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495A -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495A
KR20210132495A KR1020200050965A KR20200050965A KR20210132495A KR 20210132495 A KR20210132495 A KR 20210132495A KR 1020200050965 A KR1020200050965 A KR 1020200050965A KR 20200050965 A KR20200050965 A KR 20200050965A KR 20210132495 A KR20210132495 A KR 20210132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conditioner
guide groove
vehic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성석
안경주
김재균
남수병
조중원
박기정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2495A/en
Publication of KR2021013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4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92Damper doors moved by translation, e.g. curtain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ventilation unit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implementing a smart intake mode using only one door, in a ventilation unit having a two-layer structure. Provided is a ventilation unit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a two-layer structure having a case in which an indoor air inlet and an outdoor air inlet are formed, and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provided in the case, and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are partitioned to separate the indoor and the outdoor air to be sucked in. The ventilation unit fo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the two-layer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mart intake mode in which some of the outdoor air is constantly introduced in an indoor air mode.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시 디포깅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2층류 구조의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하는 2층류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that can maintain high heating performance while securing defogging performance during heating. It relates to a blow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 two-layer flow structure that selectively sucks.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a device that heats or cools a room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a room or circulating air in the room to heat or cool it. A heater core or the like is configured, and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is selectively blown 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특히,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층류(Two-Layer) 구조의 공조장치가 개발되었다. 겨울철 난방 주행시 창문에 서리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저습한 차가운 외기가 효과적이지만, 실내온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In particular, an air condition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maintain high heating performance while securing defogging performance during heating. Low-humidity cold outside air is effective to remove frost on windows during heating in winter, but it results in a lower indoor temperature.

2층류 구조의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을 위해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2층 공기 유동을 실현함으로써,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 two-layer structure realizes a two-layer air flow that supplies outdoor air to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and circulates bet air to the lower part for defogging during heating. While effectively removing it, it provides fresh outside air to the occupants and supplies warm air to the bottom to maintain high heating performanc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케이스(10)와, 외기조절도어(14)와, 내기조절도어(15)와, 블로어모터(21)을 포함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wer unit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Referring to FIG. 1 ,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two-story vehicle includes a case 10 , an outside air control door 14 , an inside control door 15 , and a blower motor 21 .

케이스(10)는 인테이크부와 스크롤부로 구성된다. 케이스(10)의 인테이크부에는 내기를 유입하기 위한 내기유입구(12,13)와,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외기유입구(11)가 형성된다. 외기조절도어(14)는 외기유입구(11)와 내기유입구(12)의 개도를 조절하며, 내기조절도어(15)는 내기유입구(13)의 개도를 조절한다. 공기 유동 방향으로 외기조절도어(14) 및 내기조절도어(15)의 하류에 에어필터(16)가 구비된다.The case 10 includes an intake portion and a scroll portion. In the intake portion of the case 10, the bet inlets 12 and 13 for introducing the bet, and the outdoor air inlet 11 for introducing the outside air are formed. The outdoor air control door 14 control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side air inlet 11 and the inside air inlet 12 , and the inside air control door 15 control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inside air inlet 13 . An air filter 16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outside air control door 14 and the inside control door 15 in the air flow direction.

케이스(10)의 스크롤부는 제1 유로(17)와 제2 유로(18)로 구획 형성된다. 스크롤부의 하부에는 블로어모터(21)가 설치된다. 제1 유로(17)는 제2 유로(18)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 유로(17)를 통해 외기가 흐르고 제2 유로(18)를 통해 내기가 흐른다. 블로어모터(21)의 회전축에는 제1 블로어휠(19) 및 제2 블로어휠(20)이 결합되어 회전된다. 제1 블로어휠(19)은 제1 유로(17)에 위치하며, 제2 블로어휠(20)은 제2 유로(18)에 위치한다.The scroll part of the case 10 is partitioned into a first flow path 17 and a second flow path 18 . A blower motor 21 is installed under the scroll part. The first flow path 17 is formed above the second flow path 18 , and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7 and the bet air flow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8 . The first blower wheel 19 and the second blower wheel 20 ar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blower motor 21 and rotated. The first blower wheel 19 is located in the first flow path 17 , and the second blower wheel 20 is located in the second flow path 18 .

내기유입구(12,13)는 두개로 이루어져, 하나의 내기유입구(13)를 통해서 내기가 상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외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에어필터(16)를 통과한 후 하부로 이동하여 제1 유로(17)를 통해 공조유닛으로 송풍된다. 내기유입구(12,13)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에어필터(16)를 통과한 후 가장자리의 유로를 통해 우회하여 제2 유로(18)를 통해 공조유닛으로 송풍된다.The bet inlet (12, 13) is made up of two, so that the bet is always introduced through one bet inlet (13).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1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16 and then moves downward and is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7 . The bet introduced through the bet inlets 12 and 13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16 and then bypasses through the flow path at the edge and is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8 .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한개의 외기유입구와 두개의 내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두개의 도어를 필요로 함에 따라, 원가와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층류 구조의 송풍유닛의 경우 내기 모드 시 외기를 상시로 유입시키는 모드(스마트 인테이크 모드:Smart Intake Mode)가 구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ventila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two-story vehicle has problems in that cost and weight increase as it requires two doors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s of one outdoor air inlet and two indoor air inle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entilation unit having a two-layer flow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a mode (Smart Intake Mode) for constantly introducing outside air in the betting mode cannot be implemented.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층류 구조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하나의 도어만을 사용하여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unit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implementing a smart intake mode using only one door in a ventilation unit having a two-layer flow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블로어휠 및 블로어모터를 구비하고,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흡입하도록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내기 모드 시 외기를 일부 상시로 유입하는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Smart Intake Mode)를 구비한다.A blow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an inside air inlet and an outside air inlet are formed,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provided in the case, and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to separate the inside air and the outside air for suction. In the ventila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 two-layer flow structure in which is partitioned, it has a smart intake mode that partially introduces outside air at all times during betting mode.

상기에서, 내기와 외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하나의 전환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전환도어는 중심축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수행한다.In the above, one switching door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bet and outside air is provided, and the switching door performs slide driving and rotational driving by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상기에서, 전환도어는, 내기 모드 시 외기를 일부 상시 유입하는 스마트 인테이크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내기와 외기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above, the switching door performs a smart intake function for always introducing some outside air in the betting mode, and also functions a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outside air from the betting mode.

