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906A - 전해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수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906A
KR20210132906A KR1020200051383A KR20200051383A KR20210132906A KR 20210132906 A KR20210132906 A KR 20210132906A KR 1020200051383 A KR1020200051383 A KR 1020200051383A KR 20200051383 A KR20200051383 A KR 20200051383A KR 20210132906 A KR20210132906 A KR 20210132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zed water
case
space
electrode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952B1 (ko
Inventor
손원근
강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켐텍
Priority to KR102020005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9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7DC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생성되는 전해수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체적인 구조를 컴팩트하게 하며, 전해수 생성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 일측에 제1공간(10)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2); 내부 일측에 제2공간(14)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16); 내부에 제3공간(18)을 형성하며, 제1케이스(12) 및 제2케이스(16)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로 적층되는 제3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2)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0)과 연통되는 투입구(22); 상기 제3케이스(20) 측면에 형성되며, 제3공간(18)과 연통되는 배출포트(24); 상기 제1공간(10) 내지 제3공간(18)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22)로 공급된 물을 이온 분리하여 상기 배출포트(24)로 배출시키는 살균수단(26)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수 생성 장치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문헌 001은 관상전극에 의한 무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뚫린 관상(pipe)의 전극을 전해조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처럼 이온분리용 격막을 별도로 설비하지 않아도 양극(+)의 관상전극 내경부로 유입된 강산성전해수와 음극(-)의 관상전극 내경부로 유입된 강알칼리성전해수를 각각 따로 분리 수거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전극에 의한 무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02는 과일, 야채, 어패류, 식육 등의 식품원료 및 가공제품 또는 살균소독이 필요한 다양한 시설 등에서 살균소독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세정수로 사용하는 알카리성 전해수를 생성시키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03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과 하나 이상의 음극판으로 이루어진 전극판의 양단부에서 상기 전극판을 지지하고 상기 전극판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전해수 생성 장치용 전극 적층 구조체로서, 상기 전극판의 양측 단부에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구비되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비전도성 소재의 스페이서; 상기 전극판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전극판과 상기 스페이서에 삽입되고, 상기 전극판에 전류가 통전되도록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체결 볼트; 및 상기 양극판 또는 음극판이 상기 체결 볼트와 통전되지 않도록 상기 전극판 및 체결 볼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부도체 링을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용 전극 적층 구조체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04는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내포하며,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 격막이 있는 유격막 전해조가 적어도 둘 이상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직렬로 연결된 전해조와 전해조의 사이에는 전해수를 저수하는 저수조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저수조는 직전 전해조에서 발생한 양극전해수와 음극전해수를 분리하여 저수하며, 상기 양극전해수는 직후 전해조의 양극셀로 인입되며, 상기 음극전해수는 직후전해조의 음극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저수조는 직전 전해조에서 발생한 양극전해수와 음극전해수를 분리하여 저수하며, 상기 양극전해수는 직후 전해조의 음극셀로 인입되며, 상기 음극전해수는 직후전해조의 양극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하며,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는 전해수에 포함된 기체를 제거하는 기체제거장치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KR 10-567-0075372 A (공개일자 567년07월18일) KR 10-309044 B1 (등록일자 2015년12월14일) KR 10-2019-003208 A (공개일자 2019년02월19일) KR 20-072002 Y1 (등록일자 561년07월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실에서 생성되는 전해수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체적인 모듈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하며, 전해수 생성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는, 내부 일측에 제1공간(10)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2); 내부 일측에 제2공간(14)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16); 내부에 제3공간(18)을 형성하며, 제1케이스(12) 및 제2케이스(16)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로 적층되는 제3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2)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0)과 연통되는 투입구(22); 상기 제3케이스(20) 측면에 형성되며, 제3공간(18)과 연통되는 배출포트(24); 상기 제1공간(10) 내지 제3공간(18)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22)로 공급된 물을 이온 분리하여 상기 배출포트(24)로 배출시키는 살균수단(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상기 살균수단(26)은, 상기 제1공간(10)에 위치하며, 제1전극판(30)과 밀착되는 일측 표면에 제1유로(36)를 형성하는 제1삽입체(38); 상기 제2공간(14)에 위치하며, 제2전극판(32)과 밀착되는 일측 표면에 제2유로(40)를 형성하는 제2삽입체(42); 상기 제3공간(18)에 위치하며, 제3전극판(34)과 밀착되는 양측 표면에 제3유로(44)를 형성하는 