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482A - 기체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체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482A
KR20210132482A KR1020200050931A KR20200050931A KR20210132482A KR 20210132482 A KR20210132482 A KR 20210132482A KR 1020200050931 A KR1020200050931 A KR 1020200050931A KR 20200050931 A KR20200050931 A KR 20200050931A KR 20210132482 A KR20210132482 A KR 2021013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quid
unit
ga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허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허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허블
Priority to KR102020005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2482A/ko
Publication of KR2021013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정화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기체를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일부가 개구된 제1 가이드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개구된 부분을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 사이,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체정화시스템{GAS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체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발생되어 복합 악취가 발생하기 마련인데, 이로 인한 악취는 복합성이 강하여 단일 약액 액체로는 악취 가스의 효과적인 처리가 어려워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유기 또는 무기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탈취탑 내에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고, 이로부터 탈취탑 내로 도입된 악취를 함유하는 가스에 물을 뿌려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수세법)이 있으며, 이외에 탈취탑 내에 활성탄, 실리카겔 및 지올라이트(Zelite) 등과 같은 흡착제 층을 배치하여 악취 물질을 흡착하도록 하는 방법(활성탄 흡착법)이나, 상기 흡착제 대신 특정 미생물 층을 배치하여 상기 미생물이 악취 발생물질들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법(미생물 접촉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복합가스로 이루어진 악취가스는 통상 '산과 알칼리'에 의해 중화반응을 일으켜 세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상의 탈취탑은 구분된 탈취탑 즉, 직렬 또는 병렬식으로 각각 구성되는 산, 알칼리 세정탑으로 이루어진 바, 이는 시공 제작 등의 번거로움과 복합가스의 탈취력에 신속하지 못하거나 한정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한편, 장치의 대형화로 인해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었다.
특히, 상기 수세법은 악취 가스를 물이나 산, 알칼리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중화,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탈취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교적 설비가 간단하고 운전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적용범위가 좁고 복합취기의 처리가 곤란하며 약액 사용에 의한 시설물의 부식방지 대책이 필요함과 동시에 2차 오염원인 폐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대부분의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에서 악취가스를 제트노즐 등을 이용하여 액체에 단순히 분사/혼합하여 세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강한 분사압력을 갖고 액체 속에 분사되는 버블 형태를 갖는 악취가스가 액체를 그대로 뚫고 상방부로 올라가게 되므로 악취가스가 액체와 반응하는 시간이 매우 짧아 악취가스의 제거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체정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기체를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일부가 개구된 제1 가이드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개구된 부분을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 사이,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배치된 제1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연결된 제2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분사부는 상기 바디부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분사노즐은 작은 크기의 입자를 갖는 미스크 형태로 상기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그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기 바디부 상부의 기체통과부 및 상기 바디부 하부의 액체저장부로 분리하는 구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상향되게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된 상기 기체가 통과하는 유입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 필터부에 액체를 분사하는 필터액체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 필터부의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유입 필터부의 교환주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기체에 포함된 악취,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체의 속도 저감을 최소화함으로써 시스템 전체 가동 시간 및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입 필터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의 제1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의 제1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의 제1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의 블록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1은 도 10의 혼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입 필터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의 블록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1은 도 10의 혼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기체정화시스템(100)은 바디부(120), 액체배출부(194), 제1 및 제2 가이드부(170, 180), 및 액체분사부(19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20)는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0)와 유출구(150)는 일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즉, 바디부(120)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입구(110)로 유입된 기체는 바디부(120)를 통과하여 유출구(150)로 일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입구(110)와 유출구(150)는 바디부(120)의 다양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입구(110)와 유출구(150)는 바디부(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유입구(110)의 상면과 유출구(150)의 상면은 바디부(120)의 상면이 일평면을 형성하도록 유입구(110)와 유출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유입구(110)는 바디부(120)와 연결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기체는 속도 및 압력이 저감된 상태로 바디부(12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유출구(150)는 바디부(120)와 연결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출구(150)는 바디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바디부(120)는 유입된 기체에 액체를 분사하여 유입된 기체를 정화할 수 있다. 유입된 기체를 정화하는 부분과 분사된 액체를 저장하는 부분을 서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바디부(120)는 구획부(130) 및 액체저장부(140)을 구비할 수 있다.
