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778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778A
KR20210133778A KR1020200052818A KR20200052818A KR20210133778A KR 20210133778 A KR20210133778 A KR 20210133778A KR 1020200052818 A KR1020200052818 A KR 1020200052818A KR 20200052818 A KR20200052818 A KR 20200052818A KR 20210133778 A KR20210133778 A KR 20210133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rotrusion
holder
dispos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명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3778A/ko
Priority to US17/793,708 priority patent/US20230046753A1/en
Priority to JP2022544122A priority patent/JP2023510970A/ja
Priority to CN202180010124.6A priority patent/CN115004525A/zh
Priority to EP21744824.0A priority patent/EP4096072A4/en
Priority to PCT/KR2021/000731 priority patent/WO2021149995A1/ko
Publication of KR2021013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며 요크를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 상에 배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미러; 상기 홀더는 상기 미러의 후면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측면과 전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와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는 로터에 결합한다. 로터는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와 스테이터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하고, 로터가 회전하면 샤프트가 회전한다.
샤프트는 센서장치(예를 들어,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연결될 수 있다.
센서장치는 방출된 광 펄스가 물체에 부딪쳐 반사되어 돌아오면 돌아온 펄스를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광 펄스를 방출하기 위하여, 센서장치는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는 홀더를 매개로 로터와 연결된다. 로터가 회전하면 홀더가 회전하고, 홀더에 고정된 미러가 회전한다.
미러는 접착제를 통해 홀더에 고정된다. 접착제로 고정된 미러는 결합력이 취약하여,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홀더에서 이탈할 위험이 있다. 특히,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에 따라 접착제의 성능이 떨어지면서 미러가 홀더에서 이탈될 위험이 있다. 또한, 별도의 가이드를 통해 홀더와 미러를 고정시키는 경우, 가이드가 미러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가이드가 미러의 전면에 배치된 코팅층을 가리기 때문에 센싱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러를 홀더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센싱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며 요크를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 상에 배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미러와, 상기 홀더는 상기 미러의 후면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측면과 전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양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 보다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상면 또는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홀더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절곡되어 상기 미러의 측면과 접촉하는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미러의 전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1 측부와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절곡되어 상기 미러의 전면과 접촉하는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측면 중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1 돌출부와, 상기 미러의 측면 중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1-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 결합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중 일부는 상기 제1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 중 나머지는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돌출부는 상기 제1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돌출부는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미러의 폭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걸쳐 체결되는 제1 스크류와 제2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제1 파트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제2 파트에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미러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측면 중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1 돌출부와, 상기 미러의 측면 중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1-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과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제3 파트와, 상기 제3 파트에 결합하는 제4 파트와, 상기 제4 파트에 결합하는 제5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3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4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5 파트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파트 및 상기 제4 파트는 상기 미러의 후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의 측면은 상기 미러의 전면과 연결되는 제3 측면과, 상기 미러의 후면과 연결되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은 단차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단차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의 일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미러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에 미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에 미러를 고정시키면서도, 미러의 전면에 배치된 코팅을 가리지 않기 때문에 센싱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모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미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미러의 평면도,
도 6은 홀더의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홀더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브라켓의 평면도,
도 9는 홀더와 미러의 평면도,
도 10은 홀더와 미러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변형례에 따른 홀더의 바디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변형례에 따른 홀더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도시한 바디가 배치된 홀더와 미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와 미러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한 브라켓의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서 도시한 브라켓의 평면도,
도 17은 미러의 전면을 접촉하여 미러를 홀더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와 미러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에서 도시한 홀더와 미러의 분해도,
도 20은 도 18에서 도시한 홀더와 미러의 평면도,
도 21은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와 미러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에서 도시한 홀더와 미러의 분해도,
도 23은 도 21에서 도시한 홀더와 미러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모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내측은 모터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샤프트(100)를 향하는 방향이고, 외측은 내측의 반대방향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의 요크(210)에 결합한다. 샤프트(100)는 요크(210)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샤프트(100)는 요크(210)와 일체일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00)는 로터(200)와 함께 회전한다. 샤프트(100)는 베어링 하우징(500)의 내측에 배치된 베어링(7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200)는 요크(210)와 구동마그넷(220)과 센싱마그넷(230)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210)는 샤프트(100)에 결합한다. 샤프트(100)은 요크(21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마그넷(220)은 요크(210)의 회전을 위한 것이다. 구동마그넷(220)은 요크(2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마그넷(220)은 로터(200)의 반경방향으로 스테이터(300)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마그넷(220)과 스테이터(300)의 코일과 전기적 상호작용이 발생하면, 요크(210)가 회전한다. 구동마그넷(220)은 복수 개의 단위마그넷들이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또는 구동마그넷(220)은 링형상을 가지는 단품일 수 있다.