상기에서, 전환도어와 중심축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관절형 링크가 구비된다.In the above, an articulated link for transmitting power by connecting the switching door and the central shaft is provided.

상기에서, 케이스에,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과,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이 형성된다.In the above, in the case, a first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driving and rotational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are formed.

상기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상기 전환도어의 일측은 제1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고, 타측은 제2 안내홈에 의해 안내된다.In the above, in the slide direction, one side of the switching door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other side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groove.

상기에서, 제1 안내홈은 중심축의 원주 방향으로 내기유입구의 경계를 따라 유선형으로 연장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a streamlined shape along the boundary of the bet inl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상기에서, 제2 안내홈은 중심축의 원주 방향으로 외기유입구의 경계를 따라 유선형으로 연장되다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second guide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while extending in a streamlined shape along the boundary of the outdoor air inl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상기에서, 제2 안내홈은, 외기유입구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을 안내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끝에서 급격하게 곡률이 변경되는 곡률변경부와, 상기 곡률변경부에서 중심축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전환도어의 회전 구동을 안내하는 제2 구간으로 이루어진다.In the above, the second guide groove includes a first section extending along the boundary of the outdoor air inlet to guide the slide driving of the switching door, and a curvature changing section whose curvature is abruptly changed at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curvature It consists of a second section extending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axis from the change portion to guide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상기에서, 관절형 링크는, 일측이 중심축에 연결되는 제1 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1 링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전환도어에 연결되는 제2 링크로 구성된다.In the above, the articulated link is composed of a first link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and a second link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witching door.

상기에서, 케이스에,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과,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와 전환도어의 연결점이 제2 안내홈에 의해 안내된다.In the above, a first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driving and rotational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are formed in the case,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econd link and the changeover door is first 2 Guided by guide grooves.

상기에서, 전환도어는 중심축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안내홈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면서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고, 상기 전환도어가 제1 안내홈의 타측 끝까지 도달한 상태에서 중심축이 일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전환도어는 제1 안내홈의 타측 끝점을 피봇으로 제2 안내홈을 따라 회전되면서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한다.In the above, the changeover door moves from one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to the other side by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in one direction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bet inlet and the outdoor air inlet, and the changeover door reaches the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When the central axis is further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witching door is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by pivoting the other end point of the first guide groove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outdoor air inlet.

상기에서, 전환도어가 제2 안내홈을 따라 회전되는 구간에서 내기유입구는 상시 완전히 개방되고, 상기 전환도어가 제2 안내홈을 따라 회전되어 외기유입구를 완전히 개방하면 전환도어는 외기와 내기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한다.In the above, in the section in which the conversion door is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the bet inlet is always fully opened, and when the conversion door is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to completely open the outdoor air inlet, the conversion door divides the outside air and the bet. It functions as a bulkhead.

상기에서, 전환도어의 단부는 회전 구동시 케이스와의 씰링을 위해 꺾임부를 구비한다.In the above, the end of the switching door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for sealing with the case when the rotation drive.

상기에서, 전환도어의 회전 구동 시 전환도어와의 씰링을 수행하는 지지부가 전환도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케이스에 복수개 형성되어 전환도어의 외기유입구 개방 정도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다.In the abov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 sealing the changeover door are formed in the cas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ngeover door when the changeover door is rotationally driven, so tha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door air inlet of the changeover door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상기에서, 꺾임부에 지지부에 밀착시 탄성변형되어 기밀을 수행하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중심축에 일정힘이 가해질 때 탄성변형되어 전환도어의 회전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above, the bending part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to perform airtightness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and the sealing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axis to enable rotation of the switching door.

상기에서, 꺾임부는 전환도어의 회전 구동시 회전 원호를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along the rotational arc when the switching door is rotated.

상기에서, 케이스에 내기를 상시 유입하기 위한 상시내기유입구가 더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regular bet inlet for always introducing the bet to the case is further formed.

상기에서,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 구간에서 상기 전환도어는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고, 전환도어의 회전 구동 구간에서 상기 전환도어는 내기유입구를 상시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다.In the above, in the slide driving section of the changeover door, the changeover door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outdoor air inlet, and in the rotation driving section of the changeover door, the changeover door opens the outdoor air inlet in a state in which the indoor air inlet is always fully opened.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블로어휠 및 블로어모터를 구비하고,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흡입하도록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내기와 외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하나의 전환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전환도어는 중심축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수행한다.A blowing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n inlet and an outside air inlet formed therein,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provided in the case, and a first flow path to separate the bet and outside air to be sucked in. In the ventilation uni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a two-layer flow structure in which a second flow path is partitioned, one switching door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bet and outside air, and the switching door performs slide driving and rotational driving by rotation of a central shaft. carry ou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하나의 전환도어와 하나의 중심축을 통해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이 모두 가능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안내홈 및 제2 안내홈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케이스의 한정된 공간에서 케이스의 패키지를 증가시키지 않는다.In the blow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sliding and rotational driving of the switching door may be possible through one switching door and one central shaft. In addition, by optimizing the shapes of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the package of the case is not increased in the limited space of the case.

또한, 하나의 전환도어로 2층류 구조의 송풍유닛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의 병행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도어로 2층류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 ventilation unit with a two-layer flow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with one switching door, and thi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rough the parallel drive and rotation drive of the switching door, and a two-layer flow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with one door, thereby reducing the cost. can sav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외기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내기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제1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제2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2층류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도 1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wer unit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lowing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the outdoor air mode of the ventilation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4;
6 is a view showing a betting mode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 first smart intake mode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8;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smart intake mode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10;
12 is a view showing a two-layer flow mode of the ventila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12 .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하여 송풍하는 송풍유닛과, 송풍유닛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공조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2층류(2Layer) 구조로 이루어진다.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wer unit for blowing in and blowing inside or outside air,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air conditioning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configured to separate internal air from outside air to blow air, and has a two-layer structure that can maintain high heating performance while securing defogging performance during heat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좌측방향이 "전방향"이고 우측 방향이 "후방향"이며, 도면에서 돌출하는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이다. 이러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한 것이며, 방향을 임의로 다르게 설치 가능하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low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2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ft direction in FIG. 2 is "front direction" and the right direction is "rear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in the drawing is "vehicle width direction". These directions are defin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directions may be arbitrarily differ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케이스(110)와, 블로어휠 및 블로어모터(130)를 구비한다. 송풍유닛은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흡입하도록 제1 유로(121)와 제2 유로(122)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10)에는 내기를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내기유입구(112)와 외기를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외기유입구(111)가 형성된다.2 and 3 , the blowing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130 . The blowing unit has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flow path 121 and the second flow path 122 are partitioned to separate the bet and the outside air for suction. The case 110 has a bet inlet 112 for introducing the bet into the case 110 and an outdoor air inlet 111 for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case 110 are formed.