액체저장부(140)는 바디부(120)의 하면에 배치되어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액체저장부(140)는 바디부(1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탱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130)는 액체저장부(140)가 바디부(120)와 분리되도록 구획할 수 있다. 구획부(130)는 바디부(120) 특히, 액체저장부(1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구획부(130)에 의해 분리된 즉, 액체저장부(140)를 제외한 부분을 '바디부(120) 상부', 또는 '바디부(120)의 기체통과부'로 지칭하기로 한다.
구획부(130)는 액체저장부(140)와 바디부(120)의 기체통과부를 관통하는 관통홀(131)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131)은 개구된 홀이거나, 액체 벤트홀일 수 있다.
구획부(130)는 관통홀(131)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130)의 상면(예를 들면, 구획부(130)의 표면 중 바디부(120)의 저면을 형성하는 표면) 중 관통홀(131)이 배치된 구획부(130) 부분이 구획부(130)의 다른 상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구획부(130) 상면에 있는 액체는 관통홀(131)로 모일 수 있다.
본 도면에서 관통홀(131)은 유출구(150)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관통홀(131)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이 다수 형성된 경우, 구획부(130)는 유입구(110)에서 유출구(150) 방향으로 상향되게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출구(150)로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액체저장부(140)에 저장된 액체는 유출구(150)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 때, 수위가 상승된 유출구(150) 측의 액체는 유출구(150) 측에 배치된 관통홀(131)을 통해 바디부(120)로 역류될 수 있기 때문에 구획부(130)는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진 구획부(130)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170, 180)는 기체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고, 기체의 경로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170, 180)는 바디부(120) 상부(바디부(120)의 기체통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170, 18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170, 180)는 바디부(120)의 상부의 내면으로부터 구획부(130)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바디부(120) 및 구획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170, 180)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상류 측(예를 들면, 유출구(150)보다 유입구(110)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가이드부(170)가 제2 가이드부(180)보다 기체의 흐름 방향으로 상류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가이드부(170)는 제1 차단부(171)와 제1 가이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부(171)는 기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며, 기체의 흐름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가이드부(170)는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부(170)는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72)는 제1 차단부(17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172)는 기체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가이드부(170)는 제1 차단부(171)와 제1 가이드(172)가 각각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가이드(17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1 가이드부(170)의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개구부를 통하여 기체가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가이드(172)와 연결되지 않은 제1 차단부(171)는 바디부(120)의 옆면 내벽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제1 가이드(172)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로만 기체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80)는 제1 가이드부(170)의 개구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차단부(181) 및 제2 차단부(181)로부터 절곡되도록 배치된 제2 가이드(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단부(181)는 플레이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차단부(181)는 제1 차단부(171)와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부(181)는 제1 가이드부(170)의 개구부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182)는 제2 차단부(18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2 가이드(182)는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쌍의 제2 가이드(182)는 제2 차단부(181)의 측면 끝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제2 가이드(182) 사이에는 제1 가이드부(170)의 개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가이드(172)는 한쌍의 제2 가이드(182)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182)는 제1 가이드(172)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70)와 제2 가이드부(180)는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중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X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차단부(171)와 제2 차단부(181)은 일부분이 중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가이드(182)와 제1 가이드(172)는 기체정화시스템(100)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예를 들면, 도 1의 Y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될 수 있다.
액체분사부(196)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170, 180) 사이, 제1 가이드부(170), 및 제2 가이드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분사부(196)가 제1 가이드부(170)에 배치되는 경우는, 액체분사부(196)가 한 쌍의 제1 가이드(172) 사이에 배치되는 것과 같이 제1 가이드부(170) 내부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체분사부(196)가 제2 가이드부(180)에 배치되는 경우는, 액체분사부(196)가 한 쌍의 제2 가이드(182) 사이에 배치되는 것과 같이 제2 가이드부(180) 내부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액체분사부(196)는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도 1 및 도 2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체분사부(196)는 바디부(1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체분사노즐(196-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체분사노즐(196-1)은 원통형, 원뿔형, 부채꼴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분사노즐(196-1)은 기체가 유입되는 방향, 흘러가는 방향, 및 유출되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분사부(196)는 제1 가이드부(170)의 개구부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액체분사부(196)는 제1 가이드부(170)의 개구된 부분을 통과한 기체에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액체배출부(194)는 액체저장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배출부(194)는 외부의 처리시설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배출부(194)는 액체저장부(140)에 연결되는 안내배관과 안내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정화시스템(100)는 유입 필터부(160) 및 필터액체분사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필터부(160) 및 필터액체분사부(195)는 바디부(120)의 기체통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 필터부(160) 및 필터액체분사부(195)는 유입구(110) 측에 배치되어 유입구(110)에서 유입되는 기체 중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물질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유입 필터부(160)는 그 옆면이 바디부(120) 상부에 연결되어, 바디부(120)의 기체통과부를 차폐하거나 구획할 수 있다.
