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050A -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050A
KR20210135050A KR1020200053209A KR20200053209A KR20210135050A KR 20210135050 A KR20210135050 A KR 20210135050A KR 1020200053209 A KR1020200053209 A KR 1020200053209A KR 20200053209 A KR20200053209 A KR 20200053209A KR 20210135050 A KR20210135050 A KR 2021013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er
gang form
support rod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751B1 (ko
Inventor
류기연
Original Assignee
류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기연 filed Critical 류기연
Priority to KR102020005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갱폼의 인양시 갱폼의 하부를 신속하게 거치시킬 수 있어서 인양시킨 갱폼의 고정이 매우 용이하고 안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는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브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지지봉과, 슬라브에 매립되어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앵커부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체결볼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하우징의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는 슬라이더와, 체결볼트가 상기 지지봉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의 전면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갱폼의 인양시 갱폼의 하부를 신속하게 거치시킬 수 있어서 인양시킨 갱폼의 고정이 매우 용이하고 안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또는 상가 등과 같은 건물은 외벽이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건물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외부 거푸집, 즉 갱폼(Gang Foam)이 사용되고 있다.
갱폼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 및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외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갱폼은 한 층의 작업이 완료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음 층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인양된다.
갱폼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갱폼의 상부와 하부는 슬라브에 매립된 앵커볼트(200)에 의해 고정되고, 갱폼의 중간은 거푸집과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아래층의 벽체와 슬라브가 타설된 후 위 층의 벽체와 슬라브를 타설하기 위해서 갱품을 해체하여 갱폼을 인양한다. 이를 위해 갱폼 하부의 앵커볼트를 제외한 나머지 고정볼트를 해체한 다음 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의 인양고리에 건 상태에서 하부의 고정볼트를 마지막으로 해체하게 된다. 하부의 고정볼트를 해체한 후 갱폼을 한층 높이만큼 인양한 다음 갱폼의 하부를 슬라브에 매립된 앵커볼트에 다시 고정시킨다. 이때 앵커볼트의 체결작업은 갱폼에 설치된 작업발판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된다. 작업자는 일일이 앵커볼트를 체결하여 갱폼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이때 갱폼은 크레인에 의해 매달린 상태이므로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 등에 의해 흔들려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822712호: 갱폼 낙하 방지를 위한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앵커볼트를 개선하여 갱폼의 인양시 갱폼의 하부를 신속하게 거치시킬 수 있어서 인양시킨 갱폼의 고정이 매우 용이하고 안전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는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브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어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앵커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체결볼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하우징의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지지봉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의 전면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수용되는 공간을 이루는 수용실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실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공간부와, 상기 이동제한공간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이동제한공간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출입통로부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출입통로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홀로 삽입된 상기 지지봉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이딩 이동이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출입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리브와,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출입통로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이동제한공간부보다 직경이 작은 확관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지지봉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층으로 인양된 갱폼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부를 구비한다.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바디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갱폼에 설치된 지지대가 걸쳐지는 갱폼거치부와, 상기 갱폼거치부의 전면에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봉은 후면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앵커부와 나사결합되는 후면나사홀과, 전면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전면나사홀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볼트를 풀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갱폼의 인양시 갱폼의 하부를 슬라이더에 걸어서 거치할 수 있으므로 갱폼의 고정이 매우 용이하고 빠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를 이용하면 갱폼의 해체와 인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가 슬라브에 매립되기 전에 갱폼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가 슬라브에 매립된 후 갱폼이 제거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된 갱폼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는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브에 매립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체결볼트(1)가 나사결합되는 지지봉(30)과, 슬라브에 매립되어 지지봉(30)과 결합되는 앵커부(40)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봉(30)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체결볼트(1)를 회전시키면 하우징(10)의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는 슬라이더(50)와, 체결볼트(1)가 지지봉(30)으로부터 분리되면 슬라이더(50)를 하우징(10)의 전면방향으로 전진시켜 슬라이더(50)의 일측을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더(50)를 가압하는 탄성부재(7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슬라브의 타설시 슬라브에 매립되는 부위이다. 슬라브에 매립될 경우 하우징(10)의 전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예에서 하우징(10)은 좌우 2등분으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가령, 하우징은 제 1측부(11)와, 제 1측부(11)와 결합되는 제 2측부(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측부(11)와 제 2측부(13)는 대칭된 구조를 갖는다. 제 1측부(11)와 제 2측부(13)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하우징(10)은 좌우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10)은 외주면이 구배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수용실(15)과 삽입홀(18)이 형성된다.