케이스(110)는 인테이크부와 스크롤부로 구성된다. 인테이크부는 스크롤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기유입구(112) 및 외기유입구(111)를 갖는다. 스크롤부는 인테이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공조유닛으로 송풍하는 곳으로 블로어모터(130)를 갖는다. 블로어휠은 블로어모터(130)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공기를 송풍한다. 아울러, 스크롤부의 상부에는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140)가 구비된다.The case 110 includes an intake portion and a scroll portion. The intake par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roll part and has an inside air inlet 112 and an outside air inlet 111 . The scroll unit has a blower motor 130 to blow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unit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blower wheel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blower motor 130 and rotates to blow air. In addition, an air filter 140 for filtering air passing therethrough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oll unit.

케이스(110)의 스크롤부는 제1 유로(121)와 제2 유로(122)로 구획 형성된다. 제1 유로(121)는 제2 유로(122)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 유로(121)를 통해 외기가 흐르고 제2 유로(122)를 통해 내기가 흐른다. 블로어휠은 제1 유로(121)에 위치하는 제1 블로어휠(131)과 제2 유로(122)에 위치하는 제2 블로어휠(132)로 이루어진다. 제1 유로(121)와 제2 유로(122)는 케이스(110)에 형성된 분리벽에 의해 구획된다.The scroll part of the case 110 is partitioned into a first flow path 121 and a second flow path 122 . The first flow path 121 is formed above the second flow path 122 , and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21 and the bet air flow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22 . The blower wheel includes a first blower wheel 131 positioned in the first flow path 121 and a second blower wheel 132 positioned in the second flow path 122 . The first flow path 121 and the second flow path 122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formed in the case 110 .

케이스(110)의 스크롤부에는 제1 유로(121)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상부흡입구(123)와 제2 유로(122)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하부흡입구(124)가 형성된다. 상부흡입구(123)는 제1 블로어휠(131)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흡입구(124)는 제2 블로어휠(132)의 하부에 형성된다.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에어필터(140)를 지나 바로 상부흡입구(123)를 통해 제1 유로(121)로 흐르며, 내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에어필터(140)를 지나 하부로 이동한 후 가장자리의 유로를 통해 우회하여 U턴하여 상부로 이동하며 하부흡입구(124)를 통해 제2 유로(122)로 흐른다.An upper suction port 123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first flow path 121 and a lower suction port 124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second flow path 122 are formed in the scroll part of the case 110 . The upper suction port 123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er wheel 131 , and the lower suction port 124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lower wheel 132 .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11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140 and directly flows into the first flow path 121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123, and the bet introduced through the inside air inlet 112 is the air filter 140. After moving to the lower part through the flow path at the edge, it makes a U-turn and moves to the upper part, and flows into the second flow path 122 through the lower suction port 124 .

케이스(110)에는 상시내기유입구(113)가 더 형성된다. 상시내기유입구(113)는 내기를 상시 유입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없이 내기를 상시 송풍유닛으로 유입시켜 차량 실내로 공급한다. 상시내기유입구(113)를 통해 외기 모드에서도 내기를 일부 상시 유입시켜 공조풍을 리사이클함으로써 공조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외기유입구(111), 내기유입구(112), 상시내기유입구(113)는 차량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케이스(110)에 순차로 원호의 형상으로 배열된다.The case 110 is further formed with an inlet 113 for regular indoor air. The regular bet inlet 113 is for always introducing the bet, and without a door, the bet is introduced into the regular blowing unit and supplied into the vehicle interior. Improvement of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can be expected by recycling air conditioning wind by constantly introducing some bet air even in outdoor mode through the regular indoor air inlet 113 . The outdoor air inlet 111, the indoor air inlet 112, and the regular indoor air inlet 113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circular arc shape on the case 110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he rear.

송풍유닛은 하나의 전환도어(200)를 구비한다. 전환도어(200)는 내기와 외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전환도어(200)는 케이스(110) 내에 에어필터(140)의 상류와 유입구들 사이에 구비된다. 전환도어(200)는 중심축(23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중심축(234)은 엑츄에이터와 같은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전환도어(200)는 중심축(234)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수행한다. 하나의 전환도어(200)와 하나의 중심축(234)을 통해 슬라이드 및 회전 구동을 모두 수행하기 위한 상세한 구조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blowing unit is provided with one switching door (200). The conversion door 200 functions to control the inflow of bets and outside air. The diverting door 200 is provided between the upstream of the air filter 140 and the inlets in the case 110 . The switching door 200 i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234 . The central shaft 234 is rotated by being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uch as an actuator. The changeover door 200 performs slide driving and rotation driving by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234 . A detailed structure for performing both slide and rotation driving through one switching door 200 and one central shaft 23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전환도어(200)는 돔(Dome)형 도어로서, 유선형 곡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환도어(200)는 일정 곡률로 구부러진 돔부(210)를 구비한다. 돔부(210)의 곡률은 외기유입구(111) 및 내기유입구(112)의 곡률에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전환도어(200)는 관절형 링크를 구비한다. 관절형 링크는 전환도어(200)와 중심축(234) 사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The conversion door 200 is a dome-type door,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reamlined curved plate. That is, the switching door 200 includes a dome portion 210 bent to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curvature of the dome portion 210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outdoor air inlet 111 and the indoor air inlet 112 . In addition, the switching door 200 is provided with an articulated link. The articulated link functions to transmit power by connecting between the switching door 200 and the central shaft 234 .