유입 필터부(160)는 다공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입 필터부(160)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과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입 필터부(160)의 통과 홀은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특히 유입 필터부(160)의 통과 홀은 육각형일 수 있으며, 유입 필터부(160)는 벌집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유입 필터부(160)는 기체의 흐름 방향(예를 들면, 유입구(110)에서 유출구(150)로 가는 방향 또는 도 1의 X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입 필터부(160)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160)는 기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 필터부(16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유입 필터부(160)의 홀은 다양하게 배열되거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160)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유입 필터부(160)는 유입 필터부(160)의 홀이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일부만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160) 모두 홀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160)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유입 필터부(160)는 홀의 크기 및 홀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160) 중 하나의 홀은 육각형이고,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160) 중 다른 하나의 홀은 원형일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160) 중 하나의 홀의 크기는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160) 중 다른 하나의 홀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의 면적이 작은 유입 필터부(160)가 홀의 면적이 더 큰 유입 필터부(160)보다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홀의 크기가 더 작은 유입 필터부(160)가 홀의 크기가 더 큰 유입 필터부(160)보다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액체분사부(195)는 액체를 유입 필터부(160)에 분사하여 유입 필터부(160)의 홀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터액체분사부(195)는 유입 필터부(160)의 홀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유입 필터부(160)가 수막을 갖는 필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필터액체분사부(195)는 유입 필터부(160)로 액체를 분사하는 필터액체분사노즐(195-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필터액체분사노즐(195-1)은 원통형, 원뿔형, 부채꼴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 부채꼴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터액체분사부(195)는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1개 이상의 필터액체분사부(195)는 바디부(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필터액체분사부(195)는 바디부(12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각 필터액체분사부(195)는 각 유입 필터부(16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필터액체분사부(195)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인접하는 유입 필터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필터액체분사부(195)는 1개만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기체정화시스템(100)는 액체순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체순환부는 액체저장부(140)와 연결되어 액체저장부(140)의 액체를 필터액체분사부(195) 및/또는 액체분사부(196)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액체순환부는 순환배관(193), 및 순환배관(193)을 이동하는 액체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순환필터(191)를 구비할 수 있다. 순환필터(191)는 메쉬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액체분사부(196)는 순환배관(193)에 배치되어 액체저장부(140)의 액체를 필터액체분사부(195)와 액체분사부(196)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체공급부(192)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체정화시스템(100)은 기체정화시스템(100)을 통과하는 기체를 탈취, 이물질제거할 수 있다. 이때, 기체정화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액체는 물, 약품이 희석된 용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체가 유입구(110)를 통하여 바디부(120)로 유입되면, 기체는 유입 필터부(16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터액체분사부(195)는 유입 필터부(160)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특히 필터액체분사부(195)는 유입 필터부(160)의 상부에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액체의 일부는 유입 필터부(160)의 상면에 도달하고, 액체의 다른 일부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면서 유입 필터부(160)의 하부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입 필터부(160)의 홀에는 수막이 형성되며, 기체는 이러한 수막을 통과하면서 이물질 등의 일부가 정화될 수 있다.
