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864A -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864A
KR20210132864A KR1020200051288A KR20200051288A KR20210132864A KR 20210132864 A KR20210132864 A KR 20210132864A KR 1020200051288 A KR1020200051288 A KR 1020200051288A KR 20200051288 A KR20200051288 A KR 20200051288A KR 20210132864 A KR20210132864 A KR 20210132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
electronic device
message
processo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영
김유신
이동진
정범진
고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2864A/ko
Priority to US17/065,116 priority patent/US11363485B2/en
Priority to PCT/KR2020/013775 priority patent/WO2021221244A1/en
Priority to CN202110162091.9A priority patent/CN113573360A/zh
Priority to EP21160285.9A priority patent/EP3905765A1/en
Publication of KR2021013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7/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etermining packet size, e.g. maximum transfer unit [MT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의 PDCP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first missing count: FMC) 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다양한 실시예는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3G와 LTE에서 사용하던 주파수 대역(예: 6GHz 이하 대역)에 추가하여, 주파수가 더 높은 대역(예: 6GHz 초과 대역)에서의 구현도 고려되고 있다.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네트워크와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및 네트워크 사이에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U(protocol data unit)에 기반한 패킷이 송수신될 수 있다. UL(uplink) 및 DL(downlink)에 대하여 PDCP PDU에는 HFN(hyper frame number) 값이 설정된다. HFN 값과 PDCP PDU의 헤더(header)에 포함되는 SN(sequence number)에 기반하여 카운트(COUNT)가 설정된다. 사용자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는, 카운트를 사용하여 PDCP PDU의 in-order delivery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는, 카운트를 사용하여 무결성(integrity) 검증 및/또는 ciphering/deciph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송신 측 PDCP PDU의 SN과, 수신 측에서 기대하는 PDCP PDU의 SN이 크게 차이 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UL의 경우, 사용자 장치가 송신하는 PDCU PDU의 SN이 네트워크에서 수신하기를 기대하는 SN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가 송신하는 PDCP PDU의 SN이 점차 증가하여 네트워크에서 수신하기를 기대하는 SN과 일치하기 전까지, 모든 PDCP PDU가 out of window로 폐기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가 송신하는 PDCP PDU의 SN이 100이고 네트워크 기대하는 SN이 500일 경우에, 사용자 장치가 송신하는 100 내지 499의 SN을 가지는 PDCP PDU들이, 네트워크에 의하여 모두 폐기된다. DL의 경우, 네트워크에서 송신하는 PDCP PDU의 SN이 사용자 장치가 수신하기를 기대하는 SN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에서 송신하는 PDCP PDU들이 사용자 장치에 의하여 모두 폐기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송신 주체 및 수신 주체 각각에 대응하는 카운트가 불일치함을 확인하여, 불일치 해소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의 PDCP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first missing count: FMC) 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의 PDCP 상태를 나타내는 PDCP status report를 위한 제 1 PDCP 제어 PDU를 수신하고, 상기 PDCP 제어 PDU에 포함된 최초 미수신 카운트(first missing count: FMC) 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함에 기반하여, PDCP 리커버리 요청을 나타내는 PDU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PDCP 제어 PDU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주체 및 수신 주체 각각에 대응하는 카운트가 불일치함을 확인하여, 불일치 해소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운트 불일치에 따른 패킷의 폐기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DCP 계층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ciphering 및 decipher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의 포맷을 도시한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결성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DCP 상태 보고(PDCP status report)를 위한 PDCP 제어 PDU(PDCP control PDU) 포맷을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DCP 데이터 PDU의 포맷을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a 및 1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되는 PDU 및 카운트에 대한 예시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222), 제 2 RFIC(224), 제 3 RFIC(226), 제 4 RFIC(2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232), 제 2 RFFE(234), 제 1 안테나 모듈(242), 제 2 안테나 모듈(244), 및 안테나(24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99)는 제 1 네트워크(292)와 제2 네트워크(2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FIC(222), 제 2 RFIC(224), 제 4 RFIC(228), 제 1 RFFE(232), 및 제 2 RFFE(2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2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1 네트워크(2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네트워크(2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를 통하여 송신되기로 분류되었던 데이터가,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를 통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프로세서 간 인터페이스(213)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간 인터페이스(213)는, 예를 들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예: HS-UART(high speed-UART) 또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express))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또는, 제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예를 들어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를 이용하여 컨트롤 정보와 패킷 데이터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센싱 정보, 출력 세기에 대한 정보, RB(resource block) 할당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제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프로세서(120)(예: application processor)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예: application processor)와 HS-UART 인터페이스 또는 PCIe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인터페이스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또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예: application processor)와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를 이용하여 컨트롤 정보와 패킷 데이터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서와 같이,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 및 제 2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기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242))를 