관절형 링크는 제1 링크(236)와 제2 링크(235)로 구성된다. 제1 링크(236)는 일측이 중심축(234)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링크(235)에 연결된다. 제2 링크(235)는 일측이 제1 링크(236)에 연결되고 타측이 전환도어(200)에 연결된다. 제1 링크(236)와 제2 링크(235)는 축(2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환도어(200)의 돔부(210)는 일측에 브라켓(230)을 구비하며, 브라켓(230)과 제2 링크(235)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articulated link is composed of a first link 236 and a second link 235 . One side of the first link 236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234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235 . The second link 23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36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witching door 200 . The first link 236 and the second link 235 are rotatably connected by a shaft 233 . The dome portion 210 of the switching door 200 is provided with a bracket 230 on one side, and the bracket 230 and the second link 235 are rotatably connected.

케이스(110)에는 제1 안내홈(240)과 제2 안내홈(250)이 형성된다. 제1 안내홈(240)과 제2 안내홈(250)은 차량 폭 방향으로 케이스(110)의 양측에 형성된다. 제1 안내홈(240)은 전환도어(200)의 슬라이드 구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며, 제2 안내홈(250)은 전환도어(200)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A first guide groove 240 and a second guide groove 250 are formed in the case 110 . The first guide groove 24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5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110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first guide groove 240 serves to guide the slide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200 ,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50 functions to guide the slide driving and rotational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200 .

제1 안내홈(240)은 중심축(234)의 원주 방향으로 내기유입구(112)의 경계를 따라 유선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안내홈(250)은 중심축(234)의 원주 방향으로 외기유입구(111)의 경계를 따라 유선형으로 연장되다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안내홈(250)은 외기유입구(111)와 내기유입구(112)의 경계 부위에서 그리고 제1 안내홈(240)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중심축(234)의 원주 방향으로 제1 안내홈(240)과 제2 안내홈(250)은 외기유입구(111)와 내기유입구(112)의 경계 부위에서 일부 중첩된다.The first guide groove 240 is formed to extend in a streamlined shape along the boundary of the bet inlet 1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234 . The second guide groove 250 extends in a streamlined shape along the boundary of the outdoor air inlet 1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234 and is formed to extend inward. The second guide groove 250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outdoor air inlet 111 and the indoor air inlet 112 and lower than the first guide groove 240 .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234 , the first guide groove 24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50 partially overlap at the boundary between the outdoor air inlet 111 and the indoor air inlet 112 .

더욱 상세하게는, 제2 안내홈(250)은 제1 구간(252)과, 곡률변경부(251) 및 제2 구간(253)으로 이루어진다. 제1 구간(252)은 외기유입구(111)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전환도어(200)의 슬라이드 구동을 안내한다. 곡률변경부(251)는 제1 구간(252)의 끝에서 급격하게 곡률이 변경되는 구간이다. 제2 구간(253)은 곡률변경부(251)에서 중심축(234)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전환도어(200)의 회전 구동을 안내한다.In more detail, the second guide groove 250 includes a first section 252 , a curvature changer 251 , and a second section 253 . The first section 252 extends along the boundary of the outdoor air inlet 111 to guide the slide driving of the switching door 200 . The curvature changing unit 251 is a section in which the curvature is abruptly changed at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252 . The second section 253 extends from the curvature changing unit 251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axis 234 to guide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switching door 200 .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나의 전환도어(200)와 하나의 중심축(234)을 통해 전환도어(200)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이 모두 가능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안내홈(240) 및 제2 안내홈(250)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케이스(110)의 한정된 공간에서 제1 안내홈(240) 및 제2 안내홈(250)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both the slide driving and rotational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200 through one changeover door 200 and one central shaft 234 may be possible. In addition, by optimizing the shapes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50 ,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50 in the limited space of the case 110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e configurable.

즉, 제2 안내홈(250)은 대략 "<"자 형상에서 직선 구간을 유선형으로 바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환도어(200)가 상부의 굴곡 구간인 제1 구간(252)에 안내될 때에는 슬라이드 구동하다가, 하부의 굴곡 구간인 제2 구간(253)에 안내될 때에는 곡률변경부(251)를 기점으로 회전 구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구동이 가능한 반면에, 제2 안내홈(250)이 중심축(234)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송풍유닛 케이스(110)의 패키지를 확장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guide groove 250 has a shape in which a straight section is changed from a substantially “<” shape to a streamlined shape. Therefore, when the switching door 200 is guided to the first section 252, which is the upper curved section, slide driving, and when guided to the second section 253, which is the lower curved section, the curvature changing section 251 is the starting point. to drive rotation. While these two types of driving are possible, the second guide groove 250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234 , so it is not necessary to expand the package of the blowing unit case 110 .

슬라이드 방향으로 전환도어(200)의 일측은 제1 안내홈(240)에 의해 안내되고, 슬라이드 방향으로 전환도어(200)의 타측은 제2 안내홈(250)에 의해 안내된다. 즉, 전환도어(200)의 일측에는 제1 핀(231)이 구비되며, 제1 핀(231)은 제1 안내홈(240)에 연결된다. 중심축(234)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핀(231)이 제1 안내홈(240)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링크에 의해 연결된 전환도어(200)는 슬라이드 구동된다.One side of the switching door 200 in the sliding direction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groove 240 , and the other side of the switching door 200 in the sliding direction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groove 250 . That is, a first pin 2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witching door 200 , and the first pin 231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groove 240 . When the central shaft 234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pin 231 slid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240 and the switching door 200 connected by the link is slide driven.

아울러, 제2 링크(235)와 전환도어(200)의 연결점은 제2 안내홈(250)에 의해 안내된다. 즉, 제2 링크(235)와 전환도어(200)의 연결점에 제2 핀(232)이 구비되며, 제2 핀(232)은 제2 안내홈(250)에 연결된다. 중심축(234)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핀(232)이 제2 안내홈(250)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링크에 의해 연결된 전환도어(200)는 슬라이드 구동 또는 회전 구동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link 235 and the switching door 200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groove (250). That is, the second pin 232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econd link 235 and the switching door 200 , and the second pin 2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groove 250 . When the central shaft 234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econd pin 232 slides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250 and the switching door 200 connected by the link is slide driven or rotationally driven.