제3삽입체(46); 상기 제1전극판(30) 내지 상기 제3전극판(34)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되는 이온교환멤브레인(48)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판(30) 내지 제3전극판(34)은 직류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이온교환멤브레인(48)의 양측에 밀착되는 전극판의 극성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3전극판(34)과 결합되며, 블록형태로 형성되는 통전체(50); 일측이 상기 통전체(50)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3케이스(20) 외부로 관통되는 통전봉(52); 상기 제3삽입체(46)의 제3유로(44)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포트(24)와 연통되는 배출관(5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12) 내지 제3케이스(2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6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는, 상기 통전봉(52)과 결합되며, 전류를 연통하는 전원공급수단(7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플러스전극과 마이너스전극에서 전해수가 각각 형성되는 전해수 모듈를 두 개 이상으로 적층하여 구성하고, 원수와 전원을 병렬식으로 공급하여 전해수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온교환멤브레인이 마이너스전극과 플러스전극과 갭없이 접촉하는 구조로, 전체적인 모듈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고, 전해수 생성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원레일이 각 플러스전극과 마이너스전극에 전원을 분배하고, 원수레일이 각 전극실로 원수를 분배하는 구조를 통해서 보다 효과적으로 전원을 분배하고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일부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삽입체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일부 분해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과 삽입체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일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일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일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전극판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생성 유닛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시한 인용번호는 제시된 번호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와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에 대하여 균등대상에 해당된다.
전해수는 이온수라고도 한다. 물에 양극과 음극의 백금도금을 한 티탄을 넣어 직류의 전기를 통하면, (+)극 쪽에는 물에 녹아 있는 음이온이 모이게 되어 산성이온수가 되고, (-)극 쪽에는 양이온이 모여 알칼리이온수가 생긴다.
산성이온수의 경우 수렴작용이 있어 피부를 수축시키며, 약산성인 피부를 보호하여 미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알칼리이온수의 경우 몸에 이로운 미네랄(무기염류)이 일반적인 물보다 많으며, 물 분자를 작게 만들기 때문에 미네랄 등의 흡수력이 높아져 설사, 변비의 개선, 위의 작용을 도와준다.
아울러, 전해수는 살균·소독제, 세정제, 세제, 왁스, 농약 등의 화학물질 대용으로도 사용되며, 이 밖에도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기 때문에 각종 오염물질을 감소시켜 수질오염과 대기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보건환경적인 면에서 해로운 요소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내부 일측에 제1공간(10)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2); 내부 일측에 제2공간(14)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16); 내부에 제3공간(18)을 형성하며, 제1케이스(12) 및 제2케이스(16)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로 적층되는 제3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2)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0)과 연통되는 투입구(22); 상기 제3케이스(20) 측면에 형성되며, 제3공간(18)과 연통되는 배출포트(24); 상기 제1공간(10) 내지 제3공간(18)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22)로 공급된 물을 이온 분리하여 상기 배출포트(24)로 배출시키는 살균수단(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1, 2, 3, 4참조), 전해수 생성 장치는 양 외측에 배치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이 제1, 제2케이스 사이에 제3케이스가 적어도 두 개 배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케이스는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중 두 개는 통전봉을 통해서 플러스전극이 인가되고, 나머지 2개는 마이너스 전극이 인가되고, 제3케이스는 각각 산성전해수와 알칼리전해수를 각각 생성하며, 제3케이스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전해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케이스 안에는 제1공간이 형성되고, 제2케이스 안에는 제2공간이 형성되며, 제3케이스 안에는 제3공간이 형성되고, 제1케이스의 측면에는 원수가 공급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제1, 제2, 제3공간 안에는 물을 전해수로 전환하는 살균수단이 구성되고, 투입구로 공급되는 원수는 각각 제1, 제2, 제3케이스의 내주면 측으로 공급되고, 살균수단에 의해서 전해수가 생성되고, 생성된 전해수는 제3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포트를 통해서 배출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2) 내지 제3케이스(20) 중 적어도 하나는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2) 내지 제3케이스(2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1, 2, 3, 4참조), 통전봉을 통해서 살균수단으로 전원이 공급되는데, 제1-3케이스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소재로 만들어져서 전해수 생성을 위한 조건을 충족시킨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2) 내지 제3케이스(20) 중 선택된 두 개의 접촉면에 형성된 제1실링(28)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28)은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28)은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28)은 경사면(17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12, 13 참조), 제3케이스 사이에는 제1실링이 구성되는데, 이 제1실링은 오링, 및 가스켓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며, 제1실링이 안착되는 메인실링홈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3케이스 사이에는 경사면(175)이 더 형성되고, 이 경사면에는 경사실링부재(180)와 경사홈(185)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 구조를 통해서 결합구조와 