통해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2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244))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2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2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236)는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2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2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2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2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222)와 제 2 RFIC(2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232)와 제 2 RFFE(2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2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2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2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2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2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2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2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2a 및 2b에서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또는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와 분리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의 기능,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의 제 1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기능,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의 제 2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서의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의 동작은, 통합 SoC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시의 실시예는 LTE 통신만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1 RFIC(222), 제 1 RFFE(232), 및 제 1 안테나 모듈(242)을 포함하고, 5G 통신과 연관된 구성 요소(예: 제 2 RFIC(224), 제 2 RFFE(234), 제 2 안테나 모듈(244),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4 RFIC(238), 제 3 안테나 모듈(24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UE)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구조는, PDCP 계층(301), RLC(radio link control) 계층(302), MAC 계층(303), 및 PHY 계층(3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예: 기지국)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구조는, PDCP 계층(311), RLC 계층(312), MAC 계층(313), 및 PHY 계층(3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PDCP 계층(301,311)은,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PDCP 계층(301,311)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RLC 계층(302,312)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기능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LC 계층(302,312)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 계층(303,313)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AC 계층(303,313)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PHY) 계층(304,314)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DCP 계층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할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측 PDCP 엔티티(transmitting PDCP entity)(410)는 SDU(431)를 입력받아, PDU(432)를 출력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receiving PDCP entity)(420)는, PDU(432)를 입력받아, SDU(431)를 출력할 수 있다. PDCP 엔티티(410,420)들은, PDCP 계층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PDU(432)가 라디오 인터페이스(radio interface)(UU)(434)를 통하여, 송신측 PDCP 엔티티(410)로부터 수신측 PDCP 엔티티(420)로 직접 송신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PDU(432)가 RLC 계층, MAC 계층, 물리 계층을 통하여 송신이 수행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411 동작에서, 송신 버퍼(transmission buffer)에서 SDU(431)에 대하여 시퀀스 넘버링(sequence numb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SN을 SDU(431)에 할당할 수 있다.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412 동작에서, SDU(431)에 대하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송신되어야 할 패킷이 PDCP SDU와 연관된 경우에는(Packets associated to a PDCP SDU), 413 동작에서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414 동작에서, 무결성 보호 절차 수행 결과 생성된 데이터 블록(data block)에 대하여, ciph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415 동작에서 PDCP 헤더 추가(add PDCP header)를 수행할 수 있다. 패킷이 PDCP SDU와 연관되지 않은 경우에는(Packets not associated to a PDCP SDU),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무결성 보호 동작 및 ciphering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PDCP 헤더를 추가할 수도 있다.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416 동작에서, PDU(432)의 라우팅(routing)/복제(duplic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421 동작에서, 수신된 PDU(432)로부터 PDCP 헤더를 제거(remove PDCP header)(421)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422 동작에서 decipher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423 동작에서 무결성 검증(integrity ver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424 동작에서, 수신 버퍼(reception buffer)에서, 무결성 검증이 완료된 데이터 블록을 리오더링(reordering), 복제(duplicating), 또는 폐기(discarding)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425 동작에서 헤더 압축해제(header decompression)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패킷이 PDCP SDU와 관련되지 않으면,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PDCP 헤더 제거 후 헤더 압축 해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헤더 압축 해제된 SDU(433)를 상위 계층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ciphering 및 decipher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도 4의 414 동작에서와 같이 ciph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송신측 PDCP 엔티티(예: 도 4의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암호화 키(cipher key)(KEY)(예: 128 비트), 카운트(COUNT)(예: 32 비트), 베어러 식별자(bearer identity)(BEARER)(예: 5 비트), 전송 디렉션(DIRECTION)(예: 1 비트), 요구되는 키스트림 렝스(length of keystream required)(LENGTH)를, NEA(NR encryption algorithm)로 입력할 수 있다. 전송 디렉션(DIRECTION)은, UL은 0이며, DL은 1일 수 있다.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NEA의 출력값으로서 키 스트림 블록(KEYSTREAM BLOCK)을 확인할 수 있다. NEA로 입력되는 값들 중, 카운트(COUNT)는, 패킷마다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의 포맷을 도시한다. 카운트는, 예를 들어 HFN(hyper frame number) 및 PDCP SN(PDCP sequence number)로 구성될 수 있다. HFN은 송신 PDCP 엔티티 및 수신 PDCP 엔티티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으며, SN은 PDU에 포함될 수 있다. 카운트는, 예를 들어 32 비트의 렝스를 가지며, HFN의 렝스는 32에서 PDCP SN 렝스를 뺀 값일 수 있다. PDCP SN은, PDU가 하나씩 전송될 때마다 1씩 증가될 수 있다. 