전환도어(200)는 중심축(234)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안내홈(24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면서 내기유입구(112)와 외기유입구(111)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 경우, 제1 안내홈(240)의 일측은 도 3의 우측이고 타측은 좌측이다. 또한, 중심축(234)의 일 방향 회전은 반 시계 방향이다.The switching door 200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inside air inlet 112 and the outside air inlet 111 while mov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to the other side by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234 in one direction.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is the right side of FIG. 3 and the other side is the left side. In addition, the one-way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234 is counterclockwise.

전환도어(200)가 제1 안내홈(240)의 타측 끝까지 도달한 상태에서 중심축(234)이 일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전환도어(200)는 제1 안내홈(240)의 타측 끝점을 피봇으로 제2 안내홈(250)을 따라 회전되면서 외기유입구(111)의 개도를 조절한다.When the central shaft 234 is further rotated in one direction while the switching door 200 has reach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 the switching door 200 is the other end point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door air inlet 111 is adjusted while being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250 as a pivot.

전환도어(200)가 제2 안내홈(250)을 따라 회전되는 구간에서 내기유입구(112)는 상시 완전히 개방된다. 아울러, 전환도어(200)가 제2 안내홈(250)을 따라 회전되어 외기유입구(111)를 완전히 개방하면 전환도어(200)는 외기와 내기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나의 전환도어(200)로 2층류 구조의 송풍유닛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section in which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250 , the bet inlet 112 is always completely open. In addition, when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250 to completely open the outdoor air inlet 111, the switching door 200 functions a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outside air and the inside air.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entilation unit having a two-layer flow structure with one switching door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다양한 공조 모드를 구비한다. 공조 모드는 외기 모드, 내기 모드, 2층류 모드를 구비한다. 또한, 공조 모드는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Smart Intake Mode)를 구비한다.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는 내기 모드 시 외기를 일부 상시로 유입하는 하는 모드이다.The blow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air conditioning modes. The air conditioning mode includes an outdoor air mode, a betting mode, and a double laminar flow mode.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mode is provided with a smart intake mode (Smart Intake Mode). The smart intake mode is a mode in which a portion of outside air is constantly introduced in the betting mode.

내기 모드는 차량 실내의 공조풍을 다시 리사이클하여 공조 대상의 공기로 활용함에 따라 공조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며, 외기 모드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차량 실내로 유입시켜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장점을 갖는다.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는 내기 모드 시 외기를 일부 차량 실내로 공급하여 공조 성능과 신선한 공기 공급이라는 두가지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다.The betting mode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by recycling the air conditioning win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using it as the air to be air-conditioned, and the outdoor air mode has the advantage of introducing fresh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supplying it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 The smart intake mode can take advantage of both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and fresh air supply by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interior of some vehicles during betting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전환도어(200)가 단순히 슬라이드 구동만 수행하거나 단순히 회전 구동만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은 전환도어(200)가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모두 수행한다.In the blower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door 200 does not simply slide or simply rotate. That is, in the blower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door 200 performs both a slide drive and a rotation drive.

이로 인해, 전환도어(200)의 회전 구동 구간에서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를 구현함으로써, 전환도어(200)가 외기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외기가 바로 내기유입구(112)를 통해 차량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전환도어(200)는 내기 모드 시 외기를 일부 상시 유입하는 스마트 인테이크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내기와 외기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For this reason, by implementing the smart intake mode in the rotation driving section of the switching door 200,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outside air inlet 111 of the switching door 200 directly flows back in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12. prevent. In addition, the switching door 200 performs a smart intake function for constantly introducing some outside air in the betting mode, and also performs a partition wall function for partitioning the outside air from the betting mode.

즉, 2층류 구조의 송풍유닛은 외기 가변시 램 에어(Ram air)가 차량 실내로 유입되어 난방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전환도어(200)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의 병행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하나의 도어로 2층류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That is, in the ventilation unit having a two-layer structure, ram ai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hen the outside air is changed and adversely affects the heating performance, but the ventilation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witching door ( 200) to effectively prevent this through the parallel drive of the slide drive and the rotation driv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wo-layer flow structure with one door, thereby reducing the cost.

한편, 전환도어(200)의 슬라이드 구동 구간에서, 전환도어(200)는 내기유입구(112)와 외기유입구(111)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아울러, 전환도어(200)의 회전 구동 구간에서, 전환도어(200)는 내기유입구(112)를 상시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외기유입구(111)의 개도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 시 내기와 외기 간의 비율을 효과적으로 조절 가능하여 더욱 세밀한 공조 제어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lide driving section of the switching door 200 , the switching door 200 adjusts the opening degree between the inside air inlet 112 and the outside air inlet 111 . In addition, in the rotation driving section of the switching door 200, the switching door 200 can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outdoor air inlet 111 step by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indoor air inlet 112 is always fully open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ratio between the bet and the outside air in the smart intake mode, so that more detailed air conditioning control is possible.

더욱 상세하게는, 전환도어(200)는 꺾임부(220)를 구비한다. 꺾임부(220)는 전환도어(200)의 단부를 대략 90°절곡하여 이루어진다. 꺾임부(220)는 전환도어(200)의 회전 구동시 케이스(110)와의 씰링을 위해 형성된다. 또한, 꺾임부(220)에 씰링부재(221)가 구비된다. 씰링부재(221)는 지지부(220)에 밀착시 탄성변형되어 전환도어(200)와 케이스(110) 간의 기밀을 수행한다.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door 200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220). The bent part 220 is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switching door 200 by approximately 90°. The bent part 220 is formed for sealing with the case 110 when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ed.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221 is provided in the bent portion 220 . The sealing member 221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220 to perform airtightness between the switching door 200 and the case 110 .

또한, 케이스(110)에 지지부(119,118)가 복수개 형성된다. 지지부(119,118)는 전환도어(200)의 회전 구동 시 전환도어(200)와의 씰링을 수행한다. 지지부(119,118)는 전환도어(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케이스(110)에 복수개 형성되어, 전환도어(200)의 외기유입구(111) 개방 정도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9 and 118 are formed in the case 110 . The support parts 119 and 118 perform sealing with the switching door 200 when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ionally driven.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9 and 118 are formed in the case 110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witching door 200 , so tha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door air inlet 111 of the switching door 200 can be adjusted in stages.