수용실(15)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우징(10)의 전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수용실(15)은 슬라이더(50)가 수용되는 공간을 이룬다.
수용실(15)은 슬라이더(5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공간부(16)와, 이동제한공간부(16)와 연결되어 하우징(10)의 전면을 향해 형성되며 이동제한공간부(16)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출입통로부(17)로 이루어진다.
이동제한공간부(16)는 삽입홀(18)의 전면에 위치한다. 출입통로부(17)는 이동제한공간부(16)의 전면에 위치한다. 출입통로부(17)는 이동제한공간부(16)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출입통로부(17)와 이동제한공간부(16)의 경계에는 하우징(10)의 내부로 돌출되는 턱이 마련된다.
삽입홀(18)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우징(10)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삽입홀(18)의 직경은 이동제한공간부(16) 및 출입통로부(17)의 직경보다 작다.
지지봉(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지지봉(3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지지봉(30)은 삽입홀(18)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지지봉(30)에는 후면나사홀(31)과 전면나사홀(33)이 형성된다. 후면나사홀(31)은 지지봉(30)의 후면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앵커부(40)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전면나사홀(33)은 지지봉(30)의 전면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체결볼트(1)와 나사결합된다.
앵커부(40)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지지봉(30)과 결합된다. 앵커부(40)는 슬라브의 타설시 하우징(10)과 함께 슬라브에 매립되는 부위이다.
앵커부(40)는 지지봉(30)의 후면나사홀(31)에 나사결합되는 연결봉(41)과, 연결봉(41)과 나사결합되는 앵커(45)로 이루어진다.
지지봉(41)은 일측에 제 1나사산부(42)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 2나사산부(43)가 형성된다. 제 1나사산부(42)는 지지봉(30)의 후면나사홀(31)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제 2나사산부(43)는 앵커(45)에 형성된 나사홀(47)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슬라이더(5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실(15)에 위치한다. 슬라이더(50)는 지지봉(30)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50)는 하우징(10)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후퇴 및 하우징(10)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50)에는 지지봉(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딩홀(51)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51)은 슬라이더(50)의 중심에 형성된다. 슬라이딩홀(51)은 지지봉(30)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슬라이딩홀(51)은 중간에서 직경이 바뀐다. 가령, 슬라이더(50)의 후면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홀보다 슬라이더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홀의 직경이 더 작다.
슬라이더(50)는 출입통로부(17)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바디부(53)와, 바디부(53)의 외주면에 바디부(5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리브(55)와, 바디부(53)의 후면에 형성된 확관부(56)와, 바디부(50)의 전면에 형성된 서포터부(57)를 구비한다.
바디부(53)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리브(55)는 바디부(53)에 2개가 형성된다. 2개의 리브(55)는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리브(55)는 출입통로부(17)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9)에 결합된다. 리브(55)는 슬라이더(50)의 전후 이동시 가이드홈(19)을 따라 이동한다.
확관부(56)는 출입통로부(17)보다 직경이 크고 이동제한공간부(16)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확관부(56)는 이동제한공간부(16)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50)의 후퇴시 확관부(56)는 이동제한공간부(16)의 후면에 걸리고, 슬라이더(50)의 전진시 확관부(56)는 이동제한공간부(16)의 전면에 걸린다.