아울러, PDCP SN이 최댓값에 도달하면, PDCP SN은 이후에 다시 시작값으로 복귀하면서, HFN이 1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운트(COUNT)는, 패킷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NEA의 결과값인 키스트림 블록들 또한 패킷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평문 블록(PLAINTEXT BLOCK) 및 키 스트림 블록(KEYSTREAM BLOCK)에 기반하여, 암호문 블록(CIPHERTEXT BLOCK)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평문 블록(PLAINTEXT BLOCK) 및 키 스트림 블록(KEYSTREAM BLOCK)의 연산(예: binary addition)을 수행함으로써, 암호문 블록(CIPHERTEXT BLOCK)을 제공할 수 있으나, 연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측 PDCP 엔티티(예: 도 4의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도 4의 422 동작에서와 같이 deciph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암호화 키(cipher key)(KEY)(예: 128 비트), 카운트(COUNT)(예: 32 비트), 베어러 식별자(bearer identity)(BEARER)(예: 5 비트), 전송 디렉션(DIRECTION)(예: 1 비트), 요구되는 키스트림 렝스(length of keystream required)(LENGTH)를, NEA(NR encryption algorithm)로 입력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NEA의 출력값으로서 키 스트림 블록(KEYSTREAM BLOCK)을 확인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키 스트림 블록(KEYSTREAM BLOCK) 및 수신된 암호문 블록(CIPHERTEXT BLOCK)의 연산에 기반하여 평문 블록(PLAINTEXT BLOCK)을 확인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예를 들어 송신측 PDCP 엔티티(410)에서의 연산의 역과정일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만약, 송신측 PDCP 엔티티(410) 및 수신측 PDCP 엔티티(420)가 확인하는 카운트(COUNT)가 상이하다면,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deciphering에 실패할 수 있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결성 보호 동작 및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도 4의 413 동작에서와 같이 무결성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무결성 키(integrity key)(KEY)(예: 128 비트), 카운트(COUNT)(예: 32 비트), 베어러 식별자(bearer identity)(BEARER)(예: 5 비트), 전송 디렉션(DIRECTION)(예: 1 비트), 메시지(MESSAGE)를, NIA(NR integrity algorithm)로 입력할 수 있다. 메시지(MESSAGE)의 비트 렝스는, LENGTH일 수 있다. 전송 디렉션(DIRECTION)은, UL은 0이며, DL은 1일 수 있다. 송신측 PDCP 엔티티(410)는, NIA의 출력값으로서 MAC-I/NAS-MAC을 확인할 수 있다. NIA로 입력되는 값들 중, 카운트(COUNT)는, 패킷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NIA의 결과값인 MAC-I/NAS-MAC 또한 패킷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MAC-I/NAS-MAC는, 32 비트 메시지 식별 코드일 수 있다. MAC-I/NAS-MAC는, 메시지가 송신 시에 첨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도 4의 424 동작에서와 같이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무결성 키(integrity key)(KEY)(예: 128 비트), 카운트(COUNT)(예: 32 비트), 베어러 식별자(bearer identity)(BEARER)(예: 5 비트), 전송 디렉션(DIRECTION)(예: 1 비트), 메시지(MESSAGE)를, NIA로 입력할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NIA의 출력값으로서 XMAC-I/XNAS-MAC을 확인할 수 있다. XMAC-I/XNAS-MAC은, 예상되는 메시지 인증 코드일 수 있다.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송신측 PDCP 엔티티(410)로부터 수신한 MAC-I/NAS-MAC과 계산한 XMAC-I/XNAS-MAC가 동일하면 무결성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무결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송신측 PDCP 엔티티(410) 및 수신측 PDCP 엔티티(420)가 확인하는 카운트(COUNT)가 상이하다면, 수신측 PDCP 엔티티(420)는, 무결성 검증에 실패할 수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a의 실시예는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DCP 상태 보고(PDCP status report)를 위한 PDCP 제어 PDU(PDCP control PDU) 포맷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601 동작에서, 네트워크로부터 PDCP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부터 PDCP 상태 보고(PDCP status report)를 위한 PDCP 제어 PDU(PDCP control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핸드 오버 시 PDCP 상태 보고를 위한 PDCP 제어 PDU를 수신할 수 있으나, 수신 시점에는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제어 PDU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PDCP 제어 PDU는, 하나 이상의 옥텟(8비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옥텟(Oct1)에는, D/C(data/control) 필드(621), PDU type 필드(622)와 리저브드 필드(623)가 포함될 수 있다. D/C 필드(621)의 값은 해당 PDU가 데이터 PDU인지, 또는 컨트롤 PDU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PDU type 필드(622)의 값은, PDU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0의 값은 PDCP 상태 보고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옥텟(Oct2) 내지 제 5 옥텟(Oct4), 즉 40 비트에는 FMC(first missing count) 필드(624)가 포함될 수 있으며, FMC 필드(624) 내의 값은 수신측 PDCP 엔티티가 리오더링 윈도우에서 최초로 수신하지 못한 PDU의 카운트를 나타낼 수 있다. 제 6 옥텟(Oct 6) 내지 제 5+N 옥텟(Oct 5_N)에는 비트맵 필드(625)가 포함될 수 있다. 비트맵 필드(625)의 렝스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FMC로부터 이후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PDU의 수신/미수신 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603 동작에서,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의 PDCP 제어 PDU의 FMC 필드(624)의 값에 기반하여,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605 동작에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예를 들어, 송신 PDCP 엔티티는, 하기의 상태 변수들(state variables)을 유지할 수 있다.
a)TX_NEXT: 이 상태 변수는, 송신되어야 할 다음 PDCP SDU의 카운트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최초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TX_NEXT의 상태 변수와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607 동작에서,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예: TX_NEXT)보다,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예: FMC)가 큰 경우는, 전자 장치(101)는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보다, 네트워크가 더 큰 카운트를 기대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101), 또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한 오류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예: TX_NEXT)가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예: FMC)보다 큰 경우, 예를 들어 TX_NEXT가 FMC와 지정된 값의 합보다 큰 경우는, 전자 장치(101)는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는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클 수 있다. 하지만,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가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큰 경우, 예를 들어 지정된 값 이상 큰 경우는, 이는 전자 장치(101), 또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한 오류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 각각에 대한 조정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701 동작에서, 네트워크로부터 PDCP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제어 PDU를 수신할 수 있다. 7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제어 PDU의 FMC 필드(624)의 값에 기반하여,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705 동작에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가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작은 것(또는,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관리 중이 TX_NEXT가 수신된 FMC가 더 작은 것(또는,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707 동작에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최초 미수신 카운트로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TX_NEXT를 수신된 FMC로 조정할 수 있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a의 실시예는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DCP 데이터 PDU의 포맷을 도시한다.