센싱마그넷(230)은 로터(2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센싱마그넷(230)은 요크(2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마그넷(230)은 축방향으로 기판(400)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샤프트(100)와 요크(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베어링 하우징(50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복수의 티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300) 코어를 포함하고, 각 티스에는 코일이 감길 수 있다. 티스에는 코일과 스테이터(300) 코어를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00)은 요크(210)의 일측에 배치된다. 기판(400)은 제1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410)는 센싱마그넷(230)의 자속 변화를 감지하는 홀아이씨(Hall IC) 또는 엔코더 아이씨(Enconder IC)일 수 있다. 제1 센서(410)는 축방향으로 센싱마그넷(230)을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기판(400)은 제2 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420)는 구동마그넷(220)의 자속 변화를 감지하는 홀아이씨(Hall IC)일 수 있다. 제2 센서(420)는 축방향으로 구동마그넷(220)을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00)은 제1 베어링(700A)과 제2 베어링(700B)을 고정하여 축계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이다. 베어링 하우징(500)은 축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원통형 부재와 같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600)에는 베어링 하우징(500)이 고정된다. 플레이트(600)와 베어링 하우징(500)을 별품으로 도시하였으나, 플레이트(600)와 베어링 하우징(500)이 일체로 성형될 수 도 있다. 플레이트(600)의 일면에는 기판(400)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베어링(700A)은 샤프트(100)의 상단을 지지하고, 제2 베어링(700B)은 샤프트(10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800)는 요크(210)와 홀더(900)를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연결부재(800)는 축방향으로 요크(210)와 홀더(900) 사이에 배치되어, 요크(210)와 홀더(900)를 결합시킨다. 요크(210)가 회전하면 연결부재(800)가 회전하고 홀더(900)도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연결부재(800)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축방향으로 연결부재(800)의 일면은 요크(210)와 접촉하고, 연결부재(800)의 타면은 홀더(900)와 접촉할 수 있다.
홀더(900)는 미러(1000)를 고정한다. 그리고 홀더(900)는 연결부재(800)에 결합하여, 요크(210)와 함께 회전한다. 홀더(900)는 단면이 내부가 비어있도록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홀더(900)는 굽힘에 강하고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홀더(900)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제1 미러(1000A)와 제2 미러(1100B)가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홀더(900)는 제1 미러(1000A)와 제2 미러(1100B)와 각각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미러(1000)는 감지 대상물에 조사되는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러(1000)는 홀더(90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미러(1000A)와 홀더(900)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미러(1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210)가 회전하면 홀더(900)가 회전하고, 홀더(900)가 회전함에 따라 미러(1000)도 함께 회전한다.