유입 필터부(160)를 통과한 기체는 제1 가이드(172)의 개구부를 통하여 제2 가이드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기체 중 일부는 제1 차단부(171)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이동 경로를 바꿀 수 있다. 이러한 기체는 제1 가이드(172) 사이로 이동하여 제2 가이드부(18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80)에 도달한 기체는 제2 차단부(181)에 충돌하여 다시 한번 이동이 차단되고, 제2 가이드(18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기체는 제2 가이드(182)를 따라 제1 가이드부(170) 측으로 이동한 후 제2 가이드부(180)를 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기체는 제1 가이드부(170)와 제2 가이드부(180)를 통하여 경로가 적어도 한번 이상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체가 이동하는 동안 액체분사부(196)는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액체분사노즐(196-1)은 액체분사부(196)의 외면을 일주하도록 배열되며, 액체분사부(196)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됨으로써 다양한 높이 및 다양한 방향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된 액체분사노즐(196-1)은 작은 크기의 입자를 갖는 미스크 형태로 분사됨으로써 기체에 포함된 각종 화합물질이나 이물질 등과 결합하거나 이러한 물질에 흡착되어 낙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제1 가이드부(170)와 제2 가이드부(180)가 배치된 부분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체는 바디부(120)를 통과하면서 기체 내부에 포함된 악취 및 이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액체를 분사하는 경우 상기 액체순환부는 액체저장부(140)에서 지속적으로 액체를 필터액체분사부(195)와 액체분사부(196)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순환필터(191)는 액체의 순환 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체정화시스템(100)이 작동하는 동안 액체순환유입 필터부(160) 및 유입 필터부(160) 중 적어도 하나에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액체순환유입 필터부(160) 및 유입 필터부(160)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주기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이러한 센서에 의하여 교환주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는 각 유입 필터부의 저항의 변화 등을 감지하여 교체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액체순환부의 작동을 중지하고 액체배출부(194)를 통하여 액체를 외부로 완전히 배출한 후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액체를 액체저장부(140)에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액체저장부(140)에는 별도의 액체공급배관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액체배출부(194)를 통하여 새로운 액체가 유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기체정화시스템(100)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기체를 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체정화시스템(100)은 제1 가이드부(170)를 통하여 유입 필터부(160)에서 저감된 기체의 속도를 회복하여 기체가 바디부(120) 내부에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절곡시킴으로써 기체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체정화시스템(100)은 바디부(120)를 통과하는 모든 기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100)은 수질 정화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질 정화부(800)는 순환 미세관(840), 혼합모듈(830), 기체 공급관(820), 및 방전모듈(810)을 구비할 수 있다.
방전모듈(810)은 유입되는 기체, 특히, 공기에 코로나 방전 등을 일으켜 공기 중의 산소나 질소 등을 음이온화하거나 오존을 생성할 수 있다.
기체 공급관(820)은 방전모듈(810)에서 생성된 음이온화된 기체 및/또는 오존을 혼합모듈(830)에 공급할 수 있다.
순환 미세관(840)은 순환배관(193)을 이동하는 액체의 일부를 유입받아 다시 순환배관(193)에 공급할 수 있다. 순환 미세관(840)은 순환배관(193) 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모듈(830)은 순환 미세관(840)의 유체를 공급받아, 해당 유체에 기체 공급관(820)을 통해 공급받은 이온화된 기체 및/또는 오존을 혼합할 수 있다.
순환 미세관(840)은 제1 및 제2 순환 미세관(841, 84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순환 미세관(841, 842) 각각의 일측은 혼합모듈(8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순환 미세관(842)의 타측은 액체저장부(140)와 액체공급부(192)의 일측 사이에 배치된 제2 순환배관(19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순환 미세관(842)은 순환필터(191)와 액체공급부(19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순환 미세관(841)은 액체공급부(192)의 타측에 연결된 제1 순환배관(193-1)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공급부(192)를 통과한 제1 순환배관(193-1)을 이동하는 액체 중 일부는 제1 순환 미세관(841)로 유입될 수 있다. 액체공급부(192)의 유출단의 압력이 유입단의 압력 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제1 순환 미세관(841)에 유입된 유체는 혼합모듈(830)에 공급될 수 있다.
혼합모듈(830)은 액체와 기체를 혼합할 수 있는 장치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혼합모듈(830)은 벤트리관 구조일 수 있다. 벤트리관의 목 부분은 기체 공급관(820)과 연통될 수 있다. 벤트리관을 통과하는 액체는 연통된 기체 공급관(820)을 통해 유입되는 기체와 혼합될 수 있다.
이온화된 기체 또는 오존은 액체와 혼합되어, 액체를 탈취하거나 살균 등을 할 수 있다.
