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077A - Beverage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Beverage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077A
KR20210135077A KR1020200053293A KR20200053293A KR20210135077A KR 20210135077 A KR20210135077 A KR 20210135077A KR 1020200053293 A KR1020200053293 A KR 1020200053293A KR 20200053293 A KR20200053293 A KR 20200053293A KR 20210135077 A KR20210135077 A KR 20210135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floor
wall
path contro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9067B1 (en
Inventor
김태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Priority to KR102020005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67B1/en
Publication of KR2021013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1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cold condition, e.g. ice and ice crea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vending machine capable of making a customer prefer to purchase beverage from the vending machine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a cup containing each selected beverage by the customer ordered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comprises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ice cubes from the ice making unit through an upper side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comprises: a floor having an outlet on a lower side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a wall, rising from the floor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and cut into an opening at one edge of the floor; an ice path opene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floor; and an ice discharge switch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wall.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is obliquely inclined toward a beverage cup from below the ice making unit.

Description

음료 자판기{BEVERAGE VENDING MACHINE}Drink vending machine {BEVERAG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제빙기로부터 만들어지는 얼음 조각을 음료 담긴 컵에 공급받아 음료 주문 고객에게 차가운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vending machine that provides cold beverages to customers ordering beverages by receiving ice cubes made from an ice maker in a cup containing beverages.

일반적으로, 음료 자판기는 판매원 없이도 음료 주문 고객에게 선택된 음료를 제공하고, 판매 시간과 설치 장소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서 음료 주문 고객에게 신속하게 선택된 음료를 제공하므로, 접근성의 편리함과 사용성의 간편함으로 인해 공공 건물 또는 일반 건물의 휴게실에 설치되거나 위락시설 또는 근린생활시설에도 설치된다.In general, beverage vending machines provide selected beverages to customers ordering beverages without a salesperson and quickly provide selected beverages to customers ordering beverages without significant restrictions on sales time and installation location. It is installed in common buildings or rest rooms of general buildings, or it is also installed in recreational facilities or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구체적으로는, 상기 음료 자판기는 돈 투입구에 음료 주문 고객의 동전, 지폐 또는 카드의 투입시 또는 돈 투입구의 사용 없이도 음료 주문 고객의 모바일 결재 인식를 통해 음료 주문 고객에게 선택된 음료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음료는 음료 자판기에서 컵에 일정량 담겨져 음료 주문 고객의 선택된 온도 기호에 맞게 차갑게 또는 뜨겁게 또는 미지근하게 제공된다.Specifically,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beverage ordering customer a selected beverage through the mobile payment recognition of the beverage ordering customer when the customer's coin, banknote or card is inserted into the money slot or without using the money slot. Here, the selected beverage is placed in a cup in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and provided cold, hot, or lukewarm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preference of the customer ordering the beverage.

최근에, 상기 음료 자판기에서 차가운 음료의 제조하기 위해, 상기 음료 자판기는 제빙기를 구비하여 제빙기에서 얼음을 만들어 제빙기에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저장하고 제빙기의 일부 얼음 조각을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토출하여 차가운 음료를 제조한다. 상기 제빙기는 복수의 얼음 조각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지 않으며 얼음 조각들을 서로 달라붙지 못하게 하는데 기술적 관심을 두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manufacture a cold beverage i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n ice machine to make ice in the ice machine, store a plurality of ice cubes in the ice machine, and discharge some ice pieces of the ice machine to a cup containing the selected beverage. Make cold drinks. The ice maker does not form a plurality of ice cubes in a uniform shape and has a technical interest in preventing the ice cubes from sticking to each other.

그러나, 상기 제빙기가 음료 자판기에서 일정 시간에 따라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얼음을 토출하는 때, 상기 제빙기는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일정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상기 제빙기는 일정 시간에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얼음을 토출하는 동안 얼음 조각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얼음 조각의 토출량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이다.However, when the ice maker dispenses ice from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to the cup containing the selected bever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the ice maker cannot provide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the cup containing the selected beverage. This is because the ice maker does not limit the discharge amount of ice cubes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ice cubes while discharging ice to the cup containing the selected beverage at a predetermined time.

이를 통해, 상기 음료 자판기는 음료 주문 고객마다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일정하지 않은 양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서 음료 이용 경험을 불편하게 느끼게 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자판기로부터 음료 구매를 꺼리게 한다. Through this,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provides an inconsistent amount of ice cubes to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selected for each beverage ordering customer, thereby making the beverage ordering customer feel uncomfortable and making the beverage ordering customer reluctant to purchase a beverage from the vending machine. .

한편, 상기 음료 자판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442호에도 종래기술로써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is similarly disclosed as a prior art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8244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442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82442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 주문 고객마다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일정한 양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음료 이용 경험을 양호하게 느끼게 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자판기로부터 음료 구매를 선호하게 하는데 적합한 음료 자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certain amount of ice cubes to a cup containing a beverage selected for each drink order customer to make the drink order customer feel good, so that the drink order customer can feel a good drink experie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vending machine suitable for preferential purchase of beverages.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도록,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하부측에 배출구를 적어도 일부분에 가지는 바닥;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 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상기 벽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와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은 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 아래에 버리거나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내부에 적치(積峙)시키고,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 중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음료 컵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plurality of ice cubes from the ice making unit through an upper side and provide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a floor having a discharge port at least in part on a lower side of the emission control unit; the wall rising from the floor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and cut into an opening at one edge of the floor; an ice path opener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of the floor; and an ice discharging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wall, inclined obliquely toward the beverage cup from below the ice making unit, and when the ice path opener and the ice dispensing switch are closed, the plurality of After receiving the ice cubes from the ice path switch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he first ice cube group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ice cubes is disposed of under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r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ice discharging switch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to provide a second group of ice cubes corresponding to the remainder of the plurality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바닥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branch) 목형상으로 분기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을 수용하는 목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The ice path opener includes an ice path control door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floor and branching from the outlet of the floo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loor in a two-branch neck shape, the floor comprising: It may have a neck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 around the outlet of the bottom.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서 상기 두 개의 가지 목형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받침대 그리고 개별 가지 목형상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일 측부에서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타 측부에서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2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상기 제빙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바닥과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회동시킬 수 있다.The ice path opener may include: a first pedestal positioned between the two branch neck shapes in the ice path control door, and second and third pedestal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s; an ice path control motor positioned on the first pedestal; a first hinge portion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t one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and a second hinge portion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t the other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wherein the ice path control motor is, when viewed from the ice making unit, the lower portion of the floor The ice path control door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loor, the first hinge part, and the second hinge part from the side.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바닥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 목형상으로 분기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을 수용하는 목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The ice path opener includes an ice path control door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floor and branching from the outlet of the floor toward a lower side of the floor in a two-branched neck shape, wherein the floor includes: It may have a neck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 around the outlet.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서 상기 두 개의 가지 목형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받침대 그리고 개별 가지 목형상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일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타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양 단부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회전 방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상기 제빙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을 관통하도록 상기 바닥과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회동시킬 수 있다.The ice path opener may include: a first pedestal positioned between the two branch neck shapes in the ice path control door, and second and third pedestal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s; an ice path control motor positioned on the first pedestal; a first hinge portion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t one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a second hinge portion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t the other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and anti-rotation pieces positioned under both ends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and fixed to the floor, wherein the ice path control motor includes: The ice path control door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loor, the first hinge part, and the second hinge part to penetrate through the ice.

