는 외경이 포펫 챔버(121b) 상측 내주면과 대응되고 내경이 돌출부(124) 측 내주면과 대응되는 링 부재와, 링 부재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재를 포함하며, 돌기부재의 끝단은 포펫 밸브(161)의 단차(161d)에 걸림 지지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tainer 164 has a ring member whose outer diameter corresponds 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ppet chamber 121b and the inner diameter correspond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4 sid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to the inner side of the ring member at regular intervals. A member may be included, and an end of the protrud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extend and be supported by the step 161d of the poppet valve 161.

다시 말해, 포펫 밸브(161)가 전진하여 단차(161d)가 리테이너(164)에 접촉되면 포펫 밸브(161)와 밸브 시트(150)가 일정 거리를 유지한다. 나아가, 포펫 밸브(161)가 더 전진하면 포펫 밸브(161)의 단차(161d)에 리테이너(164)가 걸림 지지된 상태로 포펫 밸브(161)와 함께 밸브 시트(150) 측으로 전진하며, 리테이너(164)는 돌출부(124)로부터 이격되어 제2 스프링(163)을 지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and the step 161d contacts the retainer 164, the poppet valve 161 and the valve seat 150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when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further, the retainer 164 is engaged with the poppet valve 161 in the step 161d of the poppet valve 161 and advances toward the valve seat 150 together with the poppet valve 161, and the retainer ( The 16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124 to support the second spring 163.

솔레노이드(165)는 포펫 밸브(161)에 연결되어 포펫 밸브(161)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165)는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로드를 진퇴시키고, 인가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로드 및 로드에 연결된 포펫 밸브(161)의 전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값에 따라 포펫 밸브(161)를 제어할 수 있다.The solenoid 165 may be connected to the poppet valve 161 to move the poppet valve 161 forward or backward. Specifically, the solenoid 165 advances and retreats the load by electromagnetic force when a current is applied, and the degree of advancement of the rod and the poppet valve 161 connected to the ro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pplied current, a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poppet valve 161 can be controlled.

이 때, 솔레노이드(165)의 전자기력은 소프트 모드와 하드 모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프트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의 전자기력은 제1 스프링(162)의 탄성력(압축하중)과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고, 하드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의 전자기력은 제1 스프링(162)의 탄성력과 제2 스프링(163)의 탄성력의 합력과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165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oft mode and the hard mode. Specifically, in the soft mode,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165 may be controlled equal to the elastic force (compressive load) of the first spring 162, and in the hard mode,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165 is It may be controlled equal to the resultant force of the elastic forc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163.

바이패스 유로(123)는 밸브 하우징(120)의 최하단에 원주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홀을 통해 마련되어 포펫 챔버(121b)와 쇽업소버를 연통시킬 수 있다.The bypass flow path 123 may be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flow path hol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lowermost end of the valve housing 120 to communicate the poppet chamber 121b and the shock absorber.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소프트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하드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페일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Figure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oft mo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hard mo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fail mod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소프트 모드 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in the soft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는 소프트 모드(Soft mode) 시 포트를 통해 파일럿 챔버(121a)로 작동 유체가 유입된다. 4,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working fluid flows into the pilot chamber 121a through a port in a soft mode.

이 때, 소프트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에는 저전류(약 0.3A ~ 0.5A)가 인가되어 포펫 밸브(161)가 로드와 함께 일정 거리만큼 밸브 시트(150) 측으로 전진한 상태가 유지된다.At this time, in the soft mode, a low current (about 0.3A ~ 0.5A)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so that the poppet valve 161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toward the valve seat 1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gether with the rod.

따라서, 파일럿 챔버(121a)로 유입된 작동 유체의 일부는 메인 유로(122)를 통해 밸브 하우징(120) 외측으로 유동하고, 작동 유체의 나머지 일부는 밸브 시트(150)에 형성된 연결유로(151)를 통해 포펫 챔버(121b)로 유동한다.Accordingly, a part of the work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pilot chamber 121a flows out of the valve housing 120 through the main flow path 122,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working fluid flows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151 formed in the valve seat 150 Flow through the poppet chamber (121b).