도 4는 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미러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미러(1000)는 축방향으로 길이 긴 장방향의 판상부재일 수 있다. 미러(1000)는 후면(1100), 측면(1200), 전면(1300), 상면(1400) 및 하면(150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1100)은 홀더(900)와 접촉하는 면이다. 전면(1300)은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면이다. 측면(1200)은 미러(10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측면(1200)은 제1 측면(1210)과 제2 측면(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1210)은 전면(1300)과 인접한 면이며, 제2 측면(1220)은 후면(1100)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1 측면(1210)은 전면(1300)에서 연장되는 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1300)의 면적은 후면(1100)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은 홀더(900)의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1500), 홀더(900)는 바디(9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910)는 미러(1000)의 후면(1100)과 접촉하는 제1 면(901)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면(901)이 대향하여 배치되고, 2개의 제1 면(90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측부(910A)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측부(910A)에는 체결홀(910A)이 배치될 수 있다. 체결홀(910A)은 홀더(900)와 브라켓(92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도 7은 홀더(900)의 브라켓(92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브라켓(920)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1500), 브라켓(920)은 홀더(900)의 바디(910)와 미러(1000)를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접착제만 사용하는 경우, 홀더(900)와 미러(1000)의 결합성이 약하기 때문에, 브라켓(920)을 통해 홀더(900)와 미러(1000)를 추가적으로 고정한다. 브라켓(920)은 브라켓 바디(921)와 클립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921)는 홀더(900)의 측부(910A)에 고정된다. 브라켓 바디(921)의 단면 형상은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브라켓 바디(921)에는 체결홀(921a)이 형성된다. 체결홀(921a)을 관통한 제1 스크류(20) 또는 제2 스큐류(30)를 통해 브라켓 바디(921)가 홀더(900)의 바디(910)에 결합한다.
클립부(922)는 브라켓 바디(92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클립부(922)는 탄성변형 가능한 부재이며 미러(1000)의 측면(1200)을 가압하여 미러(1000)를 직접적으로 고정하는 부분이다.
클립부(922)는 제1 영역(922a)과 제2 영역(92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922a)은 브라켓 바디(921)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이다. 제2 영역(922b)은 제1 영역(922a)에서 브라켓 바디(921)측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홀더(900)는 미러(1000)와 접촉하여 미러(1000)를 홀더(900)에 고정하는 제1 돌출부(902)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902)는 제1 면(901)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하, 도면에서 L은 제1 면(901)의 연장면을 나타내는 기준면(L)이며, 브라켓(920)에서. 기준면(L)보다 돌출된 제2 영역(922b)이 제1 돌출부(902)에 해당한다.
도 9는 홀더(900)와 미러(1000)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1500), 제1 돌출부(902)로서, 브라켓(920)의 제2 영역(922b)이 미러(1000)의 측면(1200)에 접촉하여 미러(1000)를 홀더(90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922b)이 미러(1000)의 경사진 제1 측면(1210)에 접촉하여 미러(1000)를 가압한다. 제2 영역(922b)이 제1 측면(1210)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홀더(9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미러(1000)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922b)에는 제1 측면(1210)과 접촉하는 패드가 부착되어, 제1 측면(1210)이 긁혀 손상되거나, 제2 영역(922b)과 제1 측면(1210) 사이에 유격에 의해 진동, 소음, 이탈 등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홀더(900)와 미러(1000)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1500), 도 10의 (a)에서 (b)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홀더(900)의 바디(910)에 미러(1000)를 1차적으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의 (c)에서 (d)와 같이, 브라켓(920)을 홀더(900)의 바디(910)에 장착하면(1500), 브라켓(920)의 클립부(922)가 미러(1000)의 측면(1200)을 가압하여 홀더(900)의 바디(910)에 미러(1000)를 추가적으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의 (e)에서 (f) 와 같이, 제1 스크류(20) 및 제2 스큐류(30)를 통해 브라켓(920)을 홀더(900)의 바디(910)에 체결시키면, 미러(1000)가 홀더(900)에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도 11은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의 바디(9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서 도시한 바디(910)가 배치된 홀더(900)와 미러(10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는, 홀더(900)의 바디(910)에 제2 돌출부(90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출부(905)는 제1 면(901)보다 돌출되어 미러(1000)의 상면(1400) 또는 하면(1500)에 접촉한다. 제1 돌출부(902)가 미러(1000)의 측면(1200)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2 돌출부(905)가 미러(1000)의 상면(1400)과 하면(1500)을 지지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미러(1000)를 홀더(9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미러(1000)가 홀더(90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돌출부(905)로 인하여, 미러(1000)의 높이(H1)는 브라켓(920)의 높이(H2)보다는 크고, 홀더(900)의 높이(H3)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와 미러(10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한 브라켓(920)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에서 도시한 브라켓(920)의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1500),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와 미러(1000)는, 홀더(900)가 미러(1000)의 전면(1300)에 접촉하여 미러(1000)를 고정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홀더(900)의 브라켓(920)의 클립부(922)는 제3 영역(922c)과 제4 영역(92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922c)은 브라켓 바디(921)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영역(922d)은 제3 영역(922c)에서 브라켓 바디(921)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영역(922d)은 미러(1000)의 전면(1300)과 접촉한다. 제4 영역(922d)의 길이는 제3 영역(922c)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미러(1000)의 전면(1300)을 최소한으로 가리기 위함이다.