제1 힌지부 또는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힌지들; 및 상기 고정 힌지들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양축 모터이며 개별 모터축에서 고정 힌지를 지나 상기 회전 힌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hinge part or the second hinge part may include fixed hinges fixed to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respectively; and a rotating hinge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hinges, wherein the ice path control motor is a biaxial motor and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rotating hinge past the fixed hinge at respective motor shafts.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은, 상기 회전 힌지에 고정되어,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구동시, 상기 회전 힌지와 함께 회동될 수 있다.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 may be fixed to the rotation hinge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hinge when the ice path control motor is driv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도록,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상기 바닥; 및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 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상기 벽체; 상기 바닥 상에 위치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형성되는 얼음 경로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개방 상태와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후방에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은 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를 상기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바닥 상에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나누어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전방에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그리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상기 후방에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위치시키고,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를 상기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음료 컵에 제공함과 함께, 상기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상기 후방에 적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ice cubes from the ice making unit through an upper side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comprising: the bottom position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and the wall which rises from the floor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and is cut into an opening at one edge of the floor. an ice path opener positioned on the floor to open and close an ice path formed along the wall; and an ice discharging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wall, the ice path is obliquely inclined toward the beverage cup from below the ice making unit, and the ice path is in an open state and in a closed state of the ice discharging switch. After receiving the plurality of ice cubes from the ice making unit at the rear of the switchgear, the ice path switch is controll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condition to divide the plurality of ice pieces on the floor and dispense them in front of the ice path switch. 1 drawing an ice cube group, positioning a second ice cube group at the rear of the ice path opener, and controlling the ice ejection switch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o provide the first ice cube group to the beverage cup; Together, the second group of ice cubes is placed on the rear of the ice path switch.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 상에서 상기 벽체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 및 상기 벽체의 개별 측벽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개별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이동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이더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ice path opener may include: an ice path control door positioned between opposite sidewalls of the wall on the floor; and movement guide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on the individual side walls of the wall and projecting from the individual side walls, wherein the movement guider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with respect to the wall and the floor. can do.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과 상기 개별 측벽 사이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의 개방 문을 지나는 레크 기어; 상기 바닥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크 기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크 기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위치 고정 레일;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레크 기어와 기어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크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 모터의 구동 동안, 상기 바닥의 상기 개방 문을 관통하면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The ice path opener may include: a rack gear fixed to the ice path control door between the ice path control door and the individual side walls and passing through the opening door of the floor; a position fixing rail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ack gear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ack gear, and fixed to the floor; a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rack gear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and a pinion gear motor fixed to the floor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oor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pinion gear, wherein the rack gear is, during driving of the pinion gear motor, the opening door of the floor The ice path control door can be moved up and down while penetrating.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상기 벽체에서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측벽에 인접하는 얼음 경로 통제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는, 상기 개별 측벽에 대해 회전하는 복수의 날개일 수 있다.The ice path opener includes an ice path control tool positioned between opposite sidewalls of the wall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and adjacent to the individual sidewalls, wherein the ice path control devic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sidewalls. It may be a plurality of wings.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벽체 상에서 일측 및 타측 벽체에 고정되는 서포팅 힌지들; 상기 서포팅 힌지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에 고정되는 로테이션 힌지; 및 상기 서포팅 힌지들 중 하나를 지나 상기 로테이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는, 상기 날개 회전 모터가 구동되는 때, 상기 복수의 날개에서 개별 날개를 상기 바닥에 반복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The ice path opener may include: supporting hinge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ll; a rotation hing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ing hinges and fixed to the ice path control tool; and a blade rotation moto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hinge past one of the supporting hinges, wherein the ice path control tool is configured to move individual blades from the plurality of blades when the blade rotation motor is driven. The floor may be repeatedly contacted.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는,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 상에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힌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중 하나를 지나 상기 중앙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회전 모터; 및 상기 중앙 힌지에 고정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가림문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문은, 상기 힌지 회전 모터가 구동되는 때, 상기 중앙 힌지와 함께 상기 벽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The ice discharging switch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opening of the wall; a central hing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a hinge rotation motor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hinge p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and a garimmun fixed to the central hinge to cover the opening of the wall, wherein the garimmun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wall together with the central hinge when the hinge rotation motor is driven.

상기 가림문은,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가 사각 형상의 박스(box)를 이루는 때,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어 상기 개구부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hielding door, when the floor and the wall form a rectangular box, cover the opening of the wall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opening, be formed of a rectangle or an inverted triangle, or the wall An area between the and the bottom may be opened to have a chamfer shape in the quadrangle.

상기 가림문은,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가 사각 형상의 박스를 이루는 때,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어 상기 개구부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벽체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shielding door, when the floor and the wall form a rectangular box, cover the opening of the wall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opening, or is made of a rectangle or an inverted triangle, or the wall and the floor It may be positioned between opposite sidewalls of the wall while having a chamfer shape in the quadrangle by opening a region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는, A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빙유닛 아래에 위치되어 제빙유닛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 얼음 토출 개폐기와 얼음 경로 개폐기를 순차적으로 배치시켜서,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positioned below the ice making unit and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ice making unit, and sequentially disposing an ice discharge switchgear and an ice path switchgear o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받는 동안 얼음 토출 개폐기에 일부 얼음 조각을 적치(積峙)시키면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통해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머지 얼음 조각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므로, While receiving a plurality of ice cubes from the ice making unit, some ice cubes are placed on the ice discharge switchgear,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remaining ice cubes is restri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through the ice path switchgear.