구체적으로, 포펫 밸브(161)는 개폐부(161a)에 형성된 단차(161d)가 리테이너(164)에 접촉할 정도만큼만 전진하고, 개폐부(161a)의 최상단과 밸브 시트(150)의 거리는 일정 거리(약 0.1mm ~ 0.2mm)만큼 유지된다. 따라서, 밸브 시트(150)와 포펫 밸브(161) 사이의 공간은 오리피스(Orifice) 역할을 하고, 작동유체는 연결유로(151)를 통해 파일럿 챔버(121a)로부터 포펫 챔버(121b)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연결유로(151)를 통과한 유체는 보조 유로(161e) 및 바이패스 유로(123)를 통해 밸브 하우징(120)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only to the extent that the step 161d formed in the opening/closing part 161a contacts the retainer 16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end of the opening/closing part 161a and the valve seat 150 is a certain distance (about 0.1mm ~ 0.2mm). Therefore, the space between the valve seat 150 and the poppet valve 161 serves as an orifice, and the working fluid is movable from the pilot chamber 121a to the poppet chamber 121b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51. It is provided, and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51 may flow out of the valve housing 120 through the auxiliary passage 161e and the bypass passage 123.

소프트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의 전자기력은 제1 스프링(162)의 탄성력과 동일하게 제어되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 내부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낮은 감쇠력을 구현하는 상태가 된다.In the soft mode,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165 is controlled equal to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162, and the pressure inside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may be maintained at a relatively low state. That is, a relatively low damping force is realized.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하드 모드 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in the hard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는 하드 모드(Hard mode) 시 포트를 통해 파일럿 챔버(121a)로 작동 유체가 유입된다. 5,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working fluid flows into the pilot chamber 121a through a port in a hard mode.

이 때, 하드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에는 고전류(약 1.6A ~ 1.8A)가 인가되어 포펫 밸브(161)가 로드와 함께 밸브 시트(150) 측으로 밀착한 상태가 유지된다.At this time, in the hard mode, a high current (about 1.6A ~ 1.8A)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so that the poppet valve 161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rod toward the valve seat 150.

따라서, 파일럿 챔버(121a)로 유입된 대부분의 작동 유체는 메인 유로(122)를 통해 밸브 하우징(120) 외측으로 유동하고, 나머지 작동 유체는 밸브 시트(150)에 형성된 연결유로(151)를 통해 포펫 챔버(121b)로 유동한다.Therefore, most of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pilot chamber 121a flows out of the valve housing 120 through the main flow path 122, and the remaining working fluid is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151 formed in the valve seat 150. It flows into the poppet chamber 121b.

구체적으로, 포펫 밸브(161)는 개폐부(161a)에 형성된 단차(161d)가 리테이너(164)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전진하고, 제1 스프링(162)과 제2 스프링(163)이 압축되면서 개폐부(161a)의 최상단과 밸브 시트(150)는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작동 유체는 메인 유로(122)를 통해 밸브 하우징(120) 외측으로 유동하고, 나머지 일부 작동 유체만이 연결유로(151)를 통과하여 보조 유로(161e) 및 바이패스 유로(123)를 통해 밸브 하우징(120) 외측으로 유동한다.Specifically,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in a state in which the step 161d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1a is caught by the retainer 164, and the first spring 162 and the second spring 163 are compressed, The uppermost end of 161a and the valve seat 150 are kept in contact. Therefore, most of the working fluid flows out of the valve housing 120 through the main flow path 122, and only some of the remaining working fluids pass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151 to the auxiliary flow path 161e and the bypass flow path 123. It flows outward through the valve housing 120.

하드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의 전자기력은 제1 스프링(162)의 탄성력과 제2 스프링(163)의 탄성력의 합력과 동일하게 제어되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165)에 인가되는 전류가 높아질수록 포펫 밸브(161)가 밸브 시트(150) 측으로 전진하며, 포펫 밸브(161)와 밸브 시트(150)가 밀착되는 힘이 강해지고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즉, 상대적으로 높은 감쇠력을 구현하는 상태가 된다.In the hard mode,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165 is controlled equal to the resultant forc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162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163, and the pressur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is relatively high.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as the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165 increases, the poppet valve 161 advances toward the valve seat 150, and the force that the poppet valve 161 and the valve seat 15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creases,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The internal pressure rises. That is, a relatively high damping force is realized.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페일 모드 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in the fail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는 페일 모드(Fail mode) 시 포트를 통해 파일럿 챔버(121a)로 작동 유체가 유입된다. 6,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working fluid flows into the pilot chamber 121a through a port in a fail mode.

이 때, 페일 모드 시 솔레노이드(165)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고, 포펫 밸브(161)가 제1 스프링(162)에 의해 솔레노이드(165)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At this time, in the fail mode,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and the poppet valve 161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solenoid 165 by the first spring 162 to remai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따라서, 파일럿 챔버(121a)로 유입된 작동 유체의 많은 부분은 메인 유로(122)를 통해 밸브 하우징(120) 외측으로 유동하고, 작동 유체의 나머지는 밸브 시트(150)에 형성된 연결유로(151)를 통해 포펫 챔버(121b)로 유동한다.Accordingly, a large portion of the work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pilot chamber 121a flows out of the valve housing 120 through the main flow path 122, and the rest of the working fluid flows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151 formed in the valve seat 150. Flow through the poppet chamber (121b).