서포터부(57)는 바디부(53)의 전면에 형성된다. 서포터부(57)는 슬라이더(50)의 후퇴시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슬라이더(50)의 전진시 서포터부(57)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10)의 전면에서 바깥으로 돌출된다.
체결볼트(1)가 지지봉(30)으로부터 분리되면 슬라이더(50)가 탄성부재(70)에 의해 전진하면서 서포터부(57)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서포터부(57)에 인양된 갱폼의 하부를 거치할 수 있다.
서포터부(57)는 바디부(5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갱폼에 설치된 지지대가 걸쳐지는 갱폼거치부(58)와, 갱폼거치부(58)의 전면에 형성된 헤드부(59)를 구비한다.
갱폼거치부(58)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갱폼거치부(58)에 갱폼의 지지대가 걸치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100)의 하부에는 V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110)가 설치된다. 지지대(11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서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대(110)는 바디부(53)와 헤드부(59) 사이로 진입하여 지지대(110)의 V자 형태의 홈이 갱폼거치부(58)에 걸린다.
상술한 슬라이드부(5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부(50)의 전면을 밀면 슬라이드부(50)는 후퇴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가고, 슬라이드부(50)의 후면을 밀면 슬라이드부(50)는 전진하여 서포터부(57)가 하우징(10)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된다.
슬라이드부(50)의 전면을 밀어 슬라이드부(50)를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역할은 체결볼트(1)에 의해 수행된다. 체결볼트(1)를 슬라이딩홀(51)의 전면으로 삽입시켜 지지봉(30)의 전면나사홀(33)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전면나사홀(33)에 체결볼트(1)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체결볼트(1)를 회전시키면 체결볼트(1)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점차 이동을 하고, 이때 이동하는 체결볼트(1)에 의해 슬라이더(50)가 밀리면서 후퇴한다.
탄성부재(7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더(50)를 하우징(10)의 전면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70)로 용수철을 이용할 수 있다. 용수철은 지지봉(3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용수철의 일측은 슬라이딩홀(51)에 삽입되어 슬라이더(50)에 지지되고, 용수철의 타측은 수용실(15)의 후면에 지지된다.
슬라이더(50)가 후퇴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하면 탄성부재(70)는 압축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체결볼트(1)가 지지봉(30)으로부터 분리되어 슬라이더(50)를 후퇴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슬라이더(50)는 탄성부재(70)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우징(10)의 전면방향으로 전진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갱폼(100)의 하부는 슬라브(200)에 매립된 본 발명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3)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슬라이더(50)에는 체결볼트가 분리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더(50)의 갱폼거치부(58)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갱폼(100)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대(110)는 갱폼거치부(58)에 걸쳐진다.
그리고 갱폼(100)의 상부에 본 발명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5)가 더 설치된다. 상부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5)는 슬라브의 타설 전이므로 슬라브에 매립되어 있지 않는다. 상부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5)를 갱폼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 3과 같이 갱폼의 패널(105)에 형성된 관통홀(106)을 통해 체결볼트(1)를 슬라이딩홀(51)로 삽입시킨 후 지지봉(30)에 나사결합시킨다. 하우징(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1)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을 계속시키면 체결볼트(1)가 갱폼의 패널(105)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50)가 하우징(10)의 내부로 후퇴한다. 갱폼의 패널(105)이 하우징(10)의 전면에 밀착될때까지 체결볼트(1)를 회전시키면 상부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5)가 갱폼(100)에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갱폼에는 다수의 고정볼트가 설치되어 갱폼과 거푸집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갱폼(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층의 벽체와 슬라브를 타설하게 되면 갱폼(100)의 상부에 설치된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5)는 슬라브에 매립된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갱폼(100)을 해체하여 갱폼(100)을 다음 층으로 인양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갱폼(100)의 인양을 위해 다수의 고정볼트들 및 상부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5)에 체결된 체결볼트(1)를 푼다. 고정볼트들과 체결볼트(1)를 제거한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갱폼을 들어올릴 수 있다. 하부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3)는 체결볼트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크레인을 들어올리면 하부의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3)로부터 갱폼이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체결볼트(1)를 풀어 갱폼(100)을 다음 층으로 인양하면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5)의 슬라이더(50)를 밀고 있던 갱폼(100)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50)는 하우징(1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갱폼(100)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대(110)의 V자 홈을 슬라이더의 갱폼거치대(58)에 거치시키면 갱폼(100)의 하부가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양된 갱폼의 하부에 일일이 볼트를 체결하지 않고 튀어나온 슬라이더에 갱폼의 하부를 거치하는 방식으로 지지시키므로 인양시킨 갱폼의 고정을 매우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30: 지지봉