도 8a에서, 전자 장치(101)의 업링크 메시지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801 동작에서, TX_NEXT의 SN 부분을 A1-1로 설정(또는, 유지)할 수 있다. 도 8a에 기재되는 A-1, A1, A2는 SN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연수에 대응하는 값으로 도 8b의 PDCP SN 필드(833)에서 설정된 형식을 따를 수 있다. 8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PDU(PDU #1)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PDU(PDU #1)의 SN은 A1-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8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데이터 PDU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PDCP 데이터 PDU는 예를 들어 N개의 옥텟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옥텟(Oct1)에는, D/C(data/control) 필드(831), 리저브드 필드(832), 및 PDCP SN 필드(833)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옥텟(Oct2) 및 제 3 옥텟(Oct3)에는 PDCP SN 필드(833)의 나머지가 포함될 수 있다. D/C 필드(831)의 값은 해당 PDU가 데이터 PDU인지, 또는 컨트롤 PDU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제 4 옥텟(Oct 4) 내지 제 N-4 옥텟에는 데이터(data) 필드(834)가 포함될 수 있다. 제 N-3 옥텟(Oct N-3) 내지 제 N 옥텟(Oct 4)에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MAC-I 필드(835)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803 동작에서, PDCP SN 필드(833)에 A1-1을 나타내는 비트를 포함시킨 제 1 PDU(PDU #1)을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PDU(PDU #1)를 송신하고, 전자 장치(101)는, 805 동작에서, TX_NEXT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TX_NEXT의 SN 부분을 A1으로 기존보다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예시는 HFN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807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로부터 PDCP status report의 control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의 FMC 필드(624) 중 SN 부분이 A2인 control PDU를 수신할 수 있다. Control PDU의 FMC가 TX_NEXT보다 큰 것(또는, 이상인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807 동작에서 Control PDU의 FMC가 TX_NEXT보다 큰 것(또는, 이상인 것)에 기반하여, TX_NEXT를 수신한 FMC로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갱신된 TX_NEXT의 SN은 A2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후 811 동작에서 제 2 PDU(PDU #2)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2 PDU(PDU #2)의 SN은 A1이 아닌 A2로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800)는, 이에 따라 기대하고 있는 SN의 PDU가 수신될 때까지 패킷들을 폐기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에서, 전자 장치(101)의 업링크 메시지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901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로부터 PDCP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제어 PDU를 수신할 수 있다. 9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제어 PDU의 FMC 필드(624)의 값에 기반하여,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905 동작에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중 제 1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으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가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작은지(또는, 이하인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중 제 2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으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가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지정된 값 이상만큼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수학식 1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제 2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로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의 TX_NEXT는, 전자 장치(101)가 관리하는 TX_NEXT이며, FMC는 전자 장치(101)가 수신한 FMC일 수 있다. 수학식 1의 TX_NEXT - X의 값이 FMC보다 큰지 여부는, TX_NEXT - X의 값이 FMC보다 이상인지 여부로 변경될 수도 있다. 수학식 1의 X는, 하나의 예에서, 리오더링 타이머(reordering timer) 동안 전달될 수 있는 PDU의 개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X는, 예를 들어 수학식 2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의 Max throughput은 최대 쓰루풋이며, MTU size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이며, reordering timer는 리오더링 타이머의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ax throughput이 100Mbps, MTU size가 1500Byte, reordering timer가 100ms 경우, X는 100,000,000 / (1500Bytes*8bit) * 0.1 = 833 이 될 수 있다. 만약, reordering timer가 0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reordering timer의 지정된 값(예: 1ms)을 수학식 2에 적용하여 X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X는 패킷 서비스 중인 셀의 대역폭(bandwidth) 정보 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도 있다.
Bandwidth 5 10 15 20 25 30 40
X 800 1600 2400 3200 4000 4800 6400
Bandwidth 50 60 80 90 100 200 400
X 8000 9600 12800 14400 16000 32000 640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X는 Max throughput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도 있다.
Max Throuput(X) 100 200 300 400 500 600 800
X 800 1600 2400 3200 4000 4800 6400
Max Throuput(X) 1000 1200 1600 1800 2000 4000 8000
X 8000 9600 12800 14400 16000 32000 64000
다양한 실시예에서, X는 지정된 상수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예를 들어, 상술한 제 1 조건 및/또는 제 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907 동작에서, RLF(radio link failure) 절차를 통하여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커넥션 재연결을 통하여 데이터 스톨(data stall)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운터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001 동작에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TX_NEXT 및 FMC가, 예를 들어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003 동작에서, RLF를 선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RLF에 대응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UM(unacknowledged mode) 베어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RRC 재형성 절차(RRC reestablishment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1005 동작에서, 셀 선택(cell sele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네트워크(800)(예: 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셀 선택 조건(cell selection condition)을 만족함에 기반하여, 셀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suitable 셀에 캠프 온(camp on)할 수 있다. 10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캠프 온한 셀에 대하여 랜덤 억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송신할 수 있다. 10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캠프 온한 셀로부터 랜덤 억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수신할 수 있다. 10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RRC 재형성을 요청(RRC reestablishment request)을 송신할 수 있다. 1013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는, RRC 재형성(RRC reestablishment)를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101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RRC 재형성 완료(RRC reestablishment complete)를 네트워크(800)에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800)는, 1017 동작에서, RRC 재설정(RRC reconfiguration)을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019 동작에서, RRC 재설정 완료(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UM 베어러의 경우 PDCP re-establish 시에, TX_NEXT가 초기화되기 때문에, 전자 장치(101) 및 네트워크(800) 사이의 카운트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021 동작에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TX_NEXT 및 FMC가, 예를 들어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023 동작에서, RLF를 선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RLF에 대응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AM(acknowledged mode) 베어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RRC_IDLE 상태로 천이하고, 이후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하여서는 SERVICE REQEUST 절차를 통하여 RRC connection을 재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1025 동작에서, 아이들 상태(예: RRC_IDLE 상태)에서 셀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102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셀 선택 결과 캠프온한 네트워크(800)(예: suitable 셀)에 랜덤 억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송신할 수 있다. 1029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는, 랜덤 억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를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103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SERVICE REQUEST를 포함하는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800)는, 1033 동작에서, RRC 셋업(RRC setup)을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103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RRC 셋업 완료(RRC setup complete)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1037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는, RRC 재설정(RRC reconfiguration)을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103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RRC 재설정 완료(RRC connection complete)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AM 베어러는, PDCP re-establish 시 TX_NEXT가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방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 