음료 주문 고객마다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일정한 양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음료 이용 경험을 양호하게 느끼게 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자판기로부터 음료 구매를 선호하게 해준다.For each drink order customer, a certain amount of ice cubes is provided in a cup containing the selected drink, so that the drink orderer feels good about the drink experience, and the drink order customer prefers to purchase a drink from the ven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에서 제빙유닛과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토출 개폐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음료 자판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n ice making unit and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in a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ice path switch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f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ice path switch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f FIG. 4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ce path switch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f FIG. 6 .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ce path switch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f FIG. 8 .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ce discharging switch in the ice discharging control unit of FIG. 2 .
11 to 13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beverag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t forth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as claim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various aspects, and the length,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ena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에서 제빙유닛과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n ice making unit and an ice discharging control unit in a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discharg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FIG.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ice path switch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f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 자판기(도 1 또는 도 11의 260)는,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선택 음료 반출부(도 11의 10)와 선택 음료 추출부(도 11의 210)와 종류별 음료 선택부(도 11의 250)를 포함하면서,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 제빙유닛(도 1 또는 도 11의 30)과 얼음 배출 제어유닛(도 1 또는 도 2 또는 도 11의 130)과 음료 배출유닛(도 11의 200)을 포함한다.1 to 3,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260 in FIG. 1 or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election beverage discharging part (10 in FIG. 11) and the selection beverage extraction unit ( 210 in FIG. 11 ) and a beverage selection unit by type ( 250 in FIG. 11 ), an ice making unit ( 30 in FIG. 1 or 11 ) and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 FIG. 1 or FIG. 2 or 130 in FIG. 11) and a beverage discharging unit (200 in FIG. 11).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빙유닛(30)은,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84)을 만든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제공받아 음료 컵(도 11의 270)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한다. Briefly described, the ice making unit 30 makes a plurality of ice cubes ( 284 in FIG. 1 ) in the selective beverage extraction unit 210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from the ice making unit 30 through the upper side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 270 in FIG. 11 ).

이를 위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도 2 및 도 3에서, 얼음 배출 제어 유닛(130)의 하부측에 배출구(42)를 적어도 일부분에 가지는 바닥(44); 바닥(44)의 둘레를 따라 바닥(44)으로부터 솟아 올라 바닥(44)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벽체(41); 바닥(44)의 배출구(42)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100); 및 벽체(4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includes, in FIGS. 2 and 3 , a bottom 44 having a discharge port 42 at least in part on the lower side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a wall 41 that rises from the floor 44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44 and is cut into an opening at one edge of the floor 44; an ice path opener 100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42 of the floor 44; and an ice discharge switch 12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wall 41 .

여기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도 1,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 아래로부터 음료 컵(270)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얼음 경로 개폐기(100)와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폐쇄 상태에서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제공받은 후, 얼음 경로 개폐기(10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복수의 얼음 조각(284)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도 13의 286)을 얼음 배출 제어 유닛(130) 아래에 버린다.Here, as shown in FIGS. 1 and 11 to 13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is obliquely inclined toward the beverage cup 270 from below the ice making unit 30, and the ice path opener ( After receiving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from the ice making unit 30 in the closed state of the 100 ) and the ice discharging switch 120 , the ice path switch 100 is controll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o control the plurality of ice cube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he first ice cube group ( 286 in FIG. 13 ) corresponding to a part of 284 is discarded under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상기 제1 얼음 조각 그룹(286)은 음료 자판기(260)의 내부에서 순환 싸이클(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재사용된다. 또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복수의 얼음 조각(284) 중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도 13의 288)을 음료 컵(270)에 제공한다.The first ice cube group 286 is reused through a circulation cycle (not shown) inside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26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1 and 13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ice discharge switch 120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so that the remaining pieces of the ice A second group of ice cubes (288 in FIG. 13 ) is provided to the beverage cup 270 .

상기 음료 배출유닛(200)은 복수의 음료를 구비하여 음료 주문 고객의 선택된 음료를 컵(270)과 함께 선택 음료 반출부(10)에 노출시킨다. 즉, 상기 음료 배출유닛(200)은,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으로부터 선택 음료 반출부(10)의 음료 컵(270)을 향해 제2 얼음 조각 그룹(288)의 배출 전(前) 또는 후(後)에 선택 음료를 배출시킨다.The beverage discharg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verages to expose the selected beverage of the beverage ordering customer to the selected beverage discharging unit 10 together with the cup 270 . That is,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200 moves the second ice cube group 288 from the ice dispensing control unit 130 toward the beverage cup 270 of the selected beverage discharging unit 10 in the selected beverage dispensing unit 210 . Dispense the beverage of choice before or after dispensing.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통제문(64)과 제1 내지 제3 받침대(73, 76, 79)와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와 제1 및 제2 힌지부(96, 98)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서 바닥(44)의 배출구(42)에 위치되어 바닥(44)의 배출구(42)로부터 바닥(44)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branch) 목형상(62)으로 분기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 the ice path switch 100 includes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 the first to third pedestals 73 , 76 , and 79 , and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and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96, 98). As shown in FIG. 3 ,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is located at the outlet 42 of the floor 44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from the outlet 42 of the floor 44 to the floor ( 44) is branch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two branch neck shape (62).

상기 바닥(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44)의 배출구(42) 주변에서 개별 가지 목형상(62)을 수용하는 목 수용홈(43)을 갖는다. 상기 제1 받침대(7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통제문(64)에서 두 개의 가지 목형상(6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76, 7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가지 목형상(62)의 양측부에 위치된다.The bottom 44 has, as shown in FIG. 3 , a neck receiving groove 43 for accommodating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s 62 around the outlet 42 of the bottom 44 . The first pedestal 73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branch neck shapes 62 in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76 and 79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dividual branch neck 62, as shown in FIG. 3 .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제1 받침대(73)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힌지부(96)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일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76, 79)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2 힌지부(98)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타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76, 79) 상에 위치된다.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is located on the first pedestal 73 . The first hinge portion 96 is locat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76 , 79 on one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 The second hinge portion 98 is locat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76 , 79 on the other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

상기 제1 힌지부(96) 또는 제2 힌지부(98)는, 제2 및 제3 받침대(76, 79)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힌지(84)들, 및 고정 힌지(84)들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힌지(88)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양축 모터이며 개별 모터축(92)에서 고정 힌지(84)를 지나 회전 힌지(88)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first hinge portion 96 or the second hinge portion 98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hinges 84 fixed to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76 and 79 respectively, and the fixing hinges 84 . and a rotating hinge 88 that is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is a biaxial motor and is rotatably coupled to a rotating hinge 88 via a fixed hinge 84 on a separate motor shaft 92 .