한편, 케이스(110)에 제1 격벽부(117)와 제2 격벽부(116)가 형성된다. 제1 격벽부(117)는 에어필터(140)의 상류 측에 형성되어 내기유입구(112)와 상시내기유입구(113)를 구획한다. 제1 격벽부(117)를 통해 내기유입구(112)가 개폐될 때 상시내기유입구(113)를 통해 내기를 상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격벽부(116)는 에어필터(140)의 하류 측에 형성되어, 외기와 내기를 구획하여 각각 제1 유로(121)와 제2 유로(122)로 이동되도록 한다.Meanwhile, a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117 and a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116 are formed in the case 110 . The first partition 117 is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filter 140 to partition the indoor air inlet 112 and the regular indoor air inlet 113. When the bet inlet 112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first partition 117, the bet can be always introduced through the regular bet inlet 113. The second partition wall part 116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filter 140 to partition the outside air and the inside air to move to the first flow path 121 and the second flow path 122 , respectively.

하나의 지지부(119)는 전환도어(200)가 제1 핀(231)을 피봇으로 회전될 때 전환도어(200)의 꺾임부(220)에 형성된 씰링부재(221)와 밀착된다. 이 경우, 외기유입구(111)는 일부만 개방된다. 다른 하나의 지지부(118)는 전환도어(200)가 제1 핀(231)을 피봇으로 회전될 때 전환도어(200)의 꺾임부(220)에 형성된 씰링부재(221)와 밀착된다. 이 경우, 외기유입구(111)는 완전히 개방된다.One support part 11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221 formed in the bending part 220 of the switching door 200 when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ed by pivoting the first pin 231 . In this case, only a part of the outdoor air inlet 111 is opened. The other supporting part 11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221 formed in the bending part 220 of the switching door 200 when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ed by pivoting the first pin 231 . In this case, the outdoor air inlet 111 is completely opened.

또한, 씰링부재(221)는 중심축(234)에 일정힘이 가해질 때 탄성변형되어 전환도어(200)의 회전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 즉, 씰링부재(221)가 지지부(119)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환도어(200)와 케이스(110) 사이는 기밀되며, 중심축(234)에 일정힘 이상이 가해질 경우 전환도어(200)와 케이스(110) 사이의 기밀 상태는 해제되어 전환도어(200)는 회전이 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환도어(200)의 단계별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221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shaft 234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switching door 200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2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119 , between the switching door 200 and the case 110 is airtight, and when more tha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shaft 234 , the switching door 200 and The airtight state between the case 110 is released and the switching door 200 starts to rotate.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tep-by-step rotational driving of the switching door 200 is possible.

꺾임부(220)는 전환도어(200)의 회전 구동시 회전 원호를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이 경우, 중간의 지지부(119)도 꺾임부(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나의 지지부(119)만 형성하여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 시 외기와 내기의 비율을 세부 조정이 가능해진다.The bending portion 220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rotational arc when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119 is also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ent part 220 . Through this configuration, by forming only one support part 119, it becomes possible to fine-tune the ratio of outside air and bet in the smart intake mode.

즉, 전환도어(200)의 꺾임부(220) 일측을 지지부(119)와 밀착시킬 때와 전환도어(200)가 조금더 회전되어 꺾임부(220) 타측을 지지부(119)와 밀착시킬 때, 외기유입구(111)의 개방 정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후자의 경우일 때 외기유입구(111)를 조금더 개방할 수 있다.That is, when one side of the bending part 220 of the switching door 2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119, and when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ed a little more to bring the other side of the bending part 22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119,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door air inlet 111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In this case, in the latter case, the outdoor air inlet 111 may be slightly more open.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외기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Meanwhile, FIG. 4 is a view showing the outdoor air mode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4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기 모드 시, 외기는 75%, 내기는 25% 유입된다. 이 경우, 내기 25%는 상시내기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다. 관절형 링크는 중심축(23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된 상태이며, 제1 핀(231)은 제1 안내홈(240)의 후방 끝에 위치한다. 제2 핀(232)은 제2 안내홈(250)의 제1 구간(252)의 후방 끝에 위치한다.4 and 5 , in the outdoor air mode, 75% of the outdoor air and 25% of the bet are introduced. In this case, 25% of the bet is introduced through the regular bet inlet 113 . The articulated link is in a state of maximum rotation clockwise about the central axis 234 , and the first pin 231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 The second pin 232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ection 252 of the second guide groove 250 .

전환도어(200)는 내기유입구(112)를 완전히 폐쇄하고 외기유입구(111)를 완전히 개방한다. 상시내기유입구(113)로 유입된 내기는 하부흡입구(124)를 통해 제2 유로(122)로 이동하며, 외기유입구(111)로 유입된 외기는 상부흡입구(123)를 통해 제1 유로(121)로 이동한다.The conversion door 200 completely closes the inside air inlet 112 and completely opens the outdoor air inlet 111 . The bet flowing into the regular indoor air inlet 113 moves to the second flow path 122 through the lower suction port 124, and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air inlet 111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123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21 move to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내기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 betting mode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6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내기 모드 시, 외기는 0%, 내기는 100% 유입된다. 관절형 링크는 중심축(234)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 핀(231)은 제1 안내홈(240)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되고, 제2 핀(232)은 제2 안내홈(250)의 제1 구간(252)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곡률변경부(251)에 위치한다.6 and 7 , in the betting mode, 0% of the outside air and 100% of the bet are introduced. The articulated link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central axis 234 , the first pin 231 slides forwar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240 , and the second pin 232 is the second guide It slides forward along the first section 252 of the groove 250 and is located in the curvature changing part 251 .

전환도어(200)는 외기유입구(111)를 완전히 폐쇄하고 내기유입구(112)를 완전히 개방한다. 내기유입구(112) 및 상시내기유입구(113)로 유입된 내기는 하부흡입구(124)를 통해 제2 유로(122)로 이동한다.The conversion door 200 completely closes the outdoor air inlet 111 and completely opens the indoor air inlet 112 . The bet introduced into the bet inlet 112 and the regular bet inlet 113 moves to the second flow path 122 through the lower suction port 124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제1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view showing a first smart intake mode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8 .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 시, 외기는 15%, 내기는 85% 유입된다. 관절형 링크는 중심축(234)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 핀(231)은 제1 안내홈(240)의 전방 끝에 걸려 더 이상 슬라이드되지 못하고 전환도어(200)는 제1 핀(231)을 피봇으로 하여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핀(232)은 제2 안내홈(250)의 제2 구간(25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된다. 전환도어(200)의 꺾임부(220)에 형성된 씰링부재(221)는 지지부(119)에 밀착되어 전환도어(200)와 케이스(110) 간의 기밀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꺾임부(220)의 후방 단부와 지지부(119)가 밀착된다.8 and 9 , in the first smart intake mode, 15% of the outside air and 85% of the bet are introduced. The articulated link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entral axis 234 , and the first pin 231 is caught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and cannot slide anymore, and the switching door 200 is the first I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the pin 231 pivoting. The second pin 232 slides backward along the second section 253 of the second guide groove 250 . The sealing member 221 formed in the bent part 220 of the switching doo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119 so that airtightness between the switching door 200 and the case 110 is made. In this case, the rear end of the bent portion 220 and the support portion 119 are in close contact.