및 네트워크(800) 사이의 카운트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101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로부터 PDCP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11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네트워크(800)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제어 PDU를 수신할 수 있다. 11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제어 PDU의 FMC 필드(624)의 값에 기반하여,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11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TX_NEXT 및 FMC가, 예를 들어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107 동작에서,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PDU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의 제어 PDU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의 PDU type 필드(622)에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값(예: 010)을 포함시킨 제어 PDU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010”은, 예를 들어 PDCP recovery required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자 장치(101) 및 네트워크(800)가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800)는, 전자 장치(101)가 카운트 불일치에 따른 리커버리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800)는, 리커버리 요청이 확인되면, RRC 재설정(reconfigure)을 통하여 PDCP를 다시 설정함으로써 리커버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201 동작에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TX_NEXT 및 FMC가, 예를 들어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203 동작에서,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PDU(예: PDCP Control PDU with PDU type Bit 010, PDCP Recovery required)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M 베어러에서의 문제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의 PDU type 필드(622)에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값(예: 010)을 포함시킨 제어 PDU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1205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는, RRC 재설정 메시지(예를 들어, RRC reconfiguration with reestablishPDCP for the UM bearer)을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12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 및 네트워크(800)는 PDCP 재형성을 통하여, 카운트를 재설정할 수 있으며, 카운트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다.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211 동작에서,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TX_NEXT 및 FMC가, 예를 들어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213 동작에서,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PDU(예: PDCP Control PDU with PDU type Bit 010, PDCP Recovery required)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 베어러에서의 문제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1)는, 도 6b와 같은 포맷의 PDU type 필드(622)에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값(예: 010)을 포함시킨 제어 PDU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1215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는,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예를 들어: RRC Reconfiguration with fullconfig and DRB setup)을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121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 및 네트워크(800)는 full config 및 DRB 셋업을 통하여, 카운트를 재설정할 수 있으며, 카운트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301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DL로서, 도 8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데이터 PDU를 네트워크(8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에는, SN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8b의 PDCP SN 필드(833)에 SN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303 동작에서,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및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시지에 포함된 SN과 관리하고 있는 HFN에 기반하여 제 1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수신측 PDCP 엔티티는 하기의 상태 변수들(state variables)을 관리(또는, 유지)할 수 있다.
a)RX_NEXT: 본 상태 변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 값을 나타내며, 최초 값은 0일 수 있다.
b)RX_DELIV: 본 상태 변수는, upper layers로 전달되지 않으며 여전히 대기되는 첫번째 PDCP SDU의 카운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c)RX_REORD: 본 상태 변수는, t-Reordering을 트리거한 PDCP 데이터 PDU와 연관된 카운트 값을 따르는 카운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b)의 RX_DELIV는, 송신측 PDCP 엔티티로 보고되는 경우에는, FMC로서 보고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술한 수신측 PDCP 엔티티에서 유지되는 상태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메시지의 카운트와 비교할 수 있다. 13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 예를 들어 상태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메시지의 카운트가 RX_DELIV보다 작은 경우, 예를 들어 수신한 메시지의 카운트와 지정된 값의 합이 RX_DELIV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조정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메시지의 카운트가 RX_NEXT보다 큰 경우, 예를 들어 수신한 메시지의 카운트가, RX_NEXT와 지정된 값의 합 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조정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정된 값은, 예를 들어 수학식 1에서 설명하였던 예시와 같이 결정될 수 있으나(예: 833),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은 없다. 지정된 값의 설정 방법은, 도 14a 및/또는 1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과 연관된 지정된 값들과, 도 6a와 수학식 1과 연관된 지정된 값은, 상이할 수 있으나,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DL 채널 상황에 따라 HARQ, RLC 재전송으로 인한 카운트 불일치 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정된 값들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401 동작에서,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14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및 RX_DELIV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도 8b의 PDCP SN 필드(833)에 SN과 유지하고 있는 HFN에 기반하여 제 1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유지하고 있는 RX_DELIV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1405 동작에서,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및 RX_DELIV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및 RX_DELIV가 수학식 3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의 RCVD_COUNT는 수신한 메시지의 카운트이며, Y는 지정된 값일 수 있다. 수학식 3의 RCVD_COUNT의 값이 RX_DELIV - Y보다 작은지 여부는, RCVD_COUNT의 값이 RX_DELIV - Y 보다 이하인지 여부로 변경될 수도 있다. Y는, 예를 들어 상술한 X를 설정하는 방식들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Y는, 이미 리오더링이 완료되고 RLC ACK가 전달된 PDU에 대한 SN을 다시 수신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값이므로, 지정된 상수(예: 1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지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예를 들어, 수학식 3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1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예: RX_NEXT, RX_DELIV, 또는 RX_REORD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411 동작에서,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14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및 RX_NEXT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도 8b의 PDCP SN 필드(833)에 SN과 유지하고 있는 HFN에 기반하여 제 1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유지하고 있는 RX_NEXT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1415 동작에서,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및 RX_NEXT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및 RX_NEXT가 수학식 4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수학식 4의 RCVD_COUNT는 수신한 메시지의 카운트이며, Z는 지정된 값일 수 있다. 수학식 3의 RCVD_COUNT의 값이 RX_NEXT + Z보다 큰지 여부는, RCVD_COUNT의 값이 RX_NEXT + Z 보다 이상인지 여부로 변경될 수도 있다. Z는, 예를 들어 상술한 X를 설정하는 방식들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수학식 3, 수학식 4의 X, Y, Z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거나, 또는 모두 상이할 수도 있다. 지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예를 들어, 수학식 4가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141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예: RX_NEXT, RX_DELIV, 또는 RX_REORD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의 실시예는 도 16a 및 1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a 및 1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되는 PDU 및 카운트에 대한 예시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501 동작에서, 제 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15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및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 예를 들어 RX_NEXT, RX_DELIV, 또는 RX_REORD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할 수 있다. 15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 조정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4가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507 동작에서, 조정 규칙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 개의 조정 규칙 중 어느 하나의 조정 규칙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5는, 조정 규칙 선택을 위한 조건일 수 있다.