또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62)은, 회전 힌지(88)에 고정되어,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구동시, 회전 힌지(88)와 함께 도 2 또는 도 12와 같이 회동(R1)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제빙유닛(30)을 기준으로 볼 때, 바닥(44)의 하부측에서 바닥(44)과 제1 힌지부(96)와 제2 힌지부(98)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64)을 회동(R1)시킨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 62 is fixed to the rotation hinge 88, and when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is driven, i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hinge 88 as shown in FIG. 2 or FIG. 12 (R1). do. Accordingly,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has the bottom 44, the first hinge part 96, and the second hinge part 98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44 when viewed from the ice making unit 30 as a reference. ) to rotate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R1).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공급받는 때, 바닥(44)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64)의 바닥 하부측을 향한 기립 운동을 제어하여 얼음 토출 개폐기(120)에 적치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286)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controls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with respect to the floor 44 when receiving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from the ice making unit 30 to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The amount of the first ice cube group 286 stacked on the ice discharging switch 120 may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standing motion toward the bottom side.

여기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4)의 바닥 하부측으로부터 기립 운동은 바닥(44)을 통해 얼음 조각(288)을 쉽게 배출시키므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얼음 조각(284)의 이동을 방해한다. 한편,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120)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 중앙 힌지(112), 힌지 회전 모터(113)와 가림문(116)을 포함한다. Here, since the standing motion from the bottom lower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easily discharges the ice cubes 288 through the bottom 44 , the ice cubes 28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impede the movement of Meanwhile, the ice discharging switch 120 includes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111 , a central hinge 112 , a hinge rotation motor 113 , and a cover door 116 .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는, 벽체(41)의 개구부(51) 상에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벽체(41)에 각각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72)를 통해 일측 및 타측 벽체(41)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중앙 힌지(112)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 사이에 위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111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all 41 facing on the opening 51 of the wall 41 .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111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all 41 through a pedestal 72 as shown in FIG. 12 . The central hinge 11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111 .

상기 힌지 회전 모터(113)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 중 하나를 지나 중앙 힌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림문(116)은, 중앙 힌지(112)에 고정되어 벽체(41)의 개구부(55)를 덮는다. 상기 가림문(116)은, 힌지 회전 모터(113)가 구동되는 때, 중앙 힌지(112)와 함께 벽체(41)에 대해 회전(R2)한다.The hinge rotation motor 11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hinge 112 p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111 . The shielding door 116 is fixed to the central hinge 112 to cover the opening 55 of the wall 41 . The blind door 116 rotates (R2) with respect to the wall 41 together with the central hinge 112 when the hinge rotation motor 113 is driven.

상기 가림문(116)은, 바닥(44)과 벽체(41)가 사각 형상의 박스(box)를 이루는 때, 벽체(41)의 개구부(51)를 덮어 개구부(55)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림문(11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문(124 또는 128)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문(124)은 벽체(41)와 바닥(44)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hielding door 116 covers the opening 51 of the wall 41 and has a larger area than the opening 55 when the floor 44 and the wall 41 form a rectangular box. As shown in FIG. 2, it is made of a rectangle. The shielding gate 116 may be replaced with a shielding gate 124 or 128 as shown in FIG. 10 . That is, the shielding door 124 may have a rectangular chamfer shape by opening a region between the wall 41 and the floor 44 .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가림문(128)은,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림문(124 또는 128)은, 바닥(44)과 벽체(41)가 사각 형상의 박스를 이루는 때, 벽체(41)의 개구부(55)를 덮어 개구부(55)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벽체(41)와 바닥(44)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지면서, 벽체(41)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hielding door 128 may be formed of an inverted triangle. In addition, the shielding door 124 or 128 covers the opening 55 of the wall 41 when the floor 44 and the wall 41 form a rectangular box to form a smaller area than the opening 55 . To have a square shape or an inverted triangle shape, or by opening an area between the wall 41 and the floor 44 to have a chamfer shape in a square, it may be located between opposite sidewalls of the wall 41 .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ce path opener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f FIG. 4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과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의 얼음 경로 개폐기(105)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의 얼음 경로 개폐기(100)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05)는, 얼음 경로 통제문(68), 제1 내지 제3 받침대(73, 76, 79), 얼음 경로통제 모터(94), 제1 및 제2 힌지부(96, 98)와 회전 방지편(99)을 포함한다. 4 and 5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of FIGS. 2 and 3 , but is an ice path switch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 Reference numeral 105 h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ce path switch 100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More specifically, the ice path opener 105 includes the ice path control door 68, the first to third pedestals 73, 76, and 79,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and the first and second pedestals. It includes hinge portions 96 and 98 and an anti-rotation piece 99 .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에서 바닥(46)의 배출구(42)에 위치되어 바닥(46)의 배출구(42)로부터 바닥(46)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 목형상(66)으로 분기된다. 상기 바닥(46)은, 바닥(46)의 배출구(42) 주변에서 개별 가지 목형상(66)을 수용하는 목 수용홀(45)을 갖는다.The ice path control door 68 is located at the outlet 42 of the floor 46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as shown in FIG. 46) is branch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two branch neck shape (66). The bottom (46) has a neck receiving hole (45) for receiving individual branch necks (66) around the outlet (42) of the bottom (46).

상기 제1 받침대(73)는, 얼음 경로 통제문(68)에서 두 개의 가지 목형상(6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76, 79)는, 개별 가지 목형상(66)의 양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제1 받침대(73)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힌지부(96)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일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76, 79) 상에 위치된다. The first pedestal (73) is located between the two branch necks (66) in the ice path control door (68).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76, 79)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dividual branch neck (66).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is located on the first pedestal 73 . The first hinge portion 96 is locat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76 , 79 on one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

상기 제2 힌지부(98)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타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76, 79) 상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 방지편(99)은, 바닥(46)의 하부측에서 얼음 경로 통제문(68)의 양 단부 아래에 위치되어 바닥(46)에 고정된다.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제빙유닛(30)을 기준으로 볼 때, 바닥(46)을 관통하도록 바닥(46)과 제1 힌지부(96)와 제2 힌지부(98)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68)을 회동(R3)시킨다.The second hinge portion 98 is locat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76 , 79 on the other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 The anti-rotation piece 99 is located under both ends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68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46 and is fixed to the floor 46 .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when viewed with respect to the ice making unit 30 as a reference, applies to the bottom 46, the first hinge part 96, and the second hinge part 98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46. The ice path control door 68 is rotated (R3).

따라서,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에 제빙유닛(도 1의 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84)을 공급받는 때, 바닥(46)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68)의 바닥 상부측을 향한 기립 운동을 제어하여 얼음 토출 개폐기(120)에 적치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도 13의 288)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operates with respect to the floor 46 when receiving a plurality of ice cubes (284 in FIG. 1) from the ice making unit (30 in FIG. 1) to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The amount of the second ice cube group ( 288 in FIG. 13 ) stacked on the ice discharging switch 120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tanding motion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68 toward the bottom upper side.