실링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26)은 상기 제1공간(10)에 위치하며, 제1전극판(30)과 밀착되는 일측 표면에 제1유로(36)를 형성하는 제1삽입체(38); 상기 제2공간(14)에 위치하며, 제2전극판(32)과 밀착되는 일측 표면에 제2유로(40)를 형성하는 제2삽입체(42); 상기 제3공간(18)에 위치하며, 제3전극판(34)과 밀착되는 양측 표면에 제3유로(44)를 형성하는 제3삽입체(46); 상기 제1전극판(30) 내지 제3전극판(34)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되는 이온교환멤브레인(48);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판(30) 내지 제3전극판(34)은 직류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이온교환멤브레인(48)의 양측에 밀착되는 전극판의 극성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2, 3, 4 참조), 살균수단은 제1, 제2, 제3케이싱의 제1, 제2, 제3공간에 배치되는 제1, 제2, 제3삽입체를 포함하고, 제1삽입체는 제1전극판과 접촉되고, 제2삽입체는 제2전극판과 접촉되고, 제3삽입체는 제3전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1케이스의 제1공간 안에는 제1삽입체과 제1전극판이 배치되고, 도 3을 참조하면, 제2케이스의 제2공간 안에는 제2삽입체와 제2전극판이 배치되며, 제4를 참조하면, 제3케이스의 제3공간 안에는 제3삽입체와 제3전극판이 배치되며, 제1전극판과 제3전극판 사이에는 이온교환멤브레인이 개재되며, 제3전극판과 제2전극판 사이에도 이온교환멤브레인이 개재되며, 제3전극판 사이에도 이온교환멤브레인이 개재되어 접촉된다. 즉, 제3케이스의 제3공간 안에는 제3삽입체를 가운데 두고, 두 개의 제3전극판이 양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제3케이스에 배치되는 제3전극판과 다른 제3케이스에 배치되는 제3전극판 사이에는 이온교환멤브레인이 개재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36) 내지 제3유로(44) 중 적어도 하나는 홈 또는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체(38) 내지 제3삽입체(46) 중 적어도 하나는 원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2, 3, 4 참조), 제1, 제2, 제3삽입체에는 제1, 제2, 제3전극판과 접촉하는 면에는 제1유로, 제2유로, 제3유로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유로들은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외주면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36) 내지 제3유로(44) 중 적어도 하나는 방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36) 내지 제3유로(44)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 또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36) 내지 제3유로(44) 중 적어도 하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2, 3, 4, 7 참조), 제 제1유로, 제2유로, 및 제3유로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방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유로들은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소용돌이 형태와 같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7]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36) 내지 제3유로(44)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흐름 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거나,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7 참조), 제 제1유로, 제2유로, 및 제3유로는 외측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폭도 물의 흐름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3전극판(34)과 결합되며, 블록형태로 형성되는 통전체(50); 일측이 상기 통전체(50)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3케이스(20) 외부로 관통되는 통전봉(52); 상기 제3삽입체(46)의 제3유로(44)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포트(24)와 연통되는 배출관(5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2, 3, 4 참조), 통전체를 기준으로 제3전극판이 양측에 고정되고, 제3전극판 사이에 제3삽입체가 개재되며, 통전봉이 제3케이스의 측면을 관통하여 통전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3삽입체에는 배출관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관은 제3삽입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3유로와 연결되어 생성된 전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54)은, 구멍형상이고 상기 제3삽입체(46)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유로(44)와 연통되는 제1배출관(56); 파이프형상이고 상기 제1배출관(56)과 연결되며 상기 배출포트(24)와 연통되는 제2배출관(5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7 참조), 제1삽입체, 제2삽입체, 및 제3삽입체의 각 측면에는 각각 제1유로, 제2유로, 및 제3유로가 각각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삽입체에 형성된 배출관은 제3유로와 연결되는 제1배출관 및 배출포트와 연통되는 제2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내부오 공급되는 원수는 제3유로, 제1배출관, 제2배출관, 및 배출포트를 통해서 외부로 전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통전체(50)와 상기 제2배출관(54)은 상기 제3케이스(20)와 제3삽입체(46)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공간(60)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통전봉(52) 일측은 숫나사로 형성되며, 상기 통전체(50)는 암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통전봉(52) 일측은 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통전체(50)에는 홈이 형성되며 이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5 참조), 제3케이스의 내주면 측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통전체와 제2배출관이 이러한 이격공간에 배치되며, 통전봉은 숫나사로 형성되고, 통전체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통전봉이 제3케이스의 측면을 관통하여 통전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통전봉(52)과 상기 제3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제2실링(6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7]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62)은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5 참조), 통전봉의 외주면에는 제2실링이 구성되고, 이러한 제2실링은 통전봉과 제3케이스 사이에 밀봉구조를 구현하여, 전해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8]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통전체(50)는 상기 제3케이스(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통전체홈(404)에 안착될 수 있다.
