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394A -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 Google Patents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394A
KR20210132394A KR1020200050714A KR20200050714A KR20210132394A KR 20210132394 A KR20210132394 A KR 20210132394A KR 1020200050714 A KR1020200050714 A KR 1020200050714A KR 20200050714 A KR20200050714 A KR 20200050714A KR 20210132394 A KR20210132394 A KR 2021013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inlet
pipe
block
pi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032B1 (ko
Inventor
박종욱
조광일
Original Assignee
박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욱 filed Critical 박종욱
Priority to KR102020005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0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구 상부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와 연통되며 하수구에 연결되는 제2관체로 이루어져, 도로변에 설치되는 하수구에 낙엽 등의 이물질이 쌓여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도, 유체가 상기 하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관체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재래시장과 같이 하수구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유체가 제1관체로 유입되어 배수됨에 따라 청결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FLOW GATE OF MANHOLE}
본 발명은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구 상부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와 연통되며 하수구에 연결되는 제2관체로 이루어져, 도로변에 설치되는 하수구에 낙엽 등의 이물질이 쌓여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도, 유체가 상기 하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관체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재래시장과 같이 하수구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유체가 제1관체로 유입되어 배수됨에 따라 청결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노상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물이 설치된다. 배수구조물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과 연결되어 집수된 빗물이나 오수를 하수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배수구조물의 트인 상부에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이라고도 불리는 격자 구조물(하수맨홀)이 설치되어 크고 거친 이물질을 걸러준다.
그러나 낙엽이나 이물질이 하수맨홀 상부에 쌓이게 되면, 배수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움에 따라 물이 역류되고, 도로에 물이 넘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수맨홀 또는 덮개에 쓰레기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35863호 "하수구 맨홀용 쓰레기 투입방지기능을 가지는 악취차단장치"(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실용신안 제20-0268563호 "하수구 이물질 유입방지용 장치구"(이하 '종래기술2'라 함.)를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종래기술1은 하우징과 악취방지구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는 악취방지구가 장착되는 장착홀을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은 바디면과 악취방지구가 하수구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가지고, 상기 악취방지구는 " ㅁ " 형상의 상판과 하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흡수공을 일정개수 형성하고, 상기 하판에는 개구부를 일정개수로 형성함과 동시에 개구부 상에는 판스프링을 개구부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하판에 리벳팅하여 고정하고, 상기 개구부와 판스프링 사이에는 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맨홀용 쓰레기 투입방지 기능을 갖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상기 종래기술2는 본체내부에 덮개 작용구조를 갖는 수개의 회전간이 한쪽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지게 하는 것과 본체 상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설 되어있는 돌편 구조물 위로 철망이 구비되고, 본체부 내측 양 측면부에 수개의 스토퍼장치 구조가 형성 되어 차도나 인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빗물받이 멘홀 내부에 유입되어지고 있는 담배꽁초 및 그 외에 버려지고 있는 각종 쓰레기들을 걸러내어 수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하수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나, 단순히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일 뿐, 궁극적으로 낙엽 등과 같이 이물질이 쌓였을 경우에는 배수구(하수구)의 사용이 불가한 것은 동일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수구 상부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 단부에 연결되되 하수구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관체로 이루어져, 하수구 상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도 유체가 제1관체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에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여 평상시에 이물질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관체는 제1관체 단부에 외삽 또는 내삽 되어, 설치되는 하수구의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는
하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낙하하도록 제1관로가 형성된 제1관체;
상기 제1관체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수구와 연통되는 제2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하수구로 배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2관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수구 상부가 막히면, 유체가 상기 하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관체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는 하수구 상부 측면, 보다 정확하게는 하수구 옆에 설치되는 연석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하수구 상부에 이물질이 쌓여도 유체가 이 유입구를 통하여 제1관체 및 제2관체로 유입되고, 상기 제2관체가 하수구와 직접 연결됨에 따라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에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유입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체가 유입될 때는 유입되는 유체의 힘에 의해 차단판이 열려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며, 더 나아가 상기 차단판은 악취를 막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수구와 연통되는 제2관체가 제1관체에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하수구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제2관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의 설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의 실시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에 구비되는 커버의 설치예
도 3b 및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고정하는 탈착블록유닛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H)용 플로어 게이트(G)는 하수구(H), 보다 정확하게는 하수맨홀(M) 상부에 낙엽 등의 이물질이 쌓였을 때에도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도로가 침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하수구(H) 옆 연석(S) 및 도로에 매설되는 것으로 제1관체(10)와, 상기 제1관체(10)에 연결되되 하수구(H)와 연통되는 제2관체(20)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1관체(10)는 하수구(H) 옆 도로에 매설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하수구(H)는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도의 연석(S) 바로 옆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관체(10)는 상기 연석(S)과 인도 및 도로 하부에 매설된다.