여기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8)의 바닥 상부측을 향한 기립 운동은 바닥(46) 상에 얼음 조각(284)을 쉽게 적치시키므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얼음 조각(284)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를 통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은,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의 바닥(46)의 상부측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의 내부에, 예를 들면, 얼음 경로 통제문(68) 주변에 제1 얼음 조각 그룹(도면에 미도시)을 적치시킨다.Here, since the standing motion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68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loor easily deposits the ice cubes 284 on the bottom 46 , the ice cubes 28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 ) to prevent movement. Through this,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can be installed inside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at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46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for example, the ice path control door 68 ), place the first ice cube group (not shown in the drawing) around it.

한편,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8), 얼음 경로통제 모터(94), 제1 힌지부(96)와 제2 힌지부(98)의 결합 관계는,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4), 얼음 경로통제 모터(94), 제1 힌지부(96)와 제2 힌지부(98)의 결합 관계와 동일하다. Meanwhile,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ce path control door 68 ,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 and the first hinge part 96 and the second hinge part 98 is, in FIGS. 2 and 3 , the ice path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or 64 , the ice path control motor 94 , and the first hinge part 96 and the second hinge part 98 is the same.

또한,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1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를 대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discharge switch 12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5 may replace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of FIGS. 2 and 3 .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ce path switch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f FIG. 6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과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과 부분적으로 다른 구조를 갖는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빙유닛(도 1의 30)은, 선택 음료 추출부(도 11의 210)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84)을 만든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제공받아 음료 컵(도 11의 270)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한다. 6 and 7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6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of FIGS. 2 and 3 , but has a structure partially different from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has Briefly described, the ice making unit (30 in FIG. 1) makes a plurality of ice cubes (284 in FIG. 1) in the optional beverage extraction unit (210 in FIG. 11).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from the ice making unit 30 through the upper side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 270 in FIG. 11 ).

이를 위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도 6 및 도 7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바닥(48); 및 바닥(48)의 둘레를 따라 바닥(48)으로부터 솟아 올라 바닥(48)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벽체(41); 바닥(48) 상에 위치되어 벽체(48)를 따라 형성되는 얼음 경로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150); 및 벽체(4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60 includes, in FIGS. 6 and 7 , a floor 48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60 ; and a wall 41 that rises from the floor 48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48 and is cut into an opening at one edge of the floor 48; an ice path opener 150 positioned on the floor 48 to open and close an ice path formed along the wall 48; and an ice discharge switch 12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wall 41 .

여기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제빙유닛(30) 아래로부터 음료 컵(270)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개방 상태와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폐쇄 상태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후방에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제공받은 후, 얼음 경로 개폐기(150)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시켜 바닥(48) 상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나누어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전방에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그리고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후방에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위치시킨다.Here, the ice discharging control unit 160 is inclined obliquely from the bottom of the ice making unit 30 toward the beverage cup 270 , in an open state of the ice path opener 150 and a closed state of the ice discharging switch 120 . After receiving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from the ice making unit 30 at the rear of the ice path opener 150 in the The ice cubes 284 are divided to place the first group of ice cubes in front of the ice path opener 150 and the second group of ice cubes at the rear of the ice path opener 150 .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후방은, 제빙유닛(30)의 얼음 낙하 궤적과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의 바닥(48)의 교차점 주변 또는 교차영역 주변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음료 컵(270)에 제공함과 함께,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후방에 적치시킨다.The rear of the ice path opener 150 refers to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ice falling trajectory of the ice making unit 30 and the bottom 48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60 or around the intersection area. In addition, the ice discharging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ice discharging switch 120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o provide the first group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270 and the second group of ice cubes to ice. It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path switch 150 .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50)는, 바닥(48) 상에서 벽체(41)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147)과, 벽체(41)의 개별 측벽에서 얼음 경로 통제문(147)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개별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이동 가이더(14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가이더(149)는, 벽체(41)와 바닥(48)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147)의 상하 운동(M)을 가이드한다.More specifically, the ice path switch 150 includes an ice path control door 147 positioned between opposite sidewalls of the wall 41 on the floor 48 and individual sidewalls of the wall 41 . It includes movement guiders 149 that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147 and project from the individual sidewalls. Here, the movement guider 149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M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147 with respect to the wall 41 and the floor 48 .

또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50)는, 레크 기어(141)와 위치 고정 레일(142)과 피니언 기어(143)와 피니언 기어 모터(145)를 더 포함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레크 기어(1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통제문(147)과 개별 측벽 사이에서 얼음 경로 통제문(147)에 고정되어 바닥(48)의 개방 문(47)을 지난다. In addition, the ice path opener 150 further includes a rack gear 141 , a position fixing rail 142 , a pinion gear 143 , and a pinion gear motor 145 . Preferentially, the rack gear 141 is fixed to the ice path control door 147 between the ice path control door 147 and the individual side walls, as shown in FIG. 7 , the opening door 47 of the floor 48 ) through

상기 위치 고정 레일(142)은, 바닥(48)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레크 기어(141)의 홈(G)에 삽입되어 레크 기어(141)의 상하 이동(M)을 가이드하며, 바닥(48)에 고정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143)는, 바닥(48)의 하부측에서 레크 기어(141)와 기어 치합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 모터(145)는, 피니언 기어(143)에 회전(R4)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바닥(48)의 하부측에서 바닥(48)에 고정된다.The position fixing rail 142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48, is inserted into the groove (G) of the rack gear 141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M) of the rack gear 141, the floor ( 48) is fixed. The pinion gear 143 is gear-engaged with the rack gear 141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48 . The pinion gear motor 145 is fixed to the floor 48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oor 48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pinion gear 143 (R4).

여기서, 상기 레크 기어(141)는, 피니언 기어 모터(145)의 구동 동안, 바닥(48)의 개방 문(47)을 관통하면서 얼음 경로 통제문(147)을 상하 운동(M)시킨다. 상기 피니언 기어 모터(145)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에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48)을 공급받는 때, 얼음 경로 통제문(147)의 상하 운동(M)을 제어하여 바닥(48) 상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248)을 제1 및 제2 얼음 조각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Here, the rack gear 141 moves the ice path control door 147 up and down while penetrating the opening door 47 of the floor 48 while the pinion gear motor 145 is driven. When the pinion gear motor 145 receives a plurality of ice cubes ( 248 in FIG. 1 ) from the ice making unit 30 to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60 , the vertical movement (M)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147 . ) to divide the plurality of ice cubes 248 on the floor 48 into first and second ice cube groups.