도 17은 미러(1000)의 전면(1300)을 접촉하여 미러(1000)를 홀더(900)에 고정하는 브라켓(92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1500), 브라켓(920)의 클립부(922)의 제4 영역(922d)이 미러(1000)의 전면(1300)의 에지 부근과 접촉하여 미러(1000)를 홀더(900)의 바디(9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브라켓(920)이 미러(1000)의 전면(1300)과 접촉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브라켓(920)이 미러(1000)의 측면(1200)을 고정하는 경우보다 미러(1000)를 홀더(9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4 영역(922d)이 미러(1000)의 전면(1300) 중 극히 일부만을 고정하고, 브라켓(920)의 높이가 미러(10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센싱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미러(1000)를 홀더(9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와 미러(10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도시한 홀더(900)와 미러(1000)의 분해도이고, 도 20은 도 18에서 도시한 홀더(900)와 미러(1000)의 평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1500),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는 바디(910)의 일부가 미러(1000)의 측면(1200)을 지지하는 제1 돌출부(902)로서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910)는 제1 파트(911)와 제2 파트(9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911)와 제2 파트(912)는 제1 스크류(20)와 제2 스크류(30)에 의해 결합된다. 제1 파트(911)와 제2 파트(912)는 모양과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제1 파트(911)와 제2 파트(912)는 각각 단면형상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911)와 제2 파트(912)는 미러(1000)의 폭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911)는 미러(1000)의 후면(1100)과 접촉하는 제1 면(901)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912)는 미러(1000)의 후면(1100)과 접촉하는 제1 면(901)의 나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902)는 미러(1000)의 일측면(1200)과 접촉하는 제1-1 돌출부(902A)와 미러(1000)의 타측면(1200)과 접촉하는 제1-2 돌출부(9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돌출부(902A)는 제1 파트(911)의 단부에서 제1 면(901)보다 돌출되어 배치된다. 제1-2 돌출부(902B)는 제2 파트(912)의 단부에서 제1 면(901)보다 돌출되어 배치된다.
제1 돌출부(902)의 두께(t1)는 미러(1000)의 두께(t2)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스크류(20)는 제1 파트(911) 측에서 제1 파트(911)와 제2 파트(912)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크류(20)의 헤드는 제1 파트(911)와 접촉한다. 제2 스크류(30)는 제2 파트(912) 측에서 제1 파트(911)와 제2 파트(912)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크류(30)의 헤드는 제2 파트(912)와 접촉한다,
도 21은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와 미러(10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에서 도시한 홀더(900)와 미러(1000)의 분해도이고, 도 23은 도 21에서 도시한 홀더(900)와 미러(1000)의 평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2을 참조하면(1500),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홀더(900)는 바디(910)의 일부가 미러(1000)의 측면(1200)을 지지하는 제1 돌출부(902)로서 실시되되, 바디(910)가 3개의 파트로 구성되고, 미러(1000)의 측면(1200)이 단차지게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910)는 제3 파트(913)와 제4 파트(914)와 제5 파트(9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913)는 제1 면(901)을 포함하는 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파트(914)와 제5 파트(915)는 제1 스크류(20)와 제2 스크류(30)를 통해 각각 제3 파트(913)에 결합된다. 제4 파트(914)와 제5 파트(915)는 각각 단면형상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파트(914)와 제5 파트(915)에는 각각 제1 돌출부(902)가 배치될 수 있다.