이 때 연석(S)(경계석)을 직접 가공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도 경계석을 이루는 연석(S)과 동일한 크기의 덮개(19)를 구비하고, 이 덮개(19) 내부에 제1관체(10)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19) 상부면에는 보행자 등에게 안내 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안내부(19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다시, 상기 제1관체(10)는 상기 하수맨홀(M)로 유입되지 않은 유체가 흐르는 관체로, 상기 하수구(H) 상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와 연통되되 수직방향으로 유체가 낙하할 수 있는 제1관로(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유입구(11)에는 단일의 유입구(11)를 복수의 유입구(11)로 구역화 하는 격자부재(111)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격자부재(111)에 의해 이물질이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격자부재(111)의 개수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1)의 내측에는 차단판(18)이 더 구비되어, 이물질 유입을 한 번 더 방지함과 동시에 하수구(H)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차단판(18)의 상부에는 힌지결합부(181)가 구비되고, 이 힌지결합부(181)가 상기 유입구(11) 내측 상부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차단판(18)의 하부가 개방되게 되며, 상기 차단판(18)의 개방은 별도의 밸브를 통하여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나, 탄성체를 상기 힌지결합부(181)에 구비하여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상기 제1관로(13)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낙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수구(H)와 제1관로(13)의 외벽 사이는 설치 구조상 서로 이격될 수밖에 없어, 이 간격을 극복하여 유체를 하수구(H)로 흐르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관체(10)는 상기 하수구(H)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15)에 의해 제1관로(13)의 형상은 측면에서 볼 때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15) 저면에는 유체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형성부(17)를 더 구비하여, 유체가 경사형성부(17)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방향을 바꾸어 하수구(H)로 흐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관체(10)의 단부에는 제2관체(20)가 내삽 또는 외삽 되어 있으며, 상기 제2관체(20)에는 상기 제1관로(13)와 연통되는 제2관로(23)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로(23)의 끝부분은 상기 하수구(H)와 연통되는 통수구(21)가 형성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수맨홀(M) 상부에 이물질이 쌓이면, 유체는 하수맨홀(M)로 유입되지 못하고, 그 측면에 있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며, 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는 제1관로(13) 및 제2관로(23)를 통하여 하수구(H)로 배수됨에 따라, 하수맨홀(M)이 막혀 도로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관체(20)는 상기 제1관체(10)에 외삽 또는 내삽 되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게이트(G)를 설치함에 있어, 설치환경에 따라 상기 제1관체(10)와 하수구(H) 사이의 이격거리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이 간격에 따라 상기 제2관체(20)를 슬라이딩 이송시켜 그 간격을 극복함에 따라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관체(10)와 제2관체(20)를 연결함에 있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패킹부재 등이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통수구(21)는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하수구(H) 측면과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하수구(H)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하수구(H)로 배수될 수 있는 조건하에 다양한 위치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의 외측에는 유입구(11)로 낙옆이나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C)가 탈착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커버(C)는 제1관체(10)의 유입구(11)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블록(71)과, 상기 커버(C)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71)에 탈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블록(72)으로 이루어지는 탈착블록유닛(70)에 의해, 필요 시 손쉽게 커버(C)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관체(10) 상단에 구비되는 제1블록(71)은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낙하공(711A)과,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에서 후방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며 전방에 제1인출공(714)이 연통된 안착공(711B)과, 상기 안착공(711B) 후방과 상기 낙하공(711A) 상부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위치변위공(711D)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인출공(714)에는 반구형의 고정체(717)가 인입부(713)로 돌출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71)은 상기 온열시트 후단에 구비되되 후술하는 푸쉬바(751)가 상부로 돌출되어 착용감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온열시트 후단에 조금 아래로 치우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C)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블록(72)의 인입바(723)에는 상기 인입부(713)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체(717)가 삽입되는 고정홈(723A)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볼(74)이 상기 안착공(711B)에 채워져 상기 고정체(717)의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체(717)가 제1블록(7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의 고정력을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71)에는
상기 안착공(711B)에 채워진 최후방의 고정볼(74)을 상기 위치변위공(711D)을 통해 낙하공(711A) 상부로 위치이동시켜, 상기 고정체(717)가 제1블록(7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슬라이딩 결합 및 해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변위수단(7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도3b 및 도3c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3b 및 도3c는 결합 및 해정의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3b의 [A]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3b의 [B]는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3c의 [A]는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력을 유지하게 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3c의 [D]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 고정력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블록(72) 방향을 전방이라 지칭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지칭하며, 상하 방향은 도3b 및 도3c를 기준으로 정하도록 한다.