한편,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1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을 대체할 수 있다.Meanwhile, the ice discharge switch 12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60 may replace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of FIGS. 2 and 3 .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ce path switch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f FIG. 8 .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은, 도 6 및 도 7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과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의 얼음 경로 개폐기(180)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의 얼음 경로 개폐기(150)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80)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의 벽체(41)에서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측벽에 인접하는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를 포함한다.8 and 9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9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60 of FIGS. 6 and 7 , but is an ice path switch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90 . Reference numeral 180 h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ce path switch 150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60 . More specifically, the ice path opener 180 includes an ice path control tool 176 positioned between opposite side walls of the wall 41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90 and adjacent to the individual side walls. do.

여기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는, 개별 측벽에 대해 회전하는 복수의 날개이다. 또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80)는, 서포팅 힌지(172)들과 로테이션 힌지(174)와 날개 회전 모터(17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팅 힌지(172)들은, 벽체(41) 상에서 도 12의 받침대(72)와 유사한 받침대(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일측 및 타측 벽체(41)에 고정된다. 상기 로테이션 힌지(174)는, 서포팅 힌지(172)들 사이에 위치되어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에 고정된다.Here, the ice path control tool 176 is a plurality of blades that rotate with respect to individual sidewalls. In addition, the ice path opener 180 further includes supporting hinges 172 , a rotation hinge 174 , and a blade rotation motor 178 . The supporting hinges 172 are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wall 41 through a support (not shown) similar to the support 72 of FIG. 12 on the wall 41 . The rotation hinge 174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ing hinges 172 and fixed to the ice path control tool 176 .

상기 날개 회전 모터(178)는, 서포팅 힌지(172)들 중 하나를 지나 로테이션 힌지(174)에 회전(R5)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는, 날개 회전 모터(178)가 구동되는 때, 복수의 날개의 궤적(T)을 그리면서 복수의 날개에서 개별 날개를 바닥(49)에 반복적으로 접촉시킨다. The blade rotation motor 17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hinge 174 via one of the supporting hinges 172 , R5 . Here, when the blade rotation motor 178 is driven, the ice path control tool 176 repeatedly contacts the individual blades of the plurality of blades with the floor 49 while drawing the trajectories T of the plurality of blades. .

따라서, 상기 날개 회전 모터(178)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에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48)을 공급받는 때,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로부터 복수의 날개 사이에 위치되는 개별 영역(A 또는 B 또는 C)의 회전 반복 횟수 또는 복수의 날개에서 개별 날개의 회전 반복 횟수를 내부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모니터하면서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의 회전을 제어하여 바닥(49) 상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248)을 제1 및 제2 얼음 조각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lade rotation motor 178 receives the plurality of ice cubes ( 248 in FIG. 1 ) from the ice making unit 30 to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90 , the plurality of ice cubes are supplied from the ice path control tool 176 .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rotation of an individual area (A or B or C) positioned between the blades or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rotation of individual blades in a plurality of blades is monitored through an internal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of the ice path control tool 176. The rotation can be controlled to divide the plurality of ice cubes 248 on the floor 49 into first and second groups of ice cubes.

한편,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1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을 대체할 수 있다.Meanwhile, the ice discharge switch 12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90 may replace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of FIGS. 2 and 3 .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음료 자판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11 to 13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beverag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Figs. 11 to 13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 자판기(260)는,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선택 음료 반출부(10)와 선택 음료 추출부(210)와 종류별 음료 선택부(2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종류별 음료 선택부(250)에서 돈 투입구(240)에 음료 주문 고객의 동전이 투입되고, 음료 디스플레이 창(220)에 대한 음료 주문 고객의 주시 동안 선택 버튼(230)에 음료 주문 고객의 누름 외력이 적용될 수 있다.11 to 13,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ection beverage discharging unit 10 and a selection beverage extraction unit 210 that ar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everage selection unit by type ( 250). First, in the beverage selection unit 250 for each type, the customer's coin is inserted into the money input port 240, and the customer's beverage order is placed on the selection button 230 during the customer's attention on the beverage display window 220. A pressing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상기 돈 투입구(240)는 플라스틱 카드 또는 핸드폰 카드를 결재하는 카드 리더기로 대체되거나, 핸드폰 QR 코드를 인식하는 QR 코드 리더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카드 리더기와 QR 코드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는, 돈 투입구(240)와 함께, 종류별 음료 선택부(250)에 설치되거나, 종류별 음료 선택부(250) 이외의 음료자판기(260)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money slot 240 may be replaced with a card reader that pays for a plastic card or a mobile phone card, or may be replaced with a QR code reader that recognizes a mobile phone QR code. Unlike this, at least one of the card reader and the QR code reader is installed in the beverage selection unit 250 by type, together with the money inlet 240, or i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260 other than the beverage selection unit 250 by type. could be

한편, 상기 음료 자판기(260)가 돈 투입구(240)에 동전 투입과 선택 버튼(230)에 누름 외력을 확인한 후, 상기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선택 버튼(230)에 해당되는 음료와 함께 주문 요구 온도를 맞추도록, 상기 선택 음료 추출부(210)의 제빙유닛(30)의 사용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260 checks the external force of inserting a coin into the money input port 240 and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230 , together with the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button 230 in the selection beverage extraction unit 210 . Whether to use the ice-making unit 30 of the selected beverage extraction unit 210 may be determined to meet the order-required temperature.

상기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제빙유닛(30)의 사용을 결정한 후, 상기 제빙유닛(30)으로부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 복수의 얼음 조각(도 12의 284)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제빙유닛(30)에 대해 도 12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은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의 경사진 형상을 따라 이동된다. After the selection beverage extraction unit 210 determines to use the ice making unit 30 , a plurality of ice cubes ( 284 in FIG. 12 ) may be supplied from the ice making unit 30 to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 Here,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is positioned to be relative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ce making unit 30 in the selective beverage extraction unit 210 as shown in FIG. 12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are moved from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along the inclined shape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상기 제빙유닛(30)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개폐기(100)와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폐쇄 상태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 복수의 얼음 조각(284)의 공급을 완료하는 때,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은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의 경사진 형상을 따라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가림문(116)으로부터 시작하여 바닥(44)을 지나 얼음 경로 개폐기(100)의 얼음 경로 통제문(64) 상에 걸쳐 적치된다. As shown in FIG. 12 , the ice making unit 30 supplies a plurality of ice cubes 284 to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when the ice path switch 100 and the ice discharge switch 120 are closed. Upon completion,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start from the blind door 116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20 along the inclined shape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in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It is stacked over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of the ice path opener 100 past the floor 44 .