Figure pat00005
수학식 5에서, A는 카운트 불일치를 발생시키는 PDU의 카운트이며, B는 해당 PDU를 수신하기 직전의 RX_NEXT 값이며, C는 해당 PDU를 수신한 다음에 수신되는 PDU의 카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5가 만족됨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조정 규칙을 선택할 수 있으며, 수학식 5가 만족되지 않음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조정 규칙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조정 규칙이 선택되면, 15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조정 규칙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시점에, 제 1 PDU(1601)를 네트워크(8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1 PDU(1601)의 카운트는 B-1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RX_NEXT를 B로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시점에, 제 2 PDU(1602)를 네트워크(8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2 PDU(1602)의 카운트는 A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PDU(1602)에 의하여 카운트 불일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수학식 4인 A > B + Z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2 PDU(1602)가 카운트 불일치를 야기하는 PDU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1)는, 제 3 시점에, 제 3 PDU(1603)를 네트워크(8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2 PDU(1602)의 카운트는 C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수학식 5인 |A - C| =< |B - C|가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조정 규칙을 선택할 수 있다. |A - C| =< |B - C|가 만족됨은, 네트워크(800)에서 전송하는 SN이 정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 1 조정 규칙은 전자 장치(101)에서 유지되는 B가 아닌 수신된 SN에 따른 A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에서와 같이, A가 C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RX_NEXT를 A+1로 갱신할 수 있다. C가 A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RX_NEXT를 C+1로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 2 PDU(1602)를 폐기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조정 규칙이 선택되면, 15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2 조정 규칙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수학식 5인 |A - C| =< |B - C|가 만족되지 않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조정 규칙을 선택할 수 있다. |A - C| =< |B - C|가 만족되지 않음은, 네트워크(800)에서 전송하는 SN이 정확도가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 2 조정 규칙은 수신된 SN에 따른 A가 아닌 전자 장치(101)에서 유지되는 B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만약, A를 기준으로 상태 변수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는, 이후 수신되는 A보다 작은 카운트의 PDU들이 모두 폐기되는 바, 제 2 조정 규칙은 전자 장치(101)에서 유지되는 B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b에서와 같이, C가 B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RX_NEXT를 C+1로 갱신할 수 있다. B가 C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RX_NEXT를 B+1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RX_NEXT의 조정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RX_NEXT 이외에도, RX_DELIV 및/또는 RX_REORD도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상술한 제 1 조정 규칙 및 제 2 조정 규칙 외에도,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RLF를 통한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도 11,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제어 PDU를 네트워크(800)로 송신함으로써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701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로부터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8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데이터 PDU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703 동작에서, 무결성 검증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MAC-I 필드(835)에 포함된 값에 기반하여, 수신된 MAC-I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5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XMAC-I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XMAC-I 및 MAC-I의 비교에 기반하여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XMAC-I 및 MAC-I가 동일하면, 전자 장치(101)는 무결성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XMAC-I 및 MAC-I가 동일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1)는 무결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무결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서 관리하고 있는 HFN과 네트워크(800)에서 관리하고 있는 HFN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무결성 검증 실패에 기반하여, 1705 동작에서, HFN을 조정할 수 있다. HFN의 조정 규칙을 후술하도록 하나, 제한은 없다. 17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조정된 HFN에 기반하여 무결성 검증이 성공한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HFN이 조정됨에 따라서, 도 5c에서 수신측 PDCP 엔티티에서 NIA로 입력되는 카운트(COUNT)도 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결성 검증이 성공하면(1707-예), 전자 장치(101)는 HFN을 갱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705 동작에서 조정되었던 HFN을 확정할 수 있다. 무결성 검증이 다시 실패하면(1707-아니오), 전자 장치(101)는, 1705 동작에서 HFN을 다시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무결성 검증이 성공할 때까지 HFN을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무결성 검증 실패가 확인되면, HFN을 초기값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에서 관리(또는, 유지)하고 있는 상태 변수의 조정 후에, HFN의 불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그 판단 시점에는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1)는, PDU를 수신하면, 판단 시점, 또는 제한 없이 HFN의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7은 전자 장치(101)의 동작으로 설명되었지만, 도 17, 그리고 후술할 도 18 및 19의 동작은 수신측 PDCP 엔티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UL인 경우에는 네트워크(800)에 의하여서도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참고적으로, LTE(예: 3GPP TS 36.323)에서는, MAC-I 필드가 제한되는 조건이 존재하였으며,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 장치가 이용하는 DRB에 대하여서는 MAC-I 필드의 이용이 제한되었다. 예를 들어, NR에 따르면(예: 3GPP TS 38.323), 기존 LTE와는 달리, DRB에 MAC-I 필드가 선택적(optional)하게 이용 가능하며, MAC-I 필드의 이용에 제한이 없다. 이에 따라, NR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DRB의 종류에 관계없이 MAC-I 필드 내의 값에 기반하여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801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로부터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8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데이터 PDU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803 동작에서, 수신된 PDU의 제 1 부분에 대하여 deciph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8b의 데이터 필드(834) 및 MAC-I 필드(835)에 대하여 deciph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ecipher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805 동작에서, deciphering된 제 1 부분의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제 2 부분에 대하여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deciphering된 제 2 부분인 MAC-I 필드(835) 내의 값과, 도 5c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생성한 XMAC-I를 비교하여,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807 동작에서, 무결성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HFN 및 네트워크(800)의 HFN 사이의 불일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HFN 불일치 여부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관리하는 HFN을 수정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1901 동작에서, 네트워크(800)로부터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8b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PDCP 데이터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1903 동작에서, 무결성 검증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 19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HFN을 현재 수치에 1을 더하여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관리(또는, 유지)하던 현재의 HFN이 "D"인 경우에는, 1905 동작에서 HFN을 "D+1"로 갱신할 수 있다. 19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무결성 검증 성공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D+1"의 HFN에 기반한 카운트(COUNT)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카운트에 기반하여 deciphering 및 무결성 검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무결성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1907-예),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1909 동작에서, HFN의 갱신을 확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D+1"을 HFN으로 확정할 수 있다. 