구체적으로, 포펫 밸브(161)는 스토퍼(161c)에 의해 포펫 몸체부(161b)가 솔레노이드(165) 측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스토퍼(161c)에 마련된 슬릿(미도시)을 통해 포펫 챔버(121b)와 바이패스 유로(123)가 연통 가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연결유로(151)를 통과한 작동 유체는 포펫 챔버(121b)에서 보조 유로(161e) 및 바이패스 유로(123)를 통과하여 밸브 하우징(120)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ppet valve 161 is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poppet body portion 161b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noid 165 side by the stopper 161c, so that a slit (not shown) provided in the stopper 161c is formed. Through this, the poppet chamber 121b and the bypass flow path 123 are maintained in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51 may flow out of the valve housing 120 through the auxiliary passage 161e and the bypass passage 123 in the poppet chamber 121b.

페일 모드 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 내부의 압력은 소프트 모드보다 높고, 하드 모드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중간 정도의 감쇠력을 구현하는 상태가 된다.In the fail mode, the pressure inside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may be higher than in the soft mode and may be maintained in a lower state than in the hard mode. That is, even when no current is applied, it is in a state of implementing a moderate damping force.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전류 변화에 따른 압력변화를 설명한다.Next, a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a current change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전류 변화에 따른 압력변화 그래프이다.7 is a graph of a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a current chang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는 솔레노이드(165)에 저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포펫 밸브(161)와 밸브 시트(150) 사이 공간이 오리피스 특성(오리피스 구간)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량의 전류의 변화에도 압력이 크게 변하지 않아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고, 행정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노면에서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between the poppet valve 161 and the valve seat 150 is orifice characteristic. (Orifice section) can be implemented. Accordingly, even with a small change in current, the pressure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so that the damping force does not change rapidly, and riding comfort may be improved on a road surface where stroke changes frequently occur.

반면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는 솔레노이드(165)에 고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포펫 밸브(161)와 밸브 시트(150)가 밀착되면 전류 변화에 따라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압력제어구간). 이에 따라, 전류 변화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시킬 수 있고, 초기 제어량이 높아 차량의 제어 성능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high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165,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can adjust the pressur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current change when the poppet valve 161 and the valve seat 150 are in close contact. Yes (pressure control section). Accordingly, the damping forc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urrent change, and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vehicle is improved with a high initial control amount.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100)는 소프트 모드에서 저전류를 적용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하드 모드에서 고전류를 적용하여 차량의 제어 성능을 향상시키며,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페일 모드에서 감쇠력을 소프트 모드의 감쇠력보다 높게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Above,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power consumption by applying a low current in the soft mode and improves the ride comfort of the vehicle, and applies a high current in the hard mode to improve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vehicle. In addition, by generating a damping force higher than that of the soft mode in the fail mode in which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 실린더 11: 외통
12: 내통 13: 피스톤 로드
14: 피스톤 밸브 15: 리저버 챔버
16: 세퍼레이터 튜브 100: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110: 포트 120: 밸브 하우징
121: 중공 121a: 파일럿 챔버
121b: 포펫 챔버 122: 메인 유로
123: 바이패스 유로 124: 돌출부
130: 바디 밸브부 131: 밸브 몸체
132: 연통홀 133: 밸브 디스크
135: 밸브 마운트 140: 메인 밸브부
141: 메인 시트 143: 메인 밸브
145: 메인 스프링 150: 밸브 시트
151: 연결유로 160: 소프트 밸브부
161: 포펫 밸브 161a: 개폐부
161b: 포펫 몸체부 161c: 스토퍼
161d: 단차 161e: 보조 유로
162: 제1 스프링 163: 제2 스프링
164: 리테이너 165: 솔레노이드
10: cylinder 11: external cylinder
12: inner cylinder 13: piston rod
14: piston valve 15: reservoir chamber
16: separator tube 100: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110: port 120: valve housing
121: hollow 121a: pilot chamber
121b: poppet chamber 122: main flow path
123: bypass flow path 124: protrusion
130: body valve part 131: valve body
132: communication hole 133: valve disk
135: valve mount 140: main valve part
141: main seat 143: main valve
145: main spring 150: valve seat
151: connection flow path 160: soft valve part
161: poppet valve 161a: opening and closing part
161b: poppet body 161c: stopper
161d: step 161e: auxiliary flow path
162: first spring 163: second spring
164: retainer 165: solenoid