계속해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얼음 경로 개폐기(100)의 얼음 경로 통제문(64)의 회동(R1)을 통해, 얼음 경로 개폐기(10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복수의 얼음 조각(284)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도 13의 286)을 얼음 배출 제어 유닛(130) 아래에 버린다. 상기 제1 얼음 조각 그룹(286)은 음료 자판기(260)의 내부에서 순환 싸이클(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재사용된다. Subsequently,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ice path switch 100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hrough the rotation R1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of the ice path switch 100 . The first ice cube group ( 286 in FIG. 13 )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is discarded under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 The first ice cube group 286 is reused through a circulation cycle (not shown) inside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260 .

또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개폐기(100)의 얼음 경로 통제문(64)의 회동(R1)을 통해, 도 13과 같이,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가림문(116)의 회동(R2)을 통해,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복수의 얼음 조각(284) 중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288)을 음료 컵(270)에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130 operates through the rotation R1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64 of the ice path switch 100 , as shown in FIG. 13 , the ice discharge switchgear. The second ice cube group corresponding to the remainder of the plurality of ice cubes 284 by controlling the ice discharge switch 120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hrough the rotation R2 of the blind door 116 of 120 ( 288 is provided to the beverage cup 270 .

즉, 상기 제2 얼음 조각 그룹(288)은, 가림문(116)을 통해 음료 자판기(260)의 선택 음료 반출부(10)에 위치하는 컵(270)에 일 방향(F)으로 도 11 및 도 13과 같이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료 배출유닛(200)은,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으로부터 선택 음료 반출부(10)의 음료 컵(270)을 향해 제2 얼음 조각 그룹(288)의 배출 전(前) 또는 후(後)에 선택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ice cube group 288 is placed on the cup 270 located in the selected beverage discharging unit 10 of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260 through the blind door 116 in one direction (F) in the direction F in FIG. 11 and FIG. It may be discharged as shown in FIG. 13 . Here,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200 moves from the ice discharging control unit 130 in the selected beverage dispensing unit 210 toward the beverage cup 270 of the optional beverage discharging unit 10 to a second ice cube group 288 . The beverage of choice can be dispensed before or after dispensing.

41; 벽체, 42; 배출구
44; 바닥, 55; 개구부
64; 얼음 경로 통제문, 100; 얼음 경로 개폐기
111; 가장자리 힌지, 112; 중앙 힌지
113; 힌지 회전 모터, 116; 가림문
120; 얼음 토출 개폐기, 130; 얼음 배출 제어유닛
R1; 회동
41; wall, 42; outlet
44; floor, 55; opening
64; Ice Path Control Gate, 100; ice path opener
111; edge hinge, 112; central hinge
113; hinge rotation motor, 116; blind door
120; ice discharge switchgear, 130; Ice discharge control unit
R1; meeting

Claims (15)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음료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하부측에 배출구를 적어도 일부분에 가지는 바닥;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상기 벽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와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은 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 아래에 버리거나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내부에 적치(積峙)시키고,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 중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음료 컵에 제공하는, 음료 자판기.
A beverage vending machine compris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ice cubes from an ice making unit through an upper side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a beverage cup,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comprising: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comprises:
a floor having an outlet at least in part on a lower side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The wall rises from the floor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and is cut into an opening at one edge of the floor;
an ice path opener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of the floor; and
and an ice discharge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wall,
obliquely inclined toward the beverage cup from below the ice making unit,
After receiving the plurality of ice cubes from the ice making unit in a closed state of the ice path switch and the ice discharge switch,
Controlling the ice path switch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so that a first group of ice cube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ice cubes is disposed of under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or stored inside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make it,
and controlling the ice discharging switch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to provide a second group of ice cubes corresponding to the remainder of the plurality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바닥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branch) 목형상으로 분기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을 수용하는 목 수용홈을 가지는, 음료 자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path opener,
and an ice path control door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floor and branching from the outlet of the floo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loor in two branch neck shapes,
The floor is
A beverage vending machine having a neck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 around the outlet of the floo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서 상기 두 개의 가지 목형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받침대 그리고 개별 가지 목형상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일 측부에서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타 측부에서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2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상기 제빙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바닥과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회동시키는, 음료 자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ce path opener,
a first pedestal positioned between the two branch necks in the ice path control door, and second and third pedestal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dividual branch necks;
an ice path control motor positioned on the first pedestal;
a first hinge portion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t one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and
a second hinge portion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t the other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The ice path control motor,
Based on the ice making unit,
and pivoting the ice path control door with respect to the floor, the first hinge part, and the second hinge part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바닥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 목형상으로 분기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을 수용하는 목 수용홀을 가지는, 음료 자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ce path opener,
and an ice path control door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floor and branching in the shape of two branches from the outlet of the floo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loor,
The floor is
A beverage vending machine having a neck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 around the outlet of the floo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서 상기 두 개의 가지 목형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받침대 그리고 개별 가지 목형상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일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타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양 단부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회전 방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상기 제빙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을 관통하도록 상기 바닥과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회동시키는, 음료 자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ce path opener,
a first pedestal positioned between the two branch necks in the ice path control door, and second and third pedestal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dividual branch necks;
an ice path control motor positioned on the first pedestal;
a first hinge portion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t one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a second hinge portion positioned on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t the other side of the ice path control motor; and
It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preventing piece that is positioned under both ends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and fixed to the floor,
The ice path control motor,
Based on the ice making unit,
and pivoting the ice path control door with respect to the floor, the first hinge part, and the second hinge part so as to penetrate the floor.
제3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제1 힌지부 또는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힌지들; 및
상기 고정 힌지들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양축 모터이며 개별 모터축에서 고정 힌지를 지나 상기 회전 힌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음료 자판기.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first hinge part or the second hinge part,
fixing hinges respectively fixed to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and
a rotary hinge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hinges;
The ice path control mot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which is a biaxial motor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hinge through a fixed hinge on an individual motor shaf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은,
상기 회전 힌지에 고정되어,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구동시, 상기 회전 힌지와 함께 회동되는, 음료 자판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dividual branch neck shape is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is fixed to the rotary hinge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ry hinge when the ice path control motor is driven.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음료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상기 바닥; 및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상기 벽체;
상기 바닥 상에 위치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형성되는 얼음 경로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개방 상태와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후방에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은 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를 상기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바닥 상에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나누어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전방에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그리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상기 후방에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위치시키고,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를 상기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음료 컵에 제공함과 함께, 상기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상기 후방에 적치시키는, 음료 자판기.
A beverage vending machine comprising an ice discharge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ice cubes from an ice making unit through an upper side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ubes to a beverage cup,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comprising: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comprises:
the bottom position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and
The wall rises from the floor along the perimeter of the floor and is cut into an opening at one edge of the floor;
an ice path opener positioned on the floor to open and close an ice path formed along the wall; and
and an ice discharge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wall,
obliquely inclined toward the beverage cup from below the ice making unit,
After receiving the plurality of ice cubes from the ice making unit at the rear of the ice path switch in an open state of the ice path switch and the closed state of the ice discharge switch,
controlling the ice path opener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o divide the plurality of ice cubes on the floor to form a first group of ice cubes in front of the ice path opener and a second ice cube at the rear of the ice path opener place the group,
and controlling the ice discharging switch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o provide the first group of ice cubes to the beverage cup and to place the second group of ice cubes at the rear of the ice path open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 상에서 상기 벽체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 및
상기 벽체의 개별 측벽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개별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이동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이더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음료 자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ce path opener,
an ice path control door positioned between opposite sidewalls of the wall on the floor; and
and movement guide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on the individual sidewalls of the wall and projecting from the individual sidewalls,
The movement guider,
A beverage vending machine that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ice path control door with respect to the wall and the floo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과 상기 개별 측벽 사이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의 개방 문을 지나는 레크 기어;
상기 바닥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크 기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크 기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위치 고정 레일;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레크 기어와 기어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크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 모터의 구동 동안, 상기 바닥의 상기 개방 문을 관통하면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상하 운동시키는, 음료 자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ce path opener,
a rack gear fixed to the ice path control door between the ice path control door and the individual sidewalls and passing through the floor opening door;
a position fixing rail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ack gear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ack gear, and fixed to the floor;
a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rack gear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and
Further comprising a pinion gear motor fixed to the floor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oor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pinion gear,
The rack gear is
while the pinion gear motor is driven, the ice path control door moves up and down while penetrating the opening door of the floo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상기 벽체에서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측벽에 인접하는 얼음 경로 통제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는,
상기 개별 측벽에 대해 회전하는 복수의 날개인, 음료 자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ce path opener,
and an ice path control tool positioned between opposite sidewalls of the wall of the ice discharge control unit and adjacent to the individual sidewalls;
The ice path control tool,
a plurality of blades rotating about the respective sidewall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벽체 상에서 일측 및 타측 벽체에 고정되는 서포팅 힌지들;
상기 서포팅 힌지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에 고정되는 로테이션 힌지; 및
상기 서포팅 힌지들 중 하나를 지나 상기 로테이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는,
상기 날개 회전 모터가 구동되는 때, 상기 복수의 날개에서 개별 날개를 상기 바닥에 반복적으로 접촉시키는, 음료 자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ce path opener,
supporting hinge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ll;
a rotation hing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ing hinges and fixed to the ice path control tool; and
Further comprising a blade rotation moto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hinge past one of the supporting hinges,
The ice path control tool,
When the blade rotation motor is driven, the individual blades in the plurality of blades are repeatedly contacted to the flo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제1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는,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 상에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힌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중 하나를 지나 상기 중앙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회전 모터; 및
상기 중앙 힌지에 고정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가림문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문은,
상기 힌지 회전 모터가 구동되는 때, 상기 중앙 힌지와 함께 상기 벽체에 대해 회전하는, 음료 자판기.
9. The method of claim 1 or 8,
The ice discharge switch is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ll facing the opening in the wall;
a central hing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a hinge rotation motor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hinge p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dge hinges; and
It is fixed to the central hinge and comprises a shielding doo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wall,
The cover letter is
When the hinge rotation motor is drive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wall together with the central hing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가 사각 형상의 박스(box)를 이루는 때,
상기 가림문은,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어 상기 개구부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지는, 음료 자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floor and the wall form a rectangular box,
The cover letter is
A beverage vending machine that covers the opening of the wall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opening, and has a rectangular shape or an inverted triangle shape, or has a chamfered shape in the rectangle by opening an area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문은,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가 사각 형상의 박스를 이루는 때,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어 상기 개구부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벽체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음료 자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ver letter is
When the floor and the wall form a rectangular box,
To cover the opening of the wall so as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opening, it is made of a rectangle or an inverted triangle, or has a chamfer shape in the rectangle by opening an area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and facing the wall A beverage vending machine located between the two side walls.