[실시예 3-9]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관(54)은 각각 상기 제3케이스(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배출관홈(402)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4, 5 참조), 통전체가 통전체홈에 안착되어 통전체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고, 통전체와 고정되는 전극판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배출관이 배출관홈에 안착되어 제2배출관을 통한 제3삽입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극판과 삽입체가 케이스 내부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2) 내지 제3케이스(2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64)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64)은 상기 제1케이스(12) 내지 제3케이스(20)의 동일위치에 형성되는 스르홀(66); 상기 스르홀(66)에 삽입되는 체결봉(6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6 참조), 복수 개의 케이스들(제1, 제2, 제3케이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먼저, 케이스들에는 스르홀이 형성되고, 이 스르홀에 체결봉이 삽입되고, 이 체결봉의 양단부에 체결너트 등이 나사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너트를 조여서 케이스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64)은 상기 제1케이스(12) 내지 제3케이스(20)를 일체로 묶는 밴드(70)일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밴드(70)를 고정하는 클램프(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6 참조), 복수 개의 케이스들을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은 밴드타입일 수 있고, 이 밴드를 조이는 클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통전봉(52)과 결합되며, 전류를 연통하는 전원공급수단(74)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74)은 플러스전원이 공급되는 제1전원공급레일(260a) 및 마이너스 전원이 공급되는 제2전원공급레일(26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17, 19 참조), 통전봉들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수단은 제1, 제2전원공급레일을 포함하고, 제1전원공급레일은 플러스전원을 공급하고, 제2전원공급레일은 마이너스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수단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파워부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5-2에 있어서, 공급되는 전원의 극을 서로 전환시키는 극전환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배출포트(24)에서 배출되는 전해수의 ph를 감지하는 ph감지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17 참조), 전해수생성유닛의 배출포트에서 배출되는 전해수의 ph를 감지하는 ph감지부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를 통해서 전해수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3케이스(20)가 적층되고, 제1, 제2케이스(12, 16)가 외측에 결합되며, 제3케이스(20)의 외측에는 통전봉(52)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포트들과 배출포트들이 각각 형성된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제3케이스(20)들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1, 제2케이스(12, 16)가 결합되며, 제3케이스(20)에 형성되는 공간 안에는 제3전극판(34)과 통전체(50)가 배치되고, 이 통전체(50)는 통전봉(52)과 결합되며, 케이스 사이에는 이온교환멤브레인(48)이 개재되고, 각 전극판(34)은 이온교환멤브레인(48)과 접촉한다. 여기서, 이온교환멤브레인은 케이스에 형성된 공간을 분리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극판(34)은 망 타입으로,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통전체(50)는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의 전극판(34)과 고정된다. 아울러, 이들 사이에 제3삽입체(46)가 개재되고, 전극판과 접촉하는 면에는 유로(44)가 형성된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제3케이스(20) 사이의 결합면에는 오링형태의 제1실링(28)이 개재되고, 결합면에는 실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결합면에는 실링돌기(165)와 실링홈(170)이 형성되고, 이온교환멤브레인(48)은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가스켓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케이스(20) 사이에는 경사면(175)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175)에 경사실링부재(180)가 개재될 수 있으며, 경사면(175)에는 경사실링부재(180)가 안착되는 경사홈(18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통전봉(52)이 케이스(20)의 외측에 배열되고, 일측에 배열되는 통전봉(52)에는 제1전원레일(260a)이 접촉하고, 타측에 배열되는 통전봉(52)에는 제2전원레일(260b)이 접촉한다. 여기서, 플러스전원과 마이너스전원이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해수생성유닛에는 원수레일(250)과 제1, 제2전해수레일(255a, 255b)이 각각 일측과 타측에 구성된다. 