40: 앵커부 50: 슬라이더
70: 탄성부재

Claims (5)

  1.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브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어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앵커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체결볼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하우징의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지지봉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의 전면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수용되는 공간을 이루는 수용실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실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공간부와, 상기 이동제한공간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이동제한공간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출입통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출입통로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홀로 삽입된 상기 지지봉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이딩 이동이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출입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리브와,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출입통로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이동제한공간부보다 직경이 작은 확관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지지봉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층으로 인양된 갱폼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바디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갱폼에 설치된 지지대가 걸쳐지는 갱폼거치부와, 상기 갱폼거치부의 전면에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후면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앵커부와 나사결합되는 후면나사홀과, 전면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전면나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KR1020200053209A 2020-05-04 2020-05-04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KR10234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09A KR102348751B1 (ko) 2020-05-04 2020-05-04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09A KR102348751B1 (ko) 2020-05-04 2020-05-04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50A true KR20210135050A (ko) 2021-11-12
KR102348751B1 KR102348751B1 (ko) 2022-01-07

Family

ID=7849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209A KR102348751B1 (ko) 2020-05-04 2020-05-04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7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12B1 (ko) 2007-01-12 2008-04-17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 낙하 방지를 위한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KR20110003965U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 하부 고정용 볼트
KR20120000715U (ko) * 2010-07-20 2012-02-02 주식회사 미래정공 앙카볼트와 갱폼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12B1 (ko) 2007-01-12 2008-04-17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 낙하 방지를 위한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KR20110003965U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근하기공 갱폼 하부 고정용 볼트
KR20120000715U (ko) * 2010-07-20 2012-02-02 주식회사 미래정공 앙카볼트와 갱폼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751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25710A (zh) 混凝土模板支撑装置
US4804160A (en) Automatically-releasable pipe-attachment device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2348751B1 (ko) 갱폼 거치용 고정장치
KR200408256Y1 (ko) 쐐기형 클램프를 구비한 빔 인출기
KR101483632B1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US8915686B2 (en) Unitary, strike, drop-in anchor for concrete and the like
KR100463269B1 (ko)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
US3894375A (en) Pole base
KR20210150144A (ko) 갱폼의 레벨조정이 가능한 갱폼 거치장치
EP1518971A1 (en) A wall anchor system for securing an insulation board within a cavity wall
KR100634097B1 (ko) 반력부재를 구비한 잭 장치
KR102486335B1 (ko) 갱폼의 레벨조정이 가능한 갱폼 거치장치
KR200200302Y1 (ko) 인서트
KR20210031109A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US3945294A (en) Expandable anchor bolt
KR100686385B1 (ko) 거푸집용 지지대
US3472052A (en) Setting tool for bolt anchor
KR102058712B1 (ko) 인서트가 매입되는 전력구 제작용 거푸집 및 인서트가 매입되는 전력구 제작방법
KR101643398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20039459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913638B1 (ko) 슬라브 거푸집 체결용 고정핀 타격장치
KR200386937Y1 (ko) 클램프가 장착된 건축용 서포트
KR100835722B1 (ko) 압축형 제거 및 영구식 소일네일용 인장선홀더 및 상기인장선홀더를 갖는 소일네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