우선 제1블록(71)은 제1몸체(711)와, 상기 제1몸체(711) 전방으로부터 인입부(713)를 형성하도록 이격된 가이드바(71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몸체(711) 전방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제1돌출부 전방에서 가이드바(712)가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712)와 제1몸체(711) 전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이격된 공간을 인입부(713)라 지칭하고, 이 인입부(713)에 상기 제2블록(72)의 인입바(723)가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블록(72)은 제2몸체(721)와, 상기 제2몸체(721) 하부에서 제1블록(71)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상기 제2돌출부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2몸체(721)와 가이드홈(722)이라는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인입바(723)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슬라이딩 결합되면,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바(712)가 가이드홈(722)에 끼워져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몸체(711)의 내부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낙하공(7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낙하공의 하부(711Ab)로부터 후방 수평방향으로 안착공(711B)이 형성되고, 이 안착공(711B) 후방에서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위치변위공(711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공들을 따라 고정볼(74)이 이동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의 결합상태를 고정 및 해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공(711B)의 전방에는 상기 인입부(713)와 연통되는 제1인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인입공에는 회전축(717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인입부(713)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체(71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체(717)는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입바(723)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구형의 외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인입공 내부로 회전 및 인입되어 인입바(723)의 결합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안착공(711B)에는 복수의 고정볼(74)이 서로 밀착하면서 구비되며, 또 다른 하나의 고정볼(74)은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에 위치하여,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에 공간부(711C)가 형성되어 고정체(717)의 인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고정볼(74)이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에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몸체(711)에는 진입방지블록(761)이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은 상기 전방이 반구형의 형상을 이루고, 고정볼(74)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진입공(761A)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공(711B)과 나란하게 상기 낙하공(711A) 상부 아래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은 제1몸체(711)에 구비되는 제2인출공(715)(상기 제1인출공(714)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부(713)를 침범하도록 구비되는 공을 말한다.)을 통하여 전방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낙하공(711A)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스프링(762)이 구비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3b의 [A]와 같이 평상시에는 진입방지블록(761)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진입공(761A)이 낙하공(711A)과 어긋나 고정볼(74)의 하강을 방지하고, 도3b의 [B]와 같이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로 삽입되면, 우선 상기 고정체(717)를 회전 및 인입시키고, 순차적으로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을 인입되면 낙하공(711A)과 진입공(761A)이 연통되도록 배열됨에 따라 고정볼(74)이 진입공(761A)을 통과하여 낙하되게 된다.
도3b의 [B]는 고정체(717)의 회전이 90도가 되도록 과도하게 표시하였으나, 실제 회전은 90도 이하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3c의 [C]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슬라이딩 결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인입바(723) 상부에 구비되는 삽입홈(723B)에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의 단부가 끼워져 진입방지블록(761)이 원위치되고, 상기 낙하된 고정볼(74)의 하중에 의해 상기 고정체(717)가 다시 회전하여 돌출됨에 따라 상기 인입바(723)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홈(723A)에 고정체(717)가 끼워지고, 상기 안착공(711B) 내에 복수의 고정볼(74)이 채워짐으로서 상기 고정체(717)의 후퇴를 제한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강한 힘으로 분리하고자 하면, 상기 고정볼(74)이 밀려 다시 낙하공(711A)을 따라 위로 올라가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 바로 위에는 상승방지부재(764)가 탄성축(76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상승방지부재(764)는 상기 탄성축(764A)에 의해 수직공내에서 상기 고정볼(74)의 하강은 허용하나 고정볼(74)이 상승하는 것은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앞서 언급한 문제를 보완하고 있다.(상기 탄성축(764A)은 탄성체등이 구비되어 상승방지부재(764)를 원위치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 때 탄성력은 고정볼(74)의 하중보다 약하게 이루어져 고정볼(74)의 낙하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해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3b의 [A]와 같이 어느 한 고정볼(74)을 다시 낙하공(711A) 상부로 원위치 시켜 안착공(711B) 내에 공간부(711C)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변위수단(75)을 더 구비하고 잇다.