무결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1907-아니오), 전자 장치(101)는 1911 동작에서 HFN을 현재 수치에 1을 빼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동작에서 HFN을 "D-1"로 갱신할 수 있다. 19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무결성 검증 성공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D-1"의 HFN에 기반한 카운트(COUNT)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카운트에 기반하여 deciphering 및 무결성 검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무결성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1913-예), 전자 장치(101)는 1915 동작에서, HFN의 갱신을 확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D-1"을 HFN으로 확정할 수 있다. 무결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1913-아니오), 전자 장치(101)는 1917 동작에서 HFN을 HFN을 0으로 갱신할 수 있다. 191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무결성 검증 성공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0"의 HFN에 기반한 카운트(COUNT)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카운트에 기반하여 deciphering 및 무결성 검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무결성 검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1919-예), 전자 장치(101)는 1921 동작에서, HFN의 갱신을 확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0"을 HFN으로 확정할 수 있다. 무결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1919-아니오), 전자 장치(101)는 1923 동작에서 무결성 검증의 실패를 확정하고, PDU를 폐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1905 동작, 1911 동작, 1917 동작의 "+1", "-1", "0으로 설정"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그 순서에는 제한이 없으며, 그 수치는 변경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의 PDCP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first missing count: FMC) 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101)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전자 장치(101)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가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작은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전자 장치(101)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가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작은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로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전자 장치(101)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로부터 지정된 제 1 값을 뺀 결과가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큰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값은, 최대 쓰루풋,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 리오더링 타이머의 시간, 또는 밴드위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RLF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RLF 절차는, 랜덤 억세스를 위한 절차, RRC 재형성 절차, 및 RRC 재설정 절차를 포함하거나, 또는 랜덤 억세스, SERVICE REQEUST를 포함하는 RRC 연결 및 셋업 절차, 및 RRC 재설정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는, 상기 RLF 절차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네트워크로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PDCP 제어 PDU이며, 상기 PDCP 제어 PDU의 PDU 타입 필드에는, 상기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메시지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값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PDCP 재형성의 RRC 재설정을 이용하거나, 또는 full config 및 DRB 셋업의 RRC 재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와,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가,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upper layers로 전달되지 않으며 대기되는 첫 번째 PDCP SDU의 카운트로부터 제 2 값을 뺀 값보다 작은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2 값은, 최대 쓰루풋,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 리오더링 타이머의 시간, 또는 밴드위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가,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UD의 카운트와 제 3 값을 합한 값보다 큰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3 값은, 최대 쓰루풋,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 리오더링 타이머의 시간, 또는 밴드위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메시지를 더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유지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 및 상기 제 2 메시지의 카운트 사이의 제 1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와 상기 제 2 메시지의 카운트 사이의 제 2 차이를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2 차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또는 상기 제 2 메시지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유지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2 차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유지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 또는 상기 제 2 메시지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유지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RLF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RLF 절차는, 랜덤 억세스를 위한 절차, RRC 재형성 절차, 및 RRC 재설정 절차를 포함하거나, 또는 랜덤 억세스, SERVICE REQEUST를 포함하는 RRC 연결 및 셋업 절차, 및 RRC 재설정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는, 상기 RLF 절차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네트워크로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P 재형성의 RRC 재설정을 이용하거나, 또는 full config 및 DRB 셋업의 RRC 재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60), 또는 통합 SoC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의 PDCP 상태를 나타내는 PDCP status report를 위한 제 1 PDCP 제어 PDU를 수신하고, 상기 PDCP 제어 PDU에 포함된 최초 미수신 카운트(first missing count: FMC) 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101)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함에 기반하여, PDCP 리커버리 요청을 나타내는 PDU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PDCP 제어 PDU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마스터 장치 또는 태스크 수행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마스터 장치 또는 태스크 수행 장치)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의 PDCP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최초 미수신 카운트(first missing count: FMC) 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가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작은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가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작은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로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로부터 지정된 제 1 값을 뺀 결과가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보다 큰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값은, 최대 쓰루풋,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 리오더링 타이머의 시간, 또는 밴드위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RLF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RLF 절차는, 랜덤 억세스를 위한 절차, RRC 재형성 절차, 및 RRC 재설정 절차를 포함하거나, 또는 랜덤 억세스, SERVICE REQEUST를 포함하는 RRC 연결 및 셋업 절차, 및 RRC 재설정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는, 상기 RLF 절차에 의하여 조정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네트워크로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PDCP 제어 PDU이며, 상기 PDCP 제어 PDU의 PDU 타입 필드에는, 상기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메시지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값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PDCP 재형성의 RRC 재설정을 이용하거나, 또는 full config 