원수레일(250)은 각각의 공급포트들과 결합되고, 제1, 제2전해수레일(255a, 255b)은 각각의 배출포트들과 결합되어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배출시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케이스(20)의 외측에는 각각 원수공급포트(145)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들은 원수레일(250)에 형성된 삽입구(280)에 삽입되며, 삽입구(280)의 내주면에는 원수실링부재(285)가 형성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해수생성유닛(800)의 주변 구성요소들로써, 유량제어밸브(810), 원수레일(250), 제1전원레일(260a), 제2전원레일(260b), 파워부(805), 극전환부(78), 제어부(76), 제1전해수레일(255a), 제2전해수레일(255b), ph감지부(80), 및 전환밸브(235)가 구성된다.
유량제어밸브(810)는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제어하고, 원수레일(250)은 각 포트들로 원수를 분배하며, 전해수생성유닛(800)은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각각 생성하며, 제1전해수레일(255a)은 알칼리수를 배출시키고, 제2전해수레일(255b)은 산성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ph감지부(80)는 배출되는 전해수의 ph를 감지하며, 전환밸브(235)는 전해수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아울러, 극전환부(78)는 각 전원레일(260a, b)로 공급되는 전원의 플러스 마이너스 전극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파워부(805)는 제1, 제2전원레일(260a, b)로 전원을 공급한다. 아울러, 제어부(76)는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삽입체(46)는 망형 또는 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판형일 경우에 타공홀(2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면에는 전극홈(10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전원레일(260a)과 제2전원레일(260b)을 전극봉(52)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탄성재질의 밴드(27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제1, 제2, 제3케이스(12, 16, 20)들을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구조로써, 가압판재(300), 가압봉(305), 및 가압너트(310)가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밴드(27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밴드(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밴드이탈방지돌기(13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10: 제1공간 12: 제1케이스
14: 제2공간 16: 제2케이스
18: 제3공간 20: 제3케이스
22: 투입구 24: 배출포트
26: 살균수단 28: 제1실링
30: 제1전극판 32: 제2전극판
34: 제3전극판 36: 제1유로
38: 제1삽입체 40: 제2유로
42: 제2삽입체 44: 제3유로
46: 제3삽입체 48: 이온교환멤브레인
50: 통전체 52: 통전봉
54: 배출관 56: 제1배출관
58: 제2배출관 60: 이격공간
62: 제2실링 64: 체결수단
66: 스르홀 68: 체결봉
70: 밴드 72: 클램프
74: 전원공급수단 76: 제어부
78: 극전환부 80: ph감지부
145: 공급포트 235: 전환밸브
250: 원수레일 255a: 제1전해수레일
255b: 제2전해수레일 260a: 제1전원레일
260b: 제2전원레일 270: 밴드
280: 삽입구 285: 원수실링부재
300: 가압판재 310: 가압너트
800: 전해수생성유닛 805: 파워부
810: 유량제어밸브 1300: 밴드이탈방지돌기

Claims (5)

  1.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내부 일측에 제1공간(10)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2);
    내부 일측에 제2공간(14)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16);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과 연통하는 제3공간(18)을 안쪽에 형성하며, 제1케이스(12) 및 제2케이스(16)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로 적층되는 제3케이스(20);
    상기 제1케이스(12)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0)과 연통되는 투입구(22);
    상기 제3케이스(20) 측면에 형성되며, 제3공간(18)과 연통되는 배출포트(24);
    상기 제1공간(10) 내지 제3공간(18)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22)로 공급된 물을 이온 분리하여 상기 배출포트(24)로 배출시키는 살균수단(26);을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26)은 상기 제1공간(10)에 위치하며, 제1전극판(30)과 밀착되는 일측 표면에 제1유로(36)를 형성하는 제1삽입체(38);
    상기 제2공간(14)에 위치하며, 제2전극판(32)과 밀착되는 일측 표면에 제2유로(40)를 형성하는 제2삽입체(42);
    상기 제3공간(18)에 위치하며, 제3전극판(34)과 밀착되는 양측 표면에 제3유로(44)를 형성하는 제3삽입체(46);
    상기 제1전극판(30) 내지 제3전극판(34) 사이에 각각 접촉되는 이온교환멤브레인(48);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판(30) 내지 제3전극판(34)은 직류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이온교환멤브레인(48)의 양측에 밀착되는 전극판의 극성은 상이한 전해수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3전극판(34)과 결합되며, 블록형태로 형성되는 통전체(50);