상기 위치변위수단(75)은 푸쉬바(751), 연결바(752), 슈팅블록(753) 및 탄성부재(7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푸쉬바(751)는 제1몸체(711)에 구비되는 승하강홈(716)에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푸쉬바(751)를 누를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푸쉬바(751) 하부에는 전방으로 절곡된 연결바(75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752)에는 평상시에서는 고정볼(74)의 후퇴를 막고 필요시 고정볼(74)의 하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슈팅블록(753)이 구비되고, 이 슈팅블록(753) 하부에 탄성부재(754)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슈팅블록(753)이 상승하여 안착공(711B)에 구비되는 최후방 고정볼(74)의 후단을 지지하여 고정볼(74)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도3c의 [D]와 같이, 상기 푸쉬바(751)를 누르면, 상기 슈팅블록(753)이 하강하여 상기 최후방 고정볼(74)이 후퇴하는 공간을 확보하며, 이 때 푸쉬바(751)를 놓으면 탄성부재(7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슈팅블록(753)이 상승하여 상기 최후방 고정볼(74)을 밀어 위치변위공(711D)을 통해 상기 낙하공(711A) 상부로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슈팅블록(753)이 하강하였을 때 안착공(711B)에 구비되는 고정볼(74)들이 자연스럽게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711B)의 최후단에는 마그넷(75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볼(74)들은 모두 쇠볼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74)이 이동할 때 반동에 의해 다시 튕겨져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변위공(711D)의 끝(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와의 경계를 말한다.)에는 복귀방지부재(763)를 더 구비하고, 이 복귀방지부재(763)는 상기 스토퍼와 동일하게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정볼(74)이 반동에 의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은 상호간에 원터치 결합 및 해정이 가능하고,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평상시에는 커버(C)가 유입구를 폐쇄하고, 필요 시 손쉽게 유입구(11)를 개방하도록 커버(C)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플로어 게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G : 게이트
H : 하수구 M : 하수맨홀
S : 연석
10 : 제1관체 11 : 유입구
111 : 격자부재 13 : 제1관로
15 : 절곡부 17 : 경사형성부
18 : 차단판 181 : 힌지결합부
19 : 덮개 191 : 안내부
20 : 제2관체 21 : 통수구
23 : 제2관로

Claims (4)

  1. 하수구 상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낙하하도록 제1관로가 형성된 제1관체;
    상기 제1관체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수구와 연통되는 제2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하수구로 배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2관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수구 상부가 막히면, 유체가 상기 하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관체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체의 유입구 내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유입구 내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차단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격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체는 상기 제1관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외삽 또는 내삽 되어, 기 설치된 하수구의 위치에 따라 제2관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KR1020200050714A 2020-04-27 2020-04-27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KR10232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714A KR102326032B1 (ko) 2020-04-27 2020-04-27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714A KR102326032B1 (ko) 2020-04-27 2020-04-27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394A true KR20210132394A (ko) 2021-11-04
KR102326032B1 KR102326032B1 (ko) 2021-11-15

Family

ID=7850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714A KR102326032B1 (ko) 2020-04-27 2020-04-27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0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869A (ko) * 2007-08-16 2009-02-19 김상래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KR101229485B1 (ko) * 2012-05-23 2013-02-04 (주)우창그레이팅 경계석 측면 설치를 위한 연결용 배수구
KR20150091603A (ko) * 2014-02-03 2015-08-12 백운찬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869A (ko) * 2007-08-16 2009-02-19 김상래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KR101229485B1 (ko) * 2012-05-23 2013-02-04 (주)우창그레이팅 경계석 측면 설치를 위한 연결용 배수구
KR20150091603A (ko) * 2014-02-03 2015-08-12 백운찬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032B1 (ko) 202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235B1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0588297B1 (ko)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KR101156757B1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EP3565931A1 (en) A drain
KR102326032B1 (ko)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KR101067610B1 (ko)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949852B1 (ko) 맨홀
CN115605653A (zh) 一种用于下水道的阻断恶臭装置
KR101306829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1301042B1 (ko)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110105279A (ko) 맨홀 구조
KR102590712B1 (ko)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KR100605041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210132395A (ko)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JP6333526B2 (ja) 仮設トイレ設置用配管ユニット
KR100807744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119165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0466978Y1 (ko)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02095150A2 (en) Drainage apparatus
KR100731679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