이온화된 기체 또는 오존과 액체가 혼합된 혼합물은 제2 순환 미세관(842)를 통해 제1 순환배관(193-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체정화시스템(200)은 바디부(220), 구획부(미도시), 액체저장부(미도시), 유입 필터부(260), 제1 가이드부(270), 제2 가이드부(280), 액체순환부(미도시), 액체배출부(미도시), 필터액체분사부(295) 및 액체분사부(29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입구(210), 바디부(220), 상기 구획부, 상기 액체저장부, 유출구(250), 유입 필터부(260), 제1 가이드부(270), 제2 가이드부(280), 액체순환부(미도시), 상기 액체배출부, 필터액체분사부(295) 및 액체분사부(296)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70)는 제2 가이드부(280)보다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하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차단부(281)는 유입 필터부(260)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282)는 제2 차단부(281)로부터 기체의 흐름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 차단부(28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부(271)는 제2 차단부(281)보다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하류에 배치되며, 제2 차단부(281)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기체가 유입구(210)로 유입되면, 필터액체분사노즐(295-1)에서 분사된 액체에 의해 유입 필터부(260)의 홀에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260)는 각 유입 필터부(260)의 홀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유입 필터부(260)가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체는 각 유입 필터부(260)를 통과하면서 일직선으로 복수개의 유입 필터부(260)를 지나가지 못하고 이동 경로가 절곡됨으로써 유입 필터부(260)에 의하여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유입 필터부(260)를 통과한 기체는 제2 차단부(281)와 충돌하여 경로가 변경되고, 제2 가이드(282)를 따라 다시 절곡된 후 제1 가이드(272)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중 일부는 제2 가이드(282)를 따라 이동하다가 제1 차단부(271)에 의해 차단되고, 제1 가이드부(27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액체분사부(296)는 제1 가이드부(270)와 제2 가이드부(280) 사이에 배치되어 액체분사노즐(296-1)로부터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액체분사부(296)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기체는 상기와 같은 제1 가이드부(270)와 제2 가이드부(280)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저감되며, 이동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이후 속도가 저감된 기체에 액체를 분사하여 기체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가이드부(170)와 제2 가이드부(180)는 서로 반복하여 서로 교번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체정화시스템(200)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기체를 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체정화시스템(200)은 제1 가이드부(270)를 통하여 유입 필터부(260)에서 저감된 기체의 속도를 회복하여 기체가 바디부(220) 내부에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절곡시킴으로써 기체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체정화시스템(200)은 바디부(120)를 통과하는 모든 기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기체정화시스템(100)은 바디부(320), 구획부(미도시), 액체저장부(미도시), 유입 필터부(360), 제1 가이드부(370A,370B), 제2 가이드부(380A,380B), 액체순환부(미도시), 액체배출부(미도시), 필터액체분사부(195) 및 액체분사부(19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입구(310), 바디부(320), 상기 구획부, 상기 액체저장부, 유출구(350), 유입 필터부(360), 제1 가이드부(370A,370B), 제2 가이드부(380A,380B), 상기 액체순환부, 상기 액체배출부, 필터액체분사부(395) 및 액체분사부(396)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가이드부(370A,370B) 및 제2 가이드부(380A,380B)는 복수개 구비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제1 가이드부(370A,370B) 중 상류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370A,370B)는 제1 가이드부(370A)로 설명하고, 하류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370A,370B)는 제3가이드부(370B)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제2 가이드부(380A,380B) 중 상류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380A,380B)는 제2 가이드부(380A)로 설명하고, 하류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380A,380B)는 제4가이드부(380B)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제1 가이드부(370A)는 제1 차단부(371A) 및 제1 가이드(372A)를 포함하고, 제2 가이드부(380A)는 제2 차단부(381A) 및 제2 가이드(38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70B)는 제3차단부(371B) 및 제3가이드(372B)를 포함하고, 제4가이드부(380B)는 제4차단부(381B) 및 제4가이드(38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가이드부(370A)와 제3가이드부(37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2 가이드부(380A)와 제4가이드부(38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가이드부(370A)와 제2 가이드부(38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가이드부(170)와 제2 가이드부(180)와 같이 배열되고, 제3가이드부(370B)와 제4가이드부(380B)는 도 4에 도시된 제1 가이드부(270)와 제2 가이드부(280)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가이드부(370A)와 제2 가이드부(380A)는 도 4에 도시된 제1 가이드부(270)와 제2 가이드부(280)와 같이 배열되고, 제3가이드부(370B)와 제4가이드부(38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가이드부(170)와 제2 가이드부(180)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기체가 바디부(32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필터액체분사부(395)의 필터액체분사노즐(395-1)에서 분사된 액체에 의해 수막이 형성된 유입 필터부(360)를 통과할 수 있다.