KR1020200053293A 2020-05-04 2020-05-04 Beverage vending machine KR102349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93A KR102349067B1 (en) 2020-05-04 2020-05-04 Beverage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93A KR102349067B1 (en) 2020-05-04 2020-05-04 Beverage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77A true KR20210135077A (en) 2021-11-12
KR102349067B1 KR102349067B1 (en) 2022-01-10

Family

ID=7849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293A KR102349067B1 (en) 2020-05-04 2020-05-04 Beverage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0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867B1 (en) 2022-12-09 2023-04-25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Coffee vending mach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42Y1 (en) 2002-03-28 2002-07-19 김명섭 A cold drink vending machine
JP2004265370A (en) * 2003-01-10 2004-09-2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Cup type drink vending machine
JP2012059096A (en) * 2010-09-10 2012-03-2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229152B1 (en) * 2011-05-24 2013-02-01 황석환 A lid of a drinking bottle
KR101906338B1 (en) * 2010-09-29 2018-10-11 코웨이 주식회사 Ice stor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42Y1 (en) 2002-03-28 2002-07-19 김명섭 A cold drink vending machine
JP2004265370A (en) * 2003-01-10 2004-09-2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Cup type drink vending machine
JP2012059096A (en) * 2010-09-10 2012-03-2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906338B1 (en) * 2010-09-29 2018-10-11 코웨이 주식회사 Ice storage
KR101229152B1 (en) * 2011-05-24 2013-02-01 황석환 A lid of a drinking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067B1 (en)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8910B2 (en) Lean vending machine
EP0288142B1 (en) Container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refrigerated, unrefrigerated and/or heated foods
US4730750A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refrigerated and unrefrigerated foods
EP2548182B1 (en) Vendor
KR102349067B1 (en) Beverage vending machine
KR100274437B1 (en) A method of driving automatic vending machine
US20110226793A1 (en) Vendor
EP3842364A1 (en) Conveyance mechanism of item vending machine
US20200107559A1 (en) Slush beverage dispenser and slush beverage dispensing methods
CN105913560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05120530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WO2017221853A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292340B1 (en) Vending machine
KR101360006B1 (en) Compact automatic vending maschin
KR100274438B1 (en) A compound vending machine
JP4301478B2 (en) vending machine
KR100224299B1 (en) Stick dropp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US2523677A (en) Coin-controlled bottle dispensing machine
KR200226084Y1 (en) Automatic inner door switchgear of vending machine
KR19990023327U (en) Coin dispenser for vending machine
KR19990004351U (en) Inner door of compound vending machine
KR19980042281U (en) Product Dispenser for Can Vending Machines
KR19990028108U (en) Fixed structure of rack door for compound vending machine
KR19990025741A (en) Stick detection method of vending machine
KR19990025744A (en) Stick Dispensing Method of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