및 DRB 셋업의 RRC 재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upper layers로 전달되지 않으며 대기되는 첫 번째 PDCP SDU의 카운트로부터 제 2 값을 뺀 값보다 작은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값은, 최대 쓰루풋,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 리오더링 타이머의 시간, 또는 밴드위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UD의 카운트와 제 3 값을 합한 값보다 큰 것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값은, 최대 쓰루풋,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 리오더링 타이머의 시간, 또는 밴드위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2 메시지를 더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유지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 및 상기 제 2 메시지의 카운트 사이의 제 1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와 상기 제 2 메시지의 카운트 사이의 제 2 차이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2 차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의 카운트 또는 상기 제 2 메시지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유지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2 차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유지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 또는 상기 제 2 메시지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유지되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PDCP SDU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RLF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RLF 절차는, 랜덤 억세스를 위한 절차, RRC 재형성 절차, 및 RRC 재설정 절차를 포함하거나, 또는 랜덤 억세스, SERVICE REQEUST를 포함하는 RRC 연결 및 셋업 절차, 및 RRC 재설정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는, 상기 RLF 절차에 의하여 조정되는 전자 장치.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운트를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네트워크로 리커버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PDCP 재형성의 RRC 재설정을 이용하거나, 또는 full config 및 DRB 셋업의 RRC 재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의 PDCP 상태를 나타내는 PDCP status report를 위한 제 1 PDCP 제어 PDU를 수신하고,
    상기 PDCP 제어 PDU에 포함된 최초 미수신 카운트(first missing count: FMC) 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할 예정인 메시지의 카운트 및 상기 최초 미수신 카운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함에 기반하여, PDCP 리커버리 요청을 나타내는 PDU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PDCP 제어 PDU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200051288A 2020-04-28 2020-04-28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32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288A KR20210132864A (ko) 2020-04-28 2020-04-28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7/065,116 US11363485B2 (en) 2020-04-28 2020-10-07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CT/KR2020/013775 WO2021221244A1 (en) 2020-04-28 2020-10-08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2110162091.9A CN113573360A (zh) 2020-04-28 2021-02-05 发送和接收分组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EP21160285.9A EP3905765A1 (en) 2020-04-28 2021-03-02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288A KR20210132864A (ko) 2020-04-28 2020-04-28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864A true KR20210132864A (ko) 2021-11-05

Family

ID=7485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288A KR20210132864A (ko) 2020-04-28 2020-04-28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3485B2 (ko)
EP (1) EP3905765A1 (ko)
KR (1) KR20210132864A (ko)
CN (1) CN113573360A (ko)
WO (1) WO20212212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5141A1 (en) * 2012-08-06 2014-02-13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transferring a status report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168640A (zh) 2013-05-17 2014-1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接收端pdcp层hfn失步的恢复方法和设备
JP2018520532A (ja) * 2015-05-21 2018-07-26 インテル アイピ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マルチratオフロードの場合のpdcp状態報告
CN107852283B (zh) * 2015-08-21 2021-02-02 英特尔Ip公司 用于pdcp状态报告的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9999016B2 (en) * 2016-09-04 2018-06-12 Lg Electronics Inc. Status report polling to avoid HFN de-synchronization
WO2018128452A1 (en) 2017-01-06 2018-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lossless data packe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qos) frame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80090148A (ko) 2017-02-02 2018-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US10567143B2 (en) 2017-09-27 2020-02-18 Yeongmoon SON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and transmi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85447A (ko) 2018-01-10 2019-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212249A1 (ko) 2018-05-03 2019-11-07 주식회사 케이티 릴레이 노드를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21528904A (ja) 2018-06-20 2021-10-21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ホップデータ転送における効率的なバッファ管理
US11108672B2 (en) * 2019-07-15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Measuring and verifying layer 2 sustained downlink maximum data rate decoding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1244A1 (en) 2021-11-04
US11363485B2 (en) 2022-06-14
CN113573360A (zh) 2021-10-29
EP3905765A1 (en) 2021-11-03
US20210337417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221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00037151A1 (en) Handling of PDCP Duplication and Data Recovery i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KR20140136501A (ko)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처리
EP3768038B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split bearer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EP4109949A1 (en) Method, management server, and base station for defending attack from fake base st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US202102894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10133017A (ko) 무결성 검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6420346A (zh) 使用灵活的层2电路的层2数据处理装置和方法
US1189521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device therefor
JP2023062123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210132864A (ko)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29013A1 (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catenating service data units
WO2021206370A1 (ko)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반한 패킷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277874B2 (en) Electronic device which receives data by using split bearer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200120456A (ko)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14557A (ko) 패킷을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33642A (ko)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EP432260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220120958A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438796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of electronic device
US2022034618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with communication network in electronic device
US20240187919A1 (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catenating service data units
KR20220064825A (ko) 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573357A (zh) 下行数据接收方法、系统、存储介质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