이후 기체는 제1 가이드부(370A), 제2 가이드부(380A), 제3가이드부(370B) 및 제4가이드부(380B)를 지나면서 액체분사부(396)의 액체분사노즐(396-1)에서 분사된 액체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액체저장부(340)에 저장되었다가 상기 액체순환부에 의해 순환하거나 액체배출부(39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체정화시스템(300)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기체를 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체정화시스템(300)은 제1 가이드부(370)를 통하여 유입 필터부(360)에서 저감된 기체의 속도를 회복하여 기체가 바디부(320) 내부에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절곡시킴으로써 기체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체정화시스템(300)은 바디부(320)를 통과하는 모든 기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의 제1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가이드부(470)는 제1 차단부(471) 및 제1 가이드(472) 이외에 제1 배플(4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플(473)은 제1 차단부(471) 및 제1 가이드(472)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배플(473)은 기체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배플(473)은 직선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가이드부(47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플(473)은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배플(473)은 제1 가이드부(470)의 높이방향(예를 들면, 도 5의 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배플(473)은 기체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기체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액체가 충돌하여 맺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배플(473)은 이러한 액체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제1 배플(473)에 맺힌 액체를 자중에 의하여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플(473)을 통하여 기체 내부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바디부(미도시)의 내면 및 제2 가이드부(미도시)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도 제1 배플(47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별도의 배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의 제1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가이드부(570)는 제1 차단부(571) 및 제1 가이드(572) 이외에 제1 배플(5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플(573)은 제1 차단부(571) 및 제1 가이드(572)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배플(573)은 기체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배플(573)은 직선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가이드부(57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플(573)은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배플(573)은 제1 가이드부(570)의 높이방향(예를 들면, 도 5의 Z축 방향)에 대해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배플(573)은 기체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기체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액체가 충돌하여 맺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배플(573)은 이러한 액체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제1 배플(573)에 맺힌 액체를 자중에 의하여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플(573)을 통하여 기체 내부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바디부(미도시)의 내면 및 제2 가이드부(미도시)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도 제1 배플(57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별도의 배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의 제1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가이드부(670)는 제1 차단부(671) 및 제1 가이드(672) 이외에 제1 배플(6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플(673)은 제1 차단부(671) 및 제1 가이드(672)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배플(673)은 기체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배플(673)은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거나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플(673)의 일부분은 제1 배플(673)의 다른 부분보다 하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배플(673)의 적어도 일부분은 기체의 흐름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배플(673)은 초승달 형태, 알파벳 유(U)자 형태, 알파벳 더블유(W)자 형태, 알파벳 브이(V)자 형태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배플(673)의 개구된 부분이 유입구(미도시)를 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배플(673)의 인입된 부분은 기체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기체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일정한 부피에서 기체가 머무는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분사된 액체와 기체가 만날 확률이 높아지며, 기체 내부의 이물질도 액체와 만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플(673)을 통하여 기체 내부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배플(673)은 상기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배플(673)은 미세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돌기는 반구형, 원기둥, 다각뿔,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배플(673)은 물결무늬 등과 같은 비정형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배플(673)의 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170)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바디부(미도시)의 내면 및 제2 가이드부(미도시)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도 제1 배플(67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별도의 배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정화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체정화시스템(100)은 바디부(120), 액체배출부(194), 제1 및 제2 가이드부(170, 180), 액체분사부(196), 가이드 필터부(760; 760-1, 760-2, 760-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는 전술한 동일 명칭의 구성 요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필터부(760)는 도 1 및 도 2의 유입 필터부(160)와 동일한 구조 및/또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가이드 