Claims (12)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설치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에 포트를 통해 연통 마련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중공을 파일럿 챔버와 포펫 챔버로 구획하되, 상기 파일럿 챔버와 상기 포펫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
상기 중공의 상기 파일럿 챔버 측에 마련되고, 상기 파일럿 챔버와 상기 쇽업소버를 연통시키는 메인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메인 밸브부; 및
상기 중공의 상기 포펫 챔버 측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소프트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밸브부는
상기 밸브 시트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펫 밸브와, 상기 포펫 밸브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밸브 시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포펫 밸브에 연결되어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stalled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 valve housing having a hollow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hock absorber through a port;
A valve seat that divides the hollow into a pilot chamber and a poppet chamber, and has a connectio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and the poppet chamber;
A main valve part provided on the hollow side of the pilot chamber and controlling a flow rate passing through a main flow path communicating the pilot chamber and the shock absorber; And
Including; is provided on the hollow of the poppet chamber side, the soft valve portion for adjusting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The soft valve part
A poppet valve that advances or retreats toward the valve seat to adjust a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 first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ppet valve, a second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seat, and the poppet valv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omprising a solenoid connected to advance and retr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포펫 챔버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valve housing is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omprising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to the poppet chamber to support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밸브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스프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soft valve part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retainer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spring to support the second sp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는 포펫 몸체부와,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시트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걸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poppet valv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omprising a poppet body connected to the solenoid and an opening/closing part which penetrates the retainer and extends toward the valve seat and has a stepped radially inwardly to support the retai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포펫 몸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포펫 챔버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유로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The poppet valv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auxiliary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poppet body and communicating the poppet chamber and the bypass flow pa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포펫 몸체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5,
The poppet valv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one stopper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poppe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부는
상기 밸브 하우징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메인 시트와, 상기 파일럿 챔버에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메인 시트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개폐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를 상기 메인 시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메인 스프링을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valve part
A ring-shaped main seat fixed to the valve housing, a main valve provided to be advanced or retracted in the pilot chamber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contacting the main seat, and a main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main valve toward the main seat.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중공에 마련되되 상기 포트와 상기 메인 밸브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포트와 연통되며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바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body valve part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valve housing and provided between the port and the main valve pa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port to generate a damping for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밸브부는
상기 포트와 상기 파일럿 챔버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을 구비하는 밸브 몸체와, 상기 연통홀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 디스크와, 상기 밸브 몸체 및 상기 밸브 디스크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밸브 디스크를 상기 밸브 몸체에 고정시키는 밸브 마운트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8,
The body valve part
A valve body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port and the pilot chamber, at least one valve disk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disk are penetrated to the valve body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omprising a valve mount fixing the disk to the valve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저전류 인가 시, 상기 포펫 밸브는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개폐부의 단차가 접촉하는 정도까지 전진하여,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밸브 시트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the poppet valve advances to a level where a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retainer and the opening/closing part contacts, so that the opening/closing part and the valve seat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고전류 인가 시, 상기 포펫 밸브는 전진하여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When a high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the poppet valve advances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valve seat.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마련되는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provid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KR1020190077275A 2019-06-27 2019-06-27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KR202100013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275A KR20210001329A (en) 2019-06-27 2019-06-27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275A KR20210001329A (en) 2019-06-27 2019-06-27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29A true KR20210001329A (en) 2021-01-06

Family

ID=7412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275A KR20210001329A (en) 2019-06-27 2019-06-27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32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962A (en) 1996-06-21 1998-03-30 슈토베 슈테판·크람프 노르베르트 Damping force variable buffer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962A (en) 1996-06-21 1998-03-30 슈토베 슈테판·크람프 노르베르트 Damping force variable buffer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471B2 (en) Piston assembly with open bleed
EP1820997B1 (en) Damping force control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the same
US9206876B2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shock absorber
US7757826B2 (en) Damping force adjustable fluid pressure shock absorber
US7273138B2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same
US7770983B2 (en) Damping force control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the same
KR101068992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KR101673106B1 (en) Damping valve
US20160229254A1 (en) Shock absorber
US9776468B2 (en) Shock absorber
CN111630295B (en) Damping valve and buffer
KR101672155B1 (en) Damping valve
KR20180038053A (en) Damping valve and shock absorber
KR20210048360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CN113613915A (en) Damping force adjusting type buffer
JP5559576B2 (en) Damping valve
KR20210001329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it
KR102152017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KR102435308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1723613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KR20220015569A (en)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KR102528338B1 (en) Variable damping force valve assembly
KR20200134529A (en)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US20190128360A1 (en) Damping force-adjusting valve and shock absorber
KR102424992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