전환도어(200)는 내기유입구(112)를 완전히 개방하고 외기유입구(111)를 일부(15%) 개방한다. 내기유입구(112) 및 상시내기유입구(113)로 유입된 내기는 하부흡입구(124)를 통해 제2 유로(122)로 이동하며, 외기유입구(111)로 유입된 외기는 상부흡입구(123)를 통해 제1 유로(121)로 이동한다.The conversion door 200 completely opens the inside air inlet 112 and partially (15%) opens the outdoor air inlet 111 . The bet introduced into the bet inlet 112 and the regular indoor air inlet 113 moves to the second flow path 122 through the lower suction port 124,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outdoor air inlet 111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123 It moves to the first flow path 121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제2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smart intake mode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10 .

제2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 시, 외기는 30%, 내기는 70% 유입된다. 관절형 링크는 중심축(234)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 핀(231)은 제1 안내홈(240)의 전방 끝에 걸려 더 이상 슬라이드되지 못하고 전환도어(200)는 제1 핀(231)을 피봇으로 하여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핀(232)은 제2 안내홈(250)의 제2 구간(25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된다. 즉, 중심축(234)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전환도어(200)는 제1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의 상태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조금더 회전되어 꺾임부(220)의 전방 단부와 지지부(119)가 밀착된다. 전환도어(200)의 꺾임부(220)에 형성된 씰링부재(221)는 지지부(119)에 밀착되어 전환도어(200)와 케이스(110) 간의 기밀이 이루어진다.In the second smart intake mode, 30% of the outside air and 70% of the bet are introduced. The articulated link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entral axis 234 , and the first pin 231 is caught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and cannot slide anymore, and the switching door 200 is the first I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the pin 231 pivoting. The second pin 232 slides backward along the second section 253 of the second guide groove 250 . That is, when more tha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shaft 234, the switching door 200 is rotated a little more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 of the first smart take mode,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bent part 220 and the support part 119 are clings to The sealing member 221 formed in the bent part 220 of the switching doo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119 so that airtightness between the switching door 200 and the case 110 is made.

전환도어(200)는 내기유입구(112)를 완전히 개방하고 외기유입구(111)를 일부(30%) 개방한다. 내기유입구(112) 및 상시내기유입구(113)로 유입된 내기는 하부흡입구(124)를 통해 제2 유로(122)로 이동하며, 외기유입구(111)로 유입된 외기는 상부흡입구(123)를 통해 제1 유로(121)로 이동한다.The conversion door 200 fully opens the inside air inlet 112 and partially (30%) opens the outdoor air inlet 111 . The bet introduced into the bet inlet 112 and the regular indoor air inlet 113 moves to the second flow path 122 through the lower suction port 124,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outdoor air inlet 111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123 It moves to the first flow path 121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2층류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도 1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wo-layer flow mode of a blow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12 .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2층류 모드 시, 외기는 50%, 내기는 50% 유입된다. 관절형 링크는 중심축(234)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 핀(231)은 제1 안내홈(240)의 전방 끝에 걸려 더 이상 슬라이드되지 못하고 전환도어(200)는 제1 핀(231)을 피봇으로 하여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핀(232)은 제2 안내홈(250)의 제2 구간(253)을 따라 후방 끝까지 슬라이드된다. 즉, 중심축(234)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전환도어(200)는 제2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의 상태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전환도어(200)의 꺾임부(220)에 형성된 씰링부재(221)는 또 하나의 지지부(118)에 밀착되어 전환도어(200)와 케이스(110) 간의 기밀이 이루어진다.12 and 13 , in the two-layer flow mode, 50% of the outside air and 50% of the bet are introduced. The articulated link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entral axis 234 , and the first pin 231 is caught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40 and cannot slide anymore, and the switching door 200 is the first I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the pin 231 pivoting. The second pin 232 slides to the rear end along the second section 253 of the second guide groove 250 . That is, when more tha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shaft 234 , the switching door 200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 of the second smart take mode, and the sealing member formed in the bending portion 220 of the switching door 200 . 221 is in close contact with another support 118 ,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switching door 200 and the case 110 is made.

이 경우, 전환도어(200)는 외기와 내기를 분리하는 격벽으로 작용한다. 전환도어(200)는 내기유입구(112)를 완전히 개방하고 외기유입구(111)를 완전히 개방한다. 내기유입구(112) 및 상시내기유입구(113)로 유입된 내기는 하부흡입구(124)를 통해 제2 유로(122)로 이동하며, 외기유입구(111)로 유입된 외기는 상부흡입구(123)를 통해 제1 유로(121)로 이동한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door 200 acts as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outside air and the bet. The conversion door 200 completely opens the inside air inlet 112 and completely opens the outdoor air inlet 111 . The bet introduced into the bet inlet 112 and the regular indoor air inlet 113 moves to the second flow path 122 through the lower suction port 124,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outdoor air inlet 111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123 It moves to the first flow path 121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Up to now, the blower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 케이스 111: 외기유입구
112: 내기유입구 113: 상시내기유입구
118,119: 지지부
121: 제1 유로 122: 제2 유로
123: 상부흡입구 124: 상부흡입구
130: 블로어모터 131: 제1 블로어휠
132: 제2 블로어휠 140: 에어필터
200: 전환도어 210: 돔부
220: 꺾임부 240: 제1 안내홈
236: 제1 링크 235: 제2 링크
250: 제2 안내홈 251: 곡률변경부
252: 제1 구간 253: 제2 구간
110: case 111: outdoor air inlet
112: bet inlet 113: regular bet inlet
118,119: support
121: first euro 122: second euro
123: upper intake 124: upper intake
130: blower motor 131: first blower wheel
132: second blower wheel 140: air filter
200: transition door 210: dome part
220: bent portion 240: first guide groove
236: first link 235: second link
250: second guide groove 251: curvature change unit
252: first section 253: second section