    일측이 상기 통전체(50)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3케이스(20) 외부로 관통 되는 통전봉(52);
    상기 제3삽입체(46)의 제3유로(44)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포트(24)와 연통되는 배출관(54);을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2) 내지 제3케이스(2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64);을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봉(52)과 결합되며, 전류를 연통하는 전원공급수단(74);을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KR1020200051383A 2020-04-28 2020-04-28 전해수 생성 장치 KR10234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83A KR102344952B1 (ko) 2020-04-28 2020-04-28 전해수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83A KR102344952B1 (ko) 2020-04-28 2020-04-28 전해수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906A true KR20210132906A (ko) 2021-11-05
KR102344952B1 KR102344952B1 (ko) 2021-12-30

Family

ID=7850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383A KR102344952B1 (ko) 2020-04-28 2020-04-28 전해수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9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044B1 (ko) 1997-09-19 2001-11-17 가타오카 마사타카 Ic카드용 커넥터장치
KR20040055199A (ko) * 2002-12-20 2004-06-26 권호용 전기분해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기분해수 생성장치,이온수기 및 용존산소 정수기
KR20150016730A (ko) * 2013-08-05 2015-02-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에어 배터리
KR20180055902A (ko) * 2015-10-08 2018-05-25 몰렉스 엘엘씨 전기분해수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KR20190003208A (ko)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8380B1 (ko) * 2016-09-21 2019-05-14 주식회사 파이노 전기분해용 전극셀 및 기능수 생성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044B1 (ko) 1997-09-19 2001-11-17 가타오카 마사타카 Ic카드용 커넥터장치
KR20040055199A (ko) * 2002-12-20 2004-06-26 권호용 전기분해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기분해수 생성장치,이온수기 및 용존산소 정수기
KR20150016730A (ko) * 2013-08-05 2015-02-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에어 배터리
KR20180055902A (ko) * 2015-10-08 2018-05-25 몰렉스 엘엘씨 전기분해수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KR101978380B1 (ko) * 2016-09-21 2019-05-14 주식회사 파이노 전기분해용 전극셀 및 기능수 생성모듈
KR20190003208A (ko)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952B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79510A1 (en) Electrochemical Liquid Treatment Cell with Modular Construction
KR101015621B1 (ko) 순간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JPH06339683A (ja) 電解水生成装置
US20130206671A1 (en) Water Electrolysis Treatment Device
US5292405A (en) Electrolytic cell and method
KR102344952B1 (ko) 전해수 생성 장치
KR100802364B1 (ko) 조립식 전극세트
JP7130626B2 (ja) 電気化学的水処理のための構成
KR101695854B1 (ko) 살균수 순간 제조장치
KR100914511B1 (ko) 은나노이온수 생성장치
KR20090105816A (ko) 정수기
KR20210010156A (ko) 이온수기용 직렬 전해장치
KR101108142B1 (ko) 기능수용 정수시스템
JP4512842B2 (ja) 電解水生成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RU4497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электроактивированных растворов
CN217351066U (zh) 一种阻垢杀菌电解水处理装置
CN211733936U (zh) 一种出水电解装置和出水电解系统
CN211813885U (zh) 一种家用净水装置
JP3733476B2 (ja) 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KR100770037B1 (ko) 이온 정수기용 세척기능을 갖는 전해조
KR20090096267A (ko) 전기분해 샤워장치
KR200386869Y1 (ko) 나권형 전극을 이용한 해수 전해장치
RU20426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воды
KR102062810B1 (ko) 냉각식 통형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
JP2004082078A (ja) 電解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