필터부(760)는 제1 내지 제3 유로 필터부(760-1, 760-2, 760-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유로 필터부(760-1)는 제1 가이드부(170)에 속한 한 쌍의 제1 가이드(172) 사이의 제1 유로를 통과하는 기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제2 유로 필터부(760-2)는 제1 가이드부(170)의 제1 가이드(172)와 제2 가이드부(180)의 제2 가이드(182) 사이의 제2 유로를 통과하는 기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172)와 제2 가이드(182)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유로 필터부(760-3)는 제1 가이드부(170)의 제1 차단부(171)와 제2 가이드부(180)의 제2 가이드(182) 사이의 제3 유로를 통과하는 기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차단부(171)과 제2 가이드(182)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필터부(760)는 한 쌍의 제2 유로 필터부(760-2), 한 쌍의 제3 유로 필터부(760-3), 서로 떨어진(도면 상 상하로 배치된) 각각 하나의 제2 및 제3 유로 필터부(760-2, 760-3)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200,300: 기체정화시스템 191: 순환필터
110,210,310: 유입구 192: 액체공급부
120,220,320: 바디부 193: 순환배관
130: 구획부 194: 액체배출부
140: 액체저장부 195,295,395: 필터액체분사부
150,250,350: 유출구 195-1,295-1,395-1: 필터액체분사노즐
160: 유입 필터부 196,296,396: 액체분사부
170,270,370A,470,570,670: 제1 가이드부
171,271,371A,471,571,671: 제1 차단부
172,272,372A,472,572,672: 제1 가이드
180,280,380A: 제2 가이드부 370B: 제3가이드부
181,281,381A: 제2 차단부 371B: 제3차단부
180,280,380A: 제2 가이드 372B: 제3가이드
196-1,296-1,396-1: 액체분사노즐
380B: 제4가이드부 382B: 제4가이드
381B: 제4차단부 473,573: 제1 배플
800: 수질 정화부 810: 방전모듈
820: 기체 공급관 830: 혼합모듈
840: 순환 미세관

Claims (7)

  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기체를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일부가 개구된 제1 가이드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개구된 부분을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 사이,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배치된 제1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연결된 제2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기체정화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사부는 상기 바디부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분사노즐은 작은 크기의 입자를 갖는 미스크 형태로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기체정화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그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기 바디부 상부의 기체통과부 및 상기 바디부 하부의 액체저장부로 분리하는 구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상향되게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기체정화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된 상기 기체가 통과하는 유입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홀을 구비하는, 기체정화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 필터부에 액체를 분사하는 필터액체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기체정화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필터부의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유입 필터부의 교환주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기체정화시스템.
KR1020200050931A 2020-04-27 2020-04-27 기체정화시스템 KR20210132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31A KR20210132482A (ko) 2020-04-27 2020-04-27 기체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31A KR20210132482A (ko) 2020-04-27 2020-04-27 기체정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482A true KR20210132482A (ko) 2021-11-04

Family

ID=7852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931A KR20210132482A (ko) 2020-04-27 2020-04-27 기체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24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514B1 (ko) * 2022-04-05 2022-10-21 김상렬 집진 성능을 개선한 집진기
KR102562451B1 (ko) * 2022-12-21 2023-08-03 주식회사 현진기업 이산화탄소 악취 저감제 및 필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이산화탄소 악취 저감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514B1 (ko) * 2022-04-05 2022-10-21 김상렬 집진 성능을 개선한 집진기
KR102562451B1 (ko) * 2022-12-21 2023-08-03 주식회사 현진기업 이산화탄소 악취 저감제 및 필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이산화탄소 악취 저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921B1 (ko)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0789719B1 (ko) 급속 회전 충돌식 오염가스 정화장치
KR101986293B1 (ko) 모듈형미세분사부가 구비된 복합 탈취 장치
KR101893036B1 (ko) 세정부 내 세정액의 수위설정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591416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수용성 유해가스 세정 스크러버 시스템
KR101882218B1 (ko)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883659B1 (ko) 악취가스 균일분배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20210132482A (ko) 기체정화시스템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KR101443157B1 (ko) 오염가스 정화장치
KR102076856B1 (ko)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KR101708598B1 (ko) 공기 접촉식 약액 탈취장치
KR101874952B1 (ko)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KR101893358B1 (ko) 악취가스 유입저항 감소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2061003B1 (ko) 미세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0948652B1 (ko) 탈취 효율이 높은 와류 회절 믹서 탈취기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102025152B1 (ko) 와류형 세정집진장치
KR102077324B1 (ko) 악성 악취가스 탈취시스템
KR101789146B1 (ko) 약액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KR101494845B1 (ko) 악취처리 시스템
KR102188763B1 (ko)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2183331B1 (ko) 다중 정화구조로 형성된 스크러버
KR102086738B1 (ko) 오존과 광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악취저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