Claims (20)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블로어휠 및 블로어모터를 구비하고,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흡입하도록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내기 모드 시 외기를 일부 상시로 유입하는 스마트 인테이크 모드(Smart Intake Mode)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A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comprising a case having an inlet inlet and an outside air inlet formed therein,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provided in the case, and having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partitioned so as to separate the inside air and the outside air. In the blowing unit,
A ventilation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 smart intake mode that partially introduces outside air at all times during betting mode.
제1 항에 있어서,
내기와 외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하나의 전환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전환도어는 중심축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수행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The method of claim 1,
One conversion door is provided to control the inflow of bet and outside air,
The switching door is a blow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at performs slide driving and rotation driving by rotation of a central shaf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도어는,
내기 모드 시 외기를 일부 상시 유입하는 스마트 인테이크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내기와 외기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version door is
A blow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smart intake function for always introducing some outside air in the betting mode, and also functions a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bet and outside air.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도어와 중심축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관절형 링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ventilation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articulated link for transmitting power by connecting the switching door and the central shaft.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과,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A blower unit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driving and rotational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제5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상기 전환도어의 일측은 제1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고, 타측은 제2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lide direction, one side of the switching door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other side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groov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홈은 중심축의 원주 방향으로 내기유입구의 경계를 따라 유선형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guide groove is a blow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extend in a streamlined shape along the boundary of the bet inl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홈은 중심축의 원주 방향으로 외기유입구의 경계를 따라 유선형으로 연장되다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guide groove extends in a streamlined shape along the boundary of the outdoor air inl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extends toward the insid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홈은,
외기유입구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을 안내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끝에서 급격하게 곡률이 변경되는 곡률변경부와,
상기 곡률변경부에서 중심축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전환도어의 회전 구동을 안내하는 제2 구간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guide groove,
A first section extending along the boundary of the outdoor air inlet to guide the slide driving of the switching door;
a curvature changing unit whose curvature is rapidly changed at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A blower unit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econd section extending from the curvature changing part toward a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axis to guide rotational driving of the switching doo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형 링크는,
일측이 중심축에 연결되는 제1 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1 링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전환도어에 연결되는 제2 링크로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rticulated link is
A blower unit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rst link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and a second link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witching doo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과,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와 전환도어의 연결점이 제2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A first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driving and rotational driving of the changeover door are formed in the case;
The ventilation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link and the switching door is guided by a second guide groov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도어는 중심축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안내홈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면서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고,
상기 전환도어가 제1 안내홈의 타측 끝까지 도달한 상태에서 중심축이 일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전환도어는 제1 안내홈의 타측 끝점을 피봇으로 제2 안내홈을 따라 회전되면서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witching door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inside air inlet and the outside air inlet while mov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to the other by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in one direction,
When the central axis is further rotated in one direction while the changeover door reach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the changeover door is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by pivo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to open the outdoor air inlet. The ventilation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도어가 제2 안내홈을 따라 회전되는 구간에서 내기유입구는 상시 완전히 개방되고,
상기 전환도어가 제2 안내홈을 따라 회전되어 외기유입구를 완전히 개방하면 전환도어는 외기와 내기를 구획하는 격벽 기능을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ection in which the conversion door is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the bet inlet is always completely open,
When the changeover door is rotat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to completely open the outdoor air inlet, the changeover door functions a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outside air from the inside air.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도어의 단부는 회전 구동시 케이스와의 씰링을 위해 꺾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ventilation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switching door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for sealing with the case when the rotation driv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도어의 회전 구동 시 전환도어와의 씰링을 수행하는 지지부가 전환도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케이스에 복수개 형성되어 전환도어의 외기유입구 개방 정도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5. The method of claim 14,
Blowing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for sealing the changeover door are formed in the cas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ngeover door when the changeover door is rotated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door air inlet of the changeover door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unit.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에 지지부에 밀착시 탄성변형되어 기밀을 수행하는 씰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중심축에 일정힘이 가해질 때 탄성변형되어 전환도어의 회전 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6. The method of claim 15,
A sealing member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of the bent portion to perform airtightness is provided,
The sealing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shaft, and the ventilation uni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rotation of the switching door.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는 전환도어의 회전 구동시 회전 원호를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low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rotating arc when the switching door is rotated.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내기를 상시 유입하기 위한 상시내기유입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ular bet inlet for always introducing the bet into the case is further formed.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전환도어의 슬라이드 구동 구간에서 상기 전환도어는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고,
전환도어의 회전 구동 구간에서 상기 전환도어는 내기유입구를 상시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In the slide driving section of the conversion door, the conversion door controls the opening degree between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outdoor air inlet,
In the rotation driving section of the changeover door, the changeover door is a ventilation unit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outdoor air inlet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indoor air inlet is always fully opened.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블로어휠 및 블로어모터를 구비하고,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흡입하도록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내기와 외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하나의 전환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전환도어는 중심축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수행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A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comprising a case having an inlet inlet and an outside air inlet formed therein,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provided in the case, and having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partitioned so as to separate the inside air and the outside air. In the blowing unit,
One conversion door is provided to control the inflow of bet and outside air,
The switching door is a blow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at performs slide driving and rotation driving by rotation of a central shaft.
KR1020200050965A 2020-04-27 2020-04-27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101324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65A KR20210132495A (en) 2020-04-27 2020-04-27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65A KR20210132495A (en) 2020-04-27 2020-04-27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495A true KR20210132495A (en) 2021-11-04

Family

ID=7852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965A KR20210132495A (en) 2020-04-27 2020-04-27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249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55499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having two layer air flow installed therein
CN110678338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717112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01301B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5336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10132495A (en)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2999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2601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01299B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00755B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3791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9012959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80001627A (en)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362201B1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KR10207995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71573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2999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17046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90752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36450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9001555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20133782A (en) Driving unit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s
CN11374803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37921B1 (en) Driving unit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s
KR2014011218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