미러(1000)의 측면(1200)은 미러(1000)의 전면(1300)과 인접하는 제3 측면(1200)과 미러(1000)의 후면(1100)과 인접하는 제4 측면(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1200)과 제4 측면(1200)은 단차면(1250)으로 연결된다. 제1 돌출부(902)는 단차면(1250)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미러(1000)의 일부와 제1 돌출부(902)의 일부가 미러(1000)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돌출부(902)와 미러(1000)의 측면(1200)구조는 미러(1000)와 홀더(900)의 결합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특히, 미러(1000)가 원심력에 의해 모터의 반경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샤프트
200: 로터
210: 요크
220: 구동마그넷
230: 센싱마그넷
300: 스테이터
400: 기판
500: 베어링 하우징
600: 플레이트
700: 베어링
700A: 제1 베어링
700B; 제2 베어링
800: 연결부재
900: 홀더
901: 제1 면
902: 제1 돌출부
903: 제2 돌출부
910: 바디
911: 제1 파트
912: 제2 파트
913: 제3 파트
914: 제4 파트
915: 제5 파트
920: 브라켓
921: 브라켓 바디
922: 클립부
1000: 미러
1000A: 제1 미러
1000B: 제2 미러
1100: 후면
1200: 측면
1300: 전면
1400: 상면
1500: 하면

Claims (16)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며 요크를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 상에 배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미러;
    상기 홀더는 상기 미러의 후면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측면과 전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양 측면과 접촉하는 모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 보다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상면 또는 하면과 접촉하는 모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높이는 상기 브라켓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홀더의 높이보다 작은 모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절곡되어 상기 미러의 측면과 접촉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모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미러의 전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1 측부와 접촉하는 모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전면과 접촉하는 모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절곡되어 상기 미러의 전면과 접촉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모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측면 중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1 돌출부와, 상기 미러의 측면 중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1-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 결합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중 일부는 상기 제1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 중 나머지는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돌출부는 상기 제1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돌출부는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되는 모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미러의 폭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모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걸쳐 체결되는 제1 스크류와 제2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제1 파트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제2 파트에 접촉하는 모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미러의 두께와 동일한 모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미러의 측면 중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1 돌출부와, 상기 미러의 측면 중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1-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면과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제3 파트와, 상기 제3 파트에 결합하는 제4 파트와, 상기 제4 파트에 결합하는 제5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3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4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5 파트에 배치되는 모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 및 상기 제4 파트는 상기 미러의 후면과 이격 배치되는 모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측면은 상기 미러의 전면과 연결되는 제3 측면과, 상기 미러의 후면과 연결되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은 단차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단차면과 접촉하는 모터.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일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미러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
KR1020200052818A 2020-01-20 2020-04-29 모터 KR20210133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818A KR20210133778A (ko) 2020-04-29 2020-04-29 모터
US17/793,708 US20230046753A1 (en) 2020-01-20 2021-01-19 Motor
JP2022544122A JP2023510970A (ja) 2020-01-20 2021-01-19 モータ
CN202180010124.6A CN115004525A (zh) 2020-01-20 2021-01-19 电机
EP21744824.0A EP4096072A4 (en) 2020-01-20 2021-01-19 ENGINE
PCT/KR2021/000731 WO2021149995A1 (ko) 2020-01-20 2021-01-19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818A KR20210133778A (ko) 2020-04-29 2020-04-29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778A true KR20210133778A (ko) 2021-11-08

Family

ID=7848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818A KR20210133778A (ko) 2020-01-20 2020-04-29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37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762B1 (ko) 리니어모터의 마그네트 조립체
JP594572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05511B2 (en) Vehicular alterna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629875B2 (ja) モータ
US8189290B2 (en) Spindle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230317B2 (en) Rotor and motor including same
JP2014039429A (ja) モータ
US20100118363A1 (en) Optical scanning sensor
JP2017225319A (ja) モータ
KR20210133778A (ko) 모터
US11799349B2 (en) Motor
JP2013113785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JPH10239342A (ja) 磁気センサ
JP5471412B2 (ja) レンズ保持装置
EP4096072A1 (en) Motor
EP3719977A1 (en) Motor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motor
JP2009092406A (ja) 光ファイバジャイロのケース構造
JP7276647B2 (ja) モータ
US20230418025A1 (en) Optical module
KR20210093623A (ko) 모터
KR20210099807A (ko) 모터
JP7311090B2 (ja) モータ
JP5820686B2 (ja) モータ
US20240019686A1 (en) Rotary reciprocating drive